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6045Y1 -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6045Y1
KR200436045Y1 KR2020060031945U KR20060031945U KR200436045Y1 KR 200436045 Y1 KR200436045 Y1 KR 200436045Y1 KR 2020060031945 U KR2020060031945 U KR 2020060031945U KR 20060031945 U KR20060031945 U KR 20060031945U KR 200436045 Y1 KR200436045 Y1 KR 200436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locking
bracket
hol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31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신근
Original Assignee
이신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신근 filed Critical 이신근
Priority to KR2020060031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6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6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604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2Bowl handles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조리기 본체의 일측에 손잡이를 좌우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조리기구의 수납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의 접철 상태를 견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에 의하면; 축관통홀(21)이 천공된 브래킷(20)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조리기 본체(10)와; 축관통홀(21)을 관통하는 힌지축(30)을 통해 브래킷(20)에 선단부가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40)와; 이 손잡이(40) 선단의 버튼 수용부(41)에 중심부위가 축(51)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선,후단이 상하운동 가능하며, 선단 하부에는 브래킷(20)에 천공된 록킹홀(22)(23)(24)에 삽탈되어 손잡이(40)의 회동을 구속 및 해지하기 위한 록킹핀(52)이 마련된 록킹버튼(50)과; 이 록킹버튼(50)의 선단이 하측을 향하도록 버튼 수용부(41)에 배치되어 록킹버튼(50)의 후단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A COOKWARE HAVING HANDL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조리기구의 조리기 본체에 마련된 브래킷 구조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의 Ⅲ - Ⅲ선에 따른 단면도로, 접이식 손잡이의 조립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의 록킹 해제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의 접은 상태를 보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조리기 본체 20..브래킷
21..축관통홀 22,23,24..록킹홀
25,26..상,하부 가이드돌기 30..힌지축
40..손잡이 50..록킹버튼
52..록킹핀 60..탄성부재
본 고안은 주방에서 사용되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접이식으로 구성하여 조리기구의 수납 보관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기를 굽거나 계란 후라이 등과 같은 조리 시 사용되는 주방용 조리기구는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된 조리기 본체와, 이 조리기 본체의 가장자리에 장착된 손잡이를 구비하고 있다. 조리기구의 손잡이는 조리기 본체의 가장자리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장착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잡고 요리를 수행하거나 조리기구를 옮길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조리기구의 경우 손잡이가 음식물 조리 과정 시 유용하게 활용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돌출된 손잡이 구조로 인해 조리기구를 보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2개 이상의 조리기구를 사용하여 조리를 하는 경우 조리기 본체에 돌출되게 장착된 손잡이로 인해 부피가 증가하여 간섭이 발생되는 것은 물론이며, 수납/보관의 경우에도 돌출된 손잡이로 인해 조리기구의 적층 보관이 어려워 수납공간을 상당하게 차지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손잡이를 조리기 본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손잡이를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손잡이 록킹 상태를 견실하게 유지하는 것은 물론이며 록킹 해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손잡이의 접철 시 이의 스윙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축관통홀이 천공된 브래킷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조리기 본체와; 축관통홀을 관통하는 힌지축을 통해 브래킷에 선단부가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와; 손잡이 선단의 버튼 수용부에 중심부위가 축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선,후단이 상하운동 가능하며, 선단 하부에는 브래킷에 천공된 록킹홀에 삽탈되어 손잡이의 회동을 구속 및 해지하기 위한 록킹핀이 마련된 록킹버튼과; 록킹버튼의 선단이 하측을 향하도록 버튼 수용부에 배치되어 록킹버튼의 후단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손잡이의 선단부에 브래킷이 수용되어 힌지축을 통해 결합되도록 슬롯형태의 브래킷-수용홈이 수평방향으로 마련되고; 브래킷의 상하면에 