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250B1 - 접이용 뚜껑 손잡이 - Google Patents

접이용 뚜껑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250B1
KR102141250B1 KR1020180141791A KR20180141791A KR102141250B1 KR 102141250 B1 KR102141250 B1 KR 102141250B1 KR 1020180141791 A KR1020180141791 A KR 1020180141791A KR 20180141791 A KR20180141791 A KR 20180141791A KR 102141250 B1 KR102141250 B1 KR 102141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utton
central
protrusion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7412A (ko
Inventor
양원준
양민정
Original Assignee
양원준
양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원준, 양민정 filed Critical 양원준
Priority to KR102018014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250B1/ko
Publication of KR20200057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4Knobs, e.g. for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용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써,
베이스부, 중앙동작부, 상부체, 버튼부 및 핸들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버튼부를 가압하면, 핸들부가 베이스부로부터 이탈하여, 직립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핸들부를 파지(把指)할 수 있으며 핸들부를 뚜껑에 최대한 밀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 간편하게 버튼부를 간편하게 누름으로써, 핸들부의 직립을 도모하고 이를 파지함으로써, 가열된 냄비 뚜껑 등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핸들부는 다양한 조리용기의 뚜껑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기존의 냄비 뚜껑에 교체, 설치할 수 있어 그 활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이용 뚜껑 손잡이{Fold-able lid handle operated by button-press}
본 발명은 접이용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써,
베이스부, 중앙동작부, 상부체, 버튼부 및 핸들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버튼부를 가압하면, 핸들부가 베이스부로부터 이탈하여, 직립함으로써, 사용자가 용이하게 핸들부를 파지(把指)할 수 있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조리가 완료되고 조리 용구의 뚜껑을 여닫을 때, 뚜껑에 부착된 열전도율이 낮은 내열성의 손잡이를 이용하게 된다. 대부분의 손잡이는 상면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돌출된 손잡이로 인하여, 보관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대해 출원번호 제20-2004-0001766호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에서는 조리기구의 뚜껑과 뚜껑손잡이를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뚜껑을 보다 안정적으로 적층시켜 건조 및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주방용 조리기구의 뚜껑손잡이 착탈장치를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는 그 구성이 복잡하며, 뚜껑손잡이를 분리한 후 별도로 보관해야 하고 필요 시마다 찾아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상기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부분의 조리용구에 설치할 수 있으며, 뚜껑에 손잡이가 결합된 상태에서, 손잡이를 버튼 조작만으로 접거나 펼 수 있도록 한 접이용 뚜껑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접이용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써,
버튼부를 가압하면 핸들부가 베이스부로부터 이탈하여 직립할 수 있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게 버튼동작스프링이 결합할 수 있는 스프링결합부를 구비하고 있는 베이스부와; 걸림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전후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에 안착될 수 있는 중앙동작부와; 회전관통홀, 버튼관통홀 및 상기 걸림부가 돌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관통부를 구비하고 있는 상부체와; 상기 회전관통홀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탄성체가 삽결될 수 있도록 일측에 형성된 탄성체결합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동작부의 걸림부가 걸려 접힌 상태로 고정될 수 있는 핸들부로; 구성된 접이용 뚜껑 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부의 스프링 결합부 및 버튼부가 결합되는 버튼동작스프링과; 핸들부 일측의 탄성체결합부에 결합하는 탄성체를 이용하여, 버튼부가 위에서 아래로 가압되면, 핸들부가 직립할 수 있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를 제공함으로써 해결된다.
본 발명은 접이용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써,
핸들부를 뚜껑에 최대한 밀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 간편하게 버튼부를 간편하게 누름으로써, 핸들부의 직립을 도모하고 이를 파지함으로써, 가열된 냄비 뚜껑 등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핸들부는 다양한 조리용기의 뚜껑에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기존의 냄비 뚜껑에 교체, 설치할 수 있어 그 활용성을 극대화하였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내지 2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에 대한 실시도이다.
도 3은 접이용 뚜껑 손잡이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4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의 버튼부에 대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5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의 실시단면도이다.
도 6은 접이용 뚜껑 손잡이의 상부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핸들부의 설치도이다.
도 7은 접이용 뚜껑 손잡이의 핸들부에 설치되는 탄성체에 대한 세부도이다.
