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91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912B1
KR102474912B1 KR1020180066985A KR20180066985A KR102474912B1 KR 102474912 B1 KR102474912 B1 KR 102474912B1 KR 1020180066985 A KR1020180066985 A KR 1020180066985A KR 20180066985 A KR20180066985 A KR 20180066985A KR 102474912 B1 KR102474912 B1 KR 102474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rawer
gear
lever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6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322A (ko
Inventor
강대길
박철준
최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6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912B1/ko
Priority to US16/230,730 priority patent/US10465970B1/en
Priority to EP18215227.2A priority patent/EP3581865B1/en
Publication of KR20190140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B66F7/0658Multiple scissor linkages horizontally arrang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03Transport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2Walls defining a cabin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3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ontrol circuits or drive circuits
    • H02K11/33Drive circuits, e.g. power electronic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부 저장 공간과 하부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하부 저장 공간에 인출입 가능하게 배치되어, 수납물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서랍부;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는 구동장치; 상기 서랍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납물을 하방에서 지지하며 교차되는 복수의 로드를 포함하는 시저스 구조의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 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서랍부의 바닥에 대해 수직 및 수평 이동되는 회전 기어를 포함하는 스크류 어셈블리;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의 측방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기어와 결합되는 기어부가 형성된 안내부재;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축과 상기 로드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 기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드의 회전축이 회전되어 상기 승강장치를 동작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냉장고 도어는 회동에 의해 저장공간이 개폐되는 회동식 도어와, 서랍식으로 인출입 되는 서랍식 도어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식 도어는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서랍식 도어가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서랍식 도어 내부에 수용된 바스켓 또는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야 하며, 상기 바스켓 또는 식품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바스켓을 보다 사용에 불편을 느끼거나 부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랍식 도어가 승강 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미국등록특허 US9,377,238호에는 냉장실에 구비되는 빈의 승강을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이 구비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승강을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이 빈의 외측에 배치되고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한 안전상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리프팅 메카니즘의 구조로 인해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그리고, 구동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동부 동작시의 소음이 외부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이 고내측에 배치됨으로써 고내 저장용량의 현저하게 줄어들 수 있으며, 이는 전체적인 냉장고의 저장 용량 손실로 저장 효율을 매우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이 고내측에 모두 제공되어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의 서비스를 위해서는 상기 도어의 분리 및 리프팅 메커니즘의 분리가 필요하여 서비스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의 구동부는 시져 서포트 어셈블리의 일단을 밀어서 상기 빈을 승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크기가 큰 빈 구조 또는 빈의 내부에 무게가 무거운 물건이 배치된 경우에는 승강을 위한 충분한 힘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동부의 모터 크기를 늘릴 수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 고내 용적 손실과 소음이 더욱 커지고 제조비용이 상승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은 구동부의 배치 위치로 인해 빈의 전체 바닥면 중 일측을 지지하게 되며, 따라서 빈에 저장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편하중이 발생될 수 밖에 없으며,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작용되는 편하중으로 인해 안정성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승강 동작 또한 원활하게 이루질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기 리프팅 메카니즘은 상기 빈 전체가 승강 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빈이 승강 되기 위해서는 상기 빈이 냉장고의 저장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밖으로 인출되어야 하며, 승강시 간섭되지 않기 위해 상부의 도어 및 냉장고 본체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까지 인출되어야만 한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에서는 도어의 완전한 인출시 고내 냉기의 손실은 인출된 상태의 상기 도어 및 빈 그리고 승강 메카니즘으로 인한 하중으로 인해 쳐짐이 발생하는 등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입을 위한 구조의 보완이 필요하게 되며 실질적으로 크기가 큰 빈 또는 도어의 구성에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부의 내부에 승강을 위한 전기적 장치가 제공되고, 도어 외측의 서랍에 서랍부의 승강을 위한 기계적 장치가 각각 제공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부의 승강을 위한 구성의 노출을 방지하여 외관을 개선하고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부의 승강시 편하중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승강 동작을 보장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낟.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도어부와 서랍부의 분리시, 서랍부의 승강을 위한 전기 장치와 기구부가 함께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승강 가능한 서랍 도어의 조립 작업성과 청소성 및 서비스성이 향상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저장 용량의 손실이 최소화된 상태로 승강 가능한 서랍 구조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부의 승강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도어의 내부 일부가 승강되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인출 및 승강이 이루어지는 서랍 도어가 처짐 또는 편하중에 의한 기울어짐이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부 저장 공간과 하부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하부 저장 공간에 인출입 가능하게 배치되어, 수납물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서랍부;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는 구동장치; 상기 서랍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납물을 하방에서 지지하며 교차되는 복수의 로드를 포함하는 시저스 구조의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 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서랍부의 바닥에 대해 수직 및 수평 이동되는 회전 기어를 포함하는 스크류 어셈블리;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의 측방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기어와 결합되는 기어부가 형성된 안내부재;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축과 상기 로드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 기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드의 회전축이 회전되어 상기 승강장치를 동작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어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 반경을 따라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 기어와 상기 레버 및 상기 안내부재 또한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되며, 상기 승강장치는 양측에 구비되는 레버들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상기 시저스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한쌍의 회전 기어 및 레버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병렬배치된 상기 복수의 상기 시저스가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레버는, 상기 로드의 회전축과 대응하는 일단에 개구되며, 상기 로드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축 결합홀; 상기 로드의 타단에 장공 형상으로 개구되며,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축이 상기 레버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 기어는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서 왕복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 레버에는, 상기 축 결합홀과 떨어진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로드와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일측을 함께 회전시키는 레버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회전되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승강 스크류; 상기 승강 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승강 스크류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 블럭; 상기 승강 블럭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 블럭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방으로 연장되는 수평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기어는 상기 수평 가이드의 양측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수평 가이드에는 랙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 기어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회전 기어는,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는 기어축과;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평기어 형상의 회전 기어부와; 상기 기어축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 안내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수평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 스크류를 기준으로 상기 수평 안내부는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기어, 상기 레버 및 상기 안내부재 또한, 상기 승강 스크류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서랍부의 바닥에 고정되는 로어 프레임; 상기 로어 프레임 상방에 구비되며, 식품 또는 용기를 지지하는 어퍼 프레임; 상기 어퍼 프레임과 로어 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상기 로드들로 구성되며, 상기 로드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어퍼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시저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 블럭의 승강에 따라 상기 회전 기어는 상기 수평 가이드 및 안내부를 따라서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레버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장치는 함몰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부에는 상기 구동장치를 차폐하는 도어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는 상기 레버의 축 결합홀과 대응하는 도어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서랍부의 전면에는 상기 로드의 회전축과 대응하는 서랍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개구와 서랍 개구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로드의 회전축이 상기 축 결합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의 사이에는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의 결합시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커넥팅 어셈블리를 