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3654A -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093654A KR20060093654A KR1020060016065A KR20060016065A KR20060093654A KR 20060093654 A KR20060093654 A KR 20060093654A KR 1020060016065 A KR1020060016065 A KR 1020060016065A KR 20060016065 A KR20060016065 A KR 20060016065A KR 20060093654 A KR20060093654 A KR 200600936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 shaft
- frame body
- frame
- recess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2
- 101000794560 Arbacia punctulata Calmodulin-beta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4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9966 trim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019 ag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6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0—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non-parallel pin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폐조작가 용이하게 행하여짐과 동시에 2방향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한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위해,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시킨 폐쇄상태로부터, 상하방향의 1방향와 좌우방향의 1방향의 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개폐시키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제2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를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초부와, 그 기초부에 대한 상기 제1샤프트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1캠기구와, 상기 기초부에 대한 상기 제2샤프트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2캠기구와,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가, 폐쇄상태인 때, 서로 상기 2방향의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개폐가능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가 상기 2방향의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개폐하여 폐쇄상태이외의 상태로 된 때, 상기 2방향의 어느 타방의 방향으로의 개폐를 로크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한다.
휴대기기, 힌지장치, 상하방향, 좌우방향
Description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일예에 있어서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일예에 있어서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일예에 있어서의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4는, 도2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로크기구을 나타내는 측면측면도이다.
도5는, 도3에 있어서의 본 발명에 따른 로크기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평면도, (d)는 배면도, (e)는 기초부가 없는 상태의 배면도, (f)는 측면도, (g)는 기초부가 없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로크기구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9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기구의 다른 예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기초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 및 (b)는 사시도, (c)는 평면도, (d)는 (c)중의 선A-A 단면도, (e)는 (c)중의 선B-B 단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샤프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샤프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캠A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 (d)는 평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캠B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측면도, (d)는 저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캠A체71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측면도, (c)는 정면도, (d)는 평면도이다.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캠B체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이다.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로크샤프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힌지장치 2: 제1샤프트
3: 제2샤프트 4: 기초부
5: 로크기구 6: 제1캠기구
7: 제2캠기구 10: 휴대전화기
11: 제1틀체 12: 제2틀체
본 발명은, 중첩구조의 휴대전화기 등의 휴대기기와 같이, 키보드부 또는 마이크부 등을 설치한 제1틀체와 표시부 또는 스피커부 등을 설치한 제2틀체를 서로 개폐가능하게 구성한 것에 이용하기 적합한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의 일종인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키보드부 또는 마이크부 등을 상면에 설치한 송화부로서의 제1틀체와, 디스플레이부 또는 스피커부 등을 설치한 수화부으로서의 제2틀체를 지니며, 이들의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힌지장치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중첩된 휴대전화기가 시장에 나와있다. 그 중첩된 휴대전화기는, 제1틀체의 상면후부에 대하여 제2틀체가 힌지장치를 개재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제1틀체의 상면의 송화부에 제2틀체를 중첩시켜서 밀착시키고 송화부을 폐쇄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함께, 중첩시킨 상태(폐쇄상태)를 해제하고 그 송화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통상적으로는,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중첩된 폐쇄상태에서 송화부가 폐쇄되어 있기 때문에, 송화부를 노출시키는 데에는, 예를 들면, 일방의 손으로 제1틀체를 쥐고, 타방의 손으로 제2틀체를 잡아서 송화부가 노출하도록(송화부로부터 제2틀체의 하면이 멀어지도록)그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하여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 송화부를 노출시킨 개방상태로 하여 휴대전화기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근년, 휴대전화기로서는, 통화기능이외에 인터넷 등의 통화기능을 이용한 기능 또는 게임기능 등의 다종다양한 기능을 구비한 것이 시장에 나와있다. 그와 같은 휴대전화기는, 표시부를 종장으로만 이용하는 것밖에 가능하지 않으면,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것이 가능하지않다. 즉, 힌지장치는, 폭방향을 축으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서로 회동가능하게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연결하는 것이고, 1방향밖에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고, 표시부를 종장으로만 이용하는 것밖에 가능하지 않았다. 그 때문에, 제1틀체와 제2틀체를 길이방향으로 개폐시키는 이외에 폭방향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를 이용한 휴대전화기가 제안되어 있다. 그 공지문헌으로서, 일본국 특개2003-110673호의 공개특허공보를 들 수 있다.
그 특허문헌1에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2방향으로 개폐시키는 힌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 힌지장치는,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축을 축으로 하여 길이방향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축을 축으로 하여 폭방향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연결하는 것이고, 그 결과, 표시부를 종장 및 횡장의 2가지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1방향, 예를 들면, 길이 방향으로 개폐시키는 때 또는 제1틀체와 제2틀체가 길이방향으로 회동되어 개방된 개방상태로 되어있는 때, 더욱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서로 다른 1방향, 예를 들면, 폭방향으로도 회동가능하다. 그 때문에,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소망의 방향으로 개폐시키는 때에 다른 방향으로도 개폐하므로, 소망의 방향으로만 개폐시키기 어렵고, 이에 따라 개폐조작이 어려웠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개폐조작이 용이하게 행하여짐과 동시에 제1틀체와 제2틀체를 2방향으로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한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그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는,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시킨 폐쇄상태로부터, 상하방향의 1방향와 좌우방향의 1방향의 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개폐시키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제2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를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초부와, 그 기초부에 대한 상기 제1샤프트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1캠기구와, 상기 기초부에 대한 상기 제2샤프트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2캠기구와,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가, 폐쇄상태인 때, 서로 상기 2방향의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개폐가능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가 상기 2방향의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개폐하여 폐쇄상태이외의 상태로 된 때, 상기 2방향의 어느 타방의 방향으로의 개폐를 로크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발명에 의하면, 제1틀체 및 제2틀체는, 폐쇄상태인 때, 2방향의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개폐가능하고, 어떤 일방의 방향으로 서로 개폐시키면, 타방의 방향 으로의 개폐가 로크된다. 