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115B1 -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115B1
KR100848115B1 KR1020070102170A KR20070102170A KR100848115B1 KR 100848115 B1 KR100848115 B1 KR 100848115B1 KR 1020070102170 A KR1020070102170 A KR 1020070102170A KR 20070102170 A KR20070102170 A KR 20070102170A KR 100848115 B1 KR100848115 B1 KR 100848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otation
hinge
cam holder
coupl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2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원
Original Assignee
(주)제이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엠씨 filed Critical (주)제이엠씨
Priority to KR1020070102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1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1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제2 바디가 제1 바디로부터 일측이 들리거나 닫히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부와; 제2 바디가 제1 바디로부터 다른 일측이 들리거나 닫히는 제1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 힌지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바디에 고정되는 제2 힌지부; 및 제1 바디에 대한 제2 바디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회전방향 제한수단으로 구성된다. 이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폴더)를 본체로부터 2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개폐동작을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면서도 조립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DUAL DIRECTION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OF CELLULAR PHONE}
이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폴더)를 본체로부터 2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개폐동작을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면서도 조립이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들은 외형이나 작동 방식에 따라 일반적으로 플립 방식, 폴더 방식(folder type) 및 슬라이딩 방식(sliding type)으로 구분된다. 그 중 폴더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는 폴더의 상부와 본체의 상부가 힌지장치로 연결되어 있어서, 폴더의 하부를 들어 올림으로써 본체로부터 개방되고 그 역동작으로 폐쇄된다. 이러한 개폐방식은 통상적인 폴더 타입의 단말기에 일률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보급률이 높아짐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에 대해 단순한 무선통신의 소프트웨어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개폐기능에 있어 서도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동작을 하는 개폐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를 잡는 습관에 따라서, 또는 사용자가 단말기를 잡고 있는 상황에 따라서 폴더를 하방으로부터 상방으로 개폐하는 것보다 측면으로 회전시켜 개방하는 것이 편리한 경우가 있다.
도 1은 이러한 사용자의 요구에 부응하여 개발된 휴대용 단말기로서, 도 1의 (b)와 같이 제2 바디(120)를 제1 바디(110)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회전시켜 개폐함과 더불어 도 1의 (c)와 같이 제2 바디(120)를 제1 바디(1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시켜 개폐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렇게 2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제2 바디(120)를 제1 바디(110)와 연결하되 제2 바디(120)가 2방향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제1 바디(110)에 연결하는 2방향 개폐장치가 필요하다. 여기서, 제1 바디(110)는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를 이루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는 기판과 칩 등이 내장되고, 일면에는 각종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키패드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2 바디(120)는 제1 바디(110)로부터 개폐되는 폴더를 이루는 것으로서, 일면에 액정화면이 설치된다.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2방향 개폐장치(200)는 제2 바디(120)가 제1 바디(110)로부터 일측이 들리거나 닫히는 제1 방향(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부와; 제2 바디(120)가 제1 바디(110)로부터 다른 일측이 들리거나 닫히는 방향이며, 제1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인 제2 방향(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 힌지부 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바디(120)에 고정되는 제2 힌지부로 이루어진다.
제1 힌지부는 제1 바디(110)에 고정되는 축홀더(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힌지부가 고정되는 제1 회전축(220)과, 제1 회전축(220)이 제1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와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제1 회전축(220)에 소정의 제동력을 가하기 위한 제1 클러치수단(23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힌지부는 제2 바디(120)에 고정되는 브래킷(240)과, 브래킷(240)에 그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이 제1 힌지부에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회전축(250)과, 제2 방향의 한 곳 이상의 소정각도에서 제2 회전축(250)에 소정의 제동력을 가하기 위한 제2 클러치수단(260)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제2 힌지부는 제1 회전축(220)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져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2 회전축(250)의 일단에 브래킷(240)이 고정되게 구성된다. 즉, 제2 힌지부는 제2 바디(120)에 고정되어 제2 바디(120)를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브래킷(240)과 제2 회전축(250)이 그 구조상 분리형으로 구성된다. 이렇게 브래킷(240)과 제2 회전축(250)이 분리형으로 구성됨에 따라 그 제조비가 상승하고 조립단계가 추가됨에 따라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단말기의 커버(폴더)를 본체로부터 2방향으로 개폐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한 개폐동작을 선택할 수 있는 편의를 제공하면서도 조립이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는, 제2 바디가 제1 바디로부터 일측이 들리거나 닫히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부와; 제2 바디가 제1 바디로부터 다른 일측이 들리거나 닫히는 제1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 힌지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바디에 고정되는 제2 힌지부; 및 제1 바디에 대한 제2 바디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회전방향 제한수단을 포함한다.
