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3581B1 -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3581B1
KR100813581B1 KR1020070003633A KR20070003633A KR100813581B1 KR 100813581 B1 KR100813581 B1 KR 100813581B1 KR 1020070003633 A KR1020070003633 A KR 1020070003633A KR 20070003633 A KR20070003633 A KR 20070003633A KR 100813581 B1 KR100813581 B1 KR 100813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transfer line
tire
vehicle bod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기윤
Original Assignee
(주)우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정공 filed Critical (주)우진정공
Priority to KR1020070003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35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3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자동차 차체(1)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2)의 일측부에 설치된 제1액츄에이터(10)와,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에 장착되어 상기 차체(1) 이송라인(2)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이송라인(2)과 교차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방에서 타방향으로 갈수록 돌출 길이가 상대적으로 다르게 배치된 복수개의 스톱핑 볼트(20)와, 상기 스톱핑 볼트(20)의 선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스톱부재(35)가 구비되어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의 외측 위치에 설치된 제2액츄에이터(30)와,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에 의해 상기 이송라인(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진되며 상기 이송라인(2)으로 이송되는 차체(1)의 타이어에 접촉되는 터치센서(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생산하고자 하는 차종이 바뀌어도 차체 타이어의 위치를 감지하여 셋팅할 수 있으므로, 모든 차종에 대응되도록 별도의 전용라인을 다시 구축할 필요가 없이 단일 작업라인으로 도어의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작업 라인 재구축에 따른 비용과 시간 및 인력 낭비 등을 방지하므로, 경제적인 면이나 작업 시간 절약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효율적이라는 것이다.
Figure R1020070003633
차체, 타이어, 위치, 감지, 터치센서, 액츄에이터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Tire position detection device for mounting car door}
도 1은 본 발명과 차체 이송라인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 방향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1액츄에이터 20. 스톱핑 볼트
30. 제2액츄에이터 35. 스톱부재
40. 터치센서 50. 제3액츄에이터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생산하고자 하는 차종이 바뀌어도 차체 타이어의 위치를 감지하여 셋팅할 수 있으므로, 모든 차종에 대응되도록 별도의 전용라인을 다시 구축할 필요가 없어, 작업 라인 재구축에 따른 비용과 시간 및 인력 낭비 등을 방지하므로, 경제적인 면이나 작업 시간 절약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효율적인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각 차종별로 전용라인을 구축하여, 이 전용라인을 따라 자동차 차체를 이송시키면서 차체에 도어를 장착하도록 구성된다. 즉, 차체를 콘베어벨트 등으로 구성된 이송라인을 따라 이송시키면서 도어 로딩장치에 의해 도어를 자체의 각 도어 장착 개소에 예비적으로 배치시키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도어에 각종 배선 작업을 수행하고 최종적으로 도어를 차체에 볼팅하여 장착한다. 이때, 차체에 도어를 장착하기 위해서 차체의 위치를 감지하여 적소에 정지시키기 위한 감지장치가 전용라인에 설치된다. 또한, 자동차는 한 가지 차종만 생산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차종이 생산되기 때문에, 이들 차종에 따라 차체 타이어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장치를 적절하게 구축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각 차종별로 각기 다른 전용라인이 구축되어 있어서, 그 전용라인과 다른 차종에 도어를 장착하기 위해서는 그 차종에 맞추어 차체의 타이어 위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차종마다 전용라인을 다시 구축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면이나 작업 인력 등의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예컨대, 세가지 종류의 차량에 도어를 장착하기 위해 세 가지의 전용라인을 구축하여 생산하다가 도중에 어느 한 차종의 재고가 증가하여 그 차종의 생산을 중단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그 전용라인 전체를 다시 다른 차종의 전용라인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기존 에 구축했던 전용라인 전체를 다시 구축해야 하는 것과 같이 매우 불합리한 결과를 초래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종에 따라 작업 라인 전체를 다시 구축하지 않고 단일의 작업라인에서 호환성 