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571U -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 Google Patents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571U
KR20180001571U KR2020160006723U KR20160006723U KR20180001571U KR 20180001571 U KR20180001571 U KR 20180001571U KR 2020160006723 U KR2020160006723 U KR 2020160006723U KR 20160006723 U KR20160006723 U KR 20160006723U KR 20180001571 U KR20180001571 U KR 2018000157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shelf
coupling groove
support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600067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명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네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네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네거
Priority to KR20201600067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571U/ko
Publication of KR201800015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57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4Wardrobes for shoes, hats, umbrella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1Structural features of shelf bases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을 세워서 거치할 수 있도록 우산꽂이가 구비되는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과 양쪽 측벽을 포함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와, 공간부를 상하 복수 개의 층으로 분할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과, 선반의 결합홈에 결합되며 우산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Cabinet with umbrella holder}
본 고안은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산을 세워서 거치할 수 있도록 우산꽂이가 구비되는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현관 수납장의 내부에는 여러 가지 물품이 혼재되어 있게 되어, 유사시 필요한 물품을 찾는데 번잡함을 초래한다.
특히, 현관 수납장의 내부를 구획하여 우산을 보관하도록 함으로써 우산을 세워서 보관하는 경우, 그 내부에 특별한 구조물이 없이 무질서하게 보관함으로써 수납의 효율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세워져 있는 우산을 잡아주는 별도의 장치가 없어서 우산이 쓰러지거나 앞으로 쏟아지는 문제점을 내재하고 있다.
또한, 사용한 우산을 빗물에 젖은 상태로 보관할 수는 없기 때문에, 출입문 근처의 벽에 우산을 기대놓아 어느 정도 물기가 제거된 후에 수납 보관함으로써, 빗물에 의해 현관 주변의 바닥이 지저분하게 오염되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우산을 세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일측에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세워서 보관하는 우산이 옆으로 또는 앞으로 쓰러지지 않도록 잡아줄 수 있는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의 제공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긴 우산과 짧은 우산을 함께 보관할 수 있는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젖은 우산으로부터 흘러나온 물에 의해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외관상 우산들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는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의 제공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닥판과 양쪽 측벽을 포함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공간부를 상하 복수 개의 층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 및 상기 선반의 결합홈에 결합되며 우산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결합홈은 상기 선반의 전면 테두리로부터 후방을 향해 소정의 폭과 깊이로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홈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ㄷ'자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단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몸체의 내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홈의 테두리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양측과 후단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몸체의 타측과 상기 걸림부 사이에 형성되며 우산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홀과,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연장부 및 상기 걸림부로 둘러싸이고 우산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몸체의 후단 내측벽 일측에 원호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보조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측벽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단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측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고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플레이트 형상이며,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선반; 및 상기 선반의 결합홈에 결합되며 우산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우산꽂이를 갖는 선반을 제공함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특징에 의하면,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홈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ㄷ'자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단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몸체의 내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에 의하면, 수납장 내부에 우산을 세워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에 의하면, 보관중인 우산이 쓰러지거나 쏟아지지 않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에 의하면, 수납장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에 의하면, 긴 우산과 짧은 우산을 구분하여 보관할 수 있고, 사용시에는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에 의하면, 젖은 우산으로부터 흘러나오는 물을 받침대에 따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수납장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는 단순한 구조로서 제작 및 사용이 간편하고, 외관이 깔끔하여 디자인적인 측면에서도 경쟁력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도 3의 A-A' 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고안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이하, '수납장')(100)은, 전방이 개방된 함체 형태의 본체(200)와, 본체(200)의 내부에 결합되며 본체(200) 내부의 공간부를 상하 복수 개의 층으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300)과, 선반(3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우산(10, 도 5 참조)을 지지하는 지지부재(400)를 포함한다.
