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6185B1 - 차량용 먼지털이개 - Google Patents

차량용 먼지털이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6185B1
KR101056185B1 KR1020090007740A KR20090007740A KR101056185B1 KR 101056185 B1 KR101056185 B1 KR 101056185B1 KR 1020090007740 A KR1020090007740 A KR 1020090007740A KR 20090007740 A KR20090007740 A KR 20090007740A KR 101056185 B1 KR101056185 B1 KR 101056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op body
mop
groov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9458A (ko
Inventor
김상섭
Original Assignee
김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섭 filed Critical 김상섭
Publication of KR20100009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9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6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6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5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 B60S3/048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with rotary or vibratory bodies contacting th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38Other dusting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먼지털이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걸레본체와 손잡이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먼지털이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먼지털이개는, 간단한 버튼부의 조작으로 걸레본체 를 손잡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넓은 면적에 걸쳐 깨끗한 세차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90007740
먼지털이개, 회전, 버튼

Description

차량용 먼지털이개{Dust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먼지털이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걸레본체와 손 잡이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먼지털이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이르러 대기오염이 점차 심화되면서 미치는 영향은 차량에까지 이르고 있다. 특히 우천시에는 오염물질과 함께 흙이 차체에 묻게 되는데, 오염의 정도가 심한 경우에는 세차장을 이용하고 있지만, 일상생활에서 매번 세차장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간단하게 차량의 외측 판넬과 유리창을 닦거나 먼지를 털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쉽게 차량의 외관을 닦거나 먼지를 털 수 있는 차량용 먼지털이개가 실용화되어 사용되고 있다.
대개의 경우, 지금까지 제안된 차량용 먼지털이개는 손잡이와, 단순히 면사를 묶어 설치한 걸레와, 걸레가 장착된 걸레본체로 구성된다. 걸레본체에는 걸레가 장착되며, 손잡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차량용 먼지털이개는 간편하게 차량의 외측 판넬과 유리창을 닦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는 종래의 차량용 먼지털이개는 걸레본체가 손잡이와 고정결합 되어 있어 그 사용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즉, 차량의 외관을 닦을 경우는 걸레본체를 수평과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걸레본체가 손잡이와 고정결합되어 있어 수평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사용할 때와 수직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사용할 때 걸레가 차체와 접촉되 는 면적에 차이가 있어 깨끗한 세차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사용자가 몸이나 팔 및 손목 등의 위치를 움직여 걸레본체를 손잡이로부터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조절하면서 사용해야하므로, 그 사용에 있어서도 많은 불편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간단한 버튼부의 조작으로 걸레본체를 손잡이에 대해 회전시켜 사용의 편의성을 증가시킨 차량용 먼지털이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걸레본체와, 상기 걸레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를 갖는 차량용 먼지털이개에 있어서,
상기 걸레본체와 상기 손잡이의 결합각도를 고정 및 해제하는 구속부와;
상기 걸레본체와 손잡이의 결합각도 고정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걸레본체를 상기 손잡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회전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걸레본체 일면에 마련된 구속홈과,
상기 구속홈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구속돌기와,
상기 구속홈과 대응되게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속돌기가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부는,
상기 걸림홈에 마련되며, 상기 구속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걸림 해제시키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걸레본체와 상기 손잡이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걸레본체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개재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걸레본체와 손잡이의 결합각도 고정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걸레본체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와 직각을 이루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홈과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수직방향에 2개가 마련되며;
상기 구속돌기는 스프링이 결합되어 상기 구속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걸레본체와, 상기 걸레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를 갖는 차량용 먼지털이개에 있어서,