도 8은 접이용 뚜껑 손잡이의 베이스부와 중앙동작부의 결합에 대한 결합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 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접이용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써,
크게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에 안착되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중앙동작부(30)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들부(50)와; 상기 베이스부, 중앙동작부 및 핸들부를 커버하는 상부체(70)와; 상기 중앙동작부의 전후이동을 도모하는 버튼부(40)로; 구성되어 있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베이스부(10)는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반원형으로 함몰된 버튼안착부(12)가 구비되어 있는 돌출벽면(11)과; 상기 함몰된 버튼안착부의 중앙지점에 버튼동작스프링(14)이 결합되는 상향돌출된 스프링결합부(13)와; 중앙에 천공되어 있으며 그 테두리에 외각테두리돌출부(16)가 형성되어 있는 중앙홀(15)과; 상기 중앙홀 주위에 돌출된 2 내지 4기의 돌기부(17)와; 핸들부(50)가 거치될 수 있는 1쌍의 핸들거치부(18)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중앙동작부(30)는
일측에 걸림부(34)와; 타측에 상기 버튼동작스프링(14)이 결합된 스프링결합부(13)가 돌출될 수 있도록 천공된 버튼관통홀(33)과; 중앙에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의 외각테두리보다 그 외주가 크게 천공된 중앙관통홀(33)과; 상기 중앙관통홀 주변에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돌기부가 관통될 수 있으며, 돌기부(17)보다 크게 천공된 돌기안착홀(31)로; 구성되어 있어, 중앙동작부가 돌기안착홀과 돌기부의 이격간격만큼 전후로 이동할 수 있으며,
또한, 버튼부(40)은
상단버튼부(42)와; 하단돌출부(41)로; 구분되는데,
상단버튼부(42)는 누름부(42c)와; 상기 누름부보다 그 외주가 큰 받침접면부(42a)와; 받침접면부(42a)의 저면에 형성된 함몰부(42b)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단버튼부(41)는 상기 상단버튼부의 함몰부(42b)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41c)와; 상기 삽입돌출부의 저면에 상기 상단버튼부의 받침접면부(42a)와 그 외주가 동일한 받침부(41b)와;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 구비된 경사부(41a)와; 버튼동작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경사부 저면에 형성된 삽입부(41c)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상단버튼부(42)와 하단버튼부(41)는 결합하여 1 버튼부(40)를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베이스부(10)의 핸들거치부(18)에 거치되는 핸들부(50)는
상기 중앙동작부(30)의 걸림부(34)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고 내벽중앙에 형성된 걸림함몰부(51)와; 탄성체(60)가 결합되며 단부받침부(53)가 구비되어 있는 일단의 탄성체 결합부(52)와; 스탑걸림부(55)가 형성되어 있는 타단의 회전축부(54)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부체(70)는
버튼홀(71)과; 상기 중앙동작부의 중앙관통홀(33) 및 베이스부의 중앙홀(15)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하향돌출부(73)와; 상기 하향돌출부에 형성된 나사체결부(73a)와; 핸들부의 걸림함몰부(51)와 체결될 수 있는 중앙동작부의 걸림부가 관통되는 관통부(74)와; 베이스부의 핸들거치부에 거치된 핸들부가 회전 직립할 수 있도록 양측벽에 천공된 회전관통홀(75)과; 저면에 형성된 저면지지돌기부(72)와; 저면 일측의 회전관통홀에 형성되어 있는 스탑부(76)와; 하향돌출부의 외벽에 형성된 걸림돌출부(77)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탄성체(60)는
일단의 지지장부(61)와; 타단의 받침단부(62)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핸들부 일단의 탄성체결합부(52)의 단부받침부(53)에 탄성체의 받침단부(62)가 거치될 수 있으며 일단의 지지장부(61)는 상부체(70)의 저면에 형성된 저면지지돌기부(72)에 안착되어 있어, 핸들부에 직립향 외력을 전달하고 있다.