이 발명의 제1 힌지부는 제1 바디에 고정되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힌지부가 고정되는 캠 홀더와, 캠 홀더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와 180°미만의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캠 홀더에 제동력을 가하기 위한 제1 클러치수단, 및 캠 홀더와 제1 클러치수단을 하우징에 결합시키며 그 일단에 직경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을 갖는 힌지 샤프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2 힌지부는 제2 바디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제1 힌지부 에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샤프트와, 제2 방향의 한 곳 이상의 각도에서 결합 샤프트에 제동력을 가하기 위한 제2 클러치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발명의 결합 샤프트는 제2 바디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브래킷과 일체로 형성되어 캠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발명의 회전방향 제한수단은 캠 홀더의 일측면에 안착되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 샤프트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힌지 샤프트의 절개홈에 측면이 끼워져 캠 홀더가 힌지 샤프트를 축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캠 홀더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힌지 샤프트의 절개홈에 측면이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아 결합 샤프트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향 키와; 캠 홀더의 일측면에 안착되어 방향 키의 일단이 결합 샤프트의 회전축에 밀착하도록 탄성력을 방향 키의 타측 단부 부위에 부여하는 리턴 스프링 및 로드 핀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캠 홀더는 몸체와, 힌지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몸체를 관통하는 제1 회전구멍과, 제1 회전구멍과 직교방향으로 몸체를 관통하여 결합 샤프트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2 회전구멍과, 몸체의 일측면에 제1 회전구멍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부분이 제2 회전구멍과 연통하며 방향 키가 안착되는 제1 안착홈과, 제2 회전구멍과 평행하게 제1 안착홈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방향 키의 회전축이 삽입 고정되는 회전축 고정홈과, 제1 회전구멍의 하단에 형성되어 리턴 스프링 및 로드 핀이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2 회전구멍은 결합 샤프트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범위를 제한하 는 걸림턱을 그 일단에 가지며, 결합 샤프트의 회전축은 걸림턱에 맞닿아 결합 샤프트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걸림돌기를 그 일단에 가질 수도 있다.
이 발명의 힌지 샤프트는 절개홈의 중앙에서 힌지 샤프트의 길이방향의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어 방향 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다른 리턴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발명의 결합 샤프트의 회전축은 일부 둘레면을 따라 방향 키의 일단이 삽입되어 밀착되는 삽입홈을 더 가질 수도 있다.
이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는 폴더를 좌우방향으로 개폐하기 위한 브래킷과 회전축을 일체형으로 구성함에 따라 그 제조비가 낮아지고 조립이 단순화됨에 따라 원가절감의 효과가 있다.
아래에서, 이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2방향 개폐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300)는 제2 바디(120)가 제1 바디(110)로부터 일측이 들리거나 닫히는 제1 방향(상하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 바디(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부와; 제2 바디(120)가 제1 바디(110)로부터 다른 일측이 들리거나 닫히는 방향이며, 제1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인 제2 방향(좌우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제1 힌지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제2 바디(120)에 고정되는 제2 힌지부; 및 제1 바디(110)에 대한 제2 바디(120)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회전방향 제한수단(370)으로 이루어진다.
제1 힌지부는 제1 바디(110)에 고정되는 하우징(3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2 힌지부가 고정되는 캠 홀더(320)와, 캠 홀더(32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와 소정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캠 홀더(320)에 소정의 제동력을 가하기 위한 제1 클러치수단(330), 및 캠 홀더(320)와 제1 클러치수단(330)을 하우징(310)에 결합시키는 힌지 샤프트(3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 힌지부는 제2 바디(120)가 제1 방향으로 180°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 ~ 160° 정도 오픈되게 구성된다.
캠 홀더(320)는 일정 형태를 갖는 몸체(321)와, 힌지 샤프트(340)가 삽입되도록 몸체(321)의 좌우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회전구멍(322)과, 제1 회전구멍(322)과 직교방향인 몸체(321)의 전후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축(352)이 삽입되는 제2 회전구멍(323)과, 몸체(321)의 일측면에 제1 회전구멍(322)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부분이 제2 회전구멍(323)과 연통하며 후술할 회전방향 제한수 단(370)의 방향 키(371)가 안착되는 제1 안착홈(324)과, 제2 회전구멍(323)과 평행하게 제1 안착홈(324)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방향 키(371)의 회전축(372)이 삽입 고정되는 회전축 고정홈(325)과, 제1 회전구멍(322)의 하단에 형성되어 방향 키(371)의 일단이 제2 회전구멍(323) 쪽으로 돌출되는 탄성력을 방향 키(371)에 부여하는 제1 리턴 스프링(373) 및 로드 핀(374)이 안착되는 제2 안착홈(326)을 갖는다.
