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00489U - 승강식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승강식 수납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000489U KR20210000489U KR2020190003455U KR20190003455U KR20210000489U KR 20210000489 U KR20210000489 U KR 20210000489U KR 2020190003455 U KR2020190003455 U KR 2020190003455U KR 20190003455 U KR20190003455 U KR 20190003455U KR 20210000489 U KR20210000489 U KR 20210000489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ing
- locking
- lifting
- bracket
- storage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06—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helv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47B46/005—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by displacement in a vertical plane; by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7/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 A47B57/58—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for adjusting shelves or partitions with means for adjusting partitions horizontally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승강식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하부로 관통된 승강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장과, 승강공간의 벽면에 결합되며, 제1걸림홀이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브라켓과, 브라켓의 전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후면에 브라켓의 좌우측면과 교차로 위치되는 한 쌍의 연결편이 돌출되며, 연결편에 제2걸림홀이 형성되는 승강 프레임과, 승강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바스켓과, 승강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에 제1파지단이 형성되는 고정 손잡이 및, 승강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파지단과, 제2파지단의 좌우 방향측 양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 및, 연장부들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단이 형성된 높이조절 손잡이를 포함하며, 높이조절 손잡이는 제2파지단을 하강시 걸림단들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져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제2파지단의 하강 해지시 걸림단들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걸림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승강식 수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장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승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닫지 않는 수납공간에도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 하강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승강식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 등에 사용되는 수납장은 각종 물품을 진열, 보관, 정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수납장의 종류에는 다양한 것들이 있다.
이러한 수납장은, 주방 등의 벽면에 일정 높이로 설치되며,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몸체와, 수납공간을 여러 층으로 분할하는 수납 선반 및, 몸체의 전방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납공간을 개폐시키는 도어 등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수납장은 사용자의 손이 닿기 어려운 높이 등에 설치된 경우, 수납공간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꺼내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수납장의 전후 폭이 넓은 경우 수납공간의 뒷부분의 거리가 멀어 물품을 수납하거나 꺼내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공개특허 제10-2012-0022246호(2012년 03월 12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측면으로 인출되는 선반을 구비한 다목적 수납장이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수납장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승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닫지 않는 높은 공간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 하강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승강식 수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물품을 수납장의 내부에 수납시 리프팅유닛의 회전력에 의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승강식 수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는, 내부에 승강공간이 형성되며, 하부에 승강홀이 형성된 수납장과, 상기 승강공간의 벽면에 결합되며, 제1걸림홀이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후면에 상기 브라켓의 좌우측면과 교차로 위치되는 한 쌍의 연결편이 돌출되며, 상기 연결편에 제2걸림홀이 형성되는 승강 프레임과,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바스켓과,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에 제1파지단이 형성되는 고정 손잡이 및,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파지단과, 상기 제2파지단의 좌우 방향측 양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들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단이 형성된 높이조절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 손잡이는 상기 제2파지단을 하강시 상기 걸림단들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져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2파지단의 하강 해지시 상기 걸림단들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브라켓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 프레임의 승강을 위해 리프팅유닛이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브라켓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 롤러와, 상기 권취 롤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승 회전력을 작용시키는 비틀림 스프링 및, 상기 권취 롤러에 권취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승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연결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장은 격벽에 의해 상기 승강공간의 전면에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는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벽면에 결합되어 공간을 다수로 분할하는 선반 및, 상기 수납공간의 전방을 개폐시키는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전면에는 좌우 방향에 체결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바스켓의 후면에는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게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걸고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고리는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후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상기 체결홀에 삽입시 하부로 절곡된 끝단이 상기 승강 프레임의 후면에 걸림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지단과 제2파지단은 상기 승강 프레임을 상기 승강공간으로 상승 위치시 상기 수납장의 하부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파지단은 상기 제1파지단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높이조절 손잡이는 상기 제2파지단을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연장부들의 하단이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단과 접하고, 상기 연장부들의 상단이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격 위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수납장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승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닫지 않는 높은 공간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 하강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물품을 수납장의 내부에 수납시 리프팅유닛의 회전력에 의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상승시킬 수 있고, 파지 동작으로도 걸림 상태를 해지시킬 수 있으므로,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승강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승강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승강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승강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브라켓과 연결편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에서 높이조절 손잡이의 제2파지단을 하강시켜 승강 프레임의 걸림을 해지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승강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승강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승강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승강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브라켓과 연결편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에서 높이조절 손잡이의 제2파지단을 하강시켜 승강 프레임의 걸림을 해지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승강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승강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승강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승강 프레임이 하강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브라켓과 연결편을 보여주기 위한 저면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에서 높이조절 손잡이의 제2파지단을 하강시켜 승강 프레임의 걸림을 해지시키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는 수납장(100)과, 브라켓(200)과, 승강 프레임(300)과, 바스켓(400)과, 고정 손잡이(500) 및, 높이조절 손잡이(600)를 포함한다. 또한 브라켓(200)의 상단에는 승강 프레임(300)의 승강을 위해 리프팅유닛(700)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먼저, 수납장(100)은 내부에 승강공간(110)이 형성되며, 수납장(100)의 하부에는 후술 될 승강 프레임(300)이 통과될 수 있도록 승강홀(120)이 수직하게 관통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장(100)에는 도 4와 8에서처럼 격벽(130)에 의해 승강공간(110)의 전면에 분할된 상태로 수납공간(13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납장(100)에는 수납공간(130)의 벽면에 결합되어 공간을 다수로 분할하기 위한 선반(150)이 설치될 수 있다.
