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7586B1 - 양면 구이팬 - Google Patents

양면 구이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7586B1
KR101347586B1 KR1020110068313A KR20110068313A KR101347586B1 KR 101347586 B1 KR101347586 B1 KR 101347586B1 KR 1020110068313 A KR1020110068313 A KR 1020110068313A KR 20110068313 A KR20110068313 A KR 20110068313A KR 101347586 B1 KR101347586 B1 KR 101347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pair
pan
double
sid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8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7781A (ko
Inventor
서선자
Original Assignee
서선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선자 filed Critical 서선자
Priority to KR1020110068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7586B1/ko
Publication of KR20130007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7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7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7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물을 양면으로 굽거나 익히기 위하여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위치를 바르게 또는 뒤집어 사용하더라도 받침통(50)의 무게중심이 회동구멍(51)보다 아래에 있으므로 힌지축(31)을 기준으로 선회되면서 정자세(개방된 부분이 상시적으로 위를 향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되어 배출구(40)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를 어느 방향에서도 받아낼 수 있고, 특히 배출구(40)로부터 분출되는 냄새 미립자를 상측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배기후드가 있을 경우 곧바로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여 주방이나 거실 등으로 냄새가 퍼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양면 구이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면 구이팬{DOUBLE FACED PAN}
본 발명은 양면 구이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물을 양면으로 굽거나 익히기 위하여 상부팬 및 하부팬의 위치를 바르게 또는 뒤집어 사용할 때 또는 상부팬 및 하부팬을 열었을 때 조리공간으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를 상시적으로 받아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조리물의 구이시 발생되는 냄새 미립자를 곧바로 배기후드를 향해 안내해 수 있도록 하는 양면 구이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이기는 토스트, 생선, 육류, 야채(고구마나 감자 등) 또는 계란 등을 굽기 위한 것으로, 대부분 단일의 후라이팬의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최근에는 양면으로 접합되어 사용할 수 있는 양면 후라이팬(이하, 양면 구이팬이라 함) 등이 출시되고 있다.
도 1은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양면 구이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양면 구이팬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미 설명부호 S는 스냅링을 지시한다.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양면 구이팬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손잡이(11)가 전방에 마련된 상부팬(10)과, 하부손잡이(21)가 전방에 마련된 하부팬(20)과,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을 여닫을 수 있도록 그 후방에 서로 이격 결합된 한 쌍의 힌지축(31) 및 힌지구멍(32)을 포함한다.
하부팬(20)과 상부팬(10) 사이에 조리물이 채워진 후 닫혀진 상태에서 가스레인지의 화력에 의해 조리물이 구워지거나 익혀지게 되고, 이렇게 익혀지는 과정에서 상부팬(10)과 하부팬(20) 사이의 조리공간에는 압력이 채워지게 되는데, 이러한 압력은 한 쌍의 힌지축(31) 사이의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후방에 뚫려진 배출구(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고, 조리물의 조리시, 즉 구이시 발생되는 냄새 미립자 역시 배출구(40)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며, 상부팬(10)과 하부팬(20)을 바르게 사용하거나 뒤집어 사용할 때 또는 하부팬(20) 및 상부팬(10)을 열었을 때 조리물로부터 추출되는 액즙이나 기름 등(이하, 액체라 함)은 배출구(40)를 따라 낙하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배출구(40)로부터 분출되는 액체를 받아낼 수 있도록 한 쌍의 힌지축(31) 사이에 받침판(B)이 고정형으로 일체 형성된다.
