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121A - 휴대기기 - Google Patents

휴대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121A
KR20060103121A KR1020060025612A KR20060025612A KR20060103121A KR 20060103121 A KR20060103121 A KR 20060103121A KR 1020060025612 A KR1020060025612 A KR 1020060025612A KR 20060025612 A KR20060025612 A KR 20060025612A KR 20060103121 A KR20060103121 A KR 200601031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ody
cam
frame
slid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5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3179B1 (ko
Inventor
히데오 카토오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3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3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3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개폐조작을 행할 뿐만 아니라, 전부 개방위치에서는 더욱 슬라이드시켜 폐쇄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기기를 제공하기 위해, 제1틀체와 제2틀체으로 되고,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로 덮는 폐쇄상태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에 의해,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개폐하여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폐쇄위치와 중간 개방위치와 전부 개방위치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부 개방위치에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가 서로 중첩시키는 슬라이드위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슬라이드위치, 폐쇄상태, 개폐기구, 전부개방위치

Description

휴대기기{portable apparatus}
도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인 휴대전화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a)는 회동동작에 의한 폐쇄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b)는 회동동작에 의한 개방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c)는 슬라이드동작에 의한 폐쇄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인 휴대전화기의 일예에 있어서의 개방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기구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유니트의 취부상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관한 개폐유니트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 (d)는 분해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관한 회동요홈부 및 슬라이드요홈부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관한 회동요홈부의 요홈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개폐기구 2: 결합돌출부
3: 회동요홈부 4: 슬라이드요홈부
5: 회동캠기구 6: 슬라이드제어기구
10: 휴대전화기 11: 제1틀체
12: 제2틀체 20: 개폐유니트
21: 샤프트 22: 케이스
23: 제1캠 24: 제2캠
25: 힘작용수단 32: 캠결합부
70: 볼유니트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등을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개폐시키기 때에 이용되기 적합한 휴대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의 일종인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키보드부나 마이크부 등을 상면에 설치한 송화부로서의 제1틀체와,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부 등을 상면에 설치한 수화부로서의 제2틀체를 지니고, 이들의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힌지기구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중첩구조의 휴대전화기가 시장에 출하되고 있다. 그 이중 중첩구조의 휴대전화기는, 제1틀체의 상면후부에 대해 제2틀체가 힌지기구를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1틀체의 상면의 송화부에 제2틀체를 중첩 시켜 밀착시키고 송화부를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중첩상태(폐쇄상태)를 해제하여 그 송화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휴대전화기로서는,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완전하게 중첩시켜 제2틀체로 제1틀체의 상면을 덮는 폐쇄상태와,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만드는 슬라이드기구부의 것이 시장에 출하되고 있다. 그 공지기술로서는 일본국특개 2004-235897호 공개 특허공보에 기재된 것을 들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휴대전화기는, 통상,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종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개폐조작을 행하는 것이고, 또,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의해 개폐조작을 행하는 것도 있지만, 통상의 개폐조작과 슬라이드동작에 의한 개폐조작의 어떤 것도 행할 수 있는 것은 없었다. 그렇지만 근년, 휴대전화기로서는, 통화기능외에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이용한 기능 등의 다종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것이 시장에 출하되고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면,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에 동화를 표시시켜 그 동화를 보는 경우에는, 통상의 회동에 의한 개방조작을 행하여 휴대전화기를 개방시킨 상태대로 하여 둘 필요없이, 디스플레이부를 상측으로 한 상태에서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시켜, 서로 중첩시켜 버리도록 하면, 조작성이 향상하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통상의 개폐조작을 행한 후에, 전부 개방위치에서는 더욱 슬라이드시켜
폐쇄상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한 휴대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는, 제1틀체와 제2틀체로 되고,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로 덮는 폐쇄상태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에 의해,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개폐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폐쇄위치와 중간 개방위치와 전부 개방위치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전부 개방위치에 있어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가 서로 중첩시키는 슬라이드위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발명에 의하면, 제1틀체와 제2틀체를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개폐시켜 제1틀체와 제2틀체의 폐쇄위치와 중간 개방위치와 전부 개방위치를 형성가능하고, 더욱, 전부 개방위치에 있어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서로 중첩시키는 폐쇄상태인 슬라이드위치를 형성가능한 것에 의해, 통상의 회동에 의한 개폐와 슬라이드에 의한 개폐의 양방의 동작을 행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를,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에 설치된 결합돌출부와,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요홈부와, 그 회동요홈부로 연통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서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요홈부와,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캠기구와, 