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2386B1 - 휴대 단말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2386B1
KR101072386B1 KR1020097026116A KR20097026116A KR101072386B1 KR 101072386 B1 KR101072386 B1 KR 101072386B1 KR 1020097026116 A KR1020097026116 A KR 1020097026116A KR 20097026116 A KR20097026116 A KR 20097026116A KR 101072386 B1 KR101072386 B1 KR 101072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rotrusion
rotation
accommodating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6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8004A (ko
Inventor
요시아키 우에타
타케오 마츠키
타이치 타바타
신지 토모베
야스토키 만다
켄이치 모치즈키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06816A external-priority patent/JP4064443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28417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19896B2/ja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00008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8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2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2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낙하 등의 충격이 제2 회전 부재의 결합부에 작용한 경우에도, 제2 회전 부재를 고정하는 록킹 핀이나 결합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제공한다. 제2 결합부(46)의 자석(63)이 설치된 제2 수용부(56)가, 자성체로 형성된 결합 핀(45)을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 결합 핀(45)을 제1 몸체(11)의 표면(11A)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제2 몸체(12)를 제2 회전축(32)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수용부(56)에 제2 돌출부(52)를 수용하여 결합 핀(45)을 록킹한다. 또한, 제2 돌출부(52)가 제1 돌출부(51)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므로, 결합핀(45)이 충분히 돌출하지 않은 경우나, 제2 돌출부(52)가 소정의 위치에 없는 경우 등의 불충분한 결합 상태에서는, 제1 몸체(11)에 대하여 제2 몸체(12)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결합 핀(45)은 제2 결합부(46)로부터 빠져 나가므로, 결합 핀(45)이나 제2 몸체(12)에서의 제2 결합부(46)의 주위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 단말{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제1 몸체 및 제2 몸체가 연결부에 의해 접을 수 있도록 연결된 휴대 단말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등의 휴대 단말에 있어서, 종래로부터 2개의 몸체가 연결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폴더식 타입인 것이 널리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면, 아랫 몸체(제1 몸체)는, 휴대 단말을 사용할 때 사용자가 손으로 잡는 것으로, 표면에 입력 키 및 기능 키를 다수 구비한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고, 윗 몸체(제2 몸체)에는, 표면에 표시부(LCD)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한편, 일본특허공개 제2006-22899호 공보에 따르면, 연결부는, 제1 회전 부재와, 제1 회전 부재의 중앙부 이외의 장소에 연결되고, 제1 회전 부재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윗 몸체에 연결되는 제2 회전 부재를 가지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휴대 단말에 따르면, 윗 몸체 및 아랫 몸체를 닫은 상태로부터 제1 회전 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윗 몸체를 아랫 몸체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소위 세로 열림의 조작이 가능해짐과 함께, 윗 몸체 및 아랫 몸체를 닫은 상태로부터 제2 회전 부재를 중심으로 하여 윗 몸체를 아랫 몸체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소위 가로 열림의 조작이 가능하다.
여기서, 세로 열림 및 가로 열림 가능한 휴대 단말은, 아랫 몸체와 윗 몸체를 제2 회전 부재가 편측 단부만으로 지지하고 있다. 즉, 아랫 몸체 및 윗 몸체는 제2 회전 부재에서 각각이 외팔보방식 지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휴대 단말을 가로 열림으로 할 때, 제2 회전 부재에 비교적 큰 부하가 걸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6-22899호 공보에는 휴대 단말을 가로 열림할 때, 아랫 몸체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설치된 볼록부와, 윗 몸체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설치된 완충 부재를 결합시키는 휴대 단말이 제안되어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6-22899호 공보의 휴대 단말에 따르면, 휴대 단말을 가로 열림할 때,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가로 열림 상태가 안정되게 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제2003-90759호 공보에 따르면, 아랫 몸체와 윗 몸체는 연결부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는, 서로 직교하는 방향의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을 가지고 있고, 아랫 몸체에는 제2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통과부가 설치되고, 윗 몸체에는 제1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 통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 휴대 단말에 따르면, 윗 몸체 및 아랫 몸체를 닫은 상태로부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윗 몸체를 아랫 몸체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소위 세로 열림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1 회전축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록킹 갈고리가 아랫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록킹 홀에 끼워져 록킹되어 있다. 한편, 윗 몸 체 및 아랫 몸체를 닫은 상태로부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윗 몸체를 아랫 몸체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소위 가로 열림의 조작이 가능하다. 이때, 윗 몸체의 선단에 설치되어 있는 록킹 갈고리가, 제2 회전축의 선단의 힌지(베어링)에 설치되어 있는 록킹 홀에 록킹됨과 함께, 제1 회전축의 록킹 갈고리는, 아랫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록킹 홀로부터 해방되게 된다.
그런데, 일본특허공개 제2006-22899호 공보의 휴대 단말이 가로 열림의 상태에서, 예를 들면 낙하하여, 아랫 몸체 및 윗 몸체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변위하는 외력이 가해지면, 아랫 몸체와 윗 몸체를 제2 회전 부재가 편측 단부만으로 지지하고 있는 편(외팔보) 지지이므로, 제2 회전 부재의 편측 단부에 부하가 집중되어, 특정 부위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일본특허공개 제2006-22899호 공보에서는, 낙하 등에 따른 충격이 제2 회전 부재의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 아니므로, 제2 회전 부재를 보호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일본특허공개 제2003-60759호 공보의 휴대 단말이 가로 열림의 상태로, 예를 들어 낙하하면, 상하 몸체 사이에서 제2 회전축을 고정하고 있는 록킹 갈고리에 외력이 작용한다. 이때, 록킹 갈고리가 록킹 홀에 완전히 끼워져 부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충분한 강도가 얻어지는 경우라도, 록킹 갈고리가 불완전하게 록킹 홀에 끼워져 있는 경우에는, 록킹 갈고리를 파손하거나, 록킹 홀이 형성되어 있는 윗 몸체나 아랫 몸체를 파손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낙하 등의 충격이 제2 회전 부재의 특정 부위에 집중되지 않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낙하 등의 충격이 제2 회전 부재의 결합부에 작용한 경우라도, 제2 회전 부재를 고정하는 록킹 핀이나 결합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 단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조작부를 구비한 제1 몸체와, 표시부를 구비한 제2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1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몸체의 짧은쪽 방향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 회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조작부를 구비한 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연결되는 쪽과 길이 방향의 반대쪽에 제1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표시부를 구비한 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2 회전 부재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쪽과 반대쪽에 제2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서로 겹치는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록킹되지 않고,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하여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이라는 것은, 제1 몸체 및 제2 몸체가 닫힘 상태로부터 세로 열림 상태 혹은 가로 열림 상태로 이행할 때의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회전 중심선의 방향을 가리킨다.
한편,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라는 것은, 제1 몸체에 대하여 제2 몸체가 회전하기 위한 지축으로서의 부재로서, 제1 몸체에 대한 제2 몸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해당 제1 회전 부재 혹은 제2 회전 부재가 축 주위로 회전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2 몸체는, 표시부를 구비한 쪽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제2 회전 부재가 연결부와 연결되는 쪽과 반대쪽에 제2 결합부를 가진다. 또한 제1 몸체는, 제2 결합부와 대면하는 조작부를 구비한 면에 제1 결합부를 가진다.
