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010B1 -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 - Google Patents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010B1
KR101220010B1 KR1020060117584A KR20060117584A KR101220010B1 KR 101220010 B1 KR101220010 B1 KR 101220010B1 KR 1020060117584 A KR1020060117584 A KR 1020060117584A KR 20060117584 A KR20060117584 A KR 20060117584A KR 101220010 B1 KR101220010 B1 KR 101220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ropulsion shaft
propulsion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7740A (ko
Inventor
박세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7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010B1/ko
Publication of KR20080047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0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engines, clutches or transmissions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길이와 사양을 갖는 추진 축을 차체 조립 라인으로 자동 이송하면서, 추진 축을 체결 위치가 다른 변속기와 액슬의 체결 높이에 맞춘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는 로딩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수 작업을 없애면서도 장착 위치의 상이함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범용 로딩 설비가 제어기의 조정에 따라 조립 라인의 작업 영역으로 부품을 싣고 조립 라인의 바닥에 깔린 주행 레일(1)을 따라 이동과 복귀되는 로딩 장치와, 상기 로딩 장치로 요구되는 부품들을 적재시켜 주는 팔레트(10)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Common loading facilities for different sized propeller in assembly line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로딩 장치에 이종 사양 추진 축이 얹어진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장치를 이용한 추진축의 장착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로딩 장치로 추진 축 이송 팔레트에서 추진 축이 이송되는 작업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사양 추진 축을 장착하는 공정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행 레일 2 : 베이스 플레이트
2a : 가이드 블록 2b : 가이드레일
3 : 힌지 접촉 센싱 부재 3a : 간격유지블록
3b,10c : 힌지 3c : 위치로드
3d : 접촉 감지부 4 : 가변 안착 로더
5 : 지지블록 6 :지지 플레이트
7,7' : 좌·우 인너 로더 8,8' : 좌·우 아우터 로더
10 : 팔레트 10a : 지지프레임
10b : 적재 테이블 10d : 위치이송 프레임
10e : 지지부재
P,Pa,...,Pn : 추진 축
본 발명은 추진 축 로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 차종이 조립되는 조립 라인으로 공급되는 이종 사양 추진 축에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로딩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수 만개의 부재와 부품이 조립되는 조립체로서, 완성 차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조립/공정라인을 거쳐 용접과 볼팅 등에 의해 조립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완성 차의 조립 중 추진 축을 장착하는 작업 라인의 경우 통상적으로, 추진 축을 모아둔 장소에서 이송라인을 따라 이동한 차체가 위치된 조립라인 쪽으로 이동한 후, 이동된 추진 축을 차체 쪽으로 옮겨 차제에 볼팅(Bolting)해 장착하는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추진 축을 장착하는 조립 라인은 한 종류의 차종만을 조 립하지 않음에 따라, 추진 축의 사양도 차종에 맞추어 다양한 종류를 장착해야 만 하고, 이러한 작업은 다양한 종류의 부품들로 인해 일원화된 자동화 설비도 어렵게 되고, 특히 추진 축 관련 조립 작업 시 추진축의 장착 위치 차이로 인해 추진축의 이송과 차체 장착을 위해서는 작업자의 수 작업이 많이 요구되는 불편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추진 축의 이동과 장착 시 작업자의 수작업이 요구되는 경우 그 길이가 2M ~ 4M이고 중량도 20kg ~ 70kg 까지 나감에 따라, 차체 조립 라인으로 대차나 팔레트를 이용해 이동한 후 작업자가 직접 들어 차체로 위치시킨 다음, 추진 축과 차체의 액슬(Axle)부위에 볼팅(Bolting)작업을 수행할 수밖에 없어, 작업자의 근 골격 계 질환이 발생될 소지가 매우 크게 된다.
또한, 추진 축이 액슬과 변속기쪽으로 양쪽에 체결됨에 따라 변속기쪽의 체결 시, 변속기 쪽에 구비된 볼트에 추진 축의 볼트 홀을 걸쳐놓고 너트를 돌리면서 밀어 체결함에 따라, 추진 축의 하중에 의해 볼트 내구성 저하를 야기하면서 심할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볼트 피로 파괴의 원인을 제공할 수 도 있게된다.