그 때문에, 제1틀체 및 제2틀체를 일방의 방향으로 개폐시키는 때에는, 다른 방향으로 개폐하지 아니하므로, 일방의 방향으로의 개폐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가, 상기 제1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1샤프트와 함께 회동하는 제1캠과, 상기 제2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2샤프트와 함께 회동하는 제2캠과,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의 어느 일방의 샤프트가 회동하여 상기 폐쇄상태이외의 상태로 되면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의 어느 타방의 샤프트의 캠에 결합하여 그 타방의 샤프트의 회동을 로크하며, 상기 일방의 샤프트가 회동하여 상기 폐쇄상태로 되면 상기 타방의 샤프트의 캠으로의 결합이 해제되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로크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캠이, 외주면의 일부에 제1캠요홈부를 지니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캠이, 외주면의 일부에 제2캠요홈부를 지니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크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1캠요홈부에 삽입되어 결합한 때, 타단부가 상기 제2캠요홈부로부터 멀어짐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제2캠요홈부에 삽입되어 결합한 때, 일단부가 상기 제1캠요홈부로부터 멀어지는, 이동가능한 로크샤프트를 지니며, 상기 폐쇄상태인 때, 상기 로크샤프트의 일단부가 상기 제1캠요홈부에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타단부가 상기 제2캠요홈부에 결합되고, 상기 로크샤프트의 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캠요홈부 또는 상기 제2캠요홈부가 회동하면, 그 상기 제1캠요홈부 또는 상기 제2캠요 홈부로부터 상기 로크샤프트의 단부가 이탈함과 동시에, 상기 로크샤프트의 나머지의 단부가 상기 제2캠요홈부 또는 상기 제1캠요홈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로크샤프트가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샤프트가, 상기 제1캠요홈부 및 상기 제2캠요홈부의 어느 일방에 결합하도록 가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가, 상기 제1샤프트에 설치되고, 캠부를 지니는 제1캠과, 상기 제2샤프트에 설치되고, 캠부를 지니는 제2캠을 구비하고,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의 어느 일방의 샤프트가 회동하여 폐쇄상태이외의 상태로 되면,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의 어느 타방의 샤프트에 설치된 캠의 캠부가 상기 일방의 샤프트에 설치된 캠의 캠부이외에 결합하여 상기 타방의 샤프트의 회동을 로크함과 동시에 상기 일방의 샤프트의 회동을 허용하며, 상기 일방의 샤프트가 회동하여 폐쇄상태로 되면, 상기 타방의 샤프트의 캠의 캠부의 상기 일방의 샤프트에 설치된 캠의 캠부이외로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캠기구가, 상기 제1샤프트에 고정된 제1캠A체와, 상기 기초부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1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캠A체와 면접촉하는 제1캠B체와, 상기 제1캠A체의 접촉면와 상기 제1캠B체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제1캠결합돌출부와, 상기 제1캠A체의 접촉면와 상기 제1캠B체의 접촉면의 적어도 타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캠결합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에 대한 상기 제2틀체의 위치를 소 정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제1캠결합요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캠기구가, 상기 제2샤프트에 고정된 제2캠A체와, 상기 기초부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2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캠A체와 면접촉하는 제2캠B체와, 상기 제2캠A체의 접촉면와 상기 제2캠B체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제2캠결합돌출부와, 상기 제2캠A체의 접촉면와 상기 제2캠B체의 접촉면의 적어도 타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2캠결합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에 대한 상기 제2틀체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제2캠결합요홈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는, 상기의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폐쇄상태의 제1틀체 및 제2틀체를, 2방향의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서로 개폐시키면, 타방의 방향으로의 개폐가 로크되어 다른 방향으로 개폐하는 일이 없으므로,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폐쇄상태의 제1틀체 및 제2틀체를, 2방향의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서로 개폐시키면, 타방의 방향으로의 개폐가 로크되어 다른 방향으로 개폐하는 일이 없으므로,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도3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로크기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 및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는, 도1∼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을 2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연결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제1틀체11와 제2틀체12의 어느 타방의 틀체로 덮는 폐쇄상태(도1참조)와,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도2 및 도3참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휴대기기으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자우루수(상표) 등의 휴대정보단말기, 전탁(電卓), 포켓트 컴퓨터, 휴대게임기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휴대전화기가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기기으로서는, 기타, 재털이, 케이스 덮개 등도 포함된다. 즉, 2개의 틀체를 서로 회동시키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실시의 형태로는, 휴대기기로서 휴대전화기10에 대해 설명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틀체11는, 휴대전화기10의 송화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키보드부 또는 마이크부 등을 상면에 지닌다. 제1틀체11는, 세장의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틀체12는, 유사하게 휴대전화기10의 수화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 스피커부, 카메라부 등을 지닌다. 제2틀체12는, 제1틀체11와 대략 동일하게 세장의 사각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들의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제1틀체11에 대하여 제2틀체12를 그 길이방향(상하방향 의 1방향이라고도 한다) 및 그 폭방향(좌우방향의 1방향이라고도 한다)의 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개폐가능하게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힌지장치1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휴대전화기10가 구성된다. 즉, 그 휴대전화기10는, 제1틀체11의 상면에 제2틀체12의 하면이 서로 중첩되어 송화부를 폐쇄함과 동시에, 제1틀체11의 상면으로부터 제2틀체12의 하면이 멀어져 송화부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1는,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취부되고 그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샤프트2와,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의 어느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고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샤프트3와, 제1샤프트2 및 제2샤프트3를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초부4와, 기초부4에 대한 제1샤프트2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1캠기구6와, 기초부4에 대한 제2샤프트3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2캠기구7와,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폐쇄상태인 때, 2방향중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개폐회동가능하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2방향중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개폐하여 폐쇄상태이외의 상태인 때, 2방향중 어느 타방의 방향으로의 개폐를 로크하는 로크기구5를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다.
기초부4는, 도1∼도7 및 도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샤프트2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1샤프트부41와, 제2샤프트3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샤프트부42와, 제1샤프트부41와 제2샤프트부42를 연결하는 연결부43로 된다. 연결부43는, 통체 형상, 예를 들면, 대략 사각형상, 도시예에서는 약 정방형 통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부43의 길이(길이방향의 길이)는,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중첩시킨 때의 이들 틀체의 두께와 같거나, 그 두께보다 약간 길거나 짧은 칫수로 형성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43는,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중첩시킨 때의 4개의 모서리부의 임의의 1개의 모서리부에 틀체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43내의 중앙부보다 약간 제1틀체11측에는, 연결부43내를 구분하는 사절벽(仕切壁)44이 설치되어 있다. 그 사절벽44의 중앙부에는, 사절벽44을 관통하는 원통형상의 관통부45가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43의 제1틀체11측의 단부근방으로서 길이가 짧은 측단부(측단(側短)단부라고도 한다)측의 표면에는, 그 폭방향으로서 그 측단단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예를 들면, 약 원통형상의 제1샤프트부41가 예를 들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1샤프트부41는, 제1샤프트2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고, 그 제1샤프트2을 축으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샤프트부41내의 연결부43의 표면에는, 제1샤프트부41보다 직경이 작은 제1삽입관통공43a가 설치되어 있다. 제1샤프트부41의 대략 중앙부보다 선단부까지의 내주로서 서로 대향하는 2개소에는, 제1감합요홈부46가 각각 설치되어 회전멈춤수단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연결부43의 제2틀체12측의 단부근방으로서 길이가 긴 측단부(측장(側長)단부라고도 한다)측의 표면에는, 그 측장단부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샤프트부42가 예를 들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제2샤프트부42는, 제2샤프트3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이고, 그 제2샤프트3를 축으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제2샤프트부42내의 연결부43의 표면에는, 제2샤프트부42보다 직경이 작은 제2삽입관통공43b가 설치되어 있다. 제2샤프트부42의 내주로서 서로 대향하는 2개소에는, 제2감합요홈부47가 각각 설치되어 회전멈춤수단으로서 형성된다.
