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1937B1 -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1937B1
KR101501937B1 KR20140147033A KR20140147033A KR101501937B1 KR 101501937 B1 KR101501937 B1 KR 101501937B1 KR 20140147033 A KR20140147033 A KR 20140147033A KR 20140147033 A KR20140147033 A KR 20140147033A KR 101501937 B1 KR101501937 B1 KR 1015019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blocks
container
slider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47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경
전희주
김민경
Original Assignee
김선경
전희주
김민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선경, 전희주, 김민경 filed Critical 김선경
Priority to KR20140147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1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19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19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놓이는 대상물에 대한 대응 부분이 주변 부분에 비해 눌려져서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변형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 지지 유닛은,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탄성체; 상기 복수의 탄성체에 의해 각각 지지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받침 블록; 및 상기 복수의 받침 블록 중 인접한 블록을 서로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되게 연결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PANTRY ASEEMBLY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식품을 냉장 또는 냉동 보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그 내부에 수납 공간을 구비하여 식품의 종류에 따라 나누어 수납할 수 있다.
최근에 출시되는 냉장고는 단순 구획된 수납 공간을 넘어, 식품별로 최적화된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다시말해, 각각의 수납 공간은 수납되는 식품에 대응되는 온도 및 형상을 갖는다. 또한, 밀폐 방식이나 수납 방식 역시 해당 식품에 최적화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상기한 수납 공간의 대표적인 구조가 팬트리이다. 팬트리는 생선과 육류 등의 식품을 최적화된 온도 조건에서 보관하고, 슬라이딩 방식으로 수납하는 선반 구조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팬트리에 조리 예정인 생선 및 육류를 간편하게 수납하여 보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팬트리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동작함에 따라,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 시, 수용된 용기나 식품이 미끄러져 내부 벽에 부딪침으로써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팬트리에 수납된 식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용 팬트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놓이는 대상물에 대한 대응 부분이 주변 부분에 비해 눌려져서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변형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 지지 유닛은,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탄성체; 상기 복수의 탄성체에 의해 각각 지지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받침 블록; 및 상기 복수의 받침 블록 중 인접한 블록을 서로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되게 연결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형 지지 유닛은, 상기 대상물이 제거된 후에 상기 대응 부분이 탄성적으로 복원되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변형 지지 유닛은, 상기 탄성체를 수용하도록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세워지고, 상기 탄성체의 신장된 길이 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변형 제한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 인접한 블록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인접한 블록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수용하는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레일은, 상기 어느 하나의 블록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블록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관련된 팬트리형 냉장고는, 냉각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항에 따르는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부 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측면이 개방된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서랍형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랍형 도어는, 상기 수납 공간에 설치되며, 관통 가이드 라인이 형성된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트리형 냉장고는, 상기 관통 가이드 라인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용기 집게와, 상기 관통 가이드 라인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용기 집게를 구비하는 집게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에 의하면, 팬트리에 수납된 식품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용기가 집게 유닛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동시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130)를 이용한 냉장고(100)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130)의 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13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트리형 냉장고(100)의 서랍형 도어(15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도어(150)에 구비되는 집게 유닛(155)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130)를 이용한 냉장고(100)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00)는, 본체(110), 팬트리 어셈블리(130), 제1 서랍형 도어(150), 제2 서랍형 도어(160), 제1 회전식 도어(170), 및 제2 회전식 도어(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0)는, 냉장고(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그 내부는 다수의 내부 공간(I)으로 구획된다.
팬트리 어셈블리(130)는, 상부가 개방되어 상기 상부로 대상물이 수용되며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내부 공간(I)에서 인출된다. 또한, 후술하는 동일한 슬라이딩 방식의 제2 서랍형 도어(160)보다 낮은 높이를 갖는다.
제1 서랍형 도어(150)는, 측면이 개방되어 상기 측면을 통해 대상물을 수용하며, 슬라이딩되어 내부 공간(I)에서 인출된다.
제2 서랍형 도어(160)는, 제1 서랍형 도어(150)와는 달리 상부가 개방되어 슬라이딩된다.
제1 회전식 도어(170)는, 본체(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본체(110)에 중공부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I)을 개방하거나 차폐시킬 수 있다.
제2 회전식 도어(180)는, 팬트리 어셈블리(130)가 설치되는 본체(110)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팬트리 어셈블리(130)가 내부 공간(I) 내에 수납된 경우, 이를 덮어 차폐시킬 수 있다.
이상은, 팬트리형 냉장고(100)의 전체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해서 팬트리 어셈블리(130)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용 팬트리 어셈블리(130)의 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0)용 팬트리 어셈블리(130)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 2의 라인(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트리 어셈블리(130)는, 팬트리 몸체(131) 및 변형 지지 유닛(133)을 포함할 수 있다.
