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4135Y1 - 우산꽂이 - Google Patents

우산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4135Y1
KR200484135Y1 KR2020150004128U KR20150004128U KR200484135Y1 KR 200484135 Y1 KR200484135 Y1 KR 200484135Y1 KR 2020150004128 U KR2020150004128 U KR 2020150004128U KR 20150004128 U KR20150004128 U KR 20150004128U KR 200484135 Y1 KR200484135 Y1 KR 2004841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umbrella stand
stand frame
vertical connection
rai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41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4530U (ko
Inventor
배정동
Original Assignee
배정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정동 filed Critical 배정동
Priority to KR20201500041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4135Y1/ko
Publication of KR201600045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453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41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41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꽂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장의 내부에 설치되어 우산을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한 우산꽂이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 플레이트; 상기 레일 플레이트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상부가 개구된 우산꽂이 프레임; 및 상기 우산꽂이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고, 우산의 하단이 안착되는 우산꽂이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우산꽂이{Umbrella stand}
본 고안은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내 신발장 또는 다용도 사물함 등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우산을 인출 및 인입할 수 있는 우산꽂이에 관한 것이다.
우산꽂이는 통상적으로 은행, 가게 등에서 비 오는 날에 사용되며, 일반 가정에서는 그다지 사용되지 않았었다. 일반적으로 주택에는 마당이 딸려있어서 우산을 그대로 마당에 두면 되었으나, 아파트, 연립주택, 빌라 등 마당이 없는 주택구조가 일반화되면서 비오는 날 젖은 우산을 주택 내로 갖고 들어오는 경우에 젖은 우산의 처리로 불편함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일반 가정에서도 우산꽂이를 가정 내에 비치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우산꽂이는 일반적으로 현관에 구비된 신발장 또는 다용도 사물함 등에 비치되어 있어 가정 내로 들어오면서 우산을 인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우산꽂이는 신발장의 내부에 비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우산꽂이에 인입된 우산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우산꽂이를 신발장의 외부로 꺼낸 후에 우산을 인출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신발장에 비치된 우산꽂이로부터 우산을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우산꽂이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13-0003177호(2013.05.29)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정 내 신발장 또는 다용도 사물함 등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우산을 인출 및 인입할 수 있는 우산꽂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고안은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장의 내부에 설치되어 우산을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한 우산꽂이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 플레이트; 상기 레일 플레이트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상부가 개구된 우산꽂이 프레임; 및 상기 우산꽂이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고, 우산의 하단이 안착되는 우산꽂이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플레이트는, 상기 바닥면에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각각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우산꽂이 프레임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우산꽂이 프레임은,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 연결부;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직 연결부를 다단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 및 상기 수직 연결부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결부의 일부에는, 하단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면에 걸어지는 걸이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걸이단이 위치하는 절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전방 쪽에 배치된 수직 연결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하면, 가정 내 신발장 또는 다용도 사물함 등에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우산을 인출 및 인입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하면, 우산꽂이 프레임의 걸이단이 레일 플레이트에 걸어진 상태로 슬라이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안정적인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우산꽂이 프레임이 슬라이딩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에서 우산꽂이 박스를 제거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우산꽂이 프레임이 슬라이딩되는 것을 보인 동작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가 수납장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우산꽂이의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우산꽂이 프레임이 슬라이딩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에서 우산꽂이 박스를 제거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에 의한 우산꽂이는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장의 내부에 설치되어 우산을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한 우산꽂이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40)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 플레이트(30); 상기 레일 플레이트(30)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상부가 개구된 우산꽂이 프레임(10); 및 상기 우산꽂이 프레임(10)의 내측에 안착되고, 우산의 하단이 안착되는 우산꽂이 박스(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우산꽂이는 주택의 현관에 주로 비치되어 물건을 수납하는 수납장(4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수납장(40)은 신발장을 비롯하여 다양한 물건들을 수납하는 수납장(40)을 포함한다.
