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3887B1 -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 - Google Patents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3887B1
KR101063887B1 KR1020090018740A KR20090018740A KR101063887B1 KR 101063887 B1 KR101063887 B1 KR 101063887B1 KR 1020090018740 A KR1020090018740 A KR 1020090018740A KR 20090018740 A KR20090018740 A KR 20090018740A KR 101063887 B1 KR101063887 B1 KR 101063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frying pan
double
packing
sided f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0062A (ko
Inventor
김영선
Original Assignee
김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선 filed Critical 김영선
Priority to KR1020090018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3887B1/ko
Publication of KR20100100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0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3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3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6Lids or covers for cooking-vessels
    • A47J36/10Lid-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11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the food being cooked between two heating plates, e.g. waffle-ir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 프라이팬을 구성하는 제1,2용기 및 두 용기 중 어느 하나의 용기에 구비되는 패킹의 새로운 구조에 의해 두 용기의 기밀이 잘 유지되어 조리시간 단축 및 조리 효율이 높음은 물론이고 두 용기의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손잡이의 새로운 구조에 의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서로 어긋나거나 이탈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용기의 밀폐시 제2용기의 플랜지부에 장착된 ㄷ자 형상의 패킹에 의해 제1용기의 안치부와 테두리 내벽을 동시에 밀착하게 되므로 용기의 기밀이 잘 유지되어 조리시간 단축 및 조리 효율이 높음은 물론이고 용기의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2손잡이에 똑딱이 단추가 구비되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서로 어긋나거나 이탈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2용기의 플랜지부에 장착된 패킹은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유지관리 등의 사용상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양면 프라이팬, 용기, 패킹, 똑딱이 단추

Description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A double-faced frying pan}
본 발명은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양면 프라이팬을 구성하는 제1,2용기 및 두 용기 중 어느 하나의 용기에 구비되는 패킹의 새로운 구조에 의해 두 용기의 기밀이 잘 유지되어 조리시간 단축 및 조리 효율이 높음은 물론이고 두 용기의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손잡이의 새로운 구조에 의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서로 어긋나거나 이탈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라이팬이라 함은 생선, 고기 등과 같은 어류나 육류를 구울 때 이용되는 통상 상부가 개방된 도구이다. 이러한 프라이팬에서 구이류(생선, 고기)를 요리할 때 기름, 수분 등의 액체나 굽는 냄새가 개방된 상부로 튀어나오거나 실내로 퍼지게 된다. 따라서, 주방이 지저분해지고 집안에 냄새가 배이고 열효율이 낮아지기 때문에 조리 시간이 길어지고, 구이류에 함유된 수분을 거의 외부로 비산시키게 되므로 맛과 영양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 통상 신문지, 뚜껑 등과 같은 덮개를 사용하지만 구이류를 뒤집기 위해서는 덮개를 열어야 되므로 이때 상기와 같은 문제가 같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구이류를 뒤집지 않고 구을 수 있도록 된 양면 프라이팬이 근래에는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 이 양면 프라이팬은 상하부가 각각 개방되되 힌지를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용기 및 한 쌍의 용기에 각각 부착된 손잡이로 구성되어 구이류를 구울 때 구이류를 뒤집지 않고 양면 프라이팬을 직접 뒤집어서 굽도록 되어 전술한 문제를 극복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양면 프라이팬도 양면 프라이팬 자체를 뒤집을 때 결합된 한 쌍의 용기 사이로 일부 수분이 유출되어 주방이 지저분하게 되거나 굽는 냄새가 그 틈새로 배출되는 단점도 있었다.
그래서, 최근에는 양면 프라이팬의 기밀성을 향상시켜 효율적인 조리가 가능하도록 한 양면 프라이팬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2002-0007119호가 그 대표적인 일예이다.
즉, 도 1은 종래의 양면 프라이팬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인데, 이를 참조로 하면, 종래의 양면 프라이팬(10)은 서로 결합되는 하부용기(20)와 상부용기(30)로 구성되는데, 하부용기(20)의 상면에는 기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패킹(40)과, 상기 상부용기(30)의 하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두 용기(20,30)의 결합시 상기 패킹(40)을 압착하는 돌기(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구성에서, 하부용기(20)에 구비된 패킹(40)과 이 패킹(40)을 압착하는 돌 기(32)에 의해서 두 용기(20,30)는 밀폐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다. 그러므로, 기밀에 의해 수분이나 냄새가 외부로 쉽게 유출되지 않아 전술한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양면 프라이팬(10)을 사용하다 보면, 하부용기(20)에 삽착되어 있는 패킹(40)을 분리해 패킹(40)과 그 패킹(40)이 삽착되어 있던 삽착홈(22)에 대한 세척도 필요로 하게 되고, 때에 따라서는 상기 패킹(40)을 교체도 해야 될 것이다.