그리고 이 구성에 따르면, 닫힘 상태에서는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는 록킹되지 않으므로, 닫힘 상태로부터 세로 열림 상태로 이행할 때,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장해가 되지 않아, 제2 몸체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 몸체에 대하여 원활히 회전한다.
또한,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몸체에 대하여 제2 몸체가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을 개시하면,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결합하여 록킹되므로, 닫힘 상태로부터 가로 열림 상태로 이행을 개시하고 나서 완전한 가로 열림 상태가 되기까지의 동안, 예를 들면 휴대 단말이 낙하하여 외력이 제1 몸체 혹은 제2 몸체에 가해져도, 낙하에 따른 부하의 일부를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낙하 등에 의한 부하가 제2 회전 부재에 집중하는 것을 방지하여, 제2 회전축 부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자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해당 제1 결합부는 돌출하여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휴대 단말이 닫힘 상태에 있어서, 제1 결합부가 자력에 의해 돌출하고, 제2 결합부에 대하여 록킹하지 않도록 결합한다. 이 때문에, 닫힘 상태로부터 세로 열림 상태로 원활히 이행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닫힘 상태로부터 가로 열림을 개시하면 신속히 록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결합부의 자석은, 상기 제1 결합부가 돌출하는 방향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결합부가 돌출하는 방향의 측부에 자석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휴대 단말이 닫힘 상태에 있어서, 제1 결합부가 제1 몸체 내에 수용되어 있어도, 제1 결합부를 자석의 자력으로 확실히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몸체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이고, 상기 제2 몸체와 대향하는 면과 반대쪽에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에 대하여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에 있어서, 해당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결합부가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2 몸체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 세로 열림 상태에 있어서는, 제2 결합부의 자석의 자력의 영향이 없어지므로, 제1 몸체내의 자석의 자력의 영향이 상대적으로 강해지고, 이에 따라 제1 몸체 내의 자석에 의해 제1 결합부가 제1 몸체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수용된다.
이와 같이, 제2 몸체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열린 세로 열림 상태에서 제1 결합부를 제1 몸체로부터 돌출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통화시에 제1 결합부가 제1 몸체로부터 돌출하여 장해가 될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몸체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자석의 사이에 판금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결합부와 제1 몸체 내의 자석 사이에 판금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판금의 재질, 두께, 면적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제1 결합부에 영향을 미치는 제1 몸체 내의 자석의 자력을 설정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 결합부를 돌출시킬 때에, 소정의 돌출 위치에 제1 결합부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결합부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와 교차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을 따른 제2 돌출부를 가지는 결합 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개구부에 상기 제1 돌출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2 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수용부와, 개구부에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2 몸체에 고정된 제2 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몸체에 대한 제2 몸체의 회전을 개시하여 닫힘 상태로부터 가로 열림 상태로 이행을 개시했을 때, 제2 몸체에 연동하여 제2 수용부도 회전하므로, 제1 수용부의 개구부에 대하여 제2 수용부의 개구부의 개구 방향이 바뀌고, 이에 따라 제1 결합부인 결합 핀이 제2 결합부로부터 빠지지 않아, 제1 결합부 및 제2 결합부의 록킹이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수용부의 개구부는, 상기 제1 돌출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몸체의 조작부면과 대면하는 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2 몸체가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에, 제1 수용부는 개구부가 제1 몸체의 조작부면과 대면하는 위치가 되도록 정지시킨 상태로 유지되므로, 제1 돌출부를 제1 수용부의 개구부에 수용시킨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몸체를 원활히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수용부의 개구부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바닥부로부터 개구를 향해 곡률이 커지는 곡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수용부의 개구부 곡면이 바닥부로부터 개구를 향해 곡률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2 수용부가 제2 몸체에 연동하여 회전할 때, 결합 핀의 제2 돌출부를 제2 수용부의 개구에서 쉽게 픽업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용부의 개구부에 대하여 제1 수용부의 개구부를 일치시키는 리턴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휴대 단말을 닫은 상태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휴대 단말을 여는, 소위 세로 열림의 상태에 있어서, 제1 수용부의 개구부와, 제2 수용부의 개구부를 일치시켜 확실히 연속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 몸체를 회전시켜 닫힘 상태로부터 세로 열림 상태로 이행시킬 때, 제1 결합부인 결합 핀이 제1 수용부 및 제2 수용부로부터 원활히 빠져나가고, 이에 따라 휴대 단말의 회전에 지장이 발생할 우려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면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 부재가 배치되는 쪽과 짧은쪽 방향의 반대쪽에 한 쌍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겹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 제1 몸체와 제2 몸체가 겹치는 닫힘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결합부에 의한 결합을 풀지않는 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규제되므로, 불의로 제2 몸체가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조작부를 구비한 제1 몸체와, 표시부를 구비한 제2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1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몸체의 짧은쪽 방향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 회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몸체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연결되는 쪽과 길이 방향의 반대쪽에, 상기 조작부를 구비한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와 교차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을 따라 구성된 제2 돌출부를 가지는 결합 핀으로 구성된 제1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표시부를 구비한 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에 상기 제1 돌출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2 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수용부와, 내면에 경사면을 형성한 개구부에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2 몸체에 고정된 제2 수용부로 구성되는 제2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서로 겹치는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록킹되지 않고,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해당 제1 결합부는 돌출하여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하여 록킹되고, 상기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의 천이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수용부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돌출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2 수용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제1 회전축 및 제2 회전축이라는 것은, 제1 몸체 및 제2 몸체가 닫힘 상태로부터 세로 열림 상태 혹은 가로 열림 상태로 이행할 때의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회전 중심선의 방향을 가리킨다.
한편, 제1 회전 부재 및 제2 회전 부재라는 것은, 제1 몸체에 대하여 제2 몸체가 회전하기 위한 지축으로서의 부재로서, 제1 몸체에 대한 제2 몸체의 회전에 수반하여 해당 제1 회전 부재 혹은 제2 회전 부재가 축 주위로 회전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몸체에 대하여 연결부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2 몸체를 개방함에 따라 세로 열림 상태가 되고,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2 몸체를 개방함에 따라 가로 열림 상태가 된다. 가로 열림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1 몸체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제1 결합부와, 제2 몸체의 표면에서의 제1 결합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제2 결합부가 결합함으로써, 제2 회전축은 제1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고정되게 되어, 가로 열림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제2 결합부의 자석이 설치된 제2 수용부가, 자성체로 형성된 결합 핀을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 결합 핀을 제1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제2 몸체를 제2 회전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수용부에 제2 돌출부를 수용하여 결합핀을 록킹한다. 또한, 제2 돌출부가 제1 돌출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므로,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의 천이 상태에 있어서, 결합 핀이 충분히 돌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나, 제2 돌출부가 소정의 위치에 없는 경우 등의 불출분한 결합 상태에서는, 제1 몸체에 대하여 제2 몸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외력이 작용한 때에는, 제2 돌출부는 제2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로 제2 수용부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돌출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2 수용부로부터 빠지므로, 결합 핀이나 제2 몸체에서의 제2 결합부의 주위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결합 핀의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상기 제1 몸체의 내부에 상기 제1 결합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표시부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유지부의 천정면에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성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2 돌출부를 안내하는 경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2 몸체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에 있어서, 경사로 안내되어 유지부의 천정면에 구성된 오목부에 제2 돌출부가 수용되므로, 회전 가능한 결합 핀을 확실히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은, 상기 제2 수용부의 경사면은, 상기 제1 수용부측의 엣지부이고, 또한 상기 제2 몸체의 측단면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제1 결합부와 제2 결합부가 적정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 결합부의 제2 돌출부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에 설치되어 있는 경사면을 따라 제2 수용부로부터 빠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에 따르면, 제1 몸체 및 제2 몸체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는 결합부를 설치함으로써, 낙하 등의 충격이 제2 회전 부재의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 단말에 따르면, 제2 결합부의 자석이 설치된 제2 수용부가, 자성체로 형성된 결합 핀을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 결합 핀을 제1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제2 몸체를 제2 회전축 주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제2 수용부에 제2 돌출부를 수용하여 결합핀을 록킹한다. 또한, 제2 돌출부가 제1 돌출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므로, 결합 핀이 충분히 돌출하지 않은 경우나, 제2 돌출부가 소정의 위치에 없는 경우 등의 불충분한 결합 상태에서는, 제1 몸체에 대하여 제2 몸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결합 핀은 제2 결합부로부터 빠져 나가므로, 결합 핀이나 제2 몸체에서의 제2 결합부의 주위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휴대 단말을 닫은 상태를 우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C)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윗 몸체를 제외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의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세로 열림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세로 열림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의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가로 열림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을 닫은 상태를 나타내는 좌측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2 결합 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1 결합 수단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윗 몸체의 제2 결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의 (A)는 도 6의 A부 확대도, (B)는 제2 수용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의 (A)는 제2 결합부를 윗 몸체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도 8의 (A)의 B부 확대도.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1 결합 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의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제1 결합 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 (B)는 제1 결합 수단의 제2 수용부에 결합 핀을 결합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1의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윗 몸체를 가로 열림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B)는 도 11의 (A)의 C부 확대도.
