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0773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0773B1
KR102580773B1 KR1020180102950A KR20180102950A KR102580773B1 KR 102580773 B1 KR102580773 B1 KR 102580773B1 KR 1020180102950 A KR1020180102950 A KR 1020180102950A KR 20180102950 A KR20180102950 A KR 20180102950A KR 102580773 B1 KR102580773 B1 KR 102580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locking member
rack
guide body
drawer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9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5507A (ko
Inventor
김정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29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773B1/ko
Priority to EP19194337.2A priority patent/EP3627081B1/en
Priority to US16/557,332 priority patent/US11333432B2/en
Publication of KR20200025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3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movable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6Drawers or movable shelves coupled to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the members having helical, herringbone, or like teeth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1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combined with tr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51Guide position
    • A47B2210/0056Guid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인출입에 의해서 개폐하며,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고,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며, 상기 서랍 도어의 자동 인출입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상기 서랍 도어에 구비되고, 일면에 상기 피니언과 기어 결합되는 렉기어가 형성되며,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렉기어의 길이가 연장 가능한 렉기어 장치; 상기 저장실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시 상기 렉기어 장치의 일측에 구속되어 상기 렉기어 장치의 일측을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렉기어 장치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동작시키는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렉기어 장치는, 상기 서랍 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서랍 도어와 함께 인출입되는 고정렉 부재; 상기 고정렉 부재에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렉 부재; 상기 이동렉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가 구비된 상기 저장실의 일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구속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서랍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초기 장착 시킨 후 인입시,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을 향하여 탄성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A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저장된 음식물의 신선도를 위한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냉장고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에서는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가 구비된다.
도어는 회전 도어 또는 서랍 도어로 적용될 수 있다.
회전 도어는,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회전에 의해서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일 수 있다.
서랍 도어는, 캐비닛에 전후방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출입에 의해서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일 수 있다.
서랍 도어는 저장 공간의 전면을 커버하는 도어부와, 도어부의 후방에 구비되며 식품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에는 야채, 과일 등 분리 보관이 필요한 식품이 수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출 조작에 의해서 서랍부의 수납공간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상기 캐비닛의 하부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숙여야 하므로 인출 조작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상기 서랍 도어가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인출입되는 냉장고가 개발되고 있다.
선행 문헌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9-0102577 호에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본체에 인출 가능하게 제공되며 음식물이 수납되는 드로어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 문헌에는, 구동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되는 구름 부재가 렉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드로어가 자동으로 인출입되는 구조가 개시된다.
상세히, 선행 문헌에는, 드로어에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구름 부재가 구비된다. 그리고, 드로어가 인출입되는 본체의 저장 공간에는, 상기 구름 부재와 기어 결합되는 가이드 렉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구비된다.
하지만, 선행 문헌에 의하면, 구동 모터가 드로어에 구비됨에 따라서, 드로어의 무게가 무거워져, 드로어의 인출시 냉장고가 기울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선행 문헌에 의하면, 렉의 길이가 고정되어 드로어가 인출되는 거리가 제한된다. 따라서, 드로어가 최대로 자동 인출되더라도 드로어의 수납 공간이 충분히 노출되지 못하게 되고, 드로어의 수납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선행 문헌에 의하면, 구동 모터가 드로어에 구비되므로, 드로어의 인출 거리가 증가할 경우 구동 모터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어의 인출시 외간이 나빠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 도어의 자동 인출 거리가 증가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 도어의 자동 인출시 길이가 연장되는 렉기어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 도어의 자동 인출입을 위한 렉기어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 도어가 인입되는 저장실의 내부에 렉기어 장치를 연장 및 단축 동작시키는 가이드가 구비됨에 있어서, 서랍 도어의 초기 장착시 가이드가 렉기어 장치에 용이하게 정위치 결합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인출입에 의해서 개폐하며,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고,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며, 상기 서랍 도어의 자동 인출입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상기 서랍 도어에 구비되고, 일면에 상기 피니언과 기어 결합되는 렉기어가 형성되며,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렉기어의 길이가 연장 가능한 렉기어 장치; 상기 저장실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시 상기 렉기어 장치의 일측에 구속되어 상기 렉기어 장치의 일측을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렉기어 장치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동작시키는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렉기어 장치는, 상기 서랍 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서랍 도어와 함께 인출입되는 고정렉 부재; 상기 고정렉 부재에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렉 부재; 상기 이동렉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가 구비된 상기 저장실의 일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구속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서랍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초기 장착 시킨 후 인입시,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을 향하여 탄성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서랍 도어가 완전히 인입되고 상기 렉기어 장치의 길이가 최대로 단축된 초기 상태일 때,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은 하방으로 개구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에서 상기 고정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며,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에 장착되며, 상하로 관통된 가이드 바디 관통구가 형성되는 가이드 고정 부재;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승시 일부가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실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디; 상기 가이드 바디를 탄성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의 하강시 압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고정부재가 장착되는 가이드 장착부; 상기 가이드 장착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바디의 승강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는,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와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 사이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속되는 가이드 바디 베이스;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의 상승시,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장착부에서 상기 함몰부의 상면 둘레를 따라 함몰되어, 상기 가이드 고정부재의 둘레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 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를 관통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 바디와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고정부재의 하면에서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의 외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승강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가 삽입되는 승강 가이드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바디의 승강시, 상기 가이드 삽입홀이 상기 승강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바디의 승강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가이드 바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는, 상기 서랍 도어의 초기 장착 및 인입시, 상기 가이드 바디 경사면이 상기 고정장치의 일측에 접촉되어 눌러짐에 따라 하강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위치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승되어,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이동렉 부재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락킹 돌기; 상기 락킹 돌기의 후방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락킹 돌기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을 형성하는 락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의 초기 장착 및 인입시, 상기 락킹 부재가 상기 가이드 바디 경사면에 전방에서 접촉하며, 상기 락킹 부재가 상기 가이드 바디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를 하방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의 상면 및 전면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서랍 도어의 초기 장착 및 인입시 상기 락킹 부재가 전방에서 삽입되는 락킹 부재 통과 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 경사면은, 상기 락킹 부재 통과홈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락킹 돌기의 좌우 폭은 상기 락킹 부재의 좌우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은 상기 락킹 부재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좌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락킹 돌기는,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의 외측의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의 전면에 접하여,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를 전방에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를 후방에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시 상기 렉기어 장치가 최대로 연장된 상태가 되면,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렉기어 장치가 상기 서랍 도어와 함께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이동렉 부재의 하면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 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면 전단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서 승강 동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시 상기 렉기어 장치가 최대로 연장된 상태가 되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의 후방이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의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시 상기 렉기어 장치가 최대로 연장된 상태가 되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구속된 상기 가이드에 의해서 당겨져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 이동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의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와 이동렉 부재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렉기어 장치는, 상기 고정렉 부재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이동렉 부재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렉 장착부; 상기 이동렉 장착부의 후반부에 형성되며, 상기 락킹 부재가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락킹 부재의 상부를 수용하는 락킹 부재 삽입홈;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락킹 부재 하강 가이드면; 상기 이동렉 부재의 전반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 장치 장착부;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렉 장착부로 부터 최대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과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제1 락킹 부재 관통구; 상기 제1 락킹 부재 관통구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락킹 부재 상승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락킹 부재 상승 가이드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승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렉 부재가 상기 고정렉 부재로 인입될 때, 상기 락킹 부재 하강 가이드면에 의해서 안내되어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특징에 의하면,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서랍 도어가 렉기어 장치와,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의 연동에 의해서 자동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비됨에 있어서, 상기 서랍 도어에 구비된 렉기어 장치가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시 상기 렉기어 장치의 길이가 연장되어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의 수납공간이 외부로 보다 많이 노출되어, 식품의 수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둘째, 상기 렉기어 장치가 길이의 연장이 가능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서랍 도어의 인입시에는 길이가 단축되도록 동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렉기어 장치의 후단과 저장실의 후벽이 간섭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 거리를 크게 증가시키면서도 상기 렉기어 장치와 저장실의 내벽 사이의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셋째, 저장실의 일면에 서랍 도어의 인출시 상기 렉기어장치의 일측에 구속되어 상기 렉기어 장치의 일측을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고정시키는 가이드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시 상기 가이드에 의해서 상기 렉기어 장치의 일측이 후방으로 당겨져 상기 렉기어 장치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넷째, 이동렉 부재에는 상기 가이드가 구비된 상기 저장실의 일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구속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장치가 구비된다. 이 때, 가이드가 가이드 구속 공간을 향하여 탄성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으로써, 상기 서랍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초기 장착 시킨 후 인입시 상기 가이드가 가이드 구속 공간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도어의 초기 장착 및 인입시 상기 가이드가 상기 렉기어 장치에 용이하게 정위치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의 조립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다섯째, 상기 가이드는, 승강 동작되어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디와, 상기 가이드 바디를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가이드 고정 부재와, 가이드 바디를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바디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에 승강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을 향하여 탄성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섯째,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이드 바디의 승강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바디는, 상기 수용공간에서 승강되는 가이드 바디 베이스와,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를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가이드 바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가이드 장착부에서 상기 함몰부의 상면 둘레에는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고정부재의 둘레는 상기 단착부에 수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장치와 연동되는 가이드 바디 돌출부만 상기 저장실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가이드 고정부재와 가이드 바디 베이스는 상기 저장실의 내측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가 구비됨에 따른 상기 저장실의 공간 손실이 최소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다른 구성들과 가이드와의 간섭 발생을 최소로 할 수 있다.
