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3980B1 - 서류 고정용 클립 - Google Patents

서류 고정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980B1
KR101113980B1 KR1020100076202A KR20100076202A KR101113980B1 KR 101113980 B1 KR101113980 B1 KR 101113980B1 KR 1020100076202 A KR1020100076202 A KR 1020100076202A KR 20100076202 A KR20100076202 A KR 20100076202A KR 101113980 B1 KR101113980 B1 KR 101113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ocument
receiving
clip
press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4275A (ko
Inventor
안태랑
Original Assignee
화신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화신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화신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98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4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980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류를 집철하여 고정시키는 서류 고정용 클립으로서, 상기 서류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용부의 단부에 걸림설정되어 서류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하향으로 절곡되며 고정부의 회전결합시 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서류를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편과; 상기 수용부의 작동공간 내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부의 회전이탈시 탄성가압편을 구속하여 작동공간 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서류 고정용 클립에 의하면, 수용부 내에 서류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고정부를 회전결합시킴과 동시에 탄성가압편이 서류를 탄성력있게 가압하여 고정시키므로 서류의 고정이 용이함과 아울러 서류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경우 고정부를 수용부에서 회전이탈시켜 탄성가압편의 가압력을 해제하므로 서류의 손상없이 수용부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서류의 전.후면에 본 발명인 클립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다수의 서류를 아주 효율적으로 적재 및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이 양호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서류 고정용 클립{A clip for fixing papers}
본 발명은 서류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작동홀더없이 고정부를 수용부에 회전결합시켜 여러 장의 서류를 간편하게 고정하며, 서류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경우 고정부를 회전이탈시켜 서류의 손상없이 간편하게 해제할 수 있는 서류 고정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클립은 다수의 서류나 종이 등을 집철하여 보관하도록 만들어진 것으로, 두께 및 보관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클립이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날클립(1)으로서, 상기 날클립(1)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구비된 홀더를 사용하여 서류나 종이를 집철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날클립(1)의 경우 별도의 홀더를 반드시 필요로 하며, 집철된 날클립을 해제할 경우 해제작업이 어려우며 서류나 종이가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클립(2)의 경우, 클립(2)의 입구를 벌려주는 손잡이(21)가 형성되어 있어서 서류나 종이를 집철하여 고정하기에는 용이하나, 서류나 종이의 전.후면에 돌출된 형상을 갖게 되므로 다수의 서류를 적재하여 수납하게 되면 클립(2)으로 인해 서류 일측의 높이가 높아져 수납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미관상 좋지못한 느낌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3은 실용신안등록 제232895호로 등록받은 "클립"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클립은, 서류, 종이 등의 각종 고정물이 삽입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된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의 일측면에 그 내측이 요입되어 소정 각도만큼 절첩되는 절첩부(32)와, 상기 절첩부(32)의 인접한 위치에 내측면을 향하여 돌출되어 몸체부(31) 내에 삽입되는 서류, 종이 등의 고정물을 압착하여 고정시키는 고정편(33)과, 상기 고정편(33) 단부가 구속되도록 대응되는 타측면에 요철형상으로 굴곡지게 형성된 걸림부(34)와, 상기 고정편(33)에 소정각도를 갖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절첩부(32)를 기준으로 고정편(33)이 회동되어 걸림부(34)에 고정되도록 외력을 인가시키는 가압부(35)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클립은 절첩부를 중심으로 가압부를 회동시켜 고정물을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많은 힘을 필요로 하며, 이 과정에서 구조적으로 취약한 절첩부가 파손되어 클립기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고정편이 회동하여 걸림부에 구속되면서 고정물을 고정하는 구조이므로 클립을 여러번 사용하게 될 경우, 걸림부가 마모되어 구속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 4는 실용신안등록 제343701호로 등록받은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50)는, 단면이 삼각 형상으로 형성된 몸체(42)의 개구부측 선단부에 걸림편(44)이 형성된 클립(40)을 제철하기 위한 집게에 있어서, 상부레버(52)와 하부레버(54)가 힌지축(56)을 기준으로 상하 각운동되게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56)의 앞쪽에 클립(40)의 몸체(42)가 수용되는 수용홈부(58)가 형성되며, 이 수용홈부(58)의 앞쪽에 해당되는 상부레버(52)와 하부레버(54)의 선단부에 상기 걸림편(44)상으로 삽입되는 걸림돌기(52b)(54b)가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강력클립의 제철용 집게는, 클립을 집게 내부에 장착한 상태에서 서류를 고정하므로 사용이 매우 불편하고, 클립과는 별도로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분실의 위험성을 항상 내포하고 있어 실용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고정부를 회전작동시켜 수용부에 수용된 서류를 탄성가압편의 탄성력으로 가압하여 고정시키므로 서류의 고정이 용이함과 아울러 서류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경우 고정부를 수용부에서 회전이탈시켜 탄성가압편의 가압력을 해제하므로 서류의 손상없이 수용부에서 서류를 분리할 수 있어 별도의 작동홀더없이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서류 고정용 클립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서류를 집철하여 고정시키는 서류 고정용 클립으로서,
