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396Y1 -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 Google Patents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396Y1
KR200427396Y1 KR2020060019339U KR20060019339U KR200427396Y1 KR 200427396 Y1 KR200427396 Y1 KR 200427396Y1 KR 2020060019339 U KR2020060019339 U KR 2020060019339U KR 20060019339 U KR20060019339 U KR 20060019339U KR 200427396 Y1 KR200427396 Y1 KR 200427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storage
box body
kitchen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남용
성호진
유석상
Original Assignee
오남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남용 filed Critical 오남용
Priority to KR2020060019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3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39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23Fastening device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47B2095/024Drawer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47B88/57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preventing complete withdrawal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은, 내부에 소정의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보관함본체; 보관함본체를 수용하는 보관함본체의 양측 내벽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와, 보관함본체의 외벽면에 결합되어 가이드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구비하며, 보관함수용부에 대해 보관함본체를 출입시키기 위한 레일장치; 보관함본체의 하단면에 결합되어 레일장치를 지지하는 레일브라켓; 및 보관함본체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레일브라켓과 함께 레일장치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다양한 물건들을 주방이나 주방과 가까운 곳에서 양호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인출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다용도보관함, 레일장치, 브라켓, 유압, 탄성부재, 야채

Description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Withdraw Type Multipurpose Storage of the Kitchen}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다용도보관함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용도보관함의 단부에 결합된 레일장치의 이동부재 및 가이드부재가 상호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이동부재 및 가이드부재가 접근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레일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레일장치의 이동부재에 마련된 걸림부가 가이드부재의 걸림턱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레일장치의 이동부재에 마련된 후크가 보관함본체의 후크걸림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레일장치의 이동부재가 레일브라켓 및 이탈방지 절곡부에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용도보관함 10 : 보관함본체
11 : 와이어 바스켓 12 : 고정지지대
15 : 통과공 16 : 손잡이부
17 : 휨방지 절곡부 19 : 후크걸림부
20 : 이탈방지 절곡부 30 : 보관함수용부
40 : 레일장치 50 : 가이드부재
53 : 걸림턱 55 : 유압부
57 : 탄성부재 59 : 레일홈
60 : 레일부재 70 : 이동부재
73 : 걸림부 75 : 후크
77 : 돌기부 80 : 레일브라켓
83 : 가압레버부 85 : 돌기홈
본 고안은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물건들을 주방이나 주방과 가까운 곳에서 양호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가정이나 식당의 주방 또는 주방과 인접한 장소를 살펴보면, 다양한 종류의 물건들이 배치되어 있다. 주방용품 또한 삶의 질을 강조하는 추세와 맞물려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건들을 구매한 구매자들은 주방의 소정 장소에 여러 물건들을 보관하고, 필요 시 보관된 장소로부터 해당 물건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물건의 양 및 종류가 갈수록 많아지기 때문에 주방을 이용하는 사람이 항상 물건을 배치해 놓은 장소를 잊어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사람이 쉽게 찾을 수 있으면서도 물건의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주방의 다용도보관함이 요구되고 있다.
다용도보관함에는 다양한 물건들이 보관되도록 설계되어 다양한 물건의 보관을 목적으로 하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주방에서 많이 사용되는 야채를 보관하기 위한 경우로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근래 들어 삶의 질을 강조하는 사회 트렌드(trend)와 맞물려, 식생활에서도 예전의 육식 위주의 생활보다는 채식을 강조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유기농 야채와 같은 고품질의 야채의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이어트를 하는 많은 수의 사람들은 야채만으로 식생활을 영위하고 있다.
또한 채식만을 하는 채식주의자들의 수도 급격히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야채 소비량도 예전에 비해 현저히 상승하였다. 다시 말해, 야채의 중요성 및 수요량이 그 어느 때보다 부각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가정 및 식당과 같이 사람이 사는 거주공간에서 소모되는 야채의 양은 예전에 비해 상당히 많아졌기 때문에 종류가 다양하면서도 양적으로도 많은 야채를 보관하기 위한 여러 장소가 활용되고 있다.
야채를 보관하는 보관장소 중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장소는 냉장고이다. 냉장고는 야채의 신선도를 유지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야채의 보관장소로서 적합하지만 한정된 공간으로 인해 다량의 야채를 보관할 수 없다.
