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081Y1 - 인출망 수납장 - Google Patents

인출망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081Y1
KR200448081Y1 KR2020070020923U KR20070020923U KR200448081Y1 KR 200448081 Y1 KR200448081 Y1 KR 200448081Y1 KR 2020070020923 U KR2020070020923 U KR 2020070020923U KR 20070020923 U KR20070020923 U KR 20070020923U KR 200448081 Y1 KR200448081 Y1 KR 20044808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drawer
frame
pai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20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6655U (ko
Inventor
성호진
유석상
오수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남
Priority to KR2020070020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081Y1/ko
Publication of KR200900066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66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0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08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adaptation of compartments or drawers for receiving or holding foodstuffs; by provision of rotatable or extensible containers f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6/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having one or more surfaces adapted to be brought into position for use by extending or pivo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2Shelves
    • A47B96/025Shelves with moving elements, e.g. movable extensions or link elements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인출망 수납장이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인출망 수납장은, 물품을 수용하는 인출망 수용함의 내부 수용공간에 대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인출망 수용함의 내부 일 측벽에 결합되며, 가로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과, 한 쌍의 제2 프레임의 상호 대향되는 측벽에 각각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인출망 프레임; 및 한 쌍의 제2 프레임의 사이 공간으로 일부분이 인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종래와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의 내부 수용공간을 갖지만 종래에 비해 폭 길이가 큰 선반을 다수 개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내부 수용공간의 공간 활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반에 더 많은 수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인출망, 수납장, 선반, 걸림고리, 주방

Description

인출망 수납장{Withdraw Net Receipt Closet}
본 고안은, 인출망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수용공간의 공간 활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출망 수납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다수의 가정이나 식당의 주방 또는 주방과 인접한 장소를 살펴보면, 다양한 종류의 물건들이 배치되어 있다. 주방용품 또한 삶의 질을 강조하는 추세와 맞물려 다양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건들을 구매한 구매자들은 주방의 소정 장소에 여러 물건들을 보관하고, 필요 시 보관된 장소로부터 해당 물건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물건의 양 및 종류가 갈수록 많아지고, 여러 사람이 주방을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수의 주방 물품을 다수가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주방의 여러 공간에 배치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주방의 싱크대 하부 등에는 실질적으로 사용 횟수가 잦은 물품을 보관하는 인출망 수납장이 마련되어 있다. 인출망 수납장의 일반적인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망 수용함(미도시)의 내부 수용공간에 대해 인입 및 인출되는 기본 몸체로서의 인출망 프레임(110)과, 인출망 프레임(110)에 착탈 가능 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선반(130)을 구비한다.
그런데, 인출망 수납장(101)의 전체 폭은 주방의 구조에 따라 미리 정해지는 경우가 많은데, 그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정해지는 경우 선반(130)의 폭이 좁아질 수밖에 없다. 특히 종래의 인출망 수납장(101)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반(130)을 걸기 위한 걸림고리(116)가 인출망 프레임(110)의 외측벽(110a)에 마련됨으로써 인출망 수납장(101)의 전체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설정되는 경우 선반(130)의 폭이 상대적으로 더 작게 되어 선반(130)에 보관할 수 있는 물품의 수 및 크기는 제한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를 갖는 인출망 수납장의 내부 수용공간에 더 많은 수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선반의 크기를 확대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의 내부 수용공간을 갖지만 종래에 비해 폭 길이가 큰 선반을 다수 개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내부 수용공간의 공간 활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반에 더 많은 수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출망 수납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물품을 수용하는 인출망 수용함의 내부 수용 공간에 대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인출망 수용함의 내부 일 측벽에 결합되며, 가로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2 프레임의 상호 대향되는 측벽에 각각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인출망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 프레임의 사이 공간으로 일부분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망 수납장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선반의 전벽 및 후벽 중 적어도 어느 일 벽에는, 상기 선반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 시 상기 선반이 하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Stopper)가 마련되는 것일 바람직하다.