도 12의 (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를 닫은 상태의 제1 결합 수단을 나타내는 도이고, 도 12의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의 윗 몸체를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했을 때의 제1 결합 수단을 나타낸 도.
도 13의 (A)는 제1 결합부의 평면도, (B)는 제1 결합부의 측면도, (C)는 제1 결합부의 정면도.
도 14의 (A)는 제2 결합부의 정면도, (B)는 제2 결합부의 분해 단면도.
도 15는 제2 돌출부의 선단 형상과 제2 수용부의 경사면과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16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제2 실시예에 따른 결합 핀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휴대 단말
11 아랫 몸체(제1 몸체)
12 윗 몸체(제2 몸체)
13 연결부
15, 15A 제1 결합 수단
16 제2 결합 수단
23 조작부
28 표시부
31 제1 회전축
32 제2 회전축
33 제1 회전 부재
34 제2 회전 부재
45, 45A 결합 핀(제1 결합부, 결합부)
46 제2 결합부
48A 판금
49E 오목부
49F 안치면
49G 경사면
51, 51A 제1 돌출부
52 제2 돌출부
52A 반구 부분(제2 돌출부의 선단)
55, 55A 제1 수용부
56 제2 수용부
56E 경사면
58A 제1 수용부의 개구(개구부)
56C 제2 수용부의 개구(개구부)
63 윗 몸체 자석(자석)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휴대 단말(10)은, 아랫 몸체(제1 몸체;11)와, 윗 몸체(제2 몸체;12)와, 아랫 몸체(11) 및 윗 몸체(12)를 연결한 연결부(13)와, 아랫 몸체(11) 및 윗 몸체(12)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는 제1 결합 수단(15) 및 제2 결합 수단(16;도 3의 (B), 도 4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이 휴대 단말(10)은, 아랫 몸체(11) 및 윗 몸체(12)가 서로 겹치는 닫힘 상태와, 닫힘 상태로부터 제1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하여 아랫 몸체(11)에 대하여 윗 몸체(12) 및 연결부(13)가 일체적으로 회전함에 따른 세로 열림 상태와, 닫힘 상태로부터 제2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아랫 몸체(11) 및 연결부(13)에 대하여 윗 몸체(12)가 회전함에 따른 가로 열림 상태가 얻어진다.
아랫 몸체(11)는, 닫힘 상태에 있어서, 윗 몸체(12)와 대향하는 표면(11A)에 입력 키(24) 및 기능 키(25)를 다수 구비한 조작부(2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윗 몸체(12)는, 닫힘 상태에 있어서, 아랫 몸체(11)와 대향하는 표면(12A)에 표시부(LCD;28)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13)는, 연결부 본체(13A)와, 제1 회전 부재(33;도 6도 참조)와, 제2 회전 부재(34)로 이루어진다.
제1 회전 부재(33)는, 아랫 몸체(11)와 연결부 본체(13A)를 연결함과 함께, 아랫 몸체(11)에 대하여 연결부 본체(13A)가 회전하기 위한 지축 부재이다.
이 제1 회전 부재(33)는, 그 축선이 상술한 제1 회전축(31)을 따라 배치되고, 아랫 몸체(11)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함과 함께, 아랫 몸체(11)의 짧은변 방향(폭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제2 회전 부재(34)는, 윗 몸체(12)와 연결부 본체(13A)를 연결함과 함께, 아랫 몸체(11) 및 연결부 본체(13A)에 대하여 윗 몸체(12)가 회전하기 위한 지축으로서의 부재로 되어 있다.
이 제2 회전 부재(34)는, 그 축선이 상술한 제2 회전축(32)을 따라 배치되고, 윗 몸체(12)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함과 함께, 윗 몸체(12)의 긴 변 방향(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회전 부재(34)는, 일단부가 연결부 본체(13A)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윗 몸체(1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윗 몸체(12)는 제2 회전 부재(34)에 의해 편(片)(외팔보방식으로)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제1 회전축(31) 및 제2 회전축(32)이라는 것은, 휴대 단말(10)이 닫힘 상태로부터 세로 열림 상태 혹은 가로 열림 상태로 이행할 때의 아랫 몸체(11) 및 윗 몸체(12)의 회전 중심선의 방향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제1 회전축(31)은 아랫 몸체(11)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함과 함께 아랫 몸체(11)의 짧은 변 방향(폭 방향)을 따른 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회전축(32)은 윗 몸체(12)의 두께 방향에 대하여 직교함과 함께 윗 몸체(12)의 긴 변 방향(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들 제1 회전축(31) 및 제2 회전축(32)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회전 부재(33) 및 제2 회전 부재(34)는, 아랫 몸체(11)에 대한 윗 몸체(12) 및 연결부(13)의 회전, 혹은 아랫 몸체(11) 및 연결부(13)에 대한 윗 몸체(12)의 회전에 수반하여, 해당 제1 회전 부재(33) 또는 제2 회전 부재(34)가 축 주위로 회전한다.
또한, 아랫 몸체(11)에 대하여 윗 몸체(12)가 제2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상태라는 것은, 닫힘 상태로부터 완전한 가로 열림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동안을 가리키고, 아랫 몸체(11)에 대하여 윗 몸체(12)가 회전중인 아랫 몸체(11)와 윗 몸체(12) 간의 갭 각도는 불문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엄밀하게는 휴대 단말(10)이 닫힘 상태로부터 세 로 열림 상태가 될 때는 아랫 몸체(11)에 대하여 윗 몸체(12) 및 연결부(13)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휴대 단말(10)이 닫힘 상태로부터 가로 열림 상태가 될 때는 아랫 몸체(11) 및 연결부(13)에 대하여 윗 몸체(12)가 회전한다고 설명해야 하지만, 이하의 설명에서 세로 열림 상태 혹은 가로 열림 상태라는 것은, 단지 아랫 몸체(11)에 대하여 윗 몸체(12)가 회전한다라고 설명하고, 연결부(13)에 대한 기재를 간략화하는 경우가 있다.