또한, 상부체(70)의 스탑부(76)는 핸들부(50)가 회전직립하면서 회전축부(54)의 스탑걸림부(55)가 스탑부(76)에 의하여 그 회전이 제한되어 핸들부의 직립각을 한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상부체 하향돌출부 걸림돌출부에는 원복스프링(80)이 체결되는데, 원복스프링은 중앙동작부의 걸림부(34) 배면과 하향돌출부(73) 사이의 걸림돌출부(77)를 이용하여 설치되어, 걸림부를 상부체(70)의 관통부(74)로 돌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시 예로는,
도 1 내지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냄비(100) 뚜껑(101) 혹은 용기의 뚜껑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필요시에 핸들부(50)가 도 4와 같이, 일정각도로 회전하여 직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 3과 같이, 베이스부(10)에 중앙동작부(30)가 베이스부의 돌기부(17) 및 상기 돌기안착홀(31)을 이용하여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안착할 수 있으며, 베이스부(10)의 1쌍의 핸들거치부(18)에 핸들부의 탄성체결합부(52) 및 회전축부(54)가 각각 설치되고, 버튼부(40)가 베이스부의 스프링결합부에 결합된 버튼동작스프링(14)에 결합된 후 상부체(70)와 베이스부(10)가 중앙동작부(30), 핸들부(50)의 탄성체결합부(52) 및 회전축부(54) 및 버튼부(40)를 그 사이에 두고 고정결합하게 된다. 이 때, 상부체(70)의 버튼홀(71)을 통해 버튼부의 누름부(42c)가 가압가능하도록 노출되며, 버튼부의 받침부(41b)와 받침접면부(42a)는 누름부(42c) 보다 그 외주가 크게 제작되며, 상부체의 버튼홀(71)을 통해 버튼부의 누름부가 노출되며, 상기 받침접면부(42a)는 상부체의 버튼홀보다 외주가 크기 때문에 버튼부가 상부체와 베이스부에 사이에 설치되면, 상부체(70)의 버튼홀(71)을 통해 버튼부(40)가 이탈되지 아니한다. 버튼부(40)의 하단버튼부(41) 삽입부(41d)는 중앙동작부의 버튼관통홀(32)을 통해 상향돌출된 버튼동작스프링(14)과 결합하는데, 버튼부가 가압되었을 때, 하단버튼부의 경사면(41a)에 의하여, 중앙동작부의 버튼관통홀이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베이스부의 돌기부(17)와 돌기안착홀(31) 사이의 이격공간만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핸들부의 걸림함몰부(51)에 고정되어 있던 중앙동작부의 걸림부(34)가 후퇴하여 해제됨으로써, 핸들부의 탄성체결합부(52)에 결합된 탄성체(60)에 의하여, 핸들부(50)가 직립되게 된다. 가압되었던 버튼부(40)는 외력이 소멸되었을 때, 다시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중앙동작부의 걸림부(34) 배면과 하향돌출부(73) 사이의 걸림돌출부(77)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원복스프링(80)에 의하여, 중앙동작부의 걸림부(34)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원복스프링(80)은 버튼부가 눌렸을 때 중앙동작부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압축되게되고, 버튼부가 버튼동작스프링에 의하여 상향으로 이동할 때, 원복스프링은 그 원복력에 의하여 팽창되어, 걸림부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핸들부를 다시 접을 때에는 핸들부의 걸림함몰부가 중앙동작부의 걸림부에 재고정되고, 핸들부의 걸림함몰부(51)의 깊이만큼, 걸림부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걸림함몰부에 고정됨으로써, 핸들부를 접어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부체의 하향돌출부는 중앙동작부의 중앙관통홀, 베이스부의 중앙홀을 관통하여 베이스부의 저면과 같은 평평도로 노출되며, 하향돌출부의 나사체결부 및 나사(102)를 이용하여, 뚜껑과 고정결합하게 된다.
