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9586A -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 Google Patents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9586A
KR20060029586A KR1020040089783A KR20040089783A KR20060029586A KR 20060029586 A KR20060029586 A KR 20060029586A KR 1020040089783 A KR1020040089783 A KR 1020040089783A KR 20040089783 A KR20040089783 A KR 20040089783A KR 20060029586 A KR20060029586 A KR 20060029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base member
frame body
slide
force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9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1893B1 (ko
Inventor
이사오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토오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18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18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으로 슬라이드동작을 행하도록 구성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한다.
제1틀체(2)와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5)와, 그 베이스부재에 대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에 취부되는 슬라이더(4)와, 그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슬라이드 힘발생수단(6)으로 구성하고, 그 슬라이드 힘발생수단(6)을,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의 어느 일방에 선회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선회아암(7)과,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슬라이더의 어느 타방에 취부되며, 상기 선회아암에 작용하여 그 선회아암을 소정의 선회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되게 작용함으로써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소정의 개폐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힘발생부재(8)로 구성한 것에 의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slide mechanism for a portable device, and portable phon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기구의 폐쇄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기구의 개방동작을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기구의 개방상태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중 선A-A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선회아암과 본 발명에 관한 힘발생부재와의 취부상태의 일예를 나타내는 개략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관한 슬라이더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6a는 평면도이고, 도 6b는 측면도이며, 도 6c는 이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에 관한 베이스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7a는 평면도이고, 도 7b는 정면도이며, 도 7c는 이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관한 선회아암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8a는 평면도이고, 도 8b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한 힘발생부재의 일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관한 샤프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관한 회동핀의 일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드기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슬라이드기구 2: 제1 틀체
3: 제2 틀체 4: 슬라이더
5: 베이스부재 6: 슬라이드 힘발생수단
7: 선회아암 8: 힘발생부재
11: 샤프트 12: 회동핀
40: 저면부 41: 레일부
43: 결합요홈부 45: 취부공
51: 가이드부 53: 결합돌출부
55: 고정부 81: 태엽
82: 기초부 83: 자유단부
본 발명은, 휴대전화기 등의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 틀체와 제2 틀체를 직 선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슬라이드시키는 때에 채용되기 적합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휴대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기기의 일종인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키보드부나 마이크부 등을 상면에 설치한 송화부로서의 제1틀체와,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부 등을 상면에 설치한 수화부로서의 제2틀체를 지니며, 이들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완전히 중첩되어 제2틀체로 제1틀체의 상면을 덮는 상태와,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시켜서 제1틀체의 상면을 노출시키는 상태를 창출하고, 슬라이드기구부의 것이 시장에 출하되어 있다. 이러한 슬라이드기구를 지니는 휴대전화기는, 일본국 특개2003-125052호 공보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것은, 슬라이드카버와 로크플레이트를 중첩시켜 고착한 슬라이드케이스를 제2틀체의 하면에 취부함과 동시에 슬라이드케이스내에 미끄럼운동가능하게 수납한 슬라이더를 제1틀체의 상면에 취부하는 것으로, 제2틀체를 제1틀체에 대해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한 구성이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제1틀체와 제2틀체의 상대적 조작, 즉, 슬라이드조작은 전적으로 수동으로 행하여져야 하며, 이에 따라 조작성의 측면에서 불편을 초래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반자동으로 슬라이드동작을 행하도록 구성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그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휴대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는,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와, 그 베이스부재에 대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에 취부되는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슬라이드 힘발생수단으로 구성되고, 그 슬라이드 힘발생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의 어느 일방에 선회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선회아암과,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슬라이더의 어느 타방에 취부되며, 상기 선회아암에 작용하여 그 선회아암을 소정의 선회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되게 작용함으로써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소정의 개폐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힘발생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슬라이드 힘발생수단을 선회아암과 힘발생부재로 구성하고, 그 힘발생부재가 선회아암에 작용하여 선회아암을 소정의 선회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되게 작용시킴으로써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소정의 개폐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므로, 제1틀체와 제2틀체가 자동으로 슬라이드된다. 