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431B1 -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 Google Patents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431B1
KR101839431B1 KR1020170115239A KR20170115239A KR101839431B1 KR 101839431 B1 KR101839431 B1 KR 101839431B1 KR 1020170115239 A KR1020170115239 A KR 1020170115239A KR 20170115239 A KR20170115239 A KR 20170115239A KR 101839431 B1 KR101839431 B1 KR 1018394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flame
frame
mea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5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광수
양용모
Original Assignee
송광수
양용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광수, 양용모 filed Critical 송광수
Priority to KR1020170115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4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4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4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67Horizontally disposed broiling grid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63Small-size, portable barbecu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염이 공급되는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서 화염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화염 조절대의 설치 구조에 따라 발생하는 기름을 한곳으로 모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그릴에 육류를 공급하며 하측에서 화력이 공급되어 육류를 구이하는 육류 구이판에 있어서,
핸들이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에 상측 설치구멍이 형성되어 상부돌기가 결합하는 높이조절 후레임과;
상기 높이조절 후레임에 연결되는 상부돌기가 형성되는 조절대의 하측이 절곡되어 절곡 돌출부가 돌출되는 화염 조절대와;
상기 상부돌기가 결합하는 설치구멍이 일정한 간격에 형성되는 고정 후레임과;
상기 높이조절 후레임과 고정 후레임이 연결되는 측면 연결대가 돌출되는 측면부재와;
상기 핸들의 핸들 스크류가 연결되는 상부구멍과 하측에 하부구멍이 형성되는 높이조절 암과;
상기 높이조절 암과 연결되며 화염 조절대의 하부돌기가 연결되는 하측 설치구멍을 형성하는 연동 높이조절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Flame shaping type meat grilling plate with easy oil discharge}
본 발명은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염이 공급되는 간격을 조절함에 따라서 화염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화염 조절대의 설치 구조에 따라 발생하는 기름을 한곳으로 모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굽는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고기가 올려져 있는 불판을 통해 열원으로부터 제공받은 열을 고기로 전도하여 고기를 굽는 간접가열 방식과, 열원의 복사열이 고기에 직접 전달되도록 하여 고기를 굽는 직접가열 방식이 있는 바, 취향에 따라 다를 수는 있지만, 간접가열 방식에 비하여 열효율이 좋아 신속하게 고기를 구울 수 있고, 열원으로 사용되는 숯의 향기 등을 느낄 수 있으며, 기름기가 제거되어 보다 담백하고 부드러운 맛을 느낄 수 있는 직접가열 방식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선호되고 있으며, 이러한 직접가열 방식으로 고기를 굽는 것을 직화구이라고 말한다.
이러한 직화구이를 위한 종래의 직화구이 불판은 일반적으로 금속선이 격자형태로 배열된 석쇠나 복사열이 통과 할 수 있도록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불판 위에 고기를 올려놓고, 불판을 숯불과 같은 열원의 상부에 위치시킴으로써 열원의 복사열이 불판 위에 올려진 고기로 전달되어 직접 접촉되면서 고기를 굽는 방식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직화구이 불판의 경우, 고기를 굽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하측의 열원으로 떨어질 수밖에 없는 구조로서, 열원으로 떨어지는 기름에 의해 갑작스럽게 열원에 화염이 발생되면서 고기를 태워버리거나 기름이 급격하게 연소되면서 발생하는 연기에 의해 고기가 그을려져서 고기를 섭취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 직화구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문헌으로서, 등록특허 제10-1262962호에 직화구이용 석쇠가 개시되어 있는데, 상기 개시된 선행문헌은 석쇠의 선재를 중앙 부위로부터 양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하향 경사지게 하여 기름이 선재의 경사를 타고 주변으로 유도되도록 구성한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의 경우 선재를 따라 흐르는 일부 기름은 주변으로 유도될 수 있다 하더라도 선재 사이를 통해 고기로부터 낙하되는 기름은 그대로 열원으로 떨어질 수 밖에 없으므로 기름에 의한 화염이나 연기의 발생을 방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다.
