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0143B1 - 숯불구이기 - Google Patents
숯불구이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30143B1 KR101030143B1 KR1020100108153A KR20100108153A KR101030143B1 KR 101030143 B1 KR101030143 B1 KR 101030143B1 KR 1020100108153 A KR1020100108153 A KR 1020100108153A KR 20100108153 A KR20100108153 A KR 20100108153A KR 101030143 B1 KR101030143 B1 KR 1010301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cam
- lifting
- louver
- charco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류 구이시 육류의 기름이 화로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하고, 숯불의 화기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지방이 많은 육류도 직화구이가 가능토록 하는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제어실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며 테두리를 이루는 외각프레임과, 상기 외각프레임에 탈착 및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소정의 경사를 이루면서 어느 일측으로 절곡되어 기름받이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회동루버와, 상기 외각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외각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회동바의 일단이 결합된 이동링크로 구성된 불판;
상기 제어실에 장착되며, 회전축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실 외부에 배치된 조절노브와,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며 외주면에 기엇니가 형성된 원형의 캠과, 단부가 상기 이동링크와 인접되어 상기 캠의 기엇니와 치합을 이루면서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링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진 개도조절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에 안치되는 화로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화로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제어실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며 테두리를 이루는 외각프레임과, 상기 외각프레임에 탈착 및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소정의 경사를 이루면서 어느 일측으로 절곡되어 기름받이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회동루버와, 상기 외각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외각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회동바의 일단이 결합된 이동링크로 구성된 불판;
상기 제어실에 장착되며, 회전축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실 외부에 배치된 조절노브와,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며 외주면에 기엇니가 형성된 원형의 캠과, 단부가 상기 이동링크와 인접되어 상기 캠의 기엇니와 치합을 이루면서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링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진 개도조절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에 안치되는 화로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화로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육류 구이시 육류의 기름이 화로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하고, 숯불의 화기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지방이 많은 육류도 직화구이가 가능토록 하는 숯불구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류나 생선류 등을 직화방식으로 조리하는 경우, 조리된 음식의 맛이 뛰어나기 때문에 대부분이 직화방식의 조리방식을 선호하고는 있으며, 이를 위해 다양한 숯불구이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숯불구이기는 숯불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과 숯불 향 등에 의하여 육질이 개선되고, 직화열에 의하여 육류의 맛이 담백해지기 때문에 구이 맛을 향상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숯불구이기는 석쇠와 화로가 근접되어 있음으로 즉각적인 화력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육류의 종류에 따른 구이속도를 조절하기가 쉽지 않고, 이로 인해 육류가 쉽게 타게 되며 일정시간이 경과 하면 육류의 육즙이 모두 기화되어 육질이 떨어지거나 또는 육류가 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로의 상단둘에 걸쳐지는 링형 받침대와, 이 받침대의 상단 일 측 대향위치에서 수직으로 입설되고 일정 간격으로 걸림홈이 형성된 승강지지봉과, 석쇠의 양측단에 부착되어 상기 승강지지봉에 끼어져 상하로 승강되고 하단에 걸림턱이 형성된 승강관과, 상기 승강지지봉의 걸림홈에 출몰식으로 끼워져 승강관을 임의의 높이로 지지할 수 있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이 실용공고번호 실1990-5835호에 개시되어 있다.
실용공고번호 실1990-5835호에 개시된 "숯불구이용 높낮이 조절 석쇠"는 육류가 구워지는 정도에 따라 석쇠를 적절한 높이로 승강시키면서 석쇠와 숯불 간의 거리를 임의의 조절함으로써 육류가 타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육류로부터 발생하는 기름이 회수되지 못하고 숯불로 낙하하면서 숯불의 순간적인 발화에 의해 냄새 및 유해물질이 발생 됨에 따라 이를 흡입하게 되는 심각한 문제와, 이로 인해 지방층이 많은 삼겹살의 경우는 직화구이 자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석쇠와 숯불 간의 거리조절이 외부로 노출된 석쇠의 승강을 통해 이루어짐과 동시에 이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을 통해 이루어짐에 따라 불편함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석쇠를 세척하기 위해 석쇠를 받침대로부터 분리하거나, 석쇠와 받침대를 함께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세척의 번거로움이 수반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육류 구이시 육류의 기름이 화로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여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하고, 숯불의 화기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지방이 많은 육류도 직화구이가 가능한 숯불구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일측에 제어실이 구비된 하우징; 상기 수용부에 안착되며 테두리를 이루는 외각프레임과, 상기 외각프레임에 탈착 및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소정의 경사를 이루면서 어느 일측으로 절곡되어 기름받이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회동루버와, 상기 외각프레임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외각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회동바의 일단이 결합된 이동링크로 구성된 불판; 상기 제어실에 장착되며, 회전축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실 외부에 배치된 조절노브와, 상기 회전축이 관통되며 외주면에 기엇니가 형성된 원형의 캠과, 단부가 상기 이동링크와 인접되어 상기 캠의 기엇니와 치합을 이루면서 상기 캠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링크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로 이루어진 개도조절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에 안치되는 화로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화로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회동루버의 양단 상부에는 회동의 축이 되는 회동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외각프레임의 양측 상단에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회동홈에 끼워지고,