따라서, 제1틀체 및 제2틀체를 반자동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어 조작성이 향상되게 된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힘발생수단을,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방 측부측의 대략 중앙부에 일단부가 축으로 장착된 선 회아암과, 그 선회아암의 타단부의 자유단부가 일단부측의 자유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타단부측이 고정되고 원주방향으로 신축하는 힘발생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은, 그 양측부에 그 저면부에서 세워진 한쌍의 레일부를 지니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레일부와 접촉하여 슬라이드하도록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은, 그 양측부에 상기 레일부의 각 측부에 접하는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상기 각 레일부의 가이드부와 접하는 측에 요홈부 또는 돌출부를 설치하며, 상기 각 가이드부의 각 레일부와 접하는 측에 상기 요홈부 또는 돌출부와 결합하는 돌출부 또는 요홈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힘발생수단을, 상기 베이스부재의 저면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레일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부의 사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슬라이드 힘발생수단을 태엽으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휴대전화기는, 상기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드 힘발생수단을, 선회아암과 힘발생부재로 구성하고, 그 힘발생부재가 선회아암에 작용하여 선회아암을 소정의 회동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가능하게 힘을 가함으로써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소정의 개폐위치로부터 자동으로 개폐시키게 되므로, 제1틀체와 제2틀체를 반자동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게 되어 조작성 이 향상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의 일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는,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슬라이드시키는 것이다. 휴대기기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예를 들면, 휴대전화기, 자우루스(상표) 등의 휴대정보단말기, 전탁, 포켓 컴퓨터, 휴대게임기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휴대전화기가 바람직한 것로 들 수 잇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휴대기기로서는, 기타 재털이, 케이스덮개 등도 포함된다. 즉, 2개의 틀체를 서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로는, 휴대기기로서 휴대전화기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는,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틀체(2)와 제2틀체(3)의 어느 일방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5)와, 그 베이스부재(5)에 대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틀체(2)와 제2틀체(3)의 어느 타방에 취부되는 슬라이더(4)와, 그 슬라이더(4) 및 베이스부재(5)의 사이에 설치된 슬라이드 힘발생수단(6)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1)의 특징은, 슬라이드 힘발생수단(6)을, 베이스부재(5)와 슬라이더(4)의 어느 일방에 선회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선회아암(7)과, 베이스부재(5)와 슬라이더(4)의 어느 타방에 취부되며, 선회아암(7)에 작용에 작용하여 그 선회아암(7)을 소정의 선회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가능하게 힘을 가함으로써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소정의 개폐위치로부터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힘발생부재(8)로 구성한 점에 있다.
제1틀체(2)는, 휴대전화기의 송화부를 구성하는 것이고, 키보드부(2a)나 마이크부 등을 상면에 지니는 것이다.제1틀체(2)는, 세장형상이면서 대략 구형(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틀체(3)는, 동일하게 휴대전화기의 수화부를 구성하는 것이며, LCD 등의 디스플레이부나 스피커부 등을 상면에 지니고 있다.제2틀체(3)는, 제1틀체(2)와 대략 같은 세장의 대략 구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제1틀체(2) 및 제2틀체(3)는, 도 1 내지 도 4에 있어서 어디에도 상상선으로 기재되어 있다.
제1틀체(2)의 상면에는, 예를 들면, 베이스부재(5)(키베이스부재라고 하는 것이 있다)가 취부됨과 동시에, 제2틀체(3)의 하면에는, 예를 들면, 슬라이더(4)(LCD베이스부재라고 하는 것이 있다)가 취부되어 있다.
슬라이더(4)는, 제2틀체(3)의 하면의 상방에는 나사나 너트 등으로 취부되어 있다. 슬라이더(4)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세장의 대략 구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4)의 양측부는, 저면부(40)에 대해 직교하는 일방의 방향(도시예에서는 상방)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레일부(41, 41)를 지닌다. 즉, 슬라이더(4)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제와 같은 금속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하여 형성된다. 또, 슬라이더(4)는, 합성수지 등의 성형품으로 하여도 좋다. 또, 도 6중, 부호 "48"은, 슬라이 더(4)를 제2틀체(3)에 취부하기 위한 제1취부공을 나타낸다. 그 제1취부공(48)의 내벽에는 나사홈이나 이와 유사한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4)의 일방 측부의 근방에서 그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에는, 슬라이드 힘발생수단(6)의 일단부를 취부하기 위한 취부공(45)이 설치되어 있다. 그 취부공(45)에 샤프트(11)가 취부되어 있다.
그 샤프트(11)는, 도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취부공(45)의 직경보다 작은 칫수, 예를 들면, 약간 작은 칫수의 직경의 원주(圓柱) 형상의 샤프트부(11a)와, 그 샤프트부(11a)의 일단면에 동축상에 설치되고, 샤프트부(11a)의 직경보다 칫수가 작은 직경의 회동지지부(11b)와, 샤프트부(11a)의 타단면에 동축상으로 설치되고, 취부공(45)의 직경보다 칫수가 큰 직경의 스토퍼부(11c)로 구성된다. 그 샤프트(11)는, 슬라이더(4)의 이면(도시예에서는 상방측의 표면)으로부터 그 회동지지부(11b)를 취부공(45)에 삽입하여 회동지지부(11b)를 관통시킴과 동시에, 샤프트부(11a)를 취부공(45)에 삽입하고, 스토퍼부(11c)를 슬라이더(4)의 이면에 접촉시켜서 슬라이더(4)에 취부된다. 이에 따라, 샤프트(11)의 회동지지부(11b)가 슬라이더(4)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슬라이더(4)에 샤프트(11)가 취부된다.