일곱째, 가이드 고정부재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승강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가 삽입되는 승강 가이드 삽입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바디의 승강시, 상기 가이드 삽입홀이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바디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바디의 승강 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상기 가이드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여덟째, 상기 고정장치는 락킹 돌기와, 상기 락킹 돌기로 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승강되는 락킹 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은 상기 락킹 돌기와 상기 락킹 부재의 이격된 사이 공간에 형성된다.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렉기어 장치가 최대로 연장된 상태가 되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을 후방으로 개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이 후방으로 개방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의 구속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렉기어 장치가 길이가 최대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서랍 도어와 함께 인출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에는, 상기 서랍 도어의 초기 장착 및 인입시, 상기 고정장치의 락킹 부재가 전방에서 삽입되는 락킹 부재 통과 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에는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가이드 바디 경사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락킹 부재가 하강되어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의 후방이 차폐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부재는 상기 가이드 바디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를 하방으로 누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바디가 하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서랍 도어가 완전히 인입되면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삽입되어 정위치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도어의 초기 장착 및 인입시, 상기 락킹 부재의 상승 및 하강 여부에 관계없이, 상기 서랍 도어를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를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정위치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 도어가 인입된 상태의 하부 저장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의 하부 저장실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 도어의 도어부와 서랍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부의 서랍 개구를 세부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하부 저장실을 보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렉기어 장치가 장착된 서랍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길이가 최대로 단축된 상태의 렉기어 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길이가 연장된 상태의 렉기어 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렉기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장치의 구성들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19'-19''을 기준으로 절개된 고정렉 부재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20의 21'-21''을 기준으로 절개된 이동렉 부재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3의 22'-22''를 기준으로 절개된 렉기어 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4의 23'-23''을 기준으로 절개된 렉기어 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렉기어 장치가 초기 상태일 때, 렉기어 장치와 가이드 및 피니언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5는 렉기어 장치가 최대 연장 상태일 때 렉기어 장치와 가이드 및 피니언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6은 렉기어 장치가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일 때 렉기어 장치와 가이드 및 피니언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가 구비된 하부 저장실을 보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의 구성을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장착부를 상방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 도어의 장착 초기에 서랍 도어의 인입시 가이드의 동작을 보인 하부 저장실 및 서랍 도어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 도어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의 하부 저장실 및 서랍 도어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냉장고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 도어가 인입된 상태의 하부 저장실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의 하부 저장실의 절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 도어의 도어부와 서랍부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도어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부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부의 서랍 개구를 세부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승강 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 도어가 제거된 상태의 하부 저장실을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에 의해서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의 저장공간은 하나의 저장실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구획되어 다수의 저장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되어 상부 저장실과 하부 저장실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좌우로 구획되어 좌측 저장실과 우측 저장실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다수의 저장실 중 일부는 식품의 냉장 보관을 위한 냉장실일 수 있으며, 일부는 식품의 냉동 보관을 위한 냉동실일 수 있다. 물론, 다수의 저장실 모두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는, 다수의 저장실 중 일부는 급속 냉각실이거나 온도가 가변 가능한 저장실일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공간은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저장공간이 상하로 구획되는 냉장고(1)를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어 상기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되어, 상부 저장실(11)과 하부 저장실(1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다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서 저장실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0)로 적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어는 서랍식으로 인출입에 의해서 저장실을 개폐하는 서랍 도어(30)로 적용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상부 저장실(11)에는 상기 회전 도어(20)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저장실(12)에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가 함께 구비되는 냉장고(1)를 예로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서랍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회전 도어(20)는 상기 캐비닛(10)에 힌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도어(20)의 전면에는 정보의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1)를 통해서 상기 냉장고(1)의 동작 상태 및 저장실의 온도 등 다양한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1)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조 또는 88세그먼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의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미세한 홀이 다수개 타공되어 투과되는 빛에 의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에 구비되며, 전후 방향으로 인출 가능한 서랍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며, 상하 또는 좌우로 다수로 구비될 수 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저장실(12)은 상기 서랍 도어(30)에 대응하여 상하 또는 좌우로 구획될 수도 있으며, 연통된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인출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공간(35)이 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내부에는 승강되는 승강 장치(200)가 구비되어,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내부에 수납된 식품 또는 용기(36)를 상승시켜 사용자가 용이하게 들어올릴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 장치(200)를 승강 동작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구동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특정 조건에 의해 자동으로 인출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구동장치(6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특정 조건에 의해서 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200)를 승강 동작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냉장고(1)에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입 및 상기 승강장치(200)의 승강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는, 후술할 다수의 조작부(22,38,39)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회전 도어(20)의 전면에는 조작부(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디스플레이(21)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터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에는 또 다른 조작부(38)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8)는 터치 또는 버튼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38)는 사용자의 근접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의해 조작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서랍 도어(30)의 하단에 또다른 조작부(39)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39)는 영상을 바닥면에 조사하여 가상의 스위치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조작을 입력하도록 구성되는 조작장치일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와 승강 장치(200)는, 상기 도어에 구비된 조작부들(22,38,39)에 의해 자동 인출입 및 승강이 조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과 상기 승강장치(200)의 승강은, 각각 별도로 조작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로들어, 상기 서랍 도어(30)를 자동으로 인출입 시키기 위해 상기 조작장치를 별도로 조작하고,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조작장치를 별도로 조작함으로써, 상기 승강장치(200)가 자동으로 승강 동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200)의 상승시 식품 또는 용기(36)가 캐비닛(10)에 부딪쳐 파손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냉장고(1)에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인출입 감지장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냉장고(1)에 다수의 조작부(22,38,39)가 모두 구비되고, 상기 조작장치가 상기 다수의 조작부(22,38,39)를 포함하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즉, 상기 냉장고(1)에는 상기 다수의 조작부(22,38,39) 중 일부만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조작부(22,38,39) 중 일부만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입 및 상기 승강장치(200)의 승강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로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조작장치와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는, 상기 냉장고(1)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작장치에서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입 및 상기 승강장치(200)의 승강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에 의해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를 감지한 경우에만, 상기 승강장치(200)의 승강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과 상기 승강장치(200)의 승강은, 각각 별도로 조작되지 않고 상기 조작장치의 조작시 연계되어 연속하여 자동으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로들어, 상기 조작장치에 의해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조작시, 상기 서랍 도어(30)가 자동으로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승강장치(200)는 자동으로 상승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장치에 의해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 조작시, 상기 승강장치(200)가 자동으로 하강되고, 하강이 완료되면 상기 서랍 도어(30)는 자동으로 인입 동작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냉장고(1)에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 또는 인입되었는지를 감지하기 위한 인출입 감지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상태를 감지 가능한 다양한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 및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동작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는, 후술할 모터(311)의 회전수를 카운팅하는 장치 또는, 후술할 도어부(31)의 배면과 상기 캐비닛(10) 전단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로 구성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상태를 감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조작장치와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입력된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입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입과 연계하여 상기 승강장치(200)의 승강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서랍 도어(30)에 상기 승강장치(200)가 구비되는 구조를 개시하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에 상기 승강장치(200) 및 상기 구동장치(60)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랍 도어(30)가 자동으로 인출입되는 구조만 적용되고, 상기 승강장치(200)와 구동장치(60)는 구비되지 않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조작장치의 조작에 의해서 자동으로 인출입되고, 사용자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자동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내부에 수납된 식품 또는 용기(36)를 직접적으로 들어올려 꺼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구조 및 자동 인출입 구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캐비닛(10)에서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후방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이 구비되는 별도의 기계실(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3)과 하부 저장실(12)은 격벽(14)에 의해 단열되도록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기계실(13)과 하부 저장실(12)을 구획하는 격벽(14)은,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용적이 최대한 확보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계실(12)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14)은 상부가 하부 보다 후방에 위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격벽(14)은 전체적으로 상기 기계실(12)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격벽(14)은 상부가 상기 기계실(12)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을 개폐하는 도어부(31)와,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 결합되는 서랍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도어부(31)가 상기 하부 저장실(12)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상기 서랍부(32)는 서로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함께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도어부(31)의 후방에 위치되며, 식품 또는 식품이 수납된 용기(36)가 수납되는 수납공간(35)을 형성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서랍부(32)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의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부(32)는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공간(35)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부(32)는, 최대한의 저장 용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랍부(32)의 후면은 상기 격벽(14)의 형상에 대응하여,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부(32)의 후반부는 상단이 하단 보다 더 후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납공간(35)은, 상기 용기(36)가 구비되는 공간과 그 후방의 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는 상기 서랍부(32)에 상기 승강장치(200)과 함게 제공되는 전용 용기(36)일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수납공간(35)은 상기 용기(36)가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전방 수납공간과, 상기 전방 수납공간의 후방에 위치된 후방 수납공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방 수납공간은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시,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전방 수납공간은,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저장실(11)을 차폐하는 상기 회전 도어(20)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된 상기 수납공간(35)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방 수납공간은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되었을 때,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후방 수납공간에는 별도의 서랍 커버(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상기 전방 수납공간과 후방 수납공간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수납공간의 전면과 상면은 차폐되어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서랍 커버(37)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후방 수납공간으로 접근 가능하게 되며, 상기 후방 수납공간에 식품의 수납이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수납공간의 활용을 위해 성가 후방 수납공간에는 별도의 포켓 또는 후방 수납공간의 형상과 대응하는 별도의 용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200)는 상기 서랍부(32)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수납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도어 프레임(33)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3)의 일측은 상기 도어부(31)에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상기 서랍부(3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는 전면과 둘레면을 형성하는 도어 아웃 케이스(31a)와,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1b)에 의해서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아웃 케이스(31a)와 도어 라이너(31b) 사이의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31b)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도어 함몰부(31c)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함몰부(31c)는 후술할 승강 구동장치(6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도어 함몰부(31c)를 후방에서 차폐하는 도어 커버(3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31d)는,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도어 함몰부(31c)에 장착된 상기 구동장치(60)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31d)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60)가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31d)에는, 후술할 커넥터(64a)가 노출될 수 있도록 개구된 도어 커버 개구(31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 개구(31e)는 후술할 서랍 개구(32a)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60)는 승강 모터 어셈블리(61)와, 상기 승강 모터 어셈블리(61)의 양측에 배치되는 스크류 어셈블리(62)와,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62)에 연결되는 레버(63)와, 커넥팅 어셈블리(6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터 어셈블리(61)는 상기 도어 라이너(31b)의 폭 중심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62)와, 상기 레버(63) 및 커넥팅 어셈블리(64)는 각각 한쌍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모터 어셈블리(61)를 기준으로 좌우로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터 어셈블리(61)는, 정역회전 가능한 승강 모터(61a)와, 상기 승강 모터(61a)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승강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62)로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샤프트(6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62)에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의 기어가 형성된 스크류(62a)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62)의 상단은 외측을 향하고 하단은 내측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양측의 스크류 어셈블리(62)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61)을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61)는 양측에 