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001B1 -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 - Google Patents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001B1
KR102510001B1 KR1020230008176A KR20230008176A KR102510001B1 KR 102510001 B1 KR102510001 B1 KR 102510001B1 KR 1020230008176 A KR1020230008176 A KR 1020230008176A KR 20230008176 A KR20230008176 A KR 20230008176A KR 102510001 B1 KR102510001 B1 KR 102510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ember
table top
top plate
fitting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08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노벨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노벨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노벨홀딩스
Priority to KR10202300081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0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2Under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2003/008Folding or stowable tables the underframe parts being stored in recesses in the underside of the tabl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88Appliance support having rotary joint or articulated conn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테이블에 형성된 수납공간으로 물건을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수납공간의 측면에 형성되는 회전벽체부재를 개방하여 수납된 물건을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에 위치한 수납공간으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테이블 주위가 물건들로 인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공간의 측면을 회전벽체로 형성시킴으로서 수납공간에 수납된 물건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a table with storage space}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테이블에 형성된 수납공간으로 물건을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수납공간의 측면에 형성되는 회전벽체부재를 개방하여 수납된 물건을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테이블(table)은 일반 가정에나 음식점에서 조리된 음식이나 각종 물품을 안치하여 음식을 시식하거나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가구의 한 종류이다.
테이블은 보편적으로 원형이나 사각형상의 판넬 또는 직육면체 형상의 판넬과 판넬에 결합하여 수평지지하는 다리로 이루어진다.
이 중 수납부를 구비한 테이블은 상면에 물품이 적재될 뿐만아니라 수납부에 물품이 수납될 수 있으므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테이블은 그 크기 및 형상이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다수의 물품을 비치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357994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6220호
본 발명의 목적은 테이블 상판에 위치한 수납공간으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수납공간의 측면을 회전벽체로 형성하여 수납공간 안에 수납된 물건을 수납공간의 측면으로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면이 관통되어 수납홈(110)이 형성되는 테이블상판(100)과,
상기 테이블상판(100)의 수납홈(110)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크기의 수납공간을 가지고 형성되는 수납부(200)와,
테이블상판(100)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다리(8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테이블 상판에 위치한 수납공간으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테이블 주위가 물건들로 인해 지저분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납공간의 측면을 회전벽체로 형성시킴으로서 수납공간에 수납된 물건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의 수납공간 부분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의 일측 단면도도서 회전벽 열리기 전/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의 일측 단면도도서 테이블 상판에 끼움결합된 끼움결합부가 분리되기 전/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테이블 상판에 끼움결합된 끼움결합부가 분리된 후 회전벽체가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수납부의 회전벽부재와 경사부 사이로 물건이 빠져 나오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테이블에 형성된 수납공간으로 물건을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수납공간의 측면에 형성되는 회전벽체부재를 개방하여 수납된 물건을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의 전체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은 테이블상판(100), 수납부(200), 제1회전벽부재연결부(300), 제2회전벽부재연결부(400), 칸막이부(500), 제1가이드부(600), 제2가이드부(700), 테이블다리(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각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테이블상판(100)은 일측이 관통되도록 수납홈(110)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테이블상판(100)은 제1끼움홈(120)과 제2끼움홈(130)을 더 포함하는데, 제1끼움홈(120)은 상기 테이블상판(100)의 하부면 일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1회전벽부재연결부(300)의 제1끼움결합부(320)와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제2끼움홈(130)은 상기 테이블상판(100)의 하부면 타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제2회전벽부재연결부(400)의 제2끼움결합부(420)와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수납부(200)는 상기 테이블상판(100)의 수납홈(110)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크기의 수납공간을 가지고 형성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의 수납공간 부분만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의 일측 단면도도서 회전벽 열리기 전/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수납부(200)를 설명하며, 수납부(200)의 바닥면은 제1경사부(210)와 제2경사부(220)를 가진 산모양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200)로 물건을 투입시 제1경사부(210) 또는 제2경사부(220) 중 어느 하나의 방면에 물건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제1경사부(210)와 제2경사부(220)를 포함하는 산 모양으로 형성되는 이유는 테이블 밖에서도 어떤 물건이 담겼는지 확인하기 용이하도록 소정 높이를 가지고 형성된다.
