KR100747871B1 -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7871B1
KR100747871B1 KR1020050119455A KR20050119455A KR100747871B1 KR 100747871 B1 KR100747871 B1 KR 100747871B1 KR 1020050119455 A KR1020050119455 A KR 1020050119455A KR 20050119455 A KR20050119455 A KR 20050119455A KR 100747871 B1 KR100747871 B1 KR 100747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assembly
spiral shaft
base plate
rail
assembl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9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60274A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19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7871B1/ko
Publication of KR20070060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0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7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7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65G47/0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 B65G47/08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grouping articles in a predetermined 2-dimensional pattern
    • B65G47/08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grouping articles in a predetermined 2-dimensional pattern cylindrical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 B60B29/001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comprising lifting or alig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68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 B65G47/71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adapted to receive articles arriving in one layer from one conveyor lane and to transfer them in individual layers to more than one conveyor lane or to one broader conveyor lane, or vice versa, e.g. combining the flows of articles conveyed by more than one conveyor the articles being discharged or distributed to several distinct separate conveyors or to a broader conveyor 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종별로 상이하게 제작되는 사이드 어셈블리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 어셈블리의 이송을 빠르게 하여 조립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종별로 서로 상이한 사이드 어셈블리에 맞춰서 별도의 개별대차를 사용하지 않고도 행거가 사이드 어셈블리를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행거의 작동을 단순화하여 이송에 따른 소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이드 어셈블리(S)의 이송 라인을 따라 천정등에 설치된 레일(1)과, 상기한 레일(1)을 타고 이동 자재하도록 구동 수단이 탑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로 나선축(2)이 직립 설치된 슬라이더(3)와, 상기한 나선축(2)의 하부 종단에 설치되어 양측에 2개의 사이드 어셈블리(S)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4)와,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4) 및 나선축(2)에 설치되어 사이드 어셈블리(S)를 간헐 지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차종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클램프 수단과,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4)를 수평 회전시켜 양측으로 로봇(RR)이 사이드 어셈블리(S)를 탑재할 수 있도록 나선축(2) 상단에 연결 설치된 회전 실린더(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Hanger apparatus to convey side assembly for automobil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의 정면도,
도3은 도1의 측면도,
도4는 일반적인 사이드 어셈블리를 이송하는 무한궤도 시스템을 도시한 개략도,
도5는 도4에서 사이드 어셈블리를 운반하는 행거를 도시한 정면도,
도6은 도5에 적용되는 개별대차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레일 2: 나선축
3: 슬라이더 4: 베이스 플레이트
5: 회전실린더 6: 브라켓
7: 모터 8: 구동로울러
9: 가이드로울러 10: 고정바
11: 하부 스태치 12: 이동바
13: 승강부재 14: 상부어태치
15: 브라켓 16: 고정볼트
RR: 로봇 H: 구멍
S: 사이드어셈블리
본 발명은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종별로 상이하게 제작되는 사이드 어셈블리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이드 어셈블리의 이송을 빠르게 하여 조립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바디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각각 제작된 사이드 어셈블리, 루프 어셈블리등을 용접으로 조립하게 되는 바, 상기한 각각의 조립된 조립체를 이송하면서 용접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서 순환되는 무한궤도 시스템을 사용하게 된다.