또한, 추진 축의 사양에 따라 달라지는 길이로 인해 변속기쪽과 액슬 쪽간의 체결위치를 맞추기 위해서는, 추진 축을 들어 올려 변속기 측을 조립한 후 다시 추진 축을 하강시켜 액슬 측 조립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서로 다른 길이 와 사양을 갖는 추진 축을 차체 조립 라인으로 자동 이송하면서, 추진 축을 체결 위치가 다른 변속기와 액슬의 체결 높이에 맞춘 상태로 위치시킬 수 있는 로딩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의 수 작업을 없애면서도 장착 위치의 상이함에 따른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가 조립 라인에 구비된 장치들을 제어하는 제어기와;
조립 라인의 작업 영역으로 이어지도록 바닥에 깔린 주행 레일에 가이드 블록으로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끝단에서 수직하게 세워져 이동 시 이동 거리를 감지해 제어기를 통한 이동과 멈춤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힌지 접촉 센싱 부재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으로 길게 배열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차종에 따라 다른 액슬과 변속기 부위에 대한 볼팅 체결 위치에 맞추어 사양이 다른 추진 축을 적재하는 가변 안착 로더로 이루어진 로딩 장치 및;
다른 사양의 추진축들을 적재하는 적재 테이블의 끝단 측면에서 결합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부위에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어 이동된 부품을 안착시키는 위치이송 프레임 및 상기 위치이송 프레임의 저부에 돌출되어져 지지프레임에 접촉되어 위치이송 프레임의 하 방향 젖혀짐을 구속하는 지지부재로 이루어진 부품 이송부재가 측면 쪽으로 장착되어져 상기 로딩 장치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된 팔레트;
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 접촉 센싱 부재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간격유지블록과, 상기 간격유지블록의 끝단에서 힌지를 매개로 결합되어져 물체와 접촉될 때 뒤로 젖혀지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위치로드 및 상기 위치로드의 면에 덧대어져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해 제어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접촉 감지부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변 안착 로더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 배열된 가이드레일에 결합되는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위에 탑재되어진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양쪽 측면에서 그 인출 길이를 조절하도록 결합되어 물체를 얹혀 놓는 로더 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로더 부재는 지지 플레이트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그 길이가 변하지 않는 한 쌍의 좌·우 인너 로더와, 지지 플레이트의 양쪽 측면에 그 길이가 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좌·우 아우터 로더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로딩 장치는 제어기의 조정에 따라 조립 라인의 작업 영역으로 부품을 싣고 조립 라인의 바닥에 깔린 주행 레일(1)을 따라 이동과 복귀되는 로딩 장치와, 상기 로딩 장치로 요구되는 부품들을 적재시켜 주는 팔레트(10)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또는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PLC(Programmable Ladder logic Controller)를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로딩 장치는 조립 라인의 작업 영역으로 이어지도록 바닥에 깔린 주행 레일(1)에 가이드 블록(2a)으로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끝단에서 수직하게 세워져 이동 시 이동 거리를 감지해 제어기를 통한 이동과 멈춤에 대한 신호를 제공하는 힌지 접촉 센싱 부재(3)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의 상면으로 길게 배열된 가이드레일(2b)을 따라 이동하는 가변 안착 로더(4)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힌지 접촉 센싱 부재(3)는 베이스 플레이트(2)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간격유지블록(3a)과, 상기 간격유지블록(3a)의 끝단에서 힌지(3b)를 매개로 결합되어져 물체와 접촉될 때 뒤로 젖혀지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위치로드(3c) 및 상기 위치로드(3c)의 면에 덧대어져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해 제어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접촉 감지부(3d)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위치로드(3c)는 힌지(3b)를 매개로 젖혀진 후 다시 복원되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젖혀질 때 압축된 후 외부 힘이 제거될 때 다시 복원되는 스프링을 이용하거나, 또는 접촉 감지부(3d)를 통해 접촉을 인식하는 제어기를 통해 제어되는 실린더(유압 또는 공압)를 이용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변 안착 로더(4)는 베이스 플레이트(2)의 상면에 배열된 가이드레일(2b)에 결합되는 지지블록(5)과, 상기 지지블록(5)의 위에 탑재되어진 지지 플레이트(6)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6)의 양쪽 측면에서 그 인출 길이를 조절하 도록 결합되어 물체를 얹혀 놓는 로더 부재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로더 부재는 지지 플레이트(6)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그 길이가 변하지 않는 한 쌍의 좌·우 인너 로더(7,7')와, 지지 플레이트(6)의 양쪽 측면에 그 길이가 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좌·우 아우터 로더(8,8')로 구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좌·우 아우터 로더(8,8')와 지지 플레이트(6)간의 결합구조는 수동으로 잡아당기거나 밀어 그 길이를 조절하는 방식이거나, 또는 제어기의 신호에 따라 회전되는 모터의 회전력을 직진 운동으로 변환(나사방식이나 랙과 피니언 방식)하는 방식으로 구성되며,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방식이다.
