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3675Y1 - 우산꽂이 - Google Patents

우산꽂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3675Y1
KR200493675Y1 KR2020190003112U KR20190003112U KR200493675Y1 KR 200493675 Y1 KR200493675 Y1 KR 200493675Y1 KR 2020190003112 U KR2020190003112 U KR 2020190003112U KR 20190003112 U KR20190003112 U KR 20190003112U KR 200493675 Y1 KR200493675 Y1 KR 2004936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mbrella
opening
short
lo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31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265U (ko
Inventor
최민혁
한신천
김현지
조현용
Original Assignee
최민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민혁 filed Critical 최민혁
Priority to KR20201900031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3675Y1/ko
Publication of KR20210000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26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36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36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개방부와, 상면에 형성되는 제2개방부 및, 전면에 제3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개방부를 통해 삽입된 단우산의 상단을 거치시키기 위한 단우산 걸이부 및, 상기 단우산 걸이부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제2개방부와 제3개방부를 통해 장우산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우산 삽입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장우산 거치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우산꽂이{UMBRELLA STAND}
본 고안은 우산꽂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우산 걸이부와 장우산 거치대를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시켜, 우산의 길이에 따라 거치 상태를 달리 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우산을 구분하여 부관할 수 있는 우산꽂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산꽂이는 우산을 실내나 특정 장소에서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하는 것으로, 대부분 우산의 하단을 꽂아서 보관하는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우산꽂이의 내부에는, 여러 개의 우산을 꽂을 수 있도록 상방이 개방된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수용공간 내에 일정 량의 빗물을 모아둘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우산꽂이는 상하 길이가 일정하므로, 길이가 짧은 우산을 꽂아 놓을 때 우산이 수용공간의 내부에 들어가 빼내기 힘든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었고,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우산을 꽂아 놓을 때 우산의 손잡이가 과도하게 돌출되어 불안정한 상태로 거치되곤 했다.
또한, 종래의 우산꽂이는 우산의 천 부위와 수용공간의 내면이 밀착된 상태로 우산이 보관되고, 다수의 우산이 서로 접하는 상태로 보관되므로, 우산의 수분이 빠르게 건조되지 않고, 우산을 장시간 꽂아놓는 경우 악취가 발생할 염려가 있었으며, 수납장의 도어 내측에 설치하는 경우 상부의 수납용 선반과 간섭이 발생하므로 우산을 꽂을 수 있는 공간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국내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0271397호(2002년 03월 28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다용도 우산꽂이가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단우산 걸이부와 장우산 거치대를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시켜, 우산의 길이에 따라 거치 상태를 달리 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우산을 구분하여 부관할 수 있는 우산꽂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의 전방에 제3개방부를 추가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상방의 삽입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도 우산을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고, 우산의 상단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노출되므로 우산를 용이하게 끼워 넣거나 꺼낼 수 있는 우산꽂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은 착탈 가능한 물받이와 물품 수납함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물받이의 세척이 용이하고, 수용된 물을 용이하게 버릴 수 있으며, 우산 이외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우산꽂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는,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개방부와, 상면에 형성되는 제2개방부 및, 전면에 제3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개방부를 통해 삽입된 단우산의 상단을 거치시키기 위한 단우산 걸이부 및, 상기 단우산 걸이부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제2개방부와 제3개방부를 통해 장우산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우산 삽입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장우산 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우산 걸이부는 전후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바 및, 상단이 상기 가이드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방으로 절곡된 후크에 단우산의 상단이 거치되는 거치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개방부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제3개방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우산 걸이부와 장우산 거치대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지지대가 더 설치죌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단우산 걸이부에 거치된 단우산의 하단을 측방에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개방부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3개방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우산 거치대의 하부에는 물받이가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물받이의 상면에는 상방을 통해 낙하되는 수분이 수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우산 걸이부의 상부에는 물품 수납함이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물품 수납함의 상면에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홈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개방부는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물품 수납함은 상기 제3개방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개방부와 반대되는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는 전후로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 프레임이 더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설치 프레임은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구조물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고안은 단우산 걸이부와 장우산 거치대를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시켜, 우산의 길이에 따라 거치 상태를 달리 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우산을 구분하여 부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고안은 몸체의 전방에 제3개방부를 추가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상방의 삽입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도 우산을 전방을 통해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고, 우산의 상단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노출되므로 우산를 용이하게 끼워 넣거나 꺼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착탈 가능한 물받이와 물품 수납함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물받이의 세척이 용이하고, 수용된 물을 용이하게 버릴 수 있으며, 우산 이외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수납장 도어 내측면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수납장 도어 내측면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보여주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수납장 도어 내측면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를 수납장 도어 내측면에 결합시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100)는 몸체(110)와, 단우산 걸이부(120) 및, 장우산 거치대(130)를 포함한다.
