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7277B1 - 적외선 차단 필름 - Google Patents

적외선 차단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7277B1
KR101067277B1 KR1020110036064A KR20110036064A KR101067277B1 KR 101067277 B1 KR101067277 B1 KR 101067277B1 KR 1020110036064 A KR1020110036064 A KR 1020110036064A KR 20110036064 A KR20110036064 A KR 20110036064A KR 101067277 B1 KR101067277 B1 KR 101067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rared
layer
film
adhesive layer
b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6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태
이정형
변승환
이효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보
Priority to KR1020110036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72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7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7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08Cellulose derivatives
    • C09D101/16Esters of inorganic acids
    • C09D101/18Cellulose nit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Coating with two or more layers, where at least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s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3/2279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antimon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1/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08Cellulose derivatives
    • C08J2301/16Esters of inorganic acids
    • C08J2301/18Cellulose ni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31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t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차단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차단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코팅제는 니트로셀룰로즈 및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코팅제 베이스; 산화안티몬 및 산화주석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산화물;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유기용제; 및 메틸에틸케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은 상부로부터 기재필름층,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제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차단 코팅층, 및 점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적외선 차단 필름{INFRARED BLOCKING FILM}
본 발명은 적외선 차단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차단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적외선 차단 코팅제와, 이를 이용하여 형성된 적외선 차단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내광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적외선 차단 필름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선은 빛의 파장에 따라 150~380㎚의 자외선과, 380~780㎚의 가시광선, 780~2300㎚의 적외선으로 나뉘어진다. 적외선은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에 비하여 강한 열작용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 태양이나 발열체로부터 공간으로 전달되는 복사열은 주로 적외선에 의한 것이다.
적외선은 여름철 유리창을 통하여 들어와 실내온도를 상승시켜 에어콘 사용을 증가시키게 되어 에너지 소비를 촉진시킨다. 또한 겨울철에는 내부의 열이 유리창을 통하여 손실됨으로써 난방장치의 가동시간이 길어져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현재, 차량용 및 건축용 유리에 착색필름 등을 부착하여 적외선을 차단하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적외선 차단 필름은 UV 경화타입 필름으로 충분한 적외선 차단능을 발휘하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또한 기재필름의 경도가 높아져서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고, 나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기재필름으로부터 적외선 차단 코팅층이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적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적외선 차단 코팅제를 개발하고, 또한 이를 이용하면서 내광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기재필름으로부터 적외선 차단 코팅층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적외선 차단 필름을 개발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적외선 차단 코팅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적외선 차단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기재필름으로부터 적외선 차단층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 적외선 차단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코팅제는, 니트로셀룰로즈 및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코팅제 베이스; 산화안티몬 및 산화주석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산화물;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유기용제; 및 메틸에틸케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은, 상부로부터 기재필름층,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제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차단 코팅층, 및 점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코팅제는 산화안티몬 및/또는 산화주석이 적외선을 차단하는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적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은 상기한 적외선 차단 코팅제로 형성되는 적외선 차단 코팅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적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은 점착층에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함으로써 자외선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장시간 태양에 방치되더라도 내광성이 뛰어나다.
특히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 내 적외선 차단 코팅층은 열경화방식으로 형성되어 필름이 쉽게 휘지 않으며 기재필름과 적외선 차단 코팅층이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은 적외선 차단 코팅층이 점착층과 별도로 구비되어 있고 피접착제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유기용제와 접촉하더라도 탈색 또는 색빠짐 현상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내용제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1-ply 구조의 적외선 차단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2-ply 구조의 적외선 차단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2-ply 구조의 적외선 차단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3-ply 구조의 적외선 차단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3-ply 구조의 적외선 차단 필름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코팅제는, 니트로셀룰로즈 및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코팅제 베이스; 산화안티몬 및 산화주석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산화물; 이소프로필알코올 및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유기용제; 및 메틸에틸케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니트로셀룰로즈(nitrocellulose)는 셀룰로스(섬유소)를 초산(硝酸)으로 처리한 백색의 고체로 본 발명의 코팅제에서 베이스 역할을 한다.
