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2087A - 고투명 단열 점착제 및 그 점착제 코팅 필름 - Google Patents

고투명 단열 점착제 및 그 점착제 코팅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2087A
KR20060062087A KR1020040100802A KR20040100802A KR20060062087A KR 20060062087 A KR20060062087 A KR 20060062087A KR 1020040100802 A KR1020040100802 A KR 1020040100802A KR 20040100802 A KR20040100802 A KR 20040100802A KR 20060062087 A KR20060062087 A KR 20060062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oxysilane
metal oxid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0463B1 (ko
Inventor
유동한
신세진
현진호
이근희
김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40100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046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2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2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dhesive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외선 차단 성능을 가진 나노사이즈의 금속 산화물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아크릴계 점착제 및 그 점착제 코팅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외선(IR) 차단 성능이 있는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점착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가 상기 적외선(IR) 차단 성능이 있는 금속 산화물의 안정화제로서 알콕시실란계 또는 할라이드실란계 화합물을 함유하거나, 알콕시실란계 및 할라이드실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고투명 단열 점착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고투명 단열 점착제로 형성된 점착제층을 고투명 단열 점착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시광선에서의 투과율이 높고, 적외선 차단율이 높으며, 점착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공정 단가의 절감과 작업성이 크게 개선된다.
투명, 단열, 점착제, 금속산화물, 알콕시실란, 할라이드실란

Description

고투명 단열 점착제 및 그 점착제 코팅 필름 {HIGH-TRANSPARENT HEAT REJEC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ND COATING FILM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고투명 필름의 UV-VIS-NIR Spectroscopy의 그래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고투명 단열 필름의 층 구조(a)와 기존의 고투명 단열 필름의 층 구조(b)와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가시광선에 대한 높은 투과성을 가지면서도 열의 영역인 적외선 차단 성능과 점착 성능을 동시에 부여 할 수 있는 고 투명 단열 점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차단 성능을 가진 나노사이즈의 금속 산화물 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킨 아크릴계 점착제 및 그 점착제 코팅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물이나 차량에서 창을 통한 열의 흐름을 막아 실내의 쾌적한 환경과 에너지 절감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적외선 차단 성능이 있는 금속산화물의 나노 입 자를 사용한 단열 필름의 사용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적외선 차단 성능이 있는 금속산화물은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안티모니 틴 옥사이드 (antimony tin oxide:ATO), 알루미늄 징크 옥사이드 (aluminum zinc oxide: AZO), 플루오로 틴 옥사이드 (fluoro tin oxide: FTO), 틴 옥사이드 (tin oxide: SnO2)등과 같은 금속산화물 들로서 이미 많은 종류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금속 산화물들은 가시광선의 투과율이 높고, 열선인 적외선의 차단율이 높아 특히, 투명 단열 필름의 단열성 부여 물질로서 그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종래 이러한 투명 단열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은 기재의 한면에 유기용매 혹은 알코올에 분산된 바인더를 사용한 적외선(IR)차단제를 도포하고 그 이면에 점착층을 도포하였다.(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214428,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17311, 일본 특개2000-24591, 일본 특개평11-170442).
하지만 분산 기술상의 한계로 금속 산화물로 구성된 IR차단층과 점착층을 따로 코팅함에 따라 코팅에 있어서의 생산비가 증가하고, 후막인(10~20m) 점착층에 비에 박막(3~5m)인 IR차단층은 정밀 코터를 이용해 도포해야 하고, 코팅 작업성도 불리하다. 또한, 비록 하드코팅층이 도포 되어 있다 하더라도 마모와 스크래치등에 의한 코팅면의 손상으로 IR차단 성능이 저하되어 단열 성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나노 금속 산화물 입자를 점착제에 분산시킴에 따라 코팅 공정을 단순화하고 작업성을 개선한 투명 기능성 점착제 제 조 방법(일본 특개평10-8010)이 제시되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점착제 중합 전 아크릴계 모노머(monomer)에 IR차단제를 분산시킴에 따라 IR차단제와 점착제의 농도조절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다양한 점착 성능과 IR차단 성능 등의 확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발생하여 그 개선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한 점착제와 그 점착제가 코팅된 고 투명 단열 필름 및 그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가시 광선에서 높은 투과율을 가지며, IR 차단 성능이 우수한 고 투명성 단열 점착제와 그 점착제가 코팅된 고 투명 단열 필름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본 발명의 목적 달성을 위해 오랜 기간 동안 연구를 거듭한 결과, IR차단 성능이 있는 나노 금속 산화물 입자를 알콕시실란계 및/또는 할라이드실란계 화합물로 안정화시켜 점착 수지에 균일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고 투명 단열 점착제는 자외선 차단성능이 있는 금속산화물을 함유하는 점착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가 자외선 차단성능이 있는 금속산화물의 안정화제인 알콕시실란계 및/또는 할라이드실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 투명 단열 점착제의 조성은 고형분 기준으로 점착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IR차단 금속 산화물 20~150중량부 및 안정화제인 알콕시실란계 및/또는 할라이드실란계 화합물 10~80중량부를 함유하는 조성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 투명 단열 점착필름은 투명 기재 필름의 일면에 상기 본 발명의 점착제가 코팅된 점착제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 투명 단열 점착제는 점착수지(또는 점착기재)와, 자외선 차단성능이 있는 금속산화물과, 자외선 차단성능이 있는 금속산화물의 안정화제로서 알콕시실란계 및/또는 할라이드실란계 화합물을 함유한다. 상기 점착기재(또는 점착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와 용매로 이루어지고, 상기 안정화제는 입자의 응집성을 저하시켜 용매상의 분산성을 높여주게 된다.