상기 전부 개방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슬라이드를 허용하는 슬라이드제어기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 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샤프트와, 그 샤프트의 외주에 그 축주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과 함께 회동하는 캠을 지니고, 상기 슬라이드제어기구가,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편심위치에 설치된 상기 캠와, 상기 회동요홈부에 편심되어 연통되고 있는 상기 슬라이드요홈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 그 선단부로부터 출몰가능하고 돌출방향으로 힘이 작용되고 있는 슬라이드돌출부를 지니는 볼유니트를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요홈부에, 상기 슬라이드돌출부가 미끄럼운동하는 미끄럼운동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볼유니트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고, 출몰공을 지니는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내에 상기 출몰공으로부터 출몰가능하게 허용되는 상기 슬라이드돌출부인 볼베어링와, 상기 케이스체내에 허용되고, 상기 볼베어링을 돌출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힘작용부재로 구성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샤프트를 지니고, 상 기 회동캠기구가,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의 외주에 그 축주위에서 회동가능하고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캠과,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캠과 면접촉하는 제2캠과, 그 제2캠을 상기 제1캠에 힘을 가하는 힘작용수단과, 상기 제1캠의 접촉면과 상기 제2캠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캠돌출부와, 그 캠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 로크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캠돌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캠의 접촉면 및/ 또는 상기 제2캠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캠요홈부와, 상기 회동요홈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가 서로 회동하는 때, 그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제1캠만을 상기 샤프트에 대해 회동시키는 캠회동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에 케이스를 고정시키고, 그 케이스에, 상기 샤프트를 설치하며, 그 샤프트에, 상기 케이스에 결합하여 상기 샤프트의 축주위의 회동이 억제되는 상기 제2캠을 설치하고,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의 외주에 상기 제1캠을 설치하며, 상기 제2캠과 상기 케이스의 사이에 상기 힘작용수단을 설치하여, 개폐유니트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양측부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들의 양측부의 내측의 일단부근방에, 상기 개폐유니트를 각각 고정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의 양측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상기 슬라이드요홈부를 설치하며, 또한, 그 슬라이드요홈부의 일단부에 상기 회동요홈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에 의하면, 제1틀체와 제2틀체를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개폐시켜 제1틀체와 제2틀체의 폐쇄위치와 중간 개방위치와 전부 개방위치를 형성할 수 있고, 더욱, 전부 개방위치에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서로 중첩되는 폐쇄상태인 슬라이드위치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통상의 회동에 의한 개폐와 슬라이드에 의한 개폐의 양방의 동작을 행하여,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및 도2는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인 휴대전화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구의 일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는, 도1∼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로 되고,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11의 상면을 제1틀체11와 상기 제2틀체12의 어느 타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2틀체12로 덮는 폐쇄상태(도1(a) 및 (c)참조)와, 제1틀체11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도1(b) 및 도2참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휴대기기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자우루스(상표)등의 휴대정보단말기, 전탁, 포켓컴퓨터, 휴대게임기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휴대전화기를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기기로서는, 기타 재털이, 케이스덮개 등도 포함된다. 즉, 2개의 틀체를 서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휴대기기로서 휴대전화기10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틀체11는, 휴대전화기10의 송화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키보드부11a나 마이크부11b 등을 상면에 지니고 있다. 제1틀체11는, 양측부13, 13가 상면으로부터 윗 방향으로 각각 돌출한 대략 ㄷ자 형상으로서 평면에서 보아 가늘고 긴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틀체12는, 유사하게 휴대전화기10의 수화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12a, 스피커부12b 등을 일방의 면에 지니고 있다. 제2틀체12는, 길이방향의 길이가 제1틀체11의 길이방향의 길이와 대략 유사한 칫수임과 동시에, 폭방향의 길이가 제1틀체11의 양측부13, 13사이의 길이보다 짧은, 예를 들면, 약간 짧은 칫수의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제2틀체12의 두께는, 예를 들면, 제1틀체11의 측부13의 높이와 대략 유사한 칫수로 형성되고, 그 제2틀체12가 제1틀체11의 측부13, 13사이에 삽입되어 제1틀체11에 중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의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제1틀체11에 대해 제2틀체12를 회동시키거나, 그 길이방향의 직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이동시키거나 할 수 있도록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개폐기구1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휴대전화기10가 구성된다. 즉, 그 휴대전화기10는, 제1틀체11의 상면에 제2틀체12의 일방의 면이 서로 중첩되어 키보드부11a 등을 폐쇄함과 동시에, 제1틀체11의 상면으로부터 제2틀체12가 이동하여 키보드부11a 등을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10는, 개폐기구1에 의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개폐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폐쇄위치와 중간 개방위치와 전부 개방위치를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부 개방위치에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하는 슬라이드위치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구1는,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어느 일방, 예를 들면 제1틀체11에 설치된 결합돌출부2와, 그 결합돌출부2에 결합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어느 타방, 예를 들면 제2틀체12에 설치되는 회동요홈부3와, 그 회동요홈부3에 연통함과 동시에, 결합돌출부2에 결합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요홈부4와,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캠기구5와, 전부 개방위치에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슬라이드를 허용하는 슬라이드제어기구6로 구성한 것에 특징이 있다.