배치된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6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양측에 배치된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62)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사이의 거리가 점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62a)는 상기 도어부(31)에 하단 보다 상단이 외측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62)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62a)를 따라서 이동하는 스크류 홀더(6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62a)는 상기 스크류 홀더(62b)를 관통하며, 상기 스크류 홀더(62b)의 내주면에는 상기 스크류(62a)에 형성된 나선의 기어와 연동하는 나선의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64)는,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을 관통하여 상기 서랍부(32)에 구비된 상기 승강장치(200)와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64)는 상기 승강장치(200)를 상기 구동장치(60)에 결합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64)는 상기 도어 라이너(31b)에서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62)이 외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64)는 상기 도어 라이너(31b)에서 상기 스크류(62a)의 하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63)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64)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63)는 타단이 상기 스크류 홀더(62b)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63)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64)와 스크류 홀더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63)는 상기 스크류(62a)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스크류 홀더(62b)가 이동함에 따라, 회전 동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레버(63)의 회전축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64)에 결합된 상기 레버(63)의 일단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64)가 상기 스크류(62a)의 하부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스크류 홀더(62b)가 상기 스크류(62a)의 하부에 위치된 경우, 상기 레버(63)는 가로 방향으로 누운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홀더(62b)가 상기 스크류(62a)를 따라 상기 스크류(62a)의 상부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레버(63)는 타단이 상승되어 세워진 형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64)는,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장치(200)에 결합되는 커넥터(64a)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64a)는 상기 레버(63)이 회전에 의해서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64a)는, 상기 레버(63)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제1 커넥터(64b)와, 상기 레버(63)의 회전축과 이격된 위치의 상기 레버(63)의 일측과 결합되는 제2 커넥터(64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에서 상기 커넥터(64a)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승강장치(200)의 일부가 노출되는 서랍 개구(3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개구(32a)를 통해서, 후술할 상기 승강장치(200)의 시저스 회전축(231)과 시저스 돌기(232)가 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승강장치(200)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장치(20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2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내부에서 상기 용기(36)를 승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승강장치(200)는 시저스 리프트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승강장치(200)는, 어퍼 프레임(210)과 로어 프레임(220), 어퍼 프레임(210)과 로어 프레임(220)의 사이에 배치되는 시저스 어셈블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210)은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의 동작에 의해서 승강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는 서로 교차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다수의 링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는 서로 교차된 링크 부재가 눕거나 세워짐에 따라 상단이 하단을 기준으로 승강될 수 있다. 즉,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는 서로 교차된 링크 부재가 접히거나 펼쳐짐에 따라 상단이 하단을 기준으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의 하단은 상기 로어 프레임(2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의 상단은 상기 어퍼 프레임(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210)은 상기 서랍부(32)의 전방 수납공간의 크기와 대응하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210)의 상면에는 상기 용기(36)의 안착면을 형성하는 서포터 플레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210)은 상기 승강장치(200) 중 상하로 이동되는 구성으로 실질적으로 식품 또는 용기(36)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210)은 전체적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210)의 둘레 형상을 형성하는 프레임부(211)와, 상기 프레임부(211)의 내측의 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구획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211)와 구획부(212)는 외형 틀을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므로 높은 강도가 요구되며,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211)와 구획부(212)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강도를 높이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양단이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211) 내측면에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의 상측 일단이 수용되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시저스 어셈블리 가이드(2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220)은 상기 어퍼 프레임(210)과 방향만 다를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220)은 프레임부(221)와 구획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221)의 내측면에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의 하측 일단이 수용되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의 이동을 안내하는 시저스 어셈블리 가이드(2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210)과 상기 로어 프레임(220)은,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가 완전히 접힌 상태에서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의 하단부에는, 상기 커넥터(64a)와 결합되는 상기 시저스 회전축(231)과 상기 시저스 돌기(2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회전축(231)은,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의 하단이 상기 로어 프레임(22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형성된 회전축일 수 있다.
상기 시저스 돌기(232)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에서 하단부에서 상기 시저스 회전축(231)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커넥터(64b)는 상기 서랍 개구(32a)를 통해서 상기 시저스 회전축(231)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커넥터(64c)는 상기 서랍 개구(32a)를 통해서 상기 시저스 돌기(232)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랍 개구(32a)는, 서랍 개구 중심부(32b)와 궤적부(32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개구 중심부(32b)는 상기 시저스 회전축(231)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제1 커넥터(64b)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궤적부(32c)는 상기 서랍 개구 중심부(32b)와 연결되며, 상기 제2 커넥터(64c)가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궤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터(61a)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레버(63)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레버(63)과 결합된 상기 커넥터(64a)가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64a)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커넥터(64a)와 결합된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가 동작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승강 모터(61a)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230)가 접어지거나 펼쳐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200)가 승강 동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20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가 승강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장치(200)의 상승 동작이 요구될 때 상기 승강 모터(61a)를 정회전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 장치(200)의 하강 동작이 요구될 때에는 상기 승강 모터(61a)를 역회전 동작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부(32)에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을 안내하는 인출입 레일(4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40)은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양측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 레일(40)은 다단으로 연장 가능한 레일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연장되는 일측이 상기 서랍부(32)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인출입 레일(40)의 연장 및 단축에 의해서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출입 레일(40)은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 하단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레일(40)은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결합되는 언더레일이라 부를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저장실(12)에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입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3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에는 상기 구동장치(300)와 연동되는 렉기어 장치(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서랍 도어(30)의 하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300)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장치(30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하벽에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구동장치(30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하벽에 적어도 일부가 매립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하부 저장실(12)에 구비된 구동장치(300)와 상기 서랍 도어(30)에 구비된 렉기어 장치(400)의 연동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구동장치(300)는, 모터 어셈블리(310)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310)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310)는, 회전축이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3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311)는 상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 의해서 정역회전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310)는 기어 박스(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박스(312)의 내부에는 하나 이상의 회전 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어 박스(312)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 기어는 상기 모터(311)의 회전수를 감소시키고 회전력을 증가시키는 감속기어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311)는 상기 기어 박스(312)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311)의 회전축은 상기 기어 박스(312)에 구비된 회전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 기어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310)는 상기 기어 박스(312)에 구비된 회전 기어와 연결되며, 상기 피니언(330)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전달부재(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313)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 박스(312)를 관통하거나, 일단이 상기 기어 박스(312)에 삽입되어 상기 회전 기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313)는 상기 회전 기어와 결합되어, 상기 모터(311)의 정역회전에 따라 정역회전 동작될 수 있다.
상기 기어 박스(312)의 외측으로 돌출된 상기 전달부재(313)의 단부에는, 상기 피니언(330)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피니언(330)이 좌우로 이격된 한쌍으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모터 어셈블리(310)는 상기 한쌍의 피니언(330)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재(313)는 상기 기어 박스(312)를 관통하여, 양단이 상기 기어 박스(312)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피니언(330) 중 좌측의 피니언은 상기 전달부재(313)의 좌측 단부에 결합되고, 우측의 피니언은 상기 전달부재(313)의 우측 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쌍의 피니언(330)이 하나의 전달부재(313)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모터(311)의 정역회전시 상기 한쌍의 피니언(330)이 동일한 속도 및 방향으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모터 어셈블리(3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모터(311)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피니언(330)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예로들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310)는, 상기 모터(311)와 피니언(330)으로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피니언(330)은 상기 모터(311)의 회전축에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모터(311)의 구동에 의해서 회전 동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311)는 상기 피니언(330)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구비되어, 각각 하나의 피니언(330)의 회전시키도록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에는 상기 피니언(330)과 기어 결합되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 장치(400)에는, 상기 피니언(330)과 기어 결합되는 렉기어(40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401)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401)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렉기어(401)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하면에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상기 피니언(330)의 수와 대응하는 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피니언(330)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하면에서 좌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한쌍의 렉기어 장치(4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하면에서 좌우측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피니언(330)는, 상기 한쌍의 렉기어 장치(400)에 형성된 한쌍의 상기 렉기어(401)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좌측의 렉기어 장치(400)에 형성된 렉기어(401)는 좌측의 피니언(330)과 기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의 렉기어 장치(400)에 형성된 렉기어(401)는 우측의 피니언(330)과 기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는 자동 인출되는 거리가 길어질수록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 도어(30)는 수납공간(35)이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외측으로 많이 노출될수록, 상기 수납공간(35)에 식품 또는 용기(36)를 용이하게 넣거나 꺼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수납공간(35)에 크기가 더 큰 식품 또는 용기(36)를 수납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용기(36)가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자동으로 상승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수납공간(35)이 많이 노출될수록 상기 용기(36)의 크기를 보다 크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용기(36)가 상승시에 상기 캐비닛(10)과 간섭되지 않는 상기 용기(36)의 한계 크기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상기 용기(36)의 크기를 더 크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자동 승강되는 상기 용기(36)에 더 많은 식품을 저장할 수 있게 되고 사용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구동장치(300)의 피니언(330)은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전단에 가깝게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330)과 연동하는 상기 렉기어(401)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즉, 상기 피니언(330)이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전단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렉기어(401)의 전후방으로 연장된 길이가 길어질수록, 상기 피니언(330)과 상기 렉기어(401)의 사이에 기어 결합이 유지될 수 있는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니언(330)과 렉기어(401)의 연동에 의한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 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 거리의 증가를 위해서, 상기 피니언(330)은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31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바닥면 전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재(313)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전단부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부재(313)의 양단에 구비된 한쌍의 상기 피니언(330)은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전단부에서 좌우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상기 서랍부(32) 하면의 전후방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전단이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전단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후단은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후단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렉기어(401)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하면 전단에서 부터 후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피니언(330)은 상기 렉기어(401)의 전단과 기어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피니언(330)이 정회전 되어 상기 렉기어(401)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자동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330)이 상기 렉기어(401)의 후단에 위치된 상태일 때,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에 의해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이 완료된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피니언(330)의 회전이 정지되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이 완료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입 명령이 입력되었을 때, 상기 피니언(330)이 역회전되어 상기 렉기어(401)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자동 인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330)이 상기 렉기어(401)의 전단에 위치된 상태일 때,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에 의해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이 완료된 것으로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피니언(330)의 회전이 정지되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입이 완료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 거리의 증가를 위해서,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후방으로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시에는 연장된 길이가 단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렉기어(401)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연장 및 단축됨에 따라, 길이가 연장 및 단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401)의 길이가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연장됨에 따라,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시에는 상기 렉기어(401)의 길이가 단축됨에 따라, 상기 렉기어 장치(400)와 상기 격벽(14)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부(32)의 최대 저장 용적을 확보하기 위해서,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내부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32)의 배면은,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후벽을 형성하는 상기 격벽(14)에 접하거나 인접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랍부(32)의 배면이 상기 격벽(14)에 접하거나 인접함에 따라,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상기 서랍부(32)의 배면 보다 후방으로 더 연장 가능한 공간이 확보될 수 없다.