또한, 다른 선행문헌으로서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6741호에는 불판을 다단으로 구비하면서 불판 사이에 열원이 통과할 수 있는 열기통로를 형성하는 구성의 직화 고기구이 불판이 개시되었는데, 이러한 개시된 불판의 경우 열원의 복사열이 다른 매개체를 통하지 않고 공기만을 통해 직접 고기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열기통로라는 별도 매개체를 통해 열기가 유도되면서 고기로 전달되는 구성으로서 직화구이로서의 장점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불판 또는 구이판은 육류를 구워내는 역할을 수행할 뿐, 화염의 세기를 조절하는 기능이 별도로 갖추워져 있지 못하고, 불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복잡하며, 사용한 후에는 청소하는 것이 매우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문헌 1). 실용신안공개번호 제2009-0006431호(2009. 06. 29. 공개) (문헌 2). 특허등록번호 제1561694호(2015. 10. 13. 등록) (문헌 3). 특허등록번호 제1262962호(2013. 05. 03. 등록) (문헌 4). 특허공개번호 제2011-0136741호(2011. 12. 21. 공개)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한 곳에서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화염 조절대가 회전하면서 화염이 전달되는 공간의 폭을 조절하여 화염의 세기를 조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화염 조절대의 형태와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육류가 익어가면서 배출되는 기름이 한 곳으로 모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이동식으로 다양한 장소와 식탁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화염 조절대와 후레임 및 측면부재 등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청소가 편리하게 이루어지므로 매우 위생적인 구이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그릴에 육류를 공급하며 하측에서 화력이 공급되어 육류를 구이하는 육류 구이판에 있어서,
핸들이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에 상측 설치구멍이 형성되어 상부돌기가 결합하는 높이조절 후레임과;
상기 높이조절 후레임에 연결되는 상부돌기가 형성되는 조절대의 하측이 절곡되어 절곡 돌출부가 돌출되는 화염 조절대와;
상기 상부돌기가 결합하는 설치구멍이 일정한 간격에 형성되는 고정 후레임과;
상기 높이조절 후레임과 고정 후레임이 연결되는 측면 연결대가 돌출되는 측면부재와;
상기 핸들의 핸들 스크류가 연결되는 상부구멍과 하측에 하부구멍이 형성되는 높이조절 암과;
상기 높이조절 암과 연결되며 화염 조절대의 하부돌기가 연결되는 하측 설치구멍을 형성하는 연동 높이조절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한 곳에서 핸들을 회전시킴에 따라서 일정한 간격에 연동 높이조절대에 설치한 화염 조절대가 회전 이동하면서 화염이 전달되는 공간의 폭을 조절하여 화염의 세기를 조절하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화염을 조절하며 사용함으로써 육류가 타지않고 편리하게 맛있게 구워 공급하는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염 조절대의 형태가 배출되는 기름을 절곡부분에 모아 배출되도록 하고,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통하여 육류가 익어가면서 배출되는 기름이 한 곳으로 모여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청결하며 기름의 처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식으로 사면에 설치한 설치볼트를 사용하여 원형과 사각형 등 다양한 장소와 식탁 등에 간편하게 설치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화염 조절대와 후레임 및 측면부재 등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청소를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이로 인하여 구이판을 매위 위생적이며 신속하고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탄내 정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상대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연동 높이조절대에 대한 정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연동 높이조절대에 대한 작동상태 정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화염 조절대에 대한 단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화염 조절대에 대한 작동상태 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의 화염 조절대에 대한 사시도
도 12 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 후레임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후레임에 대한 작동상태 단면도
도 14 는 본 발명의 고정 후레임과 화염 조절대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15 는 본 발명의 고정 후레임에 화염 조절대를 연결한 측면 단면도
도 16 은 본 발명의 고정 후레임에 대한 평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탄내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 단면도에 관한 것이다.