팬트리 몸체(131)는, 상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2에서처럼 상부가 개방된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측벽의 외면에는 손잡이(132)가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지지 유닛(133)은, 팬트리 몸체(131)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놓이는 용기(P)에 대한 대응 부분이 주변 부분에 비해 눌려져서 용기(P)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변형 지지 유닛(133)에 대상물(O)을 구비한 용기(P)가 놓여지는 경우, 용기(P)의 대응 부분만 소정 높이만큼 하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가능케 하기 위한 변형 지지 유닛(133)은, 탄성체(134), 받힘 블록(135), 변형 제한대(136), 및 슬라이딩 모듈(137)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체(134)는, 팬트리 몸체(131)의 바닥면에 지지되도록 복수로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체(134)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받침 블록(135)은, 복수의 탄성체(134)에 의해 각각 지지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열된다. 이에 따라, 받침 블록(135)은 탄성체(134)와 서로 대응되는 개 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변형 제한대(136)는, 탄성체(134)를 수용하도록 팬트리 몸체(131)의 바닥면에 세워지고, 탄성체(134)의 신장된 길이 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변형 제한대(136)는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중공부인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체(134)는 상기 중공부에 수용되어 개방된 상기 상부로 돌출될 수 있다.
슬라이딩 모듈(137)은, 복수의 받침 블록(135) 중 인접한 블록을 서로에 대해 슬라이딩되게 연결하도록 슬라이더(137a) 및 레일(137b)을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137a)는, 받침 블록(135)이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경우, 인접한 받침 블록(135)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레일(137b)은, 상기 인접한 받침 블록(135)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어 슬라이더(137a)를 수용할 수 있다.
다시말해, 슬라이더(137a)는 받침 블록(135)에서 돌출되는 구조이며, 레일(137b)은 받침 블록(135)에서 슬라이더(137a)와 대응하여 오목하게된 구조이다. 따라서, 각각의 받침 블록(135)은 인접한 받침 블록(135)과 서로의 슬라이더(137a) 및 레일(137b)을 통해 연속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의 슬라이더(137a) 및 레일(137b)은, 어느 하나의 받침 블록(135)에서 다른 하나의 받침 블록(135)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슬라이더(137a)는 받침 블록(135)과 결합되어 있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이동할 수록 그 너비가 넓어지는 조랑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되는 레일(137b) 역시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37a)의 끝단은 넓은 너비를 갖고, 레일(137b)의 수평방향 개구부는 좁은 너비를 갖게된다. 때문에, 슬라이더(137a)와 레일(137b)은 수평방향으로 끼워지지 못하고, 수직방향으로만 끼워질 수 있다. 반대로 생각하면, 슬라이더(137a)와 레일(137b)은 결합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 및 분리되지 못하고 수직방향으로만 이동 및 분리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더(137a)의 두께(T1)는 레일(137b)의 두께(T2)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에 의하면, 슬라이더(137a)가 레일(137b)과 결합되어 수직방향으로 이동 시, 이동거리가 레일(137b)의 두께를 초과하는 경우, 슬라이더(137a)가 레일(137b)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탄성체(134), 받침 블록(135), 변형 제한대(136), 슬라이딩 모듈(137)을 구비한 변형 지지 유닛(133)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최초, 팬트리 어셈블리(130) 상에 도 3에서와 같이 대상물(O)이 수용된 용기(P)가 놓여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용기(P)가 놓여지는 받침 블록(135)들은 용기(P)의 무게에 따른 탄성체(134)들의 변형에 의해, 용기(P)가 놓여지지 않은 인접한 받침 블록(135)에 대해 슬라이딩되며 하강된다. 이 때, 받침 블록(135)의 하강은 변형 제한대(136)에 의해 제한되므로, 용기(P)의 무게에 상관없이 받침 블록(135)의 최대 하강 높이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렇게 용기(P)가 놓혀진 받침 블록(135)들이 하강하게 되면, 도 3에서와 같이 용기(P)가 놓여지지 않은 받침 블록(135)들과의 단차(H)가 발생된다. 이러한 단차(H)는 용기(P)가 놓여진 모든 받침 블록(135)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다. 따라서, 용기(P)는 하강되지 않은 받침 블록(135)들에 의해 둘러 쌓여 수평방향으로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변형하여 다양한 용기(P)에 대응되는 팬트리 어셈블리(130)를 설계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팬트리 몸체(131)를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구획된 영역에는 서로 다른 형상의 변형 지지 유닛(133)들을 설치할 수 있다.