상기 회동루버의 양단중 어느 일측 하단에는 상기 이동링크 상부에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도조절수단에서 상기 캠의 저부에는 탄성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의 단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를 가압하는 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노브와 상기 캠 사이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와 결합되어 상기 캠 및 상기 이동부재를 수용하는 보호커버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캠의 상면에는 직경을 따라 다수개의 위치결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커버의 상부 판면에는 상기 위치결정홈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위치결정홈에 끼워지는 스톱퍼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노브의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화로승강수단은, 상기 제어실의 내부에 장착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가 구비된 모터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를 타고 이동하는 이동블럭과, 상기 샤프트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수용부의 바닥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로가 안착되는 승강판넬과, 일단은 상기 이동블럭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승강판넬의 저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제1승강링크와 길이방향의 중심이 상기 제1승강링크의 길이방향 중심과 회동가능하게 핀 결합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는 상기 승강판넬의 저부면과 인접하는 롤러가 구비된 한 쌍의 제2승강링크로 구성된 승강링크와, 상기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터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실 외부로 배치된 승강노브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수용부와 상기 제어실을 구획하는 격벽에는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넬의 승강을 제어하는 한 쌍의 센서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부 내벽 일측에는 상기 회동루버로부터 낙하하는 기름이 집수되도록 탈착 가능한 기름집수통이 구비되되, 상기 기름집수통에 집수된 기름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단은 상기 기름집수통의 바닥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 체크밸브와 결합된 금속재질의 드레인관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루버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는 저수부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유체가 주입가능토록 마개에 의해 폐쇄되는 유체유입공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회동루버에 안착되는 이면에는 다수개의 미세분출공이 형성된 보조루버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상기 하우징과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보조선반이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선반은, 그물망 형상을 갖는 망체와, 일단은 망체를 지지하고 타단은 중력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에 끼워지며 그 하부에는 상기 망체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면과 소정의 높이를 이루도록 판상의 플랜지가 구비된 다수개의 수직봉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에 의하면, 육류로 전달되는 화로의 열기가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육류가 타는 것을 방지하고, 기름의 낙하에 의해 발생되는 연기 및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삼겹살과 같은 기름이 많은 육류의 직화구이가 가능해지면서 직화방식으로 구워지는 삼겹살의 새로운 풍미를 맛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불판 및 회동루버의 개별적인 탈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세척과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요부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구성중 불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구성중 개도조절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불판의 구성중 회동루버에 보조루버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및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기에 보조선반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기의 구성중 불판의 회동루버가 이동링크 및 조절노브에 의해 회동 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평면도 및 요부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기의 구성중 화로승강수단에 의해 화로가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요부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구성중 불판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구성중 개도조절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불판의 구성중 회동루버에 보조루버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및 요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기에 보조선반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기의 구성중 불판의 회동루버가 이동링크 및 조절노브에 의해 회동 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평면도 및 요부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기의 구성중 화로승강수단에 의해 화로가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불판을 통과하는 숯불의 열기가 선택적으로 제어되도록 함과 동시에 육류의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기름을 별도의 기름집수통으로 유도하고, 더불어 화로의 승강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육류의 소실로 인한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시키게 된다.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는 음식점의 식탁에 매립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야외에서 독자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으로 그 용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요부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구성중 불판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의 구성중 개도조절수단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800)를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800)는,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일측에 제어실(120)이 구비된 하우징(100); 상기 수용부(110)에 안착되며 테두리를 이루는 외각프레임(210)과, 상기 외각프레임(210)에 탈착 및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소정의 경사를 이루면서 어느 일측으로 절곡되어 기름받이(221)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회동루버(220)와, 상기 외각프레임(210)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외각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회동바(230)의 일단이 결합된 이동링크(240)로 구성된 불판(200); 상기 제어실(120)에 장착되며, 회전축(313)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실(120) 외부에 배치된 조절노브(310)와, 상기 회전축(313)이 관통되며 외주면에 기엇니(323)가 형성된 원형의 캠(320)과, 단부가 상기 이동링크(240)와 인접되어 상기 캠(320)의 기엇니(323)와 치합을 이루면서 상기 캠(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링크(24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330)로 이루어진 개도조절수단; 및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수용부(110)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110)로 안치되는 화로(1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화로승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100)은 외관이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내부에 숯불이 담겨진 화로(10)가 안치될 수 있도록 소정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사면의 벽체로 이루어진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110)와, 수용부(110)의 일측으로는 격벽(130)에 의해 형성되며 후술하는 개도조절수단 및 모터(410)가 장착되는 제어실(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때, 하우징(100)의 외관에는 하우징(100)의 내부로 외기(外氣)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우징(100)의 수용부(110)와 연통하는 다수개의 슬롯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불판(200)은,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00)의 수용부(110) 상측에 안착되어 화로(10)에서 발화(發火)되는 화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각프레임(210)과, 다수개의 회동루버(220)와, 이동링크(240)로 구성되어 있다.
외각프레임(210)은 개방된 수용부(110)에 안착되며, 수용부(1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사면을 형성하는 사면의 테두리를 이루고 있다.