제1샤프트2는, 도5, 도7 및 도11에서와 같이, 제1샤프트부41의 제1삽입관통공43a에 삽입관통되어 제1샤프트부4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제1샤프트2는, 일단부에 제1캠부21가 설치되어 있다. 제1캠부21는, 제1샤프트부41의 제1삽입관통공43a의 직경보다 큰 칫수의 직경의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캠부21의 외주면에는, 그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U자형상의 제1캠요홈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제1샤프트2는, 제1삽입관통공43a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 예를 들면 약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샤프트2의 길이는, 제1캠부21가 연결부43내에 위치됨과 동시에, 타단부인 선단부가 제1샤프트부41로부터 돌출하는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샤프트부41로부터 돌출하는 제1샤프트2의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의 일부를 축방향이면서 평행하게 평면상으로 절결하여 형성된 결합부2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제1샤프트부41로부터 돌출하는 제1샤프트2에는, 3개의 제1취부공24, 제2취부공25 및 제3취부공26이 설치되어 있다. 선단부로부터 2개의 제1취부공24 및 제2취부공25은, 제1샤프트2를 제1틀체11에 나사 또는 볼트 등의 취부부재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나머지의 제3취부공26은, 제1캠기구6의 제1캠A체61을 제1샤프트2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제1캠기구6는, 소정의 위치에 제1샤프트2을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제1샤프트2가 제1샤프트부41에 대하여, 즉, 제2틀체12가 제1틀체11에 대하여 제1샤프트2를 축으로 0도∼180도의 각도의 범위에서 회동할 수 있는 경우, 예를 들면, 0도 및 172도의 2개의 각도면에서 제1샤프트2를 로크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의 각도는, 제1샤프트2의 축을 교점으 로 하는 제1틀체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와 제2틀체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과 평행한 직선과의 각도(제1회동각도라고도 한다)이고, 그 각도가 0도인 때에,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로 되도록 제2틀체12가 제1틀체11에 제1샤프트2을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0도라고 하는 때에는, 0도전후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172도라고 하는 때에는, 172도전후을 포함한다.
제1캠기구6는, 예를 들면, 제1샤프트2의 선단부근방의 외주에 고정되어 있는 제1캠A체61와, 제1샤프트2에 설치되고 제1캠A체61와 면접촉하는 제1캠B체62와, 제1캠A체61 및 제1캠B체62의 접촉면의 적어도 1면 예를 들면 제1캠A체61의 접촉면에 설치된 제1캠결합돌출부63와, 그 제1캠결합돌출부63가 설치된 면와 대향하는 제1캠A체61 및 제1캠B체62의 접촉면 예를 들면 제1캠B체62의 접촉면에 설치되고, 제1캠결합돌출부63와 결합하는 제1캠결합요홈부64와, 가압수단인 압축코일스프링65으로 구성된다.
제1캠A체61는, 도7 및 도13에서와 같이, 예를 들면,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캠A체61는, 제1샤프트부41의 내경보다 직경이 큰 칫수의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캠A체61의 내부(내공라고도 한다)는, 제1샤프트2의 결합부23에 그 축주위로 회전하는 일없이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캠A체61에는, 그 직경방향으로 연장하여 관통하는 삽입공61a가 설치되어 있다. 제1캠A체61는, 제1샤프트부41로부터 돌출하는 제1샤프트2의 결합부23를 내공에 결합하여 삽입공61a와 제3취부공26을 구멍맞춤한 후, 이들공61a,26에 핀, 나사, 볼트 등의 취부부재, 예를 들면 핀66을 삽입관통하여 핀66의 양단부를 코킹이나 리벳팅하는 것에 의해, 제1캠A체61가 제1샤프트2의 선단부 근방에서 회전하는 일 없이 고정되어 있다.
제1캠A체61의 제1샤프트부41측의 면(접촉면이라고도 한다)에는, 제1캠결합돌출부63가 2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제1캠결합돌출부63는, 180도간격으로 제1캠A체61의 접촉면에 설치되어 있다. 즉, 2개의 제1캠결합돌출부63는 대칭으로 접촉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제1캠결합돌출부63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선단부가 R형상의 대략 삼각형상으로 접촉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캠B체62는, 도7 및 도14에서와 같이, 제1샤프트부41내에 위치되는 캠체이고, 대략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캠B체62의 외형은, 예를 들면, 제1샤프트부41의 내형보다 약간 작은 대략 동일 형상, 즉, 원형의 2개소를 제1감합요홈부46에 결합하도록 돌출시킨 제1감합돌출부62a를 지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캠B체62의 내형(내공라고도 한다)는, 제1샤프트2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칫수의 직경의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캠B체62는, 그 내공に제1샤프트2가 삽입관통되어 제1샤프트2에 취부됨과 동시에, 조립시, 제1샤프트부41내에 제1감합요홈부46와 제1감합돌출부62a가 결합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고, 제1샤프트2의 축방향에는이동가능하지만, 그 축주위에는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제1캠B체62의 제1캠A체61측의 면(접촉면라고도 한다)에는, 제1캠결합돌출부63와 각각 결합하는 제1캠결합요홈부64가 그 원주방향으로 180도 간격으로 2개 설 치되어 있다. 2개의 제1캠결합요홈부64는 대칭으로 접촉면에 설치되고 있고, 예를 들면, 제1회동각도가 -8도 및 172도로 2개의 제1캠결합돌출부63와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제1캠결합요홈부64의 제1캠결합돌출부63와 결합하는 제1회동각도는 0도보다 마이너스의 각도가 바람직하며, 또, -8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8도이외의 각도라도 좋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8도라고 하는 때에는, -8도전후를 포함한다.
제1캠결합요홈부64는, 저부64a와, 그 저부64a를 형성하기 위한 2개의 경사부64b로 되고, 그 저부64a가, 제1회동각도에 있어서의 -8도 및 172도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경사부64b의 폭은, 회동각도에 있어서의 90도의 범위보다 약간 작은 각도에 대응한 칫수로 형성되어 있고, 제1캠B체62의 접촉면의 거의가 제1캠결합요홈부64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제1캠결합요홈부64의 사이의 접촉면은, 거의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 제1캠B체62의 나머지의 면(가압면62b이라고도 한다)은,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가압면62b과 제1샤프트부41내의 연결부43의 벽과의 사이로서 제1샤프트2의 외주에는, 가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수단는,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65 등이다. 압축코일스프링65은, 예를 들면, 제1샤프트2의 외주에 환권되어 설치되고, 일단부가 제1샤프트부41내의 연결부43의 벽에 접촉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단부가 제1캠B체62의 가압면62b에 접촉하여, 제1캠B체62를 제1캠A체61측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제1캠A체61와 제1캠B체62 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이 각각 크게 되어 제1샤프트2를 제1샤프트 부41의 회동범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샤프트부41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있다. 곧, 제1샤프트2에 와셔67를 장착하여, 그 제1샤프트2의 선단부를, 연결부43의 제1장착공43c으로부터 제1삽입관통공43a에 삽입관통하여 연결부43의 제1샤프트부41보다 외측의 벽에 와셔67을 개재하여 제1캠부21을 접촉시킨다. 그 때, 제1샤프트부41의 선단부보다 제1샤프트2의 선단부가 돌출한다. 그 제1샤프트2의 선단부로부터 제1샤프트2의 외주에, 압축코일스프링65 및 제1캠B체62을 순차 설치한다. 설치후, 그 제1샤프트2의 결합부23에 제1캠A체61를 결합하여 취부하고, 제1캠A체61를 제1캠B체62에 접촉하여 제1캠B체62를 압축코일스프링6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1샤프트부41내에 압입시키며, 삽입공61a과 제3취부공26을 구멍맞춤한 후, 이들공61a, 26에, 예를 들면 핀66을 삽입관통하여 핀66의 양단부를 코킹이나 리벳팅하는 것에 의해, 제1샤프트부41가 조립된다. 이에 따라, 제1샤프트부41는, 부품점수가 적게 되고, 조립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한 제1샤프트부41에 대하여 제1샤프트2를 회동시킨 경우에, 제1캠결합돌출부63가 제1캠결합요홈부64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지 아니한 때, 즉, 제1캠결합돌출부63의 선단부 및 그 근방이 제1캠결합요홈부64의 경사부64b에 접촉하여 있는 때에, 제1샤프트2의 회동을 멈추면, 제1캠결합돌출부63가 그 경사부64b에 연하여 자동적으로 저부64a 방향으로 이동하여 저부64a 또는 그 근방에 도달하며, 그 회동이 정지하여 로크상태로 된다. 즉, 자동적으로 로크상태에 유지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0도∼약82도가 0도의 폐쇄상태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는 폐쇄영역이 고, 대략 82도∼172도가 개방상태으로 자동적으로 이동하는 개방영역이다. 또, 제1캠결합요홈부64의 경사부64b의 각도 또는 폭 등을 임의로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자동로크각도(자동적으로 로크상태로 되는 각도를 말한다)를 소망의 각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2샤프트3는, 도4, 도5, 도7 및 도12에서와 같이, 제2샤프트부42의 제2삽입관통공43b에 삽입관통되어 제2샤프트부42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이다. 제2샤프트3는, 일단부에 제2캠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제2캠부31는, 제2샤프트부42의 제2삽입관통공43b의 직경보다 큰 칫수의 직경의 원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캠부31의 외주면에는, 그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U자상의 제2캠요홈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제2샤프트3는, 제2삽입관통공43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 예를 들면 약간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샤프트3의 길이는, 제2캠부31가 연결부43내에 위치됨과 동시에, 타단부인 선단부가 제2샤프트부42로부터 돌출하는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샤프트부42로부터 돌출하는 제2샤프트3의 외주면에는, 그 외주면의 일부를 축방향으로 또한 평행하게 평면상으로 절결하여 형성된 결합부33가 설치되어 있다. 그 제2샤프트부42로부터 돌출하는 제2샤프트3의 선단부근방의 외주에는, 멈춤링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홈34이 그 원주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 제2샤프트부42로부터 돌출하는 제2샤프트3에는, 제2캠기구7의 제2캠A체71를 제2샤프트3에 고정시키는 캠취부공35가 설치되어 있다.