그런데, 상기한 패킹(40)은 하부용기(20)의 삽착홈(22)에 삽찹되어 있는 구조이므로 쉽게 분리하기 어렵고, 세척 후 다시 장착하기도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상기 패킹(40)을 장착하기 위한 삽착홈(22) 내부에 이물질이 삽착되면 이 이물질의 제거 또한 쉽지 않아 사용상 상당한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종래의 양면 프라이팬(10)이 가지는 장점을 최대한 살리면서 패킹(40)의 교체 및 세척이 용이하여 보다 효율적인 조리가 가능한 새로운 양면 프라이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용기의 기밀이 잘 유지되어 조리시간 단축 및 조리 효율이 높음은 물론이고 용기의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손잡이의 새로운 구조에 의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서로 어긋나거나 이탈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에 있어서, 상면 가장자리에는 형상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안치부와 상기 안치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다시 연장 형성된 테두리가 각각 형성되며, 전측에는 제1손잡이가 형성되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의 후측과 축핀을 매개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치부에 안치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전측에는 상기 제1손잡이와 접하는 제2손잡이가 구비된 제2용기; 및 상기 제2용기의 플랜지부에 끼움 장착되도록 단면상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하면과 외측벽이 상기 제1,2용기의 밀폐시 상기 제1용기의 안치부와 테두리 내측을 동시에 밀폐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제1용기에 형성된 테두리는 패킹이 조리시 불꽃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끝단이 외향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바람직하게 상기 제2용기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상부 외벽은 상기 플랜지부에 끼움된 패킹이 조리시 불꽃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향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패킹은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제1용기의 안치부와 테두리 내측에 밀접되는 하면과 외측벽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2용기의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2손잡이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에는 똑딱이 단추암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손잡이에는 똑딱이 단추수가 구비되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용기의 밀폐시 제2용기의 플랜지부에 장착된 ㄷ자 형상의 패킹에 의해 제1용기의 안치부와 테두리 내벽을 동시에 밀착하게 되므로 용기의 기밀이 잘 유지되어 조리시간 단축 및 조리 효율이 높음은 물론이고 용기의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는 제1,2손잡이에 똑딱이 단추가 구비되어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서로 어긋나거나 이탈되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제2용기의 플랜지부에 장착된 패킹은 장착 및 분리가 용이하여 유지관리 등의 사용상 편의를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 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이 밀폐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100)은 크게 제1용기(110), 제2용기(120) 및 패킹(1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제1용기(110)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형상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안치부(112)와 상기 안치부(112)에서 수직 방향으로 다시 연장 형성된 테두리(114)가 각각 형성되며, 전측에는 제1손잡이(11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테두리(116)는 끝단이 외향된 경사, 즉 끝단이 외측으로 벌어진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후술하겠지만 이는 조리시 상기 패킹(130)이 불꽃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용기(110)의 안치부(112) 하측에는 배출공(118)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공지된 종래의 양면 프라이팬에도 구현되어 있는 것으로, 조리시 발생되는 압력과 수분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으로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용기(120)는 상기 제1용기(110)의 후측과 축핀(P)을 매개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치부(112)에 안치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부(122)가 형성되고, 전측에는 상기 제1손잡이(116)와 접하는 제2손잡이(126)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축핀(P)은 제1용기(110)와 제2용기(120)를 직접 결합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용기(110,120)에 부착된 각각의 브라켓(B)을 매개로 이들을 연결하여 상기 제1,2용기(110,12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어 개방되거나 밀폐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랜지부(122)의 상부 외벽은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향되는 경사, 즉 상측으로 갈수록 외경이 커지는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 또한 상기 테두리(114)가 가지는 경사와 마찬가지로 조리시 상기 패킹(130)이 불꽃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현된 것이다.
비록, 상기 제2용기(120)의 외벽은 플랜지부(122)와 경사에 의해서 굴곡을 가지나 그 내벽은 그렇지 않음은 당연하다.