상기 점착수지는 아크릴계 수지로서 투명성과 내후성이 좋으며 헤이즈(haze)가 낮은 아크릴(acryl)계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HA)와 아크릴산(AA)의 공중합 수지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의 종류는 자외선 차단성능이 있는 금속산화물의 분산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고려하지 않아도 되며, 용매의 경우 무극성 용매일 경우, 극성 용매를 첨가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 투명 단열 점착제를 구성하는 IR차단 금속 산화물은 인듐 틴 옥사이드(indium tin oxide:ITO), 안티모니 틴 옥사이드 (antimony tin oxide:ATO), 알루미늄 징크 옥사이드 (aluminum zinc oxide: AZO), 플루오로 틴 옥 사이드 (fluoro tin oxide: FTO), 틴 옥사이드 (tin oxide: SnO2)등과 같은 통상적인 IR차단 금속산화물로서 상기 IR차단 금속산화물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용매에 분산시킨 졸(sol) 형태로 조제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산화물 졸은 입자 크기가 10~150 나노미터(nm)범위의 IR차단 금속산화물을 알코올계 용매에 분산시킨 것이다. IR차단 금속산화물의 함량은 5중량퍼센트(%) 이상이 바람직하다. 졸의 IR차단 금속 산화물 농도가 5% 미만이면 점착수지와 혼합 시, 고형분의 농도가 너무 낮아져 생산성과 코팅성 등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의 상기 고 투명 단열 점착제는 자외선 차단성능이 있는 금속산화물을 알코올계 용매에 분산시킨 졸(sol)을조제하고, 상기 졸에 안정화제와 물을 혼합, 교반, 반응시켜 안정화된 금속산화물 졸을 조제한 다음, 별도로 준비한 점착기재와 혼합, 고속 교반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인듐 틴 옥사이드(ITO)(고형분 30%, 용매 2-Methoxyethanol)와 안티모니 틴 옥사이드(ATO) (고형분 30%, 용매 2-Methoxyethanol) 졸을 각각 아크릴계 점착 기재(고형분 40%, 용매 Ethyl Acetate)에 혼합하여 충분히 교반시켜 점착제를 조성, PET 투명 기재에 15미크론미터의 두께로 코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가시광선 투과율 60%이상, IR 차단율(1000nm) 60이상, 헤이즈 3.0%이하의 물성치를 가져야 하나, 혼합 시 상기 금속산화물(ITO 와 ATO) 입자의 심한 응집으로 인한 침전이 발생하였으며, 코팅 시 헤이즈가 30% 이상이 되는 불균일한 막이 형성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IR차단 금속 산화물의 응집 및 침전을 방지하기 위해 나노 금속 산화물의 안정화 방법에 관해 다각도로 검토하였다.