이때, 외각프레임(210)의 마주하는 어느 양단에는 수용부(110)에 안착될 때 외각프레임(210)이 수용부(110)의 상측에 걸쳐지도록 함과 동시에 불판(200)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한 쌍의 지지손잡이(215)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동루버(220)는 이동링크(240)의 이동을 전달받아 회동하는 것으로서, 외각프레임(210)의 폭 방향을 가로질러 외각프레임(210) 양측으로 탈착 및 회동가능하게 다수개가 결합되며, 그 하단부에는 육류를 조리할 때 발생하는 기름이 화로(10)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어느 일측으로 절곡된 기름받이(2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회동루버(220)의 기름받이(221)는 낙하하는 기름이 후술하는 기름집수통(140)으로 유도되도록 기름집수통(140)을 향하여 소정의 경사를 이루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낙하하는 기름이 기름집수통(140)으로 원활하게 유도됨으로써 기름의 산화를 방지함과 동시에 집수된 기름의 후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동링크(240)는 후술하는 개도조절수단에 의해 회동루버(220)를 회동시켜 회동루버(220)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개도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외각프레임(210)의 어느 일측 하단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이동링크(240)는 외각프레임(210)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외각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회동바(230)의 일단과 결합되어 있다.
이동링크(240)는 길이방향의 단부가 개도조절수단의 이동부재(330)와 인접되어 이동부재(330)의 이동에 의해 외각프레임(210)에 결합된 회동바(230)를 기준으로 회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바(230)를 두개로 나타내었으나, 회동바(230)가 하나 또는 다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그 개수는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이동부재(330)의 회동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한편, 회동루버(220)가 외각프레임(210)에 탈착 및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회동루버(220)의 양단 상부에는 회동의 축이 되는 회동돌기(2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외각프레임(210)의 양측 상단에는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되어 회동돌기(223)가 끼워지는 회동홈(21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동링크(240)의 회동에 의해 회동루버(220)가 회동홈(213)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회동루버(220)의 양단중 어느 일측 하단에는 이동링크(240) 상부에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홈(243)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25)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동루버(220)는 자중에 의해 외각프레임(210)의 회동홈(213) 및 이동링크(240)의 끼움홈(243)에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은 물론, 외각프레임(210)의 회동홈(213) 및 상기 이동링크(240)의 끼움홈(243)이 개방된 상태임에 따라 외각프레임(210) 및 이동링크(240)로부터 자유롭게 탈착이 가능하여 세척이 용이한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회동루버(220)가 회동을 이루면서 화로(10)의 열기가 선택적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육류의 소실이 방지되고, 더불어 육류의 기름이 화로(10)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루버(220)가 회동홈(213)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회동루버(220)가 회동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될 수도 있다.
한편, 하우징(100)의 수용부(110) 내벽 일측에는 회동루버(220)와 교차된 상태로 회동루버(220)의 하부에 회동루버(220)로부터 낙하하는 기름을 집수하면서 집수된 기름이 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기름집수통(140)이 탈착 가능하게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기름집수통(140)의 일면에는 걸림홈(140a)이 형성되며, 수용부(110)의 내벽에는 걸림홈(140a)이 걸쳐지는 걸림고리(110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름집수통(140)에는 집수된 기름이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일단은 기름집수통(140)의 바닥과 연결되고, 타단은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 체크밸브(141)와 결합된 금속재질의 드레인관(143)이 구비된다.
이때, 체크밸브(141)와 드레인관(143)의 결합은 결합 및 분해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조절너트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방식은 한정하지 않는다.
체크밸브(141)가 구비됨에 따라 기름집수통(140)에 집수된 기름을 상시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로 인한 기름의 넘침이 방지되어 수용부(110)의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막아준다.
더불어, 기름집수통(140)이 수용부(110)로부터 탈착 가능하기 때문에 세척의 편리성이 제공된다.
다음으로 개도조절수단은, 제어실(120)에 장착되어 회동루버(220)를 회동시켜 회동루버(220)들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개도가 조절되도록 하는 이동링크(240)를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조절노브(310)와, 캠(320)과, 이동부재(330)로 구성되어 있다.
조절노브(310)는 그 하부중심에 제어실(120)을 관통하는 회전축(313)이 구비되어 있으며, 제어실(120) 외부의 상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때, 회전축(313)의 외주면 일측 또는 양측으로는 커팅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회전축(313)에 끼워지는 후술하는 캠(320)이 조절노브(310)와 함께 회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캠(320)은 원형의 형상으로 조절노브(310)의 하측에 배치되며, 그 중심에는 조절노브(310)의 회전축(313)이 관통되도록 회전축(313)과 대응하는 단면형상을 갖는 캠홀(320a)이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는 둘레면을 따라 기엇니(323)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엇니(323)는 캠(320)의 외부면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외주면의 일부만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부재(330)는 직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상측에는 캠(320)의 기엇니(323)와 치합을 이루는 이동기엇니(333)가 형성되어 있으며, 캠(320)의 회전에 의해 이동링크(240)가 이동되도록 길이방향의 일단이 격벽(130)(130)을 관통한 상태로 이동링크(240)의 단부와 인접되게 제어실(120)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동부재(330)는 이동기엇니(333)가 캠(320)의 기엇니(323)와 치합된 상태임에 따라 조절노브(310)와 함께 회전하는 캠(320)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수평운동으로 변환하여 이동링크(240)를 밀어 이동시킨다.