예컨데, 팬트리 몸체(131)를 동일한 면적인 제1, 2 영역으로 구획하고, 제1 영역에는 도 2 및 도 3에서의 변형 지지 유닛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제2 영역에는 중심부에서부터 작은 원 형상이 큰 원 형상으로 순차적으로 확대되는 구조를 갖는 복수의 변형 지지 유닛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2 영역은 서로 다른 형상의 변형 지지 유닛이 설치되므로 다양한 형상의 용기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납할 수 있다. 다시말해, 제1 영역은 사각 형상의 변형 지지 유닛(133)이 설치되어 사각 패턴을 형성하며 하강될 수 있다. 제2 영역은 원 형상의 변형 지지 유닛이 설치되어 원 형상 패턴을 형성하며 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영역의 하강 패턴에 대응되는 용기를 수납하는 경우, 용기와 하강되지 않는 받침 블록(135) 간의 거리가 최소화되어 용기의 움직임을 보다 효과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상은, 팬트리 어셈블리(130)의 구조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도 4 및 도 5에서는 서랍형 도어(150) 및 이에 구비되는 집게 유닛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팬트리형 냉장고(100)의 서랍형 도어(15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랍형 도어(150)에 구비되는 집게 유닛(155)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랍형 도어(150)는 도 1의 제1 서랍형 도어(15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서랍형 도어(150)로 약칭하도록 한다.
이러한 서랍형 도어(150)는, 서랍 몸체(151), 선반(153), 및 집게 유닛(155)을 포함할 수 있다.
서랍 몸체(151)는, 도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냉장고(100)의 내부 공간(I)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측면이 개방된 수납 공간(J)을 구비한다.
선반(153)은, 상기 수납 공간(J)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관통 가이드 라인(154)을 포함한다.
관통 가이드 라인(154)은, 선반(153)의 일단 및 타단을 따라 연장되며, 소정 너비를 갖는 관통 라인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선반(153)은 관통 가이드 라인(154)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관통되어 서로 이격된 제1 선반(153a) 및 제2 선반(153b)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또한, 서로 대면하는 제1 선반(153a) 및 제2 선반(153b)의 각 면에는 외부 물체와의 접촉 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탄성체가 설치될 수 있다.
집게 유닛(155)은, 관통 가이드 라인(154)에 배치되어 병 용기(P)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부 용기 집게(156), 하부 용기 집게(157), 및 집게 연결부(158)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용기 집게(156)는, 집게 유닛(155)이 관통 가이드 라인(154)에 위치하는 경우, 관통 가이드 라인(154)의 상측에 위치하여 제1 병 용기(B1)를 고정시킬 수 있다. 다시말해, 상부 용기 집게(156)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꽃 봉우리 형상의 집게가 전개되거나 오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용기 집게(156)는 제1 병 용기(B1)가 바닥면부터 수용되는 경우, 개구부를 오므려 제1 병 용기(B1)의 몸체 둘레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하부 용기 집게(157)는, 상부 용기 집게(156)와 반대 방향으로 배치된다. 다시말해, 집게 유닛(155)이 관통 가이드 라인(154)에 위치하는 경우, 관통 가이드 라인(154)의 하측에 위치하여 제1 병 용기(B1)와 다른 제2 병 용기(B2)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 때, 하부 용기 집게(157)는, 상부 용기 집게(156)와 동일하게 전개 또는 오므려지는 동작을 통해 제2 병 용기(B2)의 몸체를 고정하는 집게뿐 아니라, 집게 마개(157a)를 더 포함한다.
집게 마개(157a)는, 제2 병 용기(B2)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제2 병 용기(B2)를 자체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또한, 집게 마개(157a)는 하부 용기 집게(157)의 집게와 연동되어 동작될 수 있다. 다시말해, 하부 용기 집게(157)가 전개되는 경우, 집게 마개(157a)는 오므려지고, 하부 용기 집게(157)가 오므려지는 경우, 집게 마개(157a)는 전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용기 집게(157)가 전개된 상태에서 집게 마개(157a)는 제2 병 용기(B2)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 후, 하부 용기 집게(157)가 제2 병 용기(B2)의 몸체를 고정하기 위해 오므려지면, 집게 마개(157a)는 삽입 상태에서 전개되므로 제2 병 용기(B2)를 내부에서 외부로 가압할 수 있다.
