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0906B1 - 분산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분산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0906B1
KR101070906B1 KR1020040078261A KR20040078261A KR101070906B1 KR 101070906 B1 KR101070906 B1 KR 101070906B1 KR 1020040078261 A KR1020040078261 A KR 1020040078261A KR 20040078261 A KR20040078261 A KR 20040078261A KR 101070906 B1 KR101070906 B1 KR 101070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fuel cell
generation unit
speed
turb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8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9354A (ko
Inventor
양현섭
설승기
Original Assignee
설승기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승기,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설승기
Priority to KR1020040078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0906B1/ko
Priority to US11/185,183 priority patent/US7250690B2/en
Priority to CN2005100994145A priority patent/CN1756025B/zh
Publication of KR20060029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9354A/ko
Priority to US11/820,186 priority patent/US735862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0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0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04Control effected upon non-electric prime mover and dependent upon electric output value of the gener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5/00Adaptations of machines or engines for special us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devices driven thereby
    • F01D15/10Adaptations for driving, or combinations with,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1/00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t gases or unheated pressurised gases, as the working fluid
    • F02C1/04Gas-turb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t gases or unheated pressurised gases, as the working fluid the working fluid being heated indirect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6/00Plural gas-turbine plants; Combinations of gas-turbine plants with other apparatus; Adaptations of gas-turbine plants for special use
    • F02C6/04Gas-turbine plants providing heated or pressurised working fluid for other apparatus, e.g. without mechanical power output
    • F02C6/10Gas-turbine plants providing heated or pressurised working fluid for other apparatus, e.g. without mechanical power output supplying working fluid to a user, e.g. a chemical process, which returns working fluid to a turbine of the pla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9/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electric generators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a desired output
    • H02P9/006Means for protecting the generator by using contro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40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other energy production systems
    • H01M2250/405Cogeneration of heat or hot wa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40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other energy production systems
    • H01M2250/407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chanical energy gen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10Applications of fuel cells in build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 Control Of Eletrric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분산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분산 발전 시스템의 운전점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전동발전유닛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분산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류와 물과 열을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상기 연료전지에서 생산된 열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얻는 터빈; 상기 터빈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전지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전동기로써 작동하면서 시동되고, 일단 회전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상기 터빈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발전기로써 전류를 생성하는 전동발전유닛 및 상기 연료전지에서 발생한 DC전력과 상기 전동발전유닛에서 발생한 AC전력을 합하여 3상 계통으로 공급하는 인버터부를 구비하는 분산 발전 시스템을 제공하고, 또한, 이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전동발전유닛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회전 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회전 속도를 비교하여 필요에 따라 전동발전유닛에 전류를 공급하여 회전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부하를 발생시켜 전동발전유닛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분산 발전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분산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전지를 이용한 분산 발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인버터부의 구성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터빈발전부 11: 전동발전유닛
12: 압축기 13: 터빈
20: 연료전지 30: 제어부
40: 인버터부 41: 정류회로
42: 평활회로 43: DC/DC 컨버터
44: 메인 인버터 50: 배터리
60: 재생기
본 발명은 분산 발전 시스템(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전 동작과 관련된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기준 속도로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연료전지(fuel cell)를 이용한 분산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연료전지를 이용한 분산 발전 시스템은 연료전지에서 발생한 DC전력과 발전기(generator)의 3상 전력을 정류하여 DC전력을 얻는다. 이 DC전력을 인버터(inverter)를 이용하여 50Hz 내지 60Hz의 AC전력을 발생시키고, 이를 3상 계통으로 공급한다.
또한, 연료전지를 포함하는 분산 발전시스템은 연료전지 자체에서 화학반응을 이용하여 전류를 발생시키고 이를 상기 발전기에서 발생시킨 전력과 함께 3상 계통으로 공급한다.