그리고, 상기 좌·우 인너 로더(7,7')와 좌·우 아우터 로더(8,8')의 끝단에서 추진 축이 얹혀지는 부위는, 추진 축이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개구된 반원형상의 안착단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로딩 장치로 요구되는 부품들을 적재시켜 주는 팔레트(10)는 도 4(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품(일례로 다른 사양의 추진축(P,Pa,...,Pn)들을 적재하는 적재 테이블(10b)과, 힌지(10c)를 매개로 적재 테이블(10b)의 끝단에 결합되어 젖혀지면서 선택된 부품만을 위치시켜 로딩 장치로 적재하는 부품 이송부재로 구성되어진다.
그리고, 상기 팔레트(10)는 부품을 적재하고 이동하거나 부품을 경사시키기 위한 공압 실린더등과 같은 장치들이 구비되며, 이는 부품 이송부재를 제외하고 통 상적으로 작업라인에서 사용되는 팔레트와 동일한 구성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부품 이송부재는 적재 테이블(10b)의 끝단 측면에서 결합된 지지프레임(10a)과, 상기 지지프레임(10a)부위에 힌지(10c)를 매개로 결합되어 이동된 부품을 안착시키는 위치이송 프레임(10d) 및 상기 위치이송 프레임(10d)의 저부에 돌출되어져 지지프레임(10a)에 접촉되어 위치이송 프레임(10d)의 하 방향 젖혀짐을 구속하는 지지부재(10e)로 구성되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범용 로딩 설비는 다른 차종을 함께 조립하는 조립 라인으로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사양을 갖는 추진축(P,Pa,...,Pn)을 자동으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추진축(P,Pa,...,Pn)의 사양에 따라 달라지는 길이로 인해 변속기 쪽과 액슬 쪽간의 서로 다른 체결위치 맞춤 작업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해, 다양한 사양의 추진축(P,Pa,...,Pn)의 이동과 장착 작업이 편리하면서 작업자의 노동력을 최소로 줄여 줄 수 있는 특징이 있게 된다.
이러한 본원 발명은 다양한 사양의 추진축(P,Pa,...,Pn)의 적재 및 이동시 로딩 설비를 이용하게 되며, 이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딩 장치를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2)의 상면으로 장착된 가변 안착 로더(4)를 이용하게 되는데, 일례로 도 2(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축(P)이 장축인 경우에는, 그 길이가 변하지 않는 한 쌍의 좌·우 인너 로더(7,7')를 이용해 추진축(P)의 안쪽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바깥쪽으로 구비된 좌·우 아우터 로더(8,8')의 길이를 늘려 추진축(P) 이 중심을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도 2(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가 짧은 추진축(Pa)의 경우는, 그 길이가 변하지 않는 한 쌍의 좌·우 인너 로더(7,7')를 이용해 추진축(P)의 안쪽을 지지하면서, 동시에 추진축(P)이 중심을 유지하도록 바깥쪽으로 구비된 좌·우 아우터 로더(8,8')의 길이를 줄이면서, 필요 시 좌·우 아우터 로더(8,8')중 한쪽 아우터 로더(8')를 이용해 추진축(Pa)의 일부를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범용 로딩 설비를 이용한 작업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축의 장착을 위한 차량(B)이 조립 라인의 진입하게 되면, 조립 라인에 장착된 센서를 통해 진입된 차량(B)의 전륜에서 후륜 까지의 길이를 체크하게 되고, 이와 같은 전·후륜 간격 측정 신호는 제어기로 보내져 차종을 판단함과 더불어 추진축의 사양을 결정하게 된다.
