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0286Y1 -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0286Y1
KR200450286Y1 KR2020080006647U KR20080006647U KR200450286Y1 KR 200450286 Y1 KR200450286 Y1 KR 200450286Y1 KR 2020080006647 U KR2020080006647 U KR 2020080006647U KR 20080006647 U KR20080006647 U KR 20080006647U KR 200450286 Y1 KR200450286 Y1 KR 2004502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ing
knob
bracke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66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995U (ko
Inventor
이신근
Original Assignee
비전아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전아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전아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066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0286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9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99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02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02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조리용기(100)의 테두리(110)에 마련되며, 중심에는 축관통홀(131)이 천공되고 가장자리에는 록킹홈(133)(134)이 형성된 원반형태의 손잡이-결합부(130)가 선단에 일체로 이루어진 브래킷(120)과; 선단에는 브래킷(120)의 손잡이-결합부(130)가 수평방향으로 수용되며 축관통홀(131)을 관통하는 힌지핀(260)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슬롯형태의 브래킷-수용홈(230)이 형성되고, 선단부 상면에 오목하게 노브-슬라이딩홀(211)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손잡이(200)와; 손잡이(200)의 노브-슬라이딩홀(211)을 따라 손잡이(200) 상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 하부에는 브래킷(120)의 록킹홈(133)(134)에 삽탈되어 손잡이(200)의 회동을 구속하기 위한 록킹핀(330)이 마련된 록킹노브(300)와; 록킹노브(300)의 후단 하부에 장착되어 손잡이(200) 선단 내부에서 일체로 이동하며, 후방으로 지지돌기(341)가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블록(340)과; 지지블록(340)의 지지돌기(341)에 선단이 결합되어 손잡이(200) 내부에서 록킹노브(300)와 록킹핀(330)을 전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40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리용기, 손잡이, 접이식, 록킹노브, 핀, 브래킷

Description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A COOKWARE HAVING HANDLE}
본 고안은 주방에서 사용되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조리기구의 수납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굽거나 계란 후라이 등과 같은 조리 시 사용되는 주방용 조리기구는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된 조리기 본체와, 이 조리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다. 조리기구 손잡이는 조리기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어서, 이를 잡고서 요리를 하거나 조리기구를 옮길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조리기구의 경우 손잡이가 음식물 조리 과정 시 유용하게 활용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돌출된 손잡이 구조로 인해 조리기구를 보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2개 이상의 조리기구를 사용하여 조리를 하는 경우 조리기 본체에 돌출되게 장착된 손잡이로 인해 부피가 증가하여 간섭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이며, 수납/보관의 경우에도 돌출된 손잡이로 인해 조리기구의 적층 보관이 어려워 수납공간을 상당하게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고안자는 손잡이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수납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를 실용신안등록출원(출원번호 20-2007-0004445호)하여 권리를 확보(등록번호 20-0439892호)하고 있다. 이러한 실용신안등록 20-0439892호에 개시된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는; 축관통홀이 천공된 손잡이-결합부가 선단에 마련된 브래킷이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이루어진 조리기 본체와; 상기 축관통홀을 관통하는 힌지축을 통해 상기 브래킷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선단에 힌지-결합부가 마련되며, 선단부 상면에 오목하게 버튼 수용부가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버튼 수용부에 중심부위가 축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선,후단이 상하운동 가능하며, 선단 하부에는 상기 브래킷에 천공된 록킹홀에 삽탈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동을 구속 및 해지하기 위한 록킹핀이 마련된 록킹버튼과; 상기 록킹버튼의 선단이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버튼 수용부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버튼의 후단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록킹버튼의 후단이 위치되는 상기 버튼 수용부의 후방측 공간에 삽탈되어 상기 록킹버튼의 상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조리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조리게 본체에서 손잡이를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록킹버튼의 후방측 공간에 삽탈 가능하게 배치된 스토퍼를 통해 손잡이 록킹 