전체적으로 사각형과 원형 및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육류 구이판(100)은 양쪽으로 "ㄷ"형이 되게 형성되는 측면부재(30)의 내부에서 핸들(14)이 연결되는 전방에는 높이조절 후레임(10)이 측면 부재(30)에서 돌출된 측면 연결대(31)에서 높이가 조절되도록 설치되고, 높이조절 후레임(10)의 반대편에 설치되는 고정 후레임(20)은 측면 연결대(31)에 고정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 후레임(10)의 내부에는 연결 높이조절대(60)가 핸들(14)이 연결된 높이조절 암(50)을 통하여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화염 조절대(40)의 하측 부분이 연결되고, 상기 높이조절 후레임(10)과 고정 후레임(20)에는 일정한 간격에 화염 조절대(40)가 연결되어 평면에서 볼 때, 핸들(14)의 회전에 따라 화염 조절대(40)가 회전하면서 벌어지는 간격을 조절하므로 화염의 세기가 조절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육류 구이판(100)은 측면부재(30)의 외측으로 설치볼트(38)가 돌출되도록 연결되어 필요한 장소에 고정 및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분리상대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연동 높이조절대에 대한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연동 높이조절대에 대한 작동상태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화염 조절대에 대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화염 조절대에 대한 작동상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화염 조절대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높이조절 후레임(10)의 관통구멍(13)에 핸들(14)의 핸들 스크류(15)가 관통되어 돌출되면 높이조절 암(50)의 상부구멍(51)을 관통하여 너트(16)로 고정되고, 상기 높이조절 암(50)의 하측에 형성한 하부구멍(52)은 높이조절 후레임(10)의 내벽에 설치하는 연동 높이조절대(60)의 암 연결구멍(62)과 나사축(53)이 관통되어 하부너트(34)로 연결되며 높이조절 암(50)과 연동 높이조절대(60)의 사이에는 나사축(53)이 관통하는 베어링(54)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연동 높이조절대(60)에는 일정한 간격에 하측 설치구멍(61)이 형성되어 화염 조절대(40)의 하부돌기(45)가 결합되어 연동 높이조절대(60)가 이동하면서 화염 조절대(40)의 사이 간격이 넓어지거나 좁아지면서 화염의 세기를 조절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 화염 조절대(40)는 "L"형과 "R"형 및 "V"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로방향으로 설치되는 조절대(41)의 양쪽에는 상부돌기(44)가 형성되어 상측 설치구멍(11)과 설치구멍(21)에 각각 조립되어 있고, 하부돌기(45)가 형성된 하측에서 절곡되어 절곡 돌출부(42)가 돌출되는 것이다.
상기 조절대(41)와 절곡 돌출부(42)는 절곡되는 각도가 90°이내로 형성되도록 하며, 조절대(41)의 길이가 절곡 돌출부(42)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화염 조절대(40)는 높이조절 후레임(10)에서 고정 후레임(20)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여 기름이 자연 구배에 따라 배출되도록 하며, 조절대(41)와 절곡 돌출부(42)가 절곡되는 한쪽 선단인 고정 후레임(20) 방향에 기름 배출구(43)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높이조절 후레임에 대한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높이조절 후레임에 대한 작동상태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 후레임(10)과 고정 후레임(20)의 양쪽에 연결되는 측면부재(30)는 측면 연결대(31)가 돌출되어 높이조절 장공(32)이 설치된 후 높이조절 볼트(33)로 높이조절 장공(32)을 관통하여 높이조절 후레임(10)의 높이조절 구멍(12)에 연결되어 높이조절 후레임(10)의 높이를 조절하여 화염 조절대(40)의 경사각도가 조절되도록 설치하는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고정 후레임과 화염 조절대에 대한 설치상태 평면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고정 후레임에 화염 조절대를 연결한 측면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고정 후레임에 대한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고정 후레임(20)은 일정한 간격에 설치구멍(21)이 형성되어 화염 조절대(40)의 상부돌기(44)가 연결되어 있으며, 하측에는 내부방향으로 절곡되어 선단이 돌출되는 기름 받이홈(22)이 형성되어 기름 배출구(43)로 배출되는 기름을 받아 주도록 하고, 한 부분 또는 필요한 위치에 외부 배출구(23)를 형성하여 기름이 한 곳으로 모아져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은, 도 7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염 조절대(40)의 조절대(41)가 최대한 세워지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하측에는 화염이 숯이나 가스 및 다양한 방법으로 공급되는 것이며, 육류 구이판(100)의 상측에는 망 형태가 일자형태 및 불판과 같은 다양한 종류 중 어느 하나인 그릴(70)을 설치하고, 그릴(70) 상측에 육류를 공급하여 구이를 하게되는 것이다.