결합돌출부2는, 회동요홈부3와 결합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슬라이드요홈부4에 결합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결합돌출부2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샤프트21를 지니는 개폐유니트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유니트20는, 도3∼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틀체11의 측부13의 내면의 선단부(마이크부11b가 설치된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근방의 유니트수용부14에 삽입되어 수용되고 있다. 개폐유니트20는, 예를 들면, 유니트수용부 14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케이스22와, 그 케이스22에 설치되는 샤프트21와, 그 샤프트21에 설치되는 제1캠23 및 제2캠24과, 제2캠24 및 케이스22의 사이에 설치되는 힘작용수단25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22는, 유니트수용부14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바닥있는 대략 사각형 통형상에 형성되고 있다. 케이스22의 양측부는, 만곡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22의 바닥부에는, 샤프트21가 관통되는 관통공22a이 설치된다. 관통공22a은, 샤프트21의 직경보다 큰 직경, 예를 들면 약간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21는, 예를 들면, 중공형상, 즉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샤프트21의 선단부는, 직경이 확장된 플랜지부21a로서 형성되고 있다. 샤프트21의 후단부 근방의 외주에는, E링취부부21b가 설치되고, 샤프트21의 후단부를 관통공22a에 관통시켜 케이스22의 바닥부로부터 와셔28를 개재하여 노출시킨 E링취부부21b에 E링29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샤프트21가 케이스22에 고정된다. 또, 샤프트21의 선단면에는, 볼유니트70를 수용하는 볼유니트수용부21c가 설치된다.
제1캠23, 제2캠24 및 힘작용수단25이 회동캠기구5의 주된 구성요소이고, 그 회동캠기구5는, 예를 들면, 제1틀체11에 대해 제2틀체12를 소정의 위치에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회동캠기구5는, 예를 들면, 제1틀체11에 대해 제2틀체12를 0도∼180도의 각도의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는 경우, 0도, 150도 및 180도의 3개의 각도에서 로크상태에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 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의 각도라 함은, 제1틀체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제2틀체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의 각도(회동각도라고도 함)이고, 그 각도가 0도인 때에,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로 되도록 제1틀체11가 제2틀체12에 개폐기구1를 개재하여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0도라고 하는 때에는, 0도전후를 포함하는 것と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150도라고 하는 때에는, 150도전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180도라고 하는 때에는, 180도전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회동캠기구5는, 샤프트21의 선단부의 외주에 그 축주위에서 회동가능하고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캠23과, 샤프트21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제1캠23과 면접촉하는 제2캠24과, 제2캠24을 제1캠23에 힘을 가하는 힘작용수단25과, 제1캠23의 접촉면과 제2캠24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방의 면, 예를 들면 제1캠23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캠돌출부26와, 제1캠23의 접촉면과 제2캠24의 접촉면의 적어도 타방의 면, 예를 들면 제2캠24의 접촉면에 설치되고, 캠돌출부26と결합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캠요홈부27와, 회동요홈부3에 설치되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회동하는 때, 제1캠23 및 제2캠24중 제1캠23에만 결합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어느 타방과 함께 제1캠23을 회동시키는 캠결합부32로 구성되고 있다.
제1캠23은, 예를 들면, 케이스22와 대략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 제1캠23은, 양측부가 만곡상으로 형성된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샤프트21가 관통하는 관통공23a이 설치된다. 그 관통공23a은, 샤프트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서 플랜지부21a보다 직경이 작은 칫수, 예를 들면 샤프트21의 직경보다 약간 큰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캠23의 선단면(접촉면과는 반대측의 면)에는, 샤프트21의 플랜지부21a가 삽입되는 샤프트삽입부23b가 설치되고, 설치시, 샤프트21의 선단면과 제1캠23의 선단면이 대략 동일평면상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제1캠23의 접촉면(제1캠이라고도 함)에는, 예를 들면, 캠돌출부26가 2개 설치된다. 이들의 캠돌출부26는, 180도 간격으로 제1캠면에 설치된다. 즉, 2개의 캠돌출부26은 대칭으로 제1캠면에 설치된다. 이들의 캠돌출부26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선단부가 R형상의 대략 삼각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있다. 캠돌출부26사이의 캠면(캠돌출부이외의 캠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캠24은, 제1캠23과 같이, 예를 들면, 케이스22와 대략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제2캠24은, 양측부가 만곡형상으로 형성된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샤프트21가 관통하는 관통공24a이 설치된다. 그 관통공24a은, 샤프트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서 플랜지부21a보다 직경이 작은 칫수, 예를 들면 샤프트21의 직경보다 약간 큰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캠24의 양측부에는, 케이스22와 결합하여 제2캠24의 샤프트21의 축주위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24b가 설치되고, 제2캠24는 샤프트21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지만, 그 축주위에서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제2캠24의 접촉면에는, 캠돌출부26와 각각 결합하는 캠요홈부27가 4개 설치된다. 4개의 캠요홈부27 중의 2개는, 180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접촉면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회동각도가 0도 및 180도으로 2개의 캠돌출부26와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나머지의 2개의 캠요홈부27는, 180도 간격으로, 대칭되게 접촉면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회동각도가 150도에서 2개의 캠돌출부26와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4개의 캠요홈부27이외의 접촉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캠24의 나머지의 면(힘작용면이라고도 함)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힘작용면과 케이스22의 바닥부의 사이에는, 힘작용수단25이 설치된다.