및 록킹해제를 안전하게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종래 실용신안등록 20-0439892호에 개시되 조리기구에서는 손잡이를 좌우로 접철시키기 위해서는 항상 버튼 수용부로 스토퍼를 상측으로 들어 올려야만 하기 때문에 이의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또한, 손잡이 선단에 록킹버튼을 수용 설치를 위한 버튼 수용부가 개방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리기구를 사용 또는 세척 중에 버튼 수용부에 이물질이 끼일 염려가 있는 것은 물론이며 세척 역시 불편한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조리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조리기 본체에서 손잡이를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록킹 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며 상당한 주의를 갖고 동작시켜야만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접이식 손잡이의 버튼 설치 부위로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조리물을 담을 수 있도록 테두리가 형성된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의 테두리에 마련되며, 중심에는 축관통홀이 천공되고 가장자리에는 록킹홈이 형성된 원반형태의 손잡이-결합부가 선단에 일체로 이루어진 브래킷과; 선단에는 상기 브래킷의 손잡이-결합부가 수평방향으로 수용되며 상기 축관통홀을 관통하는 힌지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슬롯형태의 브래킷-수용홈이 형성되고, 선단부 상면에 오목하게 노브-슬라이딩홀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노브-슬라이딩홀을 따라 상기 손잡이 상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 하부에는 상기 브래킷의 록킹홈에 삽탈 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동을 구속하기 위한 록킹핀이 마련된 록킹노브와; 상기 록킹노브의 후단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 선단 내부에서 일체로 이동하며, 후방으로 지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지지돌기에 선단이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 내부에서 상기 록킹노브와 상기 록킹핀을 전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록킹노브가 상기 손잡이의 노브-슬라이딩홀에 수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며 하면에 상기 지지블록이 스크루 장착되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 상면에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브-슬라이딩홀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손잡이의 선단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부의 상면은 중앙이 높고 전단과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되, 후단 경사면은 밋밋하게 이루어지고 전단 경사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록킹홈이 상기 손잡이를 중앙으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이 삽탈될 수 있는 센터-록킹홈과; 상기 손잡이를 일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이 삽탈될 수 있는 사이드-록킹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브래킷의 손잡이-결합부 상면에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의 브래킷-수용홈 상면에 상기 가이드돌기가 수용되는 원호형태의 가이드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록킹핀이 상기 센터-록킹홈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 걸리고, 상기 록킹핀이 상기 사이드-록킹홈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 드홈의 타측에 걸려, 상기 손잡이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을 일측방향으로는 허용하고 타측방향으로는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에 의하면; 브래킷의 손잡이-결합부에 힌지핀을 통해 결합된 손잡이를 수평방향으로 회동하여 접어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수납 보관 시 조리기구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록킹노브의 록킹핀에 의해 손잡이의 록킹 상태가 견실하게 유지되는 것은 물론이며, 미끄럼 방지돌기가 마련된 록킹노브의 전단 경사면을 누르면서 당겨야만 록킹노브의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및 제품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 상면에 천공된 노브-슬라이딩홀이 록킹노브의 덮개부에 의해 완전하게 덮여지기 때문에, 록킹노브 설치부위로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손잡이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의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접이식 손잡이를 계란 후라이 등과 같은 부침요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용 팬에 적용한 것 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물이 놓여 직접 가열되며 테두리(110) 외측에 브래킷(120)이 돌출되게 마련된 조리용기(100)와, 이 조리용기(100)의 브래킷(120)에 선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200)를 갖추고 있다. 이 손잡이(200)는 브래킷(12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는 것으로, 이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 및 허용하기 위해 록킹핀(330;도 2참조)이 마련된 록킹노브(300)와, 이 록킹노브(300)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400;도 4참조) 등을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조리용기(100)는 다이케스팅 머신을 통해 상부가 개방된 사발형상으로 단조 가공된 것으로, 이의 가장자리에는 상부로 연장된 테두리(110)가 형성된다. 이러한 조리용기(100) 테두리(110)에는 손잡이(200) 결합을 위한 브래킷(120)이 바깥측을 향하도록 일체로 성형된다.