더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 및 상기 로드의 회전축들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도어부의 배면을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상기 푸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푸시부재의 조작시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레버 및 로드의 회전축들과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재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로드의 회전축이 삽입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중공은 상기 로드의 회전축과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레버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레버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레버 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로드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기어부의 곡률 중심과, 상기 회전 결합홀 및 상기 로드의 회전축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서랍 도어 내부의 수납 공간의 일부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방에 배치되는 서랍 도어 내부의 식품의 수납시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무게가 무거운 식품 또는 식품이 수납된 용기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많은 힘을 주어 식품 또는 용기를 들어올려야 하지만, 서랍 도어 내부의 승강장치가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사용이 편리한 위치까지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사용상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전기 장치로 구성된 구동장치는 도어부의 내측에 구비되고, 승강을 위한 승강장치는 서랍부 내측에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구동장치 및 승강장치가 모두 외부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 안전성을 확보하고 외관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전기 장치로 구성된 구동장치는 도어부의 내부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접근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가 상기 도어부 내측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소음이 차단되어 사용중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전체 구성 중 상당부분을 차지하는 구동장치가 상기 도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랍부의 저장 용량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또는 하강된 상태에서는 컴팩트하게 접히고 수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고내 저장 용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는 구동장치와 서랍부에 구비되는 승강장치는 커넥팅 어셈블리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커넥팅 어셈블리의 조자겡 다라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를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도구 또는 복잡한 과정이 필요하지 않고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를 조작하는 간단한 작업을 통해 조립 및 서비스가 가능하고 청소 또한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서비스시 고장 가능성이 높은 전기 장치 구성인 구동장치를 도어부에 배치하여 손쉬운 교체와 정비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장치는 하나의 모터와 스크류 어셈블리에 의해 양측에 배치되는 회전기어로 동력의 전달이 가능하며, 양측의 안내부재 및 레버에 의해 승강장치의 양측에 균일한 힘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는 무거운 수납 식품을 원활하게 승강 시킬 수 있으며, 양측에서 균일한 힘을 제공하여 승강시 승강장치가 기울어지거나 불균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승강장치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가 제 1 연결부와 제 2 연결부에 의해 회전축은 물론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일측에서도 함께 회전력을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회전축으로부터 떨어진 지점에서 가해지는 힘은 모멘트에 의해 보다 큰 힘이 작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의 승강시 보다 큰 힘을 제공하여 보다 용이하고 효과적인 승강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서랍부의 전방 일부에 제공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가 완전히 외부로 노출될 정도로 인출되지 않아도 승강시 상방의 도어 또는 캐비닛에 간섭되지 않고 승강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무게가 무거운 서랍도어의 과도한 인출시 발생되는 처짐이나 내구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서랍의 과도한 인출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의 손실 또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서랍의 전체가 아닌 일부가 승강되는 구조를 취하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인 승강 구조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고 경량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저장 용량의 손실을 최소화 하고 간결한 구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랍 도어의 승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서랍 도어의 서랍부와 도어부가 분리된 모습을 전방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도어부를 후방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동장치와 승강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구동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구동장치의 모터 어셈블리와 스크류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구동장치의 수평 가이드와 레버 및 회전 기어의 결합 구조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회전 기어와 안내부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2는 상기 안내부재와 회전 기어, 레버 및 수평 가이드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회전 기어와 레버 및 수평 가이드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상기 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커넥팅 어셈블리와 레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를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를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상기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서랍부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A부 확대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상기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4는 상기 승강장치의 일 구성인 시저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상기 승강장치의 일구성인 어퍼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와 승강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와 승강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28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와 승강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9는 상기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0은 상기 서랍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상기 서랍 도어의 바스켓이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32는 상기 서랍 도어의 바스켓이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 및 승강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3은 상기 서랍 도어의 바스켓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상기 서랍 도어의 바스켓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 및 승강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냉장고의 서랍 도어의 승강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는 도어(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10) 상부의 공간(11)은 냉장실로, 하부의 공간(12)은 냉동실로 구획될 수 있다. 물론, 상부의 공간과 하부의 공간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아닌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부 공간 및 하부 공간으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2)는 회전에 의해 상부 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하부 공간을 서랍식으로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서랍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은 다시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부 서랍 도어(30)와 하부 서랍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는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전면으로 노츨되는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가 함께 배치되는 냉장고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는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 도어라 부를 수 있고, 상기 서랍 도어(30)는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 도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회전 도어(20)의 전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조 또는 88세그먼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의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미세한 홀이 다수개 타공되어 투과되는 빛에 의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도어(2) 또는 하부 도어(2)의 자동 회전 또는 인출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디스플레이(21)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터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을 조작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또는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에도 조작부(30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 중 가장 하부에 위치된 서랍 도어(30)의 일측에 상기 조작부(3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01)는 터치 또는 버튼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301)는 사용자의 근접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의해 조작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하단에 조작장치(302)가 구비되어 영상을 바닥면에 조사하여 가상의 스위치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조작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는 상기 조작부(301)의 조작에 따라서 자동으로 인출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내부에 구비되는 식품 또는 용기가 승강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는 다수의 조작을 위한 장치들(22,301,302, 3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자동 인출입 및/또는 자동 승강이 조작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조작을 위한 장치들(22,301,302, 303)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전면 하부에는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부(311a)가 형성되며, 상기 경사부(311a)에는 조작장치(30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302)는 영상의 출력이 가능한 프로젝터 라이트 그리고 근접 센서 등으로 구성되어 가상 스위치를 이미지 형태로 바닥에 투사하고 근접 센서에 의해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장치(302)는 단순히 근접 센서 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조작 장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입 및/또는 승강을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상면에 조작장치(303)가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 상면에 조작장치(303)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는 노출되지 않아 조작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조작장치(303)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승강 조작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 장치들(22,301,302, 303)은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및 승강에 이용될 수 있으며, 복수의 조작 장치들(22,301,302, 303)의 조작 조합 또는 순차적인 조작에 따라 인출입과 승강이 조작될 수도 있다.