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5345Y1 -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5345Y1
KR200415345Y1 KR2020060004562U KR20060004562U KR200415345Y1 KR 200415345 Y1 KR200415345 Y1 KR 200415345Y1 KR 2020060004562 U KR2020060004562 U KR 2020060004562U KR 20060004562 U KR20060004562 U KR 20060004562U KR 200415345 Y1 KR200415345 Y1 KR 2004153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mop
cover
protrusion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4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승
김영민
Original Assignee
박종승
김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승, 김영민 filed Critical 박종승
Priority to KR2020060004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53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53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53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3/00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 B60S3/04Vehicle cleaning apparatus not integral with vehicles for exteriors of land vehicles
    • B60S3/045Other hand-held cleaning arrangements, e.g. with sponges, brushes, scrap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30Brushes for cleaning or polishing
    • A46B2200/3046Brushes for cleaning cars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5/00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 A46B5/002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 A46B5/0033Brush bodies; Handles integral with brushware having articulations, joints or flexible portions bending or stretching or collap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먼지털이개에 관한 것으로서,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걸레와, 걸레와 결합되어 걸레의 사용을 용이케 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먼지털이개에 있어서, 상기 걸레와 결합 고정되고 손잡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손잡이에 출입가능하게 내장되고 손잡이로부터 인출되어 덮개에 걸림됨으로써 회전되는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걸레와 결합된 손잡이를 먼지털이개의 사용유무에 따라 회전시켜 걸레의 반대방향 또는 걸레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되게 함으로써 먼지털이개를 편리하게 사용 및 보관할 수 있다.
먼지털이개, 걸레, 손잡이, 사용, 보관, 회전, 스토퍼

Description

자동차용 먼지털이개{A motorcar use of a dust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손잡이 회전수단을 도시한 단면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의 보관상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먼지털이개 200 : 손잡이
210 : 지지리브 300 : 스토퍼
310 : 레버부 320 : 걸림돌부
330 : 안내돌부 340 : 스프링
400 : 덮개 410 : 돌출부
420 : 와셔부재 430,440 : 걸림공
500 : 걸레 510 : 결합부재
본 고안은 자동차용 먼지털이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걸레와 결합된 손잡이를 사용유무에 따라 회전되게 함으로써 먼지털이개를 편리하게 사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먼지털이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먼지털이개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걸레와, 먼지털이개의 조작을 용이토록 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손잡이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먼지털이개는 걸레와 결합된 손잡이가 먼지털이개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걸레의 반대편 방향으로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돌출된 고정 타입으로서, 이는 먼지털이개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은 있으나, 걸레 반대편 방향으로 돌출된 손잡이에 의해 먼지털이개의 길이가 전반적으로 길게 형성되므로 인해 먼지털이개의 보관시 긴 길이의 먼지털이개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적인 제한이 따르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치 못한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걸레와 결합된 손잡이를 먼지털이개의 사용유무에 따라 걸레의 반대방향 또는 걸레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게 회전되게 함으로써 먼지털이개를 편리하게 사용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먼지털이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용 먼지털이개를 그 일례로 들어 설명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걸레와 손잡이가 구성된 청소용구에는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먼지털이개는,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걸레와, 걸레와 결합되어 걸레의 사용을 용이케 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먼지털이개에 있어서, 상기 걸레와 결합 고정되고 손잡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손잡이에 출입가능하게 내장되고 손잡이로부터 인출되어 덮개에 걸림됨으로써 회전되는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토퍼는 손잡이를 관통한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에 돌출 형성되고 손잡이와 덮개를 관통하는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돌부 반대편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스토퍼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부 반대편의 스토퍼에는 스프링이 삽입되어 개재되는 안내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이동되는 안내돌부를 안내함과 아울러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덮개에는 손잡이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결합된 손잡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부재가 결합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먼지털이개(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걸레(500)와, 상기 걸레(500)와 결합되어 걸레(500)의 사용을 용이케 하는 손잡이(200)로 대별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레(500)와 손잡이(200) 사이에는 이의 결합을 돕는 매개체인 덮개(400)가 구성된다.