이 브래킷(12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의 선단은 힌지핀(260) 결합을 위한 축관통홀(131)이 중심부위에 천공된 원반형태의 손잡이-결합부(130)로 이루어져 있다. 손잡이-결합부(130)의 축관통홀(131)에는 힌지핀(260)이 여유있게 관통하면서 회전이 간섭되지 않도록 금속제 부시(132)가 배치된다. 또한, 손잡이-결합부(130) 가장자리에는 손잡이(200)측의 록킹핀(330)이 선택적으로 삽탈되어 손잡이(200) 회동을 구속 또는 허용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록킹홈(133)(134)이 마련된다. 복수개의 록킹홈(133)(134)은 손잡 이(200)를 중앙으로 펼친 상태에서 록킹핀(330)이 삽탈될 수 있도록 손잡이-결합부(130)의 선단 중앙에 마련된 센터-록킹홈(133)과, 손잡이(200)를 일측{사용자가 손잡이(200)를 잡은 상태에서 좌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록킹핀(330)이 삽탈될 수 있도록 손잡이-결합부(130)의 좌측 가장자리에 천공된 사이드-록킹홈(134)으로 구별된다. 이러한 록킹홈(133)(134)들은 록킹핀(330)의 회전반경 라인 상에 반원형 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200) 회전위치에 따라 록킹핀(330)이 자연스럽게 삽탈될 수 있다.
또한, 브래킷(120)의 손잡이-결합부(130)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135)가 돌출되게 마련되는데, 이것은 후술하는 손잡이(200)의 가이드홈(231)에 수용됨으로써 손잡이(200)가 타측방향{사용자가 손잡이(200)를 잡은 상태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조리용기(100)의 테두리(110)와 인접하는 브래킷(120) 하면에는 화기-차단벽(121)이 아래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 화기-차단벽(121)은 조리 시 화염이 브래킷(120)의 손잡이-결합부(130)측으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화염은 조리용기 벽면을 타고 올라가는 성질이 있는데, 화기-차단벽(121)에 의해 화염이 합성수지로 제작된 손잡이(200) 측으로 직접 넘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손잡이(200)는 스크루를 통해 상호 상하로 결합되는 상부본체(210)와 하부본체(220)로 이루어진다. 즉, 상부본체(210)와 하부본체(220)가 결합됨으로써, 손잡이(200) 선단부에는 힌지핀(260)을 통해 브래킷(120)의 손잡이-결합부(13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브래킷-수용홈(230)이 형 성되며, 이의 후단부에는 걸이홀(240)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손잡이(200)의 선단 하측에는 축관통홀(131)과 일치되어 힌지핀(260)이 관통하도록 관통된 축결합홀(250)이 마련되며, 손잡이(200)의 선단 상부측에는 축결합홀(250)과 상하로 일치되도록 너트(270)가 인서트되어 있다.