제2캠기구7는, 소정의 위치에 제2샤프트3를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것이고, 예 를 들면, 제2샤프트3가 제2샤프트부42에 대하여, 즉, 제1틀체11에 대하여 제2샤프트3을 축으로 0도∼170도의 각도의 범위에서 제2틀체12가 회동할 수 있는 경우, 0도, 140도 및 170도의 3개의 각도에서 제2샤프트3를 로크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의 각도는, 제2샤프트3의 축을 교점으로 하는 제1틀체1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에 평행한 직선과 제2틀체12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에 평행한 직선과의 각도(제2회동각도라고도 한다)이고, 그 각도가 0도인 때에,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로 되도록 제1틀체11가 제2틀체12에 제2샤프트3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140도라고 하는 때에는, 140도전후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170도라고 하는 때에는, 170도전후을 포함한다.
제2캠기구7는, 예를 들면, 제2샤프트3의 선단부 근방의 외주에 고정되어 있는 제2캠A체71와, 제2샤프트3에 취부되고, 제2캠A체71와 면접촉하는 제2캠B체72와, 제2캠A체71 및 제2캠B체72의 접촉면의 적어도 1면 예를 들면 제2캠A체71의 접촉면에 설치된 제2캠결합돌출부73와, 그 제2캠결합돌출부73가 설치된 면와 대향하는 제2캠A체71 및 제2캠B체72의 접촉면 예를 들면 제2캠B체72의 접촉면에 설치되고, 제2캠결합돌출부73와 결합하는 제2캠결합요홈부74와, 가압수단인 압축코일스프링75으로 구성된다.
제2캠A체71는, 도7 및 도15에서와 같이, 예를 들면,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캠A체71는, 제2샤프트부42의 내경보다 직경이 큰 칫수의 외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캠A체71의 내부(내공라고도 한다)는, 제2샤프트3의 결합부33에 그 축주위를 회전하는 일 없이 결합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캠A체71에는, 그 직경방향으로 연장하여 관통하는 삽입공71a가 설치되어 있다. 제2캠A체71는, 제2샤프트부42로부터 돌출하는 제2샤프트3의 결합부33를 내공에 결합하고 삽입공71a과 캠취부공35를 구멈맞춤한 후, 이들공71a, 35에 핀, 나사, 볼트 등의 취부부재, 예를 들면 핀77을 삽입관통하여 핀77의 양단부를 코킹이나 리벳팅하는 것 것에 의해, 제2캠A체71가 제2샤프트3의 선단부 근방에 회전하는 일없이 고정되어 있다.
제2캠A체71의 선단부측에는, 제2틀체12에 취부되기 위한 틀체취부부재76가 설치되어 있다. 틀체취부부재76는, 제2샤프트3에 그 축주위를 회동하는 일 없이 취부되는 취부부76a와, 그 취부부76a에 설치되고, 예를 들면, 나사, 볼트, 핀 등에 의해서 제2틀체12를 취부하기 위한 취부공76b이 설치되어 있다.