그런데, 이렇게 받침판(B)이 고정형으로 일체 마련될 경우 하부팬(20)이 상부팬(20)의 아래에 위치될 경우 배출구(40)로부터 낙하되는 액체를 받아낼 수 있지만, 상부팬(10)과 하부팬(20)의 위치를 바꾼 상태에서는 배출구(40)로부터 낙하되는 액체를 받침판(B)으로 받아낼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받침판(B)에 채워진 액체마저도 주변으로 쏟아버릴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초래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물을 양면으로 굽거나 익히기 위하여 상부팬 및 하부팬의 위치를 바르게 또는 뒤집어 사용하더라도 배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를 어느 방향에서도 받아낼 수 있는 양면 구이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냄새 미립자를 상측방향으로 상시 향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배기후드가 있을 경우 곧바로 외부로 배기되도록 하여 냄새가 주방이나 거실 등으로 퍼져나가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양면 구이팬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팬 및 하부팬을 바르게 또는 뒤집어 사용할 때 통형 받침부에 채워진 액체가 외부로 빠져나가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액체를 수집구멍을 통해 수집통에 채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으로의 액체 낙하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양면 구이팬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손잡이가 전방에 마련된 상부팬과, 하부손잡이가 전방에 마련된 하부팬과, 상기 상부팬 및 하부팬을 여닫을 수 있도록 그 후방에 서로 이격 결합된 한 쌍의 힌지축 및 힌지구멍을 포함하는 양면 구이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힌지축 사이의 상기 상부팬 및 하부팬의 후방에 뚫려진 배출구와,
상기 한 쌍의 힌지축에 회전이 자유롭게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회동구멍을 지님과 동시에 상기 회동구멍보다 무게중심을 아래에 두고서 상기 상부팬 및 하부팬의 상하 위치변경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힌지축을 기준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배출구의 밑으로 자리를 잡는 받침통을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리물을 양면으로 굽거나 익히기 위하여 상부팬 및 하부팬의 위치를 바르게 또는 뒤집어 사용하더라도 배출구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를 어느 방향에서도 받아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배출구로부터 분출되는 냄새 미립자를 상측방향으로 상시 향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배기후드가 있을 경우 곧바로 상향 배기될 수 있도록 하여 냄새가 주방이나 거실 등으로 퍼져나가는 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조리물을 양면으로 굽거나 익히기 위하여 상부팬 및 하부팬의 위치를 바르게 또는 뒤집더라도 받침통의 무게중심이 회동구멍보다 아래에 있으므로 힌지축을 기준으로 선회되면서 정자세(개방된 부분이 상시적으로 위를 향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를 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받침통이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동구멍보다 무게중심이 항상 아래에 있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받침통은 상부팬 및 하부팬 사이에 형성된 배출구에 일치되도록 일측 상부테두리 및 타측 상부테두리에 배출홀을 각각 마련하여 배출구로부터 분출되는 압력 또는 증기 등이 막힘없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부팬 및 하부팬을 바르게 또는 뒤집어 사용할 때 통형 받침부에 채워진 액체가 흘러내릴 수 있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그 액체를 수집구멍을 통해 수집통에 채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으로의 액체의 낙하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양면 구이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양면 구이팬을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을 바르게 사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을 뒤집어 사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양면 구이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하고, 그 실시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더욱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미 설명부호 S는 스냅링을 지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손잡이(11)가 전방에 마련된 상부팬(10)과, 하부손잡이(21)가 전방에 마련된 하부팬(20)과,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을 여닫을 수 있도록 그 후방에 서로 이격 결합된 한 쌍의 힌지축(31) 및 힌지구멍(32)을 포함한다.
하부팬(20)과 상부팬(10) 사이에 조리물이 채워진 후 닫혀진 상태에서 가스레인지의 화력에 의해 구워지거나 익혀지게 되고, 이렇게 익혀지는 과정에서 하부팬(20)과 상부팬(10) 사이의 조리공간에는 압력이 채워지게 되는데, 이러한 압력은 조리물로부터 추출되는 증기나 기름(이하, 액체라 함)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며, 압력에 의해 액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쌍의 힌지축(31) 사이의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후방에는 배출구(40)가 마련된다.
하부팬(20)과 상부팬(10) 사이에 조리물이 채워진 후 닫혀진 상태에서 가스레인지의 화력에 의해 조리물이 구워지거나 익혀지게 되고, 이렇게 익혀지는 과정에서 상부팬(10)과 하부팬(20) 사이의 조리공간에는 압력이 채워지게 되는데, 이러한 압력은 한 쌍의 힌지축(31) 사이의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후방에 뚫려진 배출구(40)를 통해 배출될 수 있고, 조리물의 조리시, 즉 구이시 발생되는 냄새 미립자 역시 배출구(40)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며, 상부팬(10)과 하부팬(20)을 바르게 사용하거나 뒤집어 사용할 때 또는 하부팬(20) 및 상부팬(10)을 열었을 때 조리물로부터 추출되는 액즙이나 기름 등(이하, 액체라 함)은 배출구(40)를 따라 빠져나가게 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을 바르게 사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을 뒤집어 사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힌지축(31)에 회전이 자유롭게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회동구멍(51)을 지님과 동시에 이 회동구멍(51)보다 무게중심을 아래에 두고서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상하 위치변경에 따라 한 쌍의 힌지축(31)을 기준으로 선회되면서 배출구(40)의 밑으로 자리를 잡는 받침통(50)을 핵심 구성으로 포함한다.