여기서, 제1 회전구멍(322)은 그 곳에 삽입되는 힌지 샤프트(340)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것으로서, 힌지 샤프트(340)를 축으로 캠 홀더(320)가 제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그리고, 제2 회전구멍(323)은 그 곳에 삽입되는 결합 샤프트(350)가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크기를 갖는 것으로서, 그 일단에는 결합 샤프트(350)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걸림턱(327)을 갖는다.
제1 클러치수단(330)은 캠 홀더(320)에 그 일측이 맞물려 결합되며 타측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산형부와 골형부로 이루어진 제1 파형면(331a)을 갖는 제1 캠(331)과, 제1 파형면(331a)에 대응되는 제2 파형면(332a)을 가지며 하우징(310)에 결합되는 제2 캠(332)과, 제1 파형면(331a)과 제2 파형면(332a)이 서로 밀착되도록 하우징(3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제2 캠(332)의 일측을 미는 탄성력을 가하는 클릭 스프링(Click Spring ; 333)으로 이루어진다.
힌지 샤프트(340)는 캠 홀더(320)와 제1 클러치수단(330)을 하우징(31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제1 회전구멍(322)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핀(341)에 의해 하우징(310)에 고정된다. 그리고, 힌지 샤프트(340)는 그 일단이 단차지게 형성된 것으로서, 일단에는 방향 키(371)의 일측이 끼워질 수 있도록 직경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342)과, 절개홈(342)의 중앙에서 힌지 샤프트(340)의 길이방향의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어 방향 키(371)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리턴 스프링(Return Spring ; 375)이 안착되는 안착홈(343)이 형성된다. 여기서, 절개홈(342)은 캠 홀더(320)의 제1 안착홈(324)과 동일한 폭 크기를 갖는다.
제2 힌지부는 제2 바디(120)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제1 힌지부에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샤프트(350)와, 제2 방향의 한 곳 이상의 소정각도에서 결합 샤프트(350)에 소정의 제동력을 가하기 위한 제2 클러치수단(36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2 힌지부는 제2 바디(120)가 제2 방향으로 150 ~ 180°, 바람직하게는 175° 정도 오픈되게 구성된다.
결합 샤프트(350)는 제2 바디(120)에 고정되는 브래킷(351)과, 브래킷(351)과 일체로 형성되어 캠 홀더(320)의 제2 회전구멍(323)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352)으로 구성된다.
회전축(352)은 일부 둘레면을 따라 방향 키(361)의 일단이 삽입되어 밀착하는 삽입홈(352a)이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홈(352a)은 회전축(352)을 제2 회전구멍(323)에 완전 삽입했을 때, 제1 안착홈(324)과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방향 키(361)는 회전축(352)의 삽입홈(352a) 또는 삽입홈(352a)이 형성된 원주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회전축(352)의 둘레면에는 후술할 볼(도시안됨)이 삽입됨에 따라 결합 샤프트(350)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각도를 제한하는 볼홈(352b)이 형성된다. 또한, 회전축(352)은 캠 홀더(320)의 걸림턱(327)에 맞닿아 결합 샤프트(350)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걸림돌기(352c)를 그 일단에 갖는다.
이 실시예에서 가장 큰 특징은 결합 샤프트(350)를 구성함에 있어 브래킷(351)과 회전축(352)을 일체로 구성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이렇게 일체로 구성한 상태에서 회전축(352)을 캠 홀더(320)의 제2 회전구멍(323)에 결합하여 상기와 같은 원하는 기능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2 클러치수단(360)은 결합 샤프트(350)를 향하여 전후진 되도록 설치되며 회전축(352)에 형성되는 볼홈(352b)에 선택적으로 일부가 결합되는 볼(도시안됨)과, 볼을 지지하는 볼 로드 핀(361)과, 볼 로드 핀(361)을 통해 볼을 회전축(352) 측으로 밀기 위한 틸트 스프링(Tilt Spring ; 362)과, 틸트 스프링(362)이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틸트 스프링 플레이트(363), 및 틸트 스프링 플레이트(363)를 캠 홀더(320)의 몸체(321)에 고정하는 스크루(364)로 구성된다.