그래서, 대부분의 가정 및 기타 장소에서는 냉장고에 수용할 수 없는 야채들을 소정의 망에 보관하거나 베란다와 같은 곳에 방치해 두거나 별도로 마련된 보관함에 야채를 넣어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종래의 야채를 보관하는 장소에 있어서는, 망을 통과하여 나온 이물질, 또는 베란다에 방치해 둔 야채로부터 발생한 흙과 같은 이물질들이 거주공간을 더럽힐 수 있으며 야채를 소모하기 위해서는 보관된 장소로부터 일정 거리를 옮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서랍과 같은 구조를 갖는 별도의 공간에 야채를 보관하는 경우 야채의 양이 많아짐에 따라 응력을 견디지 못하고 레일 등이 파손되거나 서랍의 인출이 자연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통기가 어려운 밀폐된 공간에서 보관되므로 신선한 상태로 보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물건들을 주방이나 주방과 가까운 곳에서 양호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인출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내부에 소정의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보관함본체; 상기 보관함본체를 수용하는 보관함본체의 양측 내벽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보관함본체의 외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보관함수용부에 대해 상기 보관함본체를 출입시키기 위한 레일장치; 상기 보관함본체의 하단면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장치를 지지하는 레일브라켓; 및 상기 보관함본체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브라켓과 함께 상기 레일장치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레일부재가 더 마련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부재의 내측 일단부에는 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보관함본체의 후면의 일영역에는 상기 후크와 대응하는 후크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보관함본체는 상호 후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의 일영역에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걸림부와 대응하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가이드부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은 유압부와 결합되어 상기 걸림턱에 상기 걸림부가 걸릴 때 상기 유압부의 힘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를 내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 및 상기 유압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의 내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보조될 수 있다.
상기 물건은 야채이며 보관함본체의 전면 및 양측면에는 내부에 보관된 야채에 자연 공기를 유입해주는 복수의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관함본체의 내부는 와이어 바스켓에 의해서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보관함본체의 내벽면에는 상기 와이어 바스켓을 고정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바스켓은 상기 보관함본체 내에 보관되는 야채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면재질의 천으로 커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관함본체의 전면 상단부에는 상기 보관함수용부에 대한 상기 보관함본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보관함본체의 전면의 하단 모서리에는 상기 보관함본체가 상기 보관함수용부에 출입하는 과정 중에 발생 가능한 휨을 방지하는 휨방지 절곡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고안은 주방 및 주방과 가까운 곳에 보관되는 다양한 종류의 물건들을 보관하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에 관한 것이나,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물건 중 특히 야채를 보관하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이 열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용도보관함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다용도보관함의 단부에 결합된 레일장치의 이동부재 및 가이드부재가 상호 이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 이동부재 및 가이드부재가 접근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레일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레일장치의 이동부재에 마련된 걸림부가 가이드부재의 걸림턱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레일장치의 이동부재에 마련된 후크가 보관함본체의 후크걸림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레일장치의 이동부재가 레일브라켓 및 이탈방지 절곡부에 지지되는 상태를 도시한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보관함(1)은, 내부에 여러 종류의 야채를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보관함본체(10)와, 보관함본체(10)가 보관함수용부(30)에 대해 출입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부재(50) 및 이동부재(70)를 구비하는 레일장치(40)와, 보관함본체(10)의 하단면에 결합되어 레일장치(40)를 지지하는 레일브라켓(80)과, 보관함본체(10)의 양측면 하단부에 형성되어 레일브라켓(80)과 함께 레일장치(40)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절곡부(20)를 구비한다.
보관함본체(10)는, 야채를 바로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내벽에 고정지지대(12)를 마련하고 고정지지대(12)에 복수 개의 와이어 바스켓(11)을 결속한 후에 각각의 와이어 바스켓(11)에 야채를 담아 보관한다. 고정지지대(12)가 마련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와이어 바스켓(11)을 보관함본체(10)에 결속시킬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보관함본체(10)의 내부 구조를 변경하여 야채를 보다 깔끔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보관함본체(10) 내부를 와이어 바스켓(11)에 의해서 여러 구획으로 나눔으로써 각각의 와이어 바스켓(11)에 여러 종류의 야채를 분류하여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야채를 사용하게 될 경우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와이어 바스켓(11)은 야채를 수용한 후 면재질의 천(미도시)으로 커버된다. 면재질의 천은 와이어 바스켓(11) 내의 야채의 수분을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하여도 야채 구입 시의 상태를 최대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관함본체(10)의 전면 및 양측면에는 일정 배열 간격으로 다수의 통과공(15)이 형성되어 있다. 통과공(15)은 외부에서 부는 자연바람을 유입시켜 야채가 호흡할 수 있도록 하여 야채 본연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보관함본체(10)의 전면 상단부에는 보관함본체(10)를 보관함수용부(30)로터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손잡이부(16)가 마련되어 있고, 보관함본체(10) 전면의 하단 모서리에는 보관함본체(10)가 보관함수용부(30)에 출입하는 과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휨을 방지하는 휨방지 절곡부(17)가 마련되어 있다. 이로 인해, 종래보다 많은 양의 야채를 적재하는 경우에도 가운데로 과도한 휨이 생기지 않아 보관함수용부(30)에 보관함본체(10)를 수월하게 넣거나 뺄 수 있다.
