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7822B1 - 조리용기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조리용기용 손잡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57822B1 KR101257822B1 KR1020110108495A KR20110108495A KR101257822B1 KR 101257822 B1 KR101257822 B1 KR 101257822B1 KR 1020110108495 A KR1020110108495 A KR 1020110108495A KR 20110108495 A KR20110108495 A KR 20110108495A KR 101257822 B1 KR101257822 B1 KR 1012578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oking vessel
- container
- handle
- rotating
- fasten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는,음식물이 조리되는 용기체 일측에 돌출되어 파지 가능한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의 일측에 체결되도록 외측이 나사산이 형성되는 용기체체결부 및 상기 용기체체결부의 후측에 단턱지도록 확장되어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체체결부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결체; 내부가 관통되는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된 선단 내측으로 연결체체결부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중단 내측으로 상기 체결부에 단턱지도록 축소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는 부위의 외측이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후측에 구성되며 내부가 관통되는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후부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동체; 상기 연결체 및 회동체 내부에 각각 인입되도록 연장되는 봉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선단측으로는 연결체의 걸림부에 걸림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후단측으로는 걸림판이 형성되는 회동구; 상기 회동체의 내부에서 회동구의 중단을 수용하되, 단부가 걸림판에 걸림되어 회동구에 장력을 인가하는 탄성체; 상기 회동체의 후측과 체결되어 고정되어 선단 내측으로 회동구의 걸림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파지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손잡이를 이루는 회동체 및 파지체가 회동구에 의해 용기체 측으로 절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회동체 및 파지체와 함께 절첩이 이루어지는 회동구에 탄성체가 장력을 인가하기 때문에 회동구가 절첩되거나 원래 상태로 복원될 때 압축과 탄성이 이루어진 상태로 회동구를 지지하게 되어 회동체 및 파지체의 절첩과 복원이 번거롭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손잡이를 이루는 회동체 및 파지체가 회동구에 의해 용기체 측으로 절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회동체 및 파지체와 함께 절첩이 이루어지는 회동구에 탄성체가 장력을 인가하기 때문에 회동구가 절첩되거나 원래 상태로 복원될 때 압축과 탄성이 이루어진 상태로 회동구를 지지하게 되어 회동체 및 파지체의 절첩과 복원이 번거롭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발휘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의 손잡이가 용기체 측으로 절첩이 가능하면서도 손잡이의 형태가 용기체의 외주연의 형태로 형성되어 조리용기의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는 밥이나 국을 조리하는 냄비나 주로 볶거나 튀기는 요리를 조리하는 프라이팬 등이 있으며 이러한 조리용기는 상부가 개구되어 음식물이 조리되는 본체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의 일측에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조리용기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음식의 조리 및 이동할 수 있는 손잡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조리용기는 가정 및 음식점에서 사용될 때 크기가 서로 다른 여러 개를 구비하였다가 조리하고자 하는 요리의 종류에 따라 해당되는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일반 가정 및 음식점에는 다양한 크기의 조리가 구비되어있다.
하지만 이러한 조기용기를 보관하는 장소는 대개 싱크대에 비치된 수납장이나 주방용 수납함에 한꺼번에 적층하여 보관하게 되는데 조리용기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손잡이로 인하여 적층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조리용기를 안정적으로 보관하기 위해서는 조리용기의 개수에 비해 수납공간이 과다하게 사용되어야 하나 일반가정이나 음식점에서 이러한 공간을 가진 수납함을 확보하기는 어려워 조리용기를 대충 쌓아둔 채로 수납함을 닫아 보관함으로써 외관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수납함을 열 때마다 조리용기가 흘러내려 필요한 조리용기를 꺼낼 때마다 조리용기를 다시 정리를 하여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어왔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본체에서 손잡이가 분리되는 조리용기를 개발하였는데 이는 조리용기로 하여금 요리를 조리할 때는 손잡이를 사용하다가 보관시에는 손잡이를 본체에서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음식의 조리가 빈번하게 이루어질 때는 분리 및 체결작업이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으며 분리시킨 손잡이를 분실하였을 때에는 조리용기로서의 기능이 상실되는 등의 단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조리용기의 손잡이가 용기체 측으로 절첩이 가능하면서도 손잡이의 형태가 용기체의 외주연의 형태로 형성되어 조리용기의 보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조리용기용 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용기용 손잡이는,음식물이 조리되는 용기체 일측에 돌출되어 파지 가능한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의 일측에 체결되도록 외측이 나사산이 형성되는 용기체체결부 및 상기 용기체체결부의 후측에 단턱지도록 