상기 선반은, 상기 물품을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양 측벽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선반프레임; 상기 받침대의 전벽 및 후벽에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선반프레임;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피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받침대의 테두리부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에 로딩되는 상기 물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저지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선반프레임은 'ㄱ'자 형상으로 압출 성형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선반이 상기 인출망 프레임에 걸림 시 상기 제2 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인입되는 상기 제2 선반프레임의 단부 영역이 절취되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제1 선반프레임이 결합되는 상기 받침대의 양 측부에는 상기 테두리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절곡된 절곡벽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2 선반프레임이 결합되는 상기 받침대의 다른 양 측부에는 스크루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공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선반프레임은 'ㄷ'자 형상으로 압출 성형되며, 상기 제1 선반프레임의 내측으로 상기 절곡벽이 인입된 후 상기 제1 선반프레임과 상기 제2 선반프레임은 제1 스크루(screw)에 의해 스크루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선반프레임에는 상기 스크루공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 및 상기 스크루공에는 제2 스크루가 체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한 쌍의 제2 선반프레임이 결합되는 상기 받침대의 다른 양 측부에는 리벳 결합을 위한 리벳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선반프레임에는 상기 리벳공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 및 상기 리벳공에는 리벳이 체결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망 프레임과 상기 인출망 수용함의 내부 일 측벽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인출망 프레임을 상기 인출망 수용함에 대해 상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인출망 수용함의 내부 일 측벽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몸체에 결합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상기 이동부재가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레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고리 형상의 걸림고리이며, 상기 선반에는 상기 걸림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피걸림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선반은 알루미늄(Aluminium), 스틸(Steel) 및 목형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종래와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의 내부 수용공간을 갖지만 종래에 비해 폭 길이가 큰 선반을 다수 개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내부 수용공간의 공간 활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반에 더 많은 수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고안과 본 고안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고안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출망 수납장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부분 사시도로서 선반이 결합된 인출망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5는 도 3을 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출망 수납 장(1)은, 인출망 수용함(5)과, 인출망 수용함(5)의 내부 수용공간(5s)에 대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인출망 수용함(5)의 내부 일 측벽(5a)에 결합되는 인출망 프레임(10)과, 그 상면에 다수의 물품을 보관하며 인출망 프레임(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선반(30)과, 인출망 프레임(10)과 인출망 수용함(5)의 내부 일 측벽(5a) 사이에 결합되어 인출망 프레임(10)을 인출망 수용함(5)에 대해 전후방으로 상대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유닛(50)과, 인출망 프레임(10)에 결합되어 내부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부(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덮개부(70)는 인출망 프레임(10)에 결합되어 인출망 프레임(10)의 인입 및 인출 동작과 함께 인출망 수용함(5)을 개폐할 수 있지만, 제작이 용이하다면 인출망 수용함(5)의 외벽에 독립적으로 결합되어 인출망 수용함(5)을 개폐할 수도 있을 것이다.
먼저, 인출망 프레임(10)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슬라이딩 유닛(50)에 결합되며 가로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12)과, 한 쌍의 제1 프레임(12)의 양단부 간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14)과, 한 쌍의 제2 프레임(14)의 상호 대향되는 측벽에 각각 마련되어 선반(30)이 걸림 결합되는 본 실시 예의 결합부(16) 즉 걸림고리(16)를 구비한다.
