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806B1 -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5806B1
KR101555806B1 KR1020150057211A KR20150057211A KR101555806B1 KR 101555806 B1 KR101555806 B1 KR 101555806B1 KR 1020150057211 A KR1020150057211 A KR 1020150057211A KR 20150057211 A KR20150057211 A KR 20150057211A KR 101555806 B1 KR101555806 B1 KR 101555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rails
case
longitudinal direction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7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원
Original Assignee
김기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원 filed Critical 김기원
Priority to KR1020150057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558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5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5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85
    • A47B88/0407
    • A47B88/0418

Landscapes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1)에 관한 것으로, 선반(10)의 하면에 마주보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선반(10)의 전후방 모서리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레일(3,4); 및 상기 선반(10)의 하면에 상기 레일(3,4)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3,4)은 축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선반(10)의 길이에 맞추어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선반에의 레일 설치 여부나 설치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고, 레일 간의 간격 등 배치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수납용기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 아니라, 선반이 설치되는 공간의 공간 활용도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Movable Storing Container For Racks}
본 발명은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나 수납장 등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 사용되는 선반의 하면에 착탈 및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설치 여부나 위치를 사용자가 원하는 대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나 수납함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물품을 내부에 수납하도록 되어 있는 제품은 그릇이나 용기 또는 식료품과 같은 물품의 수납을 합리적이면서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복수의 선반에 의해 분할하고 있다.
더욱이, 최근 들어서는 이러한 물품의 수납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수납장치가 선반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납장치의 한 예로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수납장치(실용신안 공고 실1993-0000044호)를 들 수 있다.
이 수납장치(10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10)의 하면에 형성된 레일(103)을 따라 선반(110) 하부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 설치되며, 내부 공간에 각종 용기(120)를 삽탈 가능하게 수납하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선반(110)은 하면 양측단에 한 쌍의 지지대(105)가 하향 연장되며, 이 지지대(105) 각각의 내측면에 레일(103)이 쌍을 이루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폭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수납장치(101)를 이용해 각종 용기(120)를 선반(110)의 하부에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수납장치(101)는 선반(110)에 수납장치(101)를 끼워 넣도록 하는 레일(103)이 지지대(105)에 일체로 형성되어 움직일 수 없도록 되어 있으므로, 수납장치(101)의 횡폭을 크게 줄일 수 없고, 따라서 선반(110)에 결합되는 위치를 변동할 수 없고, 수납장치(101)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거나 늘릴 수 없어 냉장고 내부의 수납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 공고 실1993-000004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선반용 수납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냉장고나 수납장 등의 선반에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데 사용되는 수납용기를 선반의 하면에 설치함에 있어, 수납함을 지지하기 위해 선반에 결합되는 레일을 선반에 착탈 가능하게 하여, 레일의 설치 위치나 배치 또는 개수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반이 설치되는 냉장고 등의 내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반의 하면에 마주보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선반의 전후방 모서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한 쌍의 레일; 및 상기 선반의 하면에 상기 레일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레일은 축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접이식으로 구성되어, 상기 선반의 길이에 맞추어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는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레일은 상기 선반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서로 간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은, 외부 몸체를 이루며, 상기 수납함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안내부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에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삽입되어 스냅식으로 고정되는 지지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선반의 모서리 일측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단 걸림훅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은 상기 선반의 반대쪽 모서리에 걸려 고정되는 가동단 걸림훅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에 따르면, 수납함을 선반의 하면에 매달기 위해 선반에 설치되는 레일이 선반 모서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납용기의 설치 또는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선반에 설치되는 레일의 위치를 쉽게 변경할 수 있으므로, 수납함의 위치도 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좌우 레일 사이의 간격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므로, 수납함의 횡폭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더욱이, 위와 같이 레일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수납함을 길이방향으로 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서는 90도 회전시켜 폭방향으로 거치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수납용기는 선반에 대한 레일의 설치 편리성이나 선반이 설치되는 내부 공간의 공간 활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선반용 수납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를 설치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수납용기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레일의 정면도.
도 5는 도 4의 평면도.
도 6은 도 4의 측면도.