선반(150)은, 가장자리가 수납공간(130)의 후면과 양측면에 결합되어 수납공간(130)을 상하로 분할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으로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수납공간(130)의 전방에는 도어(160)가 설치될 수 있고, 도어(160)는 일측이 수납장(1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도어(160)의 일측과 수납장(100)의 일측은 별도의 회동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200)은, 승강공간(110)의 벽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브라켓(200)의 좌우 방향에 제1걸림홀(210)이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브라켓(200)은 승강공간(110)의 후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제1걸림홀(210)은, 브라켓(200)의 좌우 방향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승강 프레임(300)은, 브라켓(200)의 전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후면에 브라켓(200)의 좌우측면과 교차로 위치되는 한 쌍의 연결편(310)이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연결편(310)은, 승강 프레임(300)의 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브라켓(20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밀착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편(310)들에는 제2걸림홀(320)이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제2걸림홀(320)이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브라켓(200)의 좌우 방향에 각각 형성될 수 있고, 좌우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바스켓(400)은, 승강 프레임(300)의 전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바스켓(400)의 후면이 승강 프레임(300)의 전면에 결합되고, 바스켓(400)의 내부에는 상방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승강 프레임(300)의 전면에는 좌우 방향에 체결홀(330)이 전후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바스켓(400)의 후면에는 체결홀(330)에 대응되게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걸고리(410)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걸고리(410)는, 도 3에서처럼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후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될 수 있으며, 체결홀(330)에 삽입시 하부로 절곡된 끝단이 승강 프레임(300)의 후면에 걸림 위치된다.
예를 들어, 바스켓(400)을 결합시키는 경우, 걸고리(410)를 체결홀(330)을 통해 수평하게 삽입시키고, 바스켓(400)의 후면을 승강 프레임(300)의 전면에 밀착시킨다.
이 상태에서, 바스켓(400)을 하강시키면, 걸고리(410)가 체결홀(330)의 하단에 안착되고, 걸고리(410)의 절곡된 끝단이 승강 프레임(300)의 후면에 걸림 위치되므로, 바스켓(400)이 승강 프레임(300)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반면, 바스켓(400)을 분리시키는 경우, 바스켓(400)을 들어올린 후, 승강 프레임(300)의 전방으로 수평하게 분리시킨다. 이때 걸고리(410)의 절곡된 끝단이 체결홀(330) 높이에 위치된다.
이와 같은 체결홀(330)은, 하나 또는 다수의 바스켓(400)을 선택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해,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손잡이(500)는, 승강 프레임(300)의 하단에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 손잡이(500)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제1파지단(510)이 형성된다.
제1파지단(510)은, 사용자가 전방에서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좌우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좌우 방향측 양단이 후방으로 절곡된 후 상부로 절곡되어 승강 프레임(300)의 하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높이조절 손잡이(600)는, 승강 프레임(300)의 걸림 상태를 조절하여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제2파지단(610)과, 한 쌍의 연장부(620) 및, 한 쌍의 걸림단(630)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2파지단(610)은, 승강 프레임(300)의 하부와 제1파지단(510)의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승강 가능하도록 제1파지단(510)의 상부에 이격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파지단(610)은 좌우 방향측 양단이 후방으로 절곡된 후 상부로 절곡되어 후술 될 연장부(620)들과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파지단(610)은 제1파지단(510)보다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연장부(620)는, 제2파지단(610)의 좌우 방향측 양단으로부터 상부로 절곡되어 승강 프레임(300)의 후면에 수직하게 위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걸림단(630)은, 연장부(620)들의 상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으로, 도 9에서처럼 연장부(620)들의 상단으로부터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전술한 제1걸림홀(210)과 제2걸림홀(320)을 통해 수평하게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는, 브라켓(200)의 제1걸림홀(210)과 연결편(310)의 제2걸림홀(320)에 걸림단(630)이 삽입되므로, 승강 프레임(300)이 현재의 높이에 걸림 위치된다.
