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91757B1 -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91757B1
KR100691757B1 KR1020050056112A KR20050056112A KR100691757B1 KR 100691757 B1 KR100691757 B1 KR 100691757B1 KR 1020050056112 A KR1020050056112 A KR 1020050056112A KR 20050056112 A KR20050056112 A KR 20050056112A KR 100691757 B1 KR100691757 B1 KR 100691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ylinder
fixing
fram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1291A (ko
Inventor
김수곤
Original Assignee
(주)우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정공 filed Critical (주)우진정공
Priority to KR1020050056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757B1/ko
Publication of KR200700012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12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1Minimizing space with more compact design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60Y2304/074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by improved accessibility

Abstract

본 발명은 행거 및 바디를 고정한 상태에서 엔진이나 변속기 등의 설치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능한 차량조립시 차량용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는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슬라이딩되어 행거를 고정하는 클램프가 포함된 행거고정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하부프레임을 전후진시키는 슬라이드부가 포함된 이송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바디의 내부에 진입하여 바디의 메바를 고정하는 바디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FOR AUTOMOBILE BODY AND HANG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된 상태 간략도,
도 2a,b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고정수단을 보인 간략도,
도 3a,b,c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과 바디고정수단의 동작상태를 보인 간략도,
도 4a,b,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을 보인 간략도,
도 5a,b,c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고정수단을 보인 간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메인프레임 20: 행거고정수단
21: 상부프레임 25: 클램프
30: 이송수단 32: 하부프레임
33: 위치조절부 40: 바디고정수단
41: 멘바고정부 50: 실린더
60: 센서 70: 구동수단
80: 컨베이어 90: 멘바
100: 바디 110: 행거
본 발명은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차량용 바디 및 행거 등을 동시에 고정함으로써, 엔진, 변속기 등의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차량조립시 차량용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조립라인에서는 차체에 엔진,트랜스 미션 등 각종장치를 장착하기 위하여 오버헤드 컨베이어의 롤러에 의해 이동되는 체인을 설치하고, 이 체인과 체인고리에 걸려움직이는 오버헤드 컨베이어의 행거에 자체를 올려 조립하인을 따라 이송되는데, 차제 운방용 행거는 롤러가 설치된 프레임의 상단에 실린더가 설치되고 하단에는 좌우 대칭형상을 갖는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오버해드 컨베이어는 차제운반용 행거를 잡아주는 레일브레이크가 설치되어 행거를 멈추게 해준다.
그리고 자체운방용 행거는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설치된 체인의 체인고리에 걸려 이송구간 전까지 끌려오다가 체인이 상승하는 구간에서부터 체인의 체인고리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상태가 된다.
이처럼 오버헤드 컨베이어에 설치된 레일브레이크가 관성에 의해 움직이는 행거를 잡아주어 정지시키고 이 행거에 설치된 실린더가 작동되어 나머지 구간을 이송시켜 주게된다.
그러나 이러한 반복된 컨베이어의 작동에 따른 레일브레이크가 쉽게 마소되어 컨베이어가 이탈 및 밀림현상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엔진, 트랜스 미션 등을 탑재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에 설치된 행거나 바디 자체가 유동되어 조립 및 설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행거나 바디에 견인고리를 행거에 설치하여 고정하는 방법을 채택하고 있으나, 이는 별도 작업이 필요하여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행거 및 바디를 고정한 상태에서 엔진이나 변속기 등의 설치작업이 이루어져 작업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능한 차량조립시 차량용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를 제공할 목적이 있다.
그리고, 차량용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의 적소에 센서, 로드셀을 설치하여 무인동작이 가능하도록 한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전방에 설치되며 실린 더의 신축에 의해 상부프레임이 슬라이딩되면서 행거를 고정하는 클램프가 포함된 행거고정수단과;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하부프레임을 전후진시키는 슬라이드부가 포함된 이송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바디의 내부에 진입하여 바디의 멘바를 고정하는 바디고정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설치된 상태 간략도이고, 도 2a,b는 본 발명에 따른 행거고정수단을 보인 간략도이며, 도 3a,b,c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과 바디고정수단의 동작상태를 보인 간략도이고, 도 4a,b,c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을 보인 간략도이며, 도 5a,b,c은 본 발명에 따른 바디고정수단을 보인 간략도이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조립시 컨베이어(80)에 의해 바디(100)를 탑재한 행거(110)가 일정한 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차량용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가 수평이동하여 행거(110)와 바디(100)를 고정하는 것이다.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은 메인프레임(10)의 전후방에는 구동수단(70) 및 행거고정수단(20)이 구비되고, 컨베이어(80)를 따라 이송된 행거(110)가 일정한 위치에 도달하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행거고정수단(20)의 동작에 의해 상기 행거(110)의 일측을 클램프(25)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메인프레임(10)의 하부에는 실린 더(50)의 신축에 의해 하부프레임(32)을 전후진시키는 이송수단(30)이 설치되며, 상기 이송수단(30)의 전방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수단(30)의 동작에 의해 하부프레임(32)이 바디(100)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상기 바디(100)의 멘바(90)에 위치를 감지하고 이어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실린더(50)를 신축하여 상기 바디(100)의 멘바(90)를 고정하는 바디고정수단(40)으로 구성된다.