이 때, 제1 및 제2 프레임(12, 14)은, 선반(30)이 결합되기 용이하도록 적절한 두께로 마련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인출망 수납장(101, 도 1 참조)의 선반(130)은, 선반(130)을 걸기 위한 걸림고리(116)가 인출망 프레임(110)의 외측벽(110a)에 마련되기 때문에 인출망 프레임(110)의 폭을 제외한 내부 수용공간에 수용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제작되었으며, 이로 인해 인출망 수납장(101)이 설치 되는 전체 폭이 상대적으로 좁게 설정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선반(130)에 많은 수의 물품을 보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망 프레임(10)의 사각틀 형상에 의해 발생되는 인출망 프레임(10)의 사이 공간(10s)으로 선반(30)의 일부분을 인입되게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인출망 수납장(101)과 유사한 크기를 갖는 본 실시 예의 인출망 수납장(1)의 내부 수용공간(5s)의 공간 활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출망 수용함(5)의 내부 수용공간(5s)의 폭이 20cm로 마련되는 경우, 종래의 인출망 수납장(101)에 있어서는, 선반(13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망 프레임(110)에 결합되기 때문에 인출망 프레임(110)의 두께만큼 작은 폭을 갖도록 선반(130)이 제작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인출망 프레임(110)의 두께가 3cm로 마련되는 경우, 선반(130)의 폭 길이는 최대 17cm가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본 실시 예의 인출망 수납장(1)에 있어서는, 선반(30)의 일부분이 한 쌍의 제2 프레임(14)의 사이 공간(10s)으로 인입된 후 제2 프레임(14)의 측벽(14a)에 마련된 걸림고리(16)에 결합되기 때문에, 제2 프레임(14)의 두께에 상관없이 선반(30)의 폭 길이를 마련할 수 있다. 즉, 내부 수용공간(5s)의 폭 길이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선반(30)의 폭 길이를 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선반(30) 다수 개가 한 쌍의 제2 프레임(1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기 때문에, 선반(30)의 수에 비례하여 물품을 보관할 수 있는 면적은 증대되며, 이로 인해 인출망 수납장(1) 내부 수용공간(5s)의 공간 활용 효율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걸림고리(16)는, 선반(30)의 일부분이 제2 프레임(14)의 사이 공간(10s)으로 인입된 후 선반(30)이 착탈 가능하게 걸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한 쌍의 제2 프레임(14)의 상호 대향되는 측벽(14a)에 각각 마련된다. 이로 의해, 전술한 바와 같이, 선반(30)의 폭 길이를 크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커진 선반(30)의 폭 길이에 비례하여 다수의 물품을 더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한편, 선반(30)은, 도 3 및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물품이 로딩되어 보관되는 사각판 형상의 받침대(31)와, 받침대(31)의 양 측벽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선반프레임(32)과, 받침대(31)의 전벽 및 후벽에 결합되며 선반(30)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35)가 마련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선반프레임(34)과, 인출망 프레임(10)의 걸림고리(16)에 결합되는 피걸림부(39)가 마련되며, 받침대(31)의 테두리부를 따라 결합되어 받침대(31)에 로딩되는 물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저지망(36)을 구비한다.
받침대(3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에 다수의 물품이 로딩되는 부분으로서, 소정의 강성을 지닌 알루미늄(Aluminium), 스틸(Steel) 또는 목형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받침대(31)는, 그 두께 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공들(31h)이 관통 형성되어 가령 식품류가 받침대에 보관되는 경우 공기의 통풍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받침대(31)의 네 측부 영역 중 후술할 제1 선반프레임(32)이 결합되는 두 측부 영역에는 하방으로 대략 90도 연장 절곡된 절곡벽(31a)이 마련되어 있으 며, 다른 두 측부 영역에는 후술할 제2 선반프레임(34)과의 결합을 위한 한 쌍의 스크루공(31b)이 마련되어 있다.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절곡벽(31a)은 제1 선반프레임(32)의 내측에 인입 결합되고, 스크루공(31b)에는 제2 선반프레임(34)의 체결공(34h)을 관통한 제2 스크루(33s)가 체결된다. 즉, 받침대(31)와 제1 및 제2 선반프레임(32, 34)이 용이하게 조립 및 분리될 수 있어 선반(30)의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제1 선반프레임(3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수직 단면이 'ㄷ'자 형상을 갖도록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이러한 제1 선반프레임(32)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대(31)의 양 절곡벽(31a)들이 인입되게 결합된 상태로 제2 선반프레임(34)과 제1 스크루(34s)에 의해 스크루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 선반프레임(32)의 양단부에는 스크루(33)가 체결되는 체결공(32h)이 형성되어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선반프레임(32)이 'ㄷ'자 형상으로 압출 성형되고 이러한 제1 선반프레임(32)의 내측으로 절곡벽(31a)이 마련된 받침대(31)의 일부분이 인입 결합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제1 선반프레임은 다른 형상으로 제작되어도 무방하며, 또한 제1 선반프레임과 받침대는 인입 결합 방법이 아닌 다른 결합 방법, 예를 들면 스크루 결합 방법에 의해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제2 선반프레임(34)은, 제1 선반프레임(32)이 결합된 받침대(31)의 다른 두 절곡벽(31b)에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형상으로 압출 성형에 의해 제작된다. 