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42289B1 -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42289B1
KR100742289B1 KR1020050120472A KR20050120472A KR100742289B1 KR 100742289 B1 KR100742289 B1 KR 100742289B1 KR 1020050120472 A KR1020050120472 A KR 1020050120472A KR 20050120472 A KR20050120472 A KR 20050120472A KR 100742289 B1 KR100742289 B1 KR 100742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 body
slide
guide groove
sl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6640A (ko
Inventor
히데오 카토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6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2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2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를 제공하기 위해,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의 양측부와 제2틀체의 양측부를 서로 슬라이드결합시켜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로 덮는 폐쇄상태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와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르는 가이드홈과,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와의 어느 타방의 틀체의 양측부의 일단부근방에 설치되고, 탄성이 부여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내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압접하는 슬라이드유니트와, 그 슬라이드유니트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에서 회동하는 일 없이 슬라이드결합하는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한다.
휴대기기, 슬라이드기구, 소형화, 가이드홈, 슬라이드유니트, 슬라이드부재.

Description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slide mechanism of a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telepho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a)는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중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c)는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a)는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분해사시도이며, (b)는 측단면도이고, (c)는 측면도이며, (d)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2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으로, (a)는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의 일예로서 그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홈 및 회동부의 일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면이 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제2휴대전화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a)는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 및 (c)는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홈 및 회동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로, (a)는폐쇄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b)는 개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슬라이드기구
2: 제1틀체
3: 제2틀체
4: 가이드홈
5: 슬라이드부재
6: 슬라이드유니트
7: 결합요홈부
9: 회동부
11 내지 14: 휴대전화기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등의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시키는 때에 이용하기 적합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의 일종인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키보드부나 마이크부 등을 상면에 설치한 송화부로서의 제1틀체와, 표시부 또는 스피커부 등을 상면에 설치한 수화부로서의 제2틀체를 지니며, 이들의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중첩하여 제2틀체로 제1틀체의 상면을 덮은 폐쇄상태와,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만드는, 슬라이드기구부의 것이 시장에 출하되고 있다. 이와 같은 슬라이드기구를 지니는 휴대전화기로서는, 일본국특개 2004-235897호공보에 기재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 일본국특개 2004-235897호공보에 기재된 것은, 수화부로서의 제2틀체의 양측부에 그 후단부 근방으로부터 선단부 근방까지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가이드홈을 설치함과 동시에, 송화부로서의 제1틀체의 양측부의 중앙부와 선단부근방의 2 개소에 각각 가이드홈에 결합하는 가이드 부재를 설치하여, 제2틀체의 양측부와 제1틀체의 양측부를 서로 슬라이드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다고 하는 구성의 것이었다. 이와 같은 구성이면, 폐쇄상태의 경우에는,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중첩되어 제2틀체로 제1틀체의 상면이 덮여져 있다. 즉, 제1틀체의 중앙부의 가이드부재는 제2틀체의 가이드홈의 중앙부에 위치됨과 동시에, 선단부 근방의 가이드부재는 제2틀 체의 가이드홈의 선단부근방에 위치되어 있다. 그 폐쇄상태로부터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제1틀체의 중앙부의 가이드부재를 제2틀체의 가이드홈의 후단부 근방에 위치시킴과 동시에 선단부근방의 가이드부재를 제2틀체의 가이드홈의 중앙부에 위치시키는 것으로, 제1틀체의 상면이 노출하여 개방상태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그 개방상태에서는, 제1틀체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선단부까지와 제2틀체의 대략 중앙부에서 후단부까지가 중첩하기 때문에,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길이방향의 길이가 길게 되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는,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의 양측부와 제2틀체의 양측부를 서로 슬라이드결합시켜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로 덮는 폐쇄상태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와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르는 가이드홈과,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와의 어느 타방의 틀체의 양측부의 일단부 근방에 설치되며, 탄성이 부여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홈내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압접하는 슬라이드유니트와, 그 슬라이드유니트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에서 슬라이드결합하는 슬라이드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홈과, 탄성이 부여된 상태에서 가이드홈내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압접하는 슬라이드유니트와, 가이드홈에서 회동하는 일 없이 슬라이드결합하는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에 의해, 타방의 틀체가 일방의 틀체에 대해 슬라이드부재를 축으로 회동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폐쇄상태로부터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 때, 슬라이드부재가 가이드홈의 타방의 단부근방에 위치하므로, 일방의 틀체의 상면이 노출하는 부분이 타방의 단부근방으로부터 일방의 단부까지로 많게 된다. 따라서, 개방상태에서는,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중첩하고 있는 부분이 적게 되어, 특히 제1틀체 및 제2틀체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소형화를 도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개방상태의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와의 개방각도가 둔각으로 되도록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폐쇄상태로부터 상기 개방상태에로와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슬라이드시킨 때,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가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한 후에 슬라이드하면서 회동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와의 개방각도가 둔각으로 되는 회동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개방상태의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더욱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축으로 서로 회동시켜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와의 개방각도를 둔각으로 하는 회동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개방각도라는 것은, 제1틀체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직선과 제2틀체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직선이 이루는 각도중 제1틀체의 상면측의 각도(도 5(b)에서 부호α로 나타내는 각도이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유니트와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결합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유니트가,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돌출부재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유니트를, 상기 타방의 틀체에 설치되고, 출몰공을 지니는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내에 상기 출몰공으로부터 출몰가능하게 수용되는 볼베어링과, 상기 케이스체내에 수용되고, 상기 볼베어링을 돌출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휴대전화기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타방의 틀체가 일방의 틀체에 대해 슬라이드부재를 축으로 회동하는 일이 없으므로, 개방상태에서는,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중첩하고 있는 부분이 적게 되어, 소형화를 도모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에 의하면, 타방의 틀체가 일방의 틀체에 대해 슬라이드부재를 축으로 회동하는 일이 없으므로, 개방상태에서는,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중첩하고 있는 부분이 적게 되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를 첨부도면을 기초로 설명된다.