상기 걸레본체 상부에 형성되며,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소정간격 이격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내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고정부;
상기 손잡이 일측에 상기 고정부와 동일한 축을 가지고, 내주면 하부에 상기 결합홈에 대응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회전부;
상기 회전부와 상기 고정부를 관통하여, 상하이동 가능한 구조로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며, 일단에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걸림고정되도록 구성되는 버튼부; 및
상기 버튼부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의 하강시 상기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가 결합해제되어 상기 손잡이 또는 상기 걸레본체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먼지털이개는, 간단한 버튼부의 조작으로 걸레본체 를 손잡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하여 사용자가 힘을 들이지 않고, 넓은 면적에 걸쳐 깨끗한 세차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털이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먼지털이개의 주요부분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털이개는 걸레(100) 와, 걸레(100)가 장착되는 걸레본체(200)와, 걸레본체(200)가 결합되는 손잡이(300)와, 걸레본체(200)와 손잡이(300)의 결합각도를 고정 및 해제하는 구속부(400)와; 구속부(400)가 결합각도를 해제하면, 걸레본체(200)를 손잡이(300)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회전시키는 결합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걸레(100)는 면사가 묶여져 형성되어, 걸레본체(200)에 장착된다.
걸레본체(200)는 한 변이 길고, 나머지 변은 짧은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걸레본체(200)의 하부면에는 걸레(100)가 장착되고, 상부면에 손잡이(300)가 결합된다.
걸레본체(200)는 손잡이(30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결합된다. 평상시, 손잡이(300)가 걸레본체(200)에 결합된 모습은 ㅡ자 형상이다.
구속부(400)는 걸레본체(200)와 손잡이(300)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속부(400)는 걸레본체(200)와 손잡이(300)의 결합각도를 고정 및 해제한다.
구속부(400)는 걸레본체(200) 상부면에 마련된 구속홈(410)과, 구속홈(410)에 삽입되는 구속돌기(420)와, 구속홈(410)과 대응되게 손잡이(300)에 마련되어 구속돌기(420)가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걸림홈(440)과, 걸림홈(440)에 마련된 버튼부(450)를 갖는다.
구속홈(410)과, 구속돌기(420)는 걸레본체(200) 상부면에 회전축(510)을 중심으로 서로 수직방향에 2개가 마련된다. 2개의 구속홈(410)은 회전축(510)을 중심으로 하여 걸레본체(200)의 길이방향과 폭방향에 각각 마련된다. 구속돌기(420)는 끝단에 스프링(430)이 장착되어 구속홈(410)에 삽입 돌출된다. 구속돌기(420)는 스 프링(430)이 아닌 합성고무 등의 탄성부재가 결합될 수도 있으며, 구속돌기(420) 자체의 재질이 탄성부재로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속홈(410)과 구속돌기(420)는 2개가 마련되지만 구속홈(410)과 구속돌기(420)를 더 구비하여 회전각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걸림홈(440)은 구속홈(410)과 대응되게 손잡이(300)에 1개가 마련된다. 걸림홈(440)은 걸레본체(200)의 이동방향에 따라 2개의 구속홈(410)에 각각 대응된다. 구속돌기(420)는 구속홈(410)으로부터 돌출되어 걸림홈(440)에 삽입된다. 구속돌기(420)는 걸레본체(200)와 손잡이(300) 모두에 일부가 걸쳐진 상태로 걸레본체(200)를 손잡이(300)에 대해 고정한다.
걸림홈(440)에는 하부면에는 구속돌기(420)가 일부 삽입되어 있고, 상부면에는 버튼부(450)가 외부로 돌출되어 있다.
버튼부(450)는 걸림홈(440)에 삽입된 구속돌기(420)와 접촉하고 있다. 버튼부(450)는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의해 구속돌기(420)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구속돌기(420)를 걸림홈(440)으로부터 걸림 해제시킨다.
결합부(500)는 손잡이(300)를 걸레본체(200)에 결합한다. 결합부(500)는 걸레본체(200)와 손잡이(300)를 관통하여 형성된 회전축(510)을 가진다. 회전축(510)은 손잡이(300)와 걸레본체(200)에 관통공(511, 512)을 형성하고, 이들 관통공(511, 512) 사이에 스프링(515)을 개재하여 고정나사로 고정 결합하여 마련된다.
스프링(515)은 양쪽 끝단이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형상으로 마련된다. 손잡이(300)와 걸레본체(200)에는 스프링(515)의 끝단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홈이 마 련된다. 평상시, 걸레본체(200)가 손잡이(30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위치할 때는, 스프링(515)의 끝단이 서로 평행상태가 되도록 하여 강제적으로 결합하고, 걸레본체(200)의 길이방향에 위치한 구속돌기(420)에 의해 고정된다.
버튼부(450)가 눌러져 구속돌기(420)가 걸림홈(440)으로부터 걸림해제되고, 손잡이(300)와 걸레본체(200)의 결합각도 고정이 해제되면, 걸레본체(200)는 스프링(515)의 복원력에 의해 손잡이(300)에 대해 직각으로 회전한다.
이때, 스프링(515)은 본래의 형상인 끝단이 서로 수직인 상태로 돌아간다. 걸레본체(200)는 손잡이(30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차량용 먼지털이개는 T자 형상이 된다. 걸레본체(200)의 폭방향에 위치한 구속돌기(420)는 걸림홈(440)에 삽입되어 걸레본체(200)를 다시 손잡이(300)에 고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먼지털이개가 작동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차량용 먼지털이개의 버튼부(450)가 눌러졌을 때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차량용 먼지털이개는 걸레본체(200)가 손잡이(30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형상으로 보관된다. 걸레(100)의 넓은 면으로 차량을 닦을 필요가 있을 때는, 손잡이(300)에 마련된 버튼부(450)를 누른다.