이와 같은 제1파지단(510)과 제2파지단(610)은, 승강 프레임(300)을 수납장(100)의 승강공간(110)에 상승 위치시키는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수납장(100)의 하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 손잡이(600)는, 제2파지단(610)을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강시키는 경우, 연장부(620)들의 하단이 승강 프레임(300)의 하단과 접하고, 연장부(620)들의 상단이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높이조절 손잡이(600)는 제2파지단(610)을 하강시 걸림단(630)들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져 제1걸림홀(210)과 제2걸림홀(320)로부터 이탈된다.
반면, 높이조절 손잡이(600)는 제2파지단(610)의 하강 해지시 걸림단(630)들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제1걸림홀(210)과 제2걸림홀(320)에 각각 삽입된다.
리프팅유닛(700)은, 걸림이 해지된 승강 프레임(300)을 일정 힘으로 상승시키기 위한 것으로, 권취 롤러(710)와, 비틀림 스프링(미도시) 및, 연결부재(720)로 구비될 수 있다.
권취 롤러(710)는, 브라켓(200)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중심(C)을 기준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비틀림 스프링(720)은, 권취 롤러(710)의 회전중심(C)에 결합되어 승강 프레임(300)의 상승 회전력을 작용시킨다.
연결부재(720)는, 권취 롤러(710)에 권취된 상태로 하단이 승강 프레임(300) 에 결합되고, 승강 프레임(300)의 상승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킨다.
즉, 연결부재(720)는 승강 프레임(300)의 상승 방향으로 회전 탄성력을 작용시키므로, 높이조절 손잡이(600)를 이용해 걸림을 해지시키는 경우, 승강 프레임(300)을 용이하게 상승시킬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10을 참조로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의 승강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승강 프레임(300)의 높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 고정 손잡이(500)의 제1파지단(510)과 높이조절 손잡이(600)의 제2파지단(610)을 함께 손으로 파지하여, 제2파지단(610)을 일정 높이로 하강시킨다.
이 과정에서, 제2파지단(610)은 제1파지단(510)이 위치된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강됨과 동시에, 연장부(620)들의 하단이 승강 프레임(300)의 하단과 접하고, 연장부(620)들의 상단이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도 10에서처럼 걸림단(630)들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제1걸림홀(210)과 제2걸림홀(320)로부터 이탈되며, 승강 프레임(300)의 연결편(310)이 승강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는, 승강 프레임(300)의 걸림 상태가 해지되므로, 승강 프레임(300)을 승강공간(110) 내에 수납하거나 원하는 높이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이후, 승강 프레임(300)을 수납공간(110) 또는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킨 후, 제2프레임(610)을 원래의 위치로 상승시키는 경우, 걸림단(630)들이 상호 마주보는 방향으로 좁혀지면서 해당 위치의 제1걸림홀(210)과 제2걸림홀(320)로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는, 승강 프레임(300)의 걸림 상태가 유지되므로, 승강 프레임(300)을 수납 위치 또는 원하는 높이에 고정적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수납장(100)의 내부에 수납 가능한 승강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이 닫지 않는 높은 공간에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시 하강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물품을 수납장(100)의 내부에 수납시 리프팅유닛(700)의 회전력에 의해 큰 힘을 들이지 않고도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수납 및 인출이 용이하고, 사용자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승강식 수납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수납장
110: 승강공간
120: 격벽 130: 수납공간
140: 선반 150: 도어
200: 브라켓 210: 제1걸림홀
300: 승강 프레임 310: 연결편
320: 제2걸림홀 330: 체결홀
400: 바스켓 410: 걸고리
500: 고정 손잡이 510: 제1파지단
600: 높이조절 손잡이610: 제2파지단
620: 연장부 630: 걸림단
700: 리프팅유닛 710: 권취 롤러
720: 연결부재 C: 회전중심
120: 격벽 130: 수납공간
140: 선반 150: 도어
200: 브라켓 210: 제1걸림홀
300: 승강 프레임 310: 연결편
320: 제2걸림홀 330: 체결홀
400: 바스켓 410: 걸고리
500: 고정 손잡이 510: 제1파지단
600: 높이조절 손잡이610: 제2파지단
620: 연장부 630: 걸림단
700: 리프팅유닛 710: 권취 롤러
720: 연결부재 C: 회전중심
Claims (7)
- 내부에 하부로 관통된 승강공간이 형성되는 수납장과, 상기 승강공간의 벽면에 결합되며, 제1걸림홀이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로 형성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전면에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후면에 상기 브라켓의 좌우측면과 교차로 위치되는 한 쌍의 연결편이 돌출되며, 상기 연결편에 제2걸림홀이 형성되는 승강 프레임과,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전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물품이 수납되는 바스켓과,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며, 하부에 제1파지단이 형성되는 고정 손잡이 및,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2파지단과, 상기 제2파지단의 좌우 방향측 양단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된 한 쌍의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들의 상단으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제1걸림홈과 제2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단이 형성된 높이조절 손잡이를 포함하며,