상기 연료전지에서 화학반응 중에 부산물로써 고온의 가스를 얻게되는데, 이용하여 연료전지로 공급되는 공기의 공급을 위한 동력을 자체적으로 수급하고, 동시에 상기 발전기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즉, 연료전지에서 발생한 고온의 가스를 압축기(compressor) 및 상기 발전기의 회전축에 일체로 연결된 터빈에 공급하여 상기 압축기와 상기 발전기을 가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발전기의 회전 속도는 터빈으로 유입되는 가스의 유량에 따라 속도가 변하게 되어, 발전기의 발전 효율이 고온의 가스의 터빈으로의 유입량에 따라 변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속으로 회전하는 발전기와 연료전지를 활용한 분산형 발전 시스템에서 운전점(operating point)이 변동한다. 즉, 터빈을 회전시키는 고온의 가스의 유량이 변동하기 때문에 연료전지의 발전 효율이 가장 좋은 지점 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지속적으로 운전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고속으로 회전하는 전동발전유닛(motor/generator unit)의 출력 또한 최적효율 지점에서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으므로 전체 시스템 효율이 최적인 상태로 유지되기 어렵다.
한편, 초고속으로 회전되는 임펠러(impeller)를 포함하는 압축기는, 시동으로부터 운전점까지 올라가거나, 일정 속도를 유지하는 운전점에서 다른 속도의 운전점으로 모드가 변환될 때에는 여러 가지 진동 모드(vibration mode)를 거치게 된다. 따라서, 고속으로 회전되는 발전기를 포함하는 분산 발전 시스템에서 운전점을 이동시키면서 가변운전을 하는 것은 진동을 피할 수 없어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운전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분산 발전 시스템을 구성하고 운영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운전점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분산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산 발전 시스템의 운전점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발전기의 회전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분산 발전 시스템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전지, 발전부 및 인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부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전동기로써 작동하면서 시동되고, 일단 회전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상기 터빈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발전기로써 전류를 생성하는 전동발전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인버터부는 정류회로와 메인 인버터를 포함하는 분산 발전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전동발전유닛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b) 감지된 회전 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회전 속도를 비교하여 기준 회전 속도보다 감지된 속도가 큰 경우, 상기 전동발전유닛에 전류를 공급하여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부하를 발생시키고, 감지된 회전 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회전 속도를 비교하여 기준 회전 속도보다 감지된 속도가 더 작은 경우, 상기 전동발전유닛에 전류를 공급하여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하여 속도를 기준 속도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 (c) 상기 전동발전유닛에서 발생되는 AC전력을 정류회로를 거쳐 DC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연료전지에서 발생되는 DC전력과 함께 메인 인버터로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메인 인버터에서 입력되는 DC전력이 기준 전력과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에서 공급되는 DC전력을 증감하여 기준 전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 및 (e) 상기 메인 인버터에서 3상 계통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전동발전유닛은 배터리에서 입력되는 전류에 따라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부하를 작용하는 상태에서 운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버터부는 소정 개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평활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이 되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3상 계통으로 내보내 상기 커패시터의 용량 초과를 방지하는 단 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류와 물과 열을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상기 연료전지에서 생산된 열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얻는 터빈; 상기 터빈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전지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별도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전동기로써 작동하면서 시동되며, 일단 회전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상기 터빈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발전기로써 전류를 생성하는 전동발전유닛; 및 상기 연료전지에서 발생한 DC전력과 상기 전동발전유닛에서 발생한 AC전력을 합하여 3상 계통으로 공급하는 인버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부는 정류회로, DC/DC 컨버터 및 메인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DC/DC 컨버터에는,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충전되고, 상기 전동발전유닛의 시동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연결된 분산 발전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기에 의해 상기 연료전지로 수소 및 산소가 공급되고,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에 의해 상기 터빈이 회전되며, 상기 터빈을 회전시키고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에 의해 상기 압축기로부터 상기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할 수 있는 재생기가 더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동발전유닛의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회전 속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와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전동발전유닛에 전류를 공급하여 기준 속도에 맞추도록 부하를 가하거나 회전력을 더하도록 하여 상기 전동발전유닛의 회전축의 속도를 일정 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발전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분산 발전시스템은, 연료전지(20), 터빈발전부(10), 제어부(30) 및 인버터부(40)를 포함한다.
상기 연료전지(20)는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류와 고온의 가스를 발생시킨다. 상기 연료전지(20)에서 생산된 고온의 가스는 상기 터빈발전부(10)로 공급된다.
상기 터빈발전부(10)는 전동발전유닛(11), 압축기(12) 및 터빈(13)을 구비한다. 상기 전동발전유닛(11)은 고정자(stator) 및 회전자(rotor)를 포함하고, 상기 터빈발전부(10)가 초기에 작동하기 시작하는 시동 모드(starting mode)에서는 모터로서 작용하고, 일단 작동되기 시작한 후의 발전 모드(generating mode)에서는 발전기로서 작용한다.