제2캠A체71의 제2샤프트부42측에는, 링형상의 캠부71b가 설치되어 있다. 캠부71b는, 제2샤프트부42의 내경보다 큰 칫수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캠부71b의 선단면(캠면71c라고도 한다)에는, 제2캠결합돌출부73가 2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제2캠결합돌출부73는, 180도간격으로 제2캠A체71의 캠면71c에 설치되어 있다. 즉, 2개의 제2캠결합돌출부73는 대칭으로 접촉면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제2캠결합돌출부73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아니하지만, 선단부가 R형상의 대략 삼각형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캠결합돌출부73사이의 캠면(제2캠결합돌출부73이외의 캠면)71c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캠B체72는, 도7 및 도16에서와 같이, 제2샤프트부42내에 위치되는 캠체이 고, 대략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캠B체72의 외형은, 예를 들면, 제2샤프트부42의 내형보다 약간 작은 대략 동일형상, 즉, 원형의 2개소를 제2감합요홈부47에 결합하도록 돌출시킨 제2감합돌출부72a를 지니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캠B체72의 내형(내공라고도 한다)은, 제2샤프트3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칫수의 직경의 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캠B체72는, 그 내공에 제2샤프트3가 삽입관통되어 제2샤프트3에 취부됨과 동시에, 조립시, 제2샤프트부42내에 제2감합요홈부47와 제2감합돌출부72a가 결합한 상태로 수용되어 있고, 제2샤프트3의 축방향으로는이동가능하지만, 그 축주위에는 회전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제2캠B체72의 제2캠A체71측의 면(접촉면72c라고도 한다)에는, 제2캠결합돌출부73와 각각 결합하는 제2캠결합요홈부74가 4개 설치되어 있다. 4개의 제2캠결합요홈부74중의 2개는, 180도 간격이고, 대칭으로 접촉면72c에 설치되며, 예를 들면, 제2회동각도가 -10도 및 170도에서 2개의 제2캠결합돌출부73와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의 폐쇄상태에 있어서의 제2캠결합요홈부74의 제2캠결합돌출부73와 결합하는 제1회동각도는 0도보다 마이너스의 각도가 바람직하며, 또, -10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0도이외의 각도라도 좋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10도라고 하는 때에는, -10도전후을 포함한다. 또, 나머지의 2개의 제2캠결합요홈부74는, 180도간격이고, 대칭으로 접촉면72c에 설치되어 있고, 예를 들면, 140도에서 2개의 제2캠결합돌출부73와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캠결합요홈부74는, 저부74a와, 저부74a을 형성하기 위한 2개의 경사부74b 로 되고, 그 저부74a가, 제2회동각도에 있어서의 -10도, 140도, 170도 및 320도로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경사부74b의 폭은, 회동각도에 있어서의 약15도의 범위보다 약간 작은 각도에 대응한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4개의 제2캠결합요홈부74이외의 접촉면72c은, 평면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2캠B체72의 나머지의 면(가압면72b라고도 한다)은,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가압면72b와 제2샤프트부42내의 연결부43의 벽과의 사이로서 제2샤프트3의 외주에는, 가압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압수단은,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75 등이다. 압축코일스프링75은, 예를 들면, 제2샤프트3의 외주에 환권되고, 일단부가 제2샤프트부42내의 연결부43의 벽에 접촉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단부가 제2캠B체72의 가압면72b에 접촉하여, 제2캠B체72을 제2캠A체71측으로 가압하는 것이다. 이것에 의해, 제2캠A체71와 제2캠B체72사이에 작용하는 마찰력가 각각 크게 되어 제2샤프트3를 제2샤프트부42의 회동범위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2샤프트부42는, 다음과 같이 조립되어 있다. 곧, 제2샤프트3에 와셔78를 장착하여, 그 제2샤프트3의 선단부를, 연결부43의 제2장착공43d으로부터 제2삽입관통공43b에 삽입관통하여 연결부43의 제2샤프트부42보다 외측의 벽에 와셔78를 개재하여 제2캠부31를 접촉시킨다. 그 때, 제2샤프트부42의 선단부보다 제2샤프트3의 선단부가 돌출한다. 그 제2샤프트3의 선단부로부터 제2샤프트3의 외주에, 압축코일스프링75 및 제2캠B체72을 순차 설치한다. 설치후, 그 제2샤프트3의 결합부33에 제2캠A체71를 결합하여 취부하고, 제2캠A체71을 제2캠B체72에 접촉하여 제2캠B 체72를 압축코일스프링7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제2샤프트부42내에 압입하며, 삽입공71a과 캠취부공35을 구멍맞춤한 후, 이들공71a, 35에 예를 들면 핀77을 삽입관통하여 핀77의 양단부를 코킹이나 리벳팅한다. 그리고, 그 제2샤프트3의 선단부에 틀체취부부재76을 결합하여 취부하고, 제2샤프트3의 장착구34에 예를 들면 E형 멈춤링79을 장착하여 틀체취부부재76를 제2샤프트3에 고정시킴으로써, 제2샤프트부42가 조립된다. 이에 따라, 제2샤프트부42는, 부품점수가 적게 되고, 조립이 용이하게 되며, 또한,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립된 제2샤프트부42에 대하여 제2샤프트3를 회동시킨 경우에, 제2캠A체71의 제2캠결합돌출부73가 제2캠B체72의 제2캠결합요홈부74로부터 이탈하여, 제2캠A체71의 제2캠결합돌출부73의 선단면이 제2캠B체72의 제2캠결합요홈부74이외의 평면의 접촉면72c에 접촉하면서 미끄럼운동한다. 그 접촉상태인 때에, 제2샤프트3의 회동을 멈추면, 제2캠결합돌출부73의 선단면와 평면상의 접촉면72c과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서 제2샤프트3가 그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 상태가 프리스탑상태이고, 그 때의 제2회동각도가 프리스탑각도이다.
또, 제2샤프트부42에 대하여 제2샤프트3를 회동시킨 경우에, 제2캠결합돌출부73가 제2캠결합요홈부74로부터 완전히 이탈하지 아니한 때, 즉, 제2캠결합돌출부73의 선단부 및 그 근방이 제2캠결합요홈부74의 경사부74b에 접촉하여 있는 때에, 제2샤프트3의 회동을 멈추면, 제2캠결합돌출부73가 그 경사부74b를 따라 자동적으로 저부74a방향으로 이동하여 저부74a 또는 그 근방에 도달하여, 그 회동이 정지하고 로크상태로 된다. 즉, 자동적으로 로크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 제2캠결합요 홈부74의 경사면의 각도 또는 폭 등을 임의에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자동로크각도(자동적으로 로크상태로 되는 각도을 말한다)을 소망의 각도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로크기구5는, 도4 및 도7에서와 같이,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폐쇄상태인 때, 2방향중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개폐가능하고,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2방향중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개폐하여 폐쇄상태이외의 상태인 때, 2방향중 어느 타방의 방향으로의 개폐를 로크시키는 것이다. 로크기구5는, 어떻게 구성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연결부43내에 설치된 로크부재51를 구비할 수 있다. 그 로크부재51는, 예를 들면 단면원형상의 봉상의 로크샤프트52와, 로크샤프트52을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 구성된다.
로크샤프트52는, 도4, 도7, 도8 및 도17에서와 같이, 연결부43내의 사절벽44의 관통부45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칫수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로크샤프트52의 길이는, 제1샤프트2의 제1캠요홈부22 및 제2샤프트3의 제2캠요홈부32를 각각 로크샤프트52측으로 대향하도록 향하고, 로크샤프트52의 일단부가 제1캠요홈부22에 삽입결합한 때에는, 로크샤프트52의 타단부가 제2캠요홈부32로부터 멀어져 제2캠요홈부32와 결합하지 아니함과 동시에, 로크샤프트52의 타단부가 제2캠요홈부32에 삽입결합한 때에는, 로크샤프트52의 일단부가 제1캠요홈부22로부터 멀어져 제1캠요홈부22와 결합하지 아니하는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로크샤프트52의 길이는, 어느 일방의 캠요홈부22, 32에 단부가 결합되는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제1캠요홈부22 및 제2캠요홈부32가 각각 로크샤프트52측으로 향하고 있는 때에,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폐쇄상태로 되도록 제1샤프트2 및 제2샤프트3가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에 각각 취부되어 있다.
또, 연결부43내의 제2샤프트3측에 위치되어 있는 로크샤프트52의 축방향의 도중에는, 가압부53가 설치되어 있다. 가압부53는, 예를 들면, 로크샤프트52의 외주에 그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53의 직경은, 관통부45의 직경보다 큰 칫수로서, 연결부43내의 최단거리보다 짧은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가압부53와 사절벽44사이로서 로크샤프트52의 외주에는, 가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가압수단은, 예를 들면, 압축코일스프링54 등이다. 압축코일스프링54는, 예를 들면, 로크샤프트52의 외주에 환권되고, 일단부가 가압부53에 접촉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단부가 사절벽44에 접촉하여, 로크샤프트52의 단부가 제2캠요홈부32에 결합하도록 가압하는 것이다. 또, 로크샤프트52를 제2캠요홈부32에 결합하도록 가압하지만, 로크샤프트52을 제1캠요홈부22에 결합하도록 가압하여도 좋다. 또, 로크샤프트를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여 어느 일방의 캠요홈부에 결합하도록 가압하지만, 압축코일스프링을 이용하지 아니하고 로크샤프트를 어느 일방의 캠요홈부에 결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로크샤프트를 이용하기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의 개폐를 규제하지만, 로크샤프트를 이용하지 않고 제1샤프트와 제2샤프트의 개폐를 규제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9에서와 같이, 제1샤프트2의 제1캠부91와 제2샤프트3의 제2캠부93를 근접시키고, 제1캠부91에 제1캠결합부92를 설치함과 동시에 제2캠부93에 제2캠결합부94를 설치하고, 폐쇄상태에서는, 제1캠결합부92와 제2캠결 합부94를 서로 대향시키며, 제1샤프트 및 제2샤프트의 어느 것으로부터 일방의 개폐를 가능하게 함(도9(a)참조)과 동시에, 제1샤프트 또는 제2샤프트가 개폐하여 폐쇄상태이외의 상태에서는, 개폐하지 아니한 제2샤프트의 제2캠결합부94 또는 제1샤프트의 제1캠결합부92가 제1캠부91 또는 제2캠부93에 결합하여 제2샤프트 또는 제1샤프트의 개폐를 로크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도9(b) 및 (c)참조).
