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8907B1 -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68907B1
KR101568907B1 KR1020130143411A KR20130143411A KR101568907B1 KR 101568907 B1 KR101568907 B1 KR 101568907B1 KR 1020130143411 A KR1020130143411 A KR 1020130143411A KR 20130143411 A KR20130143411 A KR 20130143411A KR 101568907 B1 KR101568907 B1 KR 10156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helf
rings
cover part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3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837A (ko
Inventor
고명호
Original Assignee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43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68907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8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8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3/00Bottle cupboards; Bottle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reezers Or Refrigerated Showcas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반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고리부와, 상기 복수의 고리부를 회동 시켜 수납 또는 인출 시키는 커버부, 그리고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가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SHELF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은 수용공간을 구획하며, 수납되는 물품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선반은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 수납되는 물품을 지지한다.
또한, 복수의 선반이 수용공간을 구획하는 경우, 상부 선반과 하부 선반에 의해 구획된 일영역에 물품을 수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복수의 선반의 이격 거리가 하부 선반에 수납되는 물품의 높이보다 멀게 형성된 경우, 상부 선반의 하부와 하부 선반에 수납된 물품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물품을 수납하기 용이하지 않다.
이러한 공간에 물품을 수납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선반을 구비하여 수납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음료병과 같은 형상의 물품은 이러한 공간에 수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냉장고 내부에 배치되는 선반은 다양한 형태의 용기 등을 지지하고 있어, 상부 선반의 하부와 하부 선반에 수납된 용기 사이에 음료병과 같은 단면이 환형인 용기를 수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료병의 수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반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고리부와, 상기 복수의 고리부를 회동 시켜 수납 또는 인출 시키는 커버부, 그리고 상기 본체와 상기 커버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가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안내부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마련되는 한쌍의 고정 레일과, 상기 커버부의 양측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고리부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복수의 고리부가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인출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인출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커버부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냉장고는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선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음료병의 수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부의 결합을 나타낸 분리도이다.
도 3은 도 1의 복수의 고리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복수의 고리부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복수의 고리부에 병이 거치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202)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101)를 설명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202)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202)은, 도 1 및 도 2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0)와, 복수의 고리부(300)와, 커버부(400), 그리고 안내부(500)를 포함한다.
본체(200)는 수용공간을 구획하며 수용공간에 수납된 물품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본체(200)는 평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리부(300)는 본체(200)의 일면에 일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본체(200)의 일면과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리부(300)는 음료병과 같은 병(bottle)형상의 물품을 지지할 수 있도록 곡면부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일예로, 음료병은 와인병일 수 있다.
또한, 본체(200)는 힌지부(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힌지부(210)는 본체(200)의 일면에 결합되며, 복수의 고리부(300)와 각각 회동가능 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고리부(300)의 각 고리부는 내부에 음료병과 같은 용기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약"Ω(오메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체(200)의 일면에는 음료병과 같은 용기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고리부(30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의 고리부(300)가 본체(200)의 일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본체(200)의 타측에는 수납된 물품이 접촉되어 지지되거나, 수납된 물품이 적층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고리부(300)는 제1 고리부(310)와 제2 고리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리부(310)는 제2 고리부(320)보다 도시되지 않은 수용공간의 도어와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따.
커버부(400)는 복수의 고리부(300)를 회동 시켜 본체(200)의 일면으로 인출입 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복수의 고리부(300)는 본체(200)의 일면과 대향하는 커버부(400)의 일면 사이에 절첩되어 수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리부(300)는 커버부(400)의 일면과 접촉이 해제되면 커버부(400)의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안내부(5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0)의 일면과 커버부(400) 사이에 마련되며 커버부(400)가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한다. 