한편, 개도조절수단에서 캠(320)의 저부에는 탄성부재(340)가 구비되고, 탄성부재(340)의 하부에는 회전축(313)의 단부와 결합됨으로써 탄성부재(340)를 가압하는 지지플레이트(35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플레이트(350)는 회전축(313)과 결합을 이루면서 탄성부재(340)를 가압하여 탄성력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탄성부재(340)가 항상 캠(320)을 가압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340)를 코일스프링으로 표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고, 판스프링과 갖은 탄성을 갖는 어느 것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조절노브(310)와 캠(320) 사이에는 회전축(313)이 관통된 상태로 캠(320)의 상면과 인접하며 충격 또는 외부적인 요인으로부터 캠(320) 및 이동부재(330)의 치합상태가 유지되도록, 지지플레이트(350)와 결합되어 캠(320) 및 이동부재(330)를 수용하는 보호커버(360)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상태에서, 조절노브(310)를 통한 이동링크(240)의 이동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조절노브(310)의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캠(320)의 상면에는 직경을 따라 다수개의 위치결정홈(325)이 형성되고, 캠(320)의 상면과 인접하는 보호커버(360)의 상부 판면에는 위치결정홈(325)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결정홈(325)에 끼워지는 스톱퍼(363)가 2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위치결정홈(325)은 캠(320)의 상면에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3개가 한 쌍으로 상호 마주하게 형성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조절노브(310)를 통한 이동링크(240)의 이동이 더욱 세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경우에는 그 개수를 더 많이 형성하면 된다.
이때, 위치결정홈(325)이 상호 마주하게 형성되는 것은 조절노브(310)의 회전된 상태가 스톱퍼(363)에 의해 양측에서 지지됨에 따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위치결정홈(325)의 개수 및 형성위치는 한정하지 않는다.
스톱퍼(363)는 보호커버(360)의 판면으로부터 캠(320)의 위치결정홈(325) 방향으로 절곡되어 위치결정홈(325)에 끼워지게 됨으로써 조절노브(310) 즉 캠(320)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조절노브(310)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이유는, 캠(320)과 이동부재(330)가 치합을 이룬 상태로 조절노브(310)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재(330)가 이동링크(240)를 이동시키고, 이동링크(240)가 이동됨으로써 이동링크(240)에 결합된 다수개의 회동루버(220)가 동시에 회동하기 때문에 회동된 회동루버(220)의 자중에 의한 원상복귀되려고 이동링크(240)를 최초의 상태로 밀려는 힘이 발생 되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화로승강수단은 하우징(100)의 수용부(110)에 구비되며, 육류의 조리를 위해 수용부(110)에 안치되는 화로(1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화로(10)와 불판(20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모터(410)와, 이동블럭(420)과, 지지프레임(430)과, 승강판넬(440)과, 승강링크(450)와, 승강노브(460)로 구성되어 있다.
모터(410)는 하우징(100)의 제어실(120) 내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는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413)가 구비된 상태로 샤프트(413)의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외부의 전원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동블럭(420)은 그 형상이 사각형상을 이룬 상태로 중심부가 샤프트(413)에 결합되어 있으며, 샤프트(413)의 회전에 의해 샤프트(413)를 타고 수평이동 한다.
지지프레임(430)은 샤프트(413)의 일단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수용부(110)의 바닥에 배치되어 있다.
이때, 이동블럭(420)의 양측에는 지지프레임(430)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블럭(420)의 양측을 관통함과 동시에 수평이동하는 이동블럭(420)을 지지 및 가이드 하여 이동블럭(420)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 쌍의 가이드봉(423)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승강판넬(440)은 지지프레임(430)의 상부 즉 불판(200)의 하부에 배치되어 화로(10)가 안착된 상태로 수용부(110)에서 승강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화로(10)가 안정적으로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편평한 판상을 유지하고 있다.
이때, 승강판넬(440)의 재질이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승강링크(450)는 지지프레임(430)와 상기 승강판넬(440) 사이에 구비되어 이동블럭(420)의 수평이동에 의해 승강판넬(440)을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제1승강링크(453)와 제2승강링크(455)로 이루어져 있으며 절첩구조를 갖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승강링크(453)는 기다란 바(bar)형상을 이룬 상태로 일단은 이동블럭(420)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승강판넬(440)의 저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한 쌍을 이루고 있다.
제2승강링크(455)는 길이방향의 중심이 제1승강링크(453)의 길이방향 중심과 회동가능하게 핀(P) 결합된 상태로 일단은 지지프레임(430)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는 승강판넬(440)의 저부면과 인접하면서 구름운동을 하는 롤러(455a)가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루고 있다.
이때, 제1,2승강링크(453,455)는 이동블럭(420)의 수평이동에 의해 승강할 때 회동과 승강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승강노브(460)는 모터(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이동블럭(420)의 수평이동에 따른 제1,2승강링크(453,455) 승강이 이루어지게 모터(410)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도록 파지가 가능한 원통 형상으로 제어실(120) 외부로 노출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승강판넬(440)의 승강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우징(100)의 수용부(110)와 제어실(120)을 구획하는 격벽(130)에는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승강판넬(440)의 승강을 제어하는 한 쌍의 센서(5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즉, 센서(500)가 승강판넬(440)의 승강시 상사점과 하사점이 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승강판넬(440)의 승강 구간이 제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정확하게는, 승강판넬(440)이 상승하여 상사점에 도달할 때 상사점에 위치한 센서(500)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410)의 구동을 정지시키며, 반대로 승강판넬(440)이 하강하여 하사점에 도달할 때 하사점에 위치한 센서(500)가 이를 감지하여 모터(41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불판(200)의 구성중 회동루버(220)에 보조루버(600)가 안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및 요부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판(200)의 회동루버(220)에는 보조루버(6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보조루버(600)는 기름받이(221)가 형성된 회동루버(220)의 일면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는 저수부(610)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유체가 주입가능토록 마개(620)에 의해 폐쇄되는 유체유입공(630)이 각각 형성되며, 회동루버(220)에 안착되는 이면에는 다수개의 미세분출공(600a)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루버(600)가 회동루버(220)에 안착될 때 저수부(610)에 유체가 충진된 상태이고, 다수개의 미세분출공(600a)은 수증기를 배출한다.
