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480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480B1
KR102596480B1 KR1020180125328A KR20180125328A KR102596480B1 KR 102596480 B1 KR102596480 B1 KR 102596480B1 KR 1020180125328 A KR1020180125328 A KR 1020180125328A KR 20180125328 A KR20180125328 A KR 20180125328A KR 102596480 B1 KR102596480 B1 KR 1025964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awer
lifting device
unit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5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4495A (ko
Inventor
이성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5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480B1/ko
Priority to EP19872665.5A priority patent/EP3867582A4/en
Priority to CN201980067701.8A priority patent/CN112867902B/zh
Priority to US17/285,402 priority patent/US11573050B2/en
Priority to PCT/KR2019/013634 priority patent/WO2020080841A1/en
Publication of KR202000444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44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4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와,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서랍부를 포함하는 도어;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서랍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며, 상하 이동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로어 프레임; 상기 로어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는 어퍼 프레임; 상기 로어 프레임과 상기 어퍼 프레임을 연결하는 시저 어셈블리; 및 상기 로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는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며, 상기 시저 어셈블리가 연결되는 스크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냉장고 도어는 회동에 의해 저장공간이 개폐되는 회동식 도어와, 서랍식으로 인출입 되는 서랍식 도어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식 도어는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서랍식 도어가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서랍식 도어 내부에 수용된 바스켓 또는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야 하며, 상기 바스켓 또는 식품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바스켓을 보다 사용에 불편을 느끼거나 부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랍식 도어가 승강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등록특허 US9,377,238호에는 냉장실에 구비되는 빈의 승강을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이 구비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승강을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이 빈의 외측에 배치되고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안전상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리프팅 메카니즘의 구조로 인해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구동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동부 동작시의 소음이 외부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이 고내측에 배치됨으로써 고내 저장용량이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냉장고의 저장 용량 손실로 저장 효율을 매우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이 고내측에 모두 제공되어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의 서비스를 위해서는 상기 도어의 분리 및 리프팅 메커니즘의 분리가 필요하여 서비스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의 구동부는 시져 서포트 어셈블리의 일단을 밀어서 상기 빈을 승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크기가 큰 빈 구조 또는 빈의 내부에 무게가 무거운 물건이 배치된 경우에는 승강을 위한 충분한 힘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동부의 모터 크기를 늘릴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고내 용적 손실과 소음이 더욱 커지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은 구동부의 배치 위치로 인해 빈의 전체 바닥면 중 일측을 지지하게 되며, 따라서 빈에 저장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편하중이 발생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작용되는 편하중으로 인해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승강 동작 또한 원활하게 이루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은 상기 빈 전체가 승강 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빈이 승강 되기 위해서는 상기 빈이 냉장고의 저장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밖으로 인출되어야 하며, 승강시 간섭되지 않기 위해 상부의 도어 및 냉장고 본체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까지 인출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부의 내부에 승강을 위한 전기적 장치가 제공되고, 도어 외측의 서랍에 서랍부의 승강을 위한 기계적 장치가 각각 제공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부의 승강을 위한 구성의 노출을 방지하여 외관을 개선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부의 승강시 편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승강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승강장치의 부피를 줄임으로써, 서랍부 내부의 부피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와,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서랍부를 포함하는 도어;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어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서랍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며, 상하 이동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로어 프레임; 상기 로어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는 어퍼 프레임; 상기 로어 프레임과 상기 어퍼 프레임을 연결하는 시저 어셈블리; 및 상기 로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는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며, 상기 시저 어셈블리가 연결되는 스크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전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가 상기 한 쌍의 전달 유닛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복수의 어퍼 프레임에 안착되는 지지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전달 기어와, 상기 복수의 전달 기어 중 최종 기어에 연결되는 샤프트 구동 기어와,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의 축선의 연장 방향은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의 축선의 연장 방향과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전달 유닛은,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제 1 유닛 기어와, 상기 제 1 유닛 기어와 연결되는 제 2 유닛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닛 기어의 축선은 상기 제 2 유닛 기어의 축선과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닛 기어와 상기 스크류를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로어 프레임을 관통하여 상기 스크류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는 상기 커넥터가 관통하기 위한 서랍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시저 어셈블리는, 복수의 제 1 로드와,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와 교차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의 일단은 상기 로어 프레임의 제 1 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스크류의 타단은 상기 제 1 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벽을 통해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스크류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가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에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의 제 1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의 제 2 단부는 상기 로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가동부의 양측에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2 벽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 3 벽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제 1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롯은 상기 스크류의 연장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 2 벽과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의 제 1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는 상기 지지 샤프트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의 제 2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어퍼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 샤프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은 상기 가동 샤프트가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이 최하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프레임은 상기 로어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시저 어셈블리는,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와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를 연결하는 연결 샤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 및 상기 로어 프레임 각각에는 상기 어퍼 프레임이 상기 로어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샤프트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서랍 도어 내부의 수납 공간의 일부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방에 배치되는 서랍 도어 내부의 식품의 수납시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무게가 무거운 식품 또는 식품이 수납된 용기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많은 힘을 주어 식품 또는 용기를 들어올려야 하지만, 서랍 도어 내부의 승강장치가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사용이 편리한 위치까지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사용상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장치로 구성된 구동장치는 도어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승강을 위한 승강장치는 서랍부 내측에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구동장치 및 승강장치가 모두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 안정성을 확보하고 외관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기 장치로 구성된 구동장치는 도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가 도어 내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소음이 차단되어 사용중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전체 구성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구동장치가 상기 도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랍부의 저장 용량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장치또는 하강된 상태에서는 컴팩트하게 접히고 수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고내 저장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승강장치 내부에 회전 동작하는 스크류가 존재하고, 스크류의 회전시 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가동부에 의해서 승강장치가 승강될 수 있으므로, 승강장치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승강장치의 부피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서랍부의 전방 일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가 완전히 외부로 노출될 정도로 인출되지 않아도 승강시 상방의 도어 또는 캐비닛에 간섭되지 않고 승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게가 무거운 서랍도어의 과도한 인출시 발생되는 처짐이나 내구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서랍의 과도한 인출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의 손실 또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서랍의 전체가 아닌 일부가 승강되는 구조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승강 구조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고 경량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저장 용량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간결한 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하부 서랍 도어의 승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리된 사시도.