또한, 도 7과 같이, 탄성체는 핸들부 일측의 탄성체결합부에 체결되는데, 탄성체의 지지장부와 받침단부는 약 80~90도의 이격각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이를 위하여, 지지장부는 상부체 저면의 저면지지돌기부에 설치되며, 받침단부는 탄성체의 양단이 저면지지돌기부 기준80~90도의 각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탄성체결합부에 형성되었어, 탄성체가 설치될 때, 상기 설정된 80~90도의 각도를 해소하려고 핸들부를 직립하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베이스부
11. 돌출벽면
12. 버튼안착부
13. 스프링 결합부
14. 버튼동작스프링
15. 중앙홀
16. 외각테두리돌출부
17. 돌기부
18. 핸들거치부
30. 중앙동작부
31. 돌기안착홀
32. 버튼 관통홀
33. 중앙관통홀
34. 걸림부
40. 버튼부
41. 하단버튼부
41a. 경사부
41b. 받침부
41c. 삽입돌출부
41d. 삽입부
42. 상단버튼부
42a. 받침접면부
42b. 함몰부
42c. 누름부
50. 핸들부
51. 걸림함몰부
52. 탄성체결합부
53. 단부받침부
54. 회전축부
55. 스탑걸림부
60. 탄성체
61. 지지장부
62. 받침단부
70. 상부체
71. 버튼홀
72. 저면지지돌기부
73. 하향돌출부
73a. 나사체결부
74. 관통부
75. 회전관통홀
76. 스탑부
77. 걸림돌출부
80. 원복스프링
100. 냄비
101. 뚜껑
102. 나사

Claims (8)

  1. 뚜껑에 설치되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에 있어서,
    베이스부(10)와; 베이스부(10)에 안착되어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중앙동작부(30)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핸들부(50)와; 상기 베이스부, 중앙동작부 및 핸들부를 커버하는 상부체(70)와; 상기 중앙동작부의 전후이동을 도모하는 버튼부(40)로; 구성되되,
    베이스부(10)는 일측에 상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버튼안착부(12)가 구비되어 있는 돌출벽면(11)과; 상기 버튼안착부의 중앙지점에 버튼동작스프링(14)이 결합되는 상향돌출된 스프링결합부(13)와; 중앙에 천공되어 있는 중앙홀(15)과; 핸들부(50)가 거치될 수 있는 1쌍의 핸들거치부(18)로; 구성되어 있으며,
    중앙동작부(30)는 일측에 걸림부(34)와; 타측에 상기 버튼동작스프링(14)이 결합된 스프링결합부(13)가 돌출될 수 있도록 천공된 버튼관통홀(33)과; 중앙에 천공되어 있는 중앙관통홀(33)로; 구성되어 있으며,
    버튼부(40)은 누름부(42c), 상기 누름부보다 그 외주가 큰 받침접면부(42a), 받침접면부(42a)의 저면에 형성된 함몰부(42b)를 구비한 상단버튼부(42)와; 상기 상단버튼부의 함몰부(42b)에 삽입되는 삽입돌출부(41c), 상기 삽입돌출부의 저면에 상기 상단버튼부의 받침접면부의 외주가 동일한 받침부(41b), 상기 받침부의 저면에 구비된 경사부(41a) 및 버튼동작스프링이 결합될 수 있도록 경사부 저면에 형성된 삽입부(41c)를 구비한 하단돌출부(41)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베이스부(10)의 핸들거치부(18)에 거치되는 핸들부(50)는 상기 중앙동작부(30)의 걸림부(34)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는 걸림함몰부(51)와; 탄성체(60)가 결합되며 단부받침부(53)가 구비되어 있는 일단의 탄성체 결합부(52)와; 타단의 회전축부(54)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체(70)는 버튼홀(71)과; 상기 중앙동작부의 중앙관통홀(33) 및 베이스부의 중앙홀(15)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하향돌출부(73)와; 상기 하향돌출부에 형성된 나사체결부(73a)와; 핸들부의 걸림함몰부(51)와 체결될 수 있도록 중앙동작부의 걸림부가 관통되는 관통부(74)와; 베이스부의 핸들거치부에 거치된 핸들부가 회전 직립할 수 있도록 양측벽에 천공된 회전관통홀(75)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부체의 하향돌출부와 중앙동착부의 걸림부 배면에 설치되는 원복스프링(80)을 더 포함하여, 버튼부가 조작되면 버튼부의 경사부에 의하여, 중앙동작부가 후퇴하며 핸들부의 걸림함몰부(51)에 고정되어 있던 중앙동작부의 걸림부(34)가 후퇴함으로써, 핸들부의 탄성체결합부(52)에 결합된 탄성체(60)에 의하여, 핸들부(50)가 직립되게 되며. 가압되었던 버튼부(40)에 대한 외력이 소멸되었을 때, 버튼부는 버튼동작스프링(14)에 의하여 다시 상향 이동하게되며, 중앙동작부의 걸림부(34) 배면과 하향돌출부(73) 사이에 설치되는 원복스프링(80)에 의하여, 중앙동작부의 걸림부(34)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어 걸림부가 전방으로 이동함으로써 핸들부를 다시 접을 때에는 핸들부의 걸림함몰부가 중앙동작부의 걸림부에 재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
  2. 제 1항에 있어서,
    중앙홀 테두리에 형성되어 있는 외각테두리돌출부(16)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
  3. 제 1항에 있어서,