이러한 작업은 도 3(가)내지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가 로딩 장치를 주행 레일(1)을 따라 추진축이 장착되는 전륜에서 후륜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진입된 차량(B)의 차륜간 간격을 측정하는데, 이는 로딩 장치의 베이스 플레이트(2)의 전방으로 장착된 힌지 접촉 센싱 부재(3)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즉, 상기 힌지 접촉 센싱 부재(3)의 접촉 감지부(3d)가 진입된 차량에서 추진 축이 장착되는 전륜과 후륜에 접촉되어 제어기로 신호를 전송함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힌지 접촉 센싱 부재(3)는 차륜에 접촉될 때 로딩 장치의 이동이 저지되지 않도록 접촉 감지부(3d)가 구비된 위치로드(3c)가 힌지(3b)를 매개로 뒤로 젖혀진 후, 차륜을 지나면서 젖혀진 위치로드(3c)가 힌지(3b)를 매개로 다시 상 승되어진다.
이때, 진입된 차량(B)의 차륜간 간격은 힌지 접촉 센싱 부재(3)의 전륜과 후륜 사이의 이동시간을 통해 산출되어진다.
이와 같이 제어기가 로딩 장치의 이동과 힌지 접촉 센싱 부재(3)를 통해 진입된 차량(B)의 차륜간 간격을 파악해 추진 축 사양을 결정하게 되면, 상기 제어기는 로딩 장치의 가변 안착 로더(4)를 이루면서 바깥쪽으로 구비된 좌·우 아우터 로더(8,8')의 길이를 변경(또는 수작업으로 수행)시켜주는데, 이는 선정된 추진 축 사양에 따른 것으로 일례로 장축의 추진축(P)인 경우는 도 2(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진축(P)의 안쪽이 한 쌍의 좌·우 인너 로더(7,7')로 지지된 상태에서, 적재되는 추진축(P)의 중심이 유지되도록 바깥쪽으로 구비된 좌·우 아우터 로더(8,8')의 길이를 늘려 추진축(P)의 길이에 맞추어 조절해주게 된다.
이어, 로딩 장치의 가변 안착 로더(4)에 대한 조정이 완료된 후 로딩 장치를 레일을 이용해 다양한 사양의 추진축(P,Pa,...,Pn)이 적재된 팔레트(10)쪽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팔레트(10)쪽으로 이동된 로딩 장치는 다양한 사양의 추진축(P,Pa,...,Pn)중 선택된 추진축(P)을 적재한 후, 다시 진입된 차량(B) 쪽으로 복귀되어진다.
이와 같은 로딩 장치의 선택된 추진축(P) 적재는 도 4(가)내지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팔레트(10)의 끝 부위로 장착된 부품 이송부재를 이루는 위치이송 프레임(10d)쪽으로 선택된 추진축(P)이 위치되면, 힌지(10c)를 매개로 지지프레임(10a)에 대해 위치이송 프레임(10d)을 들어 올려 준 후, 로딩 장치의 가변 안착 로더(4)를 이루는 좌·우 인너·아우터 로더(7,7',8,8')의 끝단 부위로 추진축(P)을 얹어주게 된다.
이때, 상기 위치이송 프레임(10d)은 힌지(10c)를 힌지 점으로 해 위로 들어 올려지므로, 위치이송 프레임(10d)쪽으로 위치된 가변 안착 로더(4)를 이루는 좌·우 인너·아우터 로더(7,7',8,8')의 끝단 부위에 추진축(P)을 얹은 후, 위치이송 프레임(10d)은 다시 하강해 지지부재(10e)가 지지프레임(10a)에 접촉된 초기 상태로 복귀되어진다.