수증기는 보조루버(600)가 회동루버(220)에 안착된 상태이므로 화로(10)의 열기에 의해 저수부(610)에 충진된 유체가 가열됨으로써 저수부(610)의 압력이 증가하여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기름이 보조루버(600)의 표면에 순간적으로 막을 형성하기 때문에 잔류하는 기름이 산화되어 눌러 붙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세척의 용이성을 제공한다.
그리고, 보조루버(600)의 유체유입공(630) 및 마개(620)는 상기 보조루버(600)에 충진된 유체가 소진되었을 때 저수부(610)로 유체를 충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유체유입공(630)을 통해 유체가 충진되면 마개(620)를 결합하여 유체유입공(630)을 폐쇄시킨다.
또한, 유체유입공(630) 및 마개(620)가 보조루버(600)의 양측에 형성되는 것은 저수부(610)에 유체가 원활하게 충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기(800)에 보조선반(700)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리된 육류가 식지 않게 임시로 거치가능토록 하우징(100)의 상부면에는 하우징(100)과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선반(70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보조선반(700)은 하우징(100)의 상부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선반(700)은 망체(710)와, 수직봉(7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망체(710)는 조리가 완료된 육류를 올려놓을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그물망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경우, 망체(710)를 이루는 그물망의 구조는 한정하지 않는다.
수직봉(720)은 원형의 봉 형상으로 다수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일단은 망체(710)를 지지하고, 타단은 중력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하우징(100)의 상부면에 끼워지며 그 하부에는 망체(710)가 하우징(100)의 상부면과 소정의 높이를 이루도록 판상의 플랜지(720a)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하우징(100)의 상부면에는 수직봉(720)이 끼워지는 끼움구(100a)가 형성되는 것은 물론이다.
플랜지(720a)는 하우징(10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편평한 면을 갖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봉(720)이 망체(710)를 지지하면서 중력방향으로 연장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보조선반(700)은, 상기 망체(710)가 상기 불판(200)의 상부에 위치되어 화로(10)의 열기를 지속적으로 받기 때문에 조리된 육류를 임시거치 시키더라도 육류가 식는 것을 방지한다.
더불어, 새롭게 조리되는 육류와 섞이지 않기 때문에 매우 위생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800)의 작용에 대해 첨부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기(800)의 구성중 불판(200)의 회동루버(220)가 이동링크(240) 및 조절노브(310)에 의해 회동 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평면도 및 요부종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숯불구이기(800)의 구성중 화로승강수단에 의해 화로(10)가 승강되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종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하우징(100)의 수용부(110)에 구비된 승강판넬(440)에 숯불이 담겨진 화로(10)를 안착시키고, 불판(200)을 하우징(100)의 수용부(110) 상부에 안착시킨다.
다음으로, 불판(200)의 상부로는 석쇠가 안착되고, 석쇠에는 구이를 하기 위한 육류가 올려진다.
이때, 화로(10)가 안착된 승강판넬(440)은 석쇠에 놓여진 육류를 가열하기 위해 불판(200)과 근접된 상태이고, 불판(200)에 결합된 회동루버(220)들은 화로(10)의 열기가 육류로 향하도록 완전 개도된 상태이다(도 8a참조).
이러게 되면, 육류는 회동루버(220)들 사이의 개도된 공간을 통과하여 전달되는 화로(10)의 열기에 의해 직접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구워지기 시작한다.
이후, 육류가 구워지는 과정에서 기름이 발생하게 되고, 이 기름은 자중에 의해 화로(10)로 낙하하게 된다. 기름은 육류가 소정의 시간을 거치면서 어느 정도 구워진 상태에서 발생하게 된다.
이때, 이용자는 육류의 기름이 화로(10)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100)의 제어실(120) 외부로 노출된 조절노브(310)를 소정각도로 회전시킨다.
조절노브(310)가 회전하면 캠(320)이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회전하는 캠(320)은 캠(320)의 기엇니(323)와 치합된 이동부재(330)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이동부재(330)는 항상 이동링크(240)의 단부와 인접된 상태임에 따라 불판(20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링크(240)를 밀면서 이동하게 되고, 이동링크(240)는 외각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회동바(230)를 중심으로 수평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측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도 8a의 화살표방향).
이때, 회동루버(220)는 상기 이동링크(240)의 이동에 의해 회동을 하게 된다.
즉, 회동루버(220)의 끼움돌기(225)가 이동링크(240)의 끼움홈(243)에 끼워진 상태임에 따라, 이동링크(240)의 이동에 의해 회동루버(220)가 회동돌기(223)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회동루버(220)는 도 8b와 같이 상기 조절노브(310)의 회전에 따라 선택적으로 소정의 각도로 회동되면서 회동루버(220)들 사이의 개도 공간을 좁히게 된다.
회동루버(220)가 소정각도로 회동하여 회동루버(220) 사이의 공간이 어느 정도 조절되면 이용자는 조절노브(310)의 회전을 멈춰 회동루버(220)의 회동된 각도를 유지시킨다.
이는, 보호커버(360)에 형성된 스톱퍼(363)가 캠(320)에 형성된 위치결정홈(325)에 걸쳐짐으로써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캠(320)에 형성된 위치결정홈(325)의 개수가 다수개로 형성됨에 따라 회동루버(220)들 사이의 개도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이 가능하다.