(실시형태1)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2)의 양측부(22)와 제2틀체(3)의 양측부(32)를 서로 슬라이드시켜서, 제1틀체(2)와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2)의 상면을 제1틀체(2)와 제2틀체(3)의 어느 타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2틀체(3)로 덮는 폐쇄상태(도 1(a)참조)와, 제1틀체(2)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도 1(c)참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휴대기기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자우루스(상표) 등의 휴대정보단말기, 전탁, 포켓컴퓨터, 휴대게임기 등을 들 수 있고, 특히 휴대전화기가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기기로서는, 기타, 재털이, 케이스 덮개 등도 포함된다. 즉, 2개의 틀체를 서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휴대기기로서 휴대전화기(11)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제1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1)는, 제1틀체(2)와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2틀체(3)의 양측부(32)에 설치되고 가이드홈(4)과, 제1틀체(2)와 제2틀체(3)와의 어느 타방의 틀체, 예를 들면, 제1틀체(2)의 양측부(22)의 일단부 근방에 설치되고, 탄성이 부여된 상태에서 가이드홈(4)내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압접하는 슬라이드유니트(6)와, 슬라이드유니트(6)에 설치되고, 가이드홈(4)에서 회동하는 일 없이 슬라이드결합하는 슬라이드부재(5)를 구비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제1틀체(2)는, 휴대전화기(11)의 송화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키보드부(2a)(도 6참조.) 또는 마이크부(2b)(도 6참조) 등을 상면에 지니고 있다. 제1틀체(2)는, 양측부(22)가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각각 돌출한 대략 ㄷ자 형상으로서 평면에서 세장형의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틀체(3)는, 동일하게 휴대전화기(11)의 수화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LCD 등의 표시부(3a)(도 6참조) 또는 스피커부(3b)(도 6참조)등을 상면에 지니고 있다. 제2틀체(3)는, 길이방향의 길이가 제1틀체2의 길이방향 길이와 대략 같은 칫수임과 동시에, 폭방향의 길이가 제1틀체(2)의 폭방향의 길이보다 짧은, 예를 들면, 약간 짧은 칫수의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2틀체(3)의 두께는, 예를 들면, 제1틀체(2)의 측부(22)의 높이와 대략 동일 칫수로 형성되고, 그 제2틀체(3)가 제1틀체(2)의 측부(22)사이에 결합되어 제1틀체(2)에 중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제2틀체의 측부(32)에 가이드홈(4)이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홈(4)은, 슬라이드부재(5)와 결합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서 로 회동시키는 일 없이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다. 가이드홈(4)은, 제2틀체(3)의 양측부(32)에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하여, 선단부(스피커부(3b)가 있는 측의 단부)로부터 후단부(선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걸쳐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5)는, 제1틀체(2)의 측부(22)의 내면의 선단부(마이크부(2b)가 설치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단부)근방에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홈(4)에 결합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그 길이방향으로, 즉, 직선방향으로 폐쇄상태와 개방상태사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제2틀체(3)가 제1틀체(2)의 측부(22)사이에 결합되어 제1틀체(2)의 상면이 제2틀체(3)로 덮여진 상태가 폐쇄상태이고, 그때, 슬라이드부재(5)가 가이드홈(4)의 선단부에 위치되고, 그 상태로부터,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제1틀체(2)의 후단부측으로부터 그 선단부측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슬라이드부재(5)를 가이드홈(4)의 후단부에 위치시킨 때, 제1틀체(2)의 상면이 노출한 상태가 개방상태이다. 또, 제2틀체를 하면의 일부가 돌출하는 대략 돌출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돌출한 부분을 제1틀체(2)의 측부(22)사이에 결합하여 제1틀체(2)의 상면 전체를 제2틀체로 덮도록 하여도 좋다. 또, 슬라이드부재(5)을 제1틀체(2)에 설치함과 동시에 가이드홈(4)을 제2틀체(3)에 설치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서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연결하였지만, 슬라이드부재를 제2틀체(3)에 설치함과 동시에 가이드홈을 제2틀체(3)에 설치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서로 슬라이드가능하게 연결하도록 하여도 좋다.