힘작용수단25은,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25a 등이다. 압축코일스프링25a은, 예를 들면, 2개 설치되고, 각각 일단부가 제2캠24의 힘작용면에 접촉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케이스22의 바닥부에 접촉되며, 제2캠24을 제1캠23에 가압시키도록 힘을 가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제1캠23과 제2캠24의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각각 크게 되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그 회동범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1틀체11의 상면이 제2틀체12의 디스플레이부12a를 지니는 면으로 덮여진 상태가 폐쇄상태(제1폐쇄상태라고도 함)이다. 그 때의 회동각도가 0도이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는 폐쇄위치에 있다. 그 폐쇄위치로부터 제1 틀체11와 제2틀체12가 개방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동하여 회동각도가 150도에 되면, 캠돌출부26가 캠요홈부27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된다. 그 상태가 중간개방상태로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에서의 중간 개방위치이다. 더욱 중간 개방위치로부터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개방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동시켜 회동각도가 180도로 되면, 캠돌출부26가 캠요홈부27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된다. 그 상태가 전부 개방 개방상태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에 있어서의 전부 개방위치이다. 또, 결합돌출부2를 제1틀체11에 설치함과 동시에 회동요홈부3 및 슬라이드요홈부4를 제2틀체12에 설치하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개폐시키도록 하였지만, 결합돌출부를 제2틀체에 설치함과 동시에 회동요홈부 및 슬라이드요홈부를 제1틀체에 설치하고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개폐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볼유니트70는, 예를 들면, 케이스체71와 덮개체72와 슬라이드돌출부인 볼베어링73과 받침부재74와 힘작용부재인 압축코일스프링75으로 구성되어 있고, 샤프트21의 선단면의 볼유니트수용부21c에 수용된 때, 샤프트21의 선단면으로부터 볼베어링73의 일부만이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체71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71의 내부형상은, 원형으로 형성되지만, 대략 중앙부로부터 일단부(선단부라고 하기도 함)에 걸쳐 점차 직경이 수축되게 형성된다. 즉, 케이스체71의 선단부의 개구부(출몰공71a이라고도 함)는, 타단부(후단부라고 하기도 함)의 개구부보다 직경이 작은 칫수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71의 외형은, 긴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더욱 가늘고 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랜지부71b를 구성하고 있다.