샤프트부(11a)의 길이(축방향의 길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샤프트(11)의 취부공(45)에 취부한 때, 슬라이더(4)의 표면로부터 돌출하는 칫수, 예를 들면 약간 돌출하는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토퍼부(11c)의 길이(축방향의 길이)는, 선회아암(7)를 선회할 수 있는 칫수이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 한다.
슬라이더(4)의 양 레일부(41, 41)의 외면(각각 대향하는 표면과는 반대측의 표면)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요홈부인 결합요홈부(4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결합요홈부(43)는, 슬라이더(4)의 양 레일부(41, 41)의 길이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4)의 일단부에는, 스토퍼(42)가 설치되고, 그 스토퍼(42)에, 슬라이더(4)에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부재(5)가 접촉하여 슬라이더(4)의 일방측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되어 있다. 결합요홈부(43)의 타방은 개방되어 있다. 또, 제2틀체(3)에는, 슬라이더(4)를 취부한 때, 그 슬라이더(4)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베이스부재(5)가 접촉하여 슬라이더(4)의 타방측의 이동를 규제하는 규제부재(도시생략됨)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재(5)은, 제1틀체(2)의 상면에서 키보드부(2a)보다 상방에 나사나 너트 등에 의해 취부되어 있다. 베이스부재(5)는,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략 구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재(5)는 슬라이더(4)에 슬라이드결합하지만, 그 슬라이더(4)의 길이방향으로 대응하는 베이스부재(5)의 길이는, 슬라이더(4)보다 짧은 칫수, 예를 들면 대략 1/3의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재(5)의 양측부는, 표면에 대해 직교하는 일방의 방향(도시예에서는 하방)에 대략 직각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가이드부(51, 51)를 지니고 있다. 즉, 베이스부재(5)는, 대략 ㄷ자 형상으로,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제와 같은 금속플레이트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베이스부재(5)는, 합성수지 등의 성형품으로 하여도 좋다. 베이스부재(5)의 양측부의 내면(각각 대향하는 표면)사이의 길이는, 슬라이더(4)의 양 단부의 외면사이의 길이보다 큰, 바람직하게는 약간 큰,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 내지 도 3 및 도 7중, 부호 "58"은, 베이스부재(5)를 제1틀체(2)에 취부하기 위한 제2취부공을 나타낸다. 그 제2취부공(58)의 내벽에는 나사홈이나 이와 유사한 구성이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부재(5)의 양 가이드부(51, 51)의 내면에는, 돌출부로서의 결합돌출부(53)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들 결합돌출부(53)와 슬라이더(4)의 결합요홈부(43)가 각각 결합하여, 베이스부재(5)와 슬라이더(4), 즉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그 길이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슬라이더(4)의 양 레일부(41, 41)의 외측에 베이스부재(5)의 양 가이드부(51, 51)가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슬라이더(4)와 베이스부재(5)는 대략 구형 통형상으로 된다(도 4참조). 또, 결합돌출부(53)는, 베이스부재(5)의 양 가이드부(51, 51)의 길이방향 전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며, 그 일부에 간격을 두고 다수 형성되어도 좋다. 또, 레일부(41, 41)에 결합요홈부(43)를 설치하고, 가이드부(51, 51)에 결합돌출부(53)를 설치하였지만, 레일부(41, 41)에 결합돌출부를 설치하고, 가이드부(51, 51)에 결합요홈부를 설치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또, 레일부(41, 41) 및 가이드부(51, 51)에 각각 요홈부를 설치하고, 그 요홈부의 일방에 둥근 핀이나 각진 핀 등의 결합부재를 2개 이상 삽입하여 고정하며, 그 결합부재의 선단부를 이들 요홈부의 타방에 결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결합요홈부(43)에 결합돌출부(53)가 결합된 상태, 즉, 베이스부재(5)와 슬라이더(4)가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베이스부재(5)를 제1틀체(2)에 취부한 때, 슬라이더(4)는, 베이스부재(5)가 스토퍼(42)에 접촉하는 상태로부터 규제부재에 접촉하는 상태까지의 범위에서 슬라이드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베이스부재(5)가 스토퍼(42)에 접촉하는 상태가,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중첩한 상태인 폐쇄상태이다(도 1참조). 또, 베이스부재(5)가 규제부재에 접촉하는 상태가 개방상태이다(도 3참조). 그 폐쇄상태와 개방상태의 사이에서의 상태는 중립상태로 된다(도 2참조). 또, 베이스부재(5)를 제1틀체(2)에 취부하고, 슬라이더(4)를 제2틀체(3)에 취부하였지만, 베이스부재(5)를 제2틀체(3)에 취부하고, 슬라이더(4)를 제1틀체(2)에 취부하여도 좋다.