슬라이드부재(5)는, 제1틀체(2)의 측부(22)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있어도 좋지만,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 슬라이드부재(5)는, 가이드홈(4)과 결합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서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야 할 가이드홈(4)을 미끄럼운동함과 동시에, 제2틀체(3)가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부재(5)를 축으로 회동하는 것이 없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슬라이드부재(5)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2개의 직선상의 평행부(5a, 5a)와 2개의 반원부(5b, 5b)로 구성되는 가늘고 긴 세장의 장원(長圓)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장원이라함은, 평행부의 양단부를 반원부 또는 원호형상의 만곡부로 각각 접속하여 형성되는 형상을 말한다. 슬라이드부재(5)는, 예를 들면, 내마모성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부재(5)는, 예를 들면, 슬라이드부재장착부(51)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장착부(51)는, 제1틀체(2)의 측부(22)에 일체로 설치되어도 좋으며, 측부(22)에 설치한 수용부(25)에 결합되어 수용된 가이드케이스(60)에 설치되어도 좋다. 가이드케이스(60)는, 탄성이 부여된 상태에서 가이드홈(4)내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압접하는 슬라이드유니트(6)를 수용하는 것이고, 슬라이드유니트(6)의 하나의 구성요소이다. 그 가이드케이스(60)는, 수용부(25)에 수용된 때, 일측면(미끄럼운동면(60a)이라고도 함)이 측부(22)의 내면과 동일(대략 동일을 포함한다) 평면상에 위치되는 대략 사각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미끄럼운동면(60a)에,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슬라이드부재장착부(51)가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장착부(51)는, 예를 들면, 측부(22)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세장형 사각 형상의 양단부를 반원형상으로 한 장원 형상의 중앙부를 제거한 2개의 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슬라이드부재장착부(51, 51)의 외주에 슬라이드부재(5)가 삽입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장착부(51, 51)사이에는, 슬라이드유니트(6)를 수용하는 결합돌출부삽입부(68)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드부재(5)는, 슬라이드부재장착부(51)를 개재하는 일 없이, 슬라이드유니트(6)에 직접 설치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슬라이드부재(5)의 폭(평행부(5a, 5a)사이의 길이)는, 가이드홈(4)의 폭보다 약간 작은 칫수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재(5)의 평행부(5a, 5a)가 가이드홈(4)을 형성하는 양측벽(42, 42)에 각각 접촉 또는 근접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제2틀체(3)가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부재(5)를 축으로 회동하는 일이 없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유니트(6)는, 탄성이 부여된 상태에서 가이드홈(4)내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압접하는 것으로, 가이드케이스(60)외에, 도2 및 도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체(61)와 덮개체(62)와 돌출부재와 받침부재(64)와 가압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체(61)는, 결합돌출부삽입부(68)에 결합되어 수용되는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61)의 내형은,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대략 중앙부로부터 일단부(선단부라고도 함)에 걸쳐 점차 직경이 수축되어 형성된다. 즉, 케이스체(61)의 선단부의 개구부(출몰공(61a)이라고도 함)는, 타단부(후단부라고도 함)의 개구부보다 직경이 작은 칫수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61)의 외형은, 장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선단부가 더욱 세장형의 장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플랜지부(61b)로 되어 있다.
그 케이스체(61)내에, 돌출부재인 볼베어링(63)이 수용되어 있다. 볼베어링(63)은, 출몰공(82a)의 직경보다 큰, 예를 들면, 약간 큰 칫수의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체(61)내에 수용된 상태에서 출몰공(82a)으로부터 일부가 돌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체(61)의 후단부의 개구부는, 덮개체(62)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덮개체(62)는, 후단부의 개구부를 폐쇄하는 것이고, 예를 들면, 케이스체(61)의 외형과 대략 같은 형상의 장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덮개체(62)는, 케이스체(61)의 후단부의 개구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예를 들면, 초음파용접에 의해 케이스체(61)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볼베어링(63)은, 케이스체(61)로부터 빠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그 덮개체(62)가 고정된 케이스체(61)가 결합돌출부삽입부(68)에 수용되면, 케이스체(61)의 선단부가 슬라이드부재장착부(51)의 표면과 동일(대략 동일을 포함한다) 평면상으로 되도록 케이스체(61) 및 덮개체(62)의 형상 및 칫수 등이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케이스체(61)내에는, 볼베어링(63)을 지지하는 받침부재(64)가 수용되어 있다. 받침부재(64)은,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받침부재(64)의 일단부에는, 볼베어링(6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볼베어링(63)의 직경과 같은 직경의 반구형상의 지지부(64a)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받침부재(64)의 타단부에는, 가압부재인 압축코일스프링(65)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스프링삽입부(64b)가 설치되어 있다. 압축코일스프링(65)의 타단부는, 덮개체(62)의 내면에 접촉하고, 볼베어링(63)에 다른 힘이 작용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압축코일스프링(65)의 가압력에 의해 받침부재(64)를 개재하여 볼베어링(63)의 일부가 출몰공(61a)으로부터 항상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그 슬라이드유니트(6)의 볼베어링(63)과 결합요홈부(7)로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결합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결합요홈부(7)는, 가이드홈(4)내에 설치되어 있다. 가이드홈(4)은, 볼베어링(63)과 결합하여,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임의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것이다. 결합요홈부(7)의 위치는 임의이고, 예를 들면, 가이드홈(4)의 선단부근방으로서 폐쇄상태의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위치와, 가이드홈(4)의 중앙부(대략 중앙부를 포함한다)로서 중간상태(폐쇄상태와 개방상태의 중간 상태)의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위치와, 가이드홈(4)의 후단부근방으로서 개방상태의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위치와의 3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결합요홈부(7)의 내면은, 예를 들면, 볼베어링(63)의 직경과 같은 직경의 구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슬라이드유니트(6)를 제1틀체(2)에 설치함과 동시에결합요홈부(7)를 제2틀체(3)에 설치하였지만, 슬라이드유니트를 제2틀체(3)に설치함과 동시에 결합요홈부(7)를 제2틀체(3)에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가이드홈(4)내에는, 볼베어링(63)이 미끄럼운동하는 미끄럼운동부(45)(( 도7) 및 (도9)참조)를 설치하여도 좋다. 미끄럼운동부(45)는, 결합요홈부(7)보다 깊이가 얕은, 예를 들면, 원형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끄럼운동부(45)는, 예를 들면, 결합요홈부(7)를 연결함과 동시에, 가이드홈(4)을 따라 슬라이드부재(5)가 슬라이드이동하는 때, 볼베어링(63)과 대향하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제1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1) 및 휴대전화기(11)의 작용을 설명한다.