확장되어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체체결부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결체; 내부가 관통되는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된 선단 내측으로 연결체체결부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부가 형성되고 중단 내측으로 상기 체결부에 단턱지도록 축소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가 형성되는 부위의 외측이 개방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연결체; 상기 연결체의 후측에 구성되며 내부가 관통되는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후부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동체; 상기 연결체 및 회동체 내부에 각각 인입되도록 연장되는 봉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선단측으로는 연결체의 걸림부에 걸림되는 인입구가 형성되고 후단측으로는 걸림판이 형성되는 회동구; 상기 회동체의 내부에서 회동구의 중단을 수용하되, 단부가 걸림판에 걸림되어 회동구에 장력을 인가하는 탄성체; 상기 회동체의 후측과 체결되어 고정되어 선단 내측으로 회동구의 걸림판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파지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의 후단면측으로 다수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제1돌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의 선단면측으로 연결체에 형성된 제1돌출구가 인입되는 제1인입홈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지체는 용기체의 외측의 형상과 동일하게 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 및 파지체가 절첩된 후 회동체 및 파지체가 용기체의 외측면에 회전되었을 때 제2돌출구를 수용할 수 있는 회동체의 선단면측으로 제2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용 손잡이은, 손잡이를 이루는 회동체 및 파지체가 회동구에 의해 용기체 측으로 절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조리용기의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동체 및 파지체와 함께 절첩이 이루어지는 회동구에 탄성체가 장력을 인가하기 때문에, 회동구가 절첩되거나 원래 상태로 복원될 때 압축과 탄성이 이루어진 상태로 회동구를 지지하게 되어 회동체 및 파지체의 절첩과 복원이 번거롭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체의 후단면측으로 제1돌출구가 형성되고 회동체의 선단면측으로 제1돌출구가 인입되는 제1인입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제1돌출구가 제1인입홈에 인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회동체 및 파지체가 절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손잡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지체는 용기체의 외측의 형상과 동일하게 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파지체가 절첩되었을 때 용기체의 외측의 곡선과 동일하게 절첩되어 접철된 상태의 조리용기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구현하면서도 안정적인 보관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연결체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구가 형성되고 파지체의 선단면측으로 제2인입홈이 형성되기 때문에, 파지체 및 회동체가 절첩된 후 파지체가 회전하여 용기체의 외측 곡선과 동일하게 유지될 때 제2돌출구를 제2인인입홈에 인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절첩되어 회전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조리용기용 손잡이가 접목되는 조리용기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
도 4(a), (b), (c)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체 및 파지체가 절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a), (b)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체 및 파지체가 절첩된 후 파지체가 회전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
도 4(a), (b), (c)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체 및 파지체가 절첩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5(a), (b)는 본 발명에 의한 회동체 및 파지체가 절첩된 후 파지체가 회전되는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조리용기용 손잡이가 접목되는 조리용기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조리용기용 손잡이의 바람직한 형태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로서, 본 발명인 조리용기용 손잡이는 음식물이 조리되는 통상적인 조리용기에 접목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의 음식물이 조리되는 용기체 일측에 돌출되어 파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음식의 조리 및 조리용기의 이동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체(1)와 연결을 도모하는 체결체(10), 상기 체결체(10)와 연결되는 연결체(20), 상기 연결체(20)의 후부에 구성되는 회동체(30), 상기 회동체(30)의 내부에 인입되는 회동구(40), 상기 회동구(40)에 장력을 인가하는 탄성체(50), 상기 회동체(30)와 체결되어 회동이 이루어지는 파지체(60)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체결체(10)는 용기체(1)의 일측에 체결되도록 단면이 원형인 원통으로 구성되어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용기체체결부(11)가 구성된다.
또한 체결체(10)는 상기 용기체체결부(11)의 후측에 단턱지도록 단면이 원형의 형태로 확장되어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연결체(20)와의 체결이 이루어지는 연결체체결부(13)가 용기체체결부(11)와 일체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체(20)는 내부가 원형으로 관통되는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된 선단 내측으로 연결체체결부(13)와 체결되도록 연결체체결부(13)에 형성된 나사산과 대응되는 나사산으로 이루어지는 체결부(21)가 형성된다.