그 케이스체71내에, 볼베어링73이 수용된다. 볼베어링73은, 출몰공71a의 직경보다 큰, 예를 들면, 약간 큰 칫수의 직경으로 형성되고, 케이스체71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출몰공71a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체71의 후단부의 개구부는, 덮개체72에 의해 폐쇄되고 있다. 덮개체72는, 후단부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케이스체71의 외형과 대략 유사한 형상의 긴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덮개체72는, 케이스체71의 후단부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초음파용접에 의해 케이스체71에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볼베어링73은, 케이스체7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 덮개체72가 고정된 케이스체71는 볼유니트수용부21c에 삽입되어 수용되면, 그 케이스체71의 선단부가 샤프트21의 선단면과 대략 동일평면상에 되도록, 케이스체71 및 덮개체72의 형상 및 칫수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케이스체71내에는, 볼베어링73을 지지하는 받침부재74가 수용되어 있다. 받침부재74는, 대략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재74의 일단부에는, 볼베어링7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볼베어링73의 직경과 유사한 직경의 반구형상의 지지부74a가 설치된다. 또, 받침부재74의 타단부에는, 힘작용부재인 압축코일스프링75의 일단부가 권취되는 스프링삽입부74b가 설치된다. 압축코일스프링75의 타단부는, 덮개체72의 내면에 접촉하여 있고, 볼베어 링73에 다른 힘이 작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압축코일스프링75의 힘에 의해 받침부재74를 개재하여 볼베어링73의 일부가 출몰공71a로부터 항상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샤프트21의 선단면의 볼유니트수용부21c에 볼유니트70가 수용된 때, 샤프트21의 선단면으로부터 볼베어링73의 일부가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회동요홈부3는,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돌출부2와 결합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회동요홈부3는, 예를 들면, 제2틀체12의 양측부의 스피커부12b측의 단부근방에 각각 설치된다. 회동요홈부3는, 제1틀체11의 측부13의 유니트수용부14에 수용되어 그 측부13로부터 돌출하여 있는 결합돌출부2인 개폐유니트20의 제1캠23 및 제2캠24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회동요홈부3는, 제1캠23이 삽입되는 제1요홈부31와 제2캠24이 삽입되는 제2요홈부32(캠결합부32라고도 함)와의 2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요홈부31는, 제1캠23을 감싸 결합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요홈부31는, 예를 들면, 제1캠23의 일방의 측부가 접촉 또는 근접하는 만곡부31a와, 제1캠23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접촉 또는 근접하는 직선캠부31b로 형성되어 있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회동한 때, 제2틀체12와 함께 제1캠23이 회동하도록, 즉, 제1캠23만이 샤프트21에 대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2요홈부32는, 제2캠24이 삽입되는 형상, 예를 들면, 제2캠24의 양측부의 만곡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의 원형상, 실제에는 원호상에 형성되어 있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회동한 때, 제1틀체11 및 샤프트21와 함께 제2캠24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1틀체11의 유니트수용부14에 수용된 개폐유니트20의 제1캠23 및 제2캠24이 회동요홈부3의 제1요홈부31 및 제2요홈부32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회동각도 0도∼180도의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요홈부4는, 개폐유니트20의 제1캠23 및 제2캠24과 결합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회동시키는 일 없이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다. 슬라이드요홈부4는, 회동요홈부3와 연통하는 가이드홈이고, 제2틀체12의 양측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에 걸쳐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요홈부4는, 제1요홈부31의 직선캠부31b사이와 연통된 단면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요홈부4의 홈을 형성하는 벽부사이의 길이는, 예를 들면, 제1캠23 또는 제2캠24의 상면과 하면의 간격보다 약간 긴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요홈부4의 벽부의 높이(홈의 깊이)는,서로 중첩되어 결합된 제1캠23 및 제2캠24이 슬라이드요홈부4에 삽입되어 결합할 수 있는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개폐유니트20의 제1캠23 및 제2캠24이 슬라이드요홈부4에 각각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그 길이방향으로, 즉 직선방향으로 폐쇄상태 와 개방상태 사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제어기구6는, 전부 개방위치에 있어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슬라이드제어기구6은, 디스플레이부12a가 상면에 위치되어 제2틀체12에 의해 제1틀체11의 상면이 덮여지는 일없이 제1틀체11의 상면이 노출하여 있는 회동각도가 180도의 전부 개방 개방상태(도1(b) 및 도2참조)인 때에,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회동하여 폐쇄동작을 행하던가, 서로 슬라이드하여 폐쇄동작을 행하던가 어떤 일방의 폐쇄동작을 행함과 동시에, 일단 어떤 일방의 동작이 행해진 때에는 다시 전부 개방위치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위치되지 아니하는 한, 다른 동작을 행할 수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슬라이드제어기구6은, 예를 들면, 샤프트21를 관통하는 관통공23a이 편심위치에 설치된 캠인 제1캠23와, 회동요홈부3에 편심되어 연통되여 있는 슬라이드요홈부4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캠23의 관통공23a은, 제1캠23의 상면 또는 하면의 어느 일방에 편심된 위치에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1캠23은, 샤프트21에 대해 편심하여 회동하도록 샤프트21에 지지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개폐유니트20를 유니트수용부14에 수용한 때, 샤프트21의 축 및 볼베어링73이 제1캠23의 상면측에 편심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 (A<B(도5(c)참조)).