제2 선반프레임(34)에는, 두께 방향을 따라 다수의 체결공(34h)이 형성되어 그 단부에 체결공(32h)이 형성된 제1 선반프레임(32) 및 받 침대(31)의 절곡벽(31b)과 제1 및 제2 스크루(33s, 34s)들에 의해 스크루 결합된다. 다만, 제1 선반프레임(32)과 제2 선반프레임(34)이 제1 스크루(34s)에 의해 스크루 결합되기 때문에, 제2 선반프레임(34)과 스크루공(31b) 간은 별도의 결합을 하지 않아도 무방하며, 받침대(31)에 스크루공(31b)이 아닌 리벳공(미도시)이 마련되어 제2 선반프레임(34)과 받침대(31) 간을 리벳 결합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의 선반(130)은 제1 및 제2 스크루(33s, 34s)에 의해 조립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종래의 용접 등에 의해 마련된 선반(미도시)에 비해 제작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탈저지망(36)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31)에 기립 배치되게 받침대(31)와 스크루 결합되는 제1 저지망(37)과, 받침대(31)와 판면 방향과 실질적으로 나란하도록 제1 저지망(37)에 결합되는 폐루프 형상의 제2 저지망(38)을 구비한다. 여기서, 선반(30)이 인출망 프레임(10)에 걸림 결합 시, 제2 저지망(38)의 모서리 영역에 마련된 피걸림부(39)가 걸림고리(16)에 걸림되는 것이며, 이로 인해 인출망 프레임(10)에 다수의 선반(3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선반(30)에 마련된 피걸림부(39)가 인출망 프레임(10)에 걸림 결합되는 구조를 살펴보면, 선반(30)의 일측이 인출망 프레임(10)에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선반(30)이 걸림 부분을 기준으로 하방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반(30)이 지면에 대해 수평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받침대(31)의 스크루공(31b)들에 스크루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선반프레임(34)의 일단부에는, 선반(30)이 인출망 프레임(10)에 대해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35)가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35)는, 선반(30)이 인출망 프레임(10)과 결합 시 제2 프레임(14)의 사이 공간(10s)으로 인입되는 제2 선반프레임(34)의 단부 영역이 절취됨으로써 마련되며, 스토퍼(35)가 제2 프레임(14)에 지지됨으로써 선반(30)이 인출망 프레임(10)에 대해 하방으로 회전하지 않고 수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 예에서는, 스토퍼(35)가 압출 성형된 제2 선반프레임(34)의 단부 영역을 절취하여 마련된다고 상술하였으나, 스토퍼(35)는 단지 선반(30)의 수평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선반프레임(미도시)에 별도의 스토퍼(미도시)를 결합하여 전술한 회전 저지 역할을 수행하도록 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한편, 슬라이딩 유닛(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망 수용함(5)의 내부 일 측벽(5a)에 고정 결합되는 가이드부재(51)와, 인출망 프레임(10)에 고정 결합되는 이동부재(53)와, 가이드부재(51)와 이동부재(53) 사이에 결합되어 가이드부재(61)와 이동부재(53)에 대해 상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일부재(55)를 구비한다.
가이드부재(51)는, 단지 인출망 수용함(5)의 내부 일 측벽(5a)에 고정 결합되어 이동부재(53) 및 레일부재(55)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guide)하는 역할을 한다. 가이드부재(51)의 내측에는, 가이드부재(51)에 결합되어 가이드부재(51)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레일부재(55) 및 이동부재(53)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 흡수부(52)가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충격 흡수부(52)는, 탄성을 지닌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반(30)이 결합된 인출망 프레임(10)이 인출망 수용함(5)에 인입 시 급격한 이동이 이루어져 선반(3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출망 프레임(10)이 인출망 수용함(5)로부터 인출 시 갑작스런 이동을 저지할 수 있어, 선반(30)이 그 상면에 다수의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레일부재(55)는, 가이드부재(51)와 이동부재(53) 사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레일부재(55)가 그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이동부재(53)에 고정 결합된 인출망 프레임(10)이 인출망 수용함(5)의 전방으로 보다 많이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슬라이딩 유닛(50)이 가이드부재(51)와 이동부재(53)만으로 구성되어 이동부재(53)가 가이드부재(51)에 대해 상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인출망 수납장(1)의 설치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인출망 수용함(5)의 내부 일 측벽(5a)에 인출망 프레임(10)이 결합된 슬라이딩 유닛(50)을 고정 결합한다. 그러면, 인출망 프레임(10)은 슬라이딩 유닛(50)의 동작에 의해 인출망 수용함(5)에 인입되거나 인출될 수 있게 된다. 이후 인출망 프레임(10)을 인출한 후, 인출망 프레임(10)의 걸림고리(16)에 복수의 선반(30)을 걸림 결합한다.