휴대전화기(11)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는, 통상,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한 폐쇄상태(도1(a)참조)이다. 그 때, 슬라이드유니트(6)의 볼베어링(63)이 제2틀체(3)의 가이드홈(4)의 선단부근방의 결합요홈부(7)에 결합하여 있고, 폐쇄상태에서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로크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 휴대전화기(11)로 통화할 때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2)를 왼손으로 파지하고 동시에 제2틀체(3)를 오른 손으로 파지하여, 그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제1틀체(2)의 후단부로부터 선단부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볼베어링(63)이 결합요홈부(7)로부터 탈출하고(결합이 해제되고) 압축코일스프링(65)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케이스체(61)내로 이동하는 동시에, 미끄럼운동부(45)에 안내되면서 그 미끄럼운동부(45)상을 미끄럼운동하며, 또한, 슬라이드부재(5)와 가이드홈(4)와의 결합에 의해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슬라이드한다.
그 때, 슬라이드부재(5)의 평행부(5a, 5a)가 가이드홈(4)을 형성하는 양측벽(42, 42)에 각각 접촉 또는 근접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슬라이드하 므로, 제2틀체(3)가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부재(5)를 축으로 회동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제1틀체(2)와 제2틀체(3)는, 서로 회동하는 일 없이 슬라이드한다.
슬라이드부재(5)가 가이드홈(4)의 중앙부에 도달하면, 볼베어링(63)이 가이드홈의 중간부의 결합요홈부(7)에 결합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중간상태에서 유지된다((도1)(b)참조). 그 중간상태로부터 더욱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면, 볼베어링(63)이 결합요홈부(7)로부터 이탈한다. 그리고, 가이드홈(4)의 후단부(4b)에 슬라이드부재(5)의 일단부가 접촉하면, 볼베어링(63)이 결합요홈부(7)에 결합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개방상태에서 유지된다(도1(c)참조).
그 때, 슬라이드부재(5)의 평행부(5a, 5a)가 가이드홈(4)을 형성하는 양측벽(42, 42)에 각각 접촉 또는 근접하여 있으므로, 제2틀체(3)가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부재(5)를 축으로 회동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회동하는 일 없이 개방상태의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결과, 통화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또, 그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슬라이드부재(5)가 가이드홈(4)의 타방의 단부근방에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틀체(2)의 상면이 노출하는 부분이 선단부 근방으로부터 후단부까지로 상면의 대부분이다. 그 때문에, 개방상태에서는,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중첩하고 있는 부분이 적게 되어, 특히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제2틀체(3)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때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2)를 왼손으로 파지함과 동시에 제2틀체(3)를 오른 손으로 파지하고, 그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제1틀체(2)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측으로 힘을 작용시킨다. 그러면, 볼베어링(63)이 결합요홈부(7)로부터 탈출하고(결합이 해제되고), 슬라이드부재(5)가 가이드홈(4)에 안내되면서 제2틀체(3)가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재(5)의 타단부가 가이드홈(4)의 선단부(4a)에 접촉하는 동시에, 볼베어링(63)이 결합요홈부(7)에 결합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로 유지되고, 제2틀체(3)가 본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1) 및 휴대전화기(11)는, 제2틀체(3)가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부재(5)를 축으로 회동하는 일 없이 가이드홈(4)을 미끄럼운동하도록 슬라이드부재(5)를 형성하였으므로, 개방상태에서는,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중첩하고 있는 부분이 작게 되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시키고 있는 도중에 그 슬라이드를 정지시키면, 그 위치에 제2틀체(3)를 정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면, 슬라이드유니트(6)의 볼베어링(63)이 가이드홈(4)내의 미끄럼운동부(45)에 미끄럼운동하면서 압축코일스프링(65)의 가압력에 의해 미끄럼운동부(45)에 가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틀체(3)를 정지시키면, 볼베어링(63)과 가이드홈(40)의 미끄럼운동부(45)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서 제2틀체(3)는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소망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2)
도 5∼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제2슬라이드기구의 상기 제1슬라이드기구와 다른 점은, 도 5∼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가이드홈(4)에 제1틀체(2)와 제2틀체(3)와의 개방각도α를 둔각으로 하는 회동부(9)를 설치한 점이다. 또, 상기 제1슬라이드기구(1)와 같은 부재에는 같은 명칭을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회동부(9)는, 가이드홈(4)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회동부(9)는, 제1틀체(2)와 제2틀체(3)와의 개방각도α를 둔각으로 하는 것이다. 그 때의 개방각도α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50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150도에는, 150도전후가 포함되는 것이다. 회동부(9)는, 개방각도α를 둔각으로 할 수 있다면,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에로와,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슬라이드시킨 때,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한 후에 슬라이드하면서 회동하고 개방각도α가 둔각으로 되도록 하여도 좋다.
그 회동부(9)는, 예를 들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홈(4)의 후단부(4c)의 상부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경사부(91)가 형성됨과 동시에, 그 하부가, 그 경사부(91)에 슬라이드부재(5)의 일단부가 진입하여 후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회동할 수 있도록 회동요홈부(92)가 형성되며, 그 회동요홈부(92)의 저부와 경사부(91)에 결합하는 것으로 제2틀체(3)의 회동이 정지된다. 즉, 경사부(91)의 선단부에 슬라이드부재(5)의 일단부가 끼여 지지됨과 동시에, 슬라이드부재(5)의 하방의 평행부(52a)가 경사부(91)의 저면(91a) 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2틀체(3)의 회동이 정지된다. 그 때문에, 경사부(91)의 선단부 또는 저면(91a) 등의 형상 또는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개방각도를 임의의 각도, 예를 들면, 특히 150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합요홈부(7)는, 예를 들면, 가이드홈(4)의 선단부 근방에서 폐쇄상태의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위치와, 슬라이드하면서 회동하고 슬라이드부재(5)의 하방의 평행부(52a)가 경사부(91)의 저면(91a)에 접촉한 상태에서 제2틀체(3)의 회동가 정지된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위치의 2 개소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휴대전화기(12)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상태는, 통상, 제1틀체(2)와 제2틀체(30)가 서로 중첩한 폐쇄상태(도 5(a)참조)이다. 그 때, 슬라이드유니트(6)의 볼베어링(63)이 제2틀체(3)의 가이드홈(4)의 선단부근방의 결합요홈부(7)에 결합하여 있고, 폐쇄상태에서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로크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 휴대전화기(12)로 통화할 때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2)를 왼손으로 파지하고 동시에 제2틀체(3)를 오른 손으로 파지하여, 그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제1틀체(2)의 후단부로부터 선단부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볼베어링(63)이 결합요홈부(7)로부터 탈출하고(결합이 해제되고) 압축코일스프링(6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케이스체(61)내로 이동하는 동시에, 미끄럼운동부(45)에 안내되면서 그 미끄럼운동부(45)상을 미끄럼운동하며, 또한, 슬라이드부재(5)와 가이드홈(4)과의 결합에 의해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슬라이드한다.