즉,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후단이 상기 서랍부(32)의 배면 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후단과 상기 격벽(14)이 서로 간섭되어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히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을 고려시,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후단은 상기 서랍부(32)의 배면까지로 연장 가능한 길이가 제한된다.
이 때,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길이의 조절이 불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의 제한에 의해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거리가 충분히 확보되지 못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길이의 조절이 불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피니언(330)이 상기 렉기어(401)의 후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32)의 후측 공간이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후측 공간이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외측으로 충분히 인출되지 않아 사용 편의성이 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격벽(14)의 하부가 상부 보다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상부 공간의 전후방 길이(H1) 보다 하부 공간의 전후방 길이(H2)가 더 짧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상부의 전후방 길이 보다 하부의 전후방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의 전후방 길이도 보다 짧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을 고려시,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도 보다 짧은 길이로 제한된다.
이 때,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길이의 조절이 불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거리가 보다 짧아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보다 많은 후측 공간이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외측으로 인출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 편의성이 보다 크게 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길이가 연장 및 단축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상기 렉기어 장치(400)와 격벽(14)의 간섭을 방지하면서도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 거리를 크게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에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후단은 상기 서랍부(32)의 배면 보다 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연장됨에 따라, 상기 렉기어(401)의 길이도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 거리를 크게 증가시켜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구조에서도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 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여 사용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시에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단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후단은 상기 격벽(14)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까지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후단은,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입될 때, 점차적으로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일 때,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후단은 상기 서랍 도어(30) 하면의 후단에 인접하거나 동일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시, 상기 렉기어 장치(400)와 상기 격벽(14)이 간섭되어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닫히지 않게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일측에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시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연장 및 단축되도록 동작시키는, 가이드(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인출입 레일(40)의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일측을 향하여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에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에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단축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50)와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선택적 결합 구조는 후술할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구조 및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렉기어 장치가 장착된 서랍부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길이가 최대로 단축된 상태의 렉기어 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길이가 연장된 상태의 렉기어 장치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고정렉 부재(500), 이동렉 부재(600), 고정 장치(70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렉 부재(500)는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장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에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고정렉 부재(500)로 부터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고정렉 부재(500)로 부터 후방으로 인출되어, 후단이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후단 보다 후방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401)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와 이동렉 부재(600)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서 길이가 연장되거나 단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70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일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장치(700)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와 이동렉 부재(600)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700)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최대한으로 길어졌을 때, 상기 이동렉 부재(600)를 상기 고정렉 부재(5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최대로 연장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장치(7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시, 상기 이동렉 부재(600)와 고정렉 부재(500)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단축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장치(7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가이드(5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가이드(50)가 구비된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가이드(50)에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가이드(50)에 구속됨으로써,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고정렉 부재(500)는 상기 서랍 도어(30)와 함께 인출되고,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가이드(50)에 구속되어 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장치(7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시 상기 가이드(50)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시, 상기 가이드(50)가 구비된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가이드(50)에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가이드(50)에 구속됨으로써,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시 상기 고정렉 부재(500)는 상기 서랍 도어(30)와 함께 인입되고,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가이드(50)에 구속되어 인입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을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에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거리가 증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시에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단축될 수 있으며, 상기 렉기어 장치(400)와 상기 격벽(14)과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고정렉 부재(500), 이동렉 부재(600), 고정 장치(700)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렉 부재(5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렉 부재(500)는,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의 전후방 길이에 대응하는 전후방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렉 부재(500)는 소정의 좌우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정렉 부재(500)는, 상기 피니언(330)의 좌우 폭 보다 더 넓은 좌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결합되는 이동렉 결합부(5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에서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소정의 좌우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전후방향 길이 보다는 짧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좌우 폭은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좌우 폭 보다 좁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 일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전후방향 길이 보다 짧은 전후방향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좌우방향 폭보다 좁은 좌우방향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 후단에서 부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개구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두께는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함몰된 깊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하면과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은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렉 기어 장치(400)의 하면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하면은 상기 고정렉 부재(500)와 이동렉 부재(600)의 하면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렉기어(401)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하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렉기어(401)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하면 전단에서 부터 후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렉기어(401)는 일렬로 배치된 다수의 기어이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의 기어이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하면 전단에서 부터 후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401)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과 이동렉 부재(600)의 하면에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렉기어(401)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하면 전단에서 부터 후단까지 연장되되, 상기 고정렉 부재(500)와 이동렉 부재(600)가 나란하게 배치된 위치에서 좌우로 분리되어 2개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열 중에서 하나의 열은 상기 이동렉 부재(600)에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열은 상기 고정렉 부재(5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전단을 기준으로 전후로 구분되어, 제1 고정렉 형성면(510)과 제2 고정렉 형성면(5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렉 형성면(510)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전단을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된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렉 형성면(520)은, 상기 제1 고정렉 형성면(510)의 후방에 위치된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고정렉 형성면(520)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전단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된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 영역일 수 있다.
일예로, 상기 제1 고정렉 형성면(510)은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 전반부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렉 형성면(520)은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 후반부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는 상기 제2 고정렉 형성면(520)의 일부 영역에 형성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는 상기 제2 고정렉 형성면(520)의 좌우 폭 보다 좁은 좌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 고정렉 형성면(520)에서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측방에 상기 렉기어(401)가 형성 가능한 면적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401)는, 상기 제1 고정렉 형성면(510)에 형성되는 제1 고정렉(501), 상기 제2 고정렉 형성면(520)에 형성되는 제2 고정렉(502), 상기 이동렉 부재(600)에 형성되는 이동렉(60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렉(501)은, 상기 제1 고정렉 형성면(510)의 전단에서 부터 후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렉(502)은, 상기 제2 고정렉 형성면(520)의 전단에서 부터 후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고정렉(502)은, 상기 제2 고정렉 형성면(520)에서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렉(502)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측단에 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렉(601)은,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렉(601)은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하면 전단에서 부터 후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하면은 이동렉 형성면으로 불릴 수 있다.
상기 이동렉 부재(600)와 상기 제2 고정렉 형성면(520)의 전후방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렉(502)과 이동렉(601)의 전후방 길이는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된 초기 위치일 때, 상기 제2 고정렉(502)과 이동렉(601)은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초기 위치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를 따라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되어,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최대로 짧아진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초기 위치일 때, 상기 제2 고정렉(502)과 이동렉(601)은 좌우로 배치되며, 인접한 측면이 서로 접하거나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렉(502)의 기어이와 상기 이동렉(601)의 기어이는 좌우로 나란하게 정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고정렉(502)의 기어이와 상기 이동렉(601)의 기어이는 서로 대칭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고정렉(501)의 좌우 폭은 상기 피니언(330)의 좌우 폭과 대응하는 좌우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고정렉(501)의 좌우 폭은, 상기 제2 고정렉(502)과 이동렉(601)의 좌우 폭의 합과 동일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 고정렉(502)과 이동렉(601)의 좌우 폭은 각각 상기 제1 고정렉(501)의 좌우 폭의 절반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고정렉(502)과 이동렉(601)은 상기 제1 고정렉(501)의 연장 선상에 위치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제2 고정렉(502)이 상기 이동렉(601)의 좌측에 위치된 경우, 상기 제2 고정렉(502)은 상기 제1 고정렉(501)의 좌측 절반부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601)은 상기 제1 고정렉(501)의 우측 절반부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초기 위치일 때, 상기 제1 고정렉(501)과 제2 고정렉(502) 및 이동렉(601)은,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하면에서 전후방으로 일정한 폭으로 연장된 형태의 상기 렉기어(401)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상기 이동렉(601)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지게 되고, 상기 렉기어(401)의 전체적인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양측면에는, 이동 가이드(6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61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측면 전단에서 부터 후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6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이동 가이드 장착부(5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 장착부(531)는 상기 이동 가이드(610)를 수용하도록,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 양측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 장착부(531)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 양측면 전단에서 부터 하단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 가이드(610)가 상기 이동 가이드 장착부(531)에 삽입되어, 상기 가이드 홈(531)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에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동 가이드 장착부(5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 가이드(610)가 상기 이동 가이드 장착부(531)를 수용하도록 함몰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이동렉(601)의 좌우 폭 보다 더 넓은 좌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하면에서 상기 이동렉(601)의 측방에는, 상기 고정 장치(700)가 장착되는 고정 장치 장착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63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하면 전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63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하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고정 장치(7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렉기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 장치의 구성들의 단면도이다.