이러한 보관함본체(10)는 보관함수용부(30)에 출입한다. 즉, 야채를 보관함본체(10) 내의 와이어 바스켓(11)에 담은 후 보관함본체(10)를 보관함수용부(30)에 밀어 넣어 일정 시간 보관하다가 야채를 사용할 경우 다시 보관함수용부(30)로부터 보관함본체(10)를 빼낸 후 필요한 야채를 골라 사용하는 것이다.
보관함수용부(30)로 출입하는 보관함본체(1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 보관함수용부(30)와 보관함본체(10)는 레일장치(40)로 연결되며, 레일장치(4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의 상대적인 이동에 의해 보관함본체(10)는 보관함수용부(30)로 출입하게 된다.
레일장치(40)는, 보관함수용부(30)의 내벽면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가이드부재(50)와, 보관함본체(10)의 외벽면 중 가이드부재(50)와 대응하는 위치에 결합되는 이동부재(70)와, 가이드부재(50)와 이동부재(70) 사이에 결합되어 가이드부재(50)와, 이동부재(70)에 대해 상대이동하는 레일부재(60)를 구비한다.
가이드부재(50)는, 단지 보관함수용부(30)의 양측면의 소정의 영역에 고정 결합되어 이동부재(70) 및 레일부재(6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재(50)의 내측 일영역에는, 이동부재(70)에 마련된 걸림부(73)와 상호 작용하는 걸림턱(53) 및 유압부(55)와, 걸림턱(53) 및 유압부(55)에 연결되어 이동 부재(70)에 고정 지지되어 이동하는 보관함본체(10)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7)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는, 이동부재(70)의 설명 시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가이드부재(50)에는, 이동부재(70)와 가이드부재(50) 사이에 결합되는 레일부재(60)가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홈(59, 도 7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부재(60)는 길이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자른 단면이 아이(I) 형상을 가지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부재(6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 돌출부(63)가 레일홈(59)에 결합되어 고정된 가이드부재(50)에 대해 양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레일부재(60)의 제1 돌출부(6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돌출부(미도시)는 이동부재(70)에 결합되어 이동부재(70)가 레일부재(60)에 대해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부재(70)는, 보관함본체(10)의 하단면에 고정 지지되어 보관함본체(10)와 함께 이동하는 부재이다. 이동부재(70)의 내측방향 일단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본체(10)와의 결합을 위한 후크(75)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75)는 이에 대응하는 보관함본체(10)의 후크걸림부(19)에 결합되어 이동부재(70)와 보관함수용부(30) 간을 단단히 고정 지지시킨다. 또한 이동부재(70)의 타측 단부는 이탈 방지 절곡부(20) 및 레일브라켓(80)에 의해 지지된다.
이탈방지 절곡부(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본체(10) 하단면의 양측 모서리 일영역에 절곡진 형상으로 마련되어 이동부재(70)의 올바른 위치를 잡아줌은 물론 이동부재(70)가 외측 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기 때문에 이동 부재(70)가 보관함본체(10)에 정확히 지지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탈방지 절곡부(20)가 외측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한다면 내측방향으로는 레일브라켓(80)이 설치되어 이동부재(70)의 이탈 방지 및 위치를 지지한다.
레일브라켓(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본체(10) 하단면의 양측에 나사결합되어 이동부재(7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이동부재(70)의 결합 시 이동부재(70)가 수월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더 마련하도록 하는 가압레버부(83)와, 이동부재(70)의 단부 영역에 마련된 돌기부(77)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기홈(85)을 구비한다.
가압레버부(83)를 잡아서 오므리면 이동부재(70)가 들어갈 공간이 더 확보되기 때문에 이동부재(70)를 레일브라켓(80)의 소정 영역에 쉽게 넣을 수 있으며, 다시 가압레버부(83)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이동부재(70)의 돌기부(77)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된 레일브라켓(80)의 돌기홈(85)이 돌기부(77)와 서로 맞물려 이동부재(70)는 레일브라켓(80)에 단단히 지지된다.