상기 수납부(200)는 제1힌지축(230), 제1회전벽부재(240), 제2힌지축(250), 제2회전벽부재(2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힌지축(230)은 제1경사부(210)와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힌지축(230)은 수납부(200)의 측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측면의 중앙부분을 가로지르는 지면과 수평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1회전벽부재(240)는 상기 제1힌지축(230)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회전벽부재(240)는 수납부(200)의 수납공간 내에 수납된 물건을 밖으로 빼낼 때 제1회전벽부재(240)의 문이 열리어 물건을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1회전벽부재(240)는 소정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제1힌지축(230)이 제1회전벽부재(240)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제2힌지축(250)은 제2경사부(220)와 마주하는 측면에 위치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힌지축(250)은 수납부(200)의 측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되 측면의 중앙부분을 가로지르는 지면과 수평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회전벽부재(260)는 제2힌지축(250)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회전벽부재(260)는 수납부(200)의 수납공간 내에 수납된 물건을 밖으로 빼낼 때 제2회전벽부재(260)의 문이 열리어 물건을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제2회전벽부재(260)는 소정 크기의 판상으로 형성되되 제2힌지축(250)이 제2회전벽부재(260)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제1회전벽부재연결부(300)는 일측은 수납부(200)의 제1회전벽부재(240)와 링크연결되고 타측은 테이블상판(100)의 제1끼움홈(120)에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1회전벽부재연결부(300)는 제1링크연결부(310), 제1끼움결합부(320), 제1손잡이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링크연결부(310)는 소정 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회전벽부재(240)의 일측과 링크결합되는 것이다.
제1끼움결합부(320)는 상기 제1링크연결부(310)의 일측단에 위치하며 테이블상판(100)의 제1끼움홈(120)에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제1손잡이부(330)는 상기 제1링크연결부(310)의 일측단에 위치하되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끼움결합부(320)는 도4(a)와 같이 테이블상판(100)의 제1끼움홈(120)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제1손잡이부(330)를 손으로 당김으로서 도 4(b)와 같이 제1끼움홈(120)으로부터 제1끼움결합부(320)가 k1방향으로 이탈된다.
제2회전벽부재연결부(400)는 일측은 수납부(200)의 제2회전벽부재(260)와 링크연결되고 타측은 테이블상판(100)의 제2끼움홈(130)에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제2회전벽부재연결부(400)는 제2링크연결부(410), 제2끼움결합부(420), 제2손잡이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링크연결부(410)는 소정 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회전벽부재(260)와 링크결합되는 것이다.
제2끼움결합부(420)는 상기 제2링크연결부(410)의 일측단에 위치하며 테이블상판(100)의 제2끼움홈(130)에 끼움결합되는 것이다.
제2손잡이부(430)는 상기 제1링크연결부(310)의 일측단에 위치하되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2끼움결합부(420)는 도4(a)와 같이 테이블상판(100)의 제2끼움홈(130)에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제2손잡이부(430)를 손으로 당김으로서 도 4(b)와 같이 제2끼움홈(130)으로부터 제2끼움결합부(420)가 k2방향으로 이탈된다.
칸막이부(500)는 상기 수납부(200)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제1가이드부(600)는 수납부(200)의 일측 하단에서 수납부(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방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가이드부(600)는 제1경사부(210)가 위치한 곳의 인근에 위치해있다.
제2가이드부(700)는 수납부(200)의 타측 하단에서 수납부(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방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가이드부(700)는 제2경사부(220)가 위치한 곳의 인근에 위치해있다.
테이블다리(800)는 테이블상판(1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테이블의 수납공간 내에 물건이 수용된 후 빠져나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고하면 테이블상판(100)의 제1끼움홈(120)과 제2끼움홈(130)에 각각 끼움결합된 제1회전벽부재연결부(300)의 제1끼움결합부(320)와 제2회전벽부재연결부(400)의 제2끼움결합부(420)가 분리되기 전/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회전벽부재연결부(300)의 제1끼움결합부(320)와 제2회전벽부재연결부(400)의 제2끼움결합부(420)가 각각의 끼움홈에서부터 분리되기 위해서는 제1손잡이부(330)와 제2손잡이부(430)를 각각 당기어 끼움홈으로부터 끼움결합부를 분리할 수 있다.
도 5는 테이블상판에 끼움결합된 끼움결합부가 분리된 후 회전벽체가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와 같이 각각의 끼움결합부가 분리된 후 회전벽부재가 회전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제1회전벽부재(240)의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제1회전벽부재연결부(300)의 제1손잡이부(330)를 파지하여 도 4(b)의 k1방향으로 당기면 제1끼움결합부(320)가 테이블상판(100)의 제1끼움홈(120)으로부터 도 5의 k3 방향으로 분리된다. 그 다음 제1회전벽부재연결부(300)를 제1회전벽부재(240)가 향하는 방향(k4)으로 밀어서 힘을 가하면 제1링크연결부(310)와 링크연결된 제1회전벽부재(240)가 k5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힌지축(230)에 회전에 의해 제1회전벽부재(240)가 기울어져(k6 방향) 제1경사부(210)와 제1회전벽부재(240) 사이에 공간(S1)이 형성된다.
도 6은 물건이 빠져나오는 모습으로 제1경사부(210)와 제1회전벽부재(240) 사이에 공간(S1)에서 m1방향으로 물건(10)이 빠져나오게 된다.
제2회전벽부재(260)의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제2회전벽부재연결부(400)의 제2손잡이부(430)를 파지하여 도 4(b)의 k2 방향으로 당기면 제2끼움결합부(420)가 테이블상판(100)의 제2끼움홈(130)으로부터 도 5의 k7 방향으로 분리된다. 그 다음 제2회전벽부재연결부(400)를 제2회전벽부재(260)가 향하는 방향(k8)으로 밀어서 힘을 가하면 제2링크연결부(410)와 링크연결된 제2회전벽부재(260)가 k9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힌지축(250)에 회전에 의해 제2회전벽부재(260)가 기울어져(k10 방향) 제2경사부(220)와 제2회전벽부재(260) 사이에 공간(S2)이 형성된다.
도 6은 물건이 빠져나오는 모습으로 제2경사부(220)와 제2회전벽부재(260) 사이에 공간(S2)에서 m2방향으로 물건(10)이 빠져나오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테이블상판
110 수납홈
120 제1끼움홈
130 제2끼움홈
200 수납부
210 제1경사부
220 제2경사부
230 제1힌지축
240 제1회전벽부재
250 제2힌지축
260 제2회전벽부재
300 제1회전벽부재연결부
310 제1링크연결부
320 제1끼움결합부
330 제1손잡이부
400 제2회전벽부재연결부
410 제2링크연결부
420 제2끼움결합부
430 제2손잡이부
500 칸막이부
600 제1가이드부
700 제2가이드부
800 테이블다리