제1 결합 수단(15)은, 휴대 단말(10)이 닫힘 상태로부터 가로 열림 상태를 개시하고 나서 완전한 가로 열림 상태가 얻어지기까지의 사이에, 및 가로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복귀하기까지의 사이에, 아랫 몸체(11)의 길이 방향 단부(37) 및 윗 몸체(12)의 길이 방향 단부(38)끼리, 즉 아랫 몸체(11) 및 윗 몸체(12)에서의 연결부(13)는 반대측의 단부끼리를 결합시킴으로써, 윗 몸체(12)를 외팔보방식으로 지지하는 제2 회전 부재(34)를 보조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제1 결합 수단(15)에 의해 닫힘 상태, 닫힘 상태와 가로 열림 상태 사이의 상태나, 완전한 가로 열림 상태에 있어서, 낙하나 충격 등에 의한 외력이 휴대 단말(10)에 가해져도 윗 몸체(12), 연결부(13), 제2 회전 부재(34) 등에서의 특정 부위에 부하가 집중되지 않아, 파손의 우려가 적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5 내지 도 15를 기초로 하여, 제1 결합 수단(15)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5는, 휴대 단말(10)의 닫힘 상태에서의 아랫 몸체(11) 및 윗 몸체(12)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 5에 있어서, 제1 결합 수단(15)은, 아랫 몸체(11)의 길이 방향 단부(37)에 설치된 제1 결합부인 결합 핀(45)과, 결합 핀(45)을 아랫 몸 체(11)에 유지하는 유지부(49)와, 결합 핀(45)이 유지부(49)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50)와, 윗 몸체(12)의 길이 방향 단부(38)에 설치된 제2 결합부(46)와, 아랫 몸체(11)에 설치된 아랫 몸체 자석(자석;48)을 구비하고 있다.
도 9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핀(45)은, 조작부(23)를 구비한 면으로부터 아랫 몸체(11)의 두께 방향을 따라 돌출하는 제1 돌출부(51)와, 제1 돌출부(51)에 접속되어 제1 돌출부(51)의 연속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제2 돌출부(52)를 가진다. 따라서, 결합 핀(45)은, 제1 돌출부(51) 및 제2 돌출부(52)가 대략 L자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연결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결합 핀(45)은 제1 돌출부(51)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좌우로 18도씩)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 결합 핀(45)은, 자성체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면서, 제2 돌출부(52)의 선단(개방단)이 연결부(13)와는 반대측, 즉 아랫 몸체(11)의 길이 방향 단부(37)측을 향하도록 배향되고, 제2 돌출부(52)의 축선이 제2 회전축(32)을 따른 위치까지 아랫 몸체(11)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유지부(49)는, 아랫 몸체(11)의 내부에 수용되어 고정되어 있으면서, 결합 핀(45)의 제1 돌출부(51)에 삽입되어 있다. 결합 핀(45)을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 각도만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제1 돌출부(51)를 원형 단면으로 함과 함께 스토퍼를 설치하여,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혹은, 제1 돌출부(51)를 구형 단면으로 하고, 유지부에서 제1 돌출부(51)를 지지하는 홀의 형상을 소정 각도만큼 구형 단면이 회전 가능한 원형 단면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결합 핀(45)은, 제2 돌출부(52)의 선단이 조작부(23)에 가까워지도록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결합 핀(45)을 회전시키는 외력이 작용한 경우, 제2 돌출부(52)가 제2 결합부(46)에 의해 록킹되는 쪽(즉, 제2 수용부(56) 쪽)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결합 핀(45)은 제2 결합부(46)로부터 빠지기 쉬워 진다.
도 13의 (A)~(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 몸체(12)가 제1 회전축(3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즉, 세로 열림 상태)에 있어서, 결합 핀(45)의 제2 돌출부(52)가 돌출하지 않도록 수용하는 오목부(49E)를 설치함과 함께, 오목부(49E)의 바닥부에 제2 돌출부(52)를 안치하는 오목 형상의 안치면(49E)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목부(49E)의 내측이 바닥부를 향해 제2 돌출부(52)를 안내하는 경사면(49G)이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윗 몸체(12)가 제1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때에는, 결합 핀(45)은 제2 결합부(46)에 결합하지 않으므로, 결합 핀(45)을 오목부(49E)에 수용하여 결합 핀(45)이 아랫 몸체(11)의 표면(11A)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한다. 이 때, 오목부(49E)의 바닥부에 안치면(49F)을 설치하고, 오목부(49E)의 내면에 제2 돌출부(52)를 안내하는 경사면(49G)을 설치했으므로, 회전 가능한 제2 돌출부(52)를 확실히 수용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 핀(45)은, 유지부(49)에 삽입한 상태로 제1 돌출부(51)의 기단부, 즉 제1 돌출부(51)에서의 제2 돌출부(52)와의 접속 장소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스토퍼(50)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50)는 금속성의 통 형상으로 되어, 제1 돌출부(51)의 기단부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스토퍼(50)는, 결합 핀(45)이 자성체라면, 금속 이외의 비자성체라도 무방하다.
이와 같은 결합 핀(45)은, 유지부(49)의 상면(49A)의 안치면(49F)에 제2 돌출부(52)가 접촉하는 위치로부터, 유지부(49)의 하면(49B)에 스토퍼(50)가 접촉하는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제1 돌출부(51)의 축 방향을 따라 유지부(49)에 대하여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결합 핀(45)은, 유지부(49)의 상면(49A)에 제2 돌출부(52)가 접촉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1 돌출부(51)의 꼭대기부 및 제2 돌출부(52)가 아랫 몸체(11)의 표면(11A)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유지부(49)의 하면(49B)에 스토퍼(50)가 접촉하는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 돌출부(52)의 축선이 제2 회전축(32)을 따르도록 배치된다.
아랫 몸체 자석(48)은, 아랫 몸체(11)의 내부에 있어서 제1 돌출부(51)의 축 방향을 따른 결합 핀(45)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아랫 몸체 자석(48)은, 유지부(49)의 상면(49A)에 제2 돌출부(52)가 접촉하는 위치에 있을 때, 즉, 결합 핀(45)이 아랫 몸체(11)에 수용되어 있을 때, 스토퍼(50)에 대하여 간격(S1)을 통해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아랫 몸체 자석(48)은, 표면에 판금(48A)이 적층되어 있으므로, 판금(48A)의 재질, 두께, 면적 등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결합 핀(45)에 대한 해당 아랫 몸체 자석(48)의 자력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제2 결합부(46)는, 휴대 단말(10)이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상술한 제1 결합부인 결합 핀(45)과 대면하는 위치에 있어서, 아랫 몸체(11)로부터 돌출한 결합 핀(45)의 제1 돌출부(51)를 삽입 가능한 제1 수용부(55;도 5, 도 6, 도 9 참조)와, 아랫 몸체(11)로부터 돌출한 결합 핀(45)의 제2 돌출부(52)를 삽입하는 제2 수용부(56;도5, 도6, 도 10 참조)를 가진다.