있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면이나 소요되는 작업 인력 등의 면에서 매우 효율적인 새로운 구성의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차체(1)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2)의 일측부에 설치된 제1액츄에이터(10)와,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에 장착되어 상기 차체(1) 이송라인(2)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이송라인(2)과 교차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방에서 타방향으로 갈수록 돌출 길이가 상대적으로 다르게 배치된 복수개의 스톱핑 볼트(20)와, 상기 스톱핑 볼트(20)의 선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스톱부재(35)가 구비되어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의 외측 위치에 설치된 제2액츄에이터(30)와,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에 의해 상기 이송라인(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진되며 상기 이송라인(2)으로 이송되는 차체(1)의 타이어에 접촉되는 터치센서(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 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스톱핑 볼트(20)는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에 브라켓(15)을 매개로 장착되고, 상기 스톱핑 볼트(20)에는 조절너트(27)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절너트(27)를 상기 브라켓(15)에 밀착되도록 조여서 각각의 스톱핑 볼트(20)의 돌출 길이를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액츄에이터(30)는 적어도 두 개의 액츄에이터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톱핑 볼트(20)의 전후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액츄에이터(30)의 최전방 액츄에이터에 상기 스톱부재(35)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에는 상기 이송라인(2)에 탑재된 차체(1)의 타이어 진행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작동로드(50a)를 갖는 제3액츄에이터(50)가 설치되고, 상기 제3액츄에이터(50)의 작동로드(50a)에는 차체(1)의 타이어에 접촉되는 터치센서(40)가 연결되어 차체(1)의 이송라인(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치센서(40)는 핀형상으로 구성되고 선단부에는 구형상의 터치부(4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라인(2)의 적어도 일측부에는 가이드레일(3)을 따라 이송대차(5)가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대차(5)에는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와 제2액츄에이터(30) 및 제3액츄에이터(5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과 차체 이송라인을 보여주는 평면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A 방향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1액츄에이터(10)와, 이 제1액츄에이터(10)에 장착된 복수개의 스톱핑 볼트(20)와, 이 스톱핑 볼트(20)의 선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스톱부재(35)를 각 스톱핑 볼트(20)와 접촉되도록 작동시키는 제2액츄에이터(30)와, 제1액츄에이터(10)에 장착되어 차체(1)의 타이어에 접촉되는 터치센서(40)가 구비된 제3액츄에이터(5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액츄에이터(10)는 차체(1) 이송라인(2)과 나란하도록 배치된 에어실린더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이송라인(2)의 양측부 위치에 가이드레일(3)이 구비되고, 이 가이드레일(3)을 따라 이송대차(5)가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송대차(5) 위에 제1액츄에이터(10)가 이송라인(2)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장착된다. 또한, 제1액츄에이터(10)의 작동로드(10a)에는 브라켓(15)(도 3과 도 4에 도시됨)이 이송대차(5)의 상면과 나란한 수평 방향으로 장착된다. 이때, 브라켓(15)은, 도 4의 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부(16)의 전후단에 상하부 수직부(17a,17b)를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브라켓(15)의 상부 수직부(17a)는 제1액츄에이터(10)의 작동로드(10a)에 고정되고, 브라켓(15)의 하부 수직부(17b)에는 복수개의 스톱핑 볼트(20)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스톱핑 볼트(20)는 제1액츄에이터(10)의 작동로드(10a)에 장착된 브라켓(15)의 하부 수직부(17b)에 나사 결합되어 차체(1) 이송라인(2)과 나란한 방향으 로 배치된다. 이 스톱핑 볼트(20)는 이송라인(2)과 교차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방에서 타방향으로 갈수록 선단부의 돌출 길이가 단계적으로 짧아지도록 배치된 제1스톱핑 볼트(20a), 제2스톱핑 볼트(20b) 및 제3스톱핑 볼트(20c)로 구성된다.
도 1과 도 2를 기준으로 할 때 이송대차(5)의 일측단에서 내측 방향으로 갈수록 제1 내지 제2스톱핑 볼트(20a,20b,20c)의 선단 헤드부(22)의 돌출 길이가 후술할 스톱부재(35)에 대해 단계적으로 짧아지도록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각 스톱핑 볼트(20)에는 너트(27)가 결합되어, 이 너트(27)를 브라켓(15)의 하부 수직부(17b)에 밀착되도록 조여줌으로써, 각 스톱핑 볼트(20)를 고정하게 된다.
