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3089B1 -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3089B1
KR102393089B1 KR1020210069695A KR20210069695A KR102393089B1 KR 102393089 B1 KR102393089 B1 KR 102393089B1 KR 1020210069695 A KR1020210069695 A KR 1020210069695A KR 20210069695 A KR20210069695 A KR 20210069695A KR 102393089 B1 KR102393089 B1 KR 102393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olding
cooking
side wal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9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램프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램프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램프쿡
Priority to KR1020210069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30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3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3089B1/ko
Priority to PCT/KR2022/006865 priority patent/WO202225568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7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of detachable type
    • A47J45/07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손잡이를 접었을 때 용기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보관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적층 보관도 가능하여 수납이 편리하도록 된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용기본체의 측벽부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수용홈에 손잡이를 장착하여 손잡이를 접었을 때 용기본체의 측벽부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보관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다른 용기들과 적층 보관도 가능하여 수납이 편리하도록 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Cooker with folding handle}
본 발명은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손잡이를 접었을 때 용기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보관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적층 보관도 가능하여 수납이 편리하도록 된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볶거나 튀기거나 굽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프라이팬이라 하고, 삶거나 국을 끓일 때 사용되는 것을 냄비라 한다. 근래에는 프라이팬과 냄비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본 고안에서도 프라이팬과 냄비를 구분하는 것은 아니며, 다만 긴손잡이가 구비된 것이면 다 포함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종래, 접이식 손잡이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05455호(2006.01.11. 공고)가 있다. 종래에 따르면 손잡이를 2단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용 접이식 손잡이를 제안하고 있다. 물론, 손잡이를 접게 되면 크기가 줄어들게 됨에 따라 보관할 때 공간 활용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손잡이를 접었을 때 접히는 부분은 용기 상측으로 돌출된 타입이라 크기는 줄어들지라도 다른 용기들과 적층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어 효율적인 보관이 어려웠다.
또한, 손잡이를 접었을 때에는 걸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무조건 바닥에만 보관해야 되는 보관상 한계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손잡이를 접었을 때 용기본체의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보관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적층 보관도 가능하여 수납이 편리하도록 된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로 이루어져 조리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안치판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판에는 측벽부를 측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수용홈 내에서 회전축을 매개로 장착되어 조리공간의 중심부를 향해 접어서 보관하고, 반대로 펼쳤을 때 상기 안치판에 지지되면서 용기본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조리공간 중심부를 향해 접었을 때 손잡이의 어느 부분도 측벽부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고 동일 수평선상이거나 혹은 낮게 위치되어서 손잡이를 접은 상태에서 다른 용기본체를 수형 상태로 적층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홈의 바닥은 조리공간을 향해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세척할 때 물 배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치판의 끝단에는 손잡이를 접은 상태에서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걸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를 펼쳤을 때 무단으로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치판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양 측에 형성된 레일홈에 결합되어 전후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안치판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손잡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U자 형상의 회전체; 및 상기 손잡이에 장착되어서 상기 회전체를 상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용기본체의 측벽부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수용홈에 손잡이를 장착하여 손잡이를 접었을 때 용기본체의 측벽부 상측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보관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다른 용기들과 적층 보관도 가능하여 수납이 편리하도록 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를 보인 A-A선 단면도.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B-B선 단면도이며, "다"는 C-C선 단면도.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와 손잡이의 결합관계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접힌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D-D선 단면도.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를 보관하는 방법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 및 사시도.
도 8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를 보인 A-A선 단면도이며, 도 4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B-B선 단면도이며, "다"는 C-C선 단면도이고, 도 5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와 손잡이의 결합관계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는 크게 용기본체(100) 및 손잡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용기본체(100)는 바닥부(110) 및 상기 바닥부(110)를 둘러싸는 측벽부(120)로 이루어져 조리공간(130)을 형성하되, 상기 측벽부(120)의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안치판(140)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판(140)에는 측벽부(120)를 측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용홈(142)이 형성된다.