상기 압축기(12), 터빈(13) 및 전동발전유닛(11)의 회전축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동발전유닛(11)이 시동 초기에 회전하면서 상기 압축기(12)의 임펠러를 회전시킨다. 상기 압축기(12)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연료전지(20)로 압축공기를 보낸다. 상기 연료전지(20)에서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전류와 고온의 가스를 발생하는데, 고온의 가스는 상기 터빈(13)으로 유입되어 터빈 (13)을 회전시켜 상기 전동발전유닛(11)이 발전기로서 기능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연료전지(20)에서 발생된 전류는 상기 인버터부(40)로 이송된다. 한편, 상기 전동발전유닛(11)에서 발생한 전류 또한 상기 인버터부(40)로 이송된다. 상기 연료전지(20)에서 발생된 전류는 DC전류이고, 상기 전동발전유닛(11)에서 발생한 전류는 AC전류이기 때문에, 상기 인버터부(40)에서는 상기 전동유닛에서 발생한 전류를 DC전류로 변환하고, 다시 상기 연료전지(20)에서 발생한 DC전류와 합하여 다시 AC전력으로 변환한 후 3상 계통으로 내보낸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동발전유닛(11)의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를 내장하고 있다. 물론 별도의 엔코더 등의 회전 속도 측정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전동발전유닛(11)의 회전축 회전 속도를 측정하고,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와 비교하여 상기 전동발전유닛(11)으로 공급되는 전류를 조절한다.
상기 전동발전유닛(11)은, 시동 모드에서 모터로서 작동하고, 통상의 발전 모드에서도 약간의 전류를 공급받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약간의 전류를 공급받으면서 회전축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약간의 부하를 발생시키는 상태로 구동된다. 즉, 상기 터빈(13)에 공급되는 고온의 가스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력을 받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약간의 부하를 발생시키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렇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회전 속도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30)의 작용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늘려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부하를 더 크게 하여 회전 속도를 감소시킨다. 반대로,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는, 상기 제어부(30)의 작용에 의해 공급되는 전류의 감소시켜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인 부하를 감소시켜 회전 속도를 증가시킨다.
한편, 상기 연료전지(20)에 공급되는 공기는 상기 터빈(13)을 거치고 방출되는 고온의 액체에 의해 예열(preheating)되도록 하는 것이 시스템의 전체 효율 향상을 위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료전지(20)에 공급되는 공기로 상기 터빈(13)을 거치고 방출되는 고온의 액체가 열을 전달해 줄 수 있는 재생기(recuperator)(6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산 발전기 시스템에 사용되는 인버터부(40)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인버터부(40)는 정류회로(41), 평활회로(42), DC/DC 컨버터(43) 및 메인 인버터(44)를 포함한다.
상기 정류회로(41)는 상기 전동발전유닛(11)으로부터 입력되는 AC전력을 DC전력으로 변환한다. 이때, 상기 정류회로(41)에서 만들어진 맥류를 고르게 하기 위해 상기 정류회로(41)와 함께 상기 평활회로(42)가 사용된다. 상기 평활회로(42)를 거친 DC전류는 상기 연료전지(20)로부터 발생된 DC전류와 함께 상기 DC/DC 컨버터(43)로 입력되고 상기 DC/DC 컨버터(43)에서 필요한 전압으로 변환된 후 메인 인버터(44)에서 AC전류로 변환되어 3상 계통으로 공급된다.
상기 인버터부(40)에서 상기 DC/DC 컨버터(43)에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50)가 연결된다. 상기 배터리(50)는 상기 DC/DC 컨버터(43)에 유입되는 전류 중 일부를 이용하여 충전되고, 상기 제어부(30)의 작용에 의해 상기 전동발전유닛(11) 에 전류를 공급한다.