도 4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서랍부와 도어부가 분리된 모습을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어부의 후면 사시도.
도 6은 상기 구동장치에 승강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달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의 승강장치의 어퍼 프레임이 소정 높이로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4의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
도 13은 상기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하부 서랍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상기 서랍 도어의 용기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
도 16은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용기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
도 17은 승강장치의 어퍼 프레임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하부 서랍 도어의 승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는 도어(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10) 상부의 공간(11)은 냉장실로, 하부의 공간(12)은 냉동실로 구획될 수 있다. 물론, 상부의 공간과 하부의 공간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아닌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2)는 회전에 의해 상부 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하부 공간을 서랍식으로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서랍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은 다시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부 서랍 도어(30a)와 하부 서랍 도어(3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는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전면으로 노츨되는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가 함께 배치되는 냉장고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는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 도어라 부를 수 있고, 상기 서랍 도어(30)는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 도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회전 도어(20)의 전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조 또는 88세그먼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의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미세한 홀이 다수개 타공되어 투과되는 빛에 의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도어(2) 또는 하부 도어(2)의 자동 회전 또는 인출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디스플레이(21)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터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한 명령을 조작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또는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에도 조작부(30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 중 가장 하부에 위치된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일측에 상기 조작부(3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01)는 터치 또는 버튼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301)는 사용자의 근접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의해 조작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하부 서랍 도어(30b)의 하단에 조작장치(302)가 구비되어 영상을 바닥면에 조사하여 가상의 스위치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조작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상기 조작부(301)의 조작에 따라서 자동으로 인출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내부에 구비되는 식품 또는 용기가 승강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다수의 조작을 위한 장치들(22,301,302, 3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자동 인출입 및/또는 자동 승강이 조작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조작을 위한 장치들(22,301,302, 303)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하부 서랍 도어(30b)의 전면 하부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311a)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311a)에는 조작장치(30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302)는 영상의 출력이 가능한 프로젝터 라이트 그리고 근접 센서 등을 포함하여 가상 스위치를 이미지 형태로 바닥에 투사하고 근접 센서에 의해 이를 감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장치(302)는 단순히 근접 센서 만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302)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자동 인출입 및/또는 승강을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서랍 도어(30b)의 상면에 조작장치(302)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 상면에 조작장치(302)가 구비되는 경우 하부 서랍 도어(30b)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조작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조작장치(302)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승강 조작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 장치들(22,301,302, 303)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및 승강에 이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조작 장치들(22,301,302, 303)의 조작 조합 또는 순차적인 조작에 따라 인출입과 승강이 조작될 수도 있다.
하부 서랍 도어(30b)의 내부에 수납된 식품의 수납을 위해서는 하부 서랍 도어(30b)를 전방으로 인출시킨 후,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 내부의 용기(36)가 승강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36)는 소정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용기(36)는 후술할 승강장치(80)에 안착되므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상기 승강장치(80)의 높이에 상기 용기(36)의 높이가 더하여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사용자가 상기 용기(36)로의 접근 또는 상기 용기(36)를 들어올리기 매우 용이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326)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입시 서랍부(32)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36)의 형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전방 공간(S1)의 크기와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에도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가장 하방에 배치된 서랍 도어(30) 내부의 식품 또는 용기(36)를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리고 사용할 수 있다.