조리물을 양면으로 굽거나 익히기 위하여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위치를 바르게 또는 뒤집어 사용하더라도 받침통(50)의 무게중심이 회동구멍(51)보다 아래에 있으므로 힌지축(31)을 기준으로 선회되면서 정자세(개방된 부분이 상시적으로 위를 향할 수 있도록 하는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되어 배출구(40)로부터 유출되는 액체를 어느 방향에서[예를 들면, 상부팬(10)과 하부팬(20)을 바르게 또는 뒤집어 사용되는 경우 및 그 과정에서의 각도의 변화는 물론이고 상부팬(10)과 하부팬(20)을 열었을 때 등의 다양한 각도에서]도 받아낼 수 있고, 특히 배출구(40)로부터 분출되는 냄새 미립자를 상측방향으로 향할 수 있도록 안내함으로써 배기후드가 있을 경우 곧바로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하여 주방이나 거실 등으로 냄새가 퍼져나가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받침통(50)은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회동구멍(51)보다 무게중심이 항상 아래에 있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받침통(50)은 한 쌍의 회동구멍(51)이 각각 부여된 일측벽(52) 및 타측벽(53)과, 이들 일측벽(52) 및 타측벽(53) 사이에 마련되어 일측 상부테두리(55) 및 타측 상부테두리(56)를 지닌 통형 받침부(54)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한 쌍의 회동구멍(51)은 일측 상부테두리(55) 및 타측 상부테두리(56)보다 더 높은 위치를 유지하도록 일측벽(52) 및 타측벽(53)의 중앙 상단부가 상측방향으로 볼록하게 처리된 부분에 형성되도록 하여 받침통(50)의 정자세를 더욱 수월하게 유지토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받침통(50)은 상부팬(10) 및 하부팬(20) 사이에 형성된 배출구(40)에 일치되도록 일측 상부테두리(55) 및 타측 상부테두리(56)에 배출홀(57)을 마련하여 배출구(40)로부터 분출되는 압력 또는 증기 등이 막힘없이 빠져나올 수 있도록 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을 나타내는 요부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양면 구이팬에 적용된 받침통(5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형 받침부(54)의 중심에 뚫려진 수집구멍(61)과, 통형 받침부(54)의 하부에 조립되어 수집구멍(61)에 연통되는 수집통(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을 바르게 또는 뒤집어 사용할 때 통형 받침부(54)에 채워진 액체가 주변으로 흘러내릴 수 있는 현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수집구멍(61)을 통해 수집통(62)에 액체가 채워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변으로의 액체의 낙하현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수집통(62)은 통형 받침부(54)에 일체 형성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서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수집통(62)에 의한 무게중심이 더욱 하부에 치중될 수 있게 되어 본 발명에 따른 양면 구이팬을 바르게 또는 뒤집어 사용할 때마다 받침통(50)의 선회를 더욱 신속하고 수월하게 실현토록 할 수 있어 바람직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를 뒷받침하는 것이며,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 특허청구범위의 해석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 받침통(50)이 한 쌍의 힌지축(31)에 회전이 자유롭게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회동구멍(51)을 지닌 것으로 되어 있으나, 배출구(40)가 마련된 어느 위치는 물론이거니와 한 쌍의 힌지축(31)이 아닌 별도의 지지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고, 나아가 회동구멍(51)이 아닌 고리나 와이어 등과 같은 별도의 회동수단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서는 이러한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토스트, 생선, 육류, 야채(고구마나 감자 등) 또는 계란 등을 굽기 위한 양면 후라이팬과 같은 양면 구이팬 분야에 이용될 수 있다.