우산꽂이 프레임(10)은,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 연결부(12);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직 연결부(12)를 다단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14); 및 상기 수직 연결부(12)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 지지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우산꽂이 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사 구조물을 수평 수직으로 연결한 형태를 가지는데,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우산을 인입 및 인출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도 가능하다.
수직 연결부(12)는 하나의 철사를 상부와 하부를 반대방향으로 절곡시켜 연결한 형태를 가지며, 4개의 면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연결부(14)는 도 1에서와 같이 상단, 중앙, 하단 측에 각각 배치되어 수직 연결부(12)를 연결하게 된다. 한편, 수직 연결부(12) 중 모서리 측에 배치된 수직 연결부(12)의 하단에는 우산꽂이 프레임(10)을 바닥면에 지지하기 위한 바닥 지지부(16)가 구비된다. 바닥 지지부(16)는 수직 연결부(12)의 하단을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라운드진 형상에 의해 바닥면과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수직 연결부의 일부(12)에는, 하단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부(36)에 걸어지는 걸이단(18, 도 4 참조)이 구비된다.
또한, 전방 쪽에 배치된 수직 연결부(12)는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도 2의 A부분 참조). 이와 같이 전방 쪽에 배치된 수직 연결부(12)가 경사지게 형성되면, 우산꽂이 프레임(10)의 수납장(40)의 외부로 슬라이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거치된 우산을 보다 편리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우산꽂이 박스(20)는 상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의 박스 타입으로서, 우산꽂이 프레임(10)의 내측에 안착된다. 그리고, 우산꽂이 박스(20)는 우산의 하단이 안착되어 실질적으로 우산을 보관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동시에 우산에서 흘러내리는 물을 수집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레일 플레이트(30)는, 상기 바닥면에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32); 상기 고정부(32)에서 각각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34); 및 상기 수직부(34)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우산꽂이 프레임(10)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32)는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레일 플레이트(30)는 수납장(40)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우산꽂이 프레임(10)이 수납장(40)의 내외부로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레일 플레이트(30)는 대략 금속판을 가공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일 플레이트(30)는 수납장(40)의 바닥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레일 플레이트(30)를 따라 우산꽂이 프레임(10)만 수납장(40)의 내외부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레일 플레이트(30)의 슬라이딩부(36)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걸이단(18, 도 4 참조)이 위치하는 절개부(38)가 형성된다. 절개부(38)는 슬라이딩부(36)의 중앙부에서 후단을 향하여 절개한 것으로서 이 부분에는 걸이당(18)이 위치하게 된다. 절개부(38)는 걸이단(18)이 슬라이딩부(36)와 간섭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한 부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걸이단(18)은 우산꽂이 프레임(10)이 수납장(40)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절개부(38) 상에 위치한다. 하지만, 도 5에서와 같이 우산꽂이 프레임(10)을 전방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걸이단(18)은 절개부(38)를 지나 슬라이딩부(36)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우산꽂이 프레임(10)에 외력이 가해져도 우산꽂이 프레임(10)이 레일 플레이트(30)에서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우산꽂이 프레임(10)의 일부를 변형하여 걸이단(18)을 형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우산꽂이 프레임(10)의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가 수납장에 설치된 것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도 6은 우산꽂이가 수납장(40)에 설치되고 수납장(40) 내부에 위치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 상태는 사용자가 우산꽂이 박스(20)에 우산을 인입한 상태이다. 즉, 우산의 하단은 우산꽂이 박스(20)에 안착되어 있고 우산의 측면은 우산꽂이 프레임(10)에 기대어 있는 상태이다.
이때, 사용자가 우산을 인출하기 위해서 우산꽂이 프레임(10)을 수납장(40)의 외부로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그러면, 우산꽂이 프레임(10)이 슬라이딩부(36)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수납장(40)의 외부로 배출되며, 우산꽂이 프레임(10)은 걸이단(18)이 슬라이딩부(36)의 하면에 걸어져 있기 때문에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사용자는 우산을 우산꽂이 박스(20)에서 인출할 수 있고, 다시 우산꽂이 프레임(10)을 수납장(40)의 내부로 슬라이딩시키면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다양한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우산꽂이 프레임 12 : 수직 연결부
14 : 수평 연결부 16 : 바닥 지지부
18 : 걸이단 20 : 우산꽂이 박스
30 : 레일 플레이트 32 : 고정부
34 : 수직부 36 : 슬라이딩부
38 : 절개부 40 : 수납장