하측에서 화염이 화염 조절대(40)의 사이에 형성되는 폭과 화염 조절대(40)에 직접 전달한 후 간접 전달되는 열이 육류에 공급되어 구이를 수행하는 것이다.
화염이 그릴(70)에 공급된 육류에 제공되어 익히게 되면서 발생하는 기름은 하측으로 낙하되며, 낙하되는 기름은 조절대(41)와 절곡 돌출부(42)에 닿게 되면 절곡부분으로 이동한 후 높이조절 후레임(10)에서 고정 후레임(20) 방향으로 이동하여 기름 배출구(43)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기름 배출구(43)로 배출된 기름은 고정 후레임(20)의 내부에 있는 기름 받이홈(22)에 모아진 후 외부 배출구(23)를 통하여 한곳으로 배출되어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화염이 공급되어 육류를 구이하는 중에 화염이 너무 강한 경우 숯불과 같이 화염을 조절하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도 8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4)을 회전시키면 핸들 스크류(15)가 연결된 상부구멍(51)에서 높이조절 암(50)을 회전시키게 되므로 높이조절 암(50)의 회전에 따라 하측의 하부구멍(52)에 연결된 암 연결구멍(62)에서 연동 높이조절대(60)를 위치이동시켜 화염 조절대(40)가 되전되도록 함으로써 화염 조절대(40)의 간격을 조절하므로 화염 조절대(40)의 간격이 좁아지면 직접 화염을 차단하여 화염을 줄이는 작용을 하게 되고, 화염 조절대(40)의 간격이 넓어지면 직접 화염의 공급을 늘려 화염에 의한 구이 온도를 높이는 작용을 통하여 화염의 온도를 간편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즉, 도 7과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염 조절대(40)의 조절대(41)가 최대한 세워진 상태에서 절곡 돌출부(42)에서의 폭이 가장 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그 사이로 화염이 직접 그릴(70)에 있는 육류에 공급되어 구워지도록 하고, 화염을 줄이기 위해서는 도 8과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14)을 회전시키면 핸들 스크류(15)가 높이조절 암(50)을 회전 이동시켜 하측의 하부구멍(52)에서 암 연결구멍(62)으로 연결된 연동 높이조절대(60)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므로 상부돌기(44)가 상측 설치구멍(11)과 설치구멍(21)에 양쪽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하측 설치구멍(61)에 연결된 하부돌기(45)가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화염 조절대(40)를 회전 이동시켜 벌어져 있는 폭을 좁혀 최대한 회전된 경우에는 절곡 돌출부(42)와 조절대(41)가 만나면서 폭이 거의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화염을 차단하며 화염 조절대(40)의 회전 이동을 통한 화력을 조절해 가면서 구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동 높이조절대(60)의 암 연결구멍(62)과 나사축(53)이 관통되어 하부너트(34)로 연결되며 높이조절 암(50)과 연동 높이조절대(60)의 사이에는 나사축(53)이 관통하는 베어링(54)이 설치되어 있어서 높이조절 암(50)의 회전 이동에 따라서 연동 높이조절대(60)가 부드럽게 이동하면서 화염 조절대(4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 후레임(10)은 측면 연결대(31)의 높이조절 장공(32)에서 높이조절 볼트(33)를 통하여 높이가 조절되어 설치되므로 평상시에도 화염 조절대(40)가 높이조절 후레임(10)에서 고정 후레임(2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기름이 경사에 의해 자연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높이조절 볼트(33)를 풀어 높이조절 장공(32)에서 높이조절 후레임(10)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화염 조절대(4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므로 화염 조절대(40)의 경사각도에 따른 기름의 배출과 육류 구이판(100)의 설치 위치에 따라 경사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화염 조절대(40)는 "L"형과 "R"형 및 "V"형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설치하며, 조절대(41)와 절곡 돌출부(42)의 각도가 90°이내가 되도록 함으로써 배출되는 기름이 절곡부분을 통하여 이동한 후 기름 배출구(43)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며, 