폴리아크릴레이트는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이 사용되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된 경질 모노머와 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공중합하여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산화안티몬 및 산화주석은 적외선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소프로필알코올과 에틸아세테이트는 니트로셀룰로즈를 용해시키는 역할을 한다.
메틸에틸케톤은 산화안티몬 및/또는 산화주석을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코팅제는 적외선 차단 코팅제 총중량에 대하여 코팅제 베이스 10 내지 40 중량%; 산화물 10 내지 30 중량%; 유기용제 20 내지 40 중량%; 및 메틸에틸케톤 20 내지 4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코팅제에 있어서 코팅제 베이스의 함량이 적외선 차단 코팅제 총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점도가 약하여 피막형성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커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코팅제에 있어서 산화물의 함량이 적외선 차단 코팅제 총중량에 대하여 1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적외선 차단 효과가 미비한 문제점이 있고, 30 중량%를 초과하면 타성분의 함량이 적어짐으로써 코팅제 형성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코팅제에 있어서 유기용제의 함량이 적외선 차단 코팅제 총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코팅제 베이스가 잘 녹지 않아 점도가 커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면 점도가 약하여 피막형성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코팅제에서 이소프로필알코올과 에틸아세테이트가 같이 사용될 때 혼합비율은 중량비 기준으로 1 : 2~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소프로필알코올과 에틸아세테이트 혼합비율이 1 : 2 미만이면 액뭉침현상이 있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이소프로필알코올과 에틸아세테이트 혼합비율이 1 : 4를 초과하면 액건조가 빨라서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코팅제에 있어서 메틸에틸케톤의 함량이 적외선 차단 코팅제 총중량에 대하여 2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산화물의 분산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면 피막 형성이 잘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코팅제에 있어서, 부틸셀로솔브, 메틸이소부틸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부틸셀로솔브 및 메틸이소부틸케톤은 코팅 작업시 필름 부착성을 향상시키고, 무기물 상용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틸셀로솔브, 메틸이소부틸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적외선 차단 코팅제 총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 더 포함된다. 부틸셀로솔브, 메틸이소부틸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5 중량% 미만이면 코팅 작업시 필름부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미건조 현상으로 잔류 용제가 남아 있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차단 코팅제 총중량에 대하여 부틸셀로솔브 3 내지 5 중량% 및 메틸이소부틸케톤 3 내지 5 중량%가 더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코팅제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의 입도는 5~100㎚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화물의 입도가 5㎚ 미만이면 산화물을 미세하게 쪼개는데 어려움이 있고, 100㎚를 초과하면 필름이 거칠어지고 탁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산화물의 바람직한 입도는 40~60㎚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코팅제를 이용한 적외선 차단 필름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은 상부로부터 기재필름층,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제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차단 코팅층, 및 점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과 점착층 사이에 접착층과 기재필름층이 순차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기재필름층과 접착층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층과 적외선 차단 코팅층 사이에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기재필름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점착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기재필름층과 접착층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에 있어서, 더 포함되는 기재필름은 금속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금속필름이 사용됨으로써 태양열 차단에 의한 단열효과 및 외부에서 내부로의 투시를 방지하여 사생활 보호 효과가 있으며, 내부에서 외부로의 시야를 깨끗이 보이게 하는 효과도 있다.