이 실시예의 회전방향 제한수단(370)은 캠 홀더(320)의 제1 안착홈(324)에 끼워져 안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회전축 고정홈(325)에 끼워지는 회전축(372)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된 방향 키(371)와, 힌지 샤프트(340)의 안착홈(343)에 안착되어 방향 키(371)를 외측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부여하는 제2 리턴 스프링(375)과, 캠 홀더(320)의 제2 안착홈(326)에 안착되어 방향 키(371)의 일단이 제2 회전구멍(323) 쪽으로 돌출되는 탄성력을 방향 키(371)에 부여하는 제1 리턴 스프링(373) 및 로드 핀(374)을 갖는다.
여기서, 회전방향 제한수단(370)은 결합 샤프트(35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방향 키(371)가 힌지 샤프트(340)의 절개홈(342)에 끼워져 캠 홀더(320) 및 제1 힌지부가 힌지 샤프트(340)를 축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며(도 13 내지 도 15 참조), 캠 홀더(32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힌지 샤프트(340)의 절개홈(342)이 방향 키(371)가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기 때문에 결합 샤프트(350)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2방향 개폐장치를 도 1a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한 결합 사시도, 평면도, A-A 단면도 및 일부 확대 투영도이다.
먼저, 도 1a와 같이 제2 바디(120)가 제1 바디(110)에 클로즈된 상태에서는 도 3 내지 도 10과 같이 제1 클러치수단(330)의 제2 캠(332)이 클릭 스프링(333)의 탄성력을 받아서 제1 캠(331)에 밀착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제1 캠(331)에 형성된 제1 파형면(331a)의 산형부와 골형부가 제2 캠(332)에 형성된 제2 파형면(332a)의 골형부와 산형부에 접촉되어 캠 홀더(320)에 소정의 제동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캠 홀더(320)에 결합된 결합 샤프트(350) 및 제2 바디(120)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그리고, 제2 클러치수단(360)의 볼은 틸트 스프링(362)의 탄성력을 받아서 회전축(352)에 형성된 볼홈(도시생략)에 삽입되어 결합 샤프트(350)에 소정의 제동력이 발생된다. 이에 따라 결합 샤프트(350)의 브래킷(351) 및 제2 바디(120)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제2 바디(120)가 제1 바디(110)에 클로즈된 상태에서는 제1 리턴 스프링(373)의 탄성력에 의해 로드 핀(374)이 방향 키(371)의 타단 부위를 밀어 방향 키(371)의 일단이 회전축(352)의 삽입홈(352a)에 끼워지지만 방향 키(371)의 측면이 힌지 샤프트(340)의 절개홈(342)에 끼워지지 않기 때문에, 제2 바디(120)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에 있게 된다(도 8 내지 도 10 참조).
이하에서는 제2 바디(120)를 제1 바디(110)로부터 좌우방향인 제2 방향으로 개방할 경우를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2방향 개폐장치를 도 1b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좌우방향으로 오픈한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한 결합 사시도, 평면도, B-B 단면도 및 일부 확대 투영도이다.
도 1b와 같이 제2 바디(120)의 왼쪽 가장자리를 들어 올리면, 도 3 내지 도 5 및 도 11 내지 도 15와 같이 제2 바디(120)가 결합 샤프트(350)의 회전축(35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방향으로 오픈된다. 오픈 동작 초기에는 제2 클러치수단(360)의 볼이 볼홈(도시생략)으로부터 이탈하고, 회전축(352)이 점점 회전하여 오픈됨에 따라 회전축(352)의 삽입홈(352a)에 끼워져 접촉하던 방향 키(371)의 일단이 회전축(352)의 원주면에 접촉한다. 즉, 방향 키(371)가 회전축(372)을 기준으로 선회함과 더불어, 로드 핀(374)을 통해 제1 리턴 스프링(373)을 압축하면서 방향 키(371)의 측면이 힌지 샤프트(340)의 절개홈(342)에 끼워진다.