절곡 돌출부(42)의 길이보다 조절대(41)의 길이가 더 길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면의 측면 부재(30)에 설치한 설치볼트(38)는 육류 구이판(100)을 설치하는 위치에 따라서 고정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높이조절 후레임(10)은 높이조절 볼트(33)를 분리한 후 측면부재(30)에서 간편하게 분리되므로 높이조절 후레임(10)이 분리되면 연동 높이조절대(60)가 같이 분리되면서 화염 조절대(40)가 분리되어 세척할 때 분리 및 조립이 간편하여 신속하고 깨끗하게 청소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화염 조절대가 한쪽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에서 화염을 제공하여 그릴에 있는 육류를 구이할 수 있으며, 연동 높이조절대의 위치 이동에 따라 화염 조절대를 회전시켜 화염이 공급되는 폭을 조절함으로써 화염의 세기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화염 조절대로 배출된 기름은 절곡부분에서 기름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된 후 고정 후레임의 기름 받이홈에 모여 외부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을 제공하는 것이다.
10 : 높이조절 후레임 11 : 상측 설치구멍
12 : 높이조절 구멍 13 : 관통구멍
14 : 핸들 15 : 핸들 스크류
20 : 고정 후레임 21 : 설치구멍
22 : 기름 받이홈 23 : 외부 배출구
30 : 측면부재 31 : 측면 연결대
32 : 높이조절 장공 33 : 높이조절 볼트
38 : 설치볼트 40 : 화염 조절대
41 : 조절대 42 : 절곡 돌출부
43 : 기름 배출구 44 : 상부돌기
45 : 하부돌기 50 : 높이조절 암
51 : 상부구멍 52 : 하부구멍
53 : 나사축 54 : 베어링
60 : 연동 높이조절대 61 : 하측 설치구멍
62 : 암 연결구멍 70 : 그릴
100 : 육류 구이판

Claims (8)

  1. 그릴(70)에 육류를 공급하며 하측에서 화력이 공급되어 육류를 구이하는 육류 구이판에 있어서,
    핸들(14)이 설치되며 일정한 간격에 상측 설치구멍(11)이 형성되어 상부돌기(44)가 결합하는 높이조절 후레임(10)과;
    상기 높이조절 후레임(10)에 연결되는 상부돌기(44)가 형성되는 조절대(41)의 하측이 절곡되어 절곡 돌출부(42)가 돌출되는 화염 조절대(40)와;
    상기 상부돌기(44)가 결합하는 설치구멍(21)이 일정한 간격에 형성되는 고정 후레임(20)과;
    상기 높이조절 후레임(10)과 고정 후레임(20)이 연결되는 측면 연결대(31)가 돌출되는 측면부재(30)와;
    상기 핸들(14)의 핸들 스크류(15)가 연결되는 상부구멍(51)과 하측에 하부구멍(52)이 형성되는 높이조절 암(50)과;
    상기 높이조절 암(50)과 연결되며 화염 조절대(40)의 하부돌기(45)가 연결되는 하측 설치구멍(61)을 형성하는 연동 높이조절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 후레임(10)은 핸들 스크류(15)가 관통하는 관통구멍(13)이 형성되고 일정한 간격에 상부돌기(44)가 결합하는 상측 설치구멍(11)이 형성되고 높이조절 볼트(33)가 결합되어 측면 연결대(31)와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 구멍(12)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후레임(20)은 측면 연결대(31)와 연결되고 일정한 간격에 상부돌기(44)가 결합하는 설치구멍(21)이 형성되며 하측에서 내부로 기름 받이홈(22)이 형성되며, 상기 기름 받이홈(22)에 기름이 배출되는 외부 배출구(23)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재(30)는 양쪽으로 측면 연결대(31)가 돌출되어 높이조절 후레임(10)과 고정 후레임(20)이 연결되며, 상기 측면 연결대(31)의 한쪽으로 높이조절 장공(32)을 설치하여 높이조절 볼트(33)로 높이조절 후레임(1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조절대(40)는 양쪽으로 상부돌기(44)가 형성된 조절대(41)의 하측에서 절곡된 부분의 한쪽으로 하부돌기(45)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대(41)의 절곡된 부분에서 절곡 돌출부(42)가 돌출되고, 상기 절곡부분의 한쪽 선단에 기름 배출구(43)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높이조절대(60)는 암 연결구멍(62)과 높이조절 암(50)의 하부구멍(52)에 나사축(53)이 관통되어 하부너트(34)로 연결되고, 일정한 간격에 하측 설치구멍(61)이 형성되어 하부돌기(45)가 결합되며, 높이조절 후레임(10)의 