로크기구5는, 다음과 같이 조립된다. 곧, 로크샤프트52의 외주에, 압축코일스프링54을 환권시킨다. 이것을 연결부43의 제2샤프트부42측의 단부의 개구부로부터 연결부43내에 삽입하여 수용한다. 가압부53를 압축코일스프링54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사절벽44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연결부43내에 압입하며, 제2샤프트3의 제2샤프트부42로의 장착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제2샤프트3의 장착이 완료되면, 가압부53의 연결부43내으로의 압입을 해제한다. 그러면, 로크샤프트52의 타단부가 제2샤프트3의 제2캠부31에 접촉하도록 이동한다. 그 때, 제2캠요홈부32가 로크샤프트52측으로 향하지 아니하는 때에는, 제2샤프트3을 회동시켜 제2캠요홈부32가 로크샤프트52측으로 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로크샤프트52의 타단부가 제2캠요홈부32에 삽입결합하는 것에 의해, 로크기구5가 조립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힌지장치1가 조립되게 되고, 부품점수는 적게 되며, 조립이 용이하게 되고, 나아가,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1 및 휴대전화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휴대전화기10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폐쇄상태에서는, 통상, 도1에서와 같이,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상태이다. 그 때, 제1회동각도는, 0도에서, 제1캠결합돌출부63와 제1캠결합요홈부64가 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 때, 제1캠결합돌출부63와 제1캠결합요홈부64가 결합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에 유지되어 있지만, 그 결합이 제1캠결합돌출부63와 제1캠결합요홈부64가 완전(대략 완전을 포함한다)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아서 제1캠결합돌출부63의 일부가 제1캠결합요홈부64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덜거덕거림없이 폐쇄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즉, 제1캠결합요홈부64는, 제1회동각도가 0도가 아니라 -8도인 때에 제1캠결합돌출부63와 결합하도록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캠결합돌출부63의 선단부가 제1캠결합요홈부64의 경사부64b에 접하여 불완전하게 제1캠결합요홈부64에 삽입되고, 완전(대략 완전을 포함한다)하게 결합되어 있지 아니한 상태에서 결합되어 있다. 즉, 제1캠결합돌출부63는, 제1캠결합요홈부64의 저부64a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상태에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로 되어 있다. 그 결과, 제1회동각도가 0도인 때, 완전(대략 완전을 포함한다)에 결합되도록 제2틀체12는 제1틀체11에 대하여 가압되도록 밀착하므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덜거덕거림이 없이 폐쇄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또, 폐쇄상태인 때, 제2회동각도는, 0도에서, 제2캠결합돌출부73와 제2캠결합요홈부74가 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 때, 제2캠결합돌출부73와 제2캠결합요홈부74가 결합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에 유지되어 있지만, 그 결합이 제2캠결합돌출부73와 제2캠결합요홈부74가 완전(대략 완 전을 포함한다)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아 제2캠결합돌출부73의 일부가 제2캠결합요홈부74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덜거덕거림이 없는 폐쇄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즉, 제2캠결합요홈부74는, 제2회동각도가 0도가 아니라 -10도인 때에 제2캠결합돌출부73와 결합하도록 배치되고, 제2캠결합돌출부73의 선단부가 제2캠결합요홈부74의 경사면에 접하여, 불완전에 제2캠결합요홈부74에 삽입되며, 완전(대략 완전을 포함한다)하게 결합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 결합되어 있다. 즉, 제2캠결합돌출부73는, 제2캠결합요홈부74의 저부74a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는 상태에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에 되어 있다. 그 결과, 제2회동각도가 0도인 때, 완전(대략 완전을 포함한다)하게 결합되도록 제2틀체12가 제1틀체11에 대하여 가압되도록 밀착되므로, 제1틀체11와 제2틀체12가 덜거덕거림이 없는 폐쇄상태에 유지되게 된다.
또, 폐쇄상태인 때, 도7 및 도8(a)에서와 같이, 로크샤프트52의 타단부가 제2캠요홈부32에 삽입되어 결합되므로, 제1샤프트2을 축으로 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이다. 또, 로크샤프트52의 일단부와 제1캠요홈부22가 대향하여 있기 때문에, 로크샤프트52의 타단부가 제2캠요홈부32로부터 이탈가능하므로, 제2샤프트3을 축으로 하여 제1틀체11와 제2틀체12를 개폐하는 것이 가능이다. 이에 따라,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는, 2방향중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개폐가능하다.
그 휴대전화기10로 통화를 하는 때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11을 좌수로 잡 음과 동시에 제2틀체12을 우수로 쥐고, 도2 및 도4에서와 같이, 그 제2틀체12를 제1샤프트2 주위로 제1틀체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한다(개방시킨다). 즉, 제1샤프트부41에 대하여 제1샤프트2를 회동한다. 이에 따라, 제1캠결합돌출부63가 제1캠결합요홈부64로부터 이탈하여(결합이 해제되어), 제1회동각도가 대략 82도를 넘어 172도로 되면, 제1캠결합돌출부63가 제1캠결합요홈부64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2틀체12가 통화가능한 개방된 상태로 된다. 이와 같이 하여,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
제1샤프트2가 회동하면, 제1샤프트2의 제1캠부21도 회동하며, 로크샤프트52의 일단부와 대향하여 있는 제1캠요홈부22의 위치가 벗어난다. 즉, 로크샤프트52의 일단부는, 도8(b)에서와 같이, 제1캠부21의 외주면에 근접하는 것으로 된다. 그 때 문에, 로크샤프트52의 타단부가 제2캠요홈부32로부터 이탈하는 일이 없이, 로크샤프트52의 타단부와 제2캠요홈부32가 결합하여 있으므로, 제2샤프트3을 축으로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개폐하는 일이 없다. 이와 같이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다른 방향으로 개폐하는 것이 아니므로,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의 개폐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통화후에는, 제2틀체12을 원의 위치에 복귀시키는 때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11를 좌수로 쥐고 제2틀체12를 우수로 쥐어, 그 제2틀체12을 제1샤프트2 주위로 역방향인 폐쇄방향(제2틀체12와 제1틀체11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1캠결합돌출부63와 제1캠결합요홈부64와의 결합이 해제되고, 제1회동각도가 0도에서 제1캠결합돌출부63가 제1캠결합요홈부64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되고, 폐쇄상태로 되어 원 상태로 복귀한다.