상기 고정 장치(700)는,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630)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720), 상기 슬라이더(720)를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63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케이스(7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700)는, 상기 슬라이더(720)의 전후방 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홀더(7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700)는 락킹 부재(7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740)는 상기 가이드(50)를 선택적으로 구속하고, 상기 슬라이더(720)를 상기 고정렉 부재(500)에 선택적으로 고정시켜 상기 이동렉 부재(600)와 고정렉 부재(50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710)는,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630)의 크기에 대응하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도록, 둘레면 일부가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케이스(710)의 좌우 양측단은 상방으로 절곡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710)는 하면과, 상기 하면의 좌우 양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양측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10)에는 케이스 홀(7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홀(711)은 상기 케이스(710)의 하면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710)의 하면 가장자리 영역을 제외한 내측 영역이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홀(711)은 후술할 슬라이더 바디(721)가 통과 가능하고, 슬라이더 바디(721)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케이스 홀(711)은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좌우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전후방 길이 보다는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710)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이동렉 부재(6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로들어, 체결부재는 상기 케이스(710)의 하면 전단과 후단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63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720)는 대략 직 육면체 형상의 슬라이더 바디(7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는 상기 케이스 홀(711)을 통과하여 하면 또는 하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양측면에는 슬라이더 가이드 돌기(7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돌기(722)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양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측면 전단에서 부터 후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돌기(722)는 상기 케이스(710)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속되어, 상기 슬라이더(720)를 상기 케이스(710)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케이스 홀(711)이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좌우 폭으로 형성되므로,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돌기(722)는 상기 케이스 홀(711)을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즉,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돌기(722)는, 상기 케이스 홀(711)의 좌우 양측에 위치된 상기 케이스(710)의 하면에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돌기(722)는 상기 케이스(710)의 내부 공간에 구속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가이드 돌기(722)는 상기 케이스(710)의 내부에 구속되어, 상기 케이스(710)의 하면을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더(720)의 전후방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전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락킹 돌기(7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돌기(723)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하면 전단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에는 상기 락킹 부재(740)가 관통하는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는 상기 락킹 돌기(723)와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킹 돌기(723)와 상기 락킹 부재(740)의 사이에는 이격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돌기(723)와 상기 락킹 부재(740)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에는, 상기 가이드(50) 삽입되어 구속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돌기(723)와 상기 락킹 부재(740)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은 가이드 구속 공간으로 불릴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740)는,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의 상하 길이 보다 더 긴 상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740)는,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74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하단이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50)를 상기 락킹 돌기(723)와의 사이 공간에 구속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50)를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구속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74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고정렉 부재(500)로 부터 후방으로 최대한 인출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740)의 상단이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락킹 부재(740)의 상부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렉 부재(600)를 상기 고정렉 부재(500)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락킹 부재(740)의 승강 동작은, 상기 슬라이더(720)의 전후방 이동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상면에는, 상기 홀더(730)가 삽입되는 제2 홀더 삽입홈(72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은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은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전반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후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은 상기 홀더(730)의 일부가 수용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730)의 크기 보다 작은 크기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73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고정렉 부재(500)로 부터 후방으로 충분히 인출되지 않았을 때는, 상기 슬라이더(720)를 상기 이동렉 부재(6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더(720)가 최대한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홀더(730)의 하부는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에 삽입되고, 상부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일측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더(720)를 상기 이동렉 부재(6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73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고정렉 부재(500)로 부터 후방으로 최대한 인출된 상태가 되면, 상기 슬라이더(720)가 상기 이동렉 부재(600)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더(720)의 고정을 해제하여, 상기 슬라이더(720)가 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홀더(730)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으로 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720)가 상기 이동렉 부재(600)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720)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슬라이더(720)는 상기 슬라이더(720)에 구속된 상기 가이드(50)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 중일 때, 상기 슬라이더(720)는 구속된 상기 가이드(50)에 의해서 후방으로 당겨지는 힘을 받게 되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720)가 이동되면, 상기 락킹 부재(740)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이동렉 부재(600)를 상기 고정렉 부재(5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740)의 상방 이동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50)의 구속이 해제되고, 길이가 최대한으로 연장된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전방으로 더 인출 가능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 상기 락킹 부재(740)는, 락킹 부재 바디(7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의 둘레는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는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의 상하 길이 보다 상하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는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를 통하여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의 상부에는, 걸림 돌기(74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745)는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의 상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745)는 상기 락킹 부재(740)의 하방 이동 거리를 제한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740)는 상기 걸림 돌기(745)가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일측에 접함으로써, 하방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74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다수의 사출물의 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는 제1 락킹 부재 바디(742), 제2 락킹 부재 바디(7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락킹 부재 바디(742)는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의 상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락킹 부재 바디(743)는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의 하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745)는 상기 제1 락킹 부재 바디(742)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걸림 돌기(745)는 상기 제1 락킹 부재 바디(742)의 전면 상단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락킹 부재 바디(742)와 제2 락킹 부재 바디(743)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락킹 부재 바디(742)와 제2 락킹 부재 바디(743)가 스크류에 의해서 결합됨으로써, 상기 락킹 부재(740)는 스크류의 강도에 의해서 보다 강한 강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740)의 일측에는, 상기 락킹 부재(740)의 하강 동작을 위한 하강 가이드면(74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강 가이드면(746)은, 상기 걸림 돌기(745)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걸림 돌기(745)의 돌출된 전면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강 가이드면(746)은 상기 걸림 돌기(745)의 경사진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740)의 일측에는, 상기 락킹 부재(740)의 승강 동작을 위한 상승 가이드면(74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승 가이드면(747)은, 상기 걸림 돌기(745)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745)는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의 측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승 가이드면(747)은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의 측방으로 돌출된 상기 걸림 돌기(745)의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745)의 후면은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승 가이드면(747)은 상기 걸림 돌기(745)의 경사진 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승 가이드면(747)은 상기 걸림 돌기(745)에 형성되지 않고, 상기 락킹 부재(740)의 다른 일측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로들어, 상기 락킹 부재(740)의 측면에 측방으로 돌출된 별도의 돌기가 더 형성되고, 상기 승강 가이면(746)은 상기 별도의 돌기의 후면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홀더(730)는 소정의 두께와 폭을 가지는 입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730)의 전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730)의 경사면은, 상측 경사면(731)과 하측 경사면(7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측 경사면(731)은 상기 홀더(73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경사면(732)은 상기 홀더(73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되 f수 ldT다 그리고,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에는, 상기 홀더(730)를 상승시키기 위한 홀더 상승 가이드면(7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 상승 가이드면(726)은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의 전면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 상승 가이드면(726)은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의 전면은 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 상승 가이드면(726)은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의 경사진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홀더(730)는, 상기 슬라이더(720)가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하측 경사면(732)이 상기 홀더 상승 가이드면(726)을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승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고정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9은 도 18의 19'-19''을 기준으로 절개된 고정렉 부재의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에서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후방으로 인출 가능하도록, 후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에서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되,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좌우측 단부와 이격된 내측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에 상방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하며, 내측에 양측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에는, 상기 이동 가이드(6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상기 이동 가이드 장착부(5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 장착부(531)는 상기 이동 가이드(610)를 수용하도록,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 양측면에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동 가이드(61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일측면에만 형성되고, 상기 이동 가이드 장착부(531)는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 일측면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렉 결합부(630)의 내측 상면에는, 제1 홀더 삽입홈(53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은 상기 이동렉 결합부(630)의 내측 상면에서 상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은 상기 홀더(730)가 상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홀더(730)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은 상방으로 이동된 상기 홀더(730)의 상부가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에는 홀더 하강 가이드면(53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 하강 가이드면(532a)은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의 전면이 경사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의 전면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 하강 가이드면(532a)은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의 경사진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은,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최대한으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홀더(73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은,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최대한으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홀더(73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후반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렉 결합부(630)의 내측 상면에는, 락킹 부재 삽입홈(5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은 상기 이동렉 결합부(630)의 내측 상면에서 상방으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은 상기 락킹 부재(740)가 상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락킹 부재(740)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은 상방으로 이동된 상기 락킹 부재(740)의 상부가 수용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에는 락킹 부재 하강 가이드면(53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 하강 가이드면(534a)은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의 전면이 경사짐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의 전면은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 하강 가이드면(534a)은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의 경사진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은,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최대한으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락킹 부재(740)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은,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최대한으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락킹 부재(74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후반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 상면에서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인출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5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40)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스토퍼(540)는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 상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토퍼(540)는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 보다 후방에 위치 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스토퍼(540)는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 상면에서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동렉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20의 21'-21''을 기준으로 절개된 이동렉 부재의 절개 사시도이다.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63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하면에서 상기 고정 장치(700)의 크기에 대응하는 크기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630)에는, 홀더 관통구(6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 관통구(631)는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630)의 내측 상면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 관통구(631)는 상기 홀더(73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홀더(730)의 둘레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 관통구(631)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최대한으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630)에는, 제1 락킹 부재 관통구(6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락킹 부재 관통구(632)는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630)의 내측 상면을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락킹 부재 관통구(632)는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가 상하 및 전후로 이동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제1 락킹 부재 관통구(632)는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좌우 폭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의 전후 폭 보다 큰 전후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락킹 부재 관통구(632)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최대한으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의 수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락킹 부재 관통구(632)의 측면에는, 상기 슬라이더(720)의 후방 이동시 상기 락킹 부재(740)를 상승시키기 위한 락킹 부재 상승 가이드(63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 상승 가이드(632a)는 상기 제1 락킹 부재 관통구(632)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740)는, 상기 슬라이더(720)의 후방 이동시 상기 상승 가이드면(747)이 상기 락킹 부재 상승 가이드(632a)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승 동작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 관통구(631)와 제1 락킹 부재 관통구(632)는 전후방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 관통구(631)와 제1 락킹 부재 관통구(632)의 사이에는, 상기 락킹 부재(740)의 상기 걸림 돌기(745)가 접촉되는 걸림 돌기 접촉면(63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 접촉면(633)은 상기 홀더 관통구(631)와 제1 락킹 부재 관통구(632)의 사이에 위치된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740)는 하방으로 최대한 이동되었을 때 상기 걸림 돌기(745)가 상기 걸림 돌기 접촉면(633)에 안착됨으로써,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렉 부재(600)에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최대 인출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 접촉부(6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접촉부(64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접촉부(64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상면에서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6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63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초기 위치일 때, 상기 스토퍼 접촉부(640)는 상기 스토퍼(640)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스토퍼(540)와 전후방으로 최대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스토퍼 접촉부(640)는 상기 스토퍼(540)와 접촉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인출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시 상기 렉기어 장치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2는 도 13의 22'-22''를 기준으로 절개된 렉기어 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14의 23'-23''을 기준으로 절개된 렉기어 장치의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최대한 짧아진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길이가 최대한으로 짧아진 초기 상태일 수 있다.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초기 상태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를 따라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장치(700)의 슬라이더(720)가 상기 케이스 홀(711)을 따라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를 따라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의 초기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장치(700)의 슬라이더(720)가 상기 케이스 홀(711)을 따라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는, 상기 고정 장치(700)의 초기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700)가 초기 상태일 때, 상기 홀더(730)는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에 하부가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홀더(730)는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의 깊이 보다 상하로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730)의 상부는 상기 홀더 관통구(631)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홀더(730)의 상면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 상면에 접하거나 인접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730)가 제2 홀더 삽입홈(725)과 홀더 관통구(631)에 함께 위치된 상태이므로, 상기 슬라이더(720)가 상기 이동렉 부재(600)에 전후방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장치(700)가 초기 상태일 때, 상기 락킹 부재(740)는 하방으로 최대한 이동되어, 하단이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의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걸림 돌기(725)는 상기 걸림 돌기 접촉면(633)에 접촉되어, 상기 락킹 부재(74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740)의 상면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 상면에 접하거나 인접한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 상면은 전단에서 부터 후방으로 일정 구간이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 상면에는 전단에서 부터 후방으로 평면 구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평면 구간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 상면의 전단에서 부터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의 전단 까지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홀더(730)와 락킹 부재(74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후방으로 인출될 때, 일정 구간까지는 상방으로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730)와 락킹 부재(740)는,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상기 평면 구간에서는 상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장치(700)가 초기 상태일 때, 상기 스토퍼(540)와 스토퍼 접촉부(640)는 전후방으로 최대한 이격된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최대한 길어진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시,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최대 연장 상태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를 따라 후방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최대 연장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540)와 스토퍼 접촉부(640)는 접촉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시, 상기 스토퍼(540)와 스토퍼 접촉부(640)의 접촉에 의해서 후방이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최대 연장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720)가 전방으로 최대한 이동된 초기 상태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최대 연장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720)의 후방 이동에 의해서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최대로 연장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더(720)가 후방으로 최대로 이동된 상태로 정의 될 수 있다. 상기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에서,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길이가 최대한 연장된 상태로 길이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에서, 상기 홀더(730)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에서 완전히 이출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730)의 하부는 상기 홀더 관통구(631)에 위치되고, 상기 홀더(730)의 상부는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홀더(730)가 상기 홀더 관통구(631)과 제1 홀더 삽입홈(532)에 함께 위치됨으로써,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고정렉 부재(500)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에서, 상기 락킹 부재(740)는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에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740)가 상방 이동에 의해서, 상기 락킹 부재(740)하단이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의 내부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락킹 부재(740)의 하단이 상기 슬라이더(720)의 하면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렉기어 장치(400)와 가이드(50) 및 피니언(330)의 연계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렉기어 장치가 초기 상태일 때, 렉기어 장치와 가이드 및 피니언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5는 렉기어 장치가 최대 연장 상태일 때 렉기어 장치와 가이드 및 피니언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26은 렉기어 장치가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일 때 렉기어 장치와 가이드 및 피니언의 결합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일 때,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초기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330)은 상기 렉기어(401)의 전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피니언(330)은 상기 제1 고정렉(501)의 전단부에 기어 결합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락킹 돌기(723)와 상기 락킹 부재(740)의 사이에 구속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피니언(330)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렉기어(401)가 형성된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렉기어 장치(400)와 결합된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초기에는, 상기 피니언(33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고정렉 부재(500)가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가이드(50)와 상기 고정 장치(700)가 서로 구속되어 있음에 따라,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초기에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는 전방으로 이동되고,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렉 부재(500)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대적으로 상기 고정렉 부재(500)의 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를 따라 후방으로 인출되고,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길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토퍼(540)와 상기 스토퍼 접촉부(640)가 접촉되면,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최대 연장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최대 연장 상태가 되면, 상기 고정렉 부재(500)와 이동렉 부재(600)가 전방으로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최대 연장 상태인 경우,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더 이상 후방으로 인출이 불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렉 부재(500)와 이동렉 부재(600)가 전방으로 함께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슬라이더(720)를 후방으로 당길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후방으로 최대로 인출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슬라이더(720)에 여전히 구속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락킹 돌기(723)와 락킹 부재(740)의 사이에 구속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슬라이더(720)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지 못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720)는 상기 가이드(50)에 의해서 당겨지게 된다.