한편, 도면상 상기 안치판(140)은 측벽부(120)의 후측에서 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안치판(140)에 형성된 수용홈(142)은 측벽부(12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기준을 잡는 위치에 따라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때, 도 3을 참조로 하여 상기 안치판(140) 즉, 수용홈(142)의 바닥면을 살펴보면, 조리공간(130)을 향해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고 있다. 이는 세척시 수용홈(142)으로 물이나 세제가 유입될 수 있는데, 경사를 따라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42)을 형성하고 있는 외벽(144)에는 삽입공(14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손잡이(200)를 장착하는 회전축(250)이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치판(140)의 끝단에는 손잡이(200)를 접었을 때 못과 같은 걸이수단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걸이공(148)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안치판(140)에 형성된 수용홈(142) 내에서 회전축(250)을 매개로 장착되어 조리공간(130)의 중심부를 향해 접어서 보관하고, 반대로 펼쳤을 때 상기 안치판(140)에 저면이 지지되면서 용기본체(1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200)에도 축공(24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상기 수용홈(142)을 형성하는 외벽(144)에 형성된 삽입공(146)과 손잡이(200)에 형성된 축공(240)의 위치를 맞춰서 회전축(250)을 끼움 장착하면 장착이 완료되는데, 상기 회전축(250)이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반대편에서 스냅링 같은 고정클립(252)을 회전축(250)에 결합하면 된다. 물론, 상기 회전축(250)이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완전히 분리되는 타입이 될 수도 있고, 손잡이(200) 양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삽입공(146)에 끼움되는 타입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200)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겠지만,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250)에 장착되는 제1손잡이(210) 및 상기 제1손잡이(210) 후측에 볼팅 체결되는 제2손잡이(22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제조가 편리한 관점에서 선택될 수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200)에는 펼쳤을 때 무단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치판(140)에 체결되는 체결수단(26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200)를 바깥쪽으로 펼쳐서 조리시 파지하고자 할 때 무단으로 접어지면 사용상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펼쳤을 때에는 용기본체(100)에서 형성된 안치판(140)에 체결되어 손잡이(200)를 고정하게 되고, 분리되면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260)을 말하는 것으로, 아주 간단하게는 고정핀과 같은 타입으로 구성되어 손잡이(200)를 펼쳤을 때 손잡이(200)와 안치판(140)에 고정핀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260) 중 간단하면서 작동이 편리한 타입이 슬라이더방식이다. 즉,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200)의 하면 양 측에 형성된 레일홈(230)에 전후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27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는 구성도 간단하고 작동방법도 간편하여 사용상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것이다.
즉,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70)를 손잡이(200) 후측으로 이동시키면 안치판(140)과 분리됨에 따라 자유롭게 접거나 펼 수 있고, 슬라이더(270)를 전측으로 이동시켜 안치판(140)에 결합되도록 하면 손잡이(200)는 구속되어서 무단으로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슬라이더(270)에 탄성돌기(272)를 형성하여서 안치판(140)의 저면에 닿도록 하면 탄성력에 의해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200)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전술한 종래기술에서도 이미 언급하고 있는데, 본원에서는 단순히 손잡이(200)를 접는 것이 아니라 수용홈(142)을 형성하고 그 내에 손잡이(200)를 장착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손잡이(200)를 접어도 측벽부(120) 상측으로는 돌출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하기의 작동관계 및 보관상태를 통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접힌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나"는 D-D선 단면도이고,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를 보관하는 방법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먼저, 도 6의 "가"를 참조로 하면, 손잡이(200)를 용기본체(100) 중심을 향해 접게 되면 조리용기의 크기도 줄어들어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데, 단순히 접히는 것만 아니라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200)를 접었을 때 손잡이(200)의 어느 부분도 측벽부(120)보다 돌출되지 않고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되거나 더 낮게 위치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종래의 접이식 손잡이와 큰 차이점으로 손잡이(200)를 접었는데도 용기본체(100) 외부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도 7의 "가"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크기가 다른 조리용기를 적층해서 보관할 수 있는데 비스듬히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종래와 같이 손잡이(200)를 접었을 때 용기본체(100) 상측으로 돌출되면 다른 용기를 적층하기도 어렵고, 적층 상태가 불안정할 것은 당연하다.
또한, 손잡이(200)를 접어서 크기를 줄였을 경우, 적층만 되는 것이 아니라 도 7의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치판(140)에 형성된 걸이공(148)을 통해 못과 같은 고정수단(300)에 걸어서 보관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되면, 조리를 하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200)를 펼친 뒤 체결수단(260)을 통해 손잡이(200)를 고정하고, 용기본체(100)의 조리공간(130)에 음식물을 넣고 바닥면 가열을 통해 조리를 하게 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며, 조리가 끝난 뒤 보관하고자 할 때 손잡이(200)를 접어서 도 7의 "가"와 같이 다른 용기들과 적층해서 보관하거나 "나"와 같이 손잡이(200)를 접은 상태에서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도 8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8의 "가"를 참조로 하면,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260A)은 손잡이(20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U자 형상의 회전체(280) 및 상기 손잡이(200)에 장착되어서 상기 회전체(280)를 상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28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회전체(280)가 탄성체(282)로 인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안치판(140)으로 결합되면 손잡이(200)가 안치판(140)에 체결된 상태이고, "나"와 같이 회전체(28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안치판(140)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손잡이(200)를 접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체결수단(260,260A)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손잡이(200)를 안치판(140)에 고정시키는 방식은 다양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긴 형태의 손잡이(200)를 도시하고 있는데, 손잡이(200)는 짧아도 되고, 한쪽에만 있는 편수 형태뿐만 아니라 양쪽에 양수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용기본체 110 : 바닥부