상기 서류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용부의 단부에 걸림설정되어 서류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하향으로 절곡되며 고정부의 회전결합시 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서류를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편과;
상기 수용부의 작동공간 내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부의 회전이탈시 탄성가압편을 구속하여 작동공간 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수용부 내에 서류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고정부를 회전결합시킴과 동시에 탄성가압편이 서류를 탄성력있게 가압하여 고정시키므로 서류의 고정이 용이함과 아울러 서류의 고정상태를 해제할 경우 고정부를 수용부에서 회전이탈시켜 탄성가압편의 가압력을 해제하므로 서류의 손상없이 수용부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어 별도의 작동홀더없이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서류의 전.후면에 본 발명인 클립이 돌출되지 않으므로 다수의 서류를 아주 효율적으로 적재 및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이 양호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클립의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클립의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또 다른 클립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단면도이고,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서류를 집철하여 고정시키는 서류 고정용 클립으로서, 상기 서류를 수용하는 수용부(100)가 구성되고, 상기 수용부(10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용부(100)의 단부에 걸림설정되어 서류를 고정하는 고정부(200)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200)에 하향으로 절곡되며 고정부(200)의 회전결합시 수용부(100) 내부에 수용된 서류를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편(300)이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100)의 작동공간(140) 내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부(200)의 회전이탈시 탄성가압편(300)을 구속하여 작동공간(140) 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수용부(100)는, 수용몸체(110)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몸체(110)의 선단에 고정부(200)가 결합되도록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고리(120)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몸체(110)의 후방에 고정부(200)의 회전시 걸림설정되는 걸림홈(130)이 구비되고, 상기 고리(120)의 후방에 탄성가압편(300)이 회전할 수 있도록 통공된 작동공간(140)을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수용부(100)의 하부 표면에 상향으로 절곡되어 탄성가압편(300)이 가압하거나 서류의 삽입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하부탄성편(150)을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하부탄성편(150)은 탄성가압편(300)의 선단과 밀착되어 서류 고정시 고정력을 증대시킨다.
상기 고정부(200)는, 상기 수용부(100)의 상부에 위치하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측으로 힌지(211)가 형성된 고정몸체(21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210)의 후방으로 절곡되어 수용부(100)에 걸림설정되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걸림돌기(220)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돌기(220)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고정몸체(210)를 회전시키는 손잡이(230)를 포함하여 구비된다.
상기 탄성가압편(300)은 수용부(100)의 작동공간(140) 내에서만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류를 집철하기 전에 수용부(100)의 걸림홈(130)에 고정된 고정부(200)의 손잡이(2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부로 들어올려 고정부(200)를 수용부(100)의 걸림홈(130)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상기 수용부(100)의 내부에 일정 두께의 서류를 삽입하게 되면, 고정부(200)에 하향으로 절곡된 탄성가압편(300)이 서류의 상부표면에 밀착됨과 동시에 고정부(200)는 힌지(211)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용부(100)의 하부에 절곡형성된 하부탄성편(150)도 서류의 삽입되는 힘에 의해 하향으로 탄성있게 변형되며, 상기 서류는 탄성가압편(300)과 하부탄성편(150)에 의해 소정의 고정력을 가지게 된다.
상기 탄성가압편(300)은 삽입되는 서류의 두께가 두꺼울 경우 스토퍼(400)의 하부에서 구속되어 더 이상 회전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류가 수용부(100) 내부에 삽입되어 걸림홈(130) 내측 단부에 밀착되면, 수용부(100)의 상부로 회전되어 있던 고정부(200)의 손잡이(230)를 파지한 상태에서 하향으로 회전가압한다.
이때, 탄성가압편(300)은 서류의 상면을 가압하게 됨과 동시에 하부탄성편(150)은 탄성가압편(300)의 가압력에 의해 하향으로 변형된다.
여기서, 하부탄성편(150)은 서류의 하부를 지지함으로써 탄성가압편(300)만 있는 상태보다 더욱 증대된 고정력을 가질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고정부(200)의 걸림돌기(220)는 수용몸체(110) 후방의 걸림홈(130) 상부에 밀착되어 탄성있게 변형됨과 동시에 걸림돌기(220)는 수용부(100)의 걸림홈(130)에 걸림설정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수용부(100)에 삽입된 서류는 고정부(200)에 절곡형성된 탄성가압편(300)과 수용부(100)에 절곡형성된 하부탄성편(150)에 의해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된 클립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먼저 고정부(200)의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힌지(211)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고정부(200)의 걸림돌기(220)가 수용부(100)의 걸림홈(130)으로부터 이탈된다.
수용부(100)의 걸림홈(130)으로부터 고정부(200)의 걸림돌기(220)가 이탈되면 서류를 가압하고 있던 탄성가압편(300)의 가압력이 해제되며, 가압력이 해제되더라도 탄성가압편(300)은 서류의 상면에 밀착된 상태는 유지를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서류에 가해지던 가압력이 해제되면 사용자는 수용부(100)에서 서류를 이탈시키면 되는 것이다.
수용부(100)로부터 서류가 이탈되면, 고정부(200)는 수용부(100)의 고 리(120)에 결합된 힌지(211)를 중심으로 자율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며, 탄성가압편(300)은 스토퍼(400)의 하부에서 구속되어 작동공간(140)에서 이탈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수용부 110: 수용몸체
120: 고리 130: 걸림홈
140: 작동공간 150: 하부탄성편
200: 고정부 210: 고정몸체
220: 걸림돌기 230: 손잡이
300: 탄성가압편 400: 스토퍼