이 상태로 더 힘을 가하면, 제2 바디(120)가 제2 방향으로 175° 오픈되어 볼이 볼홈(352b)에 삽입되고, 또한 캠 홀더(320)의 걸림턱(327)에 결합 샤프트(350)의 걸림돌기(352c)가 맞닿음에 따라 회전축(352)에 소정의 제동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2 바디(120)가 제2 방향으로 오픈된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2 바디(120)가 제2 방향으로 오픈되면, 방향 키(371)의 측면이 힌지 샤프트(340)의 절개홈(342)에 끼워지기 때문에, 캠 홀더(320)가 힌지 샤프트(340)를 축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결합 샤프트(350)의 브래킷(351)에 고정되는 제2 바디(120)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제1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한다(도 13 내지 도 15 참조). 그리고 제2 바디(120)를 제2 방향으로 클로즈 시키는 동작은 상기의 과정과 역순으로 진행된다.
이하에서는 제2 바디(120)를 제1 바디(110)로부터 상하방향인 제1 방향으로 개방할 경우를 설명한다.
도 16 및 도 17은 도 3에 도시된 2방향 개폐장치를 도 1c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상하방향으로 오픈한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한 일부 확대 투영도이다.
도 1c와 같이 제2 바디(120)의 하방을 들어 올리면, 도 3 내지 도 5,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제2 바디(120)가 캠 홀더(320)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 방향으로 오픈된다. 오픈 동작 초기에는 제1 클러치수단(330)의 제1 캠(331)에 형성된 제1 파형면(331a)의 산형부가 제2 캠(332)에 형성된 제2 파형면(332a)의 골형부로부터 이탈하는 과정에서 저항력이 발생하나, 제1 파형면(331a)의 산형부가 제2 파형면(332a)의 산형부를 넘게 되면 다시 캠 홀더(320)를 열리는 방향으로 미는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제2 바디(120)는 급속히 열리게 되고, 제2 바디(120)가 완전히 오픈된 상태에서는 다시 제1 캠(331)에 형성된 제1 파형면(331a)의 산형부와 골형부가 제2 캠(332)에 형성된 제2 파형면(332a)의 골형부와 산형부에 접촉되어 회전축에 소정의 제동력이 발생된다. 따라서, 제2 바디(120)가 제1 방향으로 오픈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과정에서 힌지 샤프트(340)는 캠 홀더(320)의 회전중심이 된다.
한편, 제2 바디(120)가 제1 방향으로 오픈됨에 있어 150 ~ 160° 정도 오픈되기 때문에, 방향 키(371)의 측면이 힌지 샤프트(340)의 절개홈(342)에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게 된다. 즉, 회전축(352)이 방향 키(371)에 의해 그 회전이 제한되기 때문에, 결합 샤프트(350)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한다. 따라서, 결합 샤프트(350)의 브래킷(351)에 고정되는 제2 바디(120)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제2 방향으로 회전하지 못한다(도 16 및 도 17 참조). 그리고, 제2 바디(120)를 제1 방향으로 클로즈 시키는 동작은 상기의 과정과 역순으로 진행된다.
이상에서 이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에 대한 기술사항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첨부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도 1은 통상의 2방향 개폐장치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의 작동관계를 각각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의 구성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된 2방향 개폐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 내지 도 10은 도 3에 도시된 2방향 개폐장치를 도 1a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한 결합 사시도, 평면도, A-A 단면도 및 일부 확대 투영도이고,
도 11 내지 도 15는 도 3에 도시된 2방향 개폐장치를 도 1b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좌우방향으로 오픈한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한 결합 사시도, 평면도, B-B 단면도 및 일부 확대 투영도이며,
도 16 및 도 17은 도 3에 도시된 2방향 개폐장치를 도 1c와 같이 휴대용 단말기를 상하방향으로 오픈한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한 일부 확대 투영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2방향 개폐장치 310 : 하우징
320 : 캠 홀더 330 : 제1 클러치수단
340 : 힌지 샤프트 350 : 결합 샤프트
360 : 제2 클러치수단 370 : 회전방향 제한수단

Claims (5)

  1. 제2 바디가 제1 바디로부터 일측이 들리거나 닫히는 제1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힌지부와; 상기 제2 바디가 상기 제1 바디로부터 다른 일측이 들리거나 닫히는 상기 제1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상기 제1 힌지부에 일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바디에 고정되는 제2 힌지부; 및 상기 제1 바디에 대한 상기 제2 바디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회전방향 제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힌지부는 상기 제1 바디에 고정되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힌지부가 고정되는 캠 홀더와, 상기 캠 홀더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와 180° 미만의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캠 홀더에 제동력을 가하기 위한 제1 클러치수단, 및 상기 캠 홀더와 상기 제1 클러치수단을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키며 그 일단에 직경방향으로 절개된 절개홈을 갖는 힌지 샤프트를 구비하고,