축관통홀의 중심과 동심으로 상,하부 가이드돌기가 띠 형태로 돌출되게 이루어져; 브래킷이 브래킷-수용홈에 수용되어 힌지축을 통해 결합되면 상,하부 가이드돌기가 브래킷-수용홈의 상하 벽면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록킹홀이 손잡이를 중앙으로 펼친 상태에서 록킹핀이 삽탈될 수 있는 중앙 록킹홀과, 손잡이를 우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록킹핀이 삽탈될 수 있는 우측 록킹홀과, 손잡이를 좌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록킹핀이 삽탈될 수 있는 좌측 록킹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록킹홀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홀로 이루어지며; 록킹핀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핀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손잡이를 조리기 본체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 사용하지 않을 경우 손잡이를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손잡이의 접철 시 이의 회전(스윙)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의 구조를 보인 것이고, 도 4와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의 작동상태를 보인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접이식 손잡이를 계란 후라이 등과 같은 부침요리를 수행할 수 있는 조리용 팬에 적용한 것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리물이 놓여 직접 가열되며 테두리(11) 외측에 브래킷(20)이 돌출되게 마련된 조리기 본체(10)와, 이 조리기 본체(10)의 브래킷(20)에 선단부가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40)를 갖추고 있다. 이 손잡이(40)는 브래킷(20)에 장착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것으로, 이의 회동을 구속 및 해지하기 위해 록킹핀(52;도 3참조)이 마련된 록킹버튼(50)과, 이 록킹버튼(50)을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부재(60;도 3참조)를 등을 갖추고 있는데, 각 구성요소들의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조리기 본체(10)는 다이케스팅 머신을 통해 상부가 개방된 사발형상으로 단조 가공된 것으로, 이의 가장자리는 상부로 연장되어 테두리(11)를 형성한다. 이러한 조리기 본체(10)의 테두리(11)에는 손잡이(40) 결합을 위한 브래킷(20)이 바깥측을 향하도록 일체로 성형된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브래킷(20)이 조리기 본체(10)의 테두리(11)에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 하였지만, 브래킷(20)을 별도로 제작하여 조리기 본체(10)에 장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브래킷(2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지며, 여기에는 힌지축(30) 결합을 위한 축관통홀(21)이 중심부위에 천공되어 있다. 또한, 브래킷(20)에는 손잡이(40) 측에 마련된 록킹핀(52)이 삽탈되어 손잡이(40) 회동을 구속 또는 해지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록킹홀(22)(23)(24)이 천공된다. 이 복수개의 록킹홀(22)(23)(24)은 손잡이(40)를 중앙으로 펼친 상태에서 록킹핀(52)이 삽탈될 수 있도록 브래킷(20)의 선단 중앙에 천공된 중앙 록킹홀(22)과, 손잡이(40)를 우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록킹핀(52)이 삽탈될 수 있도록 브래킷(20)의 우측 가장자리에 천공된 우측 록킹홀(23)과, 손잡이(30)를 좌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록킹핀(52)이 삽탈될 수 있도록 브래킷(20)의 좌측 가장자리에 천공된 좌측 록킹홀(24)로 구별된다. 이러한 록킹홀(22)(23)(24)들은 록킹핀(52)의 회전반경 라인상에 천공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40) 회전위치에 따라 록킹핀(52)이 자 연스럽게 삽탈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록킹홀(22)(23)(24)들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홀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것은 록킹핀(52)의 삽탈을 용이하게 하는 것은 물론이며 록킹핀(52)이 삽입되었을 때 접촉면적을 극대화하여 견실한 결합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브래킷(20)의 상,하면에는 축관통홀(21)의 중심과 동심으로 상,하부 가이드돌기(25)(26)가 띠 형태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즉, 상,하부 가이드돌기(25)(26)는 축관통홀(21) 주변을 따라 원형으로 돌출되게 이루어져 있는데{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상,하부 가이드돌기(25)(26)의 돌출 높이는 0.3mm 정도로 구성하였다}, 이는 손잡이(40) 선단과 선접촉하여 이의 회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것은 후술하는 작동설명에서 상술한다.
그리고 도 1과 도 3을 참조하면, 손잡이(40)는 힌지축(30)을 통해 브래킷(20)에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손잡이(40) 선단에는 축관통홀(21)과 일치되어 힌지축(30)이 관통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축결합홀(42)과, 이 축결합홀(42)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이루어져 브래킷(20)이 수평방향으로 수용되는 브래킷-수용홈(43)이 마련된다. 이 브래킷-수용홈(43)은 플레이트 형태의 브래킷(20)이 삽입되도록 슬롯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힌지축(30)은 선단에 수나사가 가공된 볼트 형태로, 축관통홀(21)과 축결합홀(42)을 관통시킨 후 선단에 너트를 조이면 고정된다.