회동요홈부3는, 제2틀체12의 측부의 일단부(스피커부12b측의 단부)근방에만, 즉, 슬라이드요홈부4의 일단부에만 배치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슬라이드요홈부4는, 회동요홈부3에 편심되어 연통되여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슬라이드요홈부4는, 회동요홈부3내의 샤프트21의 축에 대해 제2틀체12의 양측부의 어느 일방의 측부측에 편심하여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요홈부4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부12a를 지니는 면의 측부측으로 편심하여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C<D(도7(b)참조)). 이에 따라, 제1틀체11의 상면이 노출하여 있는 회동각도가 180도의 전부 개방상태(도1(b) 및 도2참조)인 때에,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회동하여 폐쇄동작을 행하던가, 서로 슬라이드하여 폐쇄동작을 행하던가의 어느 일방의 폐쇄동작을 행함과 함께,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슬라이드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되는 슬라이드위치인 폐쇄상태(제2폐쇄상태라고도 함)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회동요홈부3에는, 샤프트21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볼베어링73이 결합하는 구(球)면형상의 제1베어링결합부81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슬라이드요홈부4에는,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슬라이드하여 제1틀체11의 상면을 제2틀체12로 덮는 폐쇄상태인 때에, 그 상태를 유지하고자 볼베어링73이 결합되는 구면형상의 제2베어링결합부82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슬라이드요홈부4내에는, 볼베어링73이 미끄럼운동하는 미끄럼운동부83를 설치하여도 좋다. 미끄럼운동부83는, 베어링결합부81, 82보다 깊이가 얇은 예를 들면 단면 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운동부83는, 예를 들면, 제1베어링결합부81 및 제2베어링결합부82를 연결함과 동시에, 슬 라이드요홈부4를 따라 개폐유니트20가 슬라이드이동하는 때, 볼베어링73과 대향하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구1 및 휴대전화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휴대전화기10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통상의 상태에서는,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제1폐쇄상태이다. 그 제1폐쇄상태로서는, 도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틀체11의 상면의 키보드부11a 등이 디스플레이부12a가 설치된 면을 하면으로 한, 제2틀체12에 의해 폐쇄되여 있는 회동각도가 0도인 상태가 있다. 그 상태에서, 개폐유니트20의 제1캠23 및 제2캠24이 회동요홈부3에 삽입되어 결합하여 있지만, 회동각도가 0도에서, 캠돌출부26와 캠요홈부27가 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또, 제2캠24이 회동요홈부3의 제2요홈부에 삽입되여 있지만, 그 때의 제2캠24과 슬라이드요홈부4의 위치가 벗어나 있으므로, 개폐유니트20가 슬라이드요홈부4에 결합하는 것이 아니다. 즉,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슬라이드하는 일이 없다.
그 휴대전화기1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11를 왼손으로 잡고 제2틀체12를 오른 손으로 잡아 그 제2틀체12를 샤프트21의 축주위로 제1틀체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캠돌출부26가 캠요홈부27로부터 이탈하여(결합이 해제되어), 회동각도가 150도로 되면, 캠돌출부26가 캠요홈부27로 삽입, 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고, 중간 개방상태로 된다. 즉, 제2틀체12가 통화가능한 개방된 개방상태로 된다. 이것에 의해, 통화 등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더욱 제2틀체12를 회동시켜 회 동각도가 180도로 되면, 도1(b)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돌출부26가 캠요홈부27로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고, 전부 개방상태로 된다. 그 상태에 있어서도 통화 등이 가능하다.
통화 등의 후, 제1폐쇄상태에 복귀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제1틀체11를 왼 손으로 잡고 제2틀체12를 오른 손으로 잡아, 그 제2틀체12를 샤프트21의 축주위로 역방향인 폐쇄방향(제2틀체12과 제1틀체11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에 따라, 캠돌출부26와 캠요홈부27의 결합이 해제되어, 회동각도가 0도로 되면, 캠돌출부26가 캠요홈부27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제1폐쇄상태로 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10는, 통화이외에, 예를 들면, 통신회선을 이용한 기능 등에 의해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12a에 동화를 표시시켜 그 동화를 보는 경우에는, 중간개방상태 및 전부 개방상태에서 이용가능할 뿐만 아니라, 더욱 제2폐쇄상태에서도 이용가능하다. 또, 전부 개방상태 결국 회동각도가 180도로 되면, 제2틀체12가 제1틀체11에 대해 180도 회동하는 것에 의해, 제2캠24과 슬라이드요홈부4의 위치가 일치(대략 일치를 포함함)하므로, 그 전부 개방상태에서는,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회동하여 제1폐쇄동작을 행하던가, 서로 슬라이드하여 폐쇄동작을 행하던가의 어느 일방의 폐쇄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 때, 볼베어링73이 제1베어링결합부81에 결합하여 있므로, 슬라이드하는 일 없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전부 개방된 폐쇄상태로 유지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면, 제1틀체11를 왼 손으로 잡고, 동시에 제2틀체12를 오른 손으로 잡아, 그 제2틀체12를 제1틀체11에 대해 제1틀체11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볼베어링73이 제1베어링결합부81로부터 이탈하여(결합이 해제되어), 미끄럼운동부83를 미끄럼운동한다. 그리고, 개폐유니트20의 제1캠23 및 제2캠24이 슬라이드요홈부4의 단부에 접촉하면, 도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베어링73이 제2베어링결합부82에 결합하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제2폐쇄상태에서 유지된다. 그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2a를 상면으로 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중첩시킨 제2폐쇄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예를 들면, 그 디스플레이부12a에 표시시킨 동화를 보는 경우에는, 제2틀체12가 지장으로 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조작성이 향상된다.