손잡이(200)의 브래킷-수용홈(43)은 손잡이(200)의 선단부에서 브래킷(120)의 손잡이-결합부(130)가 삽입되도록 슬롯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손잡이(200)의 브래킷-수용홈(131) 상면에는 가이드돌기(135)가 수용되는 원호형태의 가이드홈(231)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손잡이(200)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손잡이(200)의 회동을 일측방향으로는 허용하고 타측방향으로는 구속하게 된다. 그리고 손잡이(200)의 선단 상부에는 록킹노브(30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패인 노브-슬라이딩홀(211)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또한, 힌지핀(260)은 수나사가 가공된 일종의 스크루로 구성되는데, 하측에서 상측으로 축결합홀(250)과 축관통홀(131)을 관통시킨 후 손잡이(200)에 인서트된 너트(270)에 조이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손잡이(200) 선단이 브래킷(120)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때, 브래킷(120)의 손잡이-결합부(130)가 브래킷-수용홈(230)에 수용되어 힌지핀(260)을 통해 결합되면, 가이드돌기(135) 역시 원호 형태의 가이드홈(231) 내측에 수용된다. 그리고 손잡이(200)의 선단 상부에는 록킹노브(300)의 전후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패인 노브-슬라이딩홀(211)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록킹노브(300)는 노브-슬라이딩홀(211)을 따라 손잡이(200) 상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 하부에는 브래킷(120)의 록킹홈(133)(134)에 삽탈되어 손잡이(2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할 수 있는 록킹핀(330)이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러한 록킹노브(300)는 손잡이(200)의 노브-슬라이딩홀(211)에 수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되며 하면 선단에 록킹핀(330)이 마련되는 슬라이딩부(310)와, 이 슬라이딩부(310)의 상면에 일체로 이루어지며 노브-슬라이딩홀(211)의 상부를 덮으면서 손잡이(200)의 선단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덮개부(320)로 정의된다. 따라서 록킹노브(300)는 손잡이(200) 상부에서 결합되며, 이로 인해 노브-슬라이딩홀(211)은 록킹노브(300)의 덮개부(320)에 의해 외부에서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록킹노브(300)의 덮개부(320) 상면은 중앙이 높고 전단과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후단 경사면(321)은 밋밋하게 이루어져 있으며, 전단 경사면(322)에는 미끄럼 방지돌기(32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미끄럼 방지돌기(323)가 형성된 록킹노브(300)의 전단 경사면(322)을 누르면서 록킹노브(300)를 후진시킬 수 있는 반면에, 록킹노브(300)의 후단 경사면(321)을 누르는 경우에는 자연스럽게 미끄러져 록킹노브(3000를 후진시킬 수 없게 된다. 결국, 록킹노브(300)의 전단 경사면(322)을 누르면서 록킹노브(300)를 후진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것은 사용자가 부주의로 록킹노브(300) 후단을 누르는 경우에는 후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록킹노브(300)의 후단, 즉 록킹노브(300)의 슬라이딩부(310) 하부 후단에는 손잡이(200) 선단 내부에서 록킹노브(300)와 일체로 이동하며 후방으로 지지돌기(341)가 돌출되게 마련된 지지블록(340)이 스크루(350)를 통해 결합된다. 이 지지블록(340)은 록킹노브(300)가 손잡이(200) 상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이며 탄성부재(400)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록킹핀(330)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브래킷(120)의 센터-록킹홈(133) 또는 사이드-록킹홈(134)에 선택적으로 삽탈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조리기구가 가열된 상태에서 변형되지 않도록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탄성부재(400)는 손잡이(200) 선단 내부에서 록킹노브(300)와 록킹핀(330)이 전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즉,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탄성부재(400)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이의 일단은 지지블록(340)의 지지돌기(341)에 결합되며 이의 후단은 손잡이(200) 내부에 형성된 걸림턱(280)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따라 록킹노브(300)는 항상 전진하는 방향으로 지지되며(도 3의 화살표 A 방향), 이로 인해 록킹핀(330)이 록킹홈(133)(134)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00)를 중앙에 위치시킨 후 센터-록킹홈(133)에 록킹노브(300)의 록킹핀(330)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손잡이(200)가 조리용기(1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손잡이(200)를 잡고 요리를 하거나, 손잡이(200)를 잡고 조리기기를 옮길 수 있다.