제2 결합부(46)는, 제1 수용부(55) 및 제2 수용부(56)가 윗 몸체(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제1 수용부(55)가 연결부(13)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수용부(55)는, 소정 두께를 가지는 부채 형상의 패임부(55B)에 의해 대략 구형상의 개구(58A)와 대략 V자 형상의 개구(58B)를 가지는 블록체로 되고, 개구(58A)가 윗 몸체(12)의 표면(12A)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개구(58B)와 반대측에 형성된 축부(59)는, 그 축선이 개구(58B)의 원호 중심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패임부(55B)의 내면(58)은 평활면으로 되어 있다.
이 제1 수용부(55)는, 패임부(55B)의 주위에 윗 몸체 자석(자석;63)이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되어 있음과 함께, 개구의 주위에 원호 형상의 안내홈(55A)이 형성되어 있다.
윗 몸체 자석(63)으로서는, 상술한 아랫 몸체 자석(48)보다도 자력이 큰 자석이 채용되어 있다. 안내홈(55A)은, 그 원호 중심이 축부(59)의 축선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수용부(55)는, 축부(59)의 축선이 제2 회전축(32)을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음과 함께, 축부(59)에 통과되는 비틀림 스프링인 리턴 스프링(47)에 의해, 개구(58A)가 항상 윗 몸체(12)의 표면(12A)을 따르도록 유지된다.
도 7, 도 8,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수용부(56)는, 대략 U자 형상의 패임부(56B)에 의해 대략 구형상의 개구(56C)와 대략 U자 형상의 개구(56D)를 가지는 블록 형상으로 되고, 개구(56D)의 주위에 돌기(56A)가 설치되어 있다. 돌기(56A)는, 제1 수용부(55)의 안내홈(55A)에 끼워 넣어진다.
이 제2 수용부(56)는, 제1 수용부(55)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개구(56C)가 윗 몸체(12)의 표면(12A)을 따르도록 윗 몸체(12)에 고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제2 결합부(46)는, 리턴 스프링(47)에 의해 제1 수용부(55)의 개구(58A)가 윗 몸체(12)의 표면(12A)을 따르도록 유지되므로, 통상, 제1 수용부(55)의 개구(58A)와 제2 수용부(56)의 개구(56C)가 윗 몸체(12)의 표면(12A)을 따라 연속하도록 배향된다.
도 14의 (A), (B) 및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수용부(56)에서의 제1 수용부(55) 측의 개구 엣지부이고, 또한 윗 몸체(12)의 측단면쪽에 경사면(56E)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결합 핀(45)과 제2 결합부(46)가 적정하게 결합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결합 핀(45)의 제2 돌출부(52)를 수용하는 제2 수용부(56)에 설치되어 있는 경사면(56E)을 따라 제2 수용부(56)로부터 빠질 수 있다. 또한, 경사면(56E)의 각도는,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도 14 및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면(56E)은, 제2 돌출부(52)의 선단의 반구 부분(52A)의 시작 위치(52B)에 대응하는 위치로부터 시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2 돌출부(52)의 삽입량이 불충분하다면, 반구 부분(52A)이 곧 경사면(56E)에 걸리므로, 제2 돌출부(52)는 제2 수용부(56)로부터 빠지게 된다.
제2 결합 수단(16)은, 휴대 단말(10)의 닫힘 상태 및 세로 열림 상태에 있어서, 윗 몸체(12)가 제2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연결부(13)의 연결부 본체(13A)에 대한 윗 몸체(12)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 제2 결합 수단(16)에 의해, 휴대 단말(10)의 닫힘 상태 및 세로 열림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윗 몸체(12)가 제2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고, 이에 따라 윗 몸체(12), 연결부(13), 제2 회전 부재(34) 등에서의 특정 부위에 부하가 집중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3 ~ 도 4로 돌아가서, 제2 결합 수단(16)의 구성을 설명한다.
제2 결합 수단(16)은, 연결부(13)의 연결부 본체(13A)에 대하여 연결되는 윗 몸체(12)의 짧은변 측면(12C)에 설치된 결합부(66)와, 연결부 본체(13A)에 있어서 짧은변 측면(12B)에 대면하는 단면(13B)에 설치되어 결합부(66)에 결합되는 결합부(67)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결합부(66, 67)는, 제2 회전 부재(34)가 배치되는 위치에 대하여 폭 방향을 따른 반대측에 배치되어 있다.
결합부(66)는, 윗 몸체(12)의 짧은변 측면(12B)으로부터 연결부 본체(13A)의 단면(13B)을 향해 돌출·함몰 가능한 록킹 핀(66A)과, 록킹 핀(66A)을 연결부 본체(13A)의 단면(13B)을 항해 부세하는 리턴 스프링(69)과, 리턴 스프링(69)을 압축시키면서 록킹 핀(66A)을 윗 몸체(12)에 수용시키기 위한 록킹 버튼(66C)을 가진다. 록킹 핀(66A)은, 리턴 스프링(69)에 의해 윗 몸체(12)의 짧은변 측면(12B)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결합부(66)는, 윗 몸체(12)의 측부(12A)에 설치된 록킹 버튼(66C)을 사용자가 화살표 A-B 방향(도 3의 (B) 참조, 윗 몸체(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시킴으로써 록킹 핀(66A)을 윗 몸체(12)에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결합부(67)는, 록킹 핀(66A)의 선단을 수용 가능한 결합 구멍으로 되어 있다(도 3의 (A), 도 4 참조).
이상과 같은 제2 결합 수단(16)은, 록킹 핀(66A)의 선단이 결합부(67)에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연결부(13)의 연결부 본체(13A)에 대한 윗 몸체(12)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휴대 단말(10)은 닫힘 상태 및 세로 열림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게 윗 몸체(12)가 제2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지 않고, 이에 따라 윗 몸체(12), 연결부(13), 제2 회전 부재(34) 등에서의 특정 부위에 부하가 집중하여 파손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 단말(10)을 닫힘 상태로부터 가로 열림 상태로 할 때에는, 사용자가 록킹 버튼(66C)을 조작함에 따라 결합부(66, 67)의 결합 상태를 해 제한 후, 제2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부(13)의 연결부 본체(13A)에 대하여 윗 몸체(12)를 수동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휴대 단말(10)을 가로 열림 상태로부터 닫힘 상태로 할 때에는, 제2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연결부(13)의 연결부 본체(13A)에 대하여 윗 몸체(12)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선단이 결합부(67)에 접촉한 록킹 핀(66A)이 리턴 스프링(69)을 압축시키면서 일시적으로 윗 몸체(12)에 수용된 후, 다시 리턴 스프링(69)의 신장에 수반하여 록킹 핀(66A)이 윗 몸체(12)로부터 돌출하여 결합부(67)에 결합하고, 이에 따라 연결부(13)의 연결부 본체(13A)에 대한 윗 몸체(12)의 회전이 다시 규제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휴대 단말(10)의 동작을 설명한다.
휴대 단말(10)이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즉, 아랫 몸체(11) 및 윗 몸체(12)가 서로 겹치는 상태에 있을 때, 제1 결합 수단(15)의 제1 결합부인 결합 핀(45)의 제1 돌출부(51)의 꼭대기부 및 제2 돌출부(52)와, 제2 결합부(46)의 제1 수용부(55) 및 제2 수용부(56)가 대면한다.