이어, 선택된 추진 축(P)을 적재한 로딩 장치가 도 3(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을 따라 다시 조립 라인에 진입된 차량(B)쪽으로 다시 복귀되면, 상기 추진 축(P)은 도 3(바)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B)의 전륜과 후륜 사이로 위치되어 작업자의 볼팅 작업을 통해 차량(B)으로 장착되어진다.
이때, 상기 추진 축(P)은 장착 시 그 체결 위치에 따른 작업자의 수 작업이 필요치 않는데, 이는 추진 축(P)과 차체의 액슬(Axle)부위의 체결 위치와 서로 다른 그 반대쪽의 변속기부위의 체결 위치가 미리 맞추어진 즉, 가변 안착 로더(4)를 이루는 좌·우 인너·아우터 로더(7,7',8,8')를 통해 추진 축(P)의 양쪽은 각각 차체의 액슬(Axle) 체결 위치는 물론, 액슬의 반대쪽 변속기 체결 위치가 설정된 상태로 차량(B)쪽으로 이동됨에 따라, 체결 위치를 맞추기 위한 작업자의 수 작업이 요구되지 않게 된다.
이어, 차량(B)의 차륜 사이에서 차체의 액슬(Axle)과 변속기쪽으로 각각 추진 축(P)에 대한 볼팅 작업이 완료되면, 제어기는 도 3(사)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 딩 장치를 주행 레일(1)을 따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 후, 진입되는 차량(B)에 대한 추진 축 장착 작업을 반복 수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추진 축이 장착되는 차량의 축 간 거리를 산출하면서 선택된 추진 축을 차량 쪽으로 이송하는 공정이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져, 작업자의 추진 축 이동 작업과 같은 육체 노동이 제거됨에 따라 무거운 추진 축 이송에 따른 근골격계 질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로딩 장치가 사양이 다른 추진 축에 따라 추진 축지지 위치를 가변 시키면서, 추진 축의 적재와 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게 되므로, 다 차종이 조립되는 조립 라인에서 작업의 끊김이 없이 연속적인 조립 작업이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1. 조립 라인에 구비된 장치들을 제어하도록 이동과 멈춤에 대한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기와;
    조립 라인의 작업 영역으로 이어지도록 바닥에 깔린 주행 레일(1)에 가이드 블록(2a)으로 결합된 베이스 플레이트(2)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끝단에서 수직하게 세워져 상기 베이스플레이트(2)의 이동 거리를 감지하고 감지된 이동거리를 상기 제어기로 제공하는 힌지 접촉 센싱 부재(3)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2)의 상면으로 길게 배열된 가이드레일(2b)을 따라 이동하고, 차종에 따라 다른 액슬과 변속기 부위에 대한 볼팅 체결 위치에 맞추어 사양이 다른 추진 축을 적재하는 가변 안착 로더(4)로 이루어진 로딩 장치 및;
    다른 사양의 추진축(P,Pa,...,Pn)들을 적재하는 적재 테이블(10b)의 끝단 측면에서 결합된 지지프레임(10a)과, 상기 지지프레임(10a)부위에 힌지(10c)를 매개로 결합되어 이동된 부품을 안착시키는 위치이송 프레임(10d) 및 상기 위치이송 프레임(10d)의 저부에 돌출되어져 지지프레임(10a)에 접촉되어 위치이송 프레임(10d)의 하 방향 젖혀짐을 구속하는 지지부재(10e)로 이루어진 부품 이송부재가, 측면 쪽으로 장착되어져 상기 로딩 장치의 이동 경로 상에 위치된 팔레트(10);
    로 구성되어진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 접촉 센싱 부재(3)는 베이스 플레이트(2)의 일측으로 길게 연장된 간격유지블록(3a)과, 상기 간격유지블록(3a)의 끝단에서 힌지(3b)를 매개로 결합되어져 물체와 접촉될 때 뒤로 젖혀지도록 수직하게 세워진 위치로드(3c) 및 상기 위치로드(3c)의 면에 덧대어져 물체와의 접촉을 감지해 제어기로 신호를 전송하는 접촉 감지부(3d)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 안착 로더(4)는 베이스 플레이트(2)의 상면에 배열된 가이드레일(2b)에 결합되는 지지블록(5)과, 상기 지지블록(5)의 위에 탑재되어진 지지 플레이트(6)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6)의 양쪽 측면에서 그 인출 길이를 조절하도록 결합되어 물체를 얹혀 놓는 로더 부재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더 부재는 지지 플레이트(6)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고정되어 그 길이가 변하지 않는 한 쌍의 좌·우 인너 로더(7,7')와, 지지 플레이트(6)의 양쪽 측면에 그 길이가 변하도록 결합된 한 쌍의 좌·우 아우터 로더(8,8')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좌·우 인너 로더(7,7')와 좌·우 아우터 로더(8,8')의 끝단에서 추진 축이 얹혀지는 부위는, 추진 축이 안정적으로 위치되도록 개구된 반원형상의 안착단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