즉,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고정렉 부재(600)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720)는 상기 케이스 홀(71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케이스 홀(711)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홀더(730)와 락킹 부재(740)는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후방으로 최대한 인출된 상태일 때,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은 상기 홀더 관통구(631)와 상하로 정렬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은 상기 홀더(73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후방으로 최대한 인출된 상태일 때,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은 상기 제1 락킹 부재 관통구(632)와 상하로 정렬될 수 있다. 즉,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는 상기 락킹 부재(740)의 수직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슬라이더(720)가 상기 케이스 홀(711)를 따라 후방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홀더(730)의 상기 하측 경사면(732)과 상기 홀더 상승 가이드면(726)이 연동하게 된다. 즉, 상기 홀더 상승 가이드면(726)이 상기 하측 경사면(732)을 밀어 올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홀더(730)가 상승되어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730)는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으로 부터 완전히 이탈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720)가 상기 케이스(711)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락킹 부재(740)의 상승 가이드면(747)과 상기 락킹 부재 상승 가이드(632a)가 연동하게 된다. 즉, 상기 상승 가이드면(747)이 상기 락킹 부재 상승 가이드(632a)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슬라이더(720)에 형성된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는 내부에 위치된 상기 락킹 부재(740)의 둘레와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부재(600)에 형성된 상기 제1 락킹 부재 관통구(632)는 상기 락킹 부재(740)가 전후방 이동 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킹 부재(740)는 상기 슬라이더(720)의 후방 이동시 상기 슬라이더(72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락킹 부재 관통구(632)에 형성된 상기 락킹 부재 상승 가이드(632a)를 따라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740)가 상승됨으로써, 상기 락킹 부재(740)가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534)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740)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락킹 부재(740)의 하단이 상기 슬라이더(720)의 하면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락킹 부재(740)의 하단이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더(730)는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렉 부재(500)에 형성된 상기 제1 홀더 삽입홈(532)과 상기 이동렉 부재(600)에 형성된 상기 홀더 관통구(631)에 함께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730)는 상기 고정렉 부재(500)와 이동렉 부재(600)를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고정렉 부재(500)에 전후방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최대한 연장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락킹 부재(740)가 상승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50)와 슬라이더(720)의 구속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740)의 하단이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슬라이더(720)의 후방으로 상대 이동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즉,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가 되면, 상기 고정 장치(700)는 상기 가이드(50)와의 구속이 해제되어, 상기 이동렉 부재(600)과 함게 전방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니언(330)은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가 된 이후에도 일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330)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최대로 연장된 상태로 전방으로 지속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피니언(330)은 상기 제1 고정렉(501)과 제2 고정렉(502)과 이동렉(601)을 순차적으로 지날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니언(330)이 상기 이동렉(601)의 후단부에 위치되면, 상기 서랍 도어(30)가 최대로 자동 인출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를 통해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모터(311)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시, 상술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의 동작과 반대로 동작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시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입을 위해서 상기 모터(311)를 역방향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모터(31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피니언(330)이 역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니언(330)이 역방향으로 회전되면,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의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렉기어 장치(400)과 결합된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로 인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피니언(330)는 상기 이동렉(601)과 제2 고정렉(502)과 제1 고정렉(501)을 순차적으로 지날 수 있다.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후동으로 이동되면, 상기 가이드(50)가 상기 락킹 돌기(723)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50)가 상기 락킹 돌기(723)에 접촉되면, 상기 슬라이더(720)는 상기 가이드(50)에 의해서 전방으로 밀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더(720)는 상기 가이드(50)에 의해서 상기 케이스 홀(711)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720)가 상기 케이스 홀(711)에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홀더(730)와 상기 락킹 부재(740)는 다시 하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슬라이더(720)가 상기 케이스 홀(711)을 따라 최대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락킹 부재(740)의 하강 가이드면(746)이 상기 락킹 부재 하강 가이드면(534a)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730)는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과 상하로 정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홀더(730)의 상기 상측 경사면(731)은 상기 홀더 하강 가이드면(532a)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720)가 상기 케이스 홀(711)을 따라 최대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슬라이더(720)가 상기 케이스 홀(711)의 전단에 접촉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720)와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가이드(50)에 의해서 전방으로 함께 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가이드(50)에 의해서 후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되고, 상기 고정렉 부재(500)만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고정렉 부재(500)를 기준으로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동렉 부재(600)는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단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상기 락킹 부재(740)의 하강 가이드면(746)은 상기 락킹 부재 하강 가이드면(534a)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킹 부재(740)가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740)의 하단이 상기 제2 락킹 부재 관통구(724)의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락킹 돌기(723)와 락킹 부재(740)의 사이에 구속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이동렉 결합부(530)의 내측으로 인입됨에 따라, 상기 홀더(730)의 상기 상측 경사면(731)은 상기 홀더 하강 가이드면(532a)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730)의 하부는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에 다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더(730)는 상기 홀더 관통구(631)와 상기 제2 홀더 삽입홈(725)에 함께 위치되어, 상기 슬라이더(720)와 상기 이동렉 부재(600)를 서로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피니언(330)이 상기 제1 고정렉(501)의 전단부에 위치되면, 상기 서랍 도어(30)가 최대로 인입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를 통해섯 상기 서랍 도어(30)가 최대로 인출된 상태가 확인되면, 상기 모터(311)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상슬된 실시예의 냉장고에 의하면, 상기 서랍 도어(30)를 상기 캐비닛(10)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를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로 정렬할 필요성이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 도어(30)를 상기 캐비닛(10)에 장착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에 장착된 상기 인출입 레일(40)을 연장시켜 상기 인출입 레일(40)의 일측이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 레일(40)의 연장된 일측에 상기 서랍 도어(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를 상기 하부 저장실(12)로 인입시킴으로써,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렉기어(401)와 상기 피니언(330)이 기어 결합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장착을 완료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서랍 도어(30)의 장착 초기에 상기 서랍 도어(30)를 인입시킬 때,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초기 상태이거나 최대 연장 상태일 경우, 상기 가이드(50)의 간섭에 의해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입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잇다.
상세히, 상술된 실시예에의 냉장고에서는, 상기 가이드(50)가 상기 렉기어 장치(400)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이 고정된 구성으로 구비된다.
상기 렉기어 장치(400)와 가이드(50)가 정상적으로 연동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시 상기 가이드(50)가 상기 락킹 돌기(723)와의 접촉시 상기 락킹 부재(740)는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50)가 상기 락킹 돌기(723)와 접촉된 후 상기 슬라이더(720)가 상기 케이스 홀(711)에서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락킹 부재(74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락킹 돌기(723)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50)를 구속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초기 상태이거나 최대 연장 상태일 경우, 상기 락킹 부재(740)는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슬라이더 바디(720)의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락킹 부재(740)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이나,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락킹 돌기(723)와 락킹 부재(740)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가 아닐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50)는 상기 락킹 부재(740)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랍 도어(30)를 인입시킬 경우, 상기 가이드(50)와 락킹 부재(740)의 간섭에 의해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장착시에는 상기 락킹 부재(740)가 상승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렉기어 장치(400)를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로 수동으로 정렬시켜야 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50)가 상기 락킹 돌기(723)와 상기 락킹 부재(740)의 사이에 위치될 때 까지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를 유지시키며 상기 서랍 도어(30)를 인입시켜야 한다.