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는 상기 냉장고(1)의 가장 하방에 배치되는 수납 공간으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내부에 수납된 식품의 수납을 위해서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를 전방으로 인출시킨 후,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용기(36)가 승강되도록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36)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용기(36)는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되므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상기 승강장치(80)의 높이에 상기 용기(36)의 높이가 더하여 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사용자가 상기 용기(36)로의 접근 또는 상기 용기(36)를 들어올리기 매우 용이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326)는 상기 도어(30)의 인출입시 상기 수납부(32)에 완전히 수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용기(36)의 형상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전방 공간(S1)의 크기와 대응하는 형상일 수 있으며, 소정의 높이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시에도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은 조작에 의해 가장 하방에 배치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 내부의 식품 또는 용기(36)를 보다 용이하게 들어올리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는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인출입 모터(14) 및 피니언(141)과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하면에 구비되는 인출입 랙(34)에 의해 자동으로 전후방 인출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 내부의 용기는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에 구비되는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 및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동작을 위한 구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를 서랍 도어 또는 도어라 부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도어의 개수와 형태에 제한되지 않으며, 하부의 저장 공간에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도 3은 상기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서랍 도어의 서랍부와 도어부가 분리된 모습을 전방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도어(30)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31)와, 상기 도어부(31)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부(31)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 내측에 배치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함께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는 상시 도어부(31)의 배면에 위치되며, 저장을 위한 식품 또는 용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외부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외부는 물론 내부에도 구비되어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스테인레스 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질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의 후방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3)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후반부는 상단이 하단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후면은 경사면(32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에는 상기 도어(30)의 인출입을 안내할 수 있는 인출입 레일(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 가능한 레일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에는 레일 브라켓(331)이 구비되며, 상기 레일 브라켓(331)은 상기 인출입 레일(33)의 일측에서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브라켓(331)은 고내측 벽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서랍부(32) 즉, 상기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되며 언더 레일(under rail)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은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과 연계되어 상기 도어(30)의 자동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조작부(22,301)의 조작 입력시 상기 인출입 모터(14)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30)는 상기 인출입 랙(34)의 이동에 따라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도어(30)의 안정적인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서랍부(32)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부(31)의 일측을 잡고 밀거나 당겨서 상기 도어(30)를 직접 인출입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전방 공간(S1)은 상하로 승강되는 승강장치(80)와,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되어 상기 승강장치(80)와 함께 승강되는 용기(3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는 상부가 개방된 바스켓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김치통과 같은 밀폐형 상자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다수개가 적층되거나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도어(30)의 인출 거리의 제한으로 상기 서랍부(32)의 전체가 상기 저장공간의 밖으로 인출될 수는 없으며, 적어도 상기 전방 공간(S1)이 상기 저장 공간 밖으로 인출되고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저장공간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상기 도어(30)의 인출 거리가 상기 인출입 랙(34) 또는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제한될 수 있으며, 인출 거리가 길어질수록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에 가해지는 모멘트가 커지게 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상기 인출입 레일(33) 또는 인출입 랙(34)의 변형 또는 파손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전방 공간(S1)의 내부에는 승강장치(80)와 용기(36)이 수용되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가 함께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용기(36)의 하방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용기(36)의 장착시 상기 용기(36)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가 가려질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어떠한 구성도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서랍 커버(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상기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면과 상면은 차폐되어 사용되지 않는 공간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서랍 커버(37)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후방 공간(S2)으로 접근 가능하게 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에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후방 공간(S2)의 활용을 위해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포켓 또는 후방 공간의 형상과 대응하는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전체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승강장치(80)는 간단히 분리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서랍 커버(37)를 분리하여 상기 서랍부(32) 내부 공간 전체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외관은 별도의 플레이트들(391,392,395)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에 장착되는 구성들을 차폐하여 외부와 내부의 외관이 깔끔하게 보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플레이트들(391,392,395)은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스테인레스 소재로 형성되어 보다 고급스럽고 깔끔한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30)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 가능한 구조를 통해서 조립 작업성과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배면과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한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는 구동장치(40)는 전원의 입력에 의해 동작되는 구성들과 동력을 상기 승강장치(80)로 전달하기 위한 구성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0)의 서비스가 필요한 경우 상기 도어부(31)를 분리하여 조치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만을 교체하여 간단하게 조치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양측에 구비되는 한쌍의 도어 프레임(316)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도어부(31)에 결합되는 도어 결합부(316a)와, 상기 도어 결합부(316a)의 하단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서랍 결합부(316b)로 구성될 수 있다. 도어 결합부(316a)은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와 결합될 수도 있으며, 간단한 결합 구조에 의해 상기 도어부(31)의 일측과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서랍부(32)의 양측에 삽입되되 상기 인출입 레일(33)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결합부(316a)가 상기 도어부(31)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서랍부(32)에 삽입되어 상기 서랍부(32)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결합부(316b)는 상기 서랍부(32)와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거나, 서로 형합되는 구조에 의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도어(30)의 배면에는 커넥팅 어셈블리(70)가 구비되고, 상기 서랍부(32) 전면의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와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일부가 노출되는 서랍 개구(35)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저장 공간을 실질적으로 개폐하고 동시에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부(31)는 전면과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311)와,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14) 그리고, 상면과 하면을 형성하는 어퍼 데코(312) 및 로어 데코(313)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웃 케이스(311)와 도러 라이너(314) 사이의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는 단열재(300)가 채워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30)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와 및 상기 구동 어셈블리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상기 도어부를 후방에서 바라 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아웃 플레이트(311)에 의해 전면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 의해 배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의 내측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동작을 위한 구동장치(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 배치되지만, 상기 단열재(300)의 내부에 매립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도어 라이너(314)가 형성하는 공간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 커버(315)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아웃 플레이트(311)와 상기 도어 라이너(314)의 사이에는 단열재(300)가 충전될 수 있으며, 상기 저장 공간(12) 내부를 단열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 라이너(314)에는 내측으로 함몰되는 다수의 도어 함몰부(314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함몰부(314a)는 상기 구동장치(4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의 내측으로 함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 라이트(318)는 상기 도어(30)의 배면 좌측에서 우측까지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도어(30)의 배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가스켓(317)의 내측 영역 중 가장 상단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318)는 내부에 구비된 엘이디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서랍부의 내부를 밝힐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트(318)는 상기 도어(30)의 개폐에 따라 자동으로 온/오프 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오프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 커버(315)는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된 