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899B1 -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 - Google Patents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4899B1
KR102044899B1 KR1020180015877A KR20180015877A KR102044899B1 KR 102044899 B1 KR102044899 B1 KR 102044899B1 KR 1020180015877 A KR1020180015877 A KR 1020180015877A KR 20180015877 A KR20180015877 A KR 20180015877A KR 102044899 B1 KR102044899 B1 KR 102044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sink
door plate
atta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6213A (ko
Inventor
김영운
Original Assignee
(주) 우아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우아미 filed Critical (주) 우아미
Priority to KR1020180015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4899B1/ko
Publication of KR201900962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62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4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4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6Stands, or holders for kitchen art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2003/343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with at least two axes of rotation without additional frame within the 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싱크대 도어가 좌우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싱크대 도어의 내측면에 수납된 칼은 전후 방향으로 열린 후 꺼내고 집어넣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door of sink}
본 발명은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싱크대 도어가 좌우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싱크대 도어의 내측면에 수납된 칼은 전후 방향으로 열린 후 꺼내고 집어넣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에 관한 것이다.
싱크대는 주방용 가구의 대표적인 것으로서 그 상면에는 설거지를 할 수 있는 개수대가 갖춰지며 개수대의 주변으로 음식을 조리하는 조리판이 마련된다. 또한, 일측에는 가스렌지 등을 올려놓는 수단이 마련되기도 한다.
싱크대는 주방의 일측벽에 배치되는데 주로 하부와 상부로 나뉘어 시공된다. 싱크대의 하부에는 주방용 기구를 포함하여 각종 비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는 수납공간들이 구비된다. 수납공간은 도어가 구비되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수납공간이 노출되게 구성된다. 도어의 내측면에는 칼꽂이함이 설치될 수 있는데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 칼꽂이함에 칼을 수납하거나 수납된 칼을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도어의 내측면에 칼꽂이함이 설치되는 경우 칼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수납 공간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칼은 도어를 개방하는 것으로 쉽게 노출되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상태에 놓여 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싱크대 도어는 어린이 등이 도어만 개방하는 것으로 칼을 취득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6005호에는 싱크대 부착형 칼꽂이함이 개시되어 있는데 칼꽂이함의 상판에 칼을 거꾸로 꽂아서 걸 수 있도록 상하 관통 형성된 하나 이상의 칼꽂이 구멍; 각 칼꽂이 구멍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칼의 칼날이 삽입될 수 있도록 길쭉한 모양으로 이루어진 칼날 삽입구; 및 칼꽂이 구멍의 아래로 연장 형성되고, 칼꽂이 구멍의 수평방향 내측으로 원호 모양으로 돌출되어 손잡이의 칼날과 맞닿는 면이 걸리도록 하는 두 개의 걸림편을 구비한다. 칼이 칼꽂이 구멍에 삽입되면 칼의 무게에 의해서 회전하여 걸림편에 걸리도록 구성하는 것으로서 어린이가 쉽게 수납된 칼을 인출할 수 없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도어의 개방에 따라 칼 및 칼날이 노출되는 것으로서 노출된 칼날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으며, 도어의 개방 자체를 제재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싱크대 도어가 좌우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싱크대 도어의 내측면에 수납된 칼은 전후 방향으로 열린 후 꺼내고 집어넣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싱크대(100)의 도어(110) 안쪽면에 칼꽂이함(200)이 부착되어 있는 싱크대 도어에 있어서 싱크대 도어의 크기로 형성된 