베이스부재(5)의 내면(가이드부(51)가 설치되는 측의 표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도 1 내지 도 3, 도 5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힘발생부재(8)의 타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55)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부(55)는, 힘발생부재(8)의 타단부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떻게 형성하여도 좋다. 고정부(55)는, 예를 들면, 대략 원형상으로 베이스부재(5)의 내면로부터 돌출한 장착부(55a)와, 그 장착부(55a)의 직경방향으로 베이스부재(5)의 내면을 따라 장착부(55a)를 관통하는 장착공(55b)으로 구성된다. 장착부(55a)는, 장착공(55b)에 의해 2개의 대략 반원형상으로 분할되어 있다. 고정부(55)는, 베이스부재(5)의 내면에 일체적으로 설치될 수도 있고, 용접 등에 의해 개별적으로 고정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슬라이드 힘발생수단(6)은, 슬라이더(4)와 베이스부재(5)의 어느 일방에 선회가능하게 취부되는 선회아암(7)과, 슬라이더(4)와 베이스부재(5)의 어느 타방에 취부되고 선회아암(7)에 작용하여 그 선회아암(7)를 소정의 선회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가능하게 힘을 가함으로써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소정의 개폐위치로부터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힘발생부재(8)로 구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더(4)의 저면부(40)와 베이스부재(5)와 의 사이에서 슬라이더(4)의 레일부(41, 41)와 베이스부재(5)의 가이드부(51, 5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선회아암(7)의 일단부에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샤프트(11)의 회동지지부(11b)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의 회동공(71)이 설치되고, 그 회동공(71)에 회동지지부(11b)가 삽입된 상태에서 선회아암(7)이 슬라이더(4)의 내면에 대해 평행하게 선회하도록 되어 있다. 즉, 선회아암(7)은, 샤프트(11)를 개재하여 슬라이더(4)의 일방의 측부 근방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선회아암(7)의 길이(그 길이방향의 길이)는, 슬라이더(4)의 양 레일부(41, 41)사이의 길이보다 짧은 칫수로 형성되어 있다. 또, 선회아암(7)은, 그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이 계단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인 회동기초부와 타단부인 자유단부의 위치가 면방향에 있어서 상이하게 형성되어 있다. 선회아암(7)의 자유단부에는, 회동핀취부공(72)이 설치되어 있다.그 회동핀취부공(72)에 선회아암(7)의 표면으로부터 기립하여 회동핀(12)이 취부되어 있다. 회동핀(12)은, 도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회동핀취부공(72)의 직경보다 큰 칫수의 직경의 원주(圓柱) 형상의 회동부(12a)와, 그 회동부(12a)의 일단면에 동축상으로 설치되고, 회동핀취부공(72)에 삽입되어 취부되는 취부부(12b)로 구성된다.
힘발생부재(8)는, 선회아암(7)에 작용하여 선회아암(7)을 소정의 회동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되도록 힘을 가함으로써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소정의 개폐위치로부터 자동으로 개폐시키는 것이다. 힘발생부재(8)로서는, 원주방향으로 신축하는, 예를 들면 태엽(81)(와권스프링이라고도 한다) 등이다. 또, 힘발생부재(8)로서는, 태엽(81)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힘을 가하여 선회아암(7)을 작용시키기 위한 것이면 여타의 힘발생부재(가력수단, 구동수단, 출력수단, 충력수단 등을 포함)을 채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태엽(81)은, 도 5 및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단부인 기초부(82)를 중심으로 하여서 동일평면(대략 동일평면을 포함)상을 나선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단부인 자유단부(83)에 취부된, 예를 들면 선회아암(7)을 그 감겨진 나선방향과는 반대방향의 대략 원주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것이다.