Claims (6)

  1. 서류를 집철하여 고정시키는 서류 고정용 클립으로서,
    상기 서류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수용부의 단부에 걸림설정되어 서류를 고정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에 하향으로 절곡되며 고정부의 회전결합시 수용부 내부에 수용된 서류를 탄성력으로 가압하는 탄성가압편과;
    상기 수용부의 작동공간 내측으로 돌출되어 고정부의 회전이탈시 탄성가압편을 구속하여 작동공간 내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수용부는,
    수용몸체와;
    상기 수용몸체의 선단에 고정부가 결합되도록 링형상으로 이루어진 고리와;
    상기 수용몸체의 후방에 고정부의 회전시 걸림설정되는 걸림홈과;
    상기 고리의 후방에 탄성가압편이 회전할 수 있도록 통공된 작동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하부 표면에 상향으로 절곡되어 탄성가압편이 가압하거나 서류의 삽입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하부탄성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탄성편은 탄성가압편의 선단과 밀착되어 서류 고정시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5.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부는,
    상기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양측으로 힌지가 형성된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후방으로 절곡되어 수용부에 걸림설정되면서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걸림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고정몸체를 회전시키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편은 수용부의 작동공간 내에서만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류 고정용 클립.

KR1020100076202A 2010-08-09 2010-08-09 서류 고정용 클립 KR101113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202A KR101113980B1 (ko) 2010-08-09 2010-08-09 서류 고정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202A KR101113980B1 (ko) 2010-08-09 2010-08-09 서류 고정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275A KR20120014275A (ko) 2012-02-17
KR101113980B1 true KR101113980B1 (ko) 2012-03-05

Family

ID=45837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202A KR101113980B1 (ko) 2010-08-09 2010-08-09 서류 고정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9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8567A1 (en) * 2017-12-01 2019-06-06 Covidien Lp Drape management assembly for robotic surgical system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2968B1 (ko) * 2018-10-07 2021-10-14 유성민 서류에 구멍을 뚫지 않는 바인더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8186A (ja) 1999-12-01 2001-06-12 Yoshihiro Kawashita クリップ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8186A (ja) 1999-12-01 2001-06-12 Yoshihiro Kawashita クリ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08567A1 (en) * 2017-12-01 2019-06-06 Covidien Lp Drape management assembly for robotic surgical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275A (ko) 2012-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8494Y1 (ko) 물티슈 포장팩용 반자동 개폐 뚜껑
US20100288087A1 (en) Tool handle
MX2013005029A (es) Armazon para trapeador plano.
EP1480254A3 (en) Lid unit for thin plate supporting container
TW201318930A (zh) 整理箱
KR101113980B1 (ko) 서류 고정용 클립
JP5727681B2 (ja) 調理器具における着脱可能な取手装置
JP2013138849A5 (ko)
JP2013138849A (ja) 清掃モップ及びその洗浄バケツ
KR101457441B1 (ko) 음식물 쓰레기통
JP2004136941A (ja) 蓋付収納箱
JP3110314U (ja) 取手装置
KR200253674Y1 (ko) 페이스 파우더 휴대용 콤팩트
JP6898278B2 (ja) 化粧料容器
KR200488864Y1 (ko)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CN208973317U (zh) 一种炒菜用锅具及其炒菜机
KR102141250B1 (ko) 접이용 뚜껑 손잡이
CN216545402U (zh) 一种自动翻盖印章
JP3176955U (ja) 折りたたみ可能なちりとり構造
CN212912878U (zh) 一种焖烧罐
KR101725604B1 (ko) 화장품 용기
KR101371208B1 (ko) 칸막이의 연결구
JP3174149U (ja) 綴じ金具
CN216060221U (zh) 一种防溅盖
JP6033653B2 (ja) 工具ホル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