금속필름으로는 알루미늄 박막 코팅 등의 필름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에 있어서, 기재필름층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에 있어서, 점착층은 감압성 접착제, 감열성 접착제, 또는 자착제에 자외선 흡수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점착층은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며, 투명점착층에 사용되는 감압성 접착제는 당업계에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고무계, 폴리비닐에테르계, 실리콘계 등 각종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아크릴계의 감압성 접착제로는 알킬기를 가지는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와, 중합성 불포화카르본산 또는 수산기함유 에틸렌성 불포화모노머, 또는 공중합성 비닐모노머를 유기 용제 중에서 공중합시켜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명점착층에 사용되는 감열성 접착제란, 상온에서는 접착성이 낮으나, 가열에 의해서 접착성을 발휘하는 접착제를 말하는데, 핫멜트 접착제 혹은 히트 시일제라고도 불리운다. 상기 감열성 접착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로서,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고무계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고무계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등을 베이스 폴리머로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자착제란 평평하고 매끄러운 면을 가지는 피접착체에 대하여, 접착제(자착제)면과의 매끄러운면 끼리의 기밀성을 이용하여 접착이 가능하며, 또한 접착시이트 자신 및 피접착체를 오염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가 있으며, 다시 반복해서 접착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자착제 역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연질 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고무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층 상부에 긁힘방지 코팅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에 있어서, 적외선 차단 코팅층은 60~140℃의 열로 경화시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존 열차단 필름은 UV경화 방식으로 작업하였으나, 본 발명은 열경화 방식으로 작업함으로써 작업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외선 차단 코팅층 형성시 온도가 60℃ 미만이면 경화가 잘되지 않으며 경화시간이 길어져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온도가 140℃를 초과하면 열에 의하여 필름이 수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적외선 차단 코팅층 형성시 바람직한 열경화 온도는 90~110℃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차단 필름은 1-ply 구조는 물론 3-ply 구조까지 가능하다.
도 1에 본 발명의 1-ply 구조의 적외선 차단 필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상부로부터 긁힘방지 코팅층, 기재필름층, 적외선 차단 코팅층, 점착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점착층 하부에는 이형층이 구비될 필요가 있다. 상기 이형층은 수지필름 또는 종이 등의 이형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2에 2-ply 구조의 적외선 차단 필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상부로부터 긁힘방지 코팅층, 기재필름층, 적외선 차단 코팅층, 접착층, 기재필름층, 점착층 및 이형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도 3에 다른 2-ply 구조의 적외선 차단 필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상부로부터 긁힘방지 코팅층, 기재필름층, 접착층, 적외선 차단 코팅층, 기재필름층, 점착층 및 이형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도 4에 3-ply 구조의 적외선 차단 필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상부로부터 긁힘방지 코팅층, 기재필름층, 적외선 차단 코팅층, 접착층, 기재필름층, 접착층, 기재필름층, 점착층 및 이형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도 5에 다른 3-ply 구조의 적외선 차단 필름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상부로부터 긁힘방지 코팅층, 기재필름층, 접착층, 적외선 차단 코팅층, 기재필름층, 접착층, 기재필름층, 점착층 및 이형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접착층은 점착층에 사용되는 재질과 동일한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자착제를 제외한 감압성 접착제 또는 감열성 접착제를 사용하지만, 일반적으로 감압성 접착제가 주로 사용된다. 접착층의 두께는 점착층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얇은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시공성의 향상을 위한 것이다.
이하,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코팅제 및 적외선 차단 필름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적외선 차단 코팅제 제조
니트로셀룰로즈 15 중량%, 산화안티몬 12 중량%, 산화주석 10 중량%, 이소프로필알코올 8 중량%, 메틸에틸케톤 32 중량%, 및 에틸아세테이트 23 중량%를 150~450rpm으로 분산 혼합하여 적외선 차단 코팅제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투명점착층 및 투명접착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성지포리켐사, SJA-9124) 30kg, 금속 킬레이트경화제(성지포리켐사 제조, A-05) 0.9kg,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BASF, TINUVIN 99-2) 0.3kg을 메틸에틸케톤 및 톨루엔의 질량비 4:6의 혼합용매 27.3㎏에 혼입하여 고형분 26%의 투명점착층 및 투명접착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긁힘방지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 제조
폴리우레탄아크릴올리고머 및 아크릴모노머(옵틱스사, ISSU-11) 30kg을 메틸에틸케톤 및 톨루엔의 질량비 5:5의 혼합용매 23.4kg에 혼입하여 고형분 28%의 긁힘방지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1-ply 적외선 차단 필름
기재필름으로서 두께 23㎛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을 사용하고, 상기 PET 필름의 하부에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라인 스피드 15~30m/min의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법을 사용하여 3~4㎛ 두께로 코팅하고 60~120℃에서 건조시켜 적외선 차단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어, 라인 스피드 25~30m/min의 LIP코팅법으로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 하부에 10㎛의 투명점착층을 형성한 다음, 상기 투명점착층 하부에 23㎛ 두께의 PET 이형수지필름을 합지시켰다.