도 7은 도 2의 수납함을 레일에서 끝까지 빼낸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4의 레일을 지지봉이 축선 중심으로 180도 회전한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9는 도 3의 망체로 된 수납함을 투명한 판체로 된 수납함으로 대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수납함을 90도 회전시켜 폭방향으로 배열되도록 설치한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용기의 사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납용기는 도 2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뿐 아니라 수납장 등 가구의 선반(10)에 설치되는 바, 크게 한 쌍의 레일(3,4)과 수납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3,4)은 선반(10)의 하면에 매달리는 형태로 장착되는 안내 및 지지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0)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쌍을 이루면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중간에 수납함(5)을 인출 가능하게 삽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레일(3,4)은 선반(10)의 길이에 맞추어 길이를 변화시킴으로써 선반(10)의 전방 모서리에서 후방 모서리까지 걸칠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즉, 선반(10)의 전후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바, 이를 위해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와 지지봉(1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11)는 레일(3,4)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중공의 막대 형태를 취하는 바, 후단에 지지봉(13)이 끼워져서 고정되고, 상기 지지봉(13)은 상기 케이스(11)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져서 지지봉(13)과 함께 레일(3,4)의 길이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는 레일(3,4)의 몸체로서 수납함(5)을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일측에, 본 실시예에서는 하면에 안내부(14, 도 6 참조)가 돌출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때, 안내부(14)는 수납함(5)을 즉, 수납함(5)의 상단 측변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기 용이하도록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단면 ㄴ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안내부(14)의 위치가 반드시 케이스(11)의 하면이거나, 형태가 ㄴ자 단면을 갖는 훅일 필요는 없다. 다만, 안내부(14)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 앞쪽에 멈춤돌기(16)가 돌출되어, 수납함(5)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전방으로 길게 빼내지더라도 쉽게 레일(3,4)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그러나, 멈춤돌기(16)는 스냅돌기로서 필요할 때는 수납함(5)을 레일(3,4)에서 분리하여 다시 끼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스(11)는 도 3,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과 후방 내측에 간격유지봉(19)이 결합되는 바, 이 간격유지봉(19)은 레일(3,4) 상호 간의 간격이 사용 중 좁아지거나 벌어지는 등 변화되지 않도록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간격유지봉(19)은 반드시 사용되지 않아도 좋고, 또한 수납함(5)의 횡폭에 맞추어 다양한 길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봉(13)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케이스(11) 내에 축방향으로 삽입되어 레일(3,4)의 신축을 가능하게 하는 부분으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11) 내부에 끼워 맞춤되는 바, 케이스(11) 내주면과 정합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며, 선반(10)의 최대 길이 즉, 냉장고나 수납장의 최대 깊이를 고려하여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결합되는 케이스(11)와 지지봉(13)은 지지봉(13)을 케이스(11) 내의 적정한 삽입위치에서 즉, 선반(10)에 밀착될 수 있는 위치에서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 바, 그 고정 방식은 예컨대 지지봉(13)과 케이스(11)의 접촉면에 톱니를 형성한다거나 복수의 스냅돌기를 형성하여 지지봉(13)을 다단계로 케이스(11)에 스냅 결합되게 할 수 있는 등 다양한 고정방식이 적용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단 걸림훅(23)이 형성되는 반대쪽의 지지봉(13) 전방단(도 3 내지 도 5의 도면부호 18)과 지지봉(13)이 삽입되는 케이스(11)의 내주면 전방단(도 3 내지 도 5의 도면부호 17) 사이에 인장스프링(15)이 장착되어, 지지봉(13)과 케이스(11)의 축방향 인장탄력을 유지하며, 이를 통해 레일(3,4)을 선반(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케이스(11)와 지지봉(13)은 인장스프링(15)을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 내주면 전방단에 걸쇠(17)가 돌출되어 있고, 지지봉(13)의 전방단에도 걸쇠(18)가 돌출되어 있다.