따라서 브래킷-수용홈(43)에 브래킷(20)을 수용시킨 후 축관통홀(21)과 축결 합홀(42)에 힌지축(30)을 결합하면, 손잡이(40) 선단이 브래킷(20)에 좌우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 때, 브래킷(20)이 브래킷-수용홈(43)에 수용되어 힌지축(30)을 통해 결합되면, 상,하부 가이드돌기(25)(26)가 브래킷-수용홈(43)의 상하 벽면에 선(線)접촉한다. 이에 따라 힌지축(30)을 견실하게 조여도 손잡이(40)는 선접촉된 브래킷(20)에서 좌우 회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40)의 선단 상부에는 록킹버튼(50)을 수용 설치할 수 있도록 오목하게 패인 버튼 수용부(41)가 마련된다. 그리고 록킹버튼(50)은 중심부위가 버튼 수용부(41)에서 축(51)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선단과 후단이 상하 운동 가능하며, 이의 선단 하부에는 브래킷(20)에 천공된 록킹홀(22)(23)(24)에 삽탈되어 손잡이(40) 회동을 구속 및 해지할 수 있는 록킹핀(52)이 돌출되게 마련된다. 이 록킹핀(52)은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중앙 록킹홀(22) 또는 좌,우측 록킹홀(23)(24)에 선택적으로 삽탈 될 수 있는 것으로, 이의 하단은 록킹홀(22)(23)(24)의 형상과 부합되는 형태, 즉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핀으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록킹핀(52)이 록킹홀(22)(23)(24)에서 용이하게 빠져나올 수 있으며, 록킹홀(22)(23)(24)에 삽입되면 이의 벽면과 접촉하여 견실한 결합상태를 이룬다.
한편, 탄성부재(60)는 버튼 수용부(41)에서 록킹버튼(50) 선단이 하측을 향하도록 록킹버튼(50) 후단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즉,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 탄성부재(60)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이것은 버튼 수용부(41) 후방의 스프링 안착부(44)에 안착되어 자체의 탄성 복원력으로 록킹버튼(50) 후단을 상측으로 지지한다. 이에 따라 록킹버튼(50) 선단은 항상 하측 방향으로 하중을 받으며, 이로 인해 록킹핀(52)이 록킹홀(22)(23)(24)에 삽입된 상태에서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이탈되지 않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의 작동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40)를 중앙에 위치시킨 후 중앙 록킹홀(22)에 록킹핀(52)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손잡이(40)가 조리기 본체(10)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되게 위치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손잡이(40)를 잡고 요리를 하거나, 손잡이(40)를 잡고 조리기기를 옮길 수 있다. 이 때, 록킹핀(52)이 중앙 록킹홀(22)에 견실하게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손잡이(40)는 좌우로 흔들림 없이 펼쳐진 상태 그대로 록킹된다. 이러한 록킹 상태는 탄성부재(60)가 록킹버튼(50) 후단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고 있기 때문이며, 이러한 상태는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한 그대로 유지된다.
한편, 손잡이(40)를 접어 조리기구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버튼(50) 후단을 눌러 이의 선단을 상측으로 들어 올린다(도 4의 화살표 방향 참조). 따라서 록킹핀(52)이 중앙 록킹홀(22)로부터 빠져나오며,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40)를 조리기 본체(10) 테두리(11) 측으로 밀어 회동시킨다. {이 때, 브래킷(20)과 손잡이(40) 선단은 상,하부 가이드돌기(25)(26)에 의해 선(線)접촉된 상태이기 때문에, 손잡이(40) 회동은 면(面)접촉에 비해 상대적으로 보다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결국,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축(30)을 중심으로 손잡이(40)를 우측 또는 좌측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다(도 5의 화살표 방향 참조). 또한, 손잡이(40)를 접으면서 록킹핀(52)을 우측 록킹홀(23) 또는 좌측 록킹홀(24)에 삽입시키면 손잡이(40)는 접혀진 상태 그대로 유지된다. 즉, 록킹핀(52)을 통해 손잡이(40)가 또다시 록킹됨으로써, 이를 해지시키지 않고서는 손잡이(40)를 펼칠 수 없다.