상기 구동장치(40)를 차폐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도어 커버(315)는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장치(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40)가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커버(315)에는 상기 구동장치(40)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으로 형성된 커버 함몰부(315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함몰부(315a)는 상기 도어 함몰부(314a)에 장착된 상기 구동장치(40) 중 상기 도어 커버(315)로 돌출되는 적어도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커버(315)의 상단은 상기 도어 라이트(318)까 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커버(315)의 좌우 양측단에는 상기 사이드 절개부(315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사이드 절개부(315d)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 커버(315)의 하부 좌우 양측에는 도어 개구(315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개구(315e)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일부가 관통되어 상기 도어부(31) 배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둘레를 따라서 도어 가스켓(317)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 가스켓(317)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과 접하여 기밀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구동장치와 승강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에 의해 동력이 상기 승강장치(80)에 전달될 수 있으며, 양측에 배치된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를 통해 상기 승강장치(80) 좌우 양측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승강장치(80)가 어떠한 상황에서도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치우치지 않고 좌우 양측이 수평한 상태로 승강 및 하강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의 중앙에 배치되는 스크류 어셈블리(50)와,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에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 어셈블리(60)와,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의 양측에 구비되는 안내부재(41) 및 레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구동에 따라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의 승강 스크류(52)가 회전되고, 상기 승강 스크류(52)에 결합된 상기 수평 가이드(54)가 상하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의 일구성인 회전 기어(43)는 상기 수평 가이드(54) 및 안내부재(41)와 기어 결합된 상태로 이동되며, 상기 레버(4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회전 기어(43)는 상기 수평 가이드(54) 및 상기 안내부재(41)와 결합된 상태로 상하 및 좌우측으로 이동되며, 상기 안내부재(41)의 외측면에 형성된 기어부(411)를 따라서 회전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기어(43)는 상기 레버(42)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 가이드(54)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 기어(43)의 이동에 따라 상기 레버(42) 또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는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42)와 상기 승강장치(80)의 시저스 구조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42)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시저스 구조가 동작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는 상기 도어부(31)에서 상기 레버(4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와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되고,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수납부(32)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8은 상기 구동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구동장치의 모터 어셈블리와 스크류 어셈블리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장치(40)는 모터 어셈블리(60)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크류 어셈블리(50)와,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의 양측에 배치되는 안내부재(41)와 회전 기어(43) 및 레버(42)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어셈블리(60)로부터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상기 회전 기어(43)는 상기 안내부재(41)의 기어부(411)를 따라 회전되며, 양측의 레버(4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승강장치(80)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의 일측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의 중앙에 구비되는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로 회전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구동 모터(64)와, 다수의 기어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64)와 상기 기어들을 수용하는 모터 케이스(6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될 때 함몰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구동 모터(64)와 기어들이 측방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특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좌우측 방향 폭을 넓게 하고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 모터(64)는 상기 서랍부(32) 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부(31)의 함몰 깊이를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보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64)는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의 승강 스크류(52)로부터 떨어진 일측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모터(64)의 회전축과 상기 승강 스크류(52)는 복수의 기어들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다수의 상기 기어들의 조합을 통해 감속 및 전달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기어들은 상기 승강 스크류(52)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651)와, 상기 구동 기어(651)와 상기 구동 모터(64)의 회전축을 연결하는 복수의 전달 기어(65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서 전달 기어(652)는 1개만 도시되어 있으나 전달되는 힘의 크기와 속도의 조절을 위해 다수의 기어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651)는 베벨기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구동 기어(651)와 상기 승강 스크류(52)가 수직하게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고 원활한 동력의 전달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 스크류(52)의 상단에는 베벨기어 형상의 스크류 기어(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기어(53)는 상기 구동 기어(651)와 수직하게 교차되면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 기어(651)의 회전력이 상기 승강 스크류(52)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 스크류(52)의 상방에는 보조 기어(6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조 기어(68) 또한 상기 구동 기어(651)와 결합될 수 있는 베벨 기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기어(53)와 동일 연장선상에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기어(651)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 기어(53)와 보조 기어(68)는 함께 회전되며, 상기 구동 기어(651)가 안정적인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 기어(53)와 결합상태를 유지하고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모터 케이스(61)는 케이스 바디(611)와 케이스 커버(61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 바디(611)와 케이스 커버(612)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64)와 전달 기어(652) 및 구동 기어(651)는 물론, 상기 보조 기어(68)가 내부에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승강 스크류(52)의 상단 또한 상기 모터 케이스(6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기어(53)의 장착 위치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구동 기어(651)와 스크류 기어(53) 그리고 보조 기어(68)는 모두 상기 모터 케이스(61)의 내측에서 장착 상태가 유지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하중이 가해지는 상황에서도 장착 위치를 유지하여 상기 구동 모터(64)의 동력이 손실 없이 상기 승강 스크류(52)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의 일측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 어셈블리(60)는 상기 도어부(31)에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51)과, 상기 하우징(51) 내부에 구비되는 승강 스크류(52), 상기 승강 스크류(52)를 따라 이동되는 스크류 홀더(5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은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승강 스크류(52) 및 스크류 홀더(56)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의 양측면은 절곡되어 사이드부(51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드부(512)는 상기 스크류 홀더(56) 양측면과 접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홀더(56) 양측면에 구비되는 베어링(562)에 의해 상기 스크류 홀더(56)의 승강을 안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1)의 중앙에는 상기 스크류 홀더(56)를 관통하는 승강 스크류(5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스크류(52)는 외주면에 나사산(521)이 형성되어 상기 스크류(52)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 홀더(56)가 상기 스크류(52)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521)의 상단과 하단에 대응하는 상기 승강 스크류(52)에는 스크류 고정부재(5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고정부재(531)에 의해 상기 승강 스크류(52)가 상기 하우징(51)에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홀더(56)의 상하방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스크류(52)는 상기 하우징(51)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스크류(52)의 상단에는 상기 스크류 기어(53)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기어(53)를 포함한 상기 승강 스크류(52)의 상단은 상기 모터 케이스(61)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60)와 결합되어 상기 승강 스크류(52)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전달받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기어(651)에 의해 상기 스크류 기어(53)로 전달되는 동력은 상기 승강 스크류(52)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스크류 홀더(56)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류 홀더(56)는 상기 하우징(5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으며, 중앙에 상기 승강 스크류(52)가 관통되는 홀더 관통구(56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 관통구(561)는 상하로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홀더 관통구(561)의 내주면에는 상기 나사산(521)과 대응하는 나사가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승강 스크류(52)의 회전시 상기 나사산(521)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기 스크류 홀더(56)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홀더(56)의 양측면은 상기 하우징(51)의 사이드부(512)와 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홀더(56)의 양측면과 상기 사이드부(512)의 사이에는 다수의 베어링(562)이 배치되어 상기 스크류 홀더(56)의 승강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류 홀더(56)에는 상기 수평 가이드(54)가 장착되는 가이드 장착부(5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착부(563)는 상기 스크류 홀더(56)의 하단까지 개구되며, 상기 승강 스크류(52)가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가이드(54)의 장착시 상기 스크류 홀더(56)와 상기 가이드 장착부(563)는 서로 결합되며, 상기 승강 스크류(52)를 따라서 상기 스크류 홀더(56)와 상기 수평 가이드(54)는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도 10은 상기 구동장치의 수평 가이드와 레버 및 회전 기어의 결합 구조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회전 기어와 안내부재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상기 안내부재와 회전 기어, 레버 및 수평 가이드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회전 