먼저, 몸체(110)는 설치구조물(30)의 벽면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몸체(110)는 내부에 공간부(111)가 형성되고,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0)는 벽체, 수납장(신발장 등) 등의 벽면이나 도어 등에 일측면이 고정적으로 결합되며, 단우산(10)과 장우산(20)을 거치시키기 위해 일측면과 전면이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몸체(110)는 수직한 금속빔 등과 수평한 금속빔 등을 이용해 직사각 형태의 틀로 형성될 수 있고, 몸체(110)의 전면에는 별도의 장식물이 결합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몸체(110)의 일측면에는 제1개방부가 형성되고, 몸체(110)의 상면에는 제2개방부가 형성되며, 몸체(110)의 전면에는 제3개방부가 형성된다.
제1개방부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단우산(10)을 후술 될 단우산 걸이부(120)의 후크(122a)에 걸기 위한 부분으로, 몸체(110)의 일측면에 일정 넓이로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우산(10)을 거치시키는 경우, 단우산(10)을 제1개방부를 통해 공간부(111)로 삽입시킨 후, 단우산(10)의 상단 고리부를 단우산 걸이부(120)의 후크(122a)에 걸어 거치시킬 수 있다.
제2개방부는, 길이가 긴 장우산(20)의 하단을 후술 될 장우산 거치대(130)의 우산 삽입홀(131)에 수직하게 삽입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몸체(110)의 상방으로 개방된다.
예를 들어, 장우산(20)을 거치시키는 경우, 장우산(20)의 하단을 제2개방부를 통해 수직하게 삽입시켜 우산 삽입홀(131)의 상부를 통해 삽입시킬 수 있다.
제3개방부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장우산(20)의 하단을 후술 될 장우산 거치대(130)의 우산 삽입홀(131)에 경사지게 삽입시키기 위한 부분으로, 몸체(110)의 전면에 상하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우산(20)을 거치시키는 경우, 장우산(20)의 하단을 제3개방부를 통해 경사지게 삽입시켜 우산 삽입홀(131)의 상부를 통해 삽입시킬 수 있다.
또한, 몸체(110)의 후면과 제1개방부와 반대되는 일측면도 일정 넓이로 개방시킬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개방 구조를 통해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즉, 몸체(110)의 공간부(111)가 외부로 넓게 개방되므로, 우산(10)(20)에 존재하는 수분이나, 물받이(150)의 수용홈(151)에 수용된 물을 용이하게 증발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1개방부와 반대되는 몸체(110)의 일측면에는 설치구조물(30)에 결합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 프레임(112)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몸체(110)의 상면에는 상방을 통해 장우산(20)의 하단을 우산 삽입홀(131)로 삽입시키기 위한 제3개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설치 프레임(112)은, 몸체(110)의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고, 몸체(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설치 프레임(112)은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설치구조물(30)의 벽면에 결합될 수 있고, 이를 위해 설치 프레임(112)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체결홀(미도시)이 수평하게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미도시 하였으나, 몸체(110)와 설치구조물(30)의 결합 방식은 설치 프레임(112)과 체결부재를 이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단우산 걸이부(120)는, 단우산(10)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공간부(111)의 내부에 결합되며, 제1개방부를 통해 삽입된 단우산(10)의 상단을 거치시킨다.
이를 위한 단우산 걸이부(120)는, 전후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바(121) 및, 가이드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거치부재(122)로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바(121)는, 거치부재(122)가 이동 가능하도록 전후로 길이를 가지며, 제3개방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바(121)는 길이 방향측 양단이 몸체(11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결합될 수 있으며, 몸체(110)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수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거치부재(122)는, 상단이 가이드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는 단우산(10)의 상단을 걸어두기 위한 후크(122a)가 형성된다.