태엽(81)의 기초부(82)는, 베이스부재(5)의 내면에 설치된 고정부(55)의 장착공(55b)에 삽입되는 직선부(82a)와, 그 직선부(82a)로부터 연장하여 고정부(55)의 장착부(55a)의 주위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접촉 또는 근접하는 만곡부(82b)로 구성되고, 그 고정부(5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태엽(81)의 자유단부(83)는, 나선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대략 원형형상 으로 절곡되고, 그 자유단부(83)에, 선회아암(7)에 취부된 회동핀(12)의 회동부(12a)가 삽입되어 회동핀(12)을 개재하여 선회아암(7)이 태엽(81)의 자유단부(83)에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자유단부(83)의 내직경은, 회동핀(12)의 회동부(12a)의 외직경보다 큰 칫수, 예를 들면, 약간 큰 칫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엽(81)의 크기는, 베이스부재(5)의 내면상에 위치할 수 있는 칫수라면 특히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태엽(81)은, 항상 나선방향과는 반대방향의 대략 원주방향으로 힘을 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태엽(81), 선회아암(7), 베이스부재(5) 및 슬라이더(4)은, 베이스부재(5)에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된 슬라이더(4)가 폐쇄상태인 때에, 베이스부재(5)의 폭방향의 대략 중앙부의 스토퍼(42)와는 반대측의 위치에 자유단부(83)가 위치됨과 동시에, 그 힘 작용방향이 선회아암(7)의 축지점측의 대략 원주방향(a)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그 슬라이더(4)를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베이스부재(5)에 대해 슬라이드시킨 때, 그 슬라이드의 도중에서 선회아암(7)의 선단부에 걸리는 작용력이 선회아암(7)의 축지점방향으로 됨과 동시에 선회아암(7)의 선단부가 태엽(81)의 대략 반원형상을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그 슬라이더(4)가 개방상태인 때에, 태엽(81)의 중심과 선회아암(7)의 축지점을 연결하는 직선보다 선회아암(7)의 선단부가 베이스부재(5)의 일방의 측부측(선회아암(7)이 선회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근방의 측부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태엽(81)의 재료로서는, 특히 한정됨이 없이 단면이 원형인 환선재로 도, 단면이 구(사각)형인 각선재라도 좋지만, 환선재를 이용한 경우에는 하중을 걸면, 태엽의 축방향으로 좌굴이 생기는 일이 있기 때문에, 도 12에서와 같이, 베이스부재(5)의 내면, 예를 들면, 고정부(55)에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플레이트(85)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플레이트(85)는, 베이스부재(5)의 내면과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트(85)는, 베이스부재(5)의 내면과의 사이에 태엽(81)의 두께(환선재의 직경)보다 큰 칫수, 예를 들면 약간 큰 칫수의 간격이 형성되도록 고정부(55)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플레이트(85)는, 선회아암(7)의 선회를 방해하지 아니하는 형상임과 동시에 베이스부재(5)의 내면과에 의해 태엽(81)이 삽입되게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베이스부재(5) 및 슬라이더(4)는,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예를 들면, 제1틀체(2) 및 제2틀체(3)에 각각 취부되며,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되는 폐쇄상태에서는, 도 1에서와 같이, 슬라이드 힘발생수단(6)의 태엽(81)의 힘에 의해, 선회아암(7)의 선단부에 슬라이더(4)의 일방의 레일부(41)측으로 힘이 작용되어 베이스부재(5)가 스토퍼(42)에 접촉하며, 베이스부재(5)와 슬라이더(4)가 결합되어 정지되어 있다. 즉, 선회아암(7)의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하여 태엽(81)의 기초부(82)에 그 샤프트(1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태엽(81)의 힘이 작용되므로, 제1틀체(2)와 제2틀체(3)가 서로 중첩한 폐쇄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또, 그 폐쇄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로크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되는 방향으로 제1틀체(2)나 제2틀체(3), 또는 양방의 틀체(2,3)를 슬라이드시키면, 선회아암(7)은 샤프트(11)를 축으로 선회아암(7)의 선단부가 스토퍼(42)와는 반대측으로 선회한다. 그 때, 태엽(81)에는, 슬라이드시킬 때의 힘이 작용하여 태엽(81)이 하중을 받아 그 하중에 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연신된다.
그리고, 도 2에서와 같이, 태엽(81)의 기초부(82)를 중심으로 한 때의 태엽(81)에 의한 선회아암(7)의 자유단부에 걸리는 힘이 샤프트(11)의 방향(대략 샤프트방향을 포함)으로 되면, 베이스부재(5)에 걸리는 슬라이드방향의 힘은 없게 된다(대략 없게 되는 것을 포함한다). 즉, 슬라이드력이 0로 된다. 그 상태(중립상태라고 할 수 있음)를 지나면, 선회아암(7)의 축지점(샤프트(11)의 중심)과 그 자유단부와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역으로 되고,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하여 태엽(81)의 기초부(82)가 샤프트(1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태엽(81)의 힘이 작용되므로, 선회아암(7)의 자유단부에 슬라이더(4)의 일방의 레일부(41)측으로 힘이 작용한다. 그 결과, 틀체2, 3 및 베이스부재(5), 슬라이더(4)는 자동으로 슬라이드이동함과 동시에 선회아암(7)이 선회(그 경우에는 요동도 한다)하여, 도 3에서와 같이, 베이스부재(5)가 규제부재에 접촉하여 개방상태로 된다.