Claims (2)

  1. 일측면이 관통되어 수납홈(110)이 형성되는 테이블상판(100)과,
    상기 테이블상판(100)의 수납홈(110)의 하부에 위치하되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크기의 수납공간을 가지고 형성되는 수납부(200)와,
    일측은 수납부(200)의 제1회전벽부재(240)와 링크연결되고 타측은 테이블상판(100)의 제1끼움홈(120)에 끼움결합되는 제1회전벽부재연결부(300)와,
    일측은 수납부(200)의 제2회전벽부재(260)와 링크연결되고 타측은 테이블상판(100)의 제2끼움홈(130)에 끼움결합되는 제2회전벽부재연결부(400)와,
    상기 수납부(200)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칸막이부(500)와,
    수납부(200)의 일측 하단에서 수납부(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방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1가이드부(600)와,
    수납부(200)의 타측 하단에서 수납부(2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방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제2가이드부(700)와,
    테이블상판(100)을 지지하기 위한 테이블다리(800)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상판(100)은
    상기 테이블상판(100)의 하부면 일측에 위치하는 제1끼움홈(120)과,
    상기 테이블상판(100)의 하부면 타측에 위치하는 제2끼움홈(130)을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200)는
    바닥면은 제1경사부(210)와 제2경사부(220)를 가진 산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납부(200)의 일측면에 위치하되 지면과 수평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힌지축(230)과,
    상기 제1힌지축(230)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제1회전벽부재(240)와,
    상기 수납부(200)의 타측면에 위치하되 지면과 수평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2힌지축(250)과,
    제2힌지축(250)에 의해 회전되도록 형성되는 제2회전벽부재(26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전벽부재연결부(300)는
    소정 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회전벽부재(240)와 링크결합되는 제1링크연결부(310)와,
    상기 제1링크연결부(310)의 일측단에 위치하며 테이블상판(100)의 제1끼움홈(120)에 끼움결합되는 제1끼움결합부(320)와,
    상기 제1링크연결부(310)의 일측단에 위치하되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제1손잡이부(330)를 포함하고,