상기 제2액츄에이터(30)는 에어실린더로 구성된 것으로, 스톱핑 볼트(20)의 선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이송대차(5) 위에 설치된다. 이 제2액츄에이터(30)는 스톱핑 볼트(2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또한, 제2액츄에이터(30)의 작동로드(30a)에는 스톱핑 볼트(20)의 선단부와 맞닿도록 된 스톱부재(35)가 구비된다. 스톱부재(35)는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액츄에이터(30)는 적어도 두 개가 서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되어 스톱핑 볼트(20)의 전후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며, 최전방의 제2액츄에이터(30) 작동로드(30a)에 스톱부재(35)가 장착된다.
상기 제3액츄에이터(50)는 에어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으로, 제1액츄에이터(10)의 작동로드(10a)에 장착된 브라켓(15)의 수평부(16)에 얹혀져 체결구(미도시)로 고정 장착된다. 또한, 브라켓(15)의 수평부(16)에는 이송라인(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된 별도의 레일(46)(도 4에 도시됨)이 구비되고, 이 레일(46)에 수평플레이트(47)가 이송라인(2)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고, 수평플레이트(47)는 제3액츄에이터(50)의 작동로드(50a)에 연결되어 제3액츄에이터(50)의 작동로드(50a)가 전후진 작동됨에 따라 차체(1)의 이송라인(2) 외측부에서 전후진된다. 이 수평플레이트(47)는 차체(1)의 이송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후진된다.
또한,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플레이트(47)에는 터치센서(40)가 장착되므로, 제3액츄에이터(50)의 작동로드(50a)의 전후진 동작에 의해 터치센서(40)가 이송라인(2) 방향으로 전후진되며, 상기 수평플레이트(47)가 제3액츄에이터(50)에 의해 전진할 때 터치센서(40)의 선단부가 차체(1)의 타이어 측방에 접촉되어 자동차 차체(1)의 타이어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또한, 터치센서(40)는 핀형상으로 구성되고 선단부에는 구형상의 터치부(40a)가 구비된다. 도 1 내지 도 3의 미설명 부호 41은 터치센서(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도어 장착장치의 각 부분(즉, 틸팅장치, 도어승강장치 및 선회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센싱구동부이다.
이에 따라, 차체(1)에 도어를 장착하는 작업자가 이송대차(5) 위에 올라서서 작업하는데, 제1 내지 제3액츄에이터(10,30,50) 및 각 작동로드(10a,30a,50a)에 연결된 각 부분이 이송대차(5) 및 차체(1)와 함께 이송됨과 동시에 작업자도 차체(1)의 이송방향으로 함께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대차(5)는 차체(1)에 도어가 장착되는 위치까지 전진하였다가 다음단에서 이송되는 차체(1)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복귀장치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이송대차(5) 이송장치와 복귀장치는 통상의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라인(2)에 탑재된 차체(1)가 이송되어 진입감지센서(미도시)에 의해 차체(1)의 진입이 감지되면, 이 진입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터치센서(40)가 전진하면서 차체(1)의 타이어 측방에 접촉되어 타이어 위치를 감지한다. 이때, 상기 터치센서(40)는 제3액츄에이터(50)의 작동로드(50a)에 의해 전후진하도록 작동되고, 상기 제3액츄에이터(50)는 제1액츄에이터(10)에 장착되며, 제1액츄에이터(10)에는 브라켓(15)을 매개로 돌출 길이가 다른 복수개의 스톱핑 볼트(20)(25)가 결합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차종의 종류에 따라 터치센서(40)의 좌우 진행 정도가 다르며, 이로 인해, 도어를 장착할 차종에 따라 터치센서(40)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타이어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이송라인(2)의 이송 방향 쪽을 덜 들어오는 경우에는 상기 제2액츄에이터(30)가 작동되지 않은 위치에 있음과 동시에 제1액츄에이터(10)에 의해 스톱핑 볼트(20)가 모두 전진하더라도 제1스톱핑 볼트(20a)가 제2액츄에이터(30) 선단부의 스톱부재(35)에 접촉된다.