한편, 상기 평활회로(42)는 커패시터(capacitor)를 하나 이상 구비하고, 상기 커패시터의 충전과 방전 작용에 의하여 직류 파형을 고르게 만드는 작용을 하게 된다. 그런데,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운전 중에는 상기 평활회로(42)에 구비된 커패시터에 충전이 과다하게 지속되어 커패시터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평활회로(42)에 설치된 커패시터의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고, 상기 커패시터가 견딜 수 있는 용량과의 관계에서 미리 결정된 기준 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커패시터가 견딜 수 있는 용량을 초과하게 하는 전압에 가까워지면, 전류를 3상 계통으로 내보내서 상기 커패시터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작용은 상기 메인 인버터(44)에서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연료전지에서의 고온 가스 발생량의 변동이나 기타 다른 어떠한 원인에 의해 전동발전유닛의 회전속도가 변동하는 경우에는 빠른 시간 내에 전동발전유닛의 회전 속도를 기준 속도로 회복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메인 인버터의 작용에 의해 평활회로에 포함된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가 과다해지는 경우 이를 3상 계통으로 흘려보내 상기 평활회로의 커패시터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 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연료전지, 발전부 및 인버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전부는 배터리에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전동기로써 작동하면서 시동되고, 일단 회전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상기 연료전지의 배출 가스로 작동되는 터빈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발전기로써 AC전력을 생성하는 전동발전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인버터부는 정류회로와 메인 인버터를 구비하는 분산 발전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전동발전유닛의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감지하는 단계;
    (b) 감지된 회전 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회전 속도를 비교하여 기준 회전 속도보다 감지된 속도가 큰 경우, 상기 전동발전유닛에 전류를 공급하여 회전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부하를 발생시키고, 감지된 회전 속도와 미리 설정된 기준 회전 속도를 비교하여 기준 회전 속도보다 감지된 속도가 더 작은 경우, 상기 전동발전유닛에 전류를 공급하여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가하여 속도를 기준 속도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
    (c) 상기 전동발전유닛에서 발생되는 AC전력을 정류회로를 거쳐 DC전력으로 변환하고, 상기 연료전지에서 발생되는 DC전력과 함께 메인 인버터로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메인 인버터에서 입력되는 DC전력이 기준 전력과 차이가 나는 경우 상기 연료전지에서 공급되는 DC전력을 증감하여 기준 전력에 맞춰 조절하는 단계; 및
    (e) 상기 메인 인버터에서 3상 계통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산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a)에서, 상기 전동발전유닛은 배터리에서 입력되는 전류에 따라 회전축의 회전 방향에 대해 반대방향으로 부하를 작용하는 상태에서 운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소정 개수의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평활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에서는,
    상기 평활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정류회로에서 만들어진 맥류를 고르게 해주며,
    상기 분산 발전 시스템의 운전 중에, 상기 평활회로의 상기 커패시터 양단에 걸리는 전압이 기준 전압 이상이 되면 상기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하를 3상 계통으로 내보내 상기 커패시터의 용량 초과를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발전 시스템의 제어 방법.
  4. 수소와 산소의 전기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류와 물과 열을 발생시키는 연료전지;
    상기 연료전지에서 생산된 열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얻는 터빈;
    상기 터빈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상기 연료전지로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
    별도로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전동기로써 작동하면서 시동되며, 일단 회전하기 시작한 이후에는 상기 터빈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발전기로써 전류를 생성하는 전동발전유닛; 및
    상기 연료전지에서 발생한 DC전력과 상기 전동발전유닛에서 발생한 AC전력을 합하여 3상 계통으로 공급하는 인버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버터부는 정류회로, DC/DC 컨버터 및 메인 인버터를 포함하며,
    상기 DC/DC 컨버터에는, 상기 DC/DC 컨버터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충전되고, 상기 전동발전유닛의 시동을 위한 전류를 공급하는 충전 가능한 배터리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발전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에 의해 상기 연료전지로 수소 및 산소가 공급되고,
    상기 연료전지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에 의해 상기 터빈이 회전되며,
    상기 터빈을 회전시키고 터빈으로부터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에 의해 상기 압축기로부터 상기 연료전지에 공급되는 공기를 예열할 수 있는 재생기가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발전 시스템.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발전유닛의 회전축의 회전 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에서 측정된 회전 속도를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와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전동발전유닛에 전류를 공급하여 기준 속도에 맞추도록 부하를 가하거나 회전력을 더하도록 하여 상기 전동발전유닛의 회전축의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산 발전 시스템.