기어와 레버 및 수평 가이드의 결합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수평 가이드(54)는 가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42)가 회전되는 범위 이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가이드(54)는 중앙부에 상기 스크류 홀더(56)와 결합되는 가이드 홀더(5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더(55)는 상기 수평 가이드(54)의 중앙부에 고정 장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홀더(55)는 상기 수평 가이드(54)의 성형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홀더(55)의 중앙에는 홀더 결합부(55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더 결합부(551)는 상기 스크류 홀더(56)의 가이드 장착부(563)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 결합부(551)에는 상기 승강 스크류(52)가 관통되는 관통구(551a)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551a)의 내주면에는 상기 승강 스크류(52)의 나사산(521)과 대응하는 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더(55)의 베이스면(552)은 상기 홀더 결합부(551)의 외측으로 더 연장되며, 상기 스크류 홀더(56)의 하면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더(55)의 베이스면(552)에 체결되는 스크류의 결합 또는 결합을 위한 다른 구조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홀더(55)와 스크류 홀더(56)는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스크류(52)의 회전시 서로 결합된 상기 스크류 홀더(56)와 가이드 홀더(55)는 승강하게 되며, 상기 수평 가이드(54)는 상하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 가이드(54)에는 상기 가이드 홀더(55)가 구비되는 전면(541)과, 상기 전면(541)의 상단과 하단에서 후방으로 절곡되는 상면(542)과 하면(54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가이드(54)는 고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홀더(55)는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54)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가이드(54)의 하면(543)에는 수평 안내부(55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안내부(553)는 상기 회전 기어(43)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회전 기어(43)의 수평방향 이동을 강제하는 것으로 렉기어(553a)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홀더(55)의 양측에서 상기 수평 가이드(54)의 단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안내부(553)는 상기 수평 가이드(54) 양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플라스틱 소재로 별도 형성되어 상기 수평 안내부(553)의 하면(543)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안내부(553)와 대응하는 상기 수평 가이드(54)의 양측에는 상기 회전 기어(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기어(43)는 상기 수평 안내부(553) 및 상기 안내부재(41)의 기어부(411)와 결합되어 상하 및 좌우로 이동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기어(43)의 이동에 의해 상기 회전 기어(43)가 관통되는 레버(4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회전 기어(43)는 상기 레버(42)의 가이드 홀(426)을 관통하는 기어 축(431)과, 상기 기어 축(431)의 양단에 결합되며, 상기 수평 안내부(553)와 기어부(411)에 결합되는 수평 기어부(433) 및 회전 기어부(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축(431)은 상기 레버(42)의 가이드 홀(426)을 따라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홀(426)의 상하 폭과 대응하는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어 축(431)은 상기 레버(42)의 가이드 홀(426) 내측면과 접하면서 상기 가이드 홀(426)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 축(431)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 기어부(4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기어부(432)는 평기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기어부(432)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는 상기 안내부재(41)의 기어부(411)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 축(431)의 타단에는 수평 기어부(4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기어부(433)는 평기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기어부(433)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는 상기 수평 안내부(553)의 렉기어(553a)와 맞물려 회전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평 기어부(433)의 전면 즉, 상기 회전 기어부(432)를 향하는 향하는 면에는 기어 안내부(4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 안내부(434)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기어부(433)의 외경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기어부(433) 보다 상기 기어 안내부(434)의 외주면이 더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 안내부(553)는 상기 수평 기어부(433)와 기어 결합되는 렉기어(553a)와 상기 렉기어(553a)보다 하방에서 돌출되는 단차부(55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553b)는 전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상기 기어 안내부(434)의 외주면과 접하게 된다. 즉, 상기 수평 기어부(433)가 상기 렉기어(553a)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기어 안내부(434)는 상기 단차부(553b) 및 상기 수평 안내부(553)의 상면(542)과 접하는 상태가 되며, 상기 수평 기어부(433)가 탈락되지 않고 장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수평 기어부(433)의 기어가 수평 안내부(553)의 렉기어(553a)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레버(42)는 상기 기어 축(431)에 의해 관통될 수 있으며, 상기 레버(42)의 회전 축 또는 회전 중심은 상기 안내부재(411)의 중심부 즉, 레버 장착홀(412)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42)의 가이드 홀(426)은 상기 안내부재(41)의 기어부(411)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42) 및 상기 레버(42)에 결합된 커넥팅 어셈블리(70)의 구성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안내부재(41)는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부재(41)의 원호 부분이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를 향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의 안내부재(41)는 상기 기어부(411)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41)의 중심부에는 상기 레버(42)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 장착홀(4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장착홀(412)은 상기 기어부(411)의 곡률 중심에 해당하며, 따라서 상기 레버(42)에 장착된 상기 회전 기어(43)는 상기 안내부재(41)의 기어부(411)를 따라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승강 스크류(5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수평 가이드(54)가 승강하게 되면, 상기 회전 기어(43)도 함께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되며, 이때, 상기 회전 기어(43)는 상기 기어부(411)를 따라서 좌우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있게 된다. 결국, 상기 회전 기어(43)는 상기 기어부(411)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며, 상기 회전 기어(43)가 관통 결합된 상기 레버(42)는 상기 회전 기어(43)의 이동에 의해 상기 레버 장착홀(41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도 14는 상기 구동장치의 일 구성인 커넥팅 어셈블리와 레버의 결합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레버(42)는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42)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레버(42)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막대 또는 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회전 축에서부터 상기 안내부재(41)의 외측단을 지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42)는 무거운 식품이 안차된 승강장치(80)의 승강 시에도 안정적인 동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금속 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레버(42)의 일측에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레버 고정부재(75)와 연결되기 위해 축 결합홀(4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축 결합홀(424)은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의 일측과 대응하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것과 같이 사각형 형상으로 개구되고,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와 결합되어 상기 레버(42)의 회전시 상기 레버 고정부재(75) 또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42)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떨어진 일측에는 상기 레버 돌기(4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돌기(425)는 상기 축 결합홀(424)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중간부(422)를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레버 돌기(425)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연결부재(73)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레버(42)의 회전력은 상기 축 결합홀(424)과 더불어 상기 레버 돌기(425)에 의해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로 전달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승강장치(80)로 전달되어 상기 승강장치(80)를 승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축 결합홀(424)이 형성된 위치와 반대되는 상기 레버(42)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 기어(43)가 관통되는 가이드 홀(42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426)은 상기 회전 기어(43)의 기어 축(431)이 관통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426)은 상기 회전 기어(43)가 상기 레버(42)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레버(42)의 연장 방향으로 장공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 홀더(56)가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기어(43)의 기어 축(431)이 상기 축 결합홀(424)과 가까운 상기 가이드 홀(426)의 일측단에 위치되고, 상기 스크류 홀더(56)가 상방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회전 기어(43)의 기어 축(431)은 상기 가이드 홀(426)의 상기 축 결합홀(424)과 먼 타측단을 향하여 이동하면서 상기 레버(42)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기어(43)는 상기 수평 가이드(54)와 상기 안내부재(41)와 기어 결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버(42)의 일측단 즉, 상기 축 결합홀(424)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내측에는 상기 레버(42)와 상기 승강장치(8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73)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73)는 고정 샤프트(77)에 의해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레버(42)의 회전시 함께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레버 돌기(425) 및 시저스 돌기(841b)와 연결되어 보다 큰 힘이 상기 승강장치(8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를 보다 효과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구동 모터(64)를 이용하여, 양측의 레버(42)를 동시에 동작시켜 식품이 안착된 승강장치(80)를 승강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는 커넥팅 케이스(71)와 커넥팅 커버(72)에 의해 외관이 형성되며,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와 상기 연결부재(73)가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를 일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6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를 다른 방향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 및 도 18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는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와 상기 커넥팅 커버(72) 그리고 연결부재(73)와 푸시부재(74), 레버 고정부재(75) 및 탄성부재(76)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넥팅 케이스(71)는 일면이 개구되며, 내부에 레버 고정부재(75)와 연결부재(73)와 푸시부재(74) 그리고 상기 레버(42)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71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공간(711)의 내부에는 