회동루버(220)의 회동각도가 이루어지면, 육류로 향하는 화로(10)의 열기가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못하고 회동루버(220)의 회동된 각도에 의하여 우회하기 때문에 육류가 구워지는 속도를 지연시켜 타는 것을 방지하고, 육류의 기름이 회동루버(220)로 낙하되기 때문에 기름의 산화에 의한 연기 및 유해물질의 발생을 억제시킨다.
이와 함께, 회동루버(220)의 하단부 하면이 소정의 경사를 이루기 때문에 낙하하는 기름은 경사를 타고 상기 기름집수통(140)으로 집수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류의 조리가 완료되어 상기 화로(10)를 하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먼저 하우징(100)의 제어실(120) 외부로 노출된 승강노브(46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모터(410)는 승강노브(460)의 회전방향에 따른 전기적 신호에 의해 구동하면서 샤프트(413)를 회전시키게 되고, 샤프트(413)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된 이동블럭(420)이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블럭(420)이 이동하게 되면, 이동블럭(4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제1승강링크(453)의 일단이 당겨지게 됨과 동시에 제1,2승강링크(453,455)가 절첩을 이루면서 하강하게 되고, 더불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판(200)의 하부에 위치한 승강판넬(440) 역시 동시에 하강하게 된다.
이때, 제2승강링크(455)의 타단에 구비된 롤러(455a)는 승강판넬(440)의 저부면을 지지함과 동시에 구름운동을 하면서 도면상 우측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이후, 이용자는 승강판넬(440)이 원하는 위치만큼 하강하면 승강노브(460)를 원위치시켜 모터(410)의 구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승강판넬(440)의 위치를 세팅시킨다.
이렇게 되면, 육류의 조리가 완료된 상태에서 숯불구이기(800) 내부에 안치된 화로(10)를 빼지 않아도 미량의 화기에 의해 온기가 계속 남아 있게 됨으로써 조리가 완료된 육류는 식지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숯불구이기(800)는 기름의 낙하가 방지되기 때문에 삼겹삽과 같은 지방이 많은 육류의 직화구이가 가능하고, 육류로 전달되는 화로(10)의 열기가 승강을 통해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육류가 타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목적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변형이나 개조가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회동루버(220)와 이동링크(240)의 결합방법, 회동루버(220)의 형상 및 회동방법, 개도조절수단의 구조, 화로승강수단의 구조, 위치결정홈(325)의 개수 및 스톱퍼(363)의 형상, 보조루버(600)의 구조 및 형상, 기름집수통(140)의 구조, 보조선반(700)의 구조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 : 화로 20 : 석쇠
100 : 하우징 100a : 끼움구
110 : 수용부 110a :걸림고리
120 : 제어실 130 : 격벽
140 : 기름집수통 140a : 걸림홈
141 : 체크밸브 143 : 드레인관
200 : 불판 210 : 외각프레임
213 : 회동홈 215 : 지지손잡이
220 : 회동루버 221 : 기름받이
223 : 회동돌기 225 : 끼움돌기
230 : 회동바 240 : 이동링크
243 : 끼움홈 310 : 조절노브
313 : 회전축 320 : 캠
320a : 캠홀 323 : 기엇니
325 : 위치결정홈 330 : 이동부재
333 : 이동기엇니 340 : 탄성부재
350 : 지지플레이트 360 : 보호커버
363 : 스톱퍼 410 : 모터
413 : 샤프트 420 : 이동블럭
423 : 가이드봉 430 : 지지프레임
440 : 승강판넬 450 : 승강링크
453 : 제1승강링크 455 : 제2승강링크
455a : 롤러 460 : 승강노브
500 : 센서 600 : 보조루버
600a : 미세분출공 610 : 저수부
620 : 마개 630 : 유체유입공
700 : 보조선반 710 : 망체
720 : 수징봉 720a : 플랜지
P : 핀
100 : 하우징 100a : 끼움구
110 : 수용부 110a :걸림고리
120 : 제어실 130 : 격벽
140 : 기름집수통 140a : 걸림홈
141 : 체크밸브 143 : 드레인관
200 : 불판 210 : 외각프레임
213 : 회동홈 215 : 지지손잡이
220 : 회동루버 221 : 기름받이
223 : 회동돌기 225 : 끼움돌기
230 : 회동바 240 : 이동링크
243 : 끼움홈 310 : 조절노브
313 : 회전축 320 : 캠
320a : 캠홀 323 : 기엇니
325 : 위치결정홈 330 : 이동부재
333 : 이동기엇니 340 : 탄성부재
350 : 지지플레이트 360 : 보호커버
363 : 스톱퍼 410 : 모터
413 : 샤프트 420 : 이동블럭
423 : 가이드봉 430 : 지지프레임
440 : 승강판넬 450 : 승강링크
453 : 제1승강링크 455 : 제2승강링크
455a : 롤러 460 : 승강노브
500 : 센서 600 : 보조루버
600a : 미세분출공 610 : 저수부
620 : 마개 630 : 유체유입공
700 : 보조선반 710 : 망체
720 : 수징봉 720a : 플랜지
P : 핀
Claims (9)
- 상부가 개구된 수용부(110)와, 상기 수용부(110)의 일측에 제어실(120)이 구비된 하우징(100);
상기 수용부(110)에 안착되며 테두리를 이루는 외각프레임(210)과, 상기 외각프레임(210)에 탈착 및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하단부가 소정의 경사를 이루면서 어느 일측으로 절곡되어 기름받이(221)를 형성하는 다수개의 회동루버(220)와, 상기 외각프레임(210)의 하단에 배치되며 상기 외각프레임(210)에 회동가능하게 구비된 회동바(230)의 일단이 결합된 이동링크(240)로 구성된 불판(200);
상기 제어실(120)에 장착되며, 회전축(313)이 구비되어 상기 제어실(120) 외부에 배치된 조절노브(310)와, 상기 회전축(313)이 관통되며 외주면에 기엇니(323)가 형성된 원형의 캠(320)과, 단부가 상기 이동링크(240)와 인접되어 상기 캠(320)의 기엇니(323)와 치합을 이루면서 상기 캠(32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동링크(24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330)로 이루어진 개도조절수단; 및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수용부(110)에 구비되며, 상기 수용부(110)에 안치되는 화로(10)의 높이를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화로승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8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루버(220)의 양단 상부에는 회동의 축이 되는 회동돌기(223)가 형성되어 상기 외각프레임(210)의 양측 상단에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회동홈(213)에 끼워지고,