위와 같이 레일(3,4)을 탄력적으로 선반(10)의 전후방 모서리에 걸기 위해서는, 레일(3,4)의 양단에 즉, 케이스(11)의 전방단과 지지봉(13)의 후방단에 각각 걸림훅(21,23)이 형성된다. 이때, 걸림훅(21)은 외부 몸체로서 상대 이동이 없다고 할 수 있는 케이스(11) 전방단에 형성되므로 고정단 걸림훅이라 하고, 걸림훅(23)은 케이스(11)에 대해 상대 이동한다고 할 수 있는 지지봉(13) 후방단에 형성되므로 가동단 걸림훅이라고 한다. 따라서,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는 도면 상 우측단인 지지봉(13) 반대쪽 말단에 즉, 전방단에 고정단 걸림훅(21)이 형성되고, 도면 상 좌측단인 케이스(11) 반대쪽 말단에 즉, 후방단에 인장스프링(15)이 결합된다. 반대로, 지지봉(13)은 전방단에 인장스프링(15)이 결합되고, 후방단에 가동단 걸림훅(23)이 형성된다. 이때, 각각의 걸림훅(21,23)은 공히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돌출되어, 단면 ㄱ자 형태로 절곡되므로, 선반(10)의 전방 또는 후방 모서리에 각각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레일(3,4)은 인장스프링(15)의 인장 탄력에 의해 걸림훅(21,23)을 선반(10)의 전후방 모서리에 밀착시킴으로써 선반(10) 밑에 결합된다.
특히, 지지봉(13)은 지지봉(13)의 축선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열되는 하나 이상 복수의 높이 조정훅(25)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각각의 높이 조정훅(25)은 그 높이 즉, 길이를 가동단 걸림훅(23)과는 물론, 각기 달리 한다. 따라서, 지지봉(13)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케이스(11)에 삽입되는 각도를 변화시키면, 선반(10)의 후방 모서리에 걸리는 걸림훅을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즉, 예컨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13)의 높이 조정훅(25)을 가동단 걸림훅(23)과 180도 각도차로 지지봉(13) 후방단에 상하로 형성하면,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봉(13)을 180도 회전시켜 케이스(11)에 삽입한 때, 길이가 긴 아래쪽의 높이 조정훅(25)이 위로 가게 되며, 이에 따라 선반(10)에 걸리는 걸림훅이 높이 조정훅(25)으로 바뀌게 된다. 따라서, 도 8에 은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선반(10)의 후방 모서리에 마감패드(20)가 부착되어 전체 높이가 높아지더라도, 위와 같이 길이가 긴 높이 조정훅(25)을 이용해 레일(3,4)을 안정적으로 선반(1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이, 길이가 다른 복수의 높이 조정훅(25)에 의하면 선반(10) 후방 모서리의 높이 즉, 두께가 변하더라도 이에 맞추어 레일(3,4)을 선반(10)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수납함(5)은 위와 같은 레일(3,4)을 따라 선반(10)의 하면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수납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 등에 도시된 것처럼 망체나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투명한 함체로 구성되는 바, 그릇이나 식품 등 각종 물품을 담도록 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5)은 길이방향으로 레일(3,4)을 따라 앞뒤로 인출될 수 있도록 레일(3,4)에 끼워질 때는 상단의 좌우측변이 좌우로 돌출된다. 그러나, 수납함(5)은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횡으로 끼울 경우, 종횡 양방향으로 레일(3,4)에 지지할 수 있도록 상단의 전후좌우 4변이 모두 외벽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수납용기(1)는 각종 수납장 특히, 냉장고의 수납공간에 설치된 수납용 선반(10)에 적용되는 용기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0)의 하면에 매달리는 형태로 장착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수납용기(1)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레일(3,4)을 선반(10)의 전후방 모서리에 결합하게 된다.