여기서, 걸림고리(16)는 한 쌍의 제2 프레임(14)의 상호 대향되는 측벽(14a)에 각각 마련되어 선반(30)의 일부 영역이 한 쌍의 제2 프레임(14)의 사이 공간(10s)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선반(30)과 인출망 프레임(10)이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선반(30)을 한 쌍의 제2 프레임(14)에 걸림 결합하는 과정에서, 선반(30)의 마련된 스토퍼(35)가 한 쌍의 제2 프레임(14)에 견고히 지지되어 선반(30)은 인출망 프레임(10)에 대해 수평 위치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그 상부에 다수의 물품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다수의 물품이 보관되는 선반(30)을 인출망 수용함(5)으로부터 인출하기 위해 인출망 수용함(5)의 덮개부(70)의 손잡이(미도시)를 파지한 후 잡아당기게 되면, 가이드부재(51)에 대해 이동부재(53) 및 레일부재(55)가 적절히 슬라이딩 이동되어 선반(30)이 결합된 인출망 프레임(10)의 사용자의 의도한 장소로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슬라이딩 유닛(50)에 충격 흡수부(52)가 장착되어 인출망 프레임(10)의 갑작스런 열림 및 닫힘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종래와 실질적으로 같은 크기의 내부 수용공간(5s)을 갖지만, 종래에 비해 폭이 큰 선반(30)을 다수 개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내부 수용공간(5s)의 공간 활용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선반(30)에 더 많은 수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실시 예에서는, 선반의 일부분이 제2 프레임의 사이 공간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선반이 인출망 프레임에 일 측벽에 마련된 한 쌍의 걸림고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고 상술하였으나, 걸림고리가 아닌 다른 형태의 결합부에 선반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도 무방하다 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 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는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출망 수납장의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인출망 수납장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사시도로서 선반이 결합된 인출망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을 일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을 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선반의 분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출망 수납장 5 : 인출망 수용함
10 : 인출망 프레임 12 : 제1 프레임
14 : 제2 프레임 16 : 걸림고리
30 : 선반 31 : 받침대
32 : 제1 선반프레임 34 : 제2 선반프레임
35 : 스토퍼 36 : 이탈저지망
39 : 피걸림부 50 : 슬라이딩 유닛
70 : 덮개부

Claims (12)

  1. 물품을 수용하는 인출망 수용함의 내부 수용공간에 대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인출망 수용함의 내부 일 측벽에 결합되며, 가로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1 프레임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상호 대향되게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제2 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제2 프레임의 상호 대향되는 측벽에 각각 마련되는 적어도 한 쌍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인출망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제2 프레임의 사이 공간으로 일부분이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포함하며,
    상기 선반의 전벽 및 후벽 중 적어도 어느 일 벽에는, 상기 선반이 상기 결합부에 결합 시 상기 선반이 하방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Stopper)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선반은,
    상기 물품을 받치는 받침대;
    상기 받침대의 양 측벽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선반프레임;
    상기 받침대의 전벽 및 후벽에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가 마련되는 한 쌍의 제2 선반프레임; 및
    상기 결합부에 결합되는 피결합부가 마련되며, 상기 받침대의 테두리부를 따라 결합되어 상기 받침대에 로딩되는 상기 물품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탈저지망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제1 선반프레임이 결합되는 상기 받침대의 양 측부에는 상기 테두리부에서 하방으로 연장 절곡된 절곡벽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제2 선반프레임이 결합되는 상기 받침대의 다른 양 측부에는 스크루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스크루공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망 수납장.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반프레임은 'ㄱ'자 형상으로 압출 성형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선반이 상기 인출망 프레임에 걸림 시 상기 제2 프레임의 사이 공간에 인입되는 상기 제2 선반프레임의 단부 영역이 절취되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망 수납장.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반프레임은 'ㄷ'자 형상으로 압출 성형되며,