즉, 커버부(400)는 안내부(500)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되어 복수의 고리부(300)를 본체(200)의 일면으로 수납시키거나, 복수의 고리부(300)를 커버부(400)의 외측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고리부(300)는 안내부(500)를 따라 슬라이딩 되는 커버부(400)의 이동에 의해 인출입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리부(300)의 이격 거리는 상기 커버부(400)에 의해 절첩되어 본체(200)의 일면으로 수납되는 경우 복수의 고리부(300)가 서로 간섭없이 절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고리부(300)가 절첩되어 커버부(400)에 의해 본체(200)의 일면에 컴팩트하게 수납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음료병을 수납하기 위해 복수의 고리부(300)를 인출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커버부(400)를 안내부(500)를 따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복수의 고리부(300)를 본체(200)에 의해 구획된 수용공간의 일영역으로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음료병의 수납이 불필요 하거나 상기 일역역에 많은 물품을 수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커버부(400)를 안내부(500)를 따라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복수의 고리부(300)를 절첩시켜 본체(200)의 일면으로 인입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202)의 안내부(5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레일(510)과 이동 레일(5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레일(510)은 한쌍으로 형성되며, 본체(200)의 일면에 마련되어 커버부(400)가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고정 레일(510)은 절곡되어 형성되며 일단이 본체(200)의 일면과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레일(520)은 커버부(400)의 양측에 형성되며 고정 레일(510)에 계합되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부(400)의 양측에 형성된 이동 레일(520)은 고정 레일(510)에 계합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레일(520)은 커버부(400)의 양단이 고정 레일(510)에 계합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202)의 복수의 고리부(3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고리부(30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고리부(300)는 음료병과 같은 용기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고리부(300)가 서로 다른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복수의 고리부(300)가 음료병과 같은 용기를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약"Ω(오메가)"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복수의 고리부(300)는 용기가 수용되는 공간이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음료병과 같은 용기는 입구부가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복수의 고리부(300)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면 음료병과 같은 용기의 입구부와 몸체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복수의 고리부(300)는 본체(200)의 길이방향과 음료병의 길이방향이 나란하게 형성되도록 음료병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리부(300)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면 복수의 고리부(300)에 수용되는 음료병과 같은 용기가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어,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된 복수의 고리부(300)는 본체(200)의 일방향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 음료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음료병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202)의 커버부(400)는 복수의 인출홀(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400)는 복수의 고리부(300)가 인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 복수의 인출홀(4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인출홀(410)은 본체(200)의 일면과 대향하는 커버부(40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인출홀(410) 사이의 이격 거리는 복수의 고리부(300)의 직경 및 회동을 고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인출홀(410) 사이의 커버부(400) 일면은 복수의 고리부(300)가 본체(200)의 일면으로 수납시 복수의 고리부(300)가 절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인출홀(410)은 본체(200)의 일면과 대향하는 커버부(400)의 일면에 형성되며, 커버부(400)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복수의 인출홀(410)을 통해 복수의 고리부(300)가 인출입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부(400)에 복수의 인출홀(410)이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커버부(400) 전체를 안내부(5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키지 않고, 복수의 인출홀(410)의 이격 거리만큼 커버부(400)를 이동시켜도 복수의 인출홀(410)을 통해 복수의 고리부(300)가 인출될 수 있다. 즉, 커버부(400)에 복수의 인출홀(410)이 형성되면, 커버부(400)는 슬라이딩 이동 거리를 줄일 수 있어 효과적으로 복수의 고리부(300)를 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202)의 복수의 인출홀(410) 중 하나는 커버부(40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인출홀(410) 중 어느 하나는 커버부(400)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커버부(400)는 커버부(400)의 일단이 개구되어 형성된 인출홀(410)이 위치하며, 커버부(400)의 일단이 개구되어 형성된 인출홀(410)로 복수의 고리부(300) 중 어느 하나가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인출홀(410) 중 하나가 커버부(400)의 일단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되면 복수의 고리부(300)와 동일한 개수로 복수의 인출홀(410)이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커버부(400)의 길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202)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커버부(400)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키면, 본체(200)의 일면과 결합된 힌지부(210)에 지지된 제1 고리부(310)는 커버부(400)의 일면에 형성된 인출홀(410)을 통해 인출되고, 힌지부(210)에 지지된 제2 고리부(320)는 커버부(400)의 일단이 개구되어 형성된 인출홀(410)을 통해 인출된다. 구체적으로, 제1 고리부(310)와 제2 고리부(320)는 커버부(400)의 이동에 따라 커버부(400)의 일면과의 접촉이 해제되며 제1 고리부(310)와 제2 고리부(320)의 자중에 의해 인출홀(410)을 통해 인출된다.
인출된 제1 고리부(310)와 제2 고리부(320)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400)를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켜 제1 고리부(310)와 제2 고리부(320)를 커버부(400)의 일면과 본체(200)의 일면 사이로 수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400)가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경우, 인출된 제1 고리부(310)는 앞서 도 3에 도시한 인출홀(410)의 일면과 접촉되며 힌지부(210)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또한, 제1 고리부(310)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커버부(400)에 의해 본체(200)의 일면으로 절첩되며 커버부(400)의 일면과 제1 고리부(310)의 접촉에 의해 절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리부(320)는 앞서 도 3에 도시한 커버부(400)의 일단이 개구되어 형성된 인출홀(410)의 일면과 접촉되며 힌지부(210)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또한, 제2 고리부(320)는 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커버부(400)에 의해 본체(200)의 일면으로 절첩되며, 커버부(400)의 일면과 제2 고리부(320)의 접촉에 의해 절첩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복수의 고리부(300)는 커버부(400)의 이동에 의해 복수의 인출홀(410)을 통해 인출입된다.
사용자는 음료병의 수납이 필요한 경우, 커버부(400)를 일방향으로 슬라이딩 복수의 고리부(300)를 복수의 인출홀(410)로 인출시키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병을 수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리부(310)의 직경이 제2 고리부(3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제2 고리부(320)를 회동시켜 병(10)의 몸체부가 거치되게 하고, 제1 고리부(310)를 회동시켜 병(10)의 입구부가 거치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고리부(310)와 제2 고리부(320)의 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된 경우, 사용자는 병(10)이 제1 고리부(310)와 제2 고리부(320)를 관통하여 거치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202)은 음료병의 수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1)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1)는, 앞서 상술한 선반(20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냉장고(101)는 캐비닛(100)과, 지지부(110)를 포함한다.