그 때, 슬라이드부재(5)의 평행부(5a, 5a)가 가이드홈(4)을 형성하는 양측벽 (42, 42)에 각각 접촉 또는 근접하고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슬라이드하므로, 제2틀체(3)가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부재(5)를 축으로 회동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제1틀체(2)와 제2틀체(3)는, 회동하는 일 없이 슬라이드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가이드홈(4)의 회동부(9)에 슬라이드부재(5)가 슬라이드하면, 슬라이드부재(5)의 일단부가 경사부(91)에 진입하고 그 저면(91a)에 접촉하며, 그 저면(91a)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동시에, 슬라이드부재(5)의 타단부가 회동요홈부(92)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2틀체(3)가 제1틀체(2)에 대해 회동한다. 슬라이드부재(5)의 일단부가 경사부(91)의 선단부로 이동하면, 슬라이드부재(5)의 하방의 평행부(52a)가 경사부(91)의 저면(91a)에 접촉하여 회동이 정지하는 동시에, 볼베어링(63)이 제2틀체(3)의 후단부측의 결합요홈부(7)에 결합하여, 예를 들면, 개방각도가 150도의 개방상태에서 회동하는 일 없이 로크상태로 유지된다. 즉,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도 5(b) 및 도 6에서와 같이, 통화가능한 개방상태도 된다. 이에 따라, 제1틀체(2)의 마이크부(2b)를 입쪽으로, 제2틀체(3)의 스피커부(3b)를 각각 귀쪽으로 가까이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개방각도가 150도의 개방상태에서는, 제2틀체(3)의 표시부(3a)에 표시된 화상을 보면서 제1틀체(2)의 키보드부(2a)의 조작이 하기 쉽게 되고, 사용하는 상태가 좋게 된다.
또, 그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슬라이드부재(5)가 가이드홈의 타방의 단부근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1틀체(2)의 상면이 노출하는 부분은, 선단부근방으로부터 후단부까지로 상면의 대부분이다. 그 때문에, 개방상태에서는, 제1틀체(2)와 제2틀 체(3)가 중첩하고 있는 부분이 작게 되어, 특히 제1틀체(2) 및 제2틀체(3)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제2틀체(3)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때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2)를 왼손으로 파지하고 동시에 제2틀체(3)를 오른 손으로 파지하여, 그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제1틀체(2)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측으로 힘을 작용시킨다. 그러면, 볼베어링(63)이 결합요홈부(7)로부터 탈출하고(결합이 해제되고), 슬라이드부재(5)의 타단부가 회동요홈부(92)로부터 가이드홈(4)에 삽입됨과 동시에, 슬라이드부재(5)의 일단부가 저면(91a)을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나서, 가이드홈(4)으로 들어 가며, 슬라이드부재(5)와 가이드홈(4)의 결합에 의해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재(5)의 타단부가 가이드홈(4)의 선단부(4a)에 접촉하는 동시에, 볼베어링(63)이 제2틀체(3)의 선단부측의 결합요홈부(7)에 결합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로 유지되고, 제2틀체(3)가 본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2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100) 및 휴대전화기(12)는,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며, 동시에, 조작성이 향상되고, 또한, 사용상태가 좋게 되는 것이다.