그 제2폐쇄상태의 휴대전화기10를 개방하는 때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11를 왼손으로 잡고 동시에 제2틀체12를 오른 손으로 잡아, 그 제2틀체12를 제1틀체11에 대해 제1틀체11의 후단부로부터 선단부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따라, 볼베어링73이 제2베어링결합부82로부터 이탈하여(결합이 해제되어), 미끄럼운동부83를 미끄럼운동하고, 그리고, 개폐유니트20의 제1캠23 및 제2캠24이 슬라이드요홈부4의 단부에 접촉함과 동시에, 볼베어링73이 제1베어링결합부81에 결합하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전부 개방된 개방상태로 유지된다(도1(b) 및 도2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개폐기구1 및 휴대전화기10는,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개폐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폐쇄위치와 중간 개방위치와 전부 개방위치의 형성이 가능하고, 더욱, 전부 개방위치에 있어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시키는 제2폐쇄상태인 슬라이드위치의 형성이 가능하므로, 통상의 회동에 의한 개폐와 슬라이드에 의한 개폐의 양방의 동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회동시켜 개폐조작을 행하는 때, 캠돌출부26의 선단면이 캠요홈부27로부터 이탈하고, 제2캠의 캠요홈부27이외의 평면상의 접촉면에 접촉하면서 미끄럼운동하고 있는 때에, 제2틀체12의 회동을 멈추면, 캠돌출부26의 선단면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제2틀체12는그 위치에서 정지하다. 즉, 회동각도가 프리스탑각도이면, 그 각도에서 제2틀체12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서로 슬라이드시켜 개폐조작을 행하는 때, 제2틀체12를 제1틀체11에 대해 슬라이드시켜 있는 도중에 그 슬라이드를 정지하면, 그 위치에서 제2틀체12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틀체12를 제1틀체11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면, 볼베어링73이 슬라이드요홈부4내의 미끄럼운동부83에서 미끄럼운동하면서 압축코일스프링75의 힘에 의해 미끄럼운동부83로 가압된다. 그 때문에, 제2틀체12를 정지시키면, 볼베어링73과 미끄럼운동부83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제2틀체12는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제2틀체12를 제1틀체11에 대해 소망의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개폐하여 제1틀체와 제2틀체의 폐쇄위치와 중간 개방위치와 전부 개방위치의 형성이 가능하고, 더욱, 전부 개방위치에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서로 중첩시키는 폐쇄상태인 슬라이드위치의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통상의 회동에 의한 개폐와 슬라이드에 의한 개폐의 양방의 동작을 행할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되므로, 휴대단말의 중에서도 특히 휴대전화기로서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제1틀체와 제2틀체로 되고, 개폐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로 덮는 폐쇄상태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휴대기기에 있어서,
    항상 개폐기구에 의해,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그 일단부를 지점으로 하여 개폐하여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폐쇄위치와 중간 개방위치와 전부 개방위치의 형성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전부 개방위치에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가 서로 중첩시키는 슬라이드위치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구를,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에 설치된 결합돌출부와,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에 설치되고, 상기 결합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서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요홈부와, 그 회동요홈부로 연통함과 동시에, 상기 결합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서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요홈부와,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회동을 제어하는 회동캠기구와, 상기 전부 개방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슬라이드를 허용하는 슬라이드제어기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샤프트와, 그 샤프트의 외주에 그 축주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과 함께 회동하는 캠을 지니며, 상기 슬라이드제어기구가, 상기 샤프트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편심위치에 설치된 상기 캠과, 상기 회동요홈부에 편심되어 연통되여 있는 상기 슬라이드요홈부로 구성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 그 선단부로부터 출몰가능하고 돌출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는 슬라이드돌출부를 지니는 볼유니트를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요홈부에, 상기 슬라이드돌출부가 미끄럼운동하는 미끄럼운동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볼유니트가, 상기 샤프트에 설치되고, 출몰공을 지니는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내에 상기 출몰공으로부터 출몰가능하게 수용되는 상기 슬라이드돌출부인 볼베어링과, 상기 케이스체내에 수용되고, 상기 볼베어링을 돌출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힘작용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기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출부가 샤프트를 지니며, 상기 회동캠기구가,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의 외주에 그 축주위로 회동가능하고 그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제1캠과,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캠과 면접촉하는 제2캠과, 그 제2캠을 상기 제1캠으로 힘을 가하는 힘작용수단과, 상기 제1캠의 접촉면과 상기 제2캠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캠돌출부와, 그 캠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캠돌출부와 대향하는 상기 제1캠의 접촉면 및/ 또는 상기 제2캠의 접촉면에 설치되는 캠요홈부와, 상기 회동요홈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가 