10 : 상부팬 11 : 상부손잡이
20 : 하부팬 21 : 하부손잡이
31 : 힌지축 32 : 힌지구멍
40 : 배출구 50 : 받침통
51 : 회동구멍 52 : 일측벽
53 : 타측벽 54 : 통형 받침부
55 : 일측 상부테두리 56 : 타측 상부테두리
57 : 배출홀 61 : 수집구멍
62 : 수집통 S : 스냅링

Claims (6)

  1. 상부손잡이(11)가 전방에 마련된 상부팬(10)과, 하부손잡이(21)가 전방에 마련된 하부팬(20)과, 상기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을 여닫을 수 있도록 그 후방에 서로 이격 결합된 한 쌍의 힌지축(31) 및 힌지구멍(32)을 포함하는 양면 구이팬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 사이의 상기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후방에 뚫려진 배출구(40)와,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에 회전이 자유롭게 각각 끼워지는 한 쌍의 회동구멍(51)을 지님과 동시에 상기 회동구멍(51)보다 무게중심을 아래에 두고서 상기 상부팬(10) 및 하부팬(20)의 상하 위치변경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힌지축(31)을 기준으로 선회되면서 상기 배출구(40)의 밑으로 자리를 잡는 받침통(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구이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통(50)은 반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구이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통(50)은
    상기 한 쌍의 회동구멍(51)이 각각 부여된 일측벽(52) 및 타측벽(53)과,
    상기 일측벽(52) 및 타측벽(53) 사이에 마련되어 일측 상부테두리(55) 및 후측 상부테두리(56)를 지닌 통형 받침부(5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구이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회동구멍(51)은 상기 일측 상부테두리(55) 및 타측 상부테두리(56)보다 더 높은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일측벽(52) 및 타측벽(53)의 중앙 상단부가 상측방향으로 볼록하게 처리된 부분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구이팬.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40)에 일치되도록 상기 일측 상부테두리(55) 및 타측 상부테두리(56)에 마련된 배출홀(5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구이팬.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형 받침부(54)의 중심에 뚫려진 수집구멍(61)과,
    상기 통형 받침부(54)의 하부에 조립되어 상기 수집구멍(61)에 연통되는 수집통(6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면 구이팬.
KR1020110068313A 2011-07-11 2011-07-11 양면 구이팬 KR101347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13A KR101347586B1 (ko) 2011-07-11 2011-07-11 양면 구이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8313A KR101347586B1 (ko) 2011-07-11 2011-07-11 양면 구이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781A KR20130007781A (ko) 2013-01-21
KR101347586B1 true KR101347586B1 (ko) 2014-01-03

Family

ID=4783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8313A KR101347586B1 (ko) 2011-07-11 2011-07-11 양면 구이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758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0062A (ko) * 2009-03-05 2010-09-15 김영선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0062A (ko) * 2009-03-05 2010-09-15 김영선 구이용 양면 프라이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7781A (ko) 2013-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3595B2 (en) Table top grill
EP3590398B1 (en) Air-based fryer pan
EP2979595B1 (en) Frying device
KR101030143B1 (ko) 숯불구이기
KR100647856B1 (ko) 회전식 고기구이장치
KR101300863B1 (ko) 숯불 구이기
US9155421B2 (en) Rotisserie grill
KR101347586B1 (ko) 양면 구이팬
KR100821465B1 (ko) 훈제구이를 갖는 직화구이기
KR101680257B1 (ko) 훈제 및 찜 기능을 제공하는 휴대용 음식물 구이장치
KR101272084B1 (ko) 직화구이용 불판
KR101610858B1 (ko) 불판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CN206499369U (zh) 用于烹饪食物的用电多用途设备
KR20030091080A (ko) 직화구이기
KR200330926Y1 (ko) 유로가 형성된 구이판
CN209951083U (zh) 一种烤鱼机
CN208551357U (zh) 多用途可拆洗防油溅锅罩
KR200365223Y1 (ko) 육류구이기의 구이판
CN217645045U (zh) 一种新型炸篮及空气炸锅
KR102082579B1 (ko) 직화구이용 로스터
KR102644351B1 (ko) 구이 팬
KR20120041387A (ko) 고기구이판
CN212489627U (zh) 一种双面红外燃气同时加热的烧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