라인 스피드 25~35m/min의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법을 사용하여, 상기 PET 기재필름의 상부에 상기 긁힘방지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2~3㎛의 두께로 코팅하고 건조시켜 긁힘방지 코팅층을 형성하여 1-ply 구조의 적외선 차단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2-ply 적외선 차단 필름
기재필름으로서 두께 23㎛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을 사용하고, 상기 PET 필름의 하부에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라인 스피드 15~30m/min의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법을 사용하여 3~4㎛ 두께로 코팅하고 60~120℃에서 건조시켜 적외선 차단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어, 라인 스피드 25~30m/min의 LIP코팅법으로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 하부에 7~8㎛의 투명접착층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접착층 하부에 23㎛ 두께의 PET 기재필름을 합지시켰다. 라인 스피드 25~35m/min의 LIP코팅법을 사용하여 상기 PET 기재필름 하부에 10㎛ 투명점착층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점착층 하부에 23㎛ PET 이형수지필름을 합지시켰다.
라인 스피드 25~35m/min의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법을 사용하여, 상기 PET 기재필름의 상부에 상기 긁힘방지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2~3㎛의 두께로 코팅하고 건조시켜 긁힘방지 코팅층을 형성하여 2-ply 구조의 적외선 차단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3-ply 적외선 차단 필름
기재필름으로서 두께 36㎛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PET 필름)을 사용하고, 상기 PET 필름의 하부에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라인 스피드 15~30m/min의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법을 사용하여 3~4㎛ 두께로 코팅하고 60~120℃에서 건조시켜 적외선 차단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이어, 라인 스피드 25~30m/min의 LIP코팅법으로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 하부에 17~18㎛의 투명접착층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접착층 하부에 100㎛ 두께의 PET 기재필름을 합지시켰다. 라인 스피드 25~30m/min의 LIP코팅법으로 PET 기재필름 하부에 17~18㎛의 투명접착층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접착층 하부에 23㎛ PET 기재필름을 합지시켰다. 라인 스피드 25~35m/min의 LIP 코팅법을 사용하여 상기 PET 기재필름 하부에 20㎛ 투명점착층을 형성한 후, 상기 투명점착층 하부에 23㎛ PET 이형수지필름을 합지시켰다.
라인 스피드 25~35m/min의 마이크로그라비아 코팅법을 사용하여, 상기 PET 기재필름의 상부에 상기 긁힘방지 코팅층 형성용 조성물을 2~3㎛의 두께로 코팅하고 건조시켜 긁힘방지 코팅층을 형성하여 3-ply 구조의 적외선 차단 필름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가시광선투과율에 따른 적외선 차단율 테스트
자외선 스펙트로미터(Varian사 제조, Cary-5000)를 사용하고 KS L 2514에 의거하여 상기 실시예 4, M사의 적외선 차단 필름에 대하여 가시광선투과율(VLT: Visible Light Transmission)에 따른 적외선 차단율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VLT(%) 85 75 65 55
IR 차단율(%) 50 65 80 90
M사 VLT(%) 65 60 55 50
IR 차단율(%) 55 60 65 70
표 1의 결과를 참조하면, 동일한 가시광선투과율 65%일 때 실시예 4의 필름은 IR 차단율이 80%였고 M사의 필름은 55%를 나타내었고, 또한 가시광선투과율 55%일 때 실시예 4의 필름은 IR 차단율이 90%였고 M사의 필름은 65%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의 적외선 차단율이 기존의 적외선 차단 필름보다 우수함을 확일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가속 내후성 시험기(Accelerated Weathering Tester, Q-PANEL사 제조, QUV/SE)를 사용하여 테스트 조건은 60±3℃, 45±5%의 상대습도 하에서 상기 실시예 4, N사 및 S사의 적외선 차단 필름을 100시간 내지 500시간 동안 방치한 후 색차계(Datacolor사 제조, SF-600PLUS)를 사용하고, ASTM G 53, ASTM E308에 의거하여 내광성을 테스트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100hr 황변율
(%)
200hr 황변율
(%)
300hr 황변율
(%)
400hr 황변율
(%)
500hr 황변율
(%)
실시예 4 0.04 0.25 0.62 0.92 0.98
N사 0.24 1.97 2.87 3.4 5.2
S사 1.64 3.95 3.18 2.96 4.62