한편,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상기 서랍 도어(30)에 좌우측으로 한쌍이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한쌍의 렉기어 장치(400)를 모두 동일하게 정렬시켜야 하므로 서랍 도어의 조립성이 다소 떨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상태에 상관없이, 상기 서랍 도어(30)의 장착 초기에 상기 렉기어 장치(400)와 용이하게 정렬될 수 있는 상기 가이드(50)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의 구성 및 상기 하부 저장실(12)에서 가이드가 장착되는 부분을 제외한 모든 구성은 상술된 실시예의 냉장고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번호 및 구성의 명칭을 사용하도록 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가 구비된 하부 저장실을 보인 도면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800)는, 상기 락킹 부재(740)의 후방에 위치된 상태일 때, 상기 락킹 부재(740)와의 접촉에 의해서 하강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장착 초기에 상기 락킹 부재(740)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상기 가이드(800)가 상기 락킹 부재(74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락킹 부재(740)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시 상기 락킹 부재(740)와의 접촉에 의해서 하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800)는, 상기 락킹 돌기(723)와 상기 락킹 부재(740)의 사이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승되어, 상기 락킹 돌기(723)와 상기 락킹 부재(740)의 사이 공간에 정위치 정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80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가이드(800)가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것을 예로들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가이드(80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바닥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80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하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80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바닥면에서 좌우로 이격된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좌측의 상기 가이드(800)는 좌측의 상기 렉기어 장치(400)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의 상기 가이드(800)는 우측의 상기 렉기어 장치(400)에 대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한쌍의 가이드(800)는 상기 한쌍의 렉기어 장치(400)의 락킹 돌기(723)와 락킹 부재(740)의 사이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가이드(80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바닥면 전단부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피니언(330)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피니언(330) 의 측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800)는, 승강 동작되는 가이드 바디(810)와, 상기 가이드 바디(810)를 하부 저장실(12)에 장착시키는 가이드 고정 부재(8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800)는 탄성부재(8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830)는 압축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830)는 상기 가이드 바디(810)가 하강된 상태에서 압축되어, 상기 가이드 바디(810)가 승강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는,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에는 상기 가이드 바디(810)의 일부가 관통하는 가이드 바디 관통구(8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821)는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의 중심부에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는 스크류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서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에는, 체결부재가 결합되는 제1 체결부재 결합부(8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재 결합부(825)는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의 가장 자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체결부재 결합부(825)에는 체결부재의 일단이 관통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부재 결합부(825)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의 가장 자리 영역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바디(810)는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에 승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810)는, 가이드 바디 베이스(811)와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811)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811)는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821)를 관통하지 못하도록,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821)의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811)의 외측 둘레는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821)의 내측 둘레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는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811)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는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811)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내측 영역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는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811)와 단차지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는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812)를 관통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812)에 대응하는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의 외측 둘레는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812)의 내측 둘레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는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의 상하 높이 보다 상하로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바디(810)의 상승시,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는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821)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의 상면 보다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810)가 최대로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811)는,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821) 외측의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의 하면에 접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811)가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에 접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바디(810)의 상승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는 상기 락킹 돌기(723)와 상기 락킹 부재(740)의 사이에 선택적으로 구속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시 상기 고정 장치(700)와의 연동에 의해서 상기 렉기어 장치(400)를 연장 및 단축 동작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810)에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초기 장착시,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가 통과되는 락킹 부재 통과 홈(8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은,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의 상면에서 함몰 형성되되, 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은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의 전면으로 개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는 대략 사각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의 좌우 폭은, 상기 락킹 돌기(723)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는, 상기 슬라이더 바디(721)의 하방으로 돌출된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가 전방에서 삽입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의 전면으로 개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의 좌우 폭은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의 좌우 폭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은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의 전면에서 좌우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내측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의 바닥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의 바닥면에는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가이드 바디 경사면(814)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은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의 전면 및 상면으로 개구되며 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의 좌우 폭은 상기 락킹 돌기(723)의 좌우 폭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예로들어, 락킹 부재 바디(741)의 좌우 폭은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의 좌우 폭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는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에 전방에서 삽입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락킹 돌기(723)는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에 삽입될 수 없으며,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의 외측의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의 전면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장착 초기에 상기 서랍 도어(30)를 인입시킬 때, 상기 락킹 부재(740)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일 경우,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는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에 전방에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 바디(741)는 상기 가이드 바디 경사면(814)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810)를 하방으로 누를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 바디(810)는 상기 락킹 부재(740)에 의해서 눌러져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초기 장착시, 상기 가이드 바디(810)가 상기 락킹 부재(740)와의 연동에 의해서 동작되어, 상기 락킹 부재(740)를 지나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바디(810)는 상기 락킹 돌기(724)와 상기 락킹 부재(740)의 사이 공간에 위치되면,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는 상기 락킹 돌기(724)와 상기 락킹 부재(740)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돌기(724)는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 보다 넓은 좌우 폭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는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 외측의 전면이 상기 락킹 돌기(724)에 접할 수 있다. 즉, 상기 락킹 돌기(724)는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으로 삽입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를 전방에서 구속시킬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의 구성을 하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 장착부를 상방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승강 가이드(8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826)는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826)는 다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821)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810)에는, 승강 가이드 삽입홀(816)가 삽입되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 삽입홀(816)은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811)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삽입홀(816)은 상기 승강 가이드(826)의 수에 대응하는 수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가이드(826)의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를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디(810)는 상기 가이드 삽입홀(816)을 관통한 상기 승강 가이드(826)에 의해서 승강 동작이 안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바디(810)의 승강 동작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가 장착되는 가이드 장착부(8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착부(85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바닥면에서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는 함몰부(8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851)는,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811)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바디(810)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851)에는, 상기 가이드 바디(810)가 승강되는 가이드 승강 공간(85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착부(850)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바닥면에서 상기 함몰부(851)의 둘레에 형성되는 단차부(8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853)는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바닥면에서 상기 함몰부(851)의 둘레를 따라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부(853)에는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의 가장자리 부분이 안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단차부(853)는 상기 함몰부(851)의 깊이 보다는 낮게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의 두께에 대응하는 깊이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가 상기 가이드 장착부(850)에 장착되었을 때,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가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바닥면 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단차부(853)에는 상기 제1 체결부재 결합부(825)를 관통한 체결부재의 일단이 장착되는 제2 체결부재 결합부(85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부재 결합부(855)는 체결부재의 일단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함몰 형성될 수 잇다.
한편, 상기 함몰부(851)의 바닥면에서, 상기 승강 가이드(826)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승강 가이드 결합 돌기(85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가이드(826)의 하면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 결합 돌기(856)가 삽입되는 승강 가이드 홈(82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가 상기 가이드 장착부(8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가이드 결합 돌기(856)는 상기 승강 가이드 홈(826a)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가이드(826)의 상기 함몰부(851)에 고정됨에 따라, 상기 승강 가이드(826)의 강도가 보강되고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830)는 상기 가이드 바디(810)와 상기 함몰부(851)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바디(810)를 탄성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851)의 바닥면에는 상기 탄성부재(830)의 하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2 탄성부재 고정 돌기(85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 고정 돌기(857)는 상기 함몰부(851)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탄성부재 고정 돌기(857)는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탄성부재 고정 돌기(857)는 상기 탄성부재(830)의 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제2 탄성부재 고정 돌기(857)는 상기 탄성부재(830)의 하부 중심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탄성부재 고정 돌기(857)는 상기 탄성부재(830)의 하부를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가이드 바디(810)의 하면에는, 상기 탄성부재(830)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한 제1 탄성부재 고정 돌기(81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 고정 돌기(817)는 상기 가이드 바디(810)의 하면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탄성부재 고정 돌기(817)는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탄성부재 고정 돌기(817)는 상기 탄성부재(830)의 상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적용될 수 있다.
예로들어, 상기 제1 탄성부재 고정 돌기(817)는 상기 탄성부재(830)의 상부 중심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 탄성부재 고정 돌기(817)는 상기 탄성부재(830)의 상부를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 장착부(850)가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하벽에 형성되는 것을 예로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밝혀둔다.
예로들어, 상기 가이드 장착부(850)를 형성하는 별도의 케이스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장착부(850)가 형성된 케이스 부재가 상기 하부 저장실(12)의 하벽에 장착되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서랍 도어(30)의 장착 초기에, 상기 서랍 도어(30)를 인입함으로써, 상기 가이드(800)가 상기 렉기어 장치(400)에 정위치에 정렬되어 결합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 도어의 장착 초기에 서랍 도어의 인입시 가이드의 동작을 보인 하부 저장실 및 서랍 도어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서랍 도어가 완전히 인입된 상태의 하부 저장실 및 서랍 도어의 단면을 보인 도면이다.
상기 서랍 도어(30)를 연장된 상기 인출입 레일(40)에 장착시켜 상기 서랍 도어(30)를 상기 캐비닛(10)에 초기 장착시킬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구비된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일 경우에는, 상기 락킹 부재(740)가 상승된 상태이므로, 상기 락킹 부재(740)와 상기 락킹 돌기(723)의 사이 공간이 후방으로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를 인입시에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820)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가 별도의 동작 없이 상기 락킹 부재(740)와 상기 락킹 돌기(723)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720)가 전방으로 가압되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락킹 부재(740)가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를 상기 락킹 돌기(723)와의 사이에 구속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720)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홀더(730)가 하강되어,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고정렉 부재(500)에 고정된 상태를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720)가 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고정렉 부재(500)로 삽입되어, 상기 렉기어 장치(400)길이가 단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될 경우,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초기 상태가 되고, 상기 렉기어(401)는 상기 피니언(330)에 정위치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의 초기 장착시, 상기 렉기어 장치(400)가 최대 연장 및 고정 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상기 락킹 부재(740)가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상기 락킹 부재(740)와 상기 락킹 돌기(723)의 사이 공간의 후방이 차폐된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서랍 도어(30)를 인입시키게 되면, 상기 락킹 부재(740)가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의 전방에서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에 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에 의해서 상기 락킹 부재(740)가 전방으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이동렉 부재(600)가 상기 고정렉 부재(500)로 삽입되어,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단축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가 상기 락킹 부재(740)와 상기 락킹 돌기(723)의 사이에 정위치 되지 않고 후방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길이가 최대로 단축된 초기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랍 도어(30)를 지속적으로 인입시킬 경우, 상기 락킹 부재(740)는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813)으로 전방에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락킹 부재(740)는 상기 가이드 바디 경사면(814)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810)를 하방으로 누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바디(810)가 하방으로 눌러짐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830)는 압축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810)하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를 완전히 인입시킨 상태가 되면,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가 상기 락킹 부재(740)를 지나친 후, 상기 락킹 부재(740)와 락킹 돌기(723)의 사이 공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바디(812)는 상기 탄성부재(83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승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812)는 상기 락킹 부재(740)와 락킹 돌기(723)의 사이 공간으로 삽입되어 구속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800)는 상기 렉기어 장치(400)에 정위치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렉기어 장치(400)는 초기 상태가 되고, 상기 렉기어(401)는 상기 피니언(330)에 정위치 결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가이드(800)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서랍 도어(30)의 초기 장착시, 상기 렉기어 장치(400)의 상태와 관계없이 상기 서랍 도어(30)를 인입시키는 동작만으로, 상기 렉기어 장치(400)와 상기 가이드(800) 및 상기 피니언(330)을 정위치 정렬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조립성이 크게 개선될 수 있다.