또,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2틀체12를 제1샤프트2 주위로 제1틀체11로부터 개방방향으로 예를 들면 제1회동각도를 172도까지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키보드부에 대하여 횡으로 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폐쇄상태인 때, 제2회동각도가 0도이고, 도3 및 도5에서와 같이, 제2틀체12를 제2샤프트3주위로 제1틀체1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킨다(개방시킨다). 즉, 제2샤프트부42에 대하여 제2샤프트3를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2캠결합돌출부73가 제2캠결합요홈부74로부터 이탈하여(결합이 해제되어), 제2회동각도가 140도 또는 140도를 넘어 170도로 되면, 제2캠결합돌출부73가 제2캠결합요홈부74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된다. 또, 제2캠결합돌출부73의 선단면이 제2캠결합요홈부74로부터 이탈하여, 제2캠B체72의 제2캠결합요홈부74이외의 평면상의 접촉면72c에 접촉하면서 미끄럼운동하고 있는 때에, 제2틀체12의 회동을 멈추면, 제2캠결합돌출부73의 선단면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서 제2틀체12는 그 위치에 정지한다. 즉, 제2회동각도가 프리스탑 각도이면, 그 각도에서 제2틀체12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제1틀체11에 대한 제2틀체12를 많은 위치에서 정지시킬 수 있고, 양호하게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2샤프트3가 회동하면, 제2샤프트3의 제2캠부31도 회동하며, 로크샤프트52의 타단부의 제2캠요홈부32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즉, 로크샤프트52의 타단부 가 제2캠요홈부32로부터 이탈함과 동시에, 로크샤프트52의 일단부가 제1캠요홈부22에 삽입결합하여 로크상태로 유지된다. 로크샤프트52의 타단부는, 도8(c)에서와 같이, 제2캠요홈부32의 위치가 벗어나기때문에, 제2캠부31의 외주면에 접촉 또는 근접하게 되므로, 로크샤프트52의 일단부와 제1캠요홈부22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되지 아니하게 된다. 그 때문에, 제1샤프트2을 축으로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가 개폐하는 것이 아니므로,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의 개폐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1 및 휴대전화기10는, 폐쇄상태의 제1틀체11 및 제2틀체12를, 2방향중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서로 개폐시키면, 타방의 방향으로의 개폐가 로크되어 다른 방향으로 개폐하는 일이 없으므로,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부품점수가 적게 되고, 조립이 용이하게 되며,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양호에 통화를 행하여짐과 동시에, 인터넷 등의 통신회선을 최적한 상태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힌지장치는, 폐쇄상태의 제1틀체 및 제2틀체를, 2방향중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서로 개폐시키면, 타방의 방향으로의 개폐가 로크되어 다른 방향으로 개폐하는 일이 없으므로, 개폐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휴대단말의 중이라도 특히 휴대전화기의 힌지장치로서 사용되기 적합한 것이다.
Claims (7)
-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시킨 폐쇄상태로부터, 상하방향의 1방향와 좌우방향의 1방향의 2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개폐시키는 힌지장치에 있어서,상기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제1샤프트와, 상기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에 취부되는 제2샤프트와,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를 각각의 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초부와, 그 기초부에 대한 상기 제1샤프트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1캠기구와, 상기 기초부에 대한 상기 제2샤프트의 회동을 제어하는 제2캠기구와, 상기 제1틀체 및 상기 제2틀체가, 폐쇄상태인 때, 서로 상기 2방향의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개폐가능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가 상기 2방향의 어느 일방의 방향으로 개폐하여 폐쇄상태이외의 상태로 된 때, 상기 2방향의 어느 타방의 방향으로의 개폐를 로크하는 로크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가, 상기 제1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1샤프트와 함께 회동하는 제1캠과, 상기 제2샤프트에 설치되고, 상기 제2샤프트와 함께 회동하는 제2캠과,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의 어느 일방의 샤프트가 회동하여 상기 폐쇄상태이외의 상태로 되면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의 어느 타방의 샤프트의 캠에 결합하여 그 타방의 샤프트의 회동을 로크하며, 상 기 일방의 샤프트가 회동하여 상기 폐쇄상태로 되면 상기 타방의 샤프트의 캠으로의 결합이 해제되거나 또는 해제할 수 있는 상태로 되는 로크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이, 외주면의 일부에 제1캠요홈부를 지니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캠이, 외주면의 일부에 제2캠요홈부를 지니는 원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로크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제1캠요홈부에 삽입되어 결합한 때, 타단부가 상기 제2캠요홈부로부터 멀어짐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제2캠요홈부에 삽입되어 결합한 때, 일단부가 상기 제1캠요홈부로부터 멀어지는, 이동가능한 로크샤프트를 지니며, 상기 폐쇄상태인 때, 상기 로크샤프트의 일단부가 상기 제1캠요홈부에 결합되어 있거나 또는 타단부가 상기 제2캠요홈부에 결합되고, 상기 로크샤프트의 단부가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1캠요홈부 또는 상기 제2캠요홈부가 회동하면, 그 상기 제1캠요홈부 또는 상기 제2캠요홈부로부터 상기 로크샤프트의 단부가 이탈함과 동시에, 상기 로크샤프트의 나머지의 단부가 상기 제2캠요홈부 또는 상기 제1캠요홈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로크샤프트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샤프트가, 상기 제1캠요홈부 및 상기 제2캠요홈부의 어느 일방에 결합하도록 가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구가, 상기 제1샤프트에 설치되고, 캠부를 지니는 제1캠과, 상기 제2샤프트에 설치되고, 캠부를 지니는 제2캠을 구비하고,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의 어느 일방의 샤프트가 회동하여 폐쇄상태이외의 상태로 되면, 상기 제1샤프트 및 상기 제2샤프트의 어느 타방의 샤프트에 설치된 캠의 캠부가 상기 일방의 샤프트에 설치된 캠의 캠부이외에 결합하여 상기 타방의 샤프트의 회동을 로크함과 동시에 상기 일방의 샤프트의 회동을 허용하며, 상기 일방의 샤프트가 회동하여 폐쇄상태로 되면, 상기 타방의 샤프트의 캠의 캠부의 상기 일방의 샤프트에 설치된 캠의 캠부이외로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캠기구가, 상기 제1샤프트에 고정된 제1캠A체와, 상기 기초부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1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1캠A체와 면접촉하는 제1캠B체와, 상기 제1캠A체의 접촉면와 상기 제1캠B체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제1캠결합돌출부와, 상기 제1캠A체의 접촉면와 상기 제1캠B체의 접촉면의 적어도 타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1캠결합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에 대한 상기 제2틀체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제1캠결합요홈부로 구성되고, 상기 제2캠기구가, 상기 제2샤프트에 고정된 제2캠A체와, 상기 기초부와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2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제2캠A체와 면접촉하는 제2캠B체와, 상기 제2캠A체의 접촉면와 상기 제2 캠B체의 접촉면의 적어도 일방에 설치되는 제2캠결합돌출부와, 상기 제2캠A체의 접촉면와 상기 제2캠B체의 접촉면의 적어도 타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2캠결합돌출부와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에 대한 상기 제2틀체의 위치를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제2캠결합요홈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 제 1 항에 기재된 휴대기기의 힌지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5045441A JP2006233998A (ja) | 2005-02-22 | 2005-02-22 | 携帯機器のヒンジ装置及び携帯電話機 |
JPJP-P-2005-00045441 | 2005-02-2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93654A true KR20060093654A (ko) | 2006-08-25 |
KR100773365B1 KR100773365B1 (ko) | 2007-11-05 |
Family
ID=36911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16065A KR100773365B1 (ko) | 2005-02-22 | 2006-02-20 |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20060185123A1 (ko) |
JP (1) | JP2006233998A (ko) |