상기 덮개(400)는 걸레(500)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부재(510)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그 상면 일측에는 손잡이(20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손잡이(200)가 결합되는 덮개(400)의 상면에는 손잡이(20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돌출부(410)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410)의 상면에는 결합된 손잡이(2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와셔부재(420)가 볼팅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410) 양측의 덮개(400)에는 후술하는 스토퍼(300)의 걸림돌부(320)가 걸림되는 걸림공(430)(440)이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걸림공(430)(440)은 180도로 이격되어 서로 반대편에 위치한 복수개로 도시하였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다양한 각도(예를 들면, 90도 등)의 등간격으로 이격된 다수개로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200) 내부에는 손잡이(200)를 관통하여 덮개(400)의 걸림공(430)(440)에 걸림됨으로써 손잡이(200)를 덮개(400)상에 고정시키는 스토퍼(300)가 출입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스토퍼(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0)의 하부측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레버부(310)와, 상기 레버부(310)의 일단에 수직하게 하향 돌출되고 손잡이(200)를 관통하여 덮개(400)의 걸림공(430)(440)에 걸림되는 걸림돌부(320)와, 상기 걸림돌부(320) 반대편의 레버부(310)와 손잡이(200) 사이에는 상하로 승강되는 스토퍼(300)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340)은 압축 코일스프링으로서, 상기 걸림돌부(320) 반대편의 레버부(310)에 수직하게 상향 돌출된 안내돌부(330)에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안내돌부(330)에 대응한 손잡이(200)에는 상하로 승강되는 안내돌부(330)를 안내함과 아울러 스프링(340)의 상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리브(210)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지지리브(210)에는 안내돌부(330)에 대응한 원형의 구멍이 형성되고, 구멍의 외주연에는 스프링(340)의 상단부가 접하여 지지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부(320)에 대응한 손잡이(200)에도 승강되는 걸림돌부(320)를 안내함과 아울러 레버부(310)의 하면이 접함으로써 이동이 정지되는 또 다른 지지리브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300)의 레버부(310)가 관통된 손잡이(200)에는 승강되 는 레버부(310)와 간섭되지 않도록 레버부(310)의 행정보다 크거나 동일한 길이로 구멍을 천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먼지털이개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먼지털이개(1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0)가 걸레(500)의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먼지털이개(100)를 사용한다.
이때, 덮개(400)의 일단부측에 인접한 걸림공(430)에 스토퍼(300)의 걸림돌부(320)가 삽입되어 걸림된 상태로서, 손잡이(200)는 덮개(400)상에 회전불가하게 고정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태로 먼지털이개(100)를 사용한 후, 사용이 끝나면 먼지털이개(100)를 소정의 공간에 비치하여 보관한다.
이때, 먼지털이개(100)의 보관시는 손잡이(200) 하부로 돌출된 레버부(310)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린다.
그러면, 레버부(310)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는 외력에 의해 레버부(310)에 일체로 형성된 안내돌부(330)와 걸림돌부(320)가 상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안내돌부(330)는 손잡이(200)의 지지리브(210)를 관통하면서 상승되고, 이에 삽입된 압축 코일스프링(340)은 지지리브(210)와 레버부(310) 사이에서 압축되며, 걸림돌부(320)는 덮개(400)의 걸림공(430)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와 이탈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스토퍼(300)의 걸림돌부(320)가 덮개(400)의 걸림공(430) 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손잡이(200)는 덮개(400)상에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200)를 사용시와는 반대방향으로 180도 회전시키고, 회전시킨 상태에서 레버부(310)를 놓거나 또는 미리 놓은 레버부(310)가 덮개(400)의 중심부에 인접한 또 다른 걸림공(440)에 위치되는 순간, 스프링(340)의 탄발력에 의해 상승되어 있던 스토퍼(300)가 하강하면서 덮개(400)의 걸림공(440)에 걸림돌부(320)가 삽입되어 걸림된다.