예를 들면, 사이드 어셈블리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는 메인라인(M)과, 용접 후 사이드 어셈블리(S)가 취출된 대차(50)를 리턴시키는 리턴라인(R)과, 상기한 메인라인(M)과 리턴라인(R)을 타고 이동하는 대차(50) 및 각 차종에 따라 대차(50)에 설치되는 개별대차(51)로 이루어진 무한궤도 시스템을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메인라인(M)에서 사이드 어셈블리(S)를 용접 위치로 이송시킨 후, 다시 대차(50)로 이송시키기 위해 행거가 사용되는 바, 이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50)가 이동하는 측면에 직립 설치된 수직 실린더(52)와, 상기한 수직 실린더(52)에 의해 승강하도록 설치되고 사이드 어셈블리(S)를 양측에서 잡을 수 있도록 다수의 아암(53)이 설치된 리프터(54)와, 상기한 아암(53)이 사이드 어셈블리(S)를 잡거나 해제시키도록 작동시키는 작동 실린더(55)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한 대차(50)를 통해 사이드 어셈블리(S)가 이동하게 되면 수직 실린더(52)가 하강하면서 아암(53)을 사이드 어셈블리(S)의 측면에 위치시킨 후, 작동 실린더(55)가 작동하여 아암(53)이 사이드 어셈블리(S)를 잡아서 용접 위치로 이송시키고, 용접후에는 다시 대차(50)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대차(50)의 상면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차종별 사이드 어셈블리(S1, S2)의 형태에 맞도록 제작된 개별대차(51A, 51B)가 안착되어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각각의 차종에 대응되도록 개별대차를 제작하게 되면 차종 개발시마다 별도의 개별대차를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제작비가 소요됨과 아울러 작업이 매우 불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행거가 사이드 어셈블리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수직 실린더 하강, 아암 개폐, 수직 실린더 상승, 아암 개폐등의 동작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사이드 어셈블리의 이송에 따른 소요 시간이 불필요하게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차종별로 서로 상이한 사이드 어셈블리에 맞춰서 별도의 개별대차를 사용하지 않고도 행거가 사이드 어셈블리를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행거의 작동을 단순화하여 이송에 따른 소요 시간을 단축하여 작업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이드 어셈블리의 이송 라인을 따라 천정등에 설치된 레일과, 상기한 레일을 타고 이동 자재하도록 구동 수단이 탑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로 나선축이 직립 설치된 슬라이더와, 상기한 나선축의 하부 종단에 설치되어 양측에 2개의 사이드 어셈블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 및 나선축에 설치되어 사이드 어셈블리를 간헐 지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차종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클램프 수단과,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를 수평 회전시켜 양측으로 로봇이 사이드 어셈블리를 탑재할 수 있도록 나선축 상단에 연결 설치된 회전 실린더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1과 도2와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와 도1의 정면도 및 측면도로서, 사이드 어셈블리(S)의 이송 라인을 따라 천정등에 설치된 레일(1)과, 상기한 레일(1)을 타고 이동 자재하도록 구동 수단이 탑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로 볼 스크류등과 같은 나선축(2)이 직립 설치된 슬라이더(3)와, 상기한 나선축(2)의 하부 종단에 설치되어 양측에 2개 의 사이드 어셈블리(S)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4)와,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4) 및 나선축(2)에 설치되어 사이드 어셈블리(S)를 간헐 지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차종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클램프 수단과,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4)를 수평 회전시켜 양측으로 로봇(RR)이 사이드 어셈블리(S)를 탑재할 수 있도록 나선축(2) 상단에 연결 설치된 회전 실린더(5)로 이루어져 있다.