이어서, 상기 터치센서(40)가 제3액츄에이터(50)의 작동에 의해 이송라인(2) 방향으로 전진한 상태에서 차체(1)가 계속 이송되어 타이어의 측방 하부에 터치센서(40)에 터치되면서 해당 차종에 조립되어 있는 타이어의 위치를 감지하므로, 차체(1)의 도어 장착 위치가 감지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차체(1)의 타이어 위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도어이재장치에 의해 도어가 이재된 틸팅장치와 도어높이조절장치 및 선회장치가 작동하여 차체(1)의 볼트 체결부 방향으로 도어의 전단부가 향하도록 작동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어를 차체(1)의 볼트 체결부에 볼팅하여 도어를 장착하는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도 1에서는 틸팅장치의 메인프레임(50), 틸팅프레임(55), 차체(1) 도어의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롤러(55r)가 도시되고, 도어 높이조절장치를 상면에 장착하는 회전 베이스(62)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회전 베이스(62)는 이송대차(5)의 경사레일(7)을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결합되어, 도 1의 상측에서 볼 때 차체(1)에 대해 약 45° 경사진 방향으로 전후진된다.
한편, 타이어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이송라인(2)의 이송 방향 쪽을 더 들어오는 경우에는 상기 제2액츄에이터(30)의 두 개의 제2액츄에이터(30) 중에서 후방의 제2액츄에어터(25)가 작동하면서 상기 스톱부재(35)를 이송라인(2)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전진시킨 상태에서 제1액츄에이터(10)에 의해 스톱핑 볼트(20)가 모두 전진하더라도 제2스톱핑 볼트(20b)만이 스톱부재(35)에 접촉되므로, 터치센서(40)가 제2액츄에이터(30) 방향에 대해 상대적으로 덜 전진한 위치에 오게 된다.
그러면, 해당 차종의 차체(1)에 장착된 타이어 위치를 감지하고, 이처럼 타이어 위치가 감지되면 상기한 틸팅장치, 도어높이조절장치 및 선회장치에 의해 도어의 전단부가 차체(1)의 도어 장착 위치로 선회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도어의 전단부를 차체(1)에 볼팅하여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생산하고자 하는 차종이 바뀌어도 그 차종에 대응되도록 별도의 전용라인을 다시 구축할 필요가 없어, 작업 라인 재구축에 따른 비용과 시간 및 인력 낭비 등을 방지하므로, 경제적인 면이나 작업 시간 절약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효율적인 장점이 있다.
즉, 각 스톱핑 볼트(20)가 제1액츄에이터(10)의 브라켓(15)에 나사식으로 결합되고, 차종에 따라 복수개의 스톱핑 볼트(2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스톱핑 볼트(20a나 20b 또는 20c)가 제2액츄에이터(30)의 스톱부재(35)에 접촉되어 터치센서(40)의 위치를 차체의 종류에 맞추어 이송라인(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므로, 모든 차종의 차체(1)의 타이어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종에 따라 각 스톱핑 볼트(20)의 돌출 위치를 간편하게 조절하기만 하면, 차종이 달라지더라도 도어 장착용 작업라인을 다시 구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경제성을 기할 수 있는 등의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점이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차종에 따라 작업 라인 전체를 다시 구축하지 않고 단일의 작업라인에서 호환성 있게 작업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인 면이 나 소요되는 작업 인력 등의 면에서 매우 효율적인 새로운 구성의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Claims (6)

  1. 자동차 차체(1)를 이송시키는 이송라인(2)의 일측부에 설치된 제1액츄에이터(10)와,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에 장착되어 상기 차체(1) 이송라인(2)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되 상기 이송라인(2)과 교차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일방에서 타방향으로 갈수록 돌출 길이가 상대적으로 다르게 배치된 복수개의 스톱핑 볼트(20)와, 상기 스톱핑 볼트(20)의 선단부와 마주하는 위치에 스톱부재(35)가 구비되어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의 외측 위치에 설치된 제2액츄에이터(30)와,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에 의해 상기 이송라인(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후진되며 상기 이송라인(2)으로 이송되는 차체(1)의 타이어에 접촉되는 터치센서(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핑 볼트(20)는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에 브라켓(15)을 매개로 장착되고, 상기 스톱핑 볼트(20)에는 조절너트(27)가 나사 