본체(200)는 수납장(100)의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목재나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체(200)는 바닥판(210)과, 바닥판(210)의 양측에 각각 수직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측벽(220)을 포함하며, 측벽(220)의 후단에 플레이트 형상의 후면벽(230)이 결합되고 측벽(220)의 상단에는 천정판(240)이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200) 내부의 공간부를 폭 방향으로 복수 개 분할하기 위한 칸막이(250)가 본체(200)의 폭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선반(3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이며, 그 폭과 길이 등의 규격은 수납장(100) 본체(200)의 규격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300)이 본체(200)의 내부에 결합되며, 본체(200) 내부의 공간부는 선반(300)에 의해 상하 복수 개의 층으로 분할된다. 이때, 선반(300)의 양측은 본체(200)의 양쪽 측벽(220)의 내측에 볼트나 나사못 등의 체결구로 각각 결합되거나, 본체(200)의 측벽(220)에 결합된 별도의 지지구(미도시)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체(200) 내부에 칸막이(250)가 결합되는 경우, 인접하는 한 쌍의 칸막이(250)의 대향면에 선반(300)의 양측이 각각 결합되거나 별도의 지지구에 의해 지지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선반(300)의 일측은 칸막이(250)의 일면에 결합되거나 지지되고 타측은 본체(200)의 측벽(220) 내측면에 결합되거나 지지될 수도 있다.
한편, 선반(300)의 일측에는 사각 형태의 결합홈(310)이 형성된다. 이 결합홈(310)은 후술하는 지지부재(400)의 결합을 위한 것으로, 선반(300)의 전단부 일측의 전면 테두리로부터 후방을 향해 소정의 폭을 갖는 결합홈(310)이 소정 깊이 'ㄷ'자 형태로 절개 형성된다.
도 3과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 방향 단면도이다.
지지부재(400)는 목재나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서 결합홈(310)에 결합되며, 지지부재(400)의 내부에 삽입된 우산(10)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지지부재(400)는 전단이 개방단으로 형성되는 'ㄷ'자 형태의 몸체(410)와, 몸체(410)의 전단 일측(도면상 우측)에서 타측(도면상 좌측)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420)와, 연장부(420)의 끝단에서 후방 즉, 몸체(410)의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걸림부(430)를 포함한다.
몸체(410)의 양측은 결합홈(310)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며, 걸림부(430)가 몸체(410)의 타측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하여 몸체(410)의 내부에 형성됨에 따라, 몸체(410)의 타측과 걸림부(430) 사이에는 우산(10)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홀(440)이 형성된다. 한편, 제1 가이드홀(440)의 후단에는 몸체(410)의 일측 내측면까지 연장되는 제2 가이드홀(450)이 형성되며, 몸체(410)의 일측과 연장부(420) 및 걸림부(430)로 둘러싸인 공간은 우산(10)을 보관하기 위한 수납부(460)를 형성한다. 즉, 사용자는 우산(10)을 세워서 제1 가이드홀(440)을 통해 몸체(410) 내부로 밀어넣은 후, 제2 가이드홀(450)을 거쳐 우산(10)을 수납부(460)에 수납할 수 있다.
수납부(460)에 세워서 보관하는 우산(10)은 일측이 지지부재(400)의 내측에 지지되어 쓰러지지 않고 세워진 자세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때, 우산(10)이 전방으로 쓰러지는 것은 지지부재(400)의 연장부(420)에 의해 방지되고, 후방으로 쓰러지는 것은 몸체(410)의 후단 테두리에 의해 방지되며, 옆으로 쓰러지는 것은 걸림부(430)와 몸체(410)의 일측 테두리에 의해 각각 방지된다.
한편, 길이가 긴 우산(장우산)의 수납을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내부에 결합된 복수 개의 선반(300)에 각각 지지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400)가 결합되는 선반(300)의 개수와 지지부재(400)가 결합된 최상층 선반(300)의 설치 높이는 수납하고자 하는 우산(10)의 길이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지지부재(400)를 선반(300)의 결합홈(310)에 슬라이드 결합할 수 있도록, 몸체(410)의 양측과 후단 테두리를 따라 소정 깊이의 삽입홈(470)이 연장 형성된다. 즉, 선반(300)과 지지부재(400)의 결합시, 지지부재(400) 양측의 삽입홈(470)을 따라 선반(300)의 결합홈(310) 양측 테두리가 슬라이드 결합되고, 지지부재(400) 후단의 삽입홈(470)에는 결합홈(310)의 후단 테두리가 삽입되는 것이다. 이때, 지지부재(400)의 선반(300) 결합후 외관상 삽입홈(470)이 노출되지 않도록, 몸체(410)의 양측 전단부(411)는 폐쇄된다.
또한, 몸체(410)의 내측벽에는 하단 테두리를 따라 단턱(480)이 돌출 형성된다. 이 단턱(480)은 충격에 의해 몸체(410)의 내측면 또는 선반(300)의 결합홈(310) 테두리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체(410)의 강성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수납시 우산(10)의 손잡이(11) 하단을 단턱(480) 위에 걸쳐놓는 경우, 우산(10) 사용시 우산(10)의 손잡이(11)를 용이하게 파지하여 수납장(100) 바깥으로 꺼낼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다.
제1 가이드홀(440)의 후방 즉, 몸체(410)의 후단 내측벽 일측에 원호 형태로 오목하게 보조 수납부(490)가 형성된다. 이 보조 수납부(490)는 길이가 짧은 우산(단우산)(10)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우산(10)의 손잡이(11) 하단을 보조 수납부(490)의 단턱(480)의 상측에 걸쳐서 거치할 수 있다.
아울러, 수납부(460)와 인접한 몸체(410)의 일측 상면에는, 테두리를 따라 몸체(4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고리(412)가 상향 돌출 형성된다. 이 걸림고리(412)는 단우산의 거치를 위한 것으로, 단우산의 손잡이(11)에 구비되는 줄고리(12)를 이 걸림고리(412)에 걸어서 단우산을 수납부(460)에 거치할 수 있다. 이때, 걸림고리(412)는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단부가 아래로 구부러진 갈고리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걸림고리(412)가 형성되는 몸체(410)의 일측이 타측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체(200)의 공간부 하단 즉, 바닥판(210)의 상측에는 젖은 우산(10)으로부터 떨어진 물을 받기 위한 물받이(500)가 안착될 수 있으며, 우산(10)으로부터 낙하한 물이 물받이(500)에 고이게 됨으로써 수납장(100)이나 주변 바닥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물받이(500)는 합성수지 또는 녹이 슬지 않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납장(100)은, 선반(300)에 일정 규격의 결합홈(310)을 절개 형성한 후 지지부재(400)를 결합홈(310)에 결합함으로써 제작이 완료되므로,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선반(300)에 미로 형상의 지지부재(400)가 결합됨에 따라 외관상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단우산을 보조 수납부(490)에 꽂아서 거치하거나, 줄고리(12)를 걸림고리(412)에 걸어서 수납부(460)에 거치할 수 있다. 장우산을 거치할 때에는 제1 가이드홀(440)과 제2 가이드홀(450)을 통해 장우산의 몸체를 수납부(460)에 삽입하고, 연장부(420)나 걸림부(430)에 우산(10)의 몸체를 기대놓게 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다른 예로서 우산꽂이가 형성된 선반이 실내 또는 실외의 일측 벽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선반은 전술한 실시예의 수납장 대신에 별도의 브라켓을 이용하여 벽체에 직접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선반 하부의 바닥에는 우산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기 위한 물받이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 : 우산 100 : 수납장
100 : 본체 300 : 선반
310 : 결합홈 400 : 지지부재
410 : 몸체 420 : 연장부
430 : 걸림부 460 : 수납부
470 : 삽입홈 480 : 단턱
490 : 보조 수납부 500 : 물받이