    상기 제2 힌지부는 상기 제2 바디에 그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제1 힌지부에 제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 샤프트와, 제2 방향의 한 곳 이상의 각도에서 상기 결합 샤프트에 제동력을 가하기 위한 제2 클러치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결합 샤프트는 상기 제2 바디에 고정되는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캠 홀더에 회전가능하게 삽입 결합되는 회전축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방향 제한수단은 상기 캠 홀더의 일측면에 안착되어 선회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결합 샤프트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 샤프트의 절개홈에 측면이 끼워져 상기 캠 홀더가 상기 힌지 샤프트를 축으로 제1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캠 홀더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는 상기 힌지 샤프트의 절개홈에 상기 측면이 삽입될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아 상기 결합 샤프트가 제2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향 키와; 상기 캠 홀더의 일측면에 안착되어 상기 방향 키의 일단이 상기 결합 샤프트의 회전축에 밀착하도록 탄성력을 상기 방향 키의 타측 단부 부위에 부여하는 리턴 스프링 및 로드 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캠 홀더는 몸체와, 상기 힌지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를 관통하는 제1 회전구멍과, 상기 제1 회전구멍과 직교방향으로 상기 몸체를 관통하여 상기 결합 샤프트의 회전축이 삽입되는 제2 회전구멍과,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상기 제1 회전구멍의 직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일부분이 상기 제2 회전구멍과 연통하며 상기 방향 키가 안착되는 제1 안착홈과, 상기 제2 회전구멍과 평행하게 상기 제1 안착홈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방향 키의 회전축이 삽입 고정되는 회전축 고정홈과, 상기 제1 회전구멍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리턴 스프링 및 상기 로드 핀이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구멍은 상기 결합 샤프트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걸림턱을 그 일단에 가지며,
    상기 결합 샤프트의 회전축은 상기 걸림턱에 맞닿아 상기 결합 샤프트의 제2 방향으로의 회전범위를 제한하는 걸림돌기를 그 일단에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힌지 샤프트는 상기 절개홈의 중앙에서 상기 힌지 샤프트의 길이방향의 일정 깊이까지 형성되어 상기 방향 키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다른 리턴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결합 샤프트의 회전축은 일부 둘레면을 따라 상기 방향 키의 일단이 삽입되어 밀착되는 삽입홈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KR1020070102170A 2007-10-10 2007-10-10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KR100848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170A KR100848115B1 (ko) 2007-10-10 2007-10-10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2170A KR100848115B1 (ko) 2007-10-10 2007-10-10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8115B1 true KR100848115B1 (ko) 2008-07-24

Family

ID=39825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2170A KR100848115B1 (ko) 2007-10-10 2007-10-10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11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366A (ko) * 2005-01-05 2006-07-1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KR20060093654A (ko) * 2005-02-22 2006-08-25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0366A (ko) * 2005-01-05 2006-07-10 주식회사 케이에이치바텍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KR20060093654A (ko) * 2005-02-22 2006-08-25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휴대기기의 힌지장치 및 휴대전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5151B2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7158816B1 (en) Foldable and portabl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5061559A (ja) 小型情報端末用スライドヒンジ
KR20050037054A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AU1544199A (en) Hinge construction with a snap-open, snap-shut feel, for a folding mobile phone handset
JP3163264U (ja) 携帯式電子装置
JP4252004B2 (ja) セミオート式のスライド装置
KR1008481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KR20100004747A (ko) 휴대 단말기용 스윙식 덮개 개폐장치
KR20040092122A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의 회전 멈춤 장치
KR10083164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KR100845220B1 (ko) 스윙 힌지 장치
CA2523518A1 (en) Data entry teminal with manual validation
JP4148095B2 (ja) 回転支持機構および電子機器
KR10066252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2방향 개폐장치
KR101014882B1 (ko) 양 방향 개폐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양 방향 개폐기기
KR100959394B1 (ko) 폴딩과 스위블의 기능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장치
KR100353213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듀얼타입 힌지모듈
KR100796945B1 (ko) 폴더형 휴대폰의 2클릭 힌지장치
KR200334327Y1 (ko) 스윙 힌지 모듈
JP2004137827A (ja) 回転取手装置
KR100714517B1 (ko) 카메라 렌즈커버의 자동개폐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50274Y1 (ko) 휴대폰
KR101084535B1 (ko) 가로보기 폴더형 휴대폰의 2클릭 힌지장치
JP4040183B2 (ja) 携帯式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