도 2a,b,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거고정수단(20)은 메인프레임(10)의 상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21)과, 상기 상부프레임(21)의 전방에 설치되며 행거(110)를 고정하는 클램프(25)와, 상기 메인프레임(10)과 상부프레임(21) 사이에 장착되는 실린더(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램프(25)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진 제1,2고정부(21,23)가 설치된다.
상기 제1고정부(21)는 실린더(50)의 신축에 의해 센서(60)가 행거(110)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행거(110)의 일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부(21)는 스프링이 탄성지지되는 지지봉(22)과, 상기 실린더(50)의 신축에 따른 행거(110)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60)가 설치된다.
상기 제2고정부(23)의 일측은 상부프레임(21)에 피봇(24) 결합되고, 타측은 상부프레임(21)에 장착된 실린더(50)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실린더(50)의 신축에 의해 피봇(24)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행거(110)의 타측을 고정하는 것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30)은 메인프레임(10)의 하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부(31)와, 상기 이송부(31)의 하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프레임(32)과, 상기 메인프레임(10)과 이송부(31)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31)를 전후진시키는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50)의 로드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31)와 하부프레임(32)에 맞물려 전후진시키는 위치조절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위치조절부(33)는 이송수단(30)의 실린더(50) 로드에 설치되는 피니언(34)과, 상기 피니언(34)에 맞물려지며 상기 이송부(31)와 하부프레임(32)에 설치되는 랙(3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이송수단(30)은 위치조절부(33)에 의해 일정한 공간내에서 2단으로 길이조절가능하여 상기 하부프레임(32)의 이송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능한 것이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고정수단(40)은 하부프레임(32)의 전면에 설치되는 상하 실린더(50)와, 상기 실린더(50)의 신축에 의해 바디(100)를 고정하는 멘바고정부(41)로 이루어진다.
상기 멘바고정부(41)는 상하 실린더(50) 로드에 결합되는 제1누름부재(42)와, 상기 제1누름부재(42)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누름부재(43)와, 상기 제1,2누름부재(42,43) 사이에 설치되는 전후 실린더(50)와, 상기 제1.2누름부재(42,43)에는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60) 및 로드셀(44)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수단(30)에 의해 바디(100)의 내부로 바디고정수단(40)이 이동되면서 상기 멘바(90)에 위치에 도달하면 센서(60)가 동작하여 상기 이송수단(30)의 동 작을 정지시킨다.
상기 로드셀(44)은 상하 실린더(50) 동작에 의해 제1,2누름부재(42,43)가 멘바(90)를 가압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후 실린더(50)의 신축에 의해 상기 제1누름부재(42)를 따라 상기 제2누름부재(43)가 전후진가능하여 상기 멘바(90)를 길이방향으로 고정함으로써, 바디(100)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행거(110)와 바디(100)를 양측에서 고정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컨베이어(80)를 따라 바디(100)를 탑재한 행거(110)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행거고정수단(20)의 센서(6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실린더(50)의 동작이 이루어지고, 이 실린더(50)의 신축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10)을 따라 상부프레임(21)이 전전되면서 상기 클램프(25)의 제1고정부(21)가 행거(110)의 일측면에 위치되면 센서(6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행거고정수단(20)의 실린더(50)를 정지시킨다.
이어서, 상기 클램프(25) 실린더(50)의 신축에 의해 피봇(24)결합된 제2고정부(23)가 회동되면서 상기 행거(110)의 타측면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클램프(25)의 제1,2고정부(21,23)에 의해 행거(110)를 고정하는 것이다.
이렇게 행거(110)를 고정한 후, 상기 이송수단(30)에 의해 하부프레임(32)을 따라 상기 바디고정수단(40)이 전후진되는데, 도 4b에 도시된 상태에서, 먼저 이송 수단(30)의 실린더(50)를 전진시키면 상기 위치조절부(33)의 피니언(34)에 의해 상기 이송부(31)와 하부프레임(32)의 랙(34)이 맞물려지면서 도 4c도시된 바와 같이 전진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하부프레임(32)에 설치된 행거고정수단(20)이 상기 바디(100)의 내부로 진입되면서 상기 바디(100)의 멘바(90)에 위치되면, 상기 바디고정수단(40)의 센서(60)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위치조절부(33)를 전진시키는 실린더(50)를 정지시킨다.
이어서, 먼저 상기 바디고정수단(40)의 실린더(50)를 전진시키면, 상기 제1누름부재(42)를 따라 제2누름부재(43)가 길이방향으로 펼쳐지고, 이어 상기 실린더(50)를 하강시키면, 상기 제1,2누름부재(42,43)가 하강하면서 멘바(90)를 일정한 압력으로 누르면서 바디(100)를 고정하는 것이다.
상기 제2누름부재(43)는 차량에 따라 멘바(90)의 형상과 모양이 달리하여 다양하게 적용가능한 것이다.