KR1020040078261A 2004-10-01 2004-10-01 분산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070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261A KR101070906B1 (ko) 2004-10-01 2004-10-01 분산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11/185,183 US7250690B2 (en) 2004-10-01 2005-07-20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fuel cel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2005100994145A CN1756025B (zh) 2004-10-01 2005-08-29 使用燃料电池的分布式发电系统及其控制方法
US11/820,186 US7358622B2 (en) 2004-10-01 2007-06-18 Distributed power generation system using a fuel cell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8261A KR101070906B1 (ko) 2004-10-01 2004-10-01 분산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354A KR20060029354A (ko) 2006-04-06
KR101070906B1 true KR101070906B1 (ko) 2011-10-06

Family

ID=36124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8261A KR101070906B1 (ko) 2004-10-01 2004-10-01 분산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250690B2 (ko)
KR (1) KR101070906B1 (ko)
CN (1) CN175602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709B1 (ko) 2013-10-08 2015-04-27 주식회사 삼천리 분산형 발전융합시스템의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0906B1 (ko) * 2004-10-01 2011-10-06 설승기 분산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7695839B2 (en) * 2006-10-16 2010-04-1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Method for improved power up-transient response in the fuel cell system
DE102007002385A1 (de) * 2007-01-10 2008-07-24 Bundesdruckerei Gmbh Dokument mit einem optischen Sender
JP5125199B2 (ja) * 2007-04-20 2013-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エンジン始動制御装置
DE102008039449A1 (de) * 2008-08-25 2010-03-04 Rheinisch-Westfälische Technische Hochschule Aachen Emissionsfreies Karftwerk
US8206859B2 (en) * 2008-12-16 2012-06-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ethod of stabilizing a stack after completing startup, without extending the startup time
CN102484371B (zh) * 2009-08-07 2014-12-03 清水建设株式会社 分散型电源的独立运行系统
JP5700237B2 (ja) * 2010-07-08 2015-04-15 株式会社Ihi 排熱回収装置
CN103283114B (zh) * 2011-03-31 2016-10-26 洪瑞桐 能源管理和能源生产系统
CN102320237B (zh) * 2011-06-28 2013-08-07 陈明军 一种新型电动车
WO2013040720A1 (de) 2011-09-21 2013-03-28 Cyoris Ag Anordnung zur umwandlung von mechanischer energie in elektrische energie
KR101362580B1 (ko) * 2012-01-17 2014-02-14 세종공업 주식회사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의 시동방법
TW201444716A (zh) * 2013-05-21 2014-12-01 Nat Univ Tsing Hua 具有燃料電池及氣動引擎的動力混合式運輸設備
GB2536876A (en) * 2015-03-23 2016-10-05 Aurelia Turbines Oy Two-spool gas turbine arrangement
KR101667036B1 (ko) * 2016-03-21 2016-10-20 윈월드(주) 계통주파수동기 탈조없이 유입유량 변동에 대응하여 소수력 발전기의 토오크를 제어하는 방법
DE102018201233A1 (de) * 2017-04-18 2018-10-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raftfahrzeug mit einer Brennstoffzelle
CN108172879A (zh) * 2018-01-17 2018-06-1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基于燃料电池和锂电池的温度控制发电装置
CN108172861A (zh) * 2018-01-17 2018-06-15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脉冲式氢燃料电池电辅助涡轮增压发电装置
CN108365657B (zh) * 2018-03-20 2020-06-1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充电电流的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657A (ja) 2001-01-23 2002-08-02 Toshiba Corp 電力発電システム
JP2002281672A (ja) 2001-03-23 2002-09-27 Aisin Seiki Co Ltd 家庭用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4038A (en) * 1974-12-19 1978-04-11 Scragg Robert L Electrical power generation and storage system
JPS6018816B2 (ja) * 1977-04-23 1985-05-1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発電用原動機の制御装置
US4281256A (en) * 1979-05-15 1981-07-2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Compressed air energy storage system