사각형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어판재(10)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20)의 가장자리에 판재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싱크대(100)의 측면 안쪽에 부착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20)의 안쪽에 형성된 측면경첩고정부(24, 24')에 측면경첩(1u20, 120')이 부착되어 있으며, 도어판재(10)를 경첩(30, 30')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20)의 하부쪽에 하부경첩고정부(26, 26')가 형성되어 있고, 플랩고리(4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판재삽입홈(22)의 안쪽 측면에 플렙고리고정부(28, 28')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프레임(20); 내측프레임(20)의 판재삽입홈(2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판재(10)가 판재삽입홈(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도어판재(10)의 안쪽 하부쪽에 형성된 하부경첩 고정부(16, 16')에 하부경첩(30, 30')이 부착되어 있고, 도어판재(10)가 전후 방향으로 열린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도어판재(10)의 안쪽면 상부쪽에 형성된 플랩고리 고정부(18, 18')에 플랩고리(40, 40')가 부착되어 있으며, 도어판재(10)의 안쪽면에 칼꽂이함(200)이 부착되어 있는 도어판재(10); 및 도어판재(10) 상부쪽과 내측프레임(20) 상부쪽을 연결하여 도어판재(10)가 전후 방향으로 열린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판재삽입홈(22)의 플렙고리고정부(28, 28')와 도어판재(10)의 플랩고리 고정부(18, 18')에 부착되어 있는 플랩고리(40, 40');로 이루어진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싱크대 도어가 좌우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싱크대 도어의 내측면에 수납된 칼은 전후 방향으로 열린 후 꺼내고 집어넣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랩도어록으로 싱크대 도어가 좌우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어 누름식 버튼의 눌림 동작에 의해서 잠금장치가 해정됨에 따라 도어가 개방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됨으로써 도어의 개방을 단속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도어 내측면에 수납된 칼은 잠금장치를 해정할 수 없는 어린이로부터 안전하게 수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싱크대(100)의 도어 안쪽면에 칼꽂이함(200)이 부착되어 있는 싱크대 도어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도어는
측면경첩(120, 120')이 부착되어 측면을 축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형성한 내측프레임(20)과, 상기 내측프레임에 안착되는 도어판재(10)가 상단이 개폐되도록 하부경첩고정부(26, 26')가 형성되며,
칼꽂이함(200)을 형성한 도어판재(10)만을 개폐하여 칼꽂이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칼꽂이함(200)을 형성한 도어판재만을 개폐하여 칼꽂이함을 사용하므로 칼이 떨어져도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상부만 개폐되는 도어판재(10)를 열어놓은 상태에서 요리를 할 수 있어 칼을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의 싱크대 도어는
싱크대 도어의 크기로 형성된 사각형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어판재(10)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20)의 가장자리에 판재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싱크대(100)의 측면 안쪽에 부착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20)의 안쪽에 형성된 측면경첩고정부(24, 24')에 측면경첩(120, 120')이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도어판재(10)를 경첩(30, 30')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20)의 하부쪽에 하부경첩고정부(26, 2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플랩고리(4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판재삽입홈(22)의 안쪽 측면에 플랩고리고정부(28, 28')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프레임(20);