이렇게 행거(110)와 바디(100)를 고정한 상태에서, 바디(100)에 엔진이나 변속기 등을 탑재한 후에, 선행된 작업순서의 반대로 작업을 행하여 상기 바디(100)와 행거(110)의 고정상태를 해제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조립시 차량용 바디(100) 및 행거 고정장치의 적소에 복수의 센서(60) 및 로드셀(44) 등을 설치하여 도면상에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행거고정수단(20), 이송수단(30), 바디고정수단(40),구동수단(70) 등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다.
한편, 구동수단(70)은 메인프레임(10)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행거고정수단(20), 이송수단(30), 바디고정수단(40)의 동작을 유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용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는 행거와 바디를 고정함으로써, 엔진, 동력전달장치 등의 조립 및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송수단은 실린더 및 위치조절부의 동작에 의해 바디 내부로 바디고정수단의 이송거리를 확보함과 동시에 협소한 장소에 설치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차량용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의 적소에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나 로드셀을 배치하여 무인동작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후방에 설치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부 전방에 설치되며,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상부프레임이 슬라이딩되고 행거를 고정하는 클램프가 포함된 행거고정수단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며,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하부프레임을 전후진시키는 위치조절부가 포함된 이송수단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바디의 내부에 진입하여 바디의 멘바를 고정하는 바디고정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고정수단은 메인프레임의 상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프레임과,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며 행거를 고정하는 클램프와, 상기 메인프레임과 상부프레임 사이에 장착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는 2개가 한조로 이루어지며, 행거의 일측을 고정하는 제1고정부와, 일측은 상부프레임의 피봇결합되고, 타측은 상부프레임에 설치된 실린더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상기 피봇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기 행거의 타측을 고정하는 제2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메인프레임의 하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과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로드에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상기 이송부와 하부프레임에 맞물려 전후진시키는 위치조절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부는 실린더 로드에 설치되는 피니언과, 상기 피니언에 맞물려지며 상기 이송부와 하부프레임에 설치되는 랙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고정수단은 하부프레임의 전면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바디를 고정하는 멘바고정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멘바고정부는 실린더 로드에 결합되는 제1누름부재와, 상기 제1누름부재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누름부재와, 상기 제1,2누름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고정수단, 이송수단 및 바디고정수단에는 적소에 위치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KR1020050056112A 2005-06-28 2005-06-28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KR100691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112A KR100691757B1 (ko) 2005-06-28 2005-06-28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112A KR100691757B1 (ko) 2005-06-28 2005-06-28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291A KR20070001291A (ko) 2007-01-04
KR100691757B1 true KR100691757B1 (ko) 2007-03-12

Family

ID=378687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112A KR100691757B1 (ko) 2005-06-28 2005-06-28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7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03847B (zh) * 2013-06-27 2015-12-0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焊装工件吊升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95A (ja) * 1991-11-21 1993-01-14 Honda Motor Co Ltd 移動体使用の搬送装置
KR100427289B1 (ko) 2001-06-14 2004-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티어링 휠 센터링 조정장치
KR20040089928A (ko) * 2003-04-15 2004-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샤시 행거의 차량 바디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4595A (ja) * 1991-11-21 1993-01-14 Honda Motor Co Ltd 移動体使用の搬送装置
KR100427289B1 (ko) 2001-06-14 2004-04-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스티어링 휠 센터링 조정장치
KR20040089928A (ko) * 2003-04-15 2004-10-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샤시 행거의 차량 바디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1291A (ko) 200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6139B2 (en) Hanger system
US8627942B2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ously conveying underbody components for vehicle body
US8166634B2 (en) Workpiece mounting device
KR100765648B1 (ko) 동기주행기능을 갖춘 도어 장착 시스템
US20060219525A1 (en) Vehicle body transfer apparatus
KR102359925B1 (ko) 자동차 조립라인의 차체 트랙킹 장치 및 방법
CA2391577C (en) Overhead conveyor
KR101550611B1 (ko) 차량용 도어 힌지 로딩장치
KR102009355B1 (ko) 루프랙 사이드 바 가공 지그
KR100691757B1 (ko) 차량조립시 바디 및 행거 고정장치
ATE334847T1 (de) Dachträger für fahrzeuge
US5217727A (en) Apparatus for placing a mold
EP0471339B1 (en) Puller apparatus for an extrusion machine
KR100369171B1 (ko) 차량의 배터리 투입용 클램핑 장치
JP2011093638A (ja) ワークの搬送装置
US7637498B2 (en) Apparatus for stabilizing printed products being transported in a containing stream over a distance hanging from clamps on a conveying device
EP1767418A3 (en) Vehicle wash system
CN103832343A (zh) 用于车辆内部空间的约束设备
EP3079846B1 (en) Bar feeding method and device
JPH07115240B2 (ja) 多段プレス装置用ローダ・アンローダ
JPH10157672A (ja) 車体組立機における車体の位置決め方法、位置決め装置及びその位置決め装置に用いられる位置固定装置
KR100895669B1 (ko) 도금설비용 위치제어 및 클램핑 장치
CN210755955U (zh) 夹具切换系统
KR101080117B1 (ko)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KR970026801A (ko) 자동차의 도아 자동랙콘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