표 2에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이, 실시예 4의 적외선 차단 필름은 황변율이 1% 미만으로 N사 및 S사의 황변율에 비하여 월등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예가 제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이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하기한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상부로부터 기재필름층, 적외선 차단 코팅제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차단 코팅층, 및 점착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제는 적외선 차단 코팅제 총중량에 대하여 니트로셀룰로즈 10 내지 40 중량%; 산화안티몬 및 산화주석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되는 산화물 10 내지 30 중량%; 이소프로필알코올과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유기용제 20 내지 40 중량%; 메틸에틸케톤 20 내지 40 중량%; 및 부틸셀로솔브, 메틸이소부틸케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 5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이소프로필알코올과 상기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비율이 중량비 기준으로 1 : 2~4이고,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은 90~110℃의 열로 경화시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단 필름.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과 점착층 사이에 접착층과 기재필름층을 순차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단 필름.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층과 적외선 차단 코팅층 사이에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적외선 차단 코팅층과 상기 점착층 사이에 기재필름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단 필름.
  8.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 상부에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기재필름층과 접착층을 하나 이상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단 필름.
  9. 청구항 6 또는 7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금속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단 필름.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단 필름.
  11.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감압성 접착제, 감열성 접착제, 또는 자착제에 자외선 흡수제가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단 필름.
  12.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층 상부에 긁힘방지 코팅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단 필름.
  13. 삭제
KR1020110036064A 2011-04-19 2011-04-19 적외선 차단 필름 KR101067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064A KR101067277B1 (ko) 2011-04-19 2011-04-19 적외선 차단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6064A KR101067277B1 (ko) 2011-04-19 2011-04-19 적외선 차단 필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7277B1 true KR101067277B1 (ko) 2011-09-27

Family

ID=449578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6064A KR101067277B1 (ko) 2011-04-19 2011-04-19 적외선 차단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727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541B1 (ko) * 2012-02-21 2013-10-15 오현길 적외선 차단 코팅제와 그 제조방법, 이 코팅제를 이용한 적외선 차단 필름
KR101350213B1 (ko) * 2013-07-23 2014-01-15 (주)에이에프씨 적외선 차단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차단 필름의 제조방법
KR101454839B1 (ko) * 2013-01-17 2014-10-28 진영 박 정전기방지기능이 형성된 차량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515072B1 (ko) * 2014-08-27 2015-04-28 주식회사 상보 안료물질과 금속산화물이 혼합된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착색가능 열선 차단 카본-세라믹 필름
WO2021002671A1 (ko) * 2019-07-01 2021-01-07 (주)앤디포스 자동차 앞 유리 바깥 면 부착용 코팅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69238A (ko) * 2019-12-03 2021-06-11 (주)앤디포스 자동차 유리 바깥 면 부착용 필름 코팅용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자동차 유리 바깥 면 부착용 필름과 그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582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 코오롱 태양 광선 제어 필름