이렇게, 축핀(P)을 매개로 상하 회동되어 밀폐 및 개방되는 제1,2용 기(110,120)는 공지된 바와 같이 평면상 사각형, 원형 및 타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이는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제조할 수 있으므로 그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1,2용기(110,120)의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조리시 서로 어긋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1,2손잡이(116,126)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에는 똑딱이 단추암(140a)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손잡이에는 똑딱이 단추수(140b)가 구비되어서 고정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미도시하였으나 종래에는 제1,2손잡이를 고정하기 위해서 자석이 각각 매설되어 고정 가능하도록 구현되어 있는데, 이 자석은 조리시 발생되는 열 등의 매체로 인해 일정시간 사용하다 보면 그 자력이 현저히 저하되어 고정력이 다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렇다고, 강한 자력을 지닌 자석을 사용하게 되면 이 양면 프라이팬을 주로 다루는 주부들은 손잡이의 탈부착 동작에서 상당히 불편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제작시 적당한 텐션력을 부과하면 장시간 사용하여도 그 텐션력을 유지하는 공지의 똑딱이암, 수로 구성된 똑딱이 단추(140)를 이용하여 상기 자석이 가지는 단점을 극복하도록 제안된 것임을 인지하여야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패킹(130)은 상기 제2용기(120)의 플랜지부(122)에 끼움 장착되도록 단면상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도 2의 일부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 이 그 하면과 외측벽이 상기 제1,2용기(110,120)의 밀폐시 상기 제1용기(110)의 안치부(112)와 테두리(114) 내측에 동시에 밀착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두 용기(110,120)의 기밀성이 크게 향상될 것이다.
이제, 하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100)의 작동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나"는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이 밀폐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먼저, "가"를 참조로 하면, 제2용기(120)가 축핀(P)을 매개로 상측으로 회동되어서 제1,2용기(110,120)는 개방되어 있다. 조리자는 공지된 바와 같이 제1용기(110)의 내부에 미도시된 생선, 고기 등의 구이류를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용기(120)의 플랜지부(122)에 장착되어 있는 패킹(130)을 살펴보면, 두 용기(110,120)의 밀폐시 제1용기(110)의 안치부(112)에 밀착되는 하면과 테두리(114) 내벽에 밀착되는 외측벽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상기 패킹(130)의 하면과 외측벽 부분이 미약하나마 볼록하게 돌출되면 밀폐시 밀착력이 더욱 향상되어 기밀성 향상에 크게 보탬이 될 것이다.
이 상태에서,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회동되어 있던 제2용기(120)를 하향 회동시켜 두 용기(110,120)를 밀폐하게 된다. 이 밀폐과정에서 여 기서는 미도시된 제1,2손잡이(116,126)에 구비된 똑딱이 단추암(140a)과 수(140b)는 서로 결합되어 두 용기(110,120)의 밀페된 상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두 손잡이(116,126)가 조리시 서로 어긋나거나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1용기(110)의 안치부(112)와 테두리(114) 내벽에 동시에 밀착되는 ㄷ자 형상의 패킹(130)에 의해서 기밀성이 크게 향상됨은 당연하며, 특히 패킹(130)의 하면과 외측벽은 반원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어 밀착시 그 부분이 납작하게 압착되면서 더욱 향상된 밀폐력을 제공하게 되므로 조리시간 단축은 물론이고 효율적일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2용기(120)의 플랜지부(122) 전체를 ㄷ자 형상의 패킹(130)이 감싸고 있으므로 열고 닫는 동작에서 금속성분의 제1,2용기(110,120)가 직접 부딪히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생활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렇게 밀폐된 제1용기(110)의 바닥면을 가열하여 그 내부에 놓인 구이류를 굽게 되는데, 가열시 발생된 불꽃은 테두리(114)의 경사에 의해서 외측으로 뻗어 나가게 되므로 두 용기(110,120)의 밀접면에 구비된 패킹(130)을 직접 가열하지 못할 것이며, 양면 프라이팬(100)을 뒤집어 제2용기(120)를 가열하여도 제2용기(120)의 외벽이 가지는 경사에 의해 불꽃이 패킹(130)을 직접 가열하지 못하므로 패킹(130)이 불꽃에 의해 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양면 프라이팬(100)은 세척시 패킹(130)을 분리해야 되는데, 종래와 달리 상기 패킹(130)이 제2용기(120)의 플랜지부(122) 장착되어 있으므로 패킹(130)이 가지는 탄성력을 이용해 쉽게 플랜지부(12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반대로, 장착시에도 패킹(130)의 탄성력을 이용하면 쉽게 장착시킬 수 있음은 너무나 당연하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양면 프라이팬에 대한 요부 확대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이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이 밀폐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이 개방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이고, "나"는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이 밀폐된 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종래의 양면 프라이팬 20 : 하부용기