하부 서랍 도어(30b)는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인출입 모터(14) 및 피니언(141)과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하면에 구비되는 인출입 랙(34)에 의해 자동으로 전후방 인출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 내부의 용기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에 구비되는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 및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동작을 위한 구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를 서랍 도어 또는 도어라 부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도어의 개수와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부의 저장 공간에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4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서랍부와 도어부가 분리된 모습을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30b)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31)와, 상기 도어부(31)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부(31)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 내측에 배치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함께 인출입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 위치되며, 저장을 위한 식품 또는 용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외부는 다수의 플레이트들(도 12의 391,392,395 참조)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외부는 물론 내부에도 구비되어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스테인레스 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b)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b)의 후방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3)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후반부는 상단이 하단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후면은 경사면(3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에는 상기 도어(30b)의 인출입을 안내할 수 있는 인출입 레일(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도어(30b)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 가능한 레일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에는 레일 브라켓(331)이 구비되며, 상기 레일 브라켓(331)은 상기 인출입 레일(33)의 일측에서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브라켓(331)은 고내측 벽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서랍부(32) 즉, 상기 도어(30b)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되며 언더 레일(under rail)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은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과 연계되어 상기 도어(30b)의 자동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조작부(22,301)의 조작 입력시 상기 인출입 모터(14)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30b)는 상기 인출입 랙(34)의 이동에 따라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도어(30)의 안정적인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서랍부(32)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부(31)의 일측을 잡고 밀거나 당겨서 상기 도어(30b)를 직접 인출입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전방 공간(S1)에는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장치(80)와,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되어 상기 승강장치(80)와 함께 승강되는 용기(3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는 상부가 개방된 바스켓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김치통과 같은 밀폐형 상자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다수개가 적층되거나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30b)의 인출시 상기 도어(30b)의 인출 거리의 제한으로 상기 서랍부(32)의 전체가 상기 저장공간의 밖으로 인출될 수는 없으며, 적어도 상기 전방 공간(S1)이 상기 저장공간 밖으로 인출되고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도어(30b)의 인출 거리가 상기 인출입 랙(34) 또는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인출 거리가 길어질수록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b)에 가해지는 모멘트가 커지게 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상기 인출입 레일(33) 또는 인출입 랙(34)의 변형 또는 파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전방 공간(S1)의 내부에는 승강장치(80)와 용기(36)가 수용되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가 함께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용기(36)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36)의 장착시 상기 용기(36)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가 가려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어떠한 구성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서랍 커버(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상기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면과 상면은 차폐되어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서랍 커버(37)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후방 공간(S2)으로 접근 가능하게 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에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후방 공간(S2)의 활용을 위해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포켓 또는 후방 공간의 형상과 대응하는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전체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승강장치(80)는 간단히 분리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서랍 커버(37)를 분리하여 상기 서랍부(32) 내부 공간 전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외관은 플레이트들(도 12의 391,392,395참조)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에 장착되는 구성들을 차폐하여 외부와 내부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들(도 12의 391,392,395참조)은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보다 고급스럽고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30b)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 가능한 구조를 통해서 조립 작업성과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배면과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구동장치(도 6의 40참조)는 상기 도어부(3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는 구동장치(도 6의 40참조)는 전원의 입력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들과 동력을 상기 승강장치(8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도 6의 40참조)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상기 도어부(31)를 분리하여 조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만을 교체하여 간단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도어 프레임(316)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부(31)에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316a)와, 상기 도어 결합부(316a)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서랍 결합부(316b)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결합부(316a)는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와 결합될 수도 있으며, 간단한 결합 구조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의 일측과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서랍부(32)의 양측에 삽입되되 상기 인출입 레일(33)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결합부(316a)가 상기 도어부(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서랍부(32)에 삽입되어 상기 서랍부(32)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서랍부(32)와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거나, 서로 형합되는 구조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서랍부(32) 전면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일부가 노출되는 서랍 개구(3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저장 공간을 실질적으로 개폐하고 동시에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부(31)는 전면과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311)와,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14),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데코(312) 및 로어 데코(313)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311)와 도어 라이너(314) 사이의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는 단열재(미도시)가 채워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30b)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와 및 상기 구동 어셈블리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도어부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구동장치에 승강장치가 연결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터 어셈블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달 유닛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아웃 케이스(311)에 의해 전면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 의해 배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의 내측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동작을 위한 구동장치(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 배치되지만, 상기 단열재의 내부에 매립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도어 라이너(314)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커버(315)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웃 케이스(311)와 상기 도어 라이너(314)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공간(12) 내부를 단열시킨다.