    베이스부의 중앙홀 주위에 상향 돌출성형된 2 내지 4기의 돌기부(17)와; 상기 돌기부에 의하여 관통, 안착할 수 있도록 중앙동작부에 돌기부(17)보다 크게 천공된 돌기안착홀(31)를; 더 포함하여 중앙동작부가 돌기안착홀과 돌기부의 이격간격만큼 전후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
  4. 제 1항에 있어서,
    핸들부의 회전축부에 형성되어 있는 스탑걸림부(55)와;
    상부체 타단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스탑부(76)를; 더 포함하고 있어 상부체(70)의 스탑부(76)는 핸들부(50)가 회전직립하면서 회전축부(54)의 스탑걸림부(55)가 스탑부(76)에 의하여 그 회전이 제한되어 핸들부의 직립각을 한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
  5. 제 1항에 있어서,
    상부체의 하향돌출부의 외벽에 형성된 걸림돌출부(77)를; 더 포함하여, 걸림부의 배면과 하향돌출부 사이에 원복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
  6. 제 1항에 있어서,
    상부체 형성된 저면지지돌기부(72)와;
    탄성체 양단에 형성된 지지장부 및 받침단부를; 더 포함하고 있어,
    탄성체의 양단이 80~90도의 이격각을 가지고 상기 받침단부는 탄성체결합부(52)의 단부받침부(53)에 거치되어 있어, 지지장부(61)는 상부체(70)의 저면에 형성된 저면지지돌기부(72)에 안착되어 있어, 핸들부에 직립향 외력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용 뚜껑 손잡이.


  7. 삭제
  8. 삭제
KR1020180141791A 2018-11-16 2018-11-16 접이용 뚜껑 손잡이 KR102141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791A KR102141250B1 (ko) 2018-11-16 2018-11-16 접이용 뚜껑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791A KR102141250B1 (ko) 2018-11-16 2018-11-16 접이용 뚜껑 손잡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412A KR20200057412A (ko) 2020-05-26
KR102141250B1 true KR102141250B1 (ko) 2020-08-04

Family

ID=70915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791A KR102141250B1 (ko) 2018-11-16 2018-11-16 접이용 뚜껑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25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925Y1 (ko) * 1999-11-25 2000-04-15 윤규중 배전반용 핸들의 누름단추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21512A1 (it) * 2012-09-13 2014-03-14 Termoplastic Fbm Srl Impugnatura per recipienti da cucin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9925Y1 (ko) * 1999-11-25 2000-04-15 윤규중 배전반용 핸들의 누름단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412A (ko) 202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79795B1 (en) Cooking pan system having foldable handle
US20130277365A1 (en) Vertically expandable receptacle
CN102309249B (zh) 具有可折叠握持部件的烹饪装置
KR20110045446A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101528452B1 (ko) 탈착식 손잡이
JP6033964B2 (ja) 調理容器用着脱式取っ手
KR102141250B1 (ko) 접이용 뚜껑 손잡이
KR101779874B1 (ko) 싱크대 서랍용 수저분리함
KR200323762Y1 (ko) 조리 용기용 손잡이
KR20150064336A (ko) 접시 및 받침판 기능이 되는 뚜껑
KR102393089B1 (ko)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JP6891256B1 (ja) 折畳み用の蓋取っ手
KR100927708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102101776B1 (ko) 손잡이 분리형 조리용기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KR101202930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 손잡이
KR101357127B1 (ko) 양면팬
KR101113980B1 (ko) 서류 고정용 클립
CN109077611B (zh) 液体加热容器
KR101244391B1 (ko) 용기와 착탈식 손잡이의 결합구조
CN218738558U (zh) 一种容器盖的手柄、容器盖及烹饪容器
CN102415832A (zh) 烹饪制备家电设备的容器或盖的固定装置
CN217338216U (zh) 一种夹蛋器
CN212912878U (zh) 一种焖烧罐
KR101438203B1 (ko) 절첩식 조리용기 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