내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조절대(40)는 "L"형과 "R"형 및 "V"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하며, 조절대(41)와 절곡 돌출부(42)는 절곡되는 각도가 90°이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조절대(40)는 조절대(41)의 길이가 절곡 돌출부(42)의 길이보다 더 짧게 형성되고 높이조절 후레임(10)에서 고정 후레임(20) 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KR1020170115239A 2017-09-08 2017-09-08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KR1018394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239A KR101839431B1 (ko) 2017-09-08 2017-09-08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5239A KR101839431B1 (ko) 2017-09-08 2017-09-08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9431B1 true KR101839431B1 (ko) 2018-03-16

Family

ID=61910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5239A KR101839431B1 (ko) 2017-09-08 2017-09-08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4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939B1 (ko) * 2019-10-10 2020-09-11 지형선 다목적 롤 타입 불판
KR20210036536A (ko) * 2019-09-26 2021-04-05 추원경 구이 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0521A (ja) 2008-04-14 2008-09-04 Paloma Ind Ltd グリル付コンロ
KR101030143B1 (ko) 2010-11-02 2011-04-18 이덕배 숯불구이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0521A (ja) 2008-04-14 2008-09-04 Paloma Ind Ltd グリル付コンロ
KR101030143B1 (ko) 2010-11-02 2011-04-18 이덕배 숯불구이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36536A (ko) * 2019-09-26 2021-04-05 추원경 구이 팬
KR102644351B1 (ko) * 2019-09-26 2024-03-14 추원경 구이 팬
KR102153939B1 (ko) * 2019-10-10 2020-09-11 지형선 다목적 롤 타입 불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14868B1 (en) Direct and indirect outdoor cooker
CN110753507A (zh) 直接和间接加热颗粒烧烤系统
US20140053739A1 (en) Rotating grill platform with blade tilting mechanism utilizing heat energy generated by the grill source of heat
KR101839431B1 (ko) 화염 조절형 기름 배출이 용이한 육류 구이판
KR101738814B1 (ko) 하향식 숯불구이기구
KR200482646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화덕장치
KR101114230B1 (ko) 화력조절용 이중구이판
KR101806772B1 (ko) 화로구이 장치
KR101875339B1 (ko) 직화불꽃을 이용한 불판
KR200484407Y1 (ko) 석쇠 승강식 바비큐 그릴
KR101763695B1 (ko) 바베큐 구이기 장치
KR20100059773A (ko) 구이용 화력조절장치
KR101816526B1 (ko) 직화구이방식을 가지는 구이판
KR200472637Y1 (ko) 높이조절기능을 갖는 불판
KR20160112425A (ko) 인도어 및 아웃도어 겸용 스테이크 팬
KR101479422B1 (ko) 숯불구이기
KR101557810B1 (ko) 육류 구이기
CA3156355A1 (en) Heat and flame control
EP2769654B1 (en) Gas grill and method thereof
KR100927370B1 (ko) 다용도 자동 승하강 구이장치
KR20210060775A (ko) 난로형 구이기
KR101648950B1 (ko) 캠핑용 회전식 구이장치
JP3164498U (ja) 料理用ストーブ
KR101635004B1 (ko) 캠핑용 구이장치
KR102595700B1 (ko) 직화량 조절구조를 갖는 이중불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