또한 연결체(20)의 중단 내측으로 상기 체결부(21)의 하측 단부에 단턱지도록 축소되는 걸림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23)가 형성되는 연결체 부위의 외측으로 개방되는 개방부(25)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동체(30)는 연결체(20)의 후측에 구성되며 내부가 관통되는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후부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파지체(60)와의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구(40)는 연결체(20) 및 회동체(30)와 후술되는 파지체(60)의 내부에 각각 인입되도록 연장되는 봉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선단측으로는 연결체(20)의 걸림부(23)에 걸림되도록 구의 형태인 인입구(41)가 형성되고 후단측으로는 걸림판(43)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상기 탄성체(50)는 회동체(30)의 내부에서 회동구(40)의 중단을 수용하되, 단부가 걸림판(43)에 걸림되어 회동구(40)에 장력을 인가하여 회동구(40)가 연결체(20) 및 회동체(30) 내부에 인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파지체(60)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회동체(30)의 후측에 형성된 나사산과 체결되어 고정되고 파지체(60)의 선단 내측으로 회동구(40)의 걸림판(43)이 안착되는 안착부(63)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체결체(10)와 연결체(20)는 용기체(1)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회동체(30)와 파지체(60)는 회동구(40)와 함께 일측으로 회동되어 조리용기를 보관할 때에 회동체(30)와 파지체(60)를 회동하여 절첩시킴으로써 보관이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즉, 도 4(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체(60)를 손으로 파지하여 용기체(1) 측으로 절첩하고자 하면 회동체(30) 및 파지체(60)는 그 내부에 인입된 회동구(40)와 함께 회동되어 절첩된다.
이때 회동구(40)는 연결체(20)에 형성된 개방부(25)를 통해 절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회동구(40)를 수용하는 탄성체(50)는 회동구(40)의 걸림판(43)에 의해 압축되었다가 절첩이 완료되었을 때 다시 탄성되어 절첩된 상태를 유지시켜주게 되어 회동구(40)와 함께 회동체(30) 및 파지체(60) 또한 용기체(1) 측으로 절첩이 이루어지게 되어 조리용기의 부피가 줄어들어 보관이 용이하여 진다.
그리고 조리용기의 사용을 위하여 손잡이를 다시 원래상태로 복원하기 위해서는 위의 역순으로 사용하면 되고, 이때 회동구(40)는 탄성체(50)에 의해 지지되어 절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절첩과 복원이 번거롭지 않아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20)의 후단면측으로 다수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제1돌출구(27)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30)의 선단면측으로 연결체(20)에 형성된 제1돌출구(27)가 개별적으로 각각 인입되는 제1인입홈(37)이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회동체(30) 및 파지체(60)가 절첩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체(50)가 회동구(40)를 지지하는 힘보다 큰 외력이 발생할 때에도 제1돌출구(27)가 제1인입홈(37)에 인입되어 고정됨으로써 회동체(30) 및 파지체(60)가 절첩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손잡이의 강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도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지체(60)는 용기체(1)의 외측의 형상과 동일하게 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하여 파지체(60)가 절첩되었을 때 용기체(1)의 외측의 곡선과 동일하게 절첩되어 접철된 상태의 조리용기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구현하면서도 안정적인 보관이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조리용기의 손잡이의 외관을 고려하여 파지체(60) 곡선의 형태를 좌, 우측으로 형성하지 않고 아래방향으로 형성하여 파지체(60)가 절첩되면 파지체(60)를 90°로 회전하여 용기체(1)의 외측 곡선과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또한 도 5(a),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체(2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구(29)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30) 및 파지체(60)가 절첩된 후 회동체(30) 및 파지체(60)가 용기체(1)의 외측면에 자체적으로 회전되었을 때 연결체(20)에 형성되는 제2돌출구(29)를 수용할 수 있도록 회동체(30)의 선단면측으로 제2인입홈(39)이 형성되어 회동체(30) 및 파지체(60)가 회전하여 용기체(1)의 외측 곡선과 동일하게 유지될 때 제2돌출구(29)를 제2인입홈(39)에 인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용기체(1)의 외측으로 회동체(30) 및 파지체(60)가 절첩되어 회전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1 : 용기체 10 : 체결체
11 : 용기체체결부 13 : 연결체체결부
20 : 연결체 21 : 체결부
23 : 걸림부 25 : 개방부
27 : 제1돌출구 29 : 제2돌출구
30 : 회동체 37 : 제1인입홈
39 : 제2인입홈 40 : 회동구
41 : 인입구 43 : 걸림판
50 : 탄성체 60 : 파지체
63 : 안착부
11 : 용기체체결부 13 : 연결체체결부
20 : 연결체 21 : 체결부
23 : 걸림부 25 : 개방부
27 : 제1돌출구 29 : 제2돌출구
30 : 회동체 37 : 제1인입홈
39 : 제2인입홈 40 : 회동구
41 : 인입구 43 : 걸림판
50 : 탄성체 60 : 파지체
63 : 안착부
Claims (4)
- 음식물이 조리되는 용기체 일측에 돌출되어 파지 가능한 조리용기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용기체(1)의 일측에 체결되도록 외측이 나사산이 형성되는 용기체체결부(11) 및 상기 용기체체결부(11)의 후측에 단턱지도록 확장되어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체체결부(13)가 일체로 구성되는 체결체(10);