결합되어 상기 조절너트(27)를 상기 브라켓(15)에 밀착되도록 조여서 각각의 스톱핑 볼트(20)의 돌출 길이를 고정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액츄에이터(30)는 적어도 두 개의 액츄에이터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스톱핑 볼트(20)의 전후진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2액츄에이터(30)의 최전방 액츄에이터에 상기 스톱부재(35)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에는 상기 이송라인(2)에 탑재된 차체(1)의 타이어 진행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작동로드(50a)를 갖는 제3액츄에이터(50)가 설치되고, 상기 제3액츄에이터(50)의 작동로드(50a)에는 차체(1)의 타이어에 접촉되는 터치센서(40)가 연결되어 차체(1)의 이송라인(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전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센서(40)는 핀형상으로 구성되고 선단부에는 구형상의 터치부(4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감지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라인(2)의 적 어도 일측부에는 가이드레일(3)을 따라 이송대차(5)가 전후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이송대차(5)에는 상기 제1액츄에이터(10)와 제2액츄에이터(30) 및 제3액츄에이터(50)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감지장치.
KR1020070003633A 2007-01-12 2007-01-12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KR100813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633A KR100813581B1 (ko) 2007-01-12 2007-01-12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3633A KR100813581B1 (ko) 2007-01-12 2007-01-12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13581B1 true KR100813581B1 (ko) 2008-03-17

Family

ID=39410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633A KR100813581B1 (ko) 2007-01-12 2007-01-12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35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117B1 (ko) 2010-03-05 2011-11-07 (주)우진정공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2001A (ja) * 2006-06-21 2008-01-10 Hideo Sumino ヘルメ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2001A (ja) * 2006-06-21 2008-01-10 Hideo Sumino ヘルメッ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2-0017071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0117B1 (ko) 2010-03-05 2011-11-07 (주)우진정공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91126B (zh) 用于降低鞍式牵引车空气阻力的装置
US6293454B1 (en) Installation for positioning and welding body parts of different types of motor vehicles
KR100765648B1 (ko) 동기주행기능을 갖춘 도어 장착 시스템
US201800159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unting front end module
KR101490942B1 (ko) 차량 조립라인용 공차 리프터
KR100986026B1 (ko) 2단 셔틀이 형성된 자동차 차체 용접장치
KR100813581B1 (ko) 자동차 도어 장착용 타이어 위치 감지장치
KR20020082634A (ko) 자동 인서트 공급기
JP3844085B2 (ja) レール締結ボルトの締付機械及びそのボルト穴位置検出装置
CN105621038A (zh) 汽车顶盖移动上料机构
JPH0610303A (ja) レール締結ボルトの締付機械
JP4543730B2 (ja) ボディーサイドパネル搬送装置及びボディーサイドパネルの位置決め方法
KR100798899B1 (ko) 자동차 도어 장착 위치조절 스톱퍼
KR100798897B1 (ko) 자동차 도어 장착용 틸팅장치
KR101080117B1 (ko) 자동차 라인 작업용 동기 제어장치
JPS6121873A (ja) 車両用部品の取付装置
KR100836933B1 (ko) 차량용 루프레일 이송장치
KR20040043519A (ko) 전륜 허브 정렬 장치
CN215556703U (zh) 一种快递分拣机专用t型小车及其串联结构
KR102297079B1 (ko) 자동차의 크로스멤버 위치 정렬장치
JP2908414B1 (ja) 梱包用スキッドの製造装置
CN216271743U (zh) 骨架车前后端梁组焊生产线用分拣部分
KR101261937B1 (ko) 차량의 스트럿 어셈블리 장착용 로더장치
KR100798898B1 (ko) 자동차 도어 장착용 높이조절장치
JP4609727B2 (ja) ラベル貼付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