Claims (21)

  1. 저장실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인출입에 의해서 개폐하며,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서랍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고,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서 회전되는 피니언을 포함하며, 상기 서랍 도어의 자동 인출입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상기 서랍 도어에 구비되고, 일면에 상기 피니언과 기어 결합되는 렉기어가 형성되며, 길이가 연장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렉기어의 길이가 연장 가능한 렉기어 장치;
    상기 저장실의 일면에서 돌출되며,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시 상기 렉기어 장치의 일측에 구속되어 상기 렉기어 장치의 일측을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렉기어 장치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동작시키는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렉기어 장치는,
    상기 서랍 도어에 고정되어, 상기 서랍 도어와 함께 인출입되는 고정렉 부재;
    상기 고정렉 부재와 함께 상기 렉기어를 형성하고, 상기 서랍도어의 인출시 상기 가이드에 구속되어 상기 고정렉 부재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고정렉 부재의 후방에 위치되는 이동렉 부재;
    상기 이동렉 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가 구비된 상기 저장실의 일면을 향하여 개구되어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는 가이드 구속 공간을 형성하는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서랍 도어가 완전히 인입되고 상기 렉기어 장치의 길이가 최대로 단축된 초기 상태일 때,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대응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구속공간을 향하여 탄성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은 하방으로 개구되고,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에서 상기 고정장치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구비되며,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에 장착되며, 상하로 관통된 가이드 바디 관통구가 형성되는 가이드 고정 부재;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승시 일부가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저장실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디;
    상기 가이드 바디를 탄성지지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의 하강시 압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바닥면에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고정부재가 장착되는 가이드 장착부;
    상기 가이드 장착부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에 대응하는 위치에 함몰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바디의 승강 공간을 형성하는 함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는,
    상기 가이드 고정 부재와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 사이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속되는 가이드 바디 베이스;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의 상승시,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를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삽입되는 가이드 바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착부에서 상기 함몰부의 상면 둘레를 따라 함몰되어, 상기 가이드 고정부재의 둘레가 수용되어 안착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는,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 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는,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를 관통 가능하도록,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가이드 바디와 상기 함몰부의 바닥면 사이에 구비되는 압축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고정부재의 하면에서 상기 가이드 바디 관통구의 외측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승강 가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 베이스에는 상기 승강 가이드가 삽입되는 승강 가이드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바디의 승강시, 상기 가이드 삽입홀이 상기 승강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바디의 승강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가이드 바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는,
    상기 서랍 도어의 초기 장착 및 인입시, 상기 가이드 바디 경사면이 상기 고정장치의 일측에 접촉되어 눌러짐에 따라 하강되고,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위치되면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승되어,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이동렉 부재의 하방으로 돌출되는 락킹 돌기;
    상기 락킹 돌기의 후방에서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락킹 돌기와의 사이에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을 형성하는 락킹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도어의 초기 장착 및 인입시, 상기 락킹 부재가 상기 가이드 바디 경사면에 전방에서 접촉하며, 상기 락킹 부재가 상기 가이드 바디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를 하방으로 누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의 상면 및 전면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서랍 도어의 초기 장착 및 인입시 상기 락킹 부재가 전방에서 삽입되는 락킹 부재 통과 홈;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바디 경사면은, 상기 락킹 부재 통과홈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돌기의 좌우 폭은 상기 락킹 부재의 좌우 폭 보다 더 크게 형성되고, 락킹 부재 통과 홈은 상기 락킹 부재의 좌우 폭에 대응하는 좌우 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돌기는,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 부재 통과 홈의 외측의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의 전면에 접하여,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를 전방에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가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를 후방에서 구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시 상기 렉기어 장치가 최대로 연장된 상태가 되면,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의 구속을 해제하여, 상기 렉기어 장치가 상기 서랍 도어와 함께 인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상기 이동렉 부재의 하면에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며,
    상기 락킹 돌기는 상기 슬라이더의 하면 전단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의해서 승강 동작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시 상기 렉기어 장치가 최대로 연장된 상태가 되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의 후방이 개방되도록 하여 상기 가이드 바디 돌출부의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 도어의 인출시 상기 렉기어 장치가 최대로 연장된 상태가 되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가이드 구속 공간에 구속된 상기 가이드에 의해서 당겨져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 이동에 의해서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가이드의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와 이동렉 부재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상기 렉기어 장치는,
    상기 고정렉 부재의 일측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이동렉 부재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이동렉 장착부;
    상기 이동렉 장착부의 후반부에 형성되며, 상기 락킹 부재가 상기 슬라이더의 내측으로 인입되었을 때 상기 락킹 부재의 상부를 수용하는 락킹 부재 삽입홈;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락킹 부재 하강 가이드면;
    상기 이동렉 부재의 전반부에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 장치 장착부;
    상기 고정 장치 장착부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렉 장착부로 부터 최대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락킹 부재 삽입홈과 대응하도록 위치되는 제1 락킹 부재 관통구;
    상기 제1 락킹 부재 관통구에 형성되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진 락킹 부재 상승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 부재는 상기 슬라이더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락킹 부재 상승 가이드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승되고,
    상기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렉 부재가 상기 고정렉 부재로 인입될 때, 상기 락킹 부재 하강 가이드면에 의해서 안내되어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80102950A 2018-08-30 2018-08-30 냉장고 KR1025807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950A KR102580773B1 (ko) 2018-08-30 2018-08-30 냉장고
EP19194337.2A EP3627081B1 (en) 2018-08-30 2019-08-29 Refrigerator
US16/557,332 US11333432B2 (en) 2018-08-30 2019-08-30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950A KR102580773B1 (ko) 2018-08-30 2018-08-30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507A KR20200025507A (ko) 2020-03-10
KR102580773B1 true KR102580773B1 (ko) 2023-09-20

Family

ID=678093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950A KR102580773B1 (ko) 2018-08-30 2018-08-30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333432B2 (ko)
EP (1) EP3627081B1 (ko)
KR (1) KR10258077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883B1 (ko) * 2018-12-28 2023-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7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4A (ko)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38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6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2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7641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7639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8707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08709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61708A (ko) * 2019-11-20 2021-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8911A (ja) * 2008-03-19 2009-10-08 Toshiba Corp 冷蔵庫
CN203132259U (zh) 2013-01-05 2013-08-14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电动抽屉组件及具有它的冰箱
JP2015166664A (ja) 2014-03-04 2015-09-24 ハイアールアジア株式会社 冷蔵庫
CN206724564U (zh) 2017-05-25 2017-12-08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冷冻门体的自动开关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7404A (en) * 1911-01-19 1913-07-15 William T Callaghan Extension drawer-slide.
US1902795A (en) * 1930-08-30 1933-03-21 Remington Rand Inc Drawer suspension
KR20040025316A (ko) * 2002-09-19 2004-03-24 삼성전자주식회사 서랍식 냉장고
KR100590332B1 (ko) * 2004-07-22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 냉장고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743752B1 (ko) * 2005-04-07 2007-07-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냉장고의 바스켓 이탈 방지구
US7527342B2 (en) * 2005-05-04 2009-05-05 Royal Hardware, Inc. Drawer stabilizer and self-closer mechanism
KR100833322B1 (ko) * 2006-10-13 2008-05-28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식 저장실의 레일 장치
KR101532796B1 (ko) * 2008-03-26 2015-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436640B1 (ko) 2008-03-26 2014-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592571B1 (ko) * 2009-03-20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DE202009016105U1 (de) * 2009-07-06 2010-12-02 Paul Hettich Gmbh & Co. Kg Synchronführung eine Schubelements und Möbel
KR20110024883A (ko) * 2009-09-03 2011-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039367B1 (ko) * 2009-09-07 2011-06-08 주식회사 동오테크놀러지 냉장고 도어 자동 개폐장치
KR101580447B1 (ko) * 2009-10-26 201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 도어 닫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WO2013138827A1 (de) * 2012-03-23 2013-09-26 Fulterer Gesellschaft Mbh Zahntragender körper
KR101896468B1 (ko) * 2013-09-02 2018-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9982937B2 (en) * 2015-08-20 2018-05-29 Dometic Sweden Ab Appliance with geared drawer assembly
KR102491227B1 (ko) * 2016-04-01 2023-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KR20160099523A (ko) * 2016-08-10 201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E102016221940A1 (de) * 2016-11-09 2018-05-09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evorrichtung
KR102595327B1 (ko) * 2018-08-30 202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28911A (ja) * 2008-03-19 2009-10-08 Toshiba Corp 冷蔵庫
CN203132259U (zh) 2013-01-05 2013-08-14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电动抽屉组件及具有它的冰箱
JP2015166664A (ja) 2014-03-04 2015-09-24 ハイアールアジア株式会社 冷蔵庫
CN206724564U (zh) 2017-05-25 2017-12-08 合肥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冰箱冷冻门体的自动开关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27081A1 (en) 2020-03-25
US20200072540A1 (en) 2020-03-05
KR20200025507A (ko) 2020-03-10
EP3627081B1 (en) 2021-03-10
US11333432B2 (en) 2022-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5327B1 (ko) 냉장고
KR102580773B1 (ko) 냉장고
KR102640307B1 (ko) 냉장고
KR102580774B1 (ko) 냉장고
KR102658254B1 (ko) 냉장고
KR102625266B1 (ko) 냉장고
EP3546862A1 (en) Refrigerator
KR102640808B1 (ko) 냉장고
KR20210007645A (ko) 냉장고
KR102596480B1 (ko) 냉장고
KR102586889B1 (ko) 냉장고
KR20210007644A (ko) 냉장고
KR102617684B1 (ko) 냉장고
KR102510854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