이와 같이 걸림된 손잡이(200)는 덮개(400)상에 회전불가하게 결합된 상태로서, 걸레(500)와 동일한 방향으로 위치된 손잡이(200)에 의해 먼지털이개(100)의 길이 및 부피가 대폭 축소되어 작은 공간에서도 먼지털이개(100)를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먼지털이개(100)의 재사용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부(310)를 통해 스토퍼(300)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전술한 반대방향으로 손잡이(200)를 회전시키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먼지털이개(100)는 그 사용유무에 따라서 손잡이(200)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용 및 보관이 편리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먼지털이개에 의하면, 걸레와 결합된 손잡이를 먼지털이개의 사용유무에 따라 회전시켜 걸레의 반대방향 또는 걸레와 동 일한 방향으로 위치되게 함으로써 먼지털이개를 편리하게 사용 및 보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이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걸레와, 걸레와 결합되어 걸레의 사용을 용이케 하는 손잡이로 이루어진 먼지털이개에 있어서,
    상기 걸레와 결합 고정되고 손잡이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덮개와;
    상기 손잡이에 출입가능하게 내장되고 손잡이로부터 인출되어 덮개에 걸림됨으로써 회전되는 손잡이를 고정시키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손잡이를 관통한 레버부와;
    상기 레버부에 돌출 형성되고 손잡이와 덮개를 관통하는 걸림돌부와;
    상기 걸림돌부 반대편에 설치되어 이동되는 스토퍼를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부 반대편의 스토퍼에는 스프링이 삽입되어 개재되는 안내돌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에는 이동되는 안내돌부를 안내함과 아울러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리브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손잡이가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돌출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결합된 손잡이의 이탈을 방지하는 와셔부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KR2020060004562U 2006-02-20 2006-02-20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KR2004153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562U KR200415345Y1 (ko) 2006-02-20 2006-02-20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4562U KR200415345Y1 (ko) 2006-02-20 2006-02-20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5345Y1 true KR200415345Y1 (ko) 2006-05-02

Family

ID=41764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4562U KR200415345Y1 (ko) 2006-02-20 2006-02-20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53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537B1 (ko) 2008-06-03 2011-02-17 이필희 착탈식 다기능 클리너
KR101056185B1 (ko) * 2008-07-17 2011-08-11 김상섭 차량용 먼지털이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537B1 (ko) 2008-06-03 2011-02-17 이필희 착탈식 다기능 클리너
KR101056185B1 (ko) * 2008-07-17 2011-08-11 김상섭 차량용 먼지털이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3363B1 (en) Foldable razor assembly
CN104395528B (zh) 格栅板的固定装置及用于设置其的固定结构
JP2007537378A5 (ko)
US9144194B2 (en) Rotary cutter for brush cutter
US8321990B2 (en) Detachable multifunctional cleaner
KR200415345Y1 (ko) 자동차용 먼지털이개
CN105433863A (zh) 地刷和吸尘器
JP6087734B2 (ja) 施錠装置および蓋体装置
US7219943B2 (en) Remote control unit storage device
CN105455734A (zh) 地刷和吸尘器
KR20120033493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2013173437A (ja) ワイパレバーアッセンブリ及びワイパブレード
JP2006306286A (ja) ウォッシャノズル付きワイパ
KR20120020098A (ko) 차량의 하물(荷物) 유지 장치
KR20160076105A (ko) 와이퍼 블레이드와 와이퍼 암을 연결하는 커넥터
US20150223667A1 (en) Adhesive tape cleaner
KR200441792Y1 (ko) 주유구 캡
JP4049796B2 (ja) フロアハッチ用取手
EP2051877B1 (en) A holder for a vessel having a base and a stem
JP3187227U (ja) 電線保持具
KR101113980B1 (ko) 서류 고정용 클립
KR101056185B1 (ko) 차량용 먼지털이개
KR200458294Y1 (ko) 자루걸레의 텔레스코픽 로드의 회전 잠금 메커니즘
CN215656965U (zh) 折叠手柄及清洗机
KR102265701B1 (ko) 트림에 구비된 후크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