KR (1) | KR100773365B1 (ko) |
CN (1) | CN1825859A (ko) |
TW (1) | TW20063733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8115B1 (ko) * | 2007-10-10 | 2008-07-24 | (주)제이엠씨 |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273819B (en) * | 2005-09-08 | 2007-02-11 | High Tech Comp Corp | Dual-axis hinge |
EP2090792B1 (en) | 2006-11-06 | 2015-09-09 | Mitsubishi Steel MFG. CO., LTD. | Hinge mechanism |
KR100842529B1 (ko) * | 2007-02-22 | 2008-07-01 | 삼성전자주식회사 |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JP4371146B2 (ja) | 2007-03-09 | 2009-11-25 |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 携帯装置 |
JP5148152B2 (ja) * | 2007-04-09 | 2013-02-20 | 加藤電機株式会社 | チルトヒンジ及び電子機器 |
JP5016395B2 (ja) * | 2007-06-05 | 2012-09-05 | 加藤電機株式会社 | 携帯機器の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
WO2008155882A1 (ja) * | 2007-06-15 | 2008-12-24 | Panasonic Corporation | 携帯端末 |
JP4175429B1 (ja) * | 2007-09-04 | 2008-11-0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折り畳み式携帯端末装置および、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
JP5019216B2 (ja) * | 2007-09-11 | 2012-09-05 |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折り畳み式携帯電子機器のヒンジ構造 |
US20090070963A1 (en) * | 2007-09-18 | 2009-03-19 | Han Sang Lee | Dual direction opening/closing hinge module and apparatus utilizing the same |
JP4624474B2 (ja) | 2007-10-05 | 2011-02-02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回動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開閉式携帯端末 |
JP4576568B2 (ja) | 2007-12-03 | 2010-11-10 |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ヒンジ構造、及び折り畳み式電子機器 |
JP5110527B2 (ja) * | 2008-05-01 | 2012-12-26 |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ヒンジ取付構造、及び折り畳み式電子機器 |
JP5148389B2 (ja) * | 2008-07-01 | 2013-02-20 | 加藤電機株式会社 | 2軸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2軸ヒンジ装置を用いた携帯機器 |
JP5015871B2 (ja) * | 2008-07-14 | 2012-08-29 |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 二軸ヒンジ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
JP4454676B2 (ja) * | 2008-09-12 | 2010-04-21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携帯電子機器 |
JP2011082940A (ja) * | 2009-09-10 | 2011-04-21 | Panasonic Corp | 携帯端末 |
US20110279949A1 (en) * | 2010-05-14 | 2011-11-17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Japan, Inc. | Method of securing hinge, and electronic apparatus |
JP5993161B2 (ja) | 2012-02-29 | 2016-09-14 | サト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開閉装置および開閉装置を有するプリンタ |
JP5342035B1 (ja) * | 2012-04-27 | 2013-11-13 | 株式会社東芝 | 電子機器 |
CN106292849B (zh) * | 2015-05-28 | 2020-02-21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一种转轴及电子设备 |
EP3526655B1 (en) * | 2017-02-06 | 2021-04-28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Axis shifting hinge assemblies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66516B1 (ko) * | 1998-05-18 | 2000-09-15 | 한영수 | 힌지장치 |
US6256837B1 (en) * | 2000-01-05 | 2001-07-10 | Usa Spec, Inc. | Hinge assembly for car-mounted video display unit |
JP2003125050A (ja) * | 2001-10-15 | 2003-04-25 | Strawberry Corporation |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
JP4063571B2 (ja) * | 2002-04-10 | 2008-03-19 | 日本電気株式会社 |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
JP2004053927A (ja) * | 2002-07-19 | 2004-02-19 | Toshiba Corp | 電子機器 |
JP3941933B2 (ja) * | 2002-08-26 | 2007-07-1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開閉式の通信端末およびヒンジ装置 |
US6742221B2 (en) * | 2002-11-06 | 2004-06-01 | Shin Zu Shing Co., Ltd. | Hinge for a notebook computer |
JP4093038B2 (ja) * | 2002-12-06 | 2008-05-28 | 日本電気株式会社 | 折り畳み式携帯装置およびそのヒンジ機構 |
TW587721U (en) * | 2003-01-16 | 2004-05-11 | Quanta Comp Inc | Display rotation apparatus with fixing module |
JP2005038217A (ja) * | 2003-07-16 | 2005-02-10 | Nec Access Technica Ltd | 折り畳み式携帯装置 |
JP2005337301A (ja) * | 2004-05-24 | 2005-12-08 | Kato Electrical Mach Co Ltd | ヒンジ装置並びにこの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
-
2005
- 2005-02-22 JP JP2005045441A patent/JP2006233998A/ja active Pending
-
2006
- 2006-02-15 TW TW095105086A patent/TW200637334A/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2-16 US US11/355,873 patent/US20060185123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6-02-20 KR KR1020060016065A patent/KR10077336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6-02-22 CN CNA2006100576416A patent/CN1825859A/zh active Pending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48115B1 (ko) * | 2007-10-10 | 2008-07-24 | (주)제이엠씨 |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060185123A1 (en) | 2006-08-24 |
KR100773365B1 (ko) | 2007-11-05 |
JP2006233998A (ja) | 2006-09-07 |
TW200637334A (en) | 2006-10-16 |
CN1825859A (zh) | 2006-08-30 |
TWI300304B (ko) | 2008-08-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60093654A (ko) |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 |
JP2006233998A5 (ko) | ||
KR100742290B1 (ko) |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 |
US6708046B1 (en) | Folding portable telephone having enhanced operability | |
KR20060066640A (ko) |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 |
JP2006170255A5 (ko) | ||
JP4215614B2 (ja) | 携帯端末用ヒンジ | |
JP4173185B1 (ja) | 携帯端末 | |
KR20060019648A (ko) | 휴대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및 그의 장착 메카니즘 | |
KR20020002210A (ko) | 힌지 유닛 및 힌지구조 | |
KR100664184B1 (ko) | 듀얼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
KR100664233B1 (ko) | 360도 회전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 |
KR100754414B1 (ko) | 휴대기기 | |
JP5016395B2 (ja) | 携帯機器のヒンジ装置及び携帯機器 | |
KR100693179B1 (ko) | 휴대기기 | |
JP2007174144A (ja) |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 |
EP1312739B1 (en) | Foldable cell phone | |
KR200403684Y1 (ko) | 휴대폰용 로터리 힌지 모듈 | |
JP2009019756A (ja) | 携帯端末 | |
JP3009861B2 (ja) | ヒンジ装置 | |
KR200353381Y1 (ko) | 휴대폰용 힌지장치 | |
KR200353384Y1 (ko) | 휴대폰의 통합 힌지장치 | |
KR20050035032A (ko) |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 |
KR20060074302A (ko) | 양 방향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
KR20110005077A (ko) | 2축 힌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