또,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는 도중에 그 슬라이드를 정지시키면, 그 위치에서 제2틀체(3)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면, 슬라이드유니트(6)의 볼베어링(63)이 가이드홈(4)내의 미끄럼운동부(45)에서 미끄럼운동하면서 압축코일스프링(65)의 가압력 에 의해 미끄럼운동부(45)에 가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틀체(3)를 정지하면, 볼베어링(63)과 가이드홈(4)의 미끄럼운동부(45)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제2틀체(3)는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소망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3)
도 8 및 도 9는본발명에 따른 제3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제3슬라이드기구는, 도 8 및 도 9에서와 같이, 가이드홈(4)에 개방상태의 제1틀체(2)와 제2틀체(3)와의 개방각도α(도 5(b)참조)를 둔각으로 하는 회동부를 설치한 점이다. 또, 상기 제1슬라이드기구와 같은 부재에는 같은 명칭을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회동부(9)는, 가이드홈(4)의 후단부(4c)의 하부에 형성된 회동요홈부(95)를 지닌다. 가이드홈(4)은, 제1틀체(2)의 상면이 제2틀체(3)로 덮힌 폐쇄상태와, 그 폐쇄상태, 예를 들면,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를 제1틀체(2)의 후단부측으로부터 선단부측으로 그 길이방향, 즉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슬라이드부재(5)의 일단부를 가이드홈(4)의 후단부(4b)에 접촉한 때, 제1틀체(2)의 상면이 노출된 개방상태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 가이드홈(4)의 후단부(4b)는, 슬라이드부재(5)의 일단부의 반원부(52b)가 결합할 수 있도록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요홈부(95)는, 가이드홈(4)의 후단부(4c)에 슬라이드부재(5)의 일단부가 접촉된 개방상태의 제1틀체(2)와 제2틀체(30)를 서로 슬라이드부재(5)의 일단부의 반원부(52b)의 축을 회동축으로 하여 회동시키는 것이다. 회동요홈부(95)의 저면(95a)은, 평면형상으로서 경사되어 있어, 그 저면에 슬라이드부재(5)의 하부의 평행부(52a)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회동이 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동요홈부(95)의 저면(95a)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에 의해, 개방각도를 임의의 각도, 예를 들면, 특히 150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합요홈부(7)는, 예를 들면, 가이드홈(4)의 선단부 근방으로서 폐쇄상태의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위치와,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서로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슬라이드부재(5)의 일단부를 가이드홈(4)의 후단부(4c)에 접촉한 때의 개방상태(제1개방상태라고도 함)를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위치(그 위치에 설치된 결합요홈부(7)를 제1결합요홈부(7a)라고 한다)와, 제1개방상태의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더욱 서로 회동시켜서 슬라이드부재(5)의 평행부(52a)가 회동요홈부(95)의 저면(95a)에 접촉된 상태에서 그 회동이 정지된 개방상태(제2개방상태)를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위치(그 위치에 설치된 결합요홈부(7)를 제2결합요홈부(7b)라고 한다)와의 3 개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소형화 및 조작성 향상이 가능하다. 즉, 휴대전화기(13)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는, 통상,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한 폐쇄상태(도 8(a)참조)이다. 그 때, 슬라이드유니트(6)의 볼베어링(63)이 제2틀체(3)의 가이드홈(4)의 선단부 근방의 결합요홈부(7)에 결합하여 있고, 폐쇄상태에서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로크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 휴대전화기(13)로 통화를 하는 때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2)를 왼손으로 파지하고 동시에 제2틀체 (3)를 오른 손으로 파지하여, 그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제1틀체(2)의 후단부로부터 선단부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볼베어링(63)이 결합요홈부(7)에서 탈출하고(결합이 해제되고) 압축코일스프링(6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케이스체(61)내로 이동하는 동시에, 미끄럼운동부(45)로 안내되면서 그 미끄럼운동부(45)상을 미끄럼운동하며, 또한, 슬라이드부재(5)와 가이드홈(4)와의 결합에 의해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슬라이드한다.
그 때, 슬라이드부재(5)의 평행부(5a, 5a)가 가이드홈(4)을 형성하는 양측벽(42, 42)에 각각 접촉 또는 근접하고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슬라이드하 므로, 제2틀체(3)가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부재(5)를 축으로 회동하는 일이 없게 된다. 그 결과, 제1틀체(2)와 제2틀체(3)는, 회동하는 일 없이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가이드홈(4)의 후단부(4b)에 슬라이드부재(5)의 일단부가 접촉하면, 볼베어링(63)이 제1결합요홈부(7a)에 결합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제1개방상태로 유지된다(도 8(b)참조). 그 제1개방상태의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더욱 서로 회동시키면, 슬라이드부재(5)의 평행부(52a)가 회동요홈부(95)의 저면(95a)에 접촉하는 동시에, 볼베어링(63)이 제1결합요홈부(7a)에서 탈출하고 제2결합요홈부(7b)에 결합하여, 예를 들면, 개방각도가 150도의 제2개방상태에서 로크된다. 즉, 제1틀체(2) 및 제2틀체(3)가 통화가능한 개방된 상태로 된다(도 8(c) 및 도6 참조). 이에 따라 제1틀체(2)의 마이크부(2b)를 입에, 제2틀체(3)의 스피커부(3b)를 귀에 가까이 대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개방각도가 150도의 개방상태에서는, 제2틀체(3)의 표시부(3a)에 표시된 화상을 보면서 제1틀체(2)의 키보드부(2a)를 조작할 수 있어 조작이 쉽게 될 수 있고, 사용상태가 좋게 된다.
제2틀체(3)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때에는, 제2개방상태의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서로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슬라이드부재(5)의 상방의 평행부(52a)가 가이드홈(4)의 상방의 벽에 접촉하는 동시에, 볼베어링(63)이 제2결합요홈부(7b)로부터 탈출하여 제1결합요홈부(7a)에 결합한다. 그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제1틀체(2)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측에 힘을 작용시킨다. 그러면, 볼베어링(63)이 제1결합요홈부(7a)로부터 탈출하고, 슬라이드부재(5)와 가이드홈(4)와의 결합에 의해 제1틀체(2)에 대해 제2틀체(3)가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재(5)의 타단부가 가이드홈(4)의 선단부에 접촉하는 동시에, 볼베어링(63)이 제2틀체(3)의 선단부측의 결합요홈부(7)에 결합하여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되는 폐쇄상태로 유지되고, 제2틀체(3)가 본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3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110) 및 휴대전화기(13)는,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조작성이 향상되고, 또한, 사용상태가 좋게 되는 것이다.
또,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시키고 있는 도중에서 그 슬라이드를 정지시키면, 그 위치에서 제2틀체(3)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면, 슬라이드유니트(6)의 볼베어링(63)이 가이드홈(4)내의 미끄럼운동부(45)에 미끄럼운동하면서 압축코일스프링(65)의 가압력에 의해 미끄럼운동부(45)에 가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틀체(3)를 정지 시키면, 볼베어링(63)과 가이드홈(4)의 미끄럼운동부(45)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 제2틀체(3)는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제2틀체(3)를 제1틀체(2)에 대해 소망의 위치에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형태4)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휴대전화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그 제4슬라이드기구의 상기 제1슬라이드기구와 다른 점은, 도 10에서와 같이, 가이드홈(4) 및 슬라이드부재(5)를 만곡형상으로 형성한 점이다.