내부가 관통되는 원통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관통된 선단 내측으로 연결체체결부(13)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는 체결부(21)가 형성되고 중단 내측으로 상기 체결부(21)에 단턱지도록 축소되는 걸림부(23)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23)가 형성되는 부위의 외측이 개방되는 개방부(25)가 형성되는 연결체(20);
상기 연결체(20)의 후측에 구성되며 내부가 관통되는 원통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후부 외측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는 회동체(30);
상기 연결체(20) 및 회동체(30) 내부에 각각 인입되도록 연장되는 봉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선단측으로는 연결체(20)의 걸림부(23)에 걸림되는 인입구(41)가 형성되고 후단측으로는 걸림판(43)이 형성되는 회동구(40);
상기 회동체(30)의 내부에서 회동구(40)의 중단을 수용하되, 단부가 걸림판(43)에 걸림되어 회동구(40)에 장력을 인가하는 탄성체(50);
상기 회동체(30)의 후측과 체결되어 고정되어 선단 내측으로 회동구(40)의 걸림판(43)이 안착되는 안착부(63)가 형성되는 파지체(60);
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20)의 후단면측으로 다수의 돌기로 이루어지는 제1돌출구(27)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30)의 선단면측으로 연결체(20)에 형성된 제1돌출구(27)가 인입되는 제1인입홈(37)이 다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체(60)는 용기체(1)의 외측의 형상과 동일하게 곡선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20)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구(29)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체(30) 및 파지체(60)가 절첩된 후 회동체(30) 및 파지체(60)가 용기체(1)의 외측면에 회전되었을 때 제2돌출구(29)를 수용할 수 있는 회동체(30)의 선단면측으로 제2인입홈(39)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용기용 손잡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8495A KR101257822B1 (ko) | 2011-10-24 | 2011-10-24 | 조리용기용 손잡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8495A KR101257822B1 (ko) | 2011-10-24 | 2011-10-24 | 조리용기용 손잡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57822B1 true KR101257822B1 (ko) | 2013-05-02 |
Family
ID=4866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08495A KR101257822B1 (ko) | 2011-10-24 | 2011-10-24 | 조리용기용 손잡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57822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9482B1 (ko) | 2014-05-29 | 2015-04-08 | 이동우 | 주방용기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 |
KR102240532B1 (ko) * | 2020-10-30 | 2021-04-15 | 김현우 | 회전손잡이를 갖는 용기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3801Y1 (ko) | 2004-03-31 | 2004-06-22 | 주식회사 킴스핸들 | 접이식 냄비 손잡이 구조 |
-
2011
- 2011-10-24 KR KR1020110108495A patent/KR10125782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3801Y1 (ko) | 2004-03-31 | 2004-06-22 | 주식회사 킴스핸들 | 접이식 냄비 손잡이 구조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09482B1 (ko) | 2014-05-29 | 2015-04-08 | 이동우 | 주방용기용 접이식 손잡이 구조 |
CN104757891A (zh) * | 2014-05-29 | 2015-07-08 | 李东雨 | 折叠式把手结构 |
EP2949248A1 (en) * | 2014-05-29 | 2015-12-02 | Dong Woo Lee | Folding style handle structure for cookware |
KR102240532B1 (ko) * | 2020-10-30 | 2021-04-15 | 김현우 | 회전손잡이를 갖는 용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298775B1 (en) | Pan with a foldable handle | |
CN104757891B (zh) | 折叠式把手结构 | |
US8695838B1 (en) | Bowl with utensil holder | |
KR101257822B1 (ko) | 조리용기용 손잡이 | |
US20110179954A1 (en) | Multi-purpose basket | |
KR102393089B1 (ko) |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 |
KR101765516B1 (ko) | 다용도 싱크대 | |
CN211459761U (zh) | 一种能够隔开调味渣的炖锅 | |
CN208709348U (zh) | 多功能组合锅 | |
CN209846879U (zh) | 一种可堆叠锅具套装 | |
KR101588594B1 (ko) | 휴대용 접이식 숯불구이기 | |
KR100750087B1 (ko) | 주방용품 걸이대 손잡이 | |
US20120145865A1 (en) | Pot and utensil rest | |
CN107661025B (zh) | 一种便携蒸笼 | |
CN207575016U (zh) | 微压锅 | |
KR20230074881A (ko) |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 |
KR101715068B1 (ko) | 꼬치용 포장상자 | |
KR200359504Y1 (ko) | 조리용팬의 회전식 탈부착 손잡이 구조 | |
CN212281111U (zh) | 一种新型安全伸缩调味锅铲 | |
CN215738574U (zh) | 一种烹饪器具 | |
KR200450286Y1 (ko) |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 |
CN214855993U (zh) | 一种烹饪器具 | |
KR200175855Y1 (ko) | 주방용 다용도 가구 | |
JP3108226U (ja) | 調理ボックス | |
CN215820642U (zh) | 用于烹饪器具的门体结构和烹饪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21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