이때, 결합 핀(45)에 대한 윗 몸체 자석(63)의 자력의 영향이 아랫 몸체 자석(48)의 자력의 영향보다도 크기 때문에, 윗 몸체 자석(63)의 자력에 의해 결합 핀(45)이 아랫 몸체(11)의 표면(11A)으로부터 끌어내져 확실히 돌출하고, 제1 돌출부(51)의 꼭대기부 및 제2 돌출부(52)가 개구(58A, 56C)로부터 제1 수용부(55) 및 제2 수용부(56)로 삽입된다.
이때, 리턴 스프링(47)에 의해 제1 수용부(55)의 개구(58A)와 제2 수용 부(56)의 개구(56C)가 윗 몸체(12)의 표면(12A)을 따라 연속하고 있으므로, 제1 수용부(55) 및 제2 수용부(56)에 대하여 제1 돌출부(51)의 꼭대기부 및 제2 돌출부(52)가 원활히 삽입된다.
도 1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10)은, 닫힘 상태에 있어서, 제1 결합부인 결합 핀(45)이 제2 결합부(46)의 제1 수용부(55) 및 제2 수용부(56)에 삽입되는데, 제1 수용부(55)의 개구(58A) 및 제2 수용부(56)의 개구(56C)는 어느쪽도 아랫 몸체(11)의 표면(11A)에 대면하고 있으므로, 결합 핀(45)이 제1 수용부(55) 및 제2 수용부(56)에 대하여 넣고 빼기가 가능하여, 소위 제1 결합 수단(15)이 록킹되지 않은 상태, 환언하면 록킹 해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2의 (A)는 휴대 단말(10)의 닫힘 상태에서의 제1 결합 수단(15)을 나타내고, 도 12의 (B)는 휴대 단말(10)의 가로 열림 상태에서의 제1 결합 수단(15)을 나타낸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 몸체 자석(63)은, 제1 수용부(55)에서의 결합 핀(45)의 돌출 축선(65)의 측부의 극히 근방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배치되어 있으므로, 필요 최저한의 자력을 가지고 있으면 되어, 윗 몸체(12) 내의 전자 부품에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는 강력한 자석을 이용하지 않고 결합 핀(45)을 아랫 몸체(11)로부터 확실히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윗 몸체 자석(63)이 제1 수용부(55)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으므로, 윗 몸체 자석(63)을 별도로 개별 배치할(부착할) 필요가 없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10)이 닫힘 상태로부터 세로 열림 상태로 이행할 때, 즉, 아랫 몸체(11)에 대하여 윗 몸체(12)가 제1 회전축(3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을 개시하고, 아랫 몸체(11)의 표면(11A)과 윗 몸체(12)의 표면(12A)이 이반하는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의 천이 상태에 있어서는, 제1 수용부(55) 및 제2 수용부(56)로부터 제1 돌출부(51)의 꼭대기부 및 제2 돌출부(52)가 빠져 나가기 시작한다.
이 때, 리턴 스프링(47)에 의해 제1 수용부(55)의 개구(58A)와 제2 수용부(56)의 개구가 윗 몸체(12)의 표면(12A)을 따라 연속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수용부(55) 및 제2 수용부(56)로부터 제1 돌출부(51)의 꼭대기부 및 제2 돌출부(52)가 원활히 빠져나가, 제2 수용부(56)로부터 떨어지기 시작한다.
그리고, 아랫 몸체(11)의 표면(11A)과 윗 몸체(12)의 표면(12A)이 이반함에 수반하여, 결합 핀(45)에 대한 윗 몸체 자석(63)의 자력의 영향이 감소하고, 상대적으로 결합 핀(45)에 대한 아랫 몸체 자석(48)의 자력의 영향이 윗 몸체 자석(63)의 자력의 영향을 웃돌면, 유지부(49)의 상면(49A)에 제2 돌출부(52)가 접촉할 때까지 아랫 몸체 자석(48)의 자력에 의해 결합 핀(45)이 아랫 몸체(11) 내로 끌어당겨지고, 이에 따라 제1 돌출부(51)의 꼭대기부 및 제2 돌출부(52)가 아랫 몸체(11)의 표면(11A)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결합 핀(45)이 아랫 몸체(11) 내에 수납된다.
이와 같이, 닫힘 상태로부터 세로 열림 상태로 이행을 개시하고 나서 완전한 세로 열림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사이에, 결합 핀(45)이 아랫 몸체(11) 내에 수납되므로, 음성 통화시에 사용자의 얼굴에 결합 핀(45)가 간섭하거나, 혹은 메일의 읽 고 쓰기나 송수신, Web 열람, 각종 설정시에 조작부(23)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결합 핀(45)에 간섭하여 조작부(23)의 조작성이 손상될 우려나, 결합 핀(45)을 파손할 우려가 없다.
또한, 결합 핀(45)은 아랫 몸체 자석(48)과 스토퍼(50)가 접촉하지 않도록 아랫 몸체(11) 내에 수납되므로, 예를 들면 아랫 몸체 자석(48)과 스토퍼(50)가 접촉하고 있는 상태와 비교하여, 다시 휴대 단말(10)이 닫힘 상태가 되었을 때에 신속하게 아랫 몸체(11)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할 수 있다.
이어서, 휴대 단말(10)이 닫힘 상태로부터 가로 열림 상태로 이행할 때, 즉, 아랫 몸체(11)에 대하여 윗 몸체(12)가 제2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을 개시하고, 아랫 몸체(11)의 표면(11A)과 윗 몸체(12)의 표면(12A)이 이반하면, 윗 몸체(12)에 추종하여 제2 수용부(56)가 제2 돌출부(52)를 말려들도록 회전하지만, 개구(58A)의 엣지부가 제1 돌출부(51)의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제1 수용부(55)의 회전이 규제되고, 리턴 스프링(47)을 감김 방향으로 압축시키면서 윗 몸체(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아랫 몸체(11)의 표면(11A)에 대하여 개구(58A)를 대면시킨 상태를 유지한다.