이 때, 버튼부(450)는 구속돌기(420)를 가압하여 걸림홈(440)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손잡이(300)와 걸레본체(200)의 결합각도 고정이 해제되면, 회전축(510)의 스프링(515)의 복원력에 의해 걸레본체(200)는 손잡이(30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회전된다. 사용 후에는 다시 버튼부(450)를 눌러 손잡이(300)와 걸레본체(200)의 결합각도 고정을 해제시키고, 손으로 걸레본체(200)를 손잡이(30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 보관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먼지털이개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먼지털이개의 조립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먼지털이개는 걸레본체(200), 걸레본체(200)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300), 상기 걸레본체(200)와 손잡이(200)의 결합 및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된 고정부(600), 회전부(700), 버튼부(800), 스프링(900)으로 구성된다.
걸레본체(200)에는 면사가 묶여져 형성된 걸레(100)가 장착되며, 상부에 고정부(600)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600)는 돌출된 원통형으로 외주면 원주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결합홈(610)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60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내주면의 원주방향으로 걸림턱(620)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300)의 일단에는 고정부(600)와 결합되는 원통형의 회전부(700)가 형성되어 있으며, 회전부(700) 내주면 하부에는 결합홈(610)에 대응되는 결합돌기(710)가 형성된다. 고정부(600)와 회전부(700)의 결합은 고정부(600)가 회전부(700)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결합되며,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부(60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고정부(600)와 회전부(700)는 동일한 축을 가지며, 고정부(600)와 회전부(700)의 결합이 해제된 상태, 즉, 결합돌기(710)가 결합홈(610)에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손잡이(300) 또는 걸레본체(200)가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동일한 축을 가지며, 결합홈(610)이 형성된 고정부(600)와 결합돌기(710)가 형성된 회전부(700)에 의해 걸레본체(200)와 손잡이(300)를 원하는 위치로 회전시키고 고정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버튼부(800)는 회전부(700)와 고정부(600)를 관통하며, 버튼부(800)의 일단은 고정부(600) 내부에 위치하고, 걸림턱(620)에 걸림고정되는 걸림돌기(810)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부(800)의 타단은 사용자에 의해 누름동작이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또한, 버튼부(800)는 외부로 노출되는 타단의 지름과 일단의 지름 차에 의해 형성된 단턱(820)에 스프링(900)의 일단이 지지되어 상방향으로 탄성지지된다.
스프링(900)의 타단은 회전부(700)의 결합돌기(710) 상부에 지지되며, 버튼부(800)가 누름작동 될 때 스프링(900)은 압축되어 버튼부(800)의 걸림돌기(810)가 걸림턱(620)에서 걸림해제된다. 사용자가 누름작동을 해제할 경우 압축되었던 스프링(900)은 탄성에 의해 복원되어 버튼부(800)를 상방향으로 탄성지지하고, 걸림돌기(810)는 걸림턱(620)에 걸림고정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먼지털이개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걸레본체(200)와 손잡이(300)가 길이방향의 수평방향으로 결합되어 보관이 용이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걸레(100)의 넓은 면으로 차량을 닦고자 할 경우에는 버튼부(800)를 누른다. 버튼부(800)의 누름동작에 의해 스프링(900)이 압축되면서 걸림 돌기(810)가 걸림턱(620)에서 걸림해제된다. 걸림돌기(810)가 걸림턱(620)에서 걸림해제되면서 결합돌기(710)가 결합홈(610)에서 이탈되어 고정부(600)와 회전부(700)의 결합이 해제된다.
고정부(600)와 회전부(700)의 결합해제로 걸레본체(200)의 회전이 가능하여, 걸레본체(20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걸레본체(200)를 회전 시킨 뒤 버튼부(800)를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스프링(900)의 탄성에 의해 버튼부(800)가 상방향으로 상승하면서 고정부(600)와 회전부(700)가 결합되어 걸레본체(200)는 회전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이때, 결합돌기(710)가 결합홈(620)에 정확히 삽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버튼부(800)를 누르고 있던 힘을 제거하여도 스프링(900)은 압축되어 있는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걸레본체(200)를 좌ㅇ우로 회전시켜 결합돌기(710)가 결합홈(610)에 삽입되도록 한다. 결합돌기(710)가 결합홈(610)에 삽입되는 순간 스프링(900)이 복원되면서, 고정부(600)와 회전부(700)가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결합돌기(710)와 결합홈(610)은 4개로 구성되어 있지만, 결합돌기(710)와 결합홈(610)의 개수를 더 증가시켜 회전각도를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버튼부(450, 800)의 간단한 조작으로 걸레본체(200)를 수평방향, 수직방향 등 다양한 각도의 방향으로 모두 사용이 가능하여 넓은 면적에 걸쳐 깨끗한 세차를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별도로 몸이나 팔 및 손목 등의 위치를 움직여서 차량용 먼 지털이개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 사용의 편의성이 증가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털이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털이개의 주요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털이개의 버튼부가 눌러졌을 때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털이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털이개의 조립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먼지털이개의 버튼부가 눌러졌을 때의 동작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걸레 200: 걸레본체
300: 손잡이 400: 구속부
410: 구속홈 420: 구속돌기
430, 515, 900: 스프링 440: 걸림홈
450, 800: 버튼부 500: 결합부
510: 회전축 600: 고정부
610: 결합홈 620: 걸림턱
700: 회전부 710: 결합돌기
810: 걸림돌기 820: 단턱