상기 구동장치(40)는, 모터 어셈블리(50)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50)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전달 유닛(6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전달 유닛(60)에 승강장치(80)가 연결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승강장치(80)가 상기 서랍부(32)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50)는, 구동 모터(51)와, 상기 구동 모터(51)의 동력을 상기 각 전달 유닛(60)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1)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역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 신호가 입력되면 정역회전되어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51)의 부하 또는 센서의 감지에 의한 정지신호의 입력시 정지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 모터(51)의 축에 연결되는 제 1 기어(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1 기어(52)의 하측에서 상기 제 1 기어(52)에 맞물리는 제 2 기어(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어(53)는 직경이 다른 두 개의 부분을 가지는 다단 기어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기어(53)에서 직경이 큰 부분이 상기 제 1 기어(52)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2 기어(53)에서 직경이 작은 부분과 맞물리는 제 3 기어(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기어(54)는 직경이 다른 두 개의 부분을 가지는 다단 기어일 수 있다. 상기 제 3 기어(54)에서 직경이 큰 부분이 상기 제 2 기어(53)와 맞물릴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3 기어(54)와 맞물리는 제 4 기어(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기어(55)는 상기 제 3 기어(54)에서 직경이 작은 부분과 맞물릴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4 기어(55)와 맞물리는 제 5 기어(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5 기어(56)는, 제 1 부분(56a)과, 상기 제 1 부분(56a)과 다른 기어 형태를 가지는 제 2 부분(56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56a)은 일 예로 평기어일 수 있고, 상기 제 2 부분(56b)은 베벨 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 또는 웜 기어일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제 2 부분(56b)과 맞물리는 샤프트 구동 기어(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기어 내지 제 5 기어(52 내지 56)를 전달 기어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5 기어(56)를 복수의 전달 기어 중 최종 기어라 이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 모터(51)의 동력이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57)로 제 1 기어 내지 제 5 기어(52 내지 56)를 통해서 전달되나,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 모터(51)의 동력을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57)로 전달하기 위한 기어의 갯수 및 기어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다만, 상기 구동 모터(51)의 축선의 연장 방향과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57)의 축선의 연장 방향은 다를 수 있으며, 일 예로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57)는 샤프트 슬리브(58)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슬리브(58)는 일 예로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57)를 관통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57)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57)의 양측에는 샤프트(59)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 들 중에서 상기 샤프트(59)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하우징(50a) 내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59)는 상기 하우징(50a)의 양측으로 돌출 및 연장되어, 상기 전달 유닛(6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달 유닛(60)은, 상기 샤프트(59)와 연결되는 제 1 유닛 기어(62)와, 상기 제 1 유닛 기어(62)와 맞물리는 제 2 유닛 기어(63)와, 상기 제 1 유닛 기어(62) 및 상기 제 2 유닛 기어(63)를 수용하는 유닛 하우징(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닛 기어(62)와 상기 제 2 유닛 기어(63)는 동력 전달 방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유닛 기어(62)와 상기 제 2 유닛(63) 기어는, 베벨 기어 또는 웜 기어 또는 헬리컬 기어 일 수 있다.
상기 제 1 유닛 기어(62)의 축선은 일 예로 좌우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제 2 유닛 기어(63)의 축선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유닛(62)의 축선은 상기 제 2 유닛 기어(63)의 축선과 교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유닛 기어(63)의 축(63a)에는 커넥터(64)가 연결되고, 상기 커넥터(64)에 후술할 승강장치(80)의 스크류(83)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83)는 상기 커넥터(64)에 의해서 상기 제 2 유닛 기어(63)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64)는 상기 서랍 개구(35)를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64)에 의해서 상기 도어부(31) 내의 구동장치(40)의 구동력이 상기 서랍부(32) 내의 승강장치(8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승강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승강장치의 어퍼 프레임이 소정 높이로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장치(80)는, 로어 프레임(81)과, 상기 로어 프레임(81)의 상측에 위치되는 어퍼 프레임(82)과, 상기 로어 프레임(81)과 상기 어퍼 프레임(82)을 연결하는 시저 어셈블리(8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81)은 일 예로 상측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어 프레임(81)의 하측은 개구되거나 막힐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81)은 상기 서랍부(32)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프레임(81) 내부에 상기 스크류(83)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83)의 일단은 상기 로어 프레임(81)의 제 1 벽(81c)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커넥터(6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64)는 상기 제 1 벽(81c)과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제 2 벽(81d)을 관통하여 상기 로어 프레임(61)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스크류(83)와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스크류(83)의 일부가 상기 제 2 벽(81d)을 관통하여 상기 커넥터(6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스크류(83)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가동부(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류(83)는 상기 가동부(85)를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가동부(85)는 상기 스크류(83)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83)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83)의 길이 방향은 일 예로 상기 서랍부(32)의 전후 방향일 수 있다.