도 11은, 휴대 단말(10)이 닫힘 상태로부터 아랫 몸체(11)에 대하여 윗 몸체(12)가 제2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소정 각도 회전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수용부(56)는, 개구(56C, 56D)에 직교하는 내면(61)이 평활한 곡면으로 되어 있다. 내면(61)은, 개구(56C)로부터 가장 먼 안쪽부(61A)로부터 개구(56C)에 가장 가까운 전방부(61B)를 향해 곡률 반경(R1~R5)이 연속적으로 커지는 복수의 곡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수용부(56)는, 개구(56C, 56D)에 직교하는 내면(61)의 곡률 반경이 입구쪽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으므로, 윗 몸체(12)에 추종하여 회전함에 있어, 결합 핀(45)의 제2 돌출부(52)의 주면을 포착하여 확실히 패임부(56B) 내에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결합 핀(45)의 제2 돌출부(52)를 개구(61B)로부터 제2 수용부(56)의 개구부(61) 내로 원활히 유도하여, 소위 제2 돌출부(52)를 픽업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는, 제2 돌출부(52)의 주면이 제2 수용부(56)에 덮이기 때문에, 제1 결합부인 결합 핀(45)이 제2 결합부(46)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게 되고, 제1 결합 수단(15)에 의해 아랫 몸체(11)의 길이 방향 단부와 윗 몸체(12)의 길이 방향 단부끼리가 결합되어, 소위 록킹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휴대 단말(10)이 닫힘 상태로부터 아랫 몸체(11)에 대하여 제2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윗 몸체(12)를 회전시키고, 아랫 몸체(11)의 표면(11A)과 윗 몸체(12)의 표면(12A) 사이의 갭 각도가 약 30도 이상이 되면, 제2 돌출부(52)가 제2 수용부(56)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게 되어, 제1 결합 수단(15)에 의해 록킹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제2 수용부(56)의 내면(61)의 곡률 반경이 입구측으로부터 안쪽을 향해 연속적으로 작아지고 있으므로, 유지부(49)에 스토퍼(50)가 접촉할 때까지 아 랫 몸체(11)로부터 결합 핀(45)이 끌어내져, 휴대 단말(10)이 완전한 가로 열림 상태가 되면, 결합 핀(45)의 제2 돌출부(52)의 축선이 제2 회전축(32)을 따라 배치된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의 휴대 단말(10)에 따르면, 닫힘 상태에 있어서 윗 몸체 자석(63)의 자력에 의해 제1 결합부인 결합 핀(45)이 아랫 몸체(11)로부터 돌출하여 제2 결합부(46)의 제1 수용부(55) 및 제2 수용부(56)에 삽입되지만 록킹되지 않고, 세로 열림 상태에 있어서 아랫 몸체 자석(64)의 자력에 의해 결합 핀(45)이 아랫 몸체(11)에 수용되고, 가로 열림 상태에 있어서 윗 몸체(12)에 추종하는 제2 수용부(56)에 의해 록킹 상태가 되므로, 윗 몸체(12)를 외팔보방식으로 지지하는 제2 회전 부재(34)를 제1 결합 수단(15)이 보조하게 된다.
따라서, 이 휴대 단말(10)에 따르면, 닫힘 상태와 가로 열림 상태 사이의 상태나, 완전한 가로 열림 상태에 있어서, 낙하나 충격 등에 의한 외력이 가해져도 윗 몸체(12), 연결부(13), 제2 회전 부재(34) 등에서의 특정 부위에 부하가 집중되지 않아, 파손의 우려가 적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수용부(55)의 내면(58)이 평활면으로 된 제1 결합 수단(15)을 예시했으나, 도 16에 도시한 제1 결합 수단(15A)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도 16에 나타낸 제1 결합 수단(15A)은, 제1 수용부(55A)의 내면(58C)에 돌출부(58D)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제1 수용부(55A)에 삽입되는 결합 핀(45A)의 제1 돌출부(51A)의 측면에 오목부(51B)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1 결합 수단(15A)은, 휴대 단말(10)이 닫힘 상태로부터 가로 열림 상태로 할 때, 즉, 아랫 몸체(11)에 대하여 윗 몸체(12)가 제2 회전축(32)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기 시작했으나, 아랫 몸체(11)의 표면(11A)과 윗 몸체(12)의 표면(12A) 사이의 갭 각도가 약 30도 미만(저각도(둔각))이고 록킹 상태에 이르지 않은 경우에 있어서도, 제1 수용부(55A)의 돌출부(58D)와 결합 핀(45A)의 오목부(51B)가 결합하므로, 휴대 단말에 충격 등에 의한 외력이 가해져도, 결합 핀(45A)이 제2 수용부(55A)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윗 몸체(12)에 대하여 제1 수용부(55)가 회전하고, 제2 수용부(56)가 윗 몸체(12)에 고정되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 핀(45)의 형상에 따라서는, 윗 몸체(12)의 표면(12A)에 개구가 있으면 무방하다.
예를 들면, 개구의 일부가 윗 몸체(12)의 측면부까지 연결되어 있는 구성을 취하고, 가로 열림 상태에 있어서 결합 핀(45)의 일부가 개구부에 걸리도록 구성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결합 핀(45)을 제1 돌출부(51) 및 제2 돌출부(52)에서 대략 L형으로 형성한 예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결합 핀의 선단을 예를 들면 T자형, 볼 형상이나 결합 핀(45)과는 역 방향의 L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 있어서는, 결합 핀(45)을 구성하는 제1 돌출부(51)와 제2 돌출부(52)를 일체적으로 형성했으나,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돌출부(51)와 제2 돌출부(52)를 별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1 돌출부(51)의 상단면으로부터 위쪽을 향해 회전축(51C)을 설치하고, 한편, 별체의 제2 돌출부(52)에는, 회전축(51C)을 삽입하여 제2 돌출부(5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홀(52C)을 설치한다.
이에 따라, 제2 돌출부(52)는 회전 가능하게 되므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제2 돌출부(52)의 회전 각도를 규제하는 경우에는, 회전축(51C)을 예를 들면 구형 단면으로 하고, 축홀(52C)의 단면으로서 회전축(51C)이 소정의 각도 회전 가능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혹은, 회전축(51C) 및 축홀(52C)을 함께 원형 단면으로 하고, 별도로 제2 돌출부(52)의 회전 범위를 규정하는 스토퍼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은, 2007년 6월 15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특원 2007-159407), 2007년 8월 8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특원 2007-206816) 및 2007년 10월 31일 출원의 일본특허출원(특원 2007-284178)에 기초한 것으로, 이들 내용은 여기에 참조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제2 결합부의 자석이 설치된 제2 수용부가, 자성체로 형성된 결합 핀을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 결합 핀을 제1 몸체의 표면으로부터 돌출시키고, 제2 몸체를 제2 회전축 주위로 회전시킴에 따라, 제2 수용부에 제2 돌출부를 수용하여 결합 핀을 록킹한다. 또한, 제2 돌출부가 제1 돌출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므로, 결합 핀이 충분히 돌출하고 있지 않은 경우나, 제2 돌출부가 소정의 위치에 없는 경우 등의 불충분한 결합 상태에서는, 제1 몸체에 대하여 제2 몸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결합 핀은 제2 결합부로부터 빠져나가므로, 결합 핀이나 제2 몸체에서의 제2 결합부의 주위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고, 제1 몸체 및 제2 몸체가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어, 닫힘 상태로부터 세로 열림 상태나 가로 열림 상태로 개폐 가능한 휴대 단말로의 적용에 매우 적합하다.