즉, 회전 실린더(5)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트(4)가 회전하면서 로봇(RR)이 2개의 사이드 어셈블리(S)를 베이스 플레이트(4)에 안착시킴과 아울러 클램프 수단이 차종에 관계없이 사이드 어셈블리(S)를 고정시키게 되면, 구동 수단이 작동하여 레일(1)을 타고 베이스 플레이트(4)가 이동하면서 용접작업을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구동 수단은 레일(1)을 감싸도록 형성된 브라켓(6)과, 상기한 브라켓(6)에 고정 설치된 모터(7)에 의해 작동하면서 레일(1)에 접촉되어 있는 구동 로울러(8)와, 상기한 브라켓(6)의 내측에 설치되어 양측에서 레일(1)을 지지하고 롤링 운동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로울러(9)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한 슬라이더(3)의 하부에는 고정바(10)가 고정되고, 상기한 고정바(10)의 중심 상면에는 상기한 나선축(2)과 베이스 플레이트(4)를 180도 회전시키도록 회전 실린더(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클램프 수단은 사이드 어셈블리(S)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4)의 측면에 다수가 직립 설치된 하부 어태치(11)와, 상기한 나선축(2)에 나 사 결합되어 승강 가능함과 아울러 양측으로 이동바(12)가 설치된 승강부재(13)와, 상기한 이동바(13)에 일정 각도로 결합되어 사이드 어셈블리(S)가 안착되었을 때 사이드 어셈블리(S)의 필러 부분에 형성된 구멍(H)에 끼워지는 봉상의 상부 어태치(14)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한 상부 어태치(14)는 이동바(12)에 브라켓(15) 및 고정볼트(16)로 결합되어 있는 바, 고정볼트(15)를 풀면 이동바(12)를 타고 위치 이동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이드 어셈블리(S)의 차종이 바뀌면 사이드 어셈블리의 구멍(H)에 맞출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모터(7)가 작동하여 구동 로울러(8)가 회전하게 되면, 구동 로울러(8)가 레일(1)을 타고 이동하면서 베이스 플레이트(4)가 로봇(RR)의 측면에 위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가 로봇(RR)의 측면에 위치되면 로봇(RR)이 사이드 어셈블리(S)를 잡고 베이스 플레이트(4)에 안착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4)가 항상 일정 위치에 정지하기 때문에, 로봇(RR)에 의해 안착되는 사이드 어셈블리(S)의 구멍(H)으로 상부 어태치(14)가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물론, 사이드 어셈블리(S)의 하부는 하부 어태치(11)에 지지된 상태에서 사이드 어셈블리(S)가 일정 각도 기울어지면서 상부 어태치(14)에 끼워지기 때문에, 사이드 어셈블리(S)가 안정적으로 안착된다.
사이드 어셈블리(S)의 안착이 완료되면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에서 회전 실린더(5)를 작동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회전 실린더(5)의 회전에 의해 베이스 플레이 트(4)가 180도 회전하게 된다.
베이스 플레이트(4)가 회전하면 비어있는 부분이 로봇(RR)으로 위치되는 바, 상기한 로봇(RR)이 다른 사이드 어셈블리(S)를 잡아서 베이스 플레이트(4)에 안착시키게 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4)에 2개의 사이드 어셈블리(S)가 안착되는 것이다.
2개의 사이드 어셈블리(S)가 안착되면 모터(7)가 작동하게 되고, 상기한 모터(7)에 의해 구동 로울러(8)가 회전하게 되는 바, 구동 로울러(8)가 레일(1)을 타고 이동하기 때문에 이와 연결된 나선축(2) 및 베이스 플레이트(4)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적용 차종이 바뀌게 되면 이송해야 할 차종의 사이드 어셈블리(S)에 따라 상부 어태치(14)를 조절하게 되는 바, 상기한 브라켓(15)의 고정 볼트(16)를 풀고 이동시키면서 사이드 어셈블리(S)의 구멍(H)에 맞춤과 아울러 승강 부재(13)를 회전시키면서 나선축(2)을 따라 승강시켜 구멍(H)의 높낮이를 맞추게 되면 차종이 바뀌어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여러 차종의 사이드 어셈블리에 적용 가능하도록 상하부 어태치를 구성함과 아울러 별도의 대차를 사용하지 않고 베이스 플레이트에 로봇이 사이드 어셈블리를 안착/취출하도록 구성하고, 베이스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2개의 사이드 어셈블리를 안착시켜 이송함으로써, 단순한 구성으로 사이드 어셈블리를 이동시키고 이동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사이드 어셈블리(S)의 이송 라인을 따라 천정등에 설치된 레일(1)과, 상기한 레일(1)을 타고 이동 자재하도록 구동 수단이 탑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로 볼 스크류등과 같은 나선축(2)이 직립 설치된 슬라이더(3)와, 상기한 나선축(2)의 하부 종단에 설치되어 양측에 2개의 사이드 어셈블리(S)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베이스 플레이트(4)와,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4) 및 나선축(2)에 설치되어 