상기 회동루버(220)의 양단중 어느 일측 하단에는 상기 이동링크(240) 상부에 상부로 개방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끼움홈(243)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8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도조절수단에서 상기 캠(320)의 저부에는 탄성부재(340)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340)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축(313)의 단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340)를 가압하는 지지플레이트(350)가 구비되며, 상기 조절노브(310)와 상기 캠(320) 사이에는 상기 지지플레이트(350)와 결합되어 상기 캠(320) 및 상기 이동부재(330)를 수용하는 보호커버(3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800).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캠(320)의 상면에는 직경을 따라 다수개의 위치결정홈(325)이 형성되고, 상기 보호커버(360)의 상부 판면에는 상기 위치결정홈(325)과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위치결정홈(325)에 끼워지는 스톱퍼(363)가 형성되어 상기 조절노브(310)의 회전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800).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화로승강수단은,
상기 제어실(120)의 내부에 장착되며, 나사산이 형성된 샤프트(413)가 구비된 모터(410)와,
상기 샤프트(413)에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413)를 타고 이동하는 이동블럭(420)과,
상기 샤프트(413)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수용부(110)의 바닥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430)과,
상기 지지프레임(43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화로(10)가 안착되는 승강판넬(440)과,
일단은 상기 이동블럭(420)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승강판넬(440)의 저부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한 쌍의 제1승강링크(453)와, 길이방향의 중심이 상기 제1승강링크(453)의 길이방향 중심과 회동가능하게 핀(P) 결합된 상태로 일단은 상기 지지프레임(430)의 양단부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는 상기 승강판넬(440)의 저부면과 인접하는 롤러(455a)가 구비된 한 쌍의 제2승강링크(455)로 구성된 승강링크(450)와,
상기 모터(4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모터(410)의 정역회전을 제어하도록 상기 제어실(120) 외부로 배치된 승강노브(4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800).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수용부(110)와 상기 제어실(120)을 구획하는 격벽(130)에는 상하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승강판넬(440)의 승강을 제어하는 한 쌍의 센서(5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80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기 수용부(110) 내벽 일측에는 상기 회동루버(220)로부터 낙하하는 기름이 집수되도록 탈착 가능한 기름집수통(140)이 구비되되,
상기 기름집수통(140)에 집수된 기름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일단은 상기 기름집수통(140)의 바닥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된 체크밸브(141)와 결합된 금속재질의 드레인관(143)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800).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루버(220)에 안착되며, 그 내부에는 유체가 충진되는 저수부(610)가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측에는 상기 유체가 주입가능토록 마개(620)에 의해 폐쇄되는 유체유입공(630)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회동루버(220)에 안착되는 이면에는 다수개의 미세분출공(600a)이 형성된 보조루버(60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800).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면에는 상기 하우징(100)과 소정간격 이격되면서 탈착 가능하게 보조선반(700)이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선반(700)은,
그물망 형상을 갖는 망체(710)와,
일단은 망체(710)를 지지하고, 타단은 중력방향으로 절곡연장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면에 끼워지며 그 하부에는 상기 망체(710)가 상기 하우징(100)의 상부면과 소정의 높이를 이루도록 판상의 플랜지(720a)가 구비된 다수개의 수직봉(7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불구이기(8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8153A KR101030143B1 (ko) | 2010-11-02 | 2010-11-02 | 숯불구이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108153A KR101030143B1 (ko) | 2010-11-02 | 2010-11-02 | 숯불구이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030143B1 true KR101030143B1 (ko) | 2011-04-18 |
Family