이를 위해, 사용자는 먼저 레일(3,4) 양단의 케이스(11)와 지지봉(13)을 손으로 잡고 벌려 고정단 걸림훅(21)과 가동단 걸림훅(23)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벌린다. 이때, 인장스프링(15)이 길게 늘어나면서 레일(3,4)은 강한 인장 탄력을 갖게 된다. 그 다음, 고정단 걸림훅(21)을 먼저 선반(10)의 전방 모서리에 건 후, 가동단 걸림훅(23)을 선반(10)의 후방 모서리에 건다. 이에 따라 걸림훅(21,23)은 인장스프링(15)의 인장 탄력에 의해 선반의 전후방 모서리에 스냅식으로 강하게 고정된다. 이 과정에서 필요에 따라 레일(3,4) 사이에 간격유지봉(19)을 끼울 수 있으며, 간격유지봉(19)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레일(3,4)은 수납함(5)의 횡폭에 따라 수시로 상호 간의 간격이 조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레일(3,4)은 극단적인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간의 간격을 최대로 벌려 원래는 길이방향으로 끼우도록 되어 있는 수납함(5)을 90도 회전시켜 폭방향으로 끼어넣을 수 있다. 이 경우 뒤쪽에 수납되는 수납함(5)은 물품을 넣고 빼기가 불편하지만, 앞쪽의 수납함(5)에 의해 가릴 수 있으므로, 보이기 싫은 물품을 수납할 때는 오히려 편리한 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레일(3,4)이 위와 같이 쉽게 선반(10) 모서리에 스냅식으로 결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레일(3,4)을 쉽게 착탈할 수 있고, 폭방향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수납용기(1)의 설치 여부나 위치를 원하는 데로 간편하게 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레일(3,4)의 설치가 완료되면,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레일(3,4)의 안내부(14)를 따라 수납함(5)을 끼워 넣음으로써, 간단히 수납함(5)의 수납도 완료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선반(10) 위에 얹은 통상의 수납함(35)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수납용기(1)의 수납함(5)을 통해서 많은 수의 물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1 : 수납용기 3, 4 : 레일
5, 35 : 수납함 10 : 선반
11 : 케이스 13 : 지지봉
14 : 안내부 15 : 인장스프링
16 : 멈춤돌기 17, 18 : 걸쇠
19 : 간격유지봉 20 : 마감패드
21 : 고정단 걸림훅 23 : 가동단 걸림훅
25 : 높이 조정훅

Claims (4)

  1. 선반(10)의 하면에 마주보도록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상기 선반(10)의 전후방 모서리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선반(10)의 길이에 맞추어 길이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축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하게 접이식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레일(3,4); 및
    상기 선반(10)의 하면에 상기 레일(3,4)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어, 각종 물품을 수납하는 수납함(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레일(3,4)은 상기 선반(1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폭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할 뿐 아니라, 서로 간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일(3,4)은,
    외부 몸체를 이루며, 상기 수납함(5)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안내부(14)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케이스(11); 및
    상기 케이스(11) 내에 축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되는 지지봉(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1)는 상기 선반(10)의 모서리 일측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단 걸림훅(21)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13)은 상기 선반(10)의 반대쪽 모서리에 걸려 고정되는 가동단 걸림훅(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KR1020150057211A 2015-04-23 2015-04-23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KR101555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211A KR101555806B1 (ko) 2015-04-23 2015-04-23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7211A KR101555806B1 (ko) 2015-04-23 2015-04-23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0655A Division KR101529442B1 (ko) 2014-10-31 2014-10-31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5806B1 true KR101555806B1 (ko) 2015-09-24

Family

ID=54249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7211A KR101555806B1 (ko) 2015-04-23 2015-04-23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558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48U (ko) 2019-05-16 2020-11-25 김재민 수납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2548U (ko) 2019-05-16 2020-11-25 김재민 수납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59398B2 (ja) 道具、特に工具の収納用デバイス
US2287611A (en) Shelf
KR20120003486A (ko) 냉장고 및 냉동고용 슬라이딩 선반
KR101804752B1 (ko) 벽부형 다목적 보관대
KR101529442B1 (ko)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US2735741A (en) Refrigerator shelf construction
KR101555806B1 (ko)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KR101449361B1 (ko) 서랍용 인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
KR200480389Y1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KR200479131Y1 (ko) 다기능 주방용품 걸이대
KR20140112233A (ko) 벽면에 장착되는 수납선반장치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KR101316014B1 (ko) 서랍용 조립식 수납용품
KR200483664Y1 (ko) 책장선반에 설치되는 서류 지지대
KR101379282B1 (ko) 가구
TR201613287A2 (tr) Saklanabi̇li̇r raf tutucuya sahi̇p buzdolabi
KR101440794B1 (ko) 고정대 교환 가능한 주방용품 걸이대
JP5414545B2 (ja) ベッドサイドキャビネット
KR20160002101U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CN214892033U (zh) 制冷设备
KR200484135Y1 (ko) 우산꽂이
KR200487174Y1 (ko) 다용도 모니터 선반
KR200474595Y1 (ko) 다용도 꽂이
CN220898527U (zh) 电器
CN203203335U (zh) 冰箱冷藏室抽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