22 : 삽착홈 30 : 상부용기
32 : 돌기 40 : 패킹
100 : 본 발명의 양면 프라이팬 110 : 제1용기
112 : 안치부 114 : 테두리
116 : 제1손잡이 118 : 배출공
120 : 제2용기 122 : 플랜지부
126 : 제2손잡이 130 : 패킹
140 : 똑딱이 단추 140a : 똑딱이 단추암
140b : 똑딱이 단추수 P : 축핀
B : 브라켓

Claims (5)

  1.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에 있어서,
    상면 가장자리에는 형상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절곡된 안치부와 상기 안치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다시 연장 형성된 테두리가 각각 형성되며, 전측에는 제1손잡이가 형성되는 제1용기;
    상기 제1용기의 후측과 축핀을 매개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안치부에 안치되도록 수평방향으로 절곡된 플랜지부가 형성되고, 전측에는 상기 제1손잡이와 접하는 제2손잡이가 구비된 제2용기; 및
    상기 제2용기의 플랜지부에 끼움 장착되도록 단면상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그 하면과 외측벽이 상기 제1,2용기의 밀폐시 상기 제1용기의 안치부와 테두리 내측을 동시에 밀폐하여 밀폐력을 향상시키는 패킹을 포함하고,
    상기 제1용기에 형성된 테두리는 패킹이 조리시 불꽃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끝단이 외향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에 형성된 플랜지부의 상부 외벽은 상기 플랜지부에 끼움된 패킹이 조리시 불꽃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갈수록 점차 외향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밀폐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제1용기의 안치부와 테두리 내측에 밀접되는 하면과 외측벽 부분이 볼록하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용기의 밀폐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제1,2손잡이 중 어느 하나의 손잡이에는 똑딱이 단추암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의 손잡이에는 똑딱이 단추수가 구비되어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
KR1020090018740A 2009-03-05 2009-03-05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 KR101063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740A KR101063887B1 (ko) 2009-03-05 2009-03-05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8740A KR101063887B1 (ko) 2009-03-05 2009-03-05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062A KR20100100062A (ko) 2010-09-15
KR101063887B1 true KR101063887B1 (ko) 2011-09-08

Family

ID=43006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740A KR101063887B1 (ko) 2009-03-05 2009-03-05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38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463B1 (ko) * 2010-09-10 2011-01-27 문혜숙 구이기
KR101347585B1 (ko) * 2011-07-07 2014-01-03 서선자 양면팬
KR101347586B1 (ko) * 2011-07-11 2014-01-03 서선자 양면 구이팬
KR200477785Y1 (ko) * 2014-05-15 2015-07-23 주식회사 로이첸 양면 프라이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738Y1 (ko) 2002-12-11 2003-03-20 김종필 압력식 조리용기
KR200318952Y1 (ko) 2003-04-01 2003-07-04 김정식 양면 후라이팬
KR200394240Y1 (ko) * 2005-06-15 2005-08-31 최춘영 양면 프라이팬
KR100521404B1 (ko) 2003-04-15 2005-10-14 박병관 조리장치의 밀폐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7738Y1 (ko) 2002-12-11 2003-03-20 김종필 압력식 조리용기
KR200318952Y1 (ko) 2003-04-01 2003-07-04 김정식 양면 후라이팬
KR100521404B1 (ko) 2003-04-15 2005-10-14 박병관 조리장치의 밀폐구조
KR200394240Y1 (ko) * 2005-06-15 2005-08-31 최춘영 양면 프라이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0062A (ko) 201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8192914U (zh) 一种易操作的空气炸锅
KR101063887B1 (ko)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
TWM596028U (zh) 氣炸鍋之雙層內鍋結構改良
KR100873727B1 (ko) 프라이팬
JP2008167890A (ja) 炊飯器
CN205923725U (zh) 压力烹饪器具
KR101435756B1 (ko) 진공기능을 갖는 조리용기용 패킹
KR100857579B1 (ko) 내솥 뚜껑의 분리가 가능한 전기 압력 조리기
KR101926265B1 (ko) 조리 팬의 배수구조
KR102296337B1 (ko) 누름판을 구비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JP2009225926A (ja) 炊飯器
CN213309013U (zh) 一种烹饪器具
KR200307738Y1 (ko) 압력식 조리용기
KR200281755Y1 (ko) 투시창이 설치된 프라이팬
KR200472073Y1 (ko) 넘침 방지구조를 갖는 냄비
KR100521404B1 (ko) 조리장치의 밀폐구조
CN215457387U (zh) 一种用于电烤箱的密封结构
KR200451270Y1 (ko) 조리용기용 뚜껑
CN219538035U (zh) 烹饪器具
KR20160006331A (ko) 냄비 뚜껑 어셈블리
CN219712505U (zh) 一种防溢阀、防溢装置以及液体加热容器
CN209733445U (zh) 一种烹饪器具
CN219594361U (zh) 一种锅盖组件及其应用的食物烹饪装置
CN215127125U (zh) 锅盖
CN211911273U (zh) 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