    상기 제1 선반프레임의 내측으로 상기 절곡벽이 인입된 후 상기 제1 선반프레임과 상기 제2 선반프레임은 제1 스크루(screw)에 의해 스크루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망 수납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반프레임에는 상기 스크루공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 및 상기 스크루공에는 제2 스크루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망 수납장.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선반프레임이 결합되는 상기 받침대의 다른 양 측부에는 리벳 결합을 위한 리벳공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선반프레임에는 상기 리벳공에 대응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공 및 상기 리벳공에는 리벳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망 수납장.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망 프레임과 상기 인출망 수용함의 내부 일 측벽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인출망 프레임을 상기 인출망 수용함에 대해 상대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망 수납장.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인출망 수용함의 내부 일 측벽에 결합되는 가이드부재;
    상기 인출망 프레임에 결합되는 이동부재; 및
    상기 가이드부재에 대해 상기 이동부재가 상대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부재와 상기 이동부재 사이에 마련되는 레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수납장.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고리 형상의 걸림고리이며, 상기 선반에는 상기 걸림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피걸림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망 수납장.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알루미늄(Aluminium), 스틸(Steel) 및 목형 재질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식 수납장.
KR2020070020923U 2007-12-28 2007-12-28 인출망 수납장 KR20044808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923U KR200448081Y1 (ko) 2007-12-28 2007-12-28 인출망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20923U KR200448081Y1 (ko) 2007-12-28 2007-12-28 인출망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55U KR20090006655U (ko) 2009-07-02
KR200448081Y1 true KR200448081Y1 (ko) 2010-03-15

Family

ID=41331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20923U KR200448081Y1 (ko) 2007-12-28 2007-12-28 인출망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08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8438B1 (ko) * 2021-07-30 2021-12-10 씨아이더블유하이테크주식회사 싱크대용 수납선반 프레임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9497U (ko) * 1998-07-20 1998-10-26 전재권 가구 슬라이딩 도어의 현가식 케이지상 선반
KR200192761Y1 (ko) * 2000-03-07 2000-08-16 방상열 슬라이드식 서랍용 바스켓
US6199966B1 (en) * 1998-03-04 2001-03-13 Fulterer Gesellschaft M.B.H. Pull-out device for a tall cupboar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99966B1 (en) * 1998-03-04 2001-03-13 Fulterer Gesellschaft M.B.H. Pull-out device for a tall cupboard
KR19980059497U (ko) * 1998-07-20 1998-10-26 전재권 가구 슬라이딩 도어의 현가식 케이지상 선반
KR200192761Y1 (ko) * 2000-03-07 2000-08-16 방상열 슬라이드식 서랍용 바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6655U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9479B2 (en) Salad pusher
US6981597B2 (en) Storage unit and system
EP2314965B1 (en) Refrigerator with split type shelves
EP2792978B1 (en) Food container
KR102001929B1 (ko) 냉장고
US20100066045A1 (en) Cart
KR20140022598A (ko) 냉장고용 서랍칸
US20060091768A1 (en) Adjustable door-mounted rack
US20230312235A1 (en) Trash Receptacle Garbage Bag Dispenser
US20100007253A1 (en) Drawer storage system
JP2005172421A (ja) 冷蔵庫の収納装置
KR200448081Y1 (ko) 인출망 수납장
KR200411804Y1 (ko) 다용도 보관함
KR200480389Y1 (ko) 인출식 멀티 수납장
US6785920B1 (en) Bed frame system
JP2006230676A (ja) キッチンキャビネット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JP6391030B1 (ja) 収納バスケット
KR200385893Y1 (ko) 세로형 수납장
KR20200001450U (ko) 수납장치
US20150015132A1 (en) Foldable rack for a refrigerator
KR101396518B1 (ko) 롤테이너
US20130328473A1 (en) Storage container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with supplemental storage features
JP2004290420A (ja) 縦形ポケットを備えた厨房家具
KR200476306Y1 (ko) 주방용품 수납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