먼저, 나노 금속 산화물을 점착기재(점착수지)에 혼합 시, 응집 현상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자 입자의 안정화 거동을 조사한 결과, 나노 금속 산화물의 불안정은 높은 표면에너지에 기인하는 것으로 표면 에너지는 중심 메탈의 국부 정전하의 크기와 입자의 사이즈에 의존하며, 이 국부 정전하는 메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즉 입자의 크기가 동일하다고 보았을 때, 금속 산화물의 나노 사이즈 입자는 중심 메탈의 국부 정전하(partial positive charge)가 상대적으로 크게 나타남에 따라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갖게 되며, pH, 용매 등의 변화로 인한 표면 전하의 감소 시, 분산을 지탱하고 있던 입자간의 정전기적 반발력이 약해져서 표면 에너지를 감소하는 방향으로 반응이 진행되어 강한 응집으로 안정화하려는 경향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자들은 나노 금속 산화물의 표면 에너지를 낮추어 아크릴계 점착수지에 분산 시, 안정성을 확보하는 실험을 거듭한 결과, 나노 금속 산화물 입자의 표면을 상대적으로 낮은 국부 정전하를 가지는 화합물로 안정화함에 따라 표면 에너지를 저하시켜 안정화를 달성하게 되었다. 즉, 높은 국부 정전하에 기인한 높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는 금속 산화물의 나노사이즈 입자의 표면을 상대적으로 국부 정전하가 낮은 알콕시실란계 및/또는 할라이드실란계 화합물로 안정화 할 경우, 표면 에너지가 저하되어 표면 전하에 의한 안정성 의존도를 현저하게 저하시킴을 알게 되었다. 안정화된 나노 금속 산화물 졸을 아크릴계 점착수지와 혼합하여도 입자의 응집이 일어나지 않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과 IR 차단율의 조절이 가능하며, 헤이즈가 3% 미만인 고투명의 필름특성을 가지는 고 투명 단열 점착제가 얻어지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안정화제는 알콕시실란계(RxSiOR4-x, R=유기기, OR=알콕시기) 화합물 또는 할라이드실란계(RxSiX4-x, R=유기기, X=F, Cl, Br등의 할라이드기)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이거나 또는 알콕시실란계 화합물 및 할라이드실란계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알콕시실란계 화합물로 에폭시계알콕시실란, 비닐계알콕시실란, 아크릴계알콕시실란, 페닐계알콕시실란, 알킬계알콕시실란, 아미노계알콕시실란등의 알콕시실란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고, 할라이드실란계 화합물로서 에폭시계할라이드실란, 비닐계할라이드실란, 아크릴계할라이드실란, 페닐계할라이드실란, 알킬계할라이드실란, 아미노계할라이드실란 등과 같은 화합물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나노 금속 산화물 졸을 점착수지에 분산 시, 효과적인 안정성을 얻기 위해서는 나노 금속 산화물 입자의 표면과 알콕시실란 및/또는 할라이드실란과의 수소 결합이나 혹은 가수분해를 통한 실란의 하이드록실기와 금속 산화물 입자 표면과의 탈수반응에의한 화학적 결합 반응 등이 효과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므로 물/실란의 몰비(mole ratio)가 1이상 존재하는 상태에서 알콕시실란과 나노 금속 산화물 졸과 혼합 후, 일정 시간 동안 교반을 하면서 반응시켜 주어야 한다. 이는 알콕시실란계 및/또는 할라이드실란계 화합물의 알콕사이드기 및/또는 할라이 드기를 수산기로 치환한 다음, 금속 입자 표면과의 반응을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서, 반응시간은 실란의 유기기에 따라 상이하나, 10분 ~ 3시간 정도가 적당하였다. 이 치환 반응 시간은 금속 산화물의 안정화에 큰 영향을 미치며, 도포 시 도막의 성능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치환 반응시간이 짧으면 불완전한 치환으로 인하여 금속 산화물 입자의 안정성을 확보하지 못하여 응집이 발생하고, 치환 반응 시간이 길어지면 실란 화합물 자체 입자의 생성으로 인하여 안정화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다른 안정화 방법으로는 미리 알콕시실란 및/또는 할라이드실란의 알콕사이드기 및/또는 할라이드기를 알코올에서 물/실란의 몰비가 1이상이 되도록 물을 첨가하여 10분 ~ 2시간 정도의 가수분해 반응 시간을 주어 수산화기로 치환한 후, 나노 금속 산화물 졸과 혼합하여 개질하여도 된다. 이때 반응 시간은 10 ~ 90분 정도로 단축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수분에 매우 민감한 금속 산화물과 물의 접촉을 피할 수 있다.