상기 가동부(85)의 양측에는 가이드 돌기(8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81)에서 상기 제 1 벽(81c)과 제 2 벽(81d)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 3 벽(81c)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85a)가 삽입되는 제 1 슬롯(81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85a)가 상기 제 1 슬롯(81a) 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슬롯(81a)은 상기 스크류(83)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저 어셈블리(87)는, 상기 로어 프레임(8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제 1 로드(871, 872)와, 상기 어퍼 프레임(8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복수의 제 2 로드(874, 87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841, 842)는 서로 이격된 상태 및 평행한 상태로 상기 로어 프레임(8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81)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841, 8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지지 샤프트(8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샤프트(84)는 상기 로어 프레임(81)에서 상기 제 2 벽(81d)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으며,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제 3 벽(81e)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83)는 상기 지지 샤프트(84)를 관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 샤프트(84)의 내경은 상기 스크류(83)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83)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지지 샤프트(84)는 상기 로어 프레임(81)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841, 842)는 상기 로어 프레임(81)의 공간 내에서 상기 지지 샤프트(8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841, 842)의 제 1 단부가 상기 제 1 지지 샤프트(8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841, 842) 간의 간격은 상기 스크류(83)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871, 872) 사이에 상기 스크류(83)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871, 872)에서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단부에는 가동 샤프트(876)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동 샤프트(876)는 상기 어퍼 프레임(82)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82)에는 상기 가동 샤프트(876)가 삽입되는 제 2 슬롯(82a)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동 샤프트(876)가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871, 872)를 관통한 후에 상기 제 2 슬롯(82a)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가동 샤프트(876)가 상기 제 2 슬롯(82a) 내에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슬롯(82a)은 상기 스크류(83)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874, 875)는 서로 이격된 상태 및 평행한 상태로 상기 어퍼 프레임(82)에 연결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874, 875) 사이 영역에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871, 872)가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871, 872) 사이에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874, 875)가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874, 875)의 제 1 단부는 상기 가동부(85)의 가이드 돌기(85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가이드 돌기(85a)가 상기 각 제 2 로드(874, 875)를 통과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슬롯(81a)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874, 875) 간의 간격은 상기 스크류(83)의 외경 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874, 875) 사이에 상기 스크류(83)의 적어도 일부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874, 875)에서 상기 제 1 단부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단부에는 고정 샤프트(877)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샤프트(877)는 상기 어퍼 프레임(82)에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874, 875)의 제 2 단부가 상기 고정 샤프트(877)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871, 872)와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874, 875)는 연결 샤프트(878)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871, 875)와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874, 875)가 교차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샤프트(878)가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871, 875)와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874, 875)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최하측으로 하강한 상태(승강장치(80)가 최하측으로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상기 로어 프레임(8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높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상기 로어 프레임(8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샤프트(878)와 간섭이 방지되도록 상기 로어 프레임(81) 및 어퍼 프레임(82) 각각은 상기 연결 샤프트(878)가 수용되는 수용홈(81b, 82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2는 도 4의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서랍 본체(38)와,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및 식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80) 및 상기 서랍부(32)의 내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을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 본체(38)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한다. 상기 서랍 본체(38)는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으로 내부에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후면은 경사면(321)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기계실(3)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양측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양측 또는 좌우 양측면 하부의 프레임 장착부(38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316)이 상기 서랍부(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32)와 도어부(31)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인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과 상기 서랍부(32)는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한 결합 구조 또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과 상기 서랍부(32) 사이의 형합 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좌우 양측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에 의해 상기 서랍부(32)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 랙(34)은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상기 피니언 기어(141)가 회전하여 상기 인출입 랙(34)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가 인출입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30)가 자동 인출입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30)를 밀거나 당겨서 인출입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인출입 랙(34)이 생략되고,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서만 인출입이 안내될 수도 이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인출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인출입 레일(33)이 장착되는 레일 장착부(3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장착부(382)는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되는 레일로, 일단이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저장공간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레일 장착부(382)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30)의 인출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본체(38)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판상의 금속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외장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 본체(38) 외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양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특히,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에 장착되는 도어 프레임(316) 및 인출입 레일(33) 등의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외측면 양측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384)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다수의 보강 리브(384)가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84)는 상기 서랍 본체(38)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의 구비로 증가된 상기 도어의 중량에 대해 상기 서랍 본체(38)가 보다 견고하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리브(384)는 양측면에 장착되는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와 접촉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외관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랍 본체(38) 내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며, 내측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이너 플레이트(39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 전면과 하면 및 후면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전면부(395a), 하면부(395b), 후면부(395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가 절곡 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를 구성하는 상기 전면부(395a), 하면부(395b) 및 후면부(395c)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거나 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에 의해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 전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은 금속 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내측의 수납 공간은 전체적으로 금속 질감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전체적으로 보다 고른 영역에서 차갑게 저장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냉각 성능 및 저장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서랍 커버(37)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를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구획하는 커버 전면부(371)와, 상기 커버 전면부(371)의 상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 상면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커버(37)의 장착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장치(80)가 배치되는 상기 전방 공간(S1)만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공간(S2)은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승강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구동장치(40)와 연결되어 상하 승강 가능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며, 좌우 양측이 균일하게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구동장치(40)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하부에는 서랍 개구(3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80)는 시저 타입으로 구성되어 하강된 상태에서는 접혀진 상태가 되고, 상승된 상태에서는 펼쳐지게 되어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용기 또는 식품이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는 서포트 플레이트(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는 상기 용기(36)의 안착 면 또는 식품이 안착되는 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가 상기 서랍부(32) 내에서 한 쌍의 어퍼 프레임(82)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에 