집게 연결부(158)는, 상부 용기 집게(156) 및 하부 용기 집게(157)를 서로 연결한다. 또한, 집게 연결부(158)의 직경은 관통 가이드 라인(154)의 폭보다 더 좁게 형성된다. 뿐만 아니라, 집게 연결부(158)는 분리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집게 유닛(155)은, 분리된 집게 연결부(158)를 통해 관통 가이드 라인(154)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부 용기 집게(156)가 관통 가이드 라인(154)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므로, 상부 용기 집게(156)는 선반(153) 상에 걸림될 수 있다. 또한, 집게 연결부(158)의 직경이 관통 가이드 라인(154)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어, 집게 유닛(155)은 관통 가이드 라인(154)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집게 유닛(155)은, 관통 가이드 라인(154) 상에서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고, 상부 및 하부 용기 집게(157)로 서로 다른 병 용기(P)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냉장고 157: 하부 용기 집게
110: 본체 157a: 집게 마개
130: 팬트리 어셈블리 158: 집게 연결부
131: 팬트리 몸체 160: 제2 서랍형 도어
132: 손잡이 170: 제1 회전식 도어
133: 변형 지지 유닛 180: 제2 회전식 도어
134: 탄성체 I: 내부 공간
135: 받침 블록 J: 수납 공간
136: 변형 제한대 O: 대상물
137: 슬라이딩 모듈 P: 용기
137a: 슬라이더 T1: 슬라이더 두께
137b: 레일 T2: 블록 두께
150: 제1 서랍형 도어, 서랍형 도어 H: 단차
151: 서랍 몸체 B1: 제1 병 용기
153: 선반 B2: 제2 병 용기
154: 관통 가이드 라인
155: 집게 유닛
156: 상부 용기 집게

Claims (10)

  1. 상부가 개방된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수용 공간에 놓이는 대상물에 대한 대응 부분이 주변 부분에 비해 눌려져서 상기 대상물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변형 지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변형 지지 유닛은,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지지되는 복수의 탄성체; 상기 복수의 탄성체에 의해 각각 지지되며, 서로 나란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받침 블록; 및 상기 복수의 받침 블록 중 인접한 블록을 서로에 대해 상대 슬라이딩되게 연결하는 슬라이딩 모듈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지지 유닛은,
    상기 대상물이 제거된 후에 상기 대응 부분이 탄성적으로 복원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지지 유닛은,
    상기 탄성체를 수용하도록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세워지고, 상기 탄성체의 신장된 길이 보다 작은 길이를 갖는 변형 제한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모듈은,
    상기 인접한 블록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인접한 블록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수용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및 상기 레일은,
    상기 어느 하나의 블록에서 상기 다른 하나의 블록으로 갈수록 너비가 넓어지게 형성되는,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8. 냉각되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항에 따르는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팬트리형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되고, 측면이 개방된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서랍형 도어를 더 포함하는, 팬트리형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형 도어는,
    상기 수납 공간에 설치되며, 관통 가이드 라인이 형성된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팬트리형 냉장고는,
    상기 관통 가이드 라인의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 용기 집게와, 상기 관통 가이드 라인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부 용기 집게를 구비하는 집게 유닛을 더 포함하는, 팬트리형 냉장고.
KR20140147033A 2014-10-28 2014-10-28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1015019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7033A KR101501937B1 (ko) 2014-10-28 2014-10-28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47033A KR101501937B1 (ko) 2014-10-28 2014-10-28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1937B1 true KR101501937B1 (ko) 2015-03-18

Family

ID=53027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47033A KR101501937B1 (ko) 2014-10-28 2014-10-28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19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5638B2 (en) 2018-05-30 2020-03-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awer assembly with expandable bins for an applian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59U (ko) * 1998-07-03 2000-02-07 윤종용 냉장고의 선반
JP2007120875A (ja) 2005-10-28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KR100800194B1 (ko) 2006-06-13 2008-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2359U (ko) * 1998-07-03 2000-02-07 윤종용 냉장고의 선반
JP2007120875A (ja) 2005-10-28 2007-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蔵庫
KR100800194B1 (ko) 2006-06-13 2008-0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75638B2 (en) 2018-05-30 2020-03-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awer assembly with expandable bins for an applian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9479B2 (en) Salad pusher
KR20230151969A (ko) 냉장고
KR102580773B1 (ko) 냉장고
US2512502A (en) Bottleholder for household refrigerators
KR20140022598A (ko) 냉장고용 서랍칸
KR102174511B1 (ko) 디바이더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EP2792978A2 (en) Food container
US10772423B2 (en)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20160082194A (ko) 냉장고
US9903635B2 (en) Domestic refrigeration appliance with a keep-fresh container the front wall of which is an outer wall of the appliance
US20160131416A1 (en) Liner shelf support structures for refrigerators and freezers
KR101501937B1 (ko) 냉장고용 팬트리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10249122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CN107709909A (zh) 用于独立储存单元的储存组件
US6039424A (en) Multiple height package retainer
EP3173717B1 (en) Household refrigerating device with a transport securing element
KR102057987B1 (ko) 냉장고
KR101568907B1 (ko) 선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060030563A (ko) 냉장고 선반의 높이조절 구조
KR200180835Y1 (ko) 냉장고의 계란저장장치
KR100844536B1 (ko) 냉장고의 도어바스켓 장치
WO2018224263A1 (en) A refrigerator comprising a door rack with adjustable depth
KR100621107B1 (ko) 냉장고
KR100518411B1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 개폐구조
KR100632502B1 (ko) 냉장고의 서랍식 도어의 개폐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