내측프레임(20)의 판재삽입홈(2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판재(10)가 판재삽입홈(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도어판재(10)의 안쪽 하부쪽에 형성된 하부경첩 고정부(16, 16')에 하부경첩(30, 30')이 부착되어 있고, 도어판재(10)가 전후 방향으로 열린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도어판재(10)의 안쪽면 상부쪽에 형성된 플랩고리 고정부(18, 18')에 플랩고리(40, 40')가 부착되어 있으며, 도어판재(10)의 안쪽면에 칼꽂이함(200)이 부착되어 있는 도어판재(10); 및 도어판재(10) 상부쪽과 내측프레임(20) 상부쪽을 연결하여 도어판재(10)가 전후 방향으로 열린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판재삽입홈(22)의 플렙고리고정부(28, 28')와 도어판재(10)의 플랩고리 고정부(18, 18')에 부착되어 있는 플랩고리(40, 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도어는 내측프레임(20)의 판재삽입홈(22) 안쪽 상단쪽에 형성된 플랩도어록 고정부(29)에 플랩도어록(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 싱크대(100)의 도어 안쪽면에 칼꽂이함(200)이 부착되어 있는 싱크대 도어에 있어서, 내측프레임(20)은 싱크대 도어의 크기로 형성된 사각형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어판재(10)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20)의 가장자리에 판재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싱크대(100)의 측면 안쪽에 부착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20)의 안쪽에 형성된 측면경첩고정부(24, 24')에 측면경첩(1u20, 120')이 부착되어 있으며, 도어판재(10)를 경첩(30, 30')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20)의 하부쪽에 하부경첩고정부(26, 26')가 형성되어 있고, 플랩고리(4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판재삽입홈(22)의 안쪽 측면에 플렙고리고정부(28, 28')가 형성되어 있어 싱크대 도어가 좌우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싱크대 도어의 내측면에 수납된 칼은 전후 방향으로 열린 후 꺼내고 집어넣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서 도어판재(10)는 내측프레임(20)의 판재삽입홈(2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판재(10)가 판재삽입홈(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도어판재(10)의 안쪽 하부쪽에 형성된 하부경첩 고정부(16, 16')에 하부경첩(30, 30')이 부착되어 있고, 도어판재(10)가 전후 방향으로 열린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도어판재(10)의 안쪽면 상부쪽에 형성된 플랩고리 고정부(18, 18')에 플랩고리(40, 40')가 부착되어 있으며, 도어판재(10)의 안쪽면에 칼꽂이함(200)이 부착되어 있어 싱크대 도어가 좌우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싱크대 도어의 내측면에 수납된 칼은 전후 방향으로 열린 후 꺼내고 집어넣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서 플랩고리(40, 40')는 도어판재(10) 상부쪽과 내측프레임(20) 상부쪽을 연결하여 도어판재(10)가 전후 방향으로 열린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판재삽입홈(22)의 플렙고리고정부(28, 28')와 도어판재(10)의 플랩고리 고정부(18, 18')에 부착되어 있어 싱크대 도어가 좌우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싱크대 도어의 내측면에 수납된 칼은 전후 방향으로 열린 후 꺼내고 집어넣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본 발명에서 싱크대 도어는 내측프레임(20)의 판재삽입홈(22) 안쪽 상단쪽에 형성된 플랩도어록 고정부(29)에 플랩도어록(50)이 설치되어 있어 싱크대 도어가 좌우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후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기 때문에 싱크대 도어의 내측면에 수납된 칼은 전후 방향으로 열린 후 꺼내고 집어넣을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칼꽂이함(200)은
도어판재(10)에 고정하기 위한 칼꽂이함 프레임(220)과, 상기 칼꽂이함 프레임(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한 본체(250)로 구성되고, 상기 칼꽃이함 프레임(220)은 상단 양쪽에 축걸이홈(230)과 도어판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피스홀(210)을 형성하고, 상기 축걸이홈(230)에 걸어서 끼울 수 있도록 본체의 양면쪽에 돌기(40)를 각각 형성하여 칼꽂이가 편리하도록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씽크대문을 열다가 칼꽂이에서 칼이 빠지거나 잘못하여 놓치는 경우에 발등으로 카이 떨어지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특징이 있습니다.
10: 도어판재 20: 내측프레임
200: 칼꽂이함 210: 고정피스홀
220: 칼꽂이함 프레임 230: 축걸이홈

Claims (4)

  1. 싱크대(100)의 도어 안쪽면에 칼꽂이함(200)이 부착되어 있는 싱크대 도어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도어는
    측면경첩(120, 120')이 부착되어 측면을 축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형성한 내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에 안착되는 도어판재가 상단이 개폐되도록 하부경첩고정부(26, 26')가 형성되며, 칼꽂이함(200)을 형성한 도어판재만을 개폐하여 칼꽂이함을 사용할 수 있도록;
    싱크대 도어의 크기로 형성된 사각형 프레임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어판재(10)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20)의 가장자리에 판재삽입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싱크대(100)의 측면 안쪽에 부착된 상태로 좌우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20)의 안쪽에 형성된 측면경첩고정부(24, 24')에 측면경첩(120, 120')이 부착되어 있으며, 도어판재(10)를 경첩(30, 30')으로 연결할 수 있도록 내측프레임(20)의 하부쪽에 하부경첩고정부(26, 26')가 형성되어 있고, 플랩고리(40)를 부착할 수 있도록 판재삽입홈(22)의 안쪽 측면에 플랩고리고정부(28, 28')가 형성되어 있는 내측프레임(20);