Claims (6)

  1.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수납장의 내부에 설치되어 우산을 인입 및 인출하기 위한 우산꽂이에 있어서,
    상기 수납장 내부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레일 플레이트;
    상기 레일 플레이트에 슬라이딩되게 설치되고, 상부가 개구된 우산꽂이 프레임; 및
    상기 우산꽂이 프레임의 내측에 안착되고, 우산의 하단이 안착되는 우산꽂이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플레이트는,
    상기 바닥면에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는 한 쌍의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서 각각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우산꽂이 프레임이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우산꽂이 프레임은,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세워지는 수직 연결부;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수직 연결부를 다단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결부; 및
    상기 수직 연결부의 하단에서 상방으로 라운드지게 연장되어 상기 바닥면에 지지되는 바닥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연결부의 일부에는, 하단이 상기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면에 걸어지는 걸이단이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딩부에는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걸이단이 위치하는 절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전방 쪽에 배치된 상기 수직 연결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KR2020150004128U 2015-06-22 2015-06-22 우산꽂이 KR2004841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128U KR200484135Y1 (ko) 2015-06-22 2015-06-22 우산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4128U KR200484135Y1 (ko) 2015-06-22 2015-06-22 우산꽂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530U KR20160004530U (ko) 2016-12-30
KR200484135Y1 true KR200484135Y1 (ko) 2017-08-10

Family

ID=57708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4128U KR200484135Y1 (ko) 2015-06-22 2015-06-22 우산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41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952A (ko) 2019-12-27 2021-07-07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식 우산 보관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201Y1 (ko) * 2004-08-06 2004-11-03 김호기 우산꽂이
KR101464103B1 (ko) * 2014-03-18 2014-11-21 (주)엘지하우시스 몰드물 고정용 패스너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7236U (ko) * 1973-06-12 1975-02-24
KR20100004971U (ko) * 2008-11-05 2010-05-13 곽승구 슬라이드가 부착된 우산꽂이
KR20130003177U (ko) 2011-11-21 2013-05-29 곽승구 접이식 우산꽂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6201Y1 (ko) * 2004-08-06 2004-11-03 김호기 우산꽂이
KR101464103B1 (ko) * 2014-03-18 2014-11-21 (주)엘지하우시스 몰드물 고정용 패스너 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3952A (ko) 2019-12-27 2021-07-07 창신대학교 산학협력단 다단식 우산 보관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4530U (ko)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21595A1 (en) Wall-mount rack
US20100117499A1 (en) Telescopic storage device
US20050230577A1 (en) Hanger for use on metal rack
US20140217046A1 (en) Assemblable Storage Rack
KR200484135Y1 (ko) 우산꽂이
KR200458234Y1 (ko) 슬라이드 출몰식 바지걸이
KR200492419Y1 (ko) 수납장치
KR200459857Y1 (ko) 다단의 수납함이 조립식으로 이루어지는 헹거
JP3202554U (ja) ラッキングドア
KR20140112233A (ko) 벽면에 장착되는 수납선반장치
KR200236078Y1 (ko) 가구 슬라이딩 도어의 현가식 케이지상 선반
KR200454654Y1 (ko) 바스킷서랍을 갖는 테이블냉장고
KR20210113844A (ko) 다용도 선반
KR20130001160U (ko) 사다리 받침용 가이드가 구비된 2단 수납가구
KR101835701B1 (ko) 조립형 다용도 선반
US9554651B2 (en) Support members and storage assemblies incorporating the support members
KR200493675Y1 (ko) 우산꽂이
KR20180001571U (ko)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KR200493880Y1 (ko) 수납장치
JP2010070954A (ja) 収納棚
KR102036497B1 (ko) 접이식 진열대
KR200448081Y1 (ko) 인출망 수납장
KR20170122600A (ko) 소파용 장식장
KR200199574Y1 (ko) 수납장치
KR20160055033A (ko) 욕실용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