상기 높이조절 손잡이는, 상기 제2파지단을 하강시 상기 걸림단들이 상호 반대되는 방향으로 벌어져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2파지단의 하강 해지시 상기 걸림단들이 자체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림홈에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수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의 상단에는,
상기 승강 프레임의 승강을 위해 리프팅유닛이 더 설치되며,
상기 리프팅유닛은,
상기 브라켓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권취 롤러와,
상기 권취 롤러의 회전중심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승 회전력을 작용시키는 비틀림 스프링 및,
상기 권취 롤러에 권취된 상태로 하단이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승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시키는 연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수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은,
격벽에 의해 상기 승강공간의 전면에 분할된 상태로 형성되는 수납공간과,
상기 수납공간의 벽면에 결합되어 공간을 다수로 분할하는 선반 및,
상기 수납공간의 전방을 개폐시키는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수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프레임의 전면에는,
좌우 방향에 체결홀이 전후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바스켓의 후면에는,
상기 체결홀에 대응되게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걸고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수납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걸고리는,
후방으로 수평하게 연장된 후 하부로 수직하게 절곡되며, 상기 체결홀에 삽입시 하부로 절곡된 끝단이 상기 승강 프레임의 후면에 걸림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수납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파지단과 제2파지단은,
상기 승강 프레임을 상기 승강공간으로 상승 위치시 상기 수납장의 하부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수납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파지단은,
상기 제1파지단보다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높이조절 손잡이는,
상기 제2파지단을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하강시키는 경우, 상기 연장부들의 하단이 상기 승강 프레임의 하단과 접하고, 상기 연장부들의 상단이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식 수납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3455U KR20210000489U (ko) | 2019-08-21 | 2019-08-21 | 승강식 수납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90003455U KR20210000489U (ko) | 2019-08-21 | 2019-08-21 | 승강식 수납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0489U true KR20210000489U (ko) | 2021-03-04 |
Family
ID=7487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90003455U KR20210000489U (ko) | 2019-08-21 | 2019-08-21 | 승강식 수납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10000489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30693A1 (en) * | 2021-04-14 | 2022-10-20 | Dominic Perry | Adaptive enclosure system and method |
-
2019
- 2019-08-21 KR KR2020190003455U patent/KR20210000489U/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220330693A1 (en) * | 2021-04-14 | 2022-10-20 | Dominic Perry | Adaptive enclosure system and method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DE112017005901T5 (de) | Kühlbox | |
US9433283B2 (en) | Extendable storage device | |
JP2008546935A (ja) | 収納ユニット | |
KR20210000489U (ko) | 승강식 수납장치 | |
CN112824791A (zh) | 冰箱 | |
US5813736A (en) | Cabinet storage device | |
US20080067139A1 (en) | Over the Door Storage Assembly | |
JP5971524B2 (ja) | ウォールキャビネット | |
KR20200001450U (ko) | 수납장치 | |
KR102478916B1 (ko) | 서랍전도 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서랍장 | |
KR20180010786A (ko) |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 | |
CN210672550U (zh) | 一种办公桌 | |
KR200427396Y1 (ko) |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 |
JP3930287B2 (ja) | 棚配設用収納装置 | |
CN201193915Y (zh) | 提手提拉装置 | |
KR200493880Y1 (ko) | 수납장치 | |
KR200462867Y1 (ko) | 옷걸이 겸용 손잡이를 가지는 가구 | |
KR102510001B1 (ko) |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 | |
JP3030976U (ja) | 耐震性引出し装置 | |
KR102645668B1 (ko) | 서랍의 수납부 구획구조 | |
JP3030979U (ja) | 耐震性引出し装置 | |
CN215583483U (zh) | 一种立式书架 | |
JPH05309023A (ja) | キャビネット | |
JP3922035B2 (ja) | 引き出し収納装置 | |
JP2506751B2 (ja) | 厨房家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