서로 회동하는 때, 그 회동에 수반하여 상기 제1캠만을 상기 샤프트에 대해 회동시키는 캠회동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에 케이스를 고정하고, 그 케이스에, 상기 샤프트를 설치하고, 그 샤프트에, 상기 케이스와 결 합하여 상기 샤프트의 축주위의 회동이 억제되는 상기 제2캠을 설치하고,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의 외주에 상기 제1캠을 설치하며, 상기 제2캠과 상기 케이스의 사이에 상기 힘작용수단을 설치하여, 개폐유니트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를, 그 양측부를 ㄷ자 형상으로 형성하고, 이들의 양측부의 내측의 일단부근방에, 상기 개폐유니트를 각각 고정하며,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의 양측부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상기 슬라이드요홈부를 설치하고, 또한, 그 슬라이드요홈부의 일단부에 상기 회동요홈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
KR1020060025612A 2005-03-25 2006-03-21 휴대기기 KR1006931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88863 2005-03-25
JP2005088863A JP2006266453A (ja) 2005-03-25 2005-03-25 携帯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121A true KR20060103121A (ko) 2006-09-28
KR100693179B1 KR100693179B1 (ko) 2007-03-14

Family

ID=37015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5612A KR100693179B1 (ko) 2005-03-25 2006-03-21 휴대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216977A1 (ko)
JP (1) JP2006266453A (ko)
KR (1) KR100693179B1 (ko)
CN (1) CN1838689A (ko)
TW (1) TW20070411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20319B2 (ja) * 2007-03-22 2011-11-24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端末
JP2011160399A (ja) * 2010-01-06 2011-08-1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スライド回転装置、スライド回転方法、及び携帯端末装置
KR20190041065A (ko) * 2017-10-12 2019-04-22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유한회사 힌지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66181B1 (en) * 2002-08-30 2004-07-20 Nokia Corporation Folding mobile station with dual-movement hinge
KR100678041B1 (ko) * 2003-11-24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회전성 힌지 수단을 구비한 휴대용 디지털 통신장치
KR100532334B1 (ko) * 2003-11-26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 타입 휴대용 디지털 통신 장치
US7099708B2 (en) * 2004-01-14 2006-08-29 Nokia Corporation Foldable/Slidable Function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KR100834626B1 (ko) * 2004-05-06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자기 거치 기능을 구비한 슬라이딩/스윙 타입 휴대 장치
KR100678162B1 (ko) * 2004-11-15 2007-0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겸용 폴딩형 휴대 통신 장치
KR100651471B1 (ko) * 2005-01-12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US7158817B2 (en) * 2005-03-17 2007-01-02 Masaharu Kubo Portable terminal
US8352000B2 (en) * 2006-08-22 2013-0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having dual connection member and hinge device thereof
US8126519B2 (en) * 2007-08-31 2012-02-28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Housing for mobile computing device having construction to slide and pivot into multiple posi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16977A1 (en) 2006-09-28
CN1838689A (zh) 2006-09-27
TW200704119A (en) 2007-01-16
KR100693179B1 (ko) 2007-03-14
JP2006266453A (ja) 2006-10-05
TWI299951B (ko) 2008-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893B1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KR100630424B1 (ko) 휴대단말용 힌지
KR101733806B1 (ko) 휴대용 단말기
JP4731539B2 (ja) ヒンジ機構
EP1507388B1 (en) Foldable mobile phone with one touch opening function
KR100742289B1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JP2009222079A (ja) 2軸ヒンジ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20060093654A (ko)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KR20050016127A (ko) 휴대단말용 힌지
EP1926290B1 (en) Swing hinge device for a portable terminal
US7334296B2 (en)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693179B1 (ko) 휴대기기
KR100600614B1 (ko) 휴대단말기용 힌지
KR20070111338A (ko) 힌지장치 및 휴대기기
KR20070033438A (ko) 이축 힌지장치
KR100754414B1 (ko) 휴대기기
KR20050042411A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KR20060092778A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힌지 모듈
KR100610373B1 (ko) 양 방향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200428621Y1 (ko) 스윙 폰의 반자동스윙힌지장치
KR200372886Y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전장치
KR100650984B1 (ko) 전자기기용 개폐장치
KR100628916B1 (ko) 휴대용단말기의 회전장치
KR10058573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881579B1 (ko) 멀티 모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