또, 상기 제1슬라이드기구와 같은 부재에는 같은 명칭을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가이드홈(4)은, 제2틀체(300)의 양측부(320)에 그 길이방향을 따르며, 선단부(스피커부가 있는 측의 단부)로부터 후단부(선단부와는 반대측의 단부)에 걸쳐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가이드홈(4)은, 개방상태에서의 제1틀체(200)와 제2틀체(300)와의 개방각도α가 둔각, 예를 들면, 150도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드부재(5)는, 2개의 평행부가 가이드홈(4)의 만곡형상에 대응하여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드부재(5)가 가이드홈(4)과 결합하여 제1틀체(200)와 제2틀체(300)가 서로 곡선방향으로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결합요홈부(7)는, 예를 들면, 가이드홈(4)의 선단부 근방으로서 폐쇄상태의 제1틀체(200)와 제2틀체(300)를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위치와, 가이드홈(4)의 후단부근방으로서 개방상태의 제1틀체(200)와 제2틀체(300)를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위치와의 2 개소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휴대전화기(14)가 사용되지 아니하는 상태에서는, 통상, 제1틀체(200)와 제2틀체(300)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도 10(a)참조)에 있다. 그 때, 슬라이드유니트(6)의 볼베어링(63)이 제2틀체(300)의 가이드홈(4)의 선단부 근방의 결합요홈부(7)에 결합하여 있고, 폐쇄상태에서 제1틀체(200)와 제2틀체(300)가 로크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 휴대전화기(14)로 통화하는 때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200)를 왼손으로 파지하고 동시에 제2틀체(300)를 오른 손으로 파지하여, 그 제2틀체(300)를 제1틀체(200)에 대해 제1틀체(200)의 후단부로부터 선단부측으로 슬라이드시킨다. 그러면, 볼베어링(63)이 결합요홈부(7)로부터 탈출하고(결합이 해제되고) 압축코일스프링(6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케이스체(61)내로 이동하는 동시에, 미끄럼운동부(45)에 안내되면서 그 미끄럼운동부(45)상을 미끄럼운동하며, 또한, 슬라이드부재(5)와 가이드홈(4)와의 결합에 의해 제1틀체(200)에 대해 제2틀체(300)가 곡선상을 슬라이드한다.
그 때, 슬라이드부재(5)의 평행부가 가이드홈(4)을 형성하는 양측벽에 각각 접촉 또는 근접하며 제1틀체(200)와 제2틀체(300)가 서로 슬라이드하므로, 제2틀체(300)가 제1틀체(200)에 대해 슬라이드부재(5)를 축으로 회동하는 일이 없게 된다. 그 결과, 제1틀체(200)와 제2틀체(300)는, 회동하는 일 없이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가이드홈(4)의 후단부(4b)에 슬라이드부재(5)의 일단부가 접촉하면, 볼베어링(63)이 결합요홈부(7)에 결합하고, 제1틀체(200)와 제2틀체(300)가, 예를 들어, 개방각도 150도의 개방상태에서 회동하는 일 없이 로크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제1틀체(200)의 마이크부를 입에, 제2틀체(300)의 스피커부를 귀에 가까이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개방각도가 150도의 개방상태에서는, 제2틀체(300)의 표시부에 표시된 화상을 보면서 제1틀체(200)의 키보드부의 조작이 쉽게 되어 사용상태가 좋게 된다.
또, 그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슬라이드부재(5)가 가이드홈(4)의 타방의 단부근방에 위치되기 때문에, 제1틀체(200)의 상면이 노출하는 부분이 선단부근방으로부터 후단부까지로 상면의 대부분이다. 그 때문에, 개방상태에서는, 제1틀체(200)와 제2틀체(300)가 중첩하고 있는 부분이 작게 되어, 특히 제1틀체(200) 및 제2틀체(300)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고,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제2틀체(300)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때에는, 예를 들면, 제1틀체(200)를 왼손으로 파지하고 동시에 제2틀체(300)를 오른 손으로 파지하며, 그 제2틀체(300)를 제1틀체(200)에 대해 제1틀체(200)의 선단부로부터 후단부측으로 힘을 작용시킨다. 그러면, 볼베어링(63)이 결합요홈부(7)로부터 탈출하고(결합이 해제되고), 슬라이드부재(5)가 가이드홈(4)에 안내되면서 제2틀체(300)가 제1틀체(200)에 대해 만곡형상으로 슬라이드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재(5)의 타단부가 가이드홈(4)의 선단부(4a)에 접촉하는 동시에, 볼베어링(63)이 결합요홈부(7)에 결합하여 제1틀체(200)와 제2틀체(300)가 서로 중첩된 폐쇄상태로 유지되고, 제2틀체(300)가 본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4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120) 및 휴대전화기(14)는, 소형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고 동시에, 조작성이 향상되며, 또한, 사용상태가 좋게 되는 것이다.