그 개방상태에 있어서도, 슬라이드 힘발생수단(6)의 양 단부인 선회아암(7)의 축지점과 태엽(81)의 기초부(82)가, 태엽(81)의 중심과 선회아암(7) 의 축지점을 연결하는 직선상으로 되고, 또한, 선회아암(7)의 선단부가 슬라이더(4)의 일방의 레일부(41)측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하여 태엽(81)의 기초부(82)에 샤프트(1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태엽(81)의 힘이 작용한다. 그 결과, 베이스부재(5)가 규제부재에 접촉한 상태, 즉, 개방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이에 의해, 제1틀체(2)의 상면에 설치한 키보드부(2a)가 노출하게 되므로, 통화 및 키보드의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 그 개방상태를 보다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해, 로크기구를 설치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슬라이드이동시키는 때에 반자동으로 슬라이드동작을 행하게 된다.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의 방향으로 제1틀체(2)나 제2틀체(3), 또는 양방의 틀체(2,3)를 슬라이드시키면, 태엽(81)이 그 힘에 대항하여 원주방향으로 연신된다. 중립상태를 지나 선회아암(7)의 축지점과 그 선단부와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역으로 되면, 샤프트(11)를 중심으로 하여 태엽(81)의 기초부(82)에 샤프트(11)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태엽(81)의 힘이 작용된다. 그 결과, 틀체(2,3) 및 베이스부재(5), 슬라이더(4)는 자동으로 슬라이드이동함과 동시에 선회아암(7)이 선회하여, 틀체(2,3)는 자동으로 슬라이드이동되어 베이스부재(5)가 스토퍼(42)에 접촉하고 폐쇄상태로 된다. 따라서,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슬라이드이동시키는 때에도 반자동으로 슬라이드동작을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1)은, 선회아암(7)과 태엽(81)의 간단한 구성으로, 제1틀체(2)와 제2틀체(3)를 반자동적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조작성이 향상하게 되는 것이다.
또, 선회아암(7)와 태엽(81)을 이용하여 반자동으로 슬라이드동작을 행하므로, 부품점수가 적게 되고, 제조비용이 저감되며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 태엽(81) 등의 힘발생부재(8)의 탄성특성 등과 선회아암(7)의 위치 및 길이를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다양한 슬라이드동작을 설정하는 것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에 있어서의 슬라이드 힘발생수단(6)의 힘을 증대시키는 것에 의해,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를 유지하는 힘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확실하게 폐쇄상태 및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캠 등의 미끄럼운동부재를 이용하지 아니하므로, 마찰력의 저감이 없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의 구성과 작용에 의하면, 슬라이드 힘발생수단을 선회아암과 힘발생부재로 구성하고 그 힘발생부재가 선회아암에 작용하여 선회아암을 소정의 선회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가능하게 힘을 가함으로써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소정의 개폐위치로부터 자동으로 개폐시키게 되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제1틀체와 제2틀체를 반자동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조작성이 향상되게 되고, 휴대단말기중에서도 특히 휴대전화기의 슬라이드기구로서 최적으로 채용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휴대기기를 구성하는 제1틀체와 제2틀체를 서로 중첩시킨 상태에서 상대적으로 직선방향으로 개폐가능하게 슬라이드시키는 슬라이드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일방에 취부되는 베이스부재와, 그 베이스부재에 대해 슬라이드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의 어느 타방에 취부되는 슬라이더와, 그 슬라이더와 상기 베이스부재의 사이에 설치된 슬라이드 힘발생수단으로 구성하고,
    그 슬라이드 힘발생수단을, 상기 베이스부재와 상기 슬라이더의 어느 일방에 선회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는 선회아암과, 상기 베이스부재 및 상기 슬라이더의 어느 타방에 취부되며, 상기 선회아암에 작용하여 그 선회아암을 소정의 선회위치로부터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선회되게 작용함으로써 상기 제1틀체와 상기 제2틀체를 소정의 개폐위치로부터 자동적으로 개폐시키는 힘발생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힘발생수단을, 상기 베이스부재의 일방 측부측의 대략 중앙부에 일단부가 축으로 장착된 선회아암과, 그 선회아암의 타단부의 자유단부가 일단부측의 자유단부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에 타단부측이 고정되고 원주방향으로 신축하는 힘발생부재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상기 베이스부재는, 그 양측부에 그 저 면부에서 세워진 한쌍의 레일부를 지니며,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레일부와 접촉하여 슬라이드가능하도록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는, 그 양측부에 상기 레일부의 각 측부에 접하는 가이드부를 지니며, 상기 각 레일부의 가이드부와 접하는 측에 요홈부 또는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각 가이드부의 각 레일부와 접하는 측에 상기 요홈부 또는 돌출부와 결합하는 돌출부 또는 요홈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힘발생수단은, 상기 베이스부재의 저면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레일부와 상기 슬라이더의 가이드부의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힘발생수단이 태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구성의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전화기.