    상기 제2회전벽부재연결부(400)는
    소정 길이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회전벽부재(260)와 링크결합되는 제2링크연결부(410)와,
    상기 제2링크연결부(410)의 일측단에 위치하며 테이블상판(100)의 제2끼움홈(130)에 끼움결합되는 제2끼움결합부(420)와,
    상기 제1링크연결부(310)의 일측단에 위치하되 손으로 파지하기 위한 제2손잡이부(430)를 포함하고,

    제1회전벽부재연결부(300)의 제1손잡이부(330)를 당기면 제1끼움결합부(320)가 테이블상판(100)의 제1끼움홈(120)으로부터 분리되며, 제1회전벽부재연결부(300)를 제1회전벽부재(240)가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힘을 가하면 제1링크연결부(310)와 링크연결된 제1회전벽부재(240)가 회전하고, 제1힌지축(230)에 회전에 의해 제1회전벽부재(240)가 기울어져 제1경사부(210)와 제1회전벽부재(240) 사이에 공간(S1)이 형성되며,

    제2회전벽부재연결부(400)의 제2손잡이부(430)를 당기면 제2끼움결합부(420)가 테이블상판(100)의 제2끼움홈(130)으로부터 분리되며, 제2회전벽부재연결부(400)를 제2회전벽부재(260)가 향하는 방향으로 밀어서 힘을 가하면 제2링크연결부(410)와 링크연결된 제2회전벽부재(260)가 회전하고, 제2힌지축(250)에 회전에 의해 제2회전벽부재(260)가 기울어져 제2경사부(220)와 제2회전벽부재(260) 사이에 공간(S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
  2. 삭제
KR1020230008176A 2023-01-19 2023-01-19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 KR102510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176A KR102510001B1 (ko) 2023-01-19 2023-01-19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08176A KR102510001B1 (ko) 2023-01-19 2023-01-19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0001B1 true KR102510001B1 (ko) 2023-03-14

Family

ID=85502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08176A KR102510001B1 (ko) 2023-01-19 2023-01-19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0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220A (ko) 2010-10-07 2012-04-17 박종현 컴퓨터 수납이 가능한 테이블
KR102260799B1 (ko) * 2021-01-22 2021-06-07 (주)영디자인 유아 놀이 테이블용 물품 수납함
KR102357994B1 (ko) 2019-03-15 2022-02-03 조영록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220A (ko) 2010-10-07 2012-04-17 박종현 컴퓨터 수납이 가능한 테이블
KR102357994B1 (ko) 2019-03-15 2022-02-03 조영록 멀티 수납공간을 구비하는 테이블
KR102260799B1 (ko) * 2021-01-22 2021-06-07 (주)영디자인 유아 놀이 테이블용 물품 수납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59528B2 (en) Pull-down shelf for furniture
US4714305A (en) Spice rack
US9131785B2 (en) Organizing unit
KR20140022598A (ko) 냉장고용 서랍칸
US20080072802A1 (en) Portable folding table
US9877436B1 (en) Pivoting hanging baskets assemblage weighted for gravity closure
US4082386A (en) Drawer for knives and other utensils and tools
KR102510001B1 (ko) 수납공간을 가지는 테이블
FR2607382A1 (fr) Casier inserable de lave-vaisselle pour le nettoyage et le sechage de pieces de couverts de table et de petite vaisselle
JP3593520B2 (ja) キャビネット
US6824232B2 (en) Bureau housing with baskets laundry system
KR101392898B1 (ko) 다단의 수납박스
US2695152A (en) Cooking utensil hanger
KR20190108708A (ko) 조립식 테이블
US20070034582A1 (en) Utensil organizer
KR20210000489U (ko) 승강식 수납장치
KR101931368B1 (ko) 인출입 가능한 보조수납장이 구비된 가구
JPH092476A (ja) バスケット
KR101847060B1 (ko) 야외용 수납가구 조립체 및 그 사용방법
JP2016034384A (ja) まな板
KR200496543Y1 (ko) 슬라이딩 도어 구조를 갖는 스틸 책장용 스틸 캐비넷
US11202534B1 (en) Pot and lid holding device
KR200315951Y1 (ko) 주방용 걸이대
JP2539662Y2 (ja) ハンドル付き容器
KR0182558B1 (ko) 다용도 쌀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