의해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개구(35)의 높이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상단 즉,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상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어떠한 상태에서도 상기 서랍 개구(35)가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으로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는 전방 공간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전방 공간(S1)의 하방에 구비되는 상기 승강장치(80)로 이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승강장치(80)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의 도어(30b)가 인출입 및 승강되는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상기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는 식품의 저장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20)와 도어(30)가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30)를 인출입하여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30)는 상방과 하방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회전 도어(20) 또는 도어(30)의 전면에 구비된 조작부(301)를 터치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 하단에 구비되는 조작 장치(302)에 의한 개방 조작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와 조작 장치(302)가 각각 상기 도어(30)의 인출입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개별적으로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상기 도어(30)의 손잡이를 잡고 개방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도어(30) 중 하부 서랍 도어(30 b)를 개방 및 승강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방과 하방의 도어(30)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인출입 및 승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하부 서랍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상기 서랍 도어의 용기가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 조작에 따라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연장되면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사용자가 직접 당겨서 개방하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인출입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인출입 랙(34)은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인출입 된다.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적어도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전방 공간(S1)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는 거리까지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상기 용기 또는 식품이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도어들(20,30) 또는 상기 캐비닛(1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입 거리는 상기 캐비닛(10) 및/또는 하부 서랍 도어(30b)에 배치되는 인출입 감지장치(15)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완전히 인출되거나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자석(389)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의 바닥에 자석(389)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0)에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 그리고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에 의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입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완전히 인입되는 위치와 인출되는 위치에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회전수를 카운팅하거나, 상기 도어부(31) 배면과 상기 캐비닛(10) 전단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에 의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51)가 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80)가 작동 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충분히 인출되어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의 안전한 승강이 보장되는 상황에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하부 서랍 도어(30b)가 인출되어 상기 전방 공간(S1)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작동하여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용기(36) 또는 저장된 식품이 다른 도어들(20,30) 또는 캐비닛(1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인출된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승강을 위해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 공간(S1)이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외측으로 완전히 인출된 상태여야만 한다.
특히, 상기 전방 공간(S1)의 후단(L1)은 상기 캐비닛(10) 또는 상방의 도어(20) 전단(L2)보다 더 인출된 상태가 되어야 하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상기 캐비닛(10) 또는 상방의 도어(20) 전단(L2)보다는 더 전방에 위치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가 구동되기 위해 인출될 때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완전히 인출되지 않고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간섭을 피하기 위한 위치까지만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랍부(32)의 후방 공간(S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서랍부(32)의 후단(L3)은 적어도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를 포함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 자체의 무게에 더하여 수납물의 무게까지 더하여진 상태에서도 상기 인출입 레일(33) 또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 자체의 처짐이나 파손이 없이 안정적인 인출입과 승강 동작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완전한 인출이 확인된 상태에서 상승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안전 및 저장된 식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이 확인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승강장치(80)의 작동이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 후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장치(80)의 작동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어(30)의 인출을 위해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작동을 위해 상기 조작부(301)를 재차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장치(80)가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도 14에서와 같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가 될 때까지 상기 구동장치(40) 및 승강장치(80)는 동작되지 않게 되며, 상기 승강장치(80)는 가장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6은 상기 하부 서랍 도어의 용기가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16과 같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의 인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장치(40)가 동작되고,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에 의해 도 16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은 상기 시저 어셈블리(87)에 의해서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상승하는 것을 의미하고,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은 상기 시저 어셈블리(87)에 의해서 어퍼 프레임(82)이 하강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승강장치(80)와 연결된 상태이며,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로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 개시와 함께 상기 승강장치(80)로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승을 시작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80)는 지속적으로 상승되고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높이로 상승되면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과도하게 숙이지 않고도 식품 또는 용기(36)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 모터(51)의 구동이 정지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장치(8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높이 감지장치(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최대 높이와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승강장치(80)의 최저 높이 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자석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에 구비되는 자석을 감지하여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스위치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장치(80)가 최대 상승된 상태에서 스위치를 온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80)가 최대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51)는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 내측에 위치하지만,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이나 용기(36)는 상기 서랍부(32)의 개구된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용이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용기(36)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위해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80)가 최대 상승된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구동장치(40)의 구동에 의해 상승되며, 적어도 상기 서랍부(32)의 상단보다는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구동 장치(80)에는 상기 용기(36)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용기(36)를 기준으로 본다면, 상기 용기(36)의 상단(H1)은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상단(H2)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될 수 있다. 이때의 높이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손을 뻗어 상기 용기(36)를 들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사용에 가장 적합한 높이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서 승강되는 구조를 가지지만, 상기 승강장치(80)에 상기 용기(36)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36)가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식품 수납 작업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장치(8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은 상기 구동 모터(51)의 역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통해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가 하강 완료되면 도 14과 같은 상태가 되며,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완료는 상기 높이 감지장치(1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승강장치(80)가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승강장치(80)에 구비된 자석을 감지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장치(40)는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51)의 정지 후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닫힐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닫힐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b)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 13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7은 승강장치의 어퍼 프레임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모터(51)가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구동 모터(51)의 동력이 복수의 기어(52, 53, 54, 55, 56)를 통해 샤프트 구동 기어(57)로 전달된다.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57)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57) 양측의 샤프트(59)가 회전된다. 양측의 샤프트(59)의 회전에 의해서 한 쌍의 승강장치(80)로 상기 구동모터(51)의 동력이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59)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1 유닛 기어(62)가 회전되고, 상기 제 1 유닛 기어(62)와 맞물린 제 2 유닛 기어(63)에 의해서 동력 전달 방향이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유닛 기어(63)에 연결된 커넥터(64)를 통해 상기 스크류(83)로 회전력이 전달되어 상기 스크류(83)가 회전된다.