KR1020060117584A 2006-11-27 2006-11-27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 KR1012200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584A KR101220010B1 (ko) 2006-11-27 2006-11-27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584A KR101220010B1 (ko) 2006-11-27 2006-11-27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740A KR20080047740A (ko) 2008-05-30
KR101220010B1 true KR101220010B1 (ko) 2013-01-08

Family

ID=39664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584A KR101220010B1 (ko) 2006-11-27 2006-11-27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0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010B1 (ko) * 2008-10-15 2013-09-0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리어액슬의 서포터 조립장치
KR101601117B1 (ko) 2014-10-06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부품 조립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457A (ja) * 1998-10-09 2000-04-25 Central Motor Co Ltd ワーク搭載補助装置
KR20060023254A (ko) * 2004-09-09 2006-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로펠러 샤프트 자동 이송장치
KR100637575B1 (ko) * 2005-08-12 2006-10-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프로펠러 샤프트 핸들링용 로봇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18457A (ja) * 1998-10-09 2000-04-25 Central Motor Co Ltd ワーク搭載補助装置
KR20060023254A (ko) * 2004-09-09 2006-03-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프로펠러 샤프트 자동 이송장치
KR100637575B1 (ko) * 2005-08-12 2006-10-2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프로펠러 샤프트 핸들링용 로봇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740A (ko) 200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1582B2 (en) Modular reconfigurable vehicle assembly pallet
US7866445B2 (en) Lift machine
US9802579B2 (en) Vehicle wash system
CN109195836A (zh) 用于超大负载的自推进模块
JP5045705B2 (ja) 搬送車システム
US4723356A (en) Weighty object mounting systems
CN203255935U (zh) 轮胎运送举升装置
KR101220010B1 (ko) 이종 사양 추진 축 범용 로딩 설비
CN111247057A (zh) 作业车
EP2694407B1 (en) Lifting device for a container
US5873165A (en) Truck cab and box marrying and decking apparatus and method
CN103274337A (zh) 轮胎运送举升装置
GB2208498A (en) Assembling parts to vehicle undersides
CN109205326A (zh) 码垛机器人及其工作方法
CN113173389A (zh) 一种能适应多轨距以及可变向的火车轮轴自动传送装置
KR101643004B1 (ko) 지게차의 포크 이송구간 조절장치
CN210527668U (zh) 一种用于汽车装配线输送系统的浮动式转接对接装置
JP2006205772A (ja) 車両組立システムおよび車両組立用台車
CN113735042A (zh) 一种智能化的食用油生产用灌装设备
CN112934983A (zh) 一种轧制车轮自动运输生产线及控制方法
CN102556569B (zh) 液压立式运送装置
JP5115513B2 (ja) 搬送車
JPH0523435Y2 (ko)
KR102435564B1 (ko) 화물차용 화물상하차 장치
KR100887967B1 (ko) 대차 이송 시스템의 트랜스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