Claims (6)

  1. 걸레본체와, 상기 걸레본체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손잡이를 갖는 차량용 먼지털이개에 있어서,
    상기 걸레본체와 상기 손잡이의 결합각도를 고정 및 해제하는 구속부; 및
    상기 걸레본체와 상기 손잡이를 관통하는 회전축과, 상기 걸레본체와 상기 손잡이 사이에 개재되며 일측은 상기 손잡이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걸레본체에 고정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걸레본체와 손잡이의 결합각도 고정이 해제되었을 때, 상기 걸레본체는 상기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와 직각을 이루도록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털이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걸레본체 일면에 마련된 구속홈과,
    상기 구속홈에 삽입되어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구속돌기와,
    상기 구속홈과 대응되게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어 상기 구속돌기가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털이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걸림홈에 마련되며, 상기 구속돌기를 가압하여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걸 림 해제시키는 버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털이개.
  4. 삭제
  5. 제 1 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홈과 상기 구속돌기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서로 수직방향에 2개가 마련되며;
    상기 구속돌기는 스프링이 결합되어 상기 구속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먼지털이개.
  6. 삭제
KR1020090007740A 2008-07-17 2009-01-30 차량용 먼지털이개 KR101056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9766 2008-07-17
KR20080069766 2008-07-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58A KR20100009458A (ko) 2010-01-27
KR101056185B1 true KR101056185B1 (ko) 2011-08-11

Family

ID=41817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740A KR101056185B1 (ko) 2008-07-17 2009-01-30 차량용 먼지털이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61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0237A2 (en) * 1999-05-07 2000-11-08 General Housewares Corp. Combined scraper with brush
US6481041B1 (en) * 2000-09-11 2002-11-19 Hopkins Manufacturing Corporation Tool having a scraper and a pivotally-mounted brush for cleaning and sweeping
KR200415345Y1 (ko) * 2006-02-20 2006-05-02 박종승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50237A2 (en) * 1999-05-07 2000-11-08 General Housewares Corp. Combined scraper with brush
US6481041B1 (en) * 2000-09-11 2002-11-19 Hopkins Manufacturing Corporation Tool having a scraper and a pivotally-mounted brush for cleaning and sweeping
KR200415345Y1 (ko) * 2006-02-20 2006-05-02 박종승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9458A (ko) 2010-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03660B2 (ja) 真空掃除機の延長管ロック装置
JP2013505879A (ja) 自動車ワイパー用マルチアダプタ
US8321990B2 (en) Detachable multifunctional cleaner
KR100485718B1 (ko)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록킹장치
JP5552372B2 (ja) 払拭体挿入部回動式掃除具
KR101056185B1 (ko) 차량용 먼지털이개
CN213787226U (zh) 一种夹布式拖擦装置
CN111789531B (zh) 吸头以及包括其的吸尘器
CN112932371A (zh) 一种快速挤水棉头拖把
CN212415649U (zh) 一种拖擦装置
JP3801288B2 (ja) 清掃具
JP3817043B2 (ja) モップ保持具
KR200415345Y1 (ko)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CN212165735U (zh) 清洁工具
JP7347573B2 (ja) 室内機
JP4418821B2 (ja) 窓用清掃具
KR101339164B1 (ko)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CN219645660U (zh) 一种自脱落平板拖把
KR100512065B1 (ko) 자동차용 닦개
KR200336537Y1 (ko) 청소 걸레
KR100472025B1 (ko) 차량용 먼지 털이개
JP2002065545A (ja) モップ
KR200184462Y1 (ko) 청소기
KR200218139Y1 (ko) 옷솔
JP2010522052A (ja) モップヘ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