상기 승강장치(80)가 최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부(85)는 상기 커넥터(64)와 가장 먼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가동부(85)는 상기 로어 프레임(81)이 제 1 벽(81c)과 접촉하거나 인접하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83)가 회전되면, 상기 가동부(85)가 상기 커넥터(64) 또는 상기 로어 프레임(81)의 제 2 벽(81d)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871, 872) 및 상기 제 2 로드(874, 875)의 높이가 상승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상승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스크류(83)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시저 어셈블리(87)가 펼쳐질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시저 어셈블리(87)가 펼쳐지면서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상승하게 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에 안착된 상기 용기(36) 또는 식품은 상승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도 16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80)는 최대 높이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40)는 정지되며, 사용자의 식품 수납 후 상기 승강장치(80)를 하강시키기 위한 조작을 하게 되면 상기 구동 모터(51)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전술한 과정을 역순으로 동작하여 상기 승강장치(80)는 하강되고 도 15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 중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a)는 상하 구획된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회전식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30)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전후로 인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 내부의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용기 및 식품이 상하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부 중 전방 공간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전체 영역 중 전방 공간의 영역에서 상기 승강장치(80)에 의해 식품이 승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부(31)의 일측에는 조작부(301) 또는 조작 장치(30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장치(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 또는 조작 장치(302)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및/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랍부(32)에는 승강장치(8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구성 및 구동장치(40), 승강장치(8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승강장치(80)에는 복수의 용기(361)가 놓일 수 있다. 상기 용기(361)는 김치통과 같은 밀폐 용기일 수 있으며, 다수개가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1)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361)는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32)의 상방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용기(361)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회전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20)와 간섭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승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b)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전후 방향으로 인출되는 서랍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연속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서랍 도어(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독립적으로 인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에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서로 연결되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전제 저장 공간 중 전방 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과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은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후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후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가 복수개로 상하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여 저장된 식품 및 용기가 상방에서 인출된 상기 서랍 도어(3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9에서는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상방에 배치된 상기 서랍 도어(30)들도 모두 인출 후 내부에 구비된 승강장치(80)가 승강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방에 위치된 상기 서랍 도어(30)들의 높이가 충분히 높다면,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기 서랍 도어(30) 또는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되는 서랍 도어(30)만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c)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부와 하부의 저장공간은 다시 좌우 양측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 하부에 구비되며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서립식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 공간은 좌우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는 구획된 각각의 상기 하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좌우 양측에 나란하게 한쌍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에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서로 연결되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전제 저장 공간 중 전방 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전술한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승강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상기 서랍 도어(30) 내측의 식품 또는 용기에 접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18)

  1.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와,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서랍부를 포함하는 도어;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어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장치; 및
    상기 서랍부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장치와 연결되며, 상하 이동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로어 프레임;
    상기 로어 프레임의 상측에 위치되는 어퍼 프레임;
    상기 로어 프레임과 상기 어퍼 프레임을 연결하는 시저 어셈블리; 및
    상기 로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는 구동장치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되며, 상기 시저 어셈블리가 연결되는 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장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승강장치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및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동력을 전달하는 한 쌍의 전달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전달유닛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부에 놓이고,
    상기 전달유닛과 상기 스크류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서랍부에 제공되고,
    상기 서랍부는 상기 커넥터가 관통하기 위한 서랍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시저 어셈블리는,
    복수의 제 1 로드;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와 교차된 상태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 2 로드; 및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와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를 연결하는 연결 샤프트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 프레임 및 상기 로어 프레임 각각에는 상기 어퍼 프레임이 상기 로어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샤프트가 수용되는 수용홈이 제공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달 유닛 각각은 상기 승강장치에 연결되는 냉장고.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복수의 전달 기어와, 상기 복수의 전달 기어 중 최종 기어에 연결되는 샤프트 구동 기어와,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샤프트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의 축선의 연장 방향은 상기 샤프트 구동 기어의 축선의 연장 방향과 교차되는 냉장고.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 유닛은,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는 제 1 유닛 기어와,
    상기 제 1 유닛 기어와 연결되는 제 2 유닛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유닛 기어의 축선은 상기 제 2 유닛 기어의 축선과 교차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 2 유닛 기어와 상기 스크류를 연결하는 냉장고.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일단은 상기 로어 프레임의 제 1 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스크류의 타단은 상기 제 1 벽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벽을 통해 상기 구동장치에 연결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스크류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가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에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의 제 1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의 제 2 단부는 상기 로어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냉장고.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의 양측에는 가이드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복수의 제 2 로드를 관통하며,
    상기 로어 프레임에서 상기 제 1 벽과 상기 제 2 벽을 연결하는 한 쌍의 제 3 벽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가 삽입되는 제 1 슬롯이 형성되는 냉장고.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제 2 벽과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의 제 1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는 상기 지지 샤프트를 관통하는 냉장고.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복수의 제 1 로드의 제 2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어퍼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동 샤프트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프레임은, 상기 가동 샤프트가 삽입되며, 상기 스크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슬롯을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프레임이 최하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어퍼 프레임은 상기 로어 프레임의 상면에 안착되는 냉장고.