KR1020040089783A 2004-10-01 2004-11-05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KR1006818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90272 2004-10-01
JP2004290272A JP2006108881A (ja) 2004-10-01 2004-10-01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586A true KR20060029586A (ko) 2006-04-06
KR100681893B1 KR100681893B1 (ko) 2007-02-12

Family

ID=36126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9783A KR100681893B1 (ko) 2004-10-01 2004-11-05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463913B2 (ko)
JP (1) JP2006108881A (ko)
KR (1) KR100681893B1 (ko)
CN (1) CN1756469A (ko)
TW (1) TWI27528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230B1 (ko) * 2006-06-22 2007-05-02 엠알디 주식회사 휴대폰용 더블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778030B1 (ko) * 2006-06-05 2007-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72208B1 (ko) * 2007-05-16 2008-12-05 정영조 슬라이드형 덮개를 갖춘 휴대폰의 개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60061U (en) * 2004-06-11 2005-03-21 Quanta Comp Inc Automatic sliding mechanism
US20060056141A1 (en) * 2004-09-13 2006-03-16 Noki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382520Y1 (ko) * 2005-02-01 2005-04-20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US8463439B2 (en) 2009-03-31 2013-06-11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Optic fiber connection for a force sensing instrument
TW200644566A (en) * 2005-06-02 2006-12-16 Benq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20070060220A1 (en) * 2005-09-14 2007-03-15 An-Szu Hsu Gliding structure for glide-open type mobile phone
WO2007034792A1 (ja) * 2005-09-20 2007-03-29 Sugatsune Kogyo Co., Ltd. 携帯機器
WO2007035008A1 (en) * 2005-09-23 2007-03-29 Amphenol Phoenix Co., Ltd.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use in portable telephone
US20070121279A1 (en) * 2005-11-25 2007-05-31 Motorola, Inc. Translating axes slide mechanism
JP2007166216A (ja) * 2005-12-13 2007-06-28 Yamamoto Seimitsu:Kk 携帯電子機器
KR100865491B1 (ko) * 2006-07-07 2008-10-27 주식회사 피앤텔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US7953464B2 (en) * 2006-07-13 2011-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type portable terminal
KR100770855B1 (ko) * 2006-10-31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프링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반자동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채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통신 단말기
KR100803784B1 (ko) * 2006-11-24 2008-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스윙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822694B1 (ko) 2007-01-05 2008-04-17 (주)제이엠씨 태엽 스프링을 이용한 탄성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딩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873091B1 (ko) * 2007-04-06 2008-12-09 (주)하이텍파츠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한 신축가능한 링크 조립체 및 이를구비한 슬라이더 조립체
KR100842631B1 (ko) * 2007-06-11 2008-06-30 삼성전자주식회사 락킹 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슬라이딩 모듈
JP4796544B2 (ja) * 2007-06-12 2011-10-19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10533407A (ja) * 2007-07-09 2010-10-21 シェル‐ライン アクチュエータ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スプリング
US8073510B2 (en) * 2007-09-10 2011-12-06 Samkwang Ind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5029335B2 (ja) * 2007-12-07 2012-09-19 富士通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
CN101472430B (zh) * 2007-12-24 2011-12-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机构
WO2009104747A1 (ja) 2008-02-22 2009-08-27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機器
US8060163B2 (en) * 2008-03-11 2011-11-1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 Ab Seamless slider
JP2009251080A (ja) * 2008-04-02 2009-10-29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ロック機構、スライド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JP5102688B2 (ja) * 2008-04-23 2012-12-19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の開閉装置並びに携帯機器
CN101652045B (zh) * 2008-08-15 2012-03-1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型便携式电子装置
TWM353403U (en) * 2008-11-14 2009-03-21 Ascend Top Entpr Co Ltd Assembling structure