이와 같이, 이동부재(70)와 보관함본체(10)는, 이동부재(70)의 후단부에서는 후크 결합을, 선단부에서는 이탈방지 절곡부(20) 및 레일브라켓(80)을 이용한 지지 결합을 함으로써 상호 정확한 결합을 할 수 있으며, 용접과 같은 반영구적인 결합을 하지 않음으로 인해 필요할 시 분리도 수월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이동부재(70)가 레일부재(60)를 사이에 두고 가이드부재(50)와 상호 상대이동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술하기로 한다.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부재(70)에는 걸림부(73)가 마련되어 있고 가이드부재(50)에는 걸림턱(53)이 마련되어 있다. 보관함본체(10)가 고정 지지되는 이동부재(70)는 레일부재(60)와의 상대이동에 의해서 가이드부재(50)와 가까워지거나 이격될 수 있는데, 이 중 가까워지는 경우 어느 위치에 도달하면 이동부재(70)의 걸림부(73)가 가이드부재(50)의 걸림턱(53)에 정확히 걸리게 된다. 걸림턱(53)은 유압부(55)와 연결되어, 이동부재(70)의 걸림부(73)가 가이드부재(50)의 걸림턱(53)에 걸릴 시 유압부(55)의 당기는 힘에 의해 이동부재(70)를 내측으로 당기게 된다. 이때, 걸림턱(53) 및 유압부(55)에는 가이드부재(50)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부재(57)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유압부(55)의 당기는 동작과 동시에 탄성의 힘으로 이동부재(70)를 내측으로 끝까지 잡아당겨 이동부재(70)에 결합된 보관함본체(10)가 보관함수용부(20)에 완전히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유압부(55)와 탄성부재(57)는 충격 및 진동을 완충하는 댐핑(damping) 효과에 의해 보관함본체(10)는 보관함수용부(30)에 부드럽게 닫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보관함(1)은, 과도한 힘을 가하지 않고도 보관함수용부(30)에 보관함본체(10)를 자연스럽게 출입시킬 수 있으며, 또한 유압부(55) 및 탄성부재(57)의 댐핑 기능에 의해서 보관함본체(10)가 보관함수용부(30)에 급격히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출입이 자연스러워 사용자가 사용하기 편한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보관함의 사용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보관함(1)은, 싱크대의 하단영역에 마련 된 보관함수용부(30)에 출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먼저, 야채를 보관함본체(10)에 담는 경우, 보관함본체(10) 내에 마련된 다수의 와이어 바스켓(11)에 야채를 종류대로 분류하여 담을 수도 있으며, 또한 이때 야채의 수분 및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전면을 면재질의 천으로 커버(cover)된 와이어 바스켓(11)에 야채를 담을 수도 있다.
이후, 손잡이부(16)를 잡고 보관함본체(10)를 보관함수용부(30)로 밀어 넣는다. 그러면, 보관함본체(10)에 고정 결합된 이동부재(70)와 보관함수용부(30)에 결합된 가이드부재(50) 사이에 결합된 레일부재(60)의 상대이동에 의해 보관함본체(10)는 보관함수용부(30)롤 밀려 들어가게 된다.
이때, 보관함본체(10)가 안으로 들어가는 경우, 이동부재(70)의 후단부와 중앙영역의 중간지점에 마련된 걸림부(73)가 가이드부재(50)에 결합된 걸림턱(53)에 걸리게 된다. 걸림과 동시에 걸림턱(53)에 연결된 유압부(55)의 당기는 힘에 의해 보관함본체(10)는 레일부재(60) 및 가이드부재(50)의 내측방향 끝까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걸림턱(53) 및 유압부(55)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57)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함본체(10)가 보관함수용부(30)에 닫힐 때 탄성력에 의해 닫히는 과정을 보조하게 된다. 이때, 유압부(55)와 탄성부재(55)의 댐핑(damping) 효과에 의해 보관함본체(10)는 부드러운 이동을 할 수 있다.