또, 제2틀체(300)를 제1틀체(200)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는 도중에 그 슬라이드를 정지시키면, 그 위치에서 제2틀체(300)를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제2틀체(300)를 제1틀체(200)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면, 슬라이드유니트(6)의 볼베어링(63)이 가이드홈(4)내의 미끄럼운동부(45)에서 미끄럼운동하면서 압축코일스프링(65)의 가압력에 의해 미끄럼운동부(45)에 가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2틀체(300)를 정지시키면, 볼베어링(63)과 가이드홈(4)의 미끄럼운동부(45)와의 접촉에 의한 마찰력에 의해서 제2틀체(300)는 그 위치에서 정지한다. 따라서, 제2틀체(300)를 제1틀체(200)에 대해 소망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기구는, 구성이 간단할 뿐만 아니라,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동시에, 조작성이 향상되며, 또한, 사용상태가 좋게 되는 것이므로, 휴대단말중에서도 특히 휴대전화기의 슬라이드기구로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9)

  1.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의 양측부와 제2틀체의 양측부를 서로 슬라이드결합시켜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의 틀체로 덮는 폐쇄상태와, 상기 일방의 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개방상태를 형성하는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와의 어느 일방의 틀체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그 길이방향을 따르는 가이드홈과,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와의 어느 타방의 틀체의 양측부의 일단부근방에 설치되고, 탄성이 부여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홈내로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압접하는 슬라이드유니트와,
    그 슬라이드유니트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홈에서 슬라이드결합하는 슬라이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이,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이, 상기 개방상태의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와의 개방각도가 둔각으로 되도록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폐쇄상태로부터 상기 개방상태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슬라이드시킨 때,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가 직선방향으로 슬라이드한 후에 슬라이드하면서 회동하고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와의 개방각도가 둔각으로 되는 회동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개방상태의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더욱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축으로 서로 회동시켜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와의 개방각도을 둔각으로 하는 회동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드유니트와 결합하여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소정의 위치에서 로크상태로 유지하는 결합요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유니트가, 출몰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돌출부재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유니트를, 상기 타방의 틀체에 설치되고, 출몰공을 지니는 케이스체와, 그 케이스체내에 상기 출몰공으로부터 출몰가능하게 수용되는 볼베어링과, 상기 케이스체내에 수용되고, 상기 볼베어링을 돌출방향으로 가압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9. 제 1 내지 8 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KR1020050120472A 2004-12-13 2005-12-09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KR100742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60449A JP2006173794A (ja) 2004-12-13 2004-12-13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JPJP-P-2004-00360449 2004-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640A KR20060066640A (ko) 2006-06-16
KR100742289B1 true KR100742289B1 (ko) 2007-07-24

Family

ID=36584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472A KR100742289B1 (ko) 2004-12-13 2005-12-09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60128190A1 (ko)
JP (1) JP2006173794A (ko)
KR (1) KR100742289B1 (ko)
CN (1) CN1791136A (ko)
TW (1) TW20062096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9466B2 (ja) * 2006-08-01 2011-08-31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JPWO2008120706A1 (ja) 2007-03-30 2010-07-15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機器のスライド構造及び携帯機器
JP5252381B2 (ja) * 2007-03-30 2013-07-31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機器
JP4973610B2 (ja) * 2007-08-28 2012-07-11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ビデオカメラ
JP4733678B2 (ja) * 2007-09-27 2011-07-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携帯機器
US20090170571A1 (en) * 2007-12-31 2009-07-0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artial flip-open assist of ultra thin clam communication devices
CN101605439B (zh) * 2008-06-10 2012-03-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机构
JP4638937B2 (ja) * 2008-12-26 2011-02-23 三菱製鋼株式会社 スライド型ヒンジ機構
CN101861063A (zh) * 2009-04-13 2010-10-13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便携式电子装置
CN101989449B (zh) * 2009-08-07 2014-10-0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带有滑动组件的便携式终端
JP5431892B2 (ja) * 2009-12-04 2014-03-05 加藤電機株式会社 小型電子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小型電子機器
KR101750117B1 (ko) 2011-01-10 2017-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의 거치 장치
US8964362B2 (en) * 2012-09-14 2015-02-24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nd sliding mechanism assembly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3913A (ja) * 1997-08-29 1999-03-16 Toshiba Corp 紫外線発生装置および同装置を用いた紫外線殺菌装置
JP2004235897A (ja) * 2003-01-29 2004-08-19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電話機並びにスライド機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6889B2 (ja) * 1991-02-28 2000-03-06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用電話機
JP2595932B2 (ja) * 1994-05-18 1997-04-02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無線機
JP2003319042A (ja) * 2002-04-25 2003-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端末機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3913A (ja) * 1997-08-29 1999-03-16 Toshiba Corp 紫外線発生装置および同装置を用いた紫外線殺菌装置
JP2004235897A (ja) * 2003-01-29 2004-08-19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電話機並びにスライド機構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일본 공개특허 제2004-235897호
한국공개특허 1999-73913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173794A (ja) 2006-06-29
TW200620961A (en) 2006-06-16
US20060128190A1 (en) 2006-06-15
KR20060066640A (ko) 2006-06-16
CN1791136A (zh) 2006-06-21
TWI308020B (ko) 2009-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2289B1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KR100640165B1 (ko) 휴대단말용 연결장치
US7448872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display unit cradled on a slant
KR100790088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스윙 장치
US7624477B2 (en) Rotation hinge
US8032192B2 (en) Portable terminal and sliding/swing-type cradling apparatus thereof
JP2005210649A (ja) 携帯端末のスライド機構
JP2006270804A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KR20060029586A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US8243430B2 (en) Cradling device of portable type electronic apparatus
JP2003125052A (ja) スライド機構
US20080076480A1 (en) Sw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swing device thereof
JP2007104144A (ja) 開閉装置
KR100640395B1 (ko) 휴대 단말기의 이축 힌지 장치 및 그의 장착 메카니즘
JP4537930B2 (ja) 携帯機器の水平回転機構
JP4733678B2 (ja) 携帯機器
JP2006081107A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US20060252385A1 (en) Hand-held input device having rotating mechanism
US8259443B2 (en) Til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754414B1 (ko) 휴대기기
KR100693179B1 (ko) 휴대기기
JP4676870B2 (ja) 携帯機器
KR100881579B1 (ko) 멀티 모드 구조
TWI418201B (zh) 滑蓋結構及應用該滑蓋結構之攜帶式電子裝置
KR10036697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자동 개폐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