사이드 어셈블리(S)를 간헐 지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차종에 따라 위치를 가변시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 클램프 수단과, 상기한 베이스 플레이트(4)를 수평 회전시켜 양측으로 로봇(RR)이 사이드 어셈블리(S)를 탑재할 수 있도록 나선축(2) 상단에 연결 설치된 회전 실린더(5)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구동 수단은 레일(1)을 감싸도록 형성된 브라켓(6)과, 상기한 브라켓(6)에 고정 설치된 모터(7)에 의해 작동하면서 레일(1)에 접촉되어 있는 구동 로울러(8)와, 상기한 브라켓(6)의 내측에 설치되어 양측에서 레일(1)을 지지하고 롤링 운동하도록 설치된 다수의 가이드로울러(9)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클램프 수단은 사이드 어셈블리(S)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4)의 측면에 다수가 직립 설치된 하부 어태치(11)와, 상기한 나선축(2)에 나사 결합되어 승강 가능함과 아울러 양측으로 이동바(12)가 설치된 승강부재(13)와, 상기한 이동바(13)에 일정 각도로 결합되어 사이드 어셈블리(S)가 안착되었을 때 사이드 어셈블리(S)의 필러 부분에 형성된 구멍(H)에 끼워지는 봉상의 상부 어태치(14)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
KR1020050119455A 2005-12-08 2005-12-08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 KR100747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455A KR100747871B1 (ko) 2005-12-08 2005-12-08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9455A KR100747871B1 (ko) 2005-12-08 2005-12-08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274A KR20070060274A (ko) 2007-06-13
KR100747871B1 true KR100747871B1 (ko) 2007-08-08

Family

ID=38356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9455A KR100747871B1 (ko) 2005-12-08 2005-12-08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7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447B1 (ko) * 2008-10-30 2014-03-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부품 이송용 스토리지 장치
CN108163519B (zh) * 2018-01-18 2018-12-11 安徽正熹标王新能源有限公司 一种伺服驱动自动上下料设备
CN109704039A (zh) * 2018-12-10 2019-05-03 江苏富联通讯技术有限公司 一种旋转运料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879A (ko) * 1996-08-29 1998-06-05 양재신 이송기의 물품 지지 장치
KR20040099276A (ko) * 2002-02-20 2004-11-26 듀르 시스템스 게엠베하 제품, 특히 차량 샤시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6879A (ko) * 1996-08-29 1998-06-05 양재신 이송기의 물품 지지 장치
KR20040099276A (ko) * 2002-02-20 2004-11-26 듀르 시스템스 게엠베하 제품, 특히 차량 샤시를 처리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0274A (ko) 2007-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379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vehicle bodies, and vehicle assembling system
US7461733B2 (en) Vehicle body transfer apparatus
US20020175048A1 (en) Overhead conveyor
JP3976223B2 (ja) 車体搬送装置および車体搬送方法
US20090174245A1 (en) Work seat apparatus
KR100747871B1 (ko) 자동차용 사이드 어셈블리 운반용 행거 장치
CN116517965B (zh) 一种复合滚轮轴承支架及其智能加工装置
US6286261B1 (en) Vehicle sliding door track and guide elements
CN103802914A (zh) 后滑柱随行装配举升装置
CN116573590A (zh) 转台翻转装置和转台翻转系统
CN109703983B (zh) 一种eps总成自动检测流水线及其检测方法
JPH02231280A (ja) ドア位置決め搬送台車
JP2005280582A (ja) 台車搬送装置
JPH0815875B2 (ja) 自動車ボディの溶接装置
JP4266626B2 (ja) 吊り下げ搬送設備
JP2006290512A (ja) 車体搬送装置
JP2000354917A (ja) 車両用部品のハンドリング装置
CN115973700B (zh) 一种发动机分装线及其使用方法
JPH045592B2 (ko)
JP2531985B2 (ja) 移載自在な搬送設備
JP2767156B2 (ja) 移動体使用の搬送装置
JPS625983Y2 (ko)
JPH0565391B2 (ko)
JPH0318100Y2 (ko)
JPH0674063B2 (ja) 自走体使用の搬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