캐비닛(100)은 내부에 음식 등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 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지지부(110)는 캐비닛(100) 내부의 벽측에 복수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캐비닛(100) 벽의 일방향으로 형성된 홈 또는 리브일 수 있다.
선반(202)은 돌기부(2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돌기부(205)는 선반(202)의 본체(200)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계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반(202)은 음식물 등이 캐비닛(100)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수용공간을 구획한다.
따라서, 냉장고(101) 내부에 음료병을 지지할 수 있는 복수의 고리부(300)와 커버부(400) 그리고 안내부(500)를 포함하는 선반(202)이 결합되어, 사용자는 캐비닛(100)에 형성된 수용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냉장고(101)는 선반(202)의 본체(200) 타측에 다양한 음식 용기가 지지되어도 선반(202)의 본체(200) 일면에 음료병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고리부(300)가 음료병(10)의 일면과 접촉되어 효과적으로 음료병을 지지할 수 있어, 음료병이 다른 용기와 적층되어 수납된 경우 용기를 인출하기 위해 음료병을 이동시킨 후 용기를 인출해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0)이 선반(202)에 의해 구획된 공간이 협소하여 음료병이 수납되지 않는 경우에도, 본체(200)의 일면에 복수의 고리부(300)에 의해 음료병을 효과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선반(202)의 복수의 고리부(300)는 음료병의 수납이 불필요 할 때 커버부(400)에 의해 본체(200)의 일면으로 수납될 수 있어, 냉장고(101)는 캐비닛(100)의 수납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반(202) 및 이를 포함한 냉장고(101)는 음료병의 수납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
즉, 선반(202)은 본체(200)의 일면을 활용하여 복수의 고리부(300)에 음료병을 수납할 수 있어 선반(202)에 의해 구획되는 수납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캐비닛 101: 냉장고
110: 지지부 10: 병
200: 본체 202: 선반
205: 돌기부 210: 힌지부
300: 복수의 고리부 310: 제1 고리부
320: 제2 고리부
400: 커버부 410: 인출홀
500: 안내부 510: 고정 레일
520: 이동 레일

Claims (6)

  1. 본체(200);
    상기 본체(200)의 일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고리부(300);
    상기 복수의 고리부(300) 중 하나 이상이 인출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인출홀(410)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고리부(300)를 회동 시켜 수납 또는 인출 시키는 커버부(400); 및
    상기 본체(200)와 상기 커버부(400)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커버부(400)가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부(500)
    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인출홀(410)은,
    상기 본체(200)의 일면과 대향하는 상기 커버부(400)의 일면 및 상기 커버부(400)의 일단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2. 제1항에서,
    상기 안내부(500)는,
    상기 본체(200)의 일면에 마련되는 한쌍의 고정 레일(510)과,
    상기 커버부(400)의 양측에서 절곡 형성되며 상기 한쌍의 고정 레일(510)을 따라 이동 가능한 이동 레일(520)을 더 포함하는 선반.
  3. 제1항에서,
    상기 복수의 고리부(300)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선반(202)
    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30143411A 2013-11-25 2013-11-25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56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411A KR101568907B1 (ko) 2013-11-25 2013-11-25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3411A KR101568907B1 (ko) 2013-11-25 2013-11-25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837A KR20150059837A (ko) 2015-06-03
KR101568907B1 true KR101568907B1 (ko) 2015-11-12

Family

ID=53504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3411A KR101568907B1 (ko) 2013-11-25 2013-11-25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68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32501B (zh) 2017-12-28 2019-12-3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冰箱及其搁物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518B1 (ko) * 1999-05-19 2002-02-16 구자홍 냉장고의 접철식 병수납 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518B1 (ko) * 1999-05-19 2002-02-16 구자홍 냉장고의 접철식 병수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837A (ko) 2015-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92978B1 (en) Food container
US20100117499A1 (en) Telescopic storage device
CN108601462B (zh) 产品管理陈列系统
KR101019568B1 (ko) 중량물 보관장치
KR101568907B1 (ko)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1711762B1 (en) A cooling device with bottle carrier
CN106679314B (zh) 冰箱及其搁物架
EP2749828A2 (en) Shelf assembly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NZ515076A (en) Refrigerator storage tray
KR101529442B1 (ko)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US8118168B2 (en) Portable cabinet and storage caddy for holiday, hobbies and crafts
KR20180008131A (ko) 슬라이딩식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수납장 겸용 테이블
KR200478822Y1 (ko) 사용이 편리한 박스 상품 진열대
CN216114961U (zh) 一种挂盒及冰箱
WO2012062882A2 (en) A cooling device
EP3173717B1 (en) Household refrigerating device with a transport securing element
CN110068195A (zh) 蛋架组件和具有其的冰箱
US20130328473A1 (en) Storage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with supplemental storage features
KR101501937B1 (ko)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101561653B1 (ko) 수납선반 슬라이드 장치
KR200446352Y1 (ko) 전면 수납함을 갖는 모빌랙
KR101555806B1 (ko) 선반용 이동식 수납용기
KR102506339B1 (ko) 선반 조립체
KR200448081Y1 (ko) 인출망 수납장
WO2016119872A1 (en) Refrigeration appliance having a beverage container support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