이때, 록킹노브(300)의 록킹핀(330)은 센터-록킹홈(133)에 견실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손잡이(200)는 좌우로 흔들림 없이 펼쳐진 상태 그대로 록킹된다. 이러한 록킹 상태는 탄성부재(400)가 록킹노브(300)를 전방측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며(도 3의 화살표 A 방향),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그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부주의로 록킹노브(300) 상면의 후단 경사면(321)을 누른다 하더라도 이 부분은 밋밋하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바로 미끄러지며 이로 인해 록킹노브(300)의 후진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아울러, 가이드돌기(135)는 원호형태의 가이드홈(231) 일측에 걸린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손잡이(200)가 좌우로 흔들림없이 보다 견실하게 고정된다. 또한, 가스렌지 등을 통해 조리를 하는 과정에서 화염은 조리용기(100)의 외벽을 타고 올라오는 성질이 있는데, 브래킷(120) 하면의 화기-차단벽(121)에 의해 화염이 손잡이-결합부(130), 즉 손잡이(200) 측으로 향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접이식 손잡이(200)가 화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200)를 접어 조리기구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즉, 손잡이(200)를 잡은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미끄럼 방지돌기(323)가 마련된 록킹노브(300)의 전단 경사면(322)을 누르면서 이를 당기면(도 4의 화살표 B 방향), 록킹핀(330)이 센터-록킹홀(133)로부터 빠져나온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200)를 좌측으로 밀어 회동시키면, 힌지핀(260)을 중심으로 손잡이(200)를 좌측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다(도 5의 화살표 방향 참조). 또한, 손잡이(200)를 90도 정도 접으면, 록킹핀(330)은 사이드-록킹홈(134)에 결합되며 이로 인해 손잡이(200)는 접혀진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이러한 경우 가이드돌기(135)는 원호형태의 가이드홈(231) 타측에 걸린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손잡 이(200)가 좌우로 흔들림없이 보다 견실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록킹핀(330)을 통해 손잡이(200)가 또다시 록킹됨으로써, 이를 해지시키지 않고서는 손잡이(200)를 펼칠 수 없다. 또한, 손잡이(200)를 중앙으로 펼쳐 조리기기를 다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미끄럼 방지돌기(323)가 마련된 록킹노브(330)의 전단 경사면을 누르면서 당기면 사이드-록킹홈(134)으로부터 록킹핀(330)이 이탈되며, 이에 따라 손잡이(200)를 손쉽게 중앙으로 펼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실제, 사진으로 첨부된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 출원인(비전아트 주식회사)이 생산하는 조리용 팬 손잡이에 적용하여 판매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도 6은 조리용 팬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접이식 손잡이를 펼친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7에서는 손잡이를 접어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를 보인 것이고, 손잡이가 조리용기 측으로 접혀져 간편하게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록킹홈을 센터-록킹홈(133)과 사이드-록킹홈(134)과 같이 2개 구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브래킷(120)의 손잡이-결합부(130) 선단에 센터-록킹홈(133) 하나면 구성하여도 본 고안의 소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의 접이식 손잡이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Ⅲ - Ⅲ선에 따른 단면도로, 록킹핀이 센터-록킹홈에 결합되어 접이식 손잡이의 록킹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의 록킹 해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의 사용 상태를 보인 조리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6과 도 7은 본 고안이 적용된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용 팬의 실제 제품사진을 보인 것으로, 도 6은 손잡이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것이고, 도 7은 손잡이가 접혀진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조리용기 120..브래킷
130..손잡이-결합부 133,134..록킹홈
135..가이드돌기 200..손잡이
211..노브-슬라이딩홀 230..브래킷-수용홈
231..가이드홈 260..힌지핀
300..록킹노브 320..덮개부
323..미끄럼 방지돌기 330..록킹핀
340..지지블록 400..탄성부재

Claims (4)

  1. 삭제
  2. 조리물을 담을 수 있도록 테두리가 형성된 조리용기와;
    상기 조리용기의 테두리에 마련되며, 중심에는 축관통홀이 천공되고 가장자리에는 록킹홈이 형성된 원반형태의 손잡이-결합부가 선단에 일체로 이루어진 브래킷과;
    선단에는 상기 브래킷의 손잡이-결합부가 수평방향으로 수용되며 상기 축관통홀을 관통하는 힌지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슬롯형태의 브래킷-수용홈이 형성되고, 선단부 상면에 오목하게 노브-슬라이딩홀이 길이방향으로 천공된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노브-슬라이딩홀을 따라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선단 하부에 상기 브래킷의 록킹홈에 삽탈되어 상기 손잡이의 회동을 구속하기 위한 록킹핀이 마련된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면에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브-슬라이딩홀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손잡이의 선단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되, 상면은 중앙이 높고 전단과 후단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의 후단 경사면은 밋밋하게 이루어지고 상면의 전단 경사면에는 미끄럼 방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덮개부로 이루어진 록킹노브와;