관통구(7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712)와 대응하는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의 외측면에는 외부 고정부재(78)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버 고정부재(75)는 탄성 지지부(751)와 상기 관통 돌기(7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지지부(751)는 상기 커넥팅 케이스(71) 내부의 공간에 수용되며, 탄성부재(76)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지지부(751)의 중앙에는 상기 레버(42)의 축 결합홀(424)과 상기 관통구(712)를 차례로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사각형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관통 돌기(7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 돌기(752)는 상기 외부 고정부재(78)에 형성되는 고정홈(781)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관통 돌기(752)의 내측에는 상기 고정 샤프트(77)가 삽입되는 샤프트 삽입부(752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샤프트(77)와 상기 샤프트 삽입부(752a)는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관통 돌기(752)와 같이 사각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레버(42)의 회전시 슬립이 발생되지 않고 상기 레버 고정부재(75)로의 안정적인 회전력의 전달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샤프트(77)는 상기 연결부재(73)의 제 1 연결부(731)를 관통한 후 상기 관통 돌기(752)의 샤프트 삽입부(752a)의 내측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삽입부(752a)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 샤프트(77)의 양단에는 결합부재(771,772)가 체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재(771,772)의 체결에 의해서 상기 고정 샤프트(77)에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와 상기 외부 고정부재(78) 그리고 연결부재(73)가 각각 결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레버(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레버 고정부재(75)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고정 샤프트(77)에 의해 연결된 연결부재(73) 또한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73)와 상기 레버 고정부재(75)의 사이에는 탄성부재(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76)는 상기 연결부재(73)의 이동시 압축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탄성부재(76)는 코일 형상의 스프링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 지지부(751)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연결부재(73)의 연결 지지부(734)에 타단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의 공간 내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고정 샤프트(77)의 안내에 의해 상기 공간 내부에서 삽입되거나 돌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연결부재(73)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고정 샤프트(77)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레버(42)의 회전축과 동심을 가지는 제 1 연결부(731)와, 상기 제 1 연결부(731)와 이격되며, 상기 레버 돌기(425)가 삽입되는 제 2 연결부(732)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731)와 제 2 연결부(732)의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7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731)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731)의 내부는 상기 고정 샤프트(77)가 삽입되는 제 1 중공부(731a)와 상기 제 1 중공부(731a)보다 더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샤프트(77)에 체결되는 결합부재(771)가 위치되는 제 2 중공부(731b) 그리고, 상기 제 2 중공부(731b)보다 더 직경이 크게 형성되며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이 삽입되는 제 3 중공부(731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중공부(731a)는 상기 고정 샤프트(77)와 대응하는 사각 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제 2 중공부(731b)는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 3 중공부(731c)는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이 삽입 가능하고, 회전시 상기 회전축(841a)이 소정 각도 회전된 뒤에 서로 걸림 구속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에 상기 회전축의(841a) 단부의 회전 궤적과 대응하도록 함몰되는 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1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제 3 중공부(731c) 내에서의 걸림 구속을 위해 상기 회전축(841a)은 양면이 평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3 중공부(731c)의 단차진 내측과 걸림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부(731)의 일측에는 외측으로 소정의 폭으로 돌출된 연결 지지부(7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지지부(734)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탄성부재(76)의 일단을 지지하며, 이때, 상기 탄성부재(76)의 단부는 상기 연결 지지부(734)에 접하고 상기 제 1 연결부(731)의 일단이 상기 탄성부재(76)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탄성부재(7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지지부(734)는 상기 푸시부재(74)에 형성된 관통구(742)의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푸시부재(74)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재(74)의 누름 조작시 또는 상기 탄성부재(76)에 의한 최초 위치 복귀시 상기 연결 지지부(734)와 상기 푸시부재(74)는 접한 상태에서 함께 이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 2 연결부(732)는 상기 연결부재(73) 의해 상기 제 1 연결부(731)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위치된다. 상기 제 2 연결부(732)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된 중공(732a)이 형성되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된 일측으로는 상기 레버 돌기(425)가 삽입될 수 있으며, 개구된 다른 일측에는 상기 시저스 돌기(841b)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 돌기(425)와 시저스 돌기(841b)는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 2 연결부(732)의 내경과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33)는 상기 제 1 연결부(731)와 제 2 연결부(732)에 각각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과 시저스 돌기(841b)가 각각 삽입될 수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연결부(732)가 제 1 연결부(731)로부터 멀리 떨어질수록 상기 승강장치(80)를 보다 용이하세 승강시킬 수 있겠지만, 상기 제 1 연결부(731)와 제 2 연결부(732)가 설정 거리 이상 떨어지게 되면, 상기 제 2 연결부(732)에 삽입되는 레버 돌기(425) 및 시저스 돌기(841b)의 이동 궤적이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및 상기 서랍부(32) 전면의 높은 위치까지 연장되며, 따라서 개구된 궤적이 노출되어 외관이 좋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연결부(732)의 위치는 상기 연결부(733)의 길이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제 2 연결부(732)의 회전 궤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높이 즉, 상기 승강장치(80)의 상단보다 더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74)는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커넥팅 커버(72)의 개구(721)를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가 누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74)는 상기 커넥팅 커버(72)의 개구(721)를 통해 노출되는 푸시부(741)와 상기 푸시부(741)의 둘레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푸시 가이드부(74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741)에는 상기 제 1 연결부(731)가 관통되는 관통구(7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구(742)는 상기 제 1 연결부(731)의 외경보다는 크고 상기 연결 지지부(734)의 외경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741)를 눌러 상기 푸시부재(74)를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푸시부재(74)와 접하는 연결부재(73) 또한 함께 이동되어 상기 승강장치(80)와의 선택적인 연결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741)의 둘레는 상기 커넥팅 케이스(71) 측으로 연장된 후 다시 외측으로 절곡되어 푸시 플렌지(743)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 플렌지(743)가 상기 커넥팅 커버(72)의 개구(721) 둘레와 간섭되어 상기 푸시부재(74)가 탈거되지 않고 상기 커넥팅 커버(72)에 의해 구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넥팅 커버(72)의 개구 둘레는 단차부(722)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푸시 플렌지(743)가 상기 단차부(722)의 배면에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푸시부(741)의 둘레 일측에는 상기 푸시 가이드부(74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 가이드부(744)는 상기 푸시부(74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의 내측면과 접하는 가이드면(744a)과, 상기 가이드 면(744a)의 양측방에 구비되는 가이드 보스(744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보스(744b)는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의 함몰된 바닥면에서 연장된 가이드 포스트(713)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시부재(74)의 전후 이동시 상기 가이드면(744a)에 의해서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의 내측면과 접촉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양측의 가이드 포스트(713)를 따라 상기 가이드 보스(744b)가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푸시부재(74)는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로 전후방향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커버(72)는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의 개구된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푸시부(741)가 노출되도록 개구(7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팅 커버(72)는 결합부재에 의해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커넥팅 케이스(71) 내부의 구성이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커넥팅 케이스(71)와 푸시부재(74) 및 상기 커넥팅 커버(72)의 일부는 상기 연결부재(73)의 회동 궤적만큼 절개되어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73)의 회전시 상기 연결부재(73)와 상기 커넥팅 케이스(71), 푸시부재(74) 및 상기 커넥팅 커버(72)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사용자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상기 푸시부재(74)를 조작하여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와 상기 승강장치(80)의 선태적인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어부(31)와 결합되는 상기 서랍부(32)의 구조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9는 상기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서랍 본체(38)와,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용기 및 식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80)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내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서랍 본체(38)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한다. 