JPS6251729A (ja) * 1985-08-30 1987-03-06 Isuzu Motors Ltd 内燃機関のタ−ボチヤ−ジヤの制御装置
US4743517A (en) * 1987-08-27 1988-05-10 International Fuel Cells Corporation Fuel cell power plant with increased reactant pressures
US5083039B1 (en) * 1991-02-01 1999-11-16 Zond Energy Systems Inc Variable speed wind turbine
US5391925A (en) * 1993-09-10 1995-02-21 Trigen Energy Corporation Prime mover driven compressor/chiller with motor on common shaft for large cooling systems
US5529747A (en) * 1993-11-10 1996-06-25 Learflux, Inc. Formable composite magnetic flux concentrator and method of making the concentrator
US5678647A (en) * 1994-09-07 1997-10-21 Westinghouse Electric Corporation Fuel cell powered propulsion system
US5811201A (en) * 1996-08-16 1998-09-22 Southern California Edison Company Power generation system utilizing turbine and fuel cell
US6380637B1 (en) * 1996-09-19 2002-04-30 Ztek Corporation Off-board station and an electricity exchanging system suitable for use with a mobile vehicle power system
JP3401181B2 (ja) * 1998-02-17 2003-04-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の駆動制御装置
JP4244399B2 (ja) * 1998-05-14 2009-03-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システム及びそれを搭載した電気自動車並びに燃料電池システムの起動制御方法
JP4069556B2 (ja) * 1999-10-07 2008-04-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動力出力装置の制御方法
US6616424B2 (en) * 2000-08-25 2003-09-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Drive system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of a fuel cell system
DE10047200A1 (de) * 2000-09-23 2002-08-29 Xcellsis Gmbh Startvorrichtung für mobile Brennstoffzellensysteme
AU1445201A (en) 2000-10-30 2002-05-15 Ztek Corp A hybrid power system employing fluid regulating elements for controlling various operational parameters of the system
US6628006B2 (en) * 2001-05-03 2003-09-30 Ford Motor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recovering potential energy of a hydrogen gas fuel supply for use in a vehicle
US6717282B1 (en) * 2002-07-03 2004-04-06 William J. Maxwell Combined motor and generator dynamometer system
KR101070906B1 (ko) * 2004-10-01 2011-10-06 설승기 분산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18657A (ja) 2001-01-23 2002-08-02 Toshiba Corp 電力発電システム
JP2002281672A (ja) 2001-03-23 2002-09-27 Aisin Seiki Co Ltd 家庭用燃料電池システムの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5709B1 (ko) 2013-10-08 2015-04-27 주식회사 삼천리 분산형 발전융합시스템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9354A (ko) 2006-04-06
CN1756025B (zh) 2012-03-21
US7250690B2 (en) 2007-07-31
US20070241722A1 (en) 2007-10-18
US7358622B2 (en) 2008-04-15
CN1756025A (zh) 2006-04-05
US20060071477A1 (en) 200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0906B1 (ko) 분산 발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US6888263B2 (en) Gas turbine generator
JP3758359B2 (ja) 風力発電出力安定化方法及び装置
JPH08322297A (ja) 風力発電装置
KR20120100228A (ko) 풍력발전 시스템의 초기 구동을 위한 양방향 컨버터, 그를 포함한 초기 구동 장치 및 방법
JP3950706B2 (ja) 系統連系システム
WO2017064820A1 (en) Electric power generation system and its control system
JP2003102133A (ja) 2次電池の昇温制御装置
JP2001189163A (ja) 始動及び作動のための追加装置を与えられた燃料電池を有する電気エネルギー発生装置並びにその装置の作動方法
JP2004040987A5 (ko)
JPH1182282A (ja) 風力発電装置の電力制御方法
JP2002054553A (ja) 工場排風利用によるエネルギー回収システム
JP3712895B2 (ja) 太陽電池による機械動力発生システム
JPH11299295A (ja) 風力発電装置の制御方法
JP3924141B2 (ja) ガスタービンプラント、その制御方法、及びその起動方法
KR101550626B1 (ko) 연료 전지 차량의 전원 장치
JP2003214320A (ja) 風力発電装置
JP2008011588A (ja) 風力発電装置
JPH0932567A (ja) 排気エネルギー回収装置
JP2005214496A (ja) 空気調和機
JP3876837B2 (ja) エネルギー蓄積装置
JP3168788B2 (ja) 排気エネルギー回収装置
JP4501104B2 (ja) 発電機の始動方法及び発電装置
KR200325409Y1 (ko) 출력증강장치
JP2008011589A (ja) ハイブリッド型発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