120 : 측벽부 130 : 조리공간
140 : 안치판 142 : 수용홈
144 : 외벽 146 : 삽입공
148 : 걸이공 200 : 손잡이
210 : 제1손잡이 220 : 제2손잡이
230 : 레일홈 240 : 축공
250 : 회전축 260,260A : 체결수단
270 : 슬라이더 280 : 회전체
282 : 탄성체 300 : 고정수단

Claims (6)

  1.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로 이루어져 조리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측벽부의 일측에는 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안치판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판에는 측벽부를 측 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수용홈 내에서 회전축을 매개로 장착되어 조리공간의 중심부를 향해 접어서 보관하고, 반대로 펼쳤을 때 상기 안치판에 지지되면서 용기본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손잡이는 상기 조리공간 중심부를 향해 접었을 때 손잡이의 어느 부분도 측벽부보다 높게 돌출되지 않고 동일 수평선상이거나 혹은 낮게 위치되어서 손잡이를 접은 상태에서 다른 용기본체를 수형 상태로 적층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은 조리공간을 향해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세척할 때 물 배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판의 끝단에는 손잡이를 접은 상태에서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걸이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펼쳤을 때 무단으로 접히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안치판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손잡이의 양 측에 형성된 레일홈에 결합되어 전후측으로 이동시켰을 때 상기 안치판에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슬라이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손잡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U자 형상의 회전체; 및
    상기 손잡이에 장착되어서 상기 회전체를 상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1020210069695A 2021-05-31 2021-05-31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1023930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695A KR102393089B1 (ko) 2021-05-31 2021-05-31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PCT/KR2022/006865 WO2022255685A1 (ko) 2021-05-31 2022-05-13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9695A KR102393089B1 (ko) 2021-05-31 2021-05-31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3089B1 true KR102393089B1 (ko) 2022-05-02

Family

ID=81593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9695A KR102393089B1 (ko) 2021-05-31 2021-05-31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93089B1 (ko)
WO (1) WO202225568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685A1 (ko) * 2021-05-31 2022-12-08 (주)홍산경금속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5057A (ja) * 2008-12-29 2010-07-15 Dream Chef Co Ltd 厨房器具用取っ手
KR20130114485A (ko) * 2012-04-09 2013-10-17 유기영 조리기구 조립체
JP2015016176A (ja) * 2013-07-12 2015-01-29 克子 小林 調理用の着脱斜め把手
KR101873868B1 (ko) * 2017-02-27 2018-07-05 이흥규 슬라이더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CN108478055A (zh) * 2018-04-17 2018-09-04 动视界工业设计(厦门)有限公司 一种便于收纳的厨房锅具
KR20180101090A (ko) * 2017-03-03 2018-09-12 킴스쿡 주식회사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3089B1 (ko) * 2021-05-31 2022-05-02 주식회사 램프쿡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55057A (ja) * 2008-12-29 2010-07-15 Dream Chef Co Ltd 厨房器具用取っ手
KR20130114485A (ko) * 2012-04-09 2013-10-17 유기영 조리기구 조립체
JP2015016176A (ja) * 2013-07-12 2015-01-29 克子 小林 調理用の着脱斜め把手
KR101873868B1 (ko) * 2017-02-27 2018-07-05 이흥규 슬라이더가 구비된 착탈식 손잡이
KR20180101090A (ko) * 2017-03-03 2018-09-12 킴스쿡 주식회사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CN108478055A (zh) * 2018-04-17 2018-09-04 动视界工业设计(厦门)有限公司 一种便于收纳的厨房锅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685A1 (ko) * 2021-05-31 2022-12-08 (주)홍산경금속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55685A1 (ko) 2022-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0349B1 (en) Pole shelf
US7584830B2 (en) Suitcase and desk combination device
US7424949B2 (en) Self-draining soap dish unit with structural and functional elements for enhanced drying and accessory features
KR102393089B1 (ko)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US20090095754A1 (en) Stackable cover for container
US10617213B2 (en) Folding storage stool
KR200480902Y1 (ko) 휴대용 테이블
KR20120134775A (ko) 길이의 확장이 가능한 교자상
KR200315244Y1 (ko) 절첩식 테이블
KR200453628Y1 (ko) 야외용 접이식 테이블의 구조
KR200439871Y1 (ko) 접이식 테이블
JP6621670B2 (ja) 収納カゴ
US20120145865A1 (en) Pot and utensil rest
KR20230093661A (ko)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101357127B1 (ko) 양면팬
KR102141250B1 (ko) 접이용 뚜껑 손잡이
KR101847060B1 (ko) 야외용 수납가구 조립체 및 그 사용방법
KR101257822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230074881A (ko)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20110000546U (ko) 빨래 건조대
JP3172293U (ja) 折り畳みテーブル
KR102032206B1 (ko) 상부장 부착형 접철식 선반
CN218355921U (zh) 一种折叠浴盆
KR102238587B1 (ko) 절첩식 다용도 홀더
CN211722864U (zh) 煎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