상기 서랍 본체(38)는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으로 내부에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후면은 경사면(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기계실(3)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양측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양측 또는 좌우 양측면 하부의 프레임 장착부(383)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 프레임(316)이 상기 서랍부(32)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32)와 도어부(31)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인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를 위해서는 먼저 상기 도어 프레임(316)을 상기 서랍부(32)와 분리한 후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조작시켜 상기 도어부(31)를 상기 서랍부(32)와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과 상기 서랍부(32)는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한 결합 구조 또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과 상기 서랍부(32) 사이의 형합 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좌우 양측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에 의해 상기 서랍부(32)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 랙(34)은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상기 피니언 기어(141)가 회전하여 상기 인출입 랙(34)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가 인출입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30)가 자동 인출입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도어(30)를 밀거나 당겨서 인출입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인출입 랙(34)이 생략되고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서만 인출입이 안내될 수도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인출입을 가이드 하기 위한 인출입 레일(33)이 장착되는 레일 장착부(3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장착부(382)는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되는 레일로, 일단이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저장공간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레일 장착부(382)에 고정되어 상기 도어(30)의 인출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본체(38)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판상의 금속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외장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 본체(38) 외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양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특히,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에 장착되는 도어 프레임(316) 및 인출입 레일(33) 등의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외측면 양측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384)가 가로 세로 방향으로 교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84)는 상기 서랍 본체(38) 자체의 강도를 증가시켜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구비로 증가된 상기 도어의 중량에 대해 상기 서랍 본체(38)가 보다 견고하게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강 리브(384)는 양측면에 장착되는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를 지지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외관이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랍 본체(38) 내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며, 내측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 전면과 하면 및 후면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전면부(395a), 하면부(395b), 후면부(395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가 절곡 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를 구성하는 상기 전면부(395a), 하면부(395b) 및 후면부(395c)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거나 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에 의해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 전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은 금속 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내측의 수납 공간은 전체적으로 금속 질감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전체적으로 보다 고른 영역에서 차갑게 저장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냉각 성능 및 저장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를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구획하는 커버 전면부(371)와, 상기 커버 전면부(371)의 상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 상면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커버(37)의 장착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장치(80)가 배치되는 상기 전방 공간(S1)만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공간(S2)은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승강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와 연결되어 상하 승강 가능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며, 좌우 양측이 균일하게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와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하부에는 서랍 개구(35)가 형성된다. 상기 서랍 개구(35)는 상기 연결부재(73)가 삽입되어 상기 승강장치(80)와 결합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 개구(35)는 상기 연결부재(73)의 회전시 상기 연결부재(73)의 회전 경로를 따라 개구된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하여 상기 연결부재(73)의 회전 및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에도 간섭되지 않고 안정적인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승강장치(80)는 시저스 타입으로 구성되어 하강된 상태에서는 접혀진 상태가 되고, 상승된 상태에서는 펼쳐지게 되어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용기 또는 식품이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에는 서포트 플레이트(8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는 상기 용기(36)의 안착 면 또는 식품이 안착되는 면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와 상기 승강장치의 연결 구조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0은 서랍부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의 결합관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1은 도 20의 A부 확대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하단의 좌우 양측에는 각각 서랍 개구(35)가 형성된다. 좌우 양측의 상기 서랍 개구(35)의 형상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서랍 개구(35)를 통해서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과 상기 시저스 돌기(841b)가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개구(35)는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과 상기 시저스 돌기(841b)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개구(35)는 중심부(351)와 궤적부(3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중심부(351)는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재(73)의 제 1 연결부(731)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궤적부(352)는 상기 중심부(351)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부재(73)의 제 2 연결부(732)가 회전에 의해 이동되는 궤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개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승강되는 동안에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은 상기 중심부(351) 상에서 회전되고, 상기 승강장치(80)의 시저스 돌기(841b)는 상기 궤적부(352)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상기 시저스 돌기(841b) 및 제 2 연결부(732)는 상기 중심부(351)와 궤적부(352)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 개구(35)의 높이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상단 즉,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상면보다 더 낮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어떠한 상태에서도 상기 서랍 개구(35)가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으로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내부에 상기 승강장치(8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상기 회전축(841a)과 시저스 돌기(841b)는 상기 서랍 개구(35)를 통해 노출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도어(30)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연결부재(73)가 상기 서랍 개구(35)의 내측으로 통해 삽입되어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과 상기 시저스 돌기(841b)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는 상기 서랍부(32)의 좌우 양측에 구비되어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푸시부재(74)의 조작을 통해서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선택적인 분리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둘레부는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용기(36) 또는 식품이 안정적인 장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둘레부는 하방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 하방에 상기 승강장치(80)의 나머지 구성이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둘레에 의해 상기 차폐되어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는 전방 공간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전방 공간(S1)의 하방에 구비되는 상기 승강장치(80)로 이물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승강장치(80)로의 접근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승강장치(80)의 구성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승강장치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3은 상기 승강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4는 상기 승강장치의 일 구성인 시저스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5는 상기 승강장치의 일구성인 어퍼 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 바닥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는 전체적으로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의 사이에 배치되는 시저스 어셈블리(84)를 포함할수 있다.
상세히,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상기 서랍부(32)의 내부 전방 공간(S1)의 크기와 대응하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면에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가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상기 승강장치(80)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와 함께 실질적으로 식품 또는 용기(36)를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전체적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둘레 형상을 형성하는 프레임부(821)를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부(821) 내측의 공간을 좌우 양측으로 구획하는 구획부(8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821)와 구획부(822)는 외형 틀을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므로 높은 강도가 요구되며, 따라서 상기 프레임부(821)와 구획부(822)는 금속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강도를 높이고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양단이 절곡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821) 내측면 양측에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단부가 수용되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이동을 안내하는 슬라이드 가이드(8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5)는 상기 구획부(822)를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획부(822)에 의해 구획된 양측의 공간(823,824)에 각각 시저스 어셈블리(8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5)는 내 마모성과 윤활성능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로 별도 성형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82)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5)에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슬라이딩 샤프트(842)가 관통되는 장공(825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842)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5)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공(825a)의 둘레를 따라서 소정의 폭을 가지는 슬라이드 면(825b)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 면(825b)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842)가 지지되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보다 원활하게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게 된다.