  18. 삭제
KR1020180125328A 2018-10-19 2018-10-19 냉장고 KR102596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328A KR102596480B1 (ko) 2018-10-19 2018-10-19 냉장고
EP19872665.5A EP3867582A4 (en) 2018-10-19 2019-10-17 FRIDGE
CN201980067701.8A CN112867902B (zh) 2018-10-19 2019-10-17 冰箱
US17/285,402 US11573050B2 (en) 2018-10-19 2019-10-17 Refrigerator
PCT/KR2019/013634 WO2020080841A1 (en) 2018-10-19 2019-10-17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5328A KR102596480B1 (ko) 2018-10-19 2018-10-19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4495A KR20200044495A (ko) 2020-04-29
KR102596480B1 true KR102596480B1 (ko) 2023-11-01

Family

ID=70282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5328A KR102596480B1 (ko) 2018-10-19 2018-10-19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73050B2 (ko)
EP (1) EP3867582A4 (ko)
KR (1) KR102596480B1 (ko)
CN (1) CN112867902B (ko)
WO (1) WO20200808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855B1 (ko) * 2018-03-30 2023-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09769B1 (ko) * 2019-01-14 202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2197478B (zh) * 2019-07-08 2022-04-29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
CN113639503B (zh) * 2021-09-03 2022-09-09 江西省科星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皮肤保存且便于取放的冷冻柜
CN116105421A (zh) * 2023-01-16 2023-05-12 长虹美菱股份有限公司 一种带供电装置的抽屉组件及冰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8278A1 (en) 2004-07-29 2008-10-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US20140265797A1 (en) *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lift mechanism including at least one pivot arm
US20140265806A1 (en) *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scissor-type lift mechanism
CN106698251A (zh) 2017-03-02 2017-05-24 李理 一种具有调节高度的升降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548990Y (zh) * 2002-06-07 2003-05-07 李亿征 一种电动升降架
KR20040059043A (ko) * 2002-12-27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선반 설치구조
KR20050090253A (ko) * 2004-03-08 2005-09-1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0700777B1 (ko) * 2005-03-02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바스켓 구동장치
KR101264929B1 (ko) * 2006-04-28 2013-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의 저장용기 자동 개폐구조
US7628461B2 (en) * 2006-07-20 2009-12-08 Maytag Corporation Bottom mount refrigerator having an elevating freezer basket
KR102519038B1 (ko) * 2016-06-10 2023-04-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KR20180064761A (ko) * 2016-12-06 2018-06-15 (주) 프렉코 승강장치
KR20190109069A (ko) * 2018-03-16 2019-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64922B1 (ko) * 2018-03-26 202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4912B1 (ko) * 2018-06-11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42609B1 (ko) * 2018-08-30 2023-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79883B1 (ko) * 2018-12-28 2023-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63561B1 (ko) * 2018-12-28 202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61708A (ko) * 2019-11-20 2021-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38278A1 (en) 2004-07-29 2008-10-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US20140265797A1 (en) *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lift mechanism including at least one pivot arm
US20140265806A1 (en) *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scissor-type lift mechanism
CN106698251A (zh) 2017-03-02 2017-05-24 李理 一种具有调节高度的升降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80841A1 (en) 2020-04-23
US20210396460A1 (en) 2021-12-23
US11573050B2 (en) 2023-02-07
EP3867582A1 (en) 2021-08-25
EP3867582A4 (en) 2022-07-13
CN112867902A (zh) 2021-05-28
CN112867902B (zh) 2023-02-21
KR20200044495A (ko)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810B1 (ko) 냉장고
KR102622809B1 (ko) 냉장고
KR102596480B1 (ko) 냉장고
KR102683316B1 (ko) 냉장고
KR102658254B1 (ko) 냉장고
KR102640307B1 (ko) 냉장고
KR102474912B1 (ko) 냉장고
KR102580774B1 (ko) 냉장고
KR102309149B1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47491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승강장치
KR102625266B1 (ko) 냉장고
KR102464922B1 (ko) 냉장고
KR102640808B1 (ko) 냉장고
KR102309146B1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550745B1 (ko) 냉장고
KR102614610B1 (ko) 냉장고
KR102586889B1 (ko) 냉장고
KR102542610B1 (ko) 냉장고
KR102403815B1 (ko) 냉장고
KR102617684B1 (ko) 냉장고
KR102304984B1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