Claims (14)

  1. 조작부를 구비한 제1 몸체와,
    표시부를 구비한 제2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1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몸체의 짧은쪽 방향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 회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조작부를 구비한 면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연결되는 쪽과 길이 방향의 반대쪽에 제1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표시부를 구비한 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제2 회전 부재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쪽과 반대쪽에 제2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서로 겹치는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록킹되지 않고,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하여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에는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제1 결합부는 자성체로 구성되고, 상기 자석의 자력에 의해 해당 제1 결합부는 돌출하여 상기 제2 결합부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부의 자석은, 상기 제1 결합부가 돌출하는 방향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일정 거리만큼 떨어진 위치이고, 상기 제2 몸체와 대향하는 면과 반대쪽에 자석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몸체에 대하여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에 있어서, 해당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1 결합부가 돌출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자석의 사이에 판금을 배 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와 교차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을 따른 제2 돌출부를 가지는 결합 핀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결합부는,
    개구부에 상기 제1 돌출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2 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수용부와,
    개구부에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2 몸체에 고정된 제2 수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의 개구부는, 상기 제1 돌출부를 수용하여 상기 제2 몸체를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몸체의 조작부면과 대면하는 위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의 개구부가 오목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구부의 바닥부 로부터 개구를 향해 곡률이 커지는 곡면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9. 청구항 6에 있어서,
    제2 수용부의 개구부에 대하여 제1 수용부의 개구부를 일치시키는 리턴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와, 상기 연결부가 연결되는 면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축부가 배치되는 쪽과 짧은쪽 방향의 반대쪽에 한 쌍의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겹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부에 의해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이 규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1. 조작부를 구비한 제1 몸체와,
    표시부를 구비한 제2 몸체와,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 몸체에 연결되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1 회전 부재와, 상기 제2 몸체의 짧은쪽 방향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축과 직교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1 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몸체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 회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몸체는, 상기 제1 몸체가 상기 연결부와 상기 연결되는 쪽과 길이 방향의 반대쪽에, 상기 조작부를 구비한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돌출부와 교차하고, 상기 제2 회전축을 따라 구성된 제2 돌출부를 가지는 결합 핀으로 구성된 제1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2 몸체는, 상기 표시부를 구비한 면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부에 상기 제1 돌출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2 몸체에 대하여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수용부와, 내면에 경사면을 형성한 개구부에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2 몸체에 고정된 제2 수용부로 구성되는 제2 결합부를 가지고,
    상기 제1 몸체와 상기 제2 몸체가 서로 겹치는 닫힘 상태에서는,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는 록킹되지 않고,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에서는, 자석의 자력에 의해 해당 제1 결합부는 돌출하여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가 결합하여 록킹되고,
    상기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사이의 천이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2 돌출부는 상기 제2 수용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수용부의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돌출부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고, 제2 수용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2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3.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의 내부에 상기 제1 결합부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몸체가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부가 상기 표시부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상기 유지부의 천정면에 상기 제2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성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제2 돌출부를 안내하는 경사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14.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수용부의 경사면은, 상기 제1 수용부측의 엣지부이고, 또한 상기 제2 몸체의 측단면쪽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
KR1020097026116A 2007-06-15 2008-06-10 휴대 단말 KR101072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159407 2007-06-15
JP2007159407 2007-06-15
JP2007206816A JP4064443B1 (ja) 2007-06-15 2007-08-08 携帯端末
JPJP-P-2007-206816 2007-08-08
JPJP-P-2007-284178 2007-10-31
JP2007284178A JP4519896B2 (ja) 2007-10-31 2007-10-31 携帯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8004A KR20100008004A (ko) 2010-01-22
KR101072386B1 true KR101072386B1 (ko) 2011-10-11

Family

ID=40156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6116A KR101072386B1 (ko) 2007-06-15 2008-06-10 휴대 단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00184490A1 (ko)
EP (1) EP2159995A4 (ko)
KR (1) KR101072386B1 (ko)
CN (1) CN101682665B (ko)
WO (1) WO20081558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4676B2 (ja) * 2008-09-12 2010-04-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2010109747A (ja) * 2008-10-30 2010-05-13 Panasonic Corp 携帯無線機
CN111405095A (zh) * 2020-03-30 2020-07-1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折叠机构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381B1 (ko) * 2004-11-09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7551B2 (ja) * 2001-08-20 2010-08-04 ソニー株式会社 携帯型情報処理装置
US6728557B1 (en) * 2002-05-17 2004-04-27 Motorola, Inc. Hinge assembly for a multi-configu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4205367B2 (ja) * 2002-05-22 2009-01-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子機器
US6839576B2 (en) * 2002-12-30 2005-01-04 Motorola, Inc. Multiple axis hinge assembly
CN1531391B (zh) * 2003-03-10 2011-12-07 京瓷株式会社 便携式终端及其打开或闭合的方法
US20050020325A1 (en) * 2003-07-24 2005-01-27 Motorola, Inc. Multi-configu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JP4152287B2 (ja) * 2003-09-26 2008-09-17 シャープ株式会社 連結構造、撮像装置及び再生装置
JP2005216158A (ja) * 2004-01-30 2005-08-11 Kyocera Corp 携帯端末
JP2005286430A (ja) * 2004-03-26 2005-10-13 Sharp Corp 携帯機器
JP4286735B2 (ja) * 2004-07-08 2009-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機器
US7440783B2 (en) * 2004-08-17 2008-10-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ual axis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0640395B1 (ko) * 2004-08-28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및 그의 장착 메카니즘
US7580518B2 (en) * 2004-12-01 2009-08-25 Motorola, Inc. Dual-axes hinge part for hinged components
US20060135226A1 (en) * 2004-12-21 2006-06-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hanging operation mode based on opening direction of folder cover and method thereof
TWM269695U (en) * 2004-12-22 2005-07-01 Lite On Technology Corp Hand-held-type electronic data processor
KR101098618B1 (ko) * 2005-01-03 2011-1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합 개폐형 이동통신 단말기
JP2006233998A (ja) * 2005-02-22 2006-09-07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機器の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機
WO2006093328A1 (ja) * 2005-03-02 2006-09-08 Nec Corporation 携帯端末
TWI273819B (en) * 2005-09-08 2007-02-11 High Tech Comp Corp Dual-axis hinge
KR100630139B1 (ko) * 2005-11-28 2006-10-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03486B1 (ko) * 2005-11-29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지털 방송 서비스 수행 방법
TWI291105B (en) * 2005-11-30 2007-12-11 High Tech Comp Corp Multi-configu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583500B2 (en) * 2005-12-13 2009-09-0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having magnetic latching mechanism
KR100810252B1 (ko) * 2006-07-04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축 회전 유형 휴대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제어방법
USD572228S1 (en) * 2007-01-10 2008-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381B1 (ko) * 2004-11-09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84490A1 (en) 2010-07-22
EP2159995A1 (en) 2010-03-03
KR20100008004A (ko) 2010-01-22
CN101682665B (zh) 2012-11-07
CN101682665A (zh) 2010-03-24
WO2008155882A1 (ja) 2008-12-24
EP2159995A4 (en)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90792B1 (en) Hinge mechanism
JP3686845B2 (ja)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3881333B2 (ja) 携帯電話機及び、該携帯電話機のホルダ自動回動方法
KR101072386B1 (ko) 휴대 단말
JP4064443B1 (ja) 携帯端末
JP2008127888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装置
JP5046906B2 (ja) 携帯端末
JP4519896B2 (ja) 携帯端末
JP4440296B2 (ja) 携帯端末
JP4393727B2 (ja) 単リール型の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5545216B2 (ja) 折り畳み式携帯装置およびそのヒンジ機構
KR20060103121A (ko) 휴대기기
JP3826255B2 (ja) 自動販売機のヒンジ装置
US8820573B2 (en) Mechanism to hold cover open or closed
KR20060074302A (ko) 양 방향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JP7049947B2 (ja) 分電盤ハウジング
JP2001283667A (ja) ガードバリア
JP2010113222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24044392A (ja) 収納装置
US20090048005A1 (en) Mobile terminal
JP6043903B1 (ja) マグネットロック機構を備えたブック型携帯ケース100
JPH1162341A (ja) 開閉錠のカード保持機構
JPH0676887U (ja) 携帯時計の開閉部固定構造
JPH11145630A (ja) 小型携帯情報機器の表示部開閉ロック構造
JP2001137500A (ja) パチンコ機の本体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