KR20060062087A (ko) *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투명 단열 점착제 및 그 점착제 코팅 필름
KR100736662B1 (ko) 2006-12-19 2007-07-09 주식회사 아트포일 투명체판용 적외선 차단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6125B1 (ko) 2010-03-02 2010-06-29 (주) 네패스 리그마 태양열차단 코팅액과 이를 이용한 태양열차단 코팅 유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59582A (ko) * 2003-12-15 2005-06-21 주식회사 코오롱 태양 광선 제어 필름
KR20060062087A (ko) * 2004-12-03 2006-06-1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투명 단열 점착제 및 그 점착제 코팅 필름
KR100736662B1 (ko) 2006-12-19 2007-07-09 주식회사 아트포일 투명체판용 적외선 차단 전사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100966125B1 (ko) 2010-03-02 2010-06-29 (주) 네패스 리그마 태양열차단 코팅액과 이를 이용한 태양열차단 코팅 유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6541B1 (ko) * 2012-02-21 2013-10-15 오현길 적외선 차단 코팅제와 그 제조방법, 이 코팅제를 이용한 적외선 차단 필름
KR101454839B1 (ko) * 2013-01-17 2014-10-28 진영 박 정전기방지기능이 형성된 차량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350213B1 (ko) * 2013-07-23 2014-01-15 (주)에이에프씨 적외선 차단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차단 필름의 제조방법
KR101515072B1 (ko) * 2014-08-27 2015-04-28 주식회사 상보 안료물질과 금속산화물이 혼합된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착색가능 열선 차단 카본-세라믹 필름
WO2016032268A1 (ko) * 2014-08-27 2016-03-03 주식회사 상보 안료물질과 금속산화물이 혼합된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착색가능 열선 차단 카본-세라믹 필름
WO2016032261A1 (ko) * 2014-08-27 2016-03-03 주식회사 레이노코리아 안료물질과 금속산화물이 혼합된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착색가능 열선 차단 카본-세라믹 필름
WO2021002671A1 (ko) * 2019-07-01 2021-01-07 (주)앤디포스 자동차 앞 유리 바깥 면 부착용 코팅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69238A (ko) * 2019-12-03 2021-06-11 (주)앤디포스 자동차 유리 바깥 면 부착용 필름 코팅용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자동차 유리 바깥 면 부착용 필름과 그 제조 방법
KR102383049B1 (ko) * 2019-12-03 2022-04-05 (주)앤디포스 자동차 유리 바깥 면 부착용 필름 코팅용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및 자동차 유리 바깥 면 부착용 필름과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277B1 (ko) 적외선 차단 필름
TWI705900B (zh) 硬化塗佈層積薄膜
JP6498991B2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TWI717408B (zh) 黏著劑層、近紅外線遮蔽膜、層合結構體、積層體、及黏著劑組成物
JP5499837B2 (ja) 熱線遮蔽フィルム
JP2004059875A (ja) 熱線遮蔽成分含有マスターバッチとこのマスターバッチが適用された熱線遮蔽透明樹脂成形体並びに熱線遮蔽透明積層体
KR101487052B1 (ko) 차열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열 점착 필름
TW201026509A (en) Cloud point-resistant adhesives and laminates
WO2016152843A1 (ja) 赤外線遮蔽層と偏光フィルムとを含んだ光学積層体
JP2005047179A (ja) 熱線遮蔽樹脂シート
CN109716179A (zh) 透明隔热绝热部件
JP2013532076A (ja) Pmmaを含有する被覆層または表面フィルムと組み合わされた、ir反射特性を有する(pmma)不含の成形材料または被覆系
WO2015198762A1 (ja) 光学反射フィルム、光学反射フィルム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る光学反射体
JP6584819B2 (ja) 透明スクリーン機能を備えた透明遮熱部材
KR101559966B1 (ko) 유리창 부착용 필름 및 그 제조방법
US20160060491A1 (en) Pigment Material and Metal Oxide Mixed Adhesive and Colorable Heat Ray Screening Carbon Ceramic Film using the Same
KR101447280B1 (ko) 단열성을 지닌 태양열차단 코팅제
CN105128481B (zh) 一种可反复使用的自粘附纳米陶瓷隔热膜
WO2010041571A1 (ja) 合わせガラス貼り合せ材及び合わせガラス
JP2007246699A (ja) ハードコート剤及び反射防止フィルム
TW201410726A (zh) 積層板及表面保護板
KR101556015B1 (ko) 적외선 차단 하드 코팅제 및 이를 이용한 적외선 차단 필름
KR101089630B1 (ko) 안료성 접착제 및 이를 이용한 착색필름
JP2007248841A (ja) 反射防止フィルム
KR20200027224A (ko) 유리 코팅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