후크(122a)는, 거치부재(122)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후크(122a)의 상단에 단우산(10)의 상단 고리부가 걸림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거치부재(122)의 상단은 가이드바(121)의 상단을 감쌀 수 있는 형태로 절곡될 수 있으며, 가이드바(121)의 상방을 감싸는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거치부재(122)는, 가이드바(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되어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가이드바(121)의 상단에 결합 및 분리시키는 방식으로 설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장우산 거치대(130)는, 장우산(20)의 하단을 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장우산 거치대(130)는 단우산 걸이부(120)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장우산 거치대(130)는 제2개방부 및 제3개방부를 통해 장우산(20)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우산 삽입홀(131)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데, 우산 삽입홀(131)은, 전후 및 좌우 방향을 따라 다수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산 삽입홀(131)의 내주면이 장우산(20)의 측면을 지지하고, 우산 삽입홀(131)에 거치된 장우산(20)의 상단은 경사진 상태로 제3개방부의 전방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단우산 걸이부(120)와 장우산 거치대(140)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지지대(14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지지대(140)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길이 방향측 양단이 몸체(110)의 전후 방향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대(140)의 길이 방향측 양단은 제1개방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단우산(10)의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지지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지지대(140)는, 단우산 걸이부(120)에 거치된 단우산(10)의 하단을 측방에서 지지하므로, 후크(122a)에 거치된 단우산(10)의 하단이 흔들림 없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140)는 제3개방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대(140)에 의해 공간부(111)가 좌우 방향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 경우, 우산 삽입홀(131)에 삽입된 장우산(20)과 후크(122a)에 거치된 단우산(10)이 상호 접촉되지 않고 분할된 상태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장우산 거치대(130)의 하부에는 물받이(150)가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될 수 있으며, 물받이(150)의 상면에는 상방을 통해 낙하되는 수분이 수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홈(15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장우산 거치대(130)의 하부에는 물받이(150)를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물받이(150)의 가장자리가 안착 구조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수용홈(151)은 전술한 우산 삽입홀(131)과 동일한 개수로 형성시킬 수 있고, 우산 삽입홀(131)과 상하 방향에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단우산 걸이부(120)의 상부에는 물품 수납함(160)이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될 수 있으며, 물품 수납함(160)의 상면에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홈(161)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품 수납함(160)은, 제3개방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배치될 수 있고, 수납홈(161)은 다수가 분할될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우산 걸이부(120)의 상부에는 물품 수납함(160)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 구조가 형성될 수 있고, 물룸 수납함(160)의 가장자리가 안착 구조에 안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단우산 걸이부(120)와 장우산 거치대(130)를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시켜, 우산(10)(20)의 길이에 따라 거치 상태를 달리 함으로써, 다양한 길이의 우산(10)(20)을 구분하여 부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몸체(110)의 전방에 제3개방부를 추가적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상방의 삽입 공간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도 우산(10)(20)을 용이하게 거치시킬 수 있고, 우산(10)(20)의 상단이 전방으로 경사지게 노출되므로 우산(10)(20)를 용이하게 끼워 넣거나 꺼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착탈 가능한 물받이(150)와 물품 수납함(160)을 각각 적용함으로써, 물받이(150)의 세척이 용이하고, 수용된 물을 용이하게 버릴 수 있으며, 우산(10)(20) 이외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에 따른 우산꽂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실용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실용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단우산 20: 장우산
30: 설치구조물 100: 우산꽂이
110: 몸체 111: 공간부
112: 설치 프레임 120: 단우산 걸이부
121: 가이드바 122: 거치부재
122a: 후크 130: 장우산 거치대
131: 우산 삽입홀 140: 지지대
150: 물받이 151: 수용홈
160: 물품 수납함 161: 수납홈

Claims (9)