반대로, 보관함수용부(30)로부터 보관함본체(10)를 빼내는 경우에는, 탄성부재(57)가 보관함본체(10)에 작용되는 힘의 반대방향에서 일정의 탄성력으로 잡아당기기 때문에 보관함본체(10)가 급격히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이동부재(70)가 가이 드부재(5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걸림부(73)가 걸림턱(53)으로부터 해제되고 이후 이동부재(70)와 가이드부재(50)와 레일부재(60)의 상대 이동에 의해서 보관함본체(10)는 수월하게 열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용도보관함(1)은, 접근이 쉬운 곳에 각각 그 종류대로 분류되어 보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관함본체(10)가 열리고 닫히는 동작이 부드럽게 진행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적절한 힘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정확하고 단단하게 결합되어 고장이 쉽게 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야채 구입 시의 수분 및 신선도와 같은 상태를 거의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보관함본체가 야채를 보관한다고 상술하였으나, 보관함본체는 야채 뿐만 아니라 주방에 이용되는 다양한 물건을 보관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다양한 물건들을 주방이나 주방과 가까운 곳에서 양호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인출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야채를 보관하는 경우, 많은 야채를 신선한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Claims (11)

  1. 내부에 소정의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갖는 보관함본체;
    상기 보관함본체를 수용하는 보관함본체의 양측 내벽면에 결합되는 가이드 부재와, 상기 보관함본체의 외벽면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부재를 따라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보관함수용부에 대해 상기 보관함본체를 출입시키기 위한 레일장치;
    상기 보관함본체의 하단면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장치를 지지하는 레일브라켓; 및
    상기 보관함본체의 하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레일브라켓과 함께 상기 레일장치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레일부재가 더 마련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레일부재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내측 일단부에는 후크가 마련되고 상기 보관함본체의 후면의 일영역에는 상기 후크와 대응하는 후크걸림부가 마련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보관함본체는 상호 후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일영역에는 걸림부가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걸림부와 대응하는 걸림턱이 마련되어, 상기 이동부재가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가이드부재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걸림부가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은 유압부와 결합되어 상기 걸림턱에 상기 걸림부가 걸릴 때 상기 유압부의 힘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를 내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딩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 및 상기 유압부에는 상기 가이드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탄성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의 내측 방향으로의 슬라이딩 이동이 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 함.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건을 야채이며,
    상기 보관함본체의 전면 및 양측면에는 내부에 보관된 상기 야채에 자연 공기를 유입해주는 복수의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본체의 내부는 와이어 바스켓에 의해서 복수 개의 영역으로 구획되며,
    상기 보관함본체의 내벽면에는 상기 와이어 바스켓을 고정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지지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 바스켓은 상기 보관함본체 내에 보관되는 야채의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면재질의 천으로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본체의 전면 상단부에는 상기 보관함수용부에 대한 상기 보관함본체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손잡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함본체의 전면의 하단 모서리에는 상기 보관함본체가 상기 보관함수용부에 출입하는 과정 중에 발생 가능한 휨을 방지하는 휨방지 절곡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KR2020060019339U 2006-07-18 2006-07-18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KR200427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339U KR200427396Y1 (ko) 2006-07-18 2006-07-18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339U KR200427396Y1 (ko) 2006-07-18 2006-07-18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396Y1 true KR200427396Y1 (ko) 2006-09-25

Family

ID=4177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339U KR200427396Y1 (ko) 2006-07-18 2006-07-18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39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913B1 (ko) * 2007-02-21 2011-08-12 박윤식 하부장착형 슬라이드에 부착되는 자동폐쇄장치
KR20230172774A (ko) 2022-06-16 2023-12-26 김충록 주방용품 보관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6913B1 (ko) * 2007-02-21 2011-08-12 박윤식 하부장착형 슬라이드에 부착되는 자동폐쇄장치
KR20230172774A (ko) 2022-06-16 2023-12-26 김충록 주방용품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2978B1 (en) Food container
KR20140022598A (ko) 냉장고용 서랍칸
KR200427396Y1 (ko) 주방의 하부장용 인출식 다용도보관함
JP2010048435A (ja) 冷蔵庫
KR101264929B1 (ko) 김치냉장고의 저장용기 자동 개폐구조
RU2006104661A (ru) Дверная полка для холодильника
KR200415144Y1 (ko) 슬림 수납함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KR200393556Y1 (ko) 김치냉장고의 서랍 탈거 방지 구조
KR200385893Y1 (ko) 세로형 수납장
CN201265107Y (zh) 一种晾晒工具收纳装置
JP2008309450A (ja) 冷蔵庫
KR200448081Y1 (ko) 인출망 수납장
KR101800510B1 (ko) 수납장
KR20210000489U (ko) 승강식 수납장치
KR100507947B1 (ko) 싱크대 수납랙의 수납구조물
JP2772634B2 (ja) 隙間配置収納ケース用スライドトレー
KR200484135Y1 (ko) 우산꽂이
KR20190002919U (ko) 멀티 바스켓
CN219727979U (zh) 一种便于隐藏收纳的车载冰箱
KR100334652B1 (ko) 김치냉장고
KR200363193Y1 (ko) 담배 상품진열 장치
JP5289988B2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用引き出し
KR20100015240A (ko) 우산 분실 방지 신발장
JP2024091056A (ja) クーラー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