Claims (10)

  1. 바닥판과 양쪽 측벽을 포함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공간부를 상하 복수 개의 층으로 분할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선반; 및
    상기 선반의 결합홈에 결합되며 우산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선반의 전면 테두리로부터 후방을 향해 소정의 폭과 깊이로 절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홈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ㄷ'자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단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몸체의 내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홈의 테두리가 삽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양측과 후단 테두리를 따라 연장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몸체의 타측과 상기 걸림부 사이에 형성되며 우산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홀과, 상기 몸체의 일측과 상기 연장부 및 상기 걸림부로 둘러싸이고 우산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몸체의 후단 내측벽 일측에 원호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보조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몸체의 내측벽 하단에 돌출 형성되는 단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몸체의 일측 상면에 돌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고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9. 플레이트 형상이며, 일측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선반; 및
    상기 선반의 결합홈에 결합되며 우산이 쓰러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우산꽂이를 갖는 선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결합홈의 양측 테두리를 따라 슬라이드 결합되는 'ㄷ'자 형태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방단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끝단에서 상기 몸체의 내측을 향해 절곡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를 갖는 선반.
KR2020160006723U 2016-11-18 2016-11-18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KR2018000157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23U KR20180001571U (ko) 2016-11-18 2016-11-18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60006723U KR20180001571U (ko) 2016-11-18 2016-11-18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4006U Division KR20180002959U (ko) 2018-08-28 2018-08-28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571U true KR20180001571U (ko) 2018-05-28

Family

ID=62296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60006723U KR20180001571U (ko) 2016-11-18 2016-11-18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571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696B1 (ko) 2019-11-22 2020-08-18 최진구 우산꽂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5696B1 (ko) 2019-11-22 2020-08-18 최진구 우산꽂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0726B1 (en) Ladder and container combination apparatus
US5323917A (en) Refrigerator rack
US9016485B1 (en) Combination rack structure
US9022266B1 (en) Saddlebag tray
KR20180001571U (ko)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US20060279188A1 (en) Door compartment for a refrigerator
KR20180002959U (ko)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KR102137569B1 (ko) 수직형 프라이팬 거치대
US20210321769A1 (en) Modular Storage Assemblies and Components Thereof
KR101818835B1 (ko) 식기선반
JP5592773B2 (ja) 収納装置
KR101481025B1 (ko) 낚시용품 수납장
KR200454654Y1 (ko) 바스킷서랍을 갖는 테이블냉장고
US20240074621A1 (en) Utensil crock
KR200493675Y1 (ko) 우산꽂이
JP3198175U (ja) 収納棚および収納システム
JP2008061683A (ja) 厨房キャビネットの引出し収納構造、厨房キャビネット、厨房キャビネット用引出し、および厨房キャビネット用小物入れ
KR20160004530U (ko) 우산꽂이
KR200491470Y1 (ko) 공구함
KR200343937Y1 (ko) 캐비닛 옷장용 꽂이대
KR200367010Y1 (ko) 골프백 수납기능을 갖는 기구
KR200424495Y1 (ko) 다용도실용 선반 받침장치
KR20160055033A (ko) 욕실용 수납장
KR200195638Y1 (ko) 냉장고용 도어선반
JP2532815B2 (ja) 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600;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3600; WITHDRAWAL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828

Effective date: 20181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