  1. 내부의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일측면에 형성되는 제1개방부와, 상면에 형성되는 제2개방부 및, 전면에 제3개방부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공간부의 내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개방부를 통해 삽입된 단우산의 상단을 거치시키기 위한 단우산 걸이부; 및
    상기 단우산 걸이부의 하부에 이격된 상태로 결합되며, 상기 제2개방부와 제3개방부를 통해 장우산의 하단이 삽입되도록 우산 삽입홀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장우산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단우산 걸이부와 장우산 거치대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지지대가 설치되며;
    상기 지지대는, 길이 방향측 양단이 제1개방부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단우산 걸이부에 거치된 단우산의 측면을 감싸는 상태로 하단을 측방에서 지지하며;
    상기 제3개방부는, 장우산의 하단을 장우산 거치대의 우산 삽입홀에 경사지게 삽입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3개방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대에 의해 공간부가 좌우 방향으로 분할되며;
    상기 단우산 걸이부와 상기 장우산 거치대는 서로 다른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단우산 걸이부는, 전후로 길이를 갖는 가이드바 및, 상단이 상기 가이드바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방으로 절곡된 후크에 단우산의 상단이 거치되는 거치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바는, 상기 제3개방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우산 거치대의 하부에는,
    물받이가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되며,
    상기 물받이의 상면에는,
    상방을 통해 낙하되는 수분이 수용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우산 걸이부의 상부에는,
    물품 수납함이 착탈 가능하게 더 설치되며,
    상기 물품 수납함의 상면에는,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홈이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물품 수납함은,
    상기 제3개방부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방향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개방부와 반대되는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는,
    전후로 길이를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치 프레임이 더 결합되며,
    상기 설치 프레임은,
    체결부재에 의해 설치구조물의 일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산꽂이.
KR2020190003112U 2019-07-25 2019-07-25 우산꽂이 KR2004936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12U KR200493675Y1 (ko) 2019-07-25 2019-07-25 우산꽂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3112U KR200493675Y1 (ko) 2019-07-25 2019-07-25 우산꽂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65U KR20210000265U (ko) 2021-02-03
KR200493675Y1 true KR200493675Y1 (ko) 2021-05-14

Family

ID=74562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3112U KR200493675Y1 (ko) 2019-07-25 2019-07-25 우산꽂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3675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908452U (zh) * 2012-12-04 2013-05-01 重庆金石联业房地产营销顾问有限公司 雨伞架
KR200487496Y1 (ko) * 2016-01-05 2018-09-28 (주)에코로 현관수납장용 물품보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2908452U (zh) * 2012-12-04 2013-05-01 重庆金石联业房地产营销顾问有限公司 雨伞架
KR200487496Y1 (ko) * 2016-01-05 2018-09-28 (주)에코로 현관수납장용 물품보관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265U (ko)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119B1 (ko) 신발장에 구비되는 신발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신발장
KR101804752B1 (ko) 벽부형 다목적 보관대
US20140216957A1 (en) Pinkie Closet
US6305557B1 (en) Funnel system for holding implements
RU2557723C2 (ru) Выдвижной ящик с разделительной системой
KR200493675Y1 (ko) 우산꽂이
KR102003118B1 (ko) 주방가구 하부장용 인출식 서랍 어셈블리
KR20140112233A (ko) 벽면에 장착되는 수납선반장치
KR200484135Y1 (ko) 우산꽂이
KR101506879B1 (ko) 2단 옷걸이 봉 고정대
KR101481025B1 (ko) 낚시용품 수납장
KR101804665B1 (ko) 모니터 거치용 다목적 보관함
KR20180005431A (ko) 다용도 선반
US20090057247A1 (en) Space-saver pot lid hanging storage pouches
US10561236B2 (en) Connector apparatus
KR100977144B1 (ko) 우산 분실 방지 신발장
KR20090095404A (ko) 간이 가로대를 구비하는 선반형 수납수단
KR20180001571U (ko) 우산꽂이를 갖는 수납장
GB2157143A (en) Horticultural holders
US20120060397A1 (en) Iron rest
KR200437989Y1 (ko) 식기건조대의 물받이
KR200248922Y1 (ko) 현가식선반을구획하기위한착탈가능한선반구획격판
KR200450370Y1 (ko) 다목적 행거
JPH0546671Y2 (ko)
KR200372166Y1 (ko) 칼꽂이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70R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AMND Amendment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