상기 안정화된 나노 금속 산화물 졸을 아크릴계 점착 수지와 그대로 혼합하여도 되나, 효과적인 코팅을 위해서는 알코올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성 용매인 알코올의 사용은 금속 산화물 입자의 점착 수지와의 혼합 시, 표면 전하의 감소를 최소화함으로써 분산 안정성에 도움을 주고, 점착제가 고 점도일 경우 그 점성을 낮춤으로서 코팅 작업성도 개선할 수 있다. 알코올의 첨가 비율은 고 투명 단열 점착제와 알코올이 1:0~1:1의 무게비로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코올 혼합은 제조 과정 중, 어느 때나 혼합하여도 무방하나, 금속 산화물의 안정화 시, 첨가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알코올의 종류는 IR차단 점착제와 의 혼화성, 코팅 후 건조속도 등을 감안할 때 메탄올, 에탄올, 메톡시 에탄올, 에톡시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등에서 1종 이상 선택하여 사용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 투명 단열 점착 필름은 도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 기재필름의 일면에 상기 본 발명의 점착제로 점착제층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 투명 단열 점착 필름을 구성하는 상기 투명 기재 필름은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폴리카보네이트(PC)등과 같은 투명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필름이나 시트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고, 그 두께는 25 내지 150m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명 기재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점착제층은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를 통상적인 공지의 코팅방법에 따라 형성된다. 그 코팅된 막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즉, 원하는 점착 물성과 함께 고려되어 선택 할 수 있다. 이때, 두께의 증가는 가시광선의 저하와 IR 차단율의 상승을 가져오며, 두께의 감소는 반대의 물성 변화가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고 투명 단열 점착필름은 투명 기재필름의 일면에는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다른 일면 즉 기재 필름위에는 하드 코팅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70그램(g)에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30그램(g)을 분산시킨 ITO 졸 20g을 메탄올(Methanol) 30g과 혼합한 다음, 이 혼합 용액(50g)에 안정화제인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MTMS) 2g과 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triethoxysilane: VTES) 0.5g을 H2O 0.2g과 함께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교반하며 반응시켜 안정화된 ITO졸을 얻었다. 이를 미리 준비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톨루엔 혼합용매 60 중량퍼센트(%)와 2-EHA(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와 AA(아크릴산)로 구성된 아크릴 공중합수지 40중량퍼센트(%)로 이루어진 점착기재 40그램(g)과 혼합한 후, ITO졸의 균일한 분산을 위해 10분 정도 고속 교반을 진행하여 IR차단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상기 IR차단 점착제를 50m 두께의 PET 필름에 bar coater를 이용하여 15m의 두께로 도포 후, 헤이즈미터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하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시광선 투과율 75% 헤이즈 2.3%를 확인하였다. 또한 UV-VIS-NIR spectroscopy 이용한 1000nm의 근적외선 파장대의 IR 차단율은 74%를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안정화제인 MTMS, VTES의 사용 없이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ITO졸 20g과 메탄올 30g을 혼합한 후, 점착기재 40g과 혼합한 후, ITO졸의 균일한 분산을 위해 10분 정도 고속 교반을 진행하여 IR차단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심한 응집으로 인한 ITO 입자의 침전이 발생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점착제를 PET 필름 위에 15m의 두께로 도포한 후, 분석한 결과 하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시 광선 투과율 66%, 헤이즈 34%의 불균일한 막이 형성되었다.
[실시예 2]
2-메톡시에판올(2-Methoxyethanol)70그램(g)에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 ITO) 30그램(g)을 분산시킨 ITO 졸 20g을 메탄올(Methanol) 10g과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10g과 혼합한 다음, 이 혼합 용액(40g)에 안정화제인 메틸트리메톡시실란(Methyltrimethoxysilane: MTMS) 2g, 비닐트리메톡시실란(Vinyltriethoxysilane: VTES) 0.5g 및 MATMS(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2g을 H2O 0.3g과 함께 첨가한 후, 1시간 동안 교반하며 개질시켜 안정화된 ITO졸을 얻었다. 이를 미리 준비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톨루엔 혼합용매 60 중량퍼센트(%)와 아크릴 공중합수지 40중량퍼센트(%)로 이루어진 점착기재 40그램(g)과 혼합한 후, ITO졸의 균일한 분산을 위해 10분 정도 고속 교반을 진행하여 IR차단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IR차단 점착제를 PET위에 도포 후, 물성치를 측정한 결과 하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시광선 투과율 65%, 헤이즈 1.4% 및 IR 차단율 70%의 성능을 확보하였다.