ID=44050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108153A KR101030143B1 (ko) | 2010-11-02 | 2010-11-02 | 숯불구이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30143B1 (ko)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9180B1 (ko) | 2013-10-25 | 2014-03-31 | 정명훈 | 스마트 구이기 |
KR101839431B1 (ko) | 2017-09-08 | 2018-03-16 | 송광수 |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
KR20200000333U (ko) * | 2020-01-21 | 2020-02-10 | 서정순 | 구이 장치에 설치되는 숯통 상하 이동 장치 |
KR102169100B1 (ko) * | 2020-02-10 | 2020-10-22 | 주식회사 정석기계 | 구이 테이블 |
KR102169098B1 (ko) * | 2020-02-10 | 2020-10-22 | 주식회사 정석기계 | 가열수단 승강을 통한 가열 세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 테이블 |
KR102169099B1 (ko) * | 2020-02-10 | 2020-10-22 | 주식회사 정석기계 | 승강 조절유닛 보호 기능을 구비한 구이 테이블 |
CN112432442A (zh) * | 2020-12-02 | 2021-03-02 | 胡贤恩 | 一种升降式木炭焙炉 |
KR20230000551A (ko) * | 2021-06-25 | 2023-01-03 | 최은정 | 튀김장치 |
KR20230070830A (ko) | 2021-11-15 | 2023-05-23 | 조대성 | 숯불 구이기 및 숯불 구이기용 메인기어모듈 |
KR20230109379A (ko) * | 2022-01-13 | 2023-07-20 | 김승민 | 숯불직화구이용 그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80735U (ja) | 1983-11-10 | 1985-06-05 | 日本合成樹脂創業株式会社 | 調理用具 |
JP2001078898A (ja) | 1999-09-17 | 2001-03-27 | Tanico Corp | 炭火グリラー |
KR100644207B1 (ko) | 2005-10-07 | 2006-11-10 | 주식회사 하이넬 | 환경친화형 다기능 숯불 구이장치 |
KR20100059773A (ko) * | 2010-05-16 | 2010-06-04 | 남일우 | 구이용 화력조절장치 |
-
2010
- 2010-11-02 KR KR1020100108153A patent/KR10103014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80735U (ja) | 1983-11-10 | 1985-06-05 | 日本合成樹脂創業株式会社 | 調理用具 |
JP2001078898A (ja) | 1999-09-17 | 2001-03-27 | Tanico Corp | 炭火グリラー |
KR100644207B1 (ko) | 2005-10-07 | 2006-11-10 | 주식회사 하이넬 | 환경친화형 다기능 숯불 구이장치 |
KR20100059773A (ko) * | 2010-05-16 | 2010-06-04 | 남일우 | 구이용 화력조절장치 |
Cited By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9180B1 (ko) | 2013-10-25 | 2014-03-31 | 정명훈 | 스마트 구이기 |
KR101839431B1 (ko) | 2017-09-08 | 2018-03-16 | 송광수 |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
KR200493927Y1 (ko) * | 2020-01-21 | 2021-07-01 | 서정순 | 구이 장치에 설치되는 숯통 상하 이동 장치 |
KR20200000333U (ko) * | 2020-01-21 | 2020-02-10 | 서정순 | 구이 장치에 설치되는 숯통 상하 이동 장치 |
KR102169100B1 (ko) * | 2020-02-10 | 2020-10-22 | 주식회사 정석기계 | 구이 테이블 |
KR102169098B1 (ko) * | 2020-02-10 | 2020-10-22 | 주식회사 정석기계 | 가열수단 승강을 통한 가열 세기 조절이 가능한 구이 테이블 |
KR102169099B1 (ko) * | 2020-02-10 | 2020-10-22 | 주식회사 정석기계 | 승강 조절유닛 보호 기능을 구비한 구이 테이블 |
CN112432442A (zh) * | 2020-12-02 | 2021-03-02 | 胡贤恩 | 一种升降式木炭焙炉 |
KR20230000551A (ko) * | 2021-06-25 | 2023-01-03 | 최은정 | 튀김장치 |
KR102500929B1 (ko) * | 2021-06-25 | 2023-02-16 | 최은정 | 튀김장치 |
KR20230070830A (ko) | 2021-11-15 | 2023-05-23 | 조대성 | 숯불 구이기 및 숯불 구이기용 메인기어모듈 |
KR20230109379A (ko) * | 2022-01-13 | 2023-07-20 | 김승민 | 숯불직화구이용 그릴 |
KR102675529B1 (ko) * | 2022-01-13 | 2024-06-14 | 김승민 | 숯불직화구이용 그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030143B1 (ko) | 숯불구이기 | |
EP2845528B1 (en) | Multipurpose cooking appliance | |
KR200478957Y1 (ko) | 회전식 구이기 | |
CA2311363C (en) | Bbq oven | |
US20120097046A1 (en) | Kabob cooker and grill | |
KR20120103012A (ko) | 자동으로 작동되는 꼬치구이기 | |
KR20120005098U (ko) | 난로 겸용 구이기 | |
JP4873350B2 (ja) | 回転式の炭火焼き板 | |
KR101660647B1 (ko) | 회전식 바비큐 구이장치 | |
KR102113271B1 (ko) | 구이 시간이 단축된 통돌이형 직화구이기 | |
CN107361654A (zh) | 一种烧烤机 | |
KR101334913B1 (ko) | 자동 숯불구이장치 | |
KR101325598B1 (ko) | 다목적 회전식 구이기 | |
KR20080109480A (ko) | 이동식 구이용 황토 가마 | |
US9155421B2 (en) | Rotisserie grill | |
KR101300863B1 (ko) | 숯불 구이기 | |
KR200169888Y1 (ko) | 회전식 고기구이기 | |
KR101055065B1 (ko) | 간접 가열 방식의 휴대용 바비큐 기기 | |
KR200471773Y1 (ko) | 숯불구이용 로스터 | |
KR20130112440A (ko) | 바베큐 구이장치 | |
KR20130030850A (ko) | 바베큐장치 | |
DE19751325C2 (de) | Elektrisch beheiztes Haushaltskleingerät mit Rollwendeeinrichtung | |
US5404798A (en) | Apparatus for cooking foods | |
KR200185630Y1 (ko) | 숯불구이기 | |
KR20130016044A (ko) | 다기능 무연 구이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