그리고 손잡이(40)를 중앙으로 펼쳐 조리기기를 다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록킹버튼(50) 후단을 눌러 우측 록킹홀(23) 또는 좌측 록킹홀(24)로부터 록킹핀(52)을 이탈시키면, 손잡이(40)를 손쉽게 중앙으로 펼쳐 위치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에 의하면; 조리기 본체의 브래킷에 힌지축을 통해 결합된 손잡이를 수평방향으로 회동하여 접어 보관할 수 있음으로써, 수납 보관 시 조리기구가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하 시소 형태로 작동하는 록킹버튼을 통해 손잡이를 접힌 상태 또는 펼친 상태 그대로 록킹하거나 록킹 해지할 수 있어 사용 편리성 및 제품의 안전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또한, 조리기 본체의 브래킷과 손잡이 선단이 선(線)접촉되기 때문에, 손잡 이의 회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축관통홀(21)이 천공된 브래킷(20)이 외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 조리기 본체(10)와;
    상기 축관통홀(21)을 관통하는 힌지축(30)을 통해 상기 브래킷(20)에 선단부가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손잡이(40)와;
    상기 손잡이(40) 선단의 버튼 수용부(41)에 중심부위가 축(51)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선,후단이 상하운동 가능하며, 선단 하부에는 상기 브래킷(20)에 천공된 록킹홀(22)(23)(24)에 삽탈되어 상기 손잡이(40)의 회동을 구속 및 해지하기 위한 록킹핀(52)이 마련된 록킹버튼(50)과;
    상기 록킹버튼(50)의 선단이 하측을 향하도록 상기 버튼 수용부(41)에 배치되어 상기 록킹버튼(50)의 후단을 상측으로 탄성 지지하는 탄성부재(6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40)의 선단부에는 상기 브래킷(20)이 수용되어 상기 힌지축(30)을 통해 결합되도록 슬롯형태의 브래킷-수용홈(43)이 수평방향으로 마련되고;
    상기 브래킷(20)의 상하면에는 상기 축관통홀(21)의 중심과 동심으로 상,하부 가이드돌기(25)(26)가 띠 형태로 돌출되게 이루어져;
    상기 브래킷(20)이 상기 브래킷-수용홈(43)에 수용되어 상기 힌지축(30)을 통해 결합되면 상기 상,하부 가이드돌기(25)(26)가 상기 브래킷-수용홈(43)의 상하 벽면에 당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홀(22)(23)(24)은;
    상기 손잡이(40)를 중앙으로 펼친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52)이 삽탈될 수 있는 중앙 록킹홀(22)과,
    상기 손잡이(40)를 우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52)이 삽탈될 수 있는 우측 록킹홀(23)과,
    상기 손잡이(40)를 좌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상기 록킹핀(52)이 삽탈될 수 있는 좌측 록킹홀(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홀(22)(23)(24)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경이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홀로 이루어지며;
    상기 록킹핀(52)은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점차 줄어드는 테이퍼 핀으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KR2020060031945U 2006-12-18 2006-12-18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KR200436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945U KR200436045Y1 (ko) 2006-12-18 2006-12-18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31945U KR200436045Y1 (ko) 2006-12-18 2006-12-18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6045Y1 true KR200436045Y1 (ko) 2007-04-26

Family

ID=4163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31945U KR200436045Y1 (ko) 2006-12-18 2006-12-18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604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5372B2 (en) Slow cooker and locking assembly
MX2013005029A (es) Armazon para trapeador plano.
CN108013853B (zh) 干燥支架
KR20120115346A (ko) 간편한 취급성을 갖는 기구
KR200439892Y1 (ko)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US6595607B2 (en) Counter top appliance stand
JP5853247B2 (ja) 着脱式容器取っ手
KR101918605B1 (ko) 인덱싱 없는 조리 용기용 착탈 가능한 파지 장치
KR200436045Y1 (ko)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US7717611B2 (en) Egg beater
WO2006046804A1 (en) A grill
KR101379754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WO2005089608A1 (fr)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KR200436052Y1 (ko)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JP5802281B2 (ja) 着脱式調理器具把持装置
KR101165816B1 (ko) 조리용기
KR100891298B1 (ko) 주방용기
KR200450286Y1 (ko)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CN215077634U (zh) 自动倒料装置及自动炒菜锅
CN217959845U (zh) 锅具
CN211722864U (zh) 煎烤机
KR200334318Y1 (ko) 걸림수단이 장착된 양면 후라이팬
KR102141250B1 (ko) 접이용 뚜껑 손잡이
CN212465756U (zh) 煎烤机
CN112890639B (zh) 可拆式锅手柄组件及锅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