[실시예 3]
2-메톡시에판올(2-Methoxyethanol)70그램(g)에 안티모니틴옥사이드 (antimony tin oxide:ATO) 30그램(g)을 분산시킨 ITO 졸 30g에 H2O 0.4g을 이용하여 이소프로판올(Isopropanol) 20g하에서 1시간동안 반응시켜 미리 가수분해(hydrolysis)된 MTMS 3g과 VTES 1g을 혼합한 다음, 20분 동안 교반하며 반응시켜 안정화된 ATO 졸을 얻었다. 이를 미리 준비한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및 톨루엔 혼합용매 60 중량퍼센트(%)와 아크릴 공중합수지 40중량퍼센트(%)로 이루어진 점착기재 40그램(g)과 혼합한 후, ITO졸의 균일한 분산을 위해 10분 정도 고속 교반을 진행하여 IR차단 점착제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IR차단 점착제를 PET위에 도포 후, 물성치를 측정한 결과 하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시광선 투과율 68%, 헤이즈 1.1% 및 IR 차단율 64%의 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점착제 (g) ITO (g) ATO (g) Solvent 안정화제 사용 유무 가시광선 투과율 (%) 헤이즈 (%) IR Cut (1000nm, %)
실시예 1 40 20 메탄올:30 75 2.3 74
실시예 2 40 10 20 메탄올:10 이소프로판올:10 65 1.4 70
실시예 3 40 30 이소프로판올:20 68 1.1 64
비교예 1 40 20 메탄올:30 66 34.0

이상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 투명 단열 점착제와 그를 코팅한 고 투명 단열 점착 필름은 가시광선에서의 투과율이 높고, 적외선 차단율이 높으며, 점착성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공정 단가의 절감과 박막인 IR 차단층을 후막 인 점착제층에 도입함으로써 코팅 공정의 작업성을 크게 개선된다.

Claims (8)

  1. 적외선(IR) 차단 성능이 있는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점착제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가 적외선(IR) 차단 성능이 있는 금속 산화물의 안정화제로서 알콕시실란계 또는 할라이드실란계 화합물을 함유하거나, 알콕시실란계 및 할라이드실란계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투명 단열 점착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가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로 이루어지는 점착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적외선(IR)차단 성능이 있는 금속 산화물 20~150중량부, 상기 적외선(IR)차단 성능이 있는 금속 산화물의 안정화제 10~80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투명 단열 점착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차단 성능이 있는 금속 산화물이 인듐틴옥사이드(indium tin oxide:ITO), 안티모니틴옥사이드 (antimony tin oxide:ATO), 알루미늄징크옥사이드(aluminum zinc oxide: AZO), 플루오로 틴 옥사이드(fluoro tin oxide: FTO) 또는 틴옥사이드 (tin oxide: SnO2)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서 입자 크기는 10~150나노미터(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투명 단열 점착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IR)차단 성능이 있는 금속 산화물의 안정화제로서 알콕시실란계 화합물은 에폭시계알콕시실란, 비닐계알콕시실란, 아크릴계알콕시실란, 페닐계알콕시실란, 알킬계알콕시실란, 아미노계알콕시실란이고, 상기 할라이드실란계 화합물은 에폭시계할라이드실란, 비닐계할라이드실란, 아크릴계할라이드실란, 페닐계할라이드실란, 알킬계할라이드실란, 아미노계할라이드실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투명 단열 점착제.
  5. 적외선(IR) 차단 성능이 있는 금속 산화물을 함유하는 점착제층이 형성된 점착필름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이 상기 청구항1 내지 청구항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고 투명 단열 점착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투명 단열 점착필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 투명 단열 점착필름이 투명 기재필름의 일면에 점착제층과 이형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투명 단열 점착필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 투명 단열 점착필름이 기재필름 위에 하드코팅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투명 단열 점착필름.
  8.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 투명 단열 점착필름이 가시광선 투과율이 60%이상이고, IR 차단율(1000nm)이 60이상이며, 헤이즈 3.0%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 투명 단열 점착필름.