CN101932215B (zh) * 2008-12-31 2014-03-2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应用于便携式电子装置的滑动机构
JP5110024B2 (ja) * 2009-03-31 2012-12-26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端末
KR101554187B1 (ko) 2009-05-11 2015-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힌지 유닛 및 그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DE202009014628U1 (de) * 2009-10-29 2010-01-07 Bornbex Handels- Und Vertriebs Gmbh & Co. Kg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e Bilderfassungseinrichtung
KR101789329B1 (ko) * 2011-02-07 2017-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CN105141815B (zh) * 2015-09-02 2018-07-3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摄像头自动弹出装置和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0996A (ja) * 1999-08-24 2001-03-06 Strawberry Corporation:Kk 携帯式電話に付設されるフリップの開閉構造
KR200184936Y1 (ko) 2000-01-10 2000-06-01 김용수 휴대폰
FI112422B (fi) * 2000-04-28 2003-11-28 Nokia Corp Teleskooppirakenne puhelinlaitetta varten
JP2003083235A (ja) * 2001-09-12 2003-03-19 Seiko Epson Corp ゼンマイ駆動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機器
JP2003083375A (ja) * 2001-09-12 2003-03-19 Seiko Epson Corp ゼンマイ機構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用いた機器
JP3856682B2 (ja) 2001-10-15 2006-12-13 加藤電機株式会社 スライド機構
KR100605862B1 (ko) * 2002-07-02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무선 단말기
JP2004253526A (ja) * 2003-02-19 2004-09-09 Strawberry Corporation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FI118669B (fi) * 2003-04-01 2008-01-31 Samsung Electro Mech Liukutyyppinen matkapuhelin ja liukumismenetelmä siihen
JP2007503752A (ja) * 2003-08-25 2007-02-22 エムツゥシ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スライド開閉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携帯端末機
US7003104B2 (en) * 2003-10-13 2006-02-21 Hanbit Precision Co., Ltd.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cover of cellular phone
KR200346618Y1 (ko) 2004-01-09 2004-04-01 모아테크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
KR200357158Y1 (ko) 2004-05-12 2004-07-30 (주)두성테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슬라이딩 구동구조
KR100678516B1 (ko) * 2004-06-15 2007-02-07 주식회사 우영 태엽 스프링을 이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슬라이드장치
KR200365340Y1 (ko) 2004-07-13 2004-10-20 주식회사 대성텔레콤 휴대용 단말기의 반자동 슬라이드 힌지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030B1 (ko) * 2006-06-05 2007-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14230B1 (ko) * 2006-06-22 2007-05-02 엠알디 주식회사 휴대폰용 더블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872208B1 (ko) * 2007-05-16 2008-12-05 정영조 슬라이드형 덮개를 갖춘 휴대폰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073858A1 (en) 2006-04-06
JP2006108881A (ja) 2006-04-20
TW200612713A (en) 2006-04-16
CN1756469A (zh) 2006-04-05
TWI275288B (en) 2007-03-01
KR100681893B1 (ko) 2007-02-12
US7463913B2 (en) 2008-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1893B1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기구 및 휴대전화기
KR100821294B1 (ko) 휴대기기
KR101031731B1 (ko) 2축 힌지장치 및 전자기기
US7729730B2 (en) Slide mechanism for a slide-type portable terminal device
US790798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20070027576A (ko) 휴대 장치용 평행 평판 회전 힌지
KR100896884B1 (ko) 힌지장치 및 휴대기기
JP2006081107A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KR200430988Y1 (ko)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장치
KR100675731B1 (ko) 통신단말기용 슬라이드 업 개폐장치
JP2011511915A (ja) 無線通信装置用のヒンジ機構
KR100829995B1 (ko) 휴대기기의 슬라이드 기구 및 휴대전화기
KR100693179B1 (ko) 휴대기기
KR100811224B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663653B1 (ko) 모바일 기기의 슬라이드 장치
JP6049932B1 (ja) 電子機器の開閉装置
KR100662525B1 (ko) 마모방지 구조를 갖는 통신단말기용 힌지장치
JP5124060B2 (ja) スライド回転ヒンジ
JP4246057B2 (ja) ダンパー付きヒンジ
JP2008283592A (ja)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機器
KR200353384Y1 (ko) 휴대폰의 통합 힌지장치
KR200353238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조립체
KR101054368B1 (ko) 힌지 유닛 및 이를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개폐장치
KR100886947B1 (ko) 휴대 단말기용 탄성 링크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슬라이드식 덮개 개폐장치
KR101013770B1 (ko) 접이식 휴대단말기용 댐핑 힌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