    상기 내측프레임(20)의 판재삽입홈(22)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판재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도어판재(10)가 판재삽입홈(22)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 방향으로 열고 닫을 수 있도록 도어판재(10)의 안쪽 하부쪽에 형성된 하부경첩 고정부(16, 16')에 하부경첩(30, 30')이 부착되어 있고, 도어판재(10)가 전후 방향으로 열린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도어판재(10)의 안쪽면 상부쪽에 형성된 플랩고리 고정부(18, 18')에 플랩고리(40, 40')가 부착되어 있으며, 도어판재(10)의 안쪽면에 칼꽂이함(200)이 부착되어 있는 도어판재(10); 및
    도어판재(10) 상부쪽과 내측프레임(20) 상부쪽을 연결하여 도어판재(10)가 전후 방향으로 열린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판재삽입홈(22)의 플랩고리고정부(28, 28')와 도어판재(10)의 플랩고리 고정부(18, 18')에 부착되어 있는 플랩고리(40, 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싱크대 도어는 내측프레임(20)의 판재삽입홈(22) 안쪽 상단쪽에 형성된 플랩도어록 고정부(29)에 플랩도어록(5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꽂이함(200)은
    도어판재(10)에 고정하기 위한 칼꽂이함 프레임(220)과,
    상기 칼꽂이함 프레임(220)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한 본체(250)로 구성되고, 상기 칼꽂이함 프레임(220)은
    상단 양쪽에 축걸이홈(230)과 도어판재(1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피스홀(210)을 형성하고, 상기 축걸이홈(230)에 걸어서 끼울 수 있도록 본체의 양면쪽에 돌기(40)를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
KR1020180015877A 2018-02-08 2018-02-08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 KR102044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77A KR102044899B1 (ko) 2018-02-08 2018-02-08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5877A KR102044899B1 (ko) 2018-02-08 2018-02-08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213A KR20190096213A (ko) 2019-08-19
KR102044899B1 true KR102044899B1 (ko) 2019-12-02

Family

ID=6780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877A KR102044899B1 (ko) 2018-02-08 2018-02-08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48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8536A (ja) * 1999-04-28 2000-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包丁乾燥収納装置および包丁乾燥収納装置付き流し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8536A (ja) * 1999-04-28 2000-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包丁乾燥収納装置および包丁乾燥収納装置付き流し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6213A (ko) 2019-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31765A1 (zh) 储物盒组件和具有该储物盒组件的冰箱
CN105121763A (zh) 储存单元储柜
US8640906B2 (en) Multipurpose cooking stove container
US6595607B2 (en) Counter top appliance stand
KR102044899B1 (ko) 상부 오픈바형 싱크대 도어
KR200463179Y1 (ko) 냄비
US2899717A (en) billings etal
KR20150089210A (ko) 서랍장용 영유아안전잠금장치
KR200439892Y1 (ko) 접이식 손잡이를 갖춘 조리기구
JP2010252907A (ja) 包丁保持具
KR101454145B1 (ko) 영,유아용 안전 가구 손잡이 및 이를 구비한 영,유아용 안전 가구
KR200429637Y1 (ko) 싱크대용 보조수납함
JP2019208588A (ja) スライドハンガー
KR20210000489U (ko) 승강식 수납장치
JP4917964B2 (ja) 折り畳みコンテナにおける起倒用側板のロック構造
JP2625788B2 (ja) 包丁差付厨房家具
JP2008054924A (ja) 家具の引き出し
JP2019115600A (ja) 収納ボックスの取付構造及び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JP4518483B2 (ja) キッチン台
CA2813786C (en) Barbecue apparatus
KR101394170B1 (ko) 기름유출방지 양면 프라이팬
JP2008264484A (ja) 包丁収納器具
KR200316005Y1 (ko) 싱크대 부착형 칼꽂이함
JP2008264483A (ja) 包丁収納器具
JPH01126912A (ja) 厨房家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