KR1020040100802A 2004-12-03 2004-12-03 고투명 단열 점착제 및 그 점착제 코팅 필름 KR100710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802A KR100710463B1 (ko) 2004-12-03 2004-12-03 고투명 단열 점착제 및 그 점착제 코팅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802A KR100710463B1 (ko) 2004-12-03 2004-12-03 고투명 단열 점착제 및 그 점착제 코팅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2087A true KR20060062087A (ko) 2006-06-12
KR100710463B1 KR100710463B1 (ko) 2007-04-23

Family

ID=37158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802A KR100710463B1 (ko) 2004-12-03 2004-12-03 고투명 단열 점착제 및 그 점착제 코팅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046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277B1 (ko) * 2011-04-19 2011-09-27 주식회사 상보 적외선 차단 필름
KR101117226B1 (ko) * 2009-07-10 2012-03-15 정승수 차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이 조성물을 이용한 차열필름 및 그 제조방법, 비닐하우스용 단열비닐
KR101117224B1 (ko) * 2009-01-22 2012-03-15 정승수 차열도료 조성물
KR101377416B1 (ko) * 2012-05-03 2014-03-26 한국신발피혁연구원 투명성과 단열성을 지닌 코팅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코팅물
WO2016010296A1 (ko) * 2014-07-15 2016-01-2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단열 점착제 및 이를 구비한 단열 테이프와, 이를 포함하는 복합 시트 및 전자기기
KR20210025442A (ko) * 2019-08-27 2021-03-09 김나연 수성 단열 멀티도료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02449C (en) * 1988-12-05 2001-05-08 Mark A. Strobel Pressure-sensitive article with priming layer
JPH0596678A (ja) * 1991-02-08 1993-04-20 Yasuo Yokoi 耐熱性断熱材
DE19737475A1 (de) * 1997-08-28 1999-03-04 Bayer Ag Beschichtungszusammensetzungen auf der Basis von Epoxidgruppen enthaltenden Silanen
JP2004090618A (ja) 2002-07-08 2004-03-25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224B1 (ko) * 2009-01-22 2012-03-15 정승수 차열도료 조성물
KR101117226B1 (ko) * 2009-07-10 2012-03-15 정승수 차열용액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이 조성물을 이용한 차열필름 및 그 제조방법, 비닐하우스용 단열비닐
KR101067277B1 (ko) * 2011-04-19 2011-09-27 주식회사 상보 적외선 차단 필름
KR101377416B1 (ko) * 2012-05-03 2014-03-26 한국신발피혁연구원 투명성과 단열성을 지닌 코팅제 조성물 및 그를 이용한 코팅물
WO2016010296A1 (ko) * 2014-07-15 2016-01-21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단열 점착제 및 이를 구비한 단열 테이프와, 이를 포함하는 복합 시트 및 전자기기
KR20210025442A (ko) * 2019-08-27 2021-03-09 김나연 수성 단열 멀티도료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0463B1 (ko) 2007-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8620B2 (ja) 中空シリカ微粒子、それを含む透明被膜形成用組成物、および透明被膜付基材
CN103387787B (zh) 一种有机/无机杂化透明隔热涂层材料、制备方法及其应用
EP1174470B1 (en) Organic-inorganic composite graded material,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and use thereof
CN100441646C (zh) 阳光控制低辐射涂层溶液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3305036B (zh) 一种含poss减反射膜镀膜液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2849962B (zh) 一种二氧化硅超疏水薄膜的制备方法及一种超疏水材料
EP2383316B1 (en) Transparent color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nanosize dispersed pigments, coated substrate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CN105765015A (zh) 水性涂布剂、膜、膜的制造方法、层叠体、及太阳能电池模块
CN103351757A (zh) 用于节能门窗的水性透明隔热涂料及其制备方法
JP5546239B2 (ja) ハードコート膜付基材およびハードコート膜形成用塗布液
JP2016001200A (ja) 防汚性反射防止膜、物品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2408765B (zh) 一种紫外线和电子束固化隔热涂料
EP2604660B1 (en) Hard coating composition
CN107083179A (zh) 一种太阳光隔热涂料、太阳光隔热膜及太阳光隔热玻璃
KR100710463B1 (ko) 고투명 단열 점착제 및 그 점착제 코팅 필름
JP4409169B2 (ja) 着色顔料粒子を含む塗料、可視光遮蔽膜付基材
JP2018119067A (ja) 親水性コーティング剤、及びその塗布膜
KR101321414B1 (ko) 블로킹 방지성 및 대전 방지성을 갖는 하드 코팅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하드코팅 필름
JP6171733B2 (ja) 熱線遮蔽分散体形成用塗布液および熱線遮蔽体
KR102470307B1 (ko) 친수성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Gong et al. Synthesis and applications of MANs/poly (MMA-co-BA) nanocomposite latex by miniemulsion polymerization
JPH108010A (ja) 熱線遮蔽性粘着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熱線遮蔽性透明シート
JP2007224173A (ja) 硬化膜、樹脂積層体及びコーティング組成物
KR102058414B1 (ko) 발수성이 우수하고 자기회복능력을 갖는 박막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발수성 박막
JP2002069258A (ja) フッ素樹脂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