    상기 록킹노브의 슬라이딩부 후단 하부에 스크루를 통해 장착되어 상기 손잡이 선단 내부에서 일체로 이동하며, 후방으로 지지돌기가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지지돌기에 선단이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 내부에서 상기 록킹노브와 상기 록킹핀을 전진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홈은;
    상기 손잡이를 중앙으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이 삽탈될 수 있는 센터-록킹홈과;
    상기 손잡이를 일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이 삽탈될 수 있는 사이드-록킹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의 손잡이-결합부 상면에는 상측으로 돌출된 가이드돌기가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손잡이의 브래킷-수용홈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돌기가 수용되는 원호형태의 가이드홈이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록킹핀이 상기 센터-록킹홈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 걸리고, 상기 록킹핀이 상기 사이드-록킹홈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가이드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의 타측에 걸려, 상기 손잡이가 펼쳐진 상태에서는 상기 손잡이의 회동을 일측방향으로는 허용하고 타측방향으로는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KR2020080006647U 2008-05-22 2008-05-22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KR2004502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647U KR200450286Y1 (ko) 2008-05-22 2008-05-22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6647U KR200450286Y1 (ko) 2008-05-22 2008-05-22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995U KR20090011995U (ko) 2009-11-26
KR200450286Y1 true KR200450286Y1 (ko) 2010-09-16

Family

ID=4447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6647U KR200450286Y1 (ko) 2008-05-22 2008-05-22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0286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786U (ko) * 1990-02-14 1991-10-30
KR200353801Y1 (ko) * 2004-03-31 2004-06-22 주식회사 킴스핸들 접이식 냄비 손잡이 구조
JP2006102522A (ja) 1998-10-05 2006-04-20 Bialetti Industrie Spa 食物調理用の器具
KR200439892Y1 (ko) * 2007-03-19 2008-05-13 이신근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4786U (ko) * 1990-02-14 1991-10-30
JP2006102522A (ja) 1998-10-05 2006-04-20 Bialetti Industrie Spa 食物調理用の器具
KR200353801Y1 (ko) * 2004-03-31 2004-06-22 주식회사 킴스핸들 접이식 냄비 손잡이 구조
KR200439892Y1 (ko) * 2007-03-19 2008-05-13 이신근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995U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0958B2 (en) Hot air fryer cooking appliance with a scalable cooking capacity
KR101063568B1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KR100971872B1 (ko) 조리용기의 탈부착형 손잡이
US8641060B2 (en) Coffee caddy
FR2895224A1 (fr) Recipient de cuisine avec au moins un moyen de prehension pivotant
KR20090116855A (ko) 착탈식 조리용기 손잡이
WO2011126495A1 (en) Perforated vessel for food preparation
US6595607B2 (en) Counter top appliance stand
US8640906B2 (en) Multipurpose cooking stove container
KR200439892Y1 (ko)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KR101409024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양수 손잡이
KR200463179Y1 (ko) 냄비
KR200450286Y1 (ko)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GB2448767A (en) Electric liquid heating appliance having a movable handle
KR102486565B1 (ko) 착탈식 냄비 손잡이
KR100891298B1 (ko) 주방용기
KR200436052Y1 (ko)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KR200436045Y1 (ko)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KR101257822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JP2021520966A (ja) 調理器具用の取り外し可能なハンドル
EP2140792A1 (en) Handle element, handle or handle cover for a kitchen utensil and kitchen utensil preferably provided with such a handle element
JPH08243014A (ja) 断熱調理容器
KR102409582B1 (ko) 조리용기용 착탈식 손잡이
KR102141250B1 (ko) 접이용 뚜껑 손잡이
KR102044899B1 (ko)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