상기 프레임부(821)는 둘레를 따라서 수직하게 절곡된 테두리(821a,82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821a,821b)는 상기 프레임부(821)의 내측과 외측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5)는 상기 프레임부(821) 내측의 테두리(821b)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821) 외측의 테두리(821a)에는 테두리 홈(821c,821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홈(821c,821d)은 상기 승강장치(80)가 완전히 하강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과 시저스 돌기(841b)가 수용되는 홈으로 상기 테두리(821a)의 단부에서 상기 회전축(841a) 및 시저스 돌기(841b)와 대응하는 제 1 테두리 홈(821c)과 제 2 테두리 홈(821d)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완전히 하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로어 프레임(83)과 접하게 되는 경우 상기 로어 프레임(83)에 형성된 테두리 홈(821c,821d)과 접하여 완전한 홀 형상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841a)과 시저스 돌기(841b)가 통과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홈(821c,821d)은 상기 시저스 돌기(841b)가 형성되지 않고 상기 회전축(841a)만 제공되는 경우에는 상기 회전축(841a)과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홈(821c,821d) 및 상기 회전축(841a) 및 시저스 돌기(841b)의 위치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좌우측 단부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서랍 개구(35)를 통해 노출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821) 중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과 대응하는 양단에는 결합홈(821f)과 결합단(821e)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단(821e)은 상기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결합홈(821f)은 상방으로 함몰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821f)과 결합단(821e)은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에 모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완전히 하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로어 프레임(83)의 결합단(821e) 및 결합홈(821f)에 각각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부(821)는 양측의 상기 테두리(821a,821b)에 의해서 하면이 개구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821) 내측 공간 중 양단에는 시저스 고정부재(8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고정부재(826)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회전 샤프트(847)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양단부에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고정부재(826) 또한 상기 회전 샤프트(847)와 지속적인 마찰이 이루어지므로 내 마모성을 가지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저스 고정부재(826)에는 상기 회전 샤프트(847)가 관통되는 관통홀(84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고정부재(826)는 상기 회전 샤프트(847)의 양단을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부(821) 양단에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샤프트(847)를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원활하게 접히고 펼쳐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로어 프레임(83)은 상기 어퍼 프레임(85)과 방향만 다를 뿐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로어 프레임(83)은 프레임부(831)와 구획부(832)로 구성되어 내부에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각각 구비되는 공간(833,834)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821)의 내측 테두리(821b)에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5)가 구비되고, 외측 테두리(821a)에는 제 1 프레임 홈(831c)과 제 2 프레임 홈(831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821)의 양단에는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단부와 형합되는 결합단(821e)과 결합홈(821f)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부(821)의 내측 공간에는 상기 시저스 고정부재(8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완전히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외측 테두리(821a)와 로어 프레임(83)의 외측 테두리(821a)가 서로 맞닿을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프레임부(821)와 로어 프레임(83)의 프레임부(821)는 서로 접하여 내부에 폐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폐공간의 내부에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완전히 접혀진 상태로 수용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승강장치(80)가 가장 낮은 상태로 하강된 상태에서는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구성들은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의 프레임부(821)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 외에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수용되는 추가의 공간이 필요치 않게 되므로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저장 공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 또한 상기 어퍼 프레임(82) 및 또는 로어 프레임(83)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실질적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의 배치 공간 또한 추가로 필요하지 않게 되어 공간 손실을 최소화하게 된다.
즉, 복잡한 시저스 방식의 상기 승강장치(80)를 배치하게 되더라도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의 두께만큼의 공간 손실이 발생할 뿐이므로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를 매우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로어 프레임(83)의 프레임부(821) 바닥면에는 승강장치 고정부(83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 고정부(837)는 개구된 홀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승강장치(80)가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장착될 때에 상기 서랍부(32) 바닥면에서 돌출되는 돌기 형상의 승강장치 결합부(미도시)와 형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안착되는 간단한 작업만으로 서로 형합되어 상기 서랍부(32) 내부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동작시에도 유동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부(32) 내부에 상기 승강장치(80)를 배치하지 않고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도구 없이 간단히 상기 승강장치(80)를 들어올려 상기 서랍부(32)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좌우 양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이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와 연결되고, 각각 상기 샤프트(41)와 레버(42)를 통해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독립적으로 상기 어퍼 프레임(82)을 상방으로 들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양측의 시저스 어셈블리(84)는 하나의 상기 구동 모터(64)와 상기 샤프트(41) 및 스크류 어셈블리(50)를 포함하는 상기 구동장치(40)의 구조 특성상 어긋나거나 편차가 발생되지 않고 동시에 동일한 높이만큼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무거운 하중물을 지지하는 경우에도 양측에 독립적으로 힘이 가해지는 한쌍의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에 의해 효과적으로 승강시킬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상기 어퍼 프레임(82) 즉,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81)가 수평 상태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구조를 살펴보면,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쌍의 제 1 로드(841)와, 상기 제 1 로드(841)의 양단을 연결하는 제 1 슬라이딩 샤프트(842)와, 제 1 회전 샤프트(84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로드(841)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샤프트(842) 및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7)는 상기 프레임부(821)의 내측에 수용 가능한 폭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드(841)는 상기 프레임부(821)의 영역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7) 또한 상기 프레임부(821)와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드(841)의 일단에는 상기 회전축(841a)과 시저스 돌기(841b)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841a)은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7)와 동일 연장선상에 위치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841a)의 회전시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7)가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3)에는 회전 보강부(843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보강부(843a)는 상기 제 1 로드(841)의 일부 및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7) 전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로드(841)의 회전시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7)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하고 이때 발생되는 모멘트를 견딜 수 있도록 보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보강부(843a)의 양단에는 장착홀(342b)이 형성되며 상기 장착홀(842b)을 통과하도록 시저스 고정부재(826)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회전 샤프트(847)는 상기 로어 프레임(83)의 시저스 고정부재(82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샤프트(842)는 상기 제 1 로드(841)의 타단을 연결하며,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25)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샤프트(842)는 상기 제 1 로드(841)의 회전시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슬라이드 가이드(825)를 따라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슬라이딩 샤프트(842)에는 탄성부재 장착부(842a)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 장착부(842a)는 상기 제 1 슬라이딩 샤프트(842)와 상기 프레임부(821)를 연결하는 시저스 탄성부재(85)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장착홀(842b)이 형성되어 상기 코일 스프링 형상의 시저스 탄성부재(85)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가 최저 높이가 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부(821)와 상기 제 1 슬라이딩 샤프트(842)가 가장 먼 위치에 위치되므로 상기 시저스 탄성부재(85)는 최대 인장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상승하게 될 때 상기 시저스 탄성부재(8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는 보다 적은 힘으로도 상승될 수 있도록 추가의 힘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가 최대 높이가 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샤프트(842)가 상기 프레임부(821)와 가장 가까운 위치가 되므로 상기 시저스 탄성부재(85)는 최소 인장 상태 또는 인장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80)가 하강될 때에는 상기 시저스 탄성부재(85)가 인장되면서 서서히 하강될 수 있게 하여 완충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로드(841)와 교차되도록 한쌍의 제 2 로드(844)가 구비되며, 상기 제 1 로드(841)와 제 2 로드(844)는 교차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시저스 축(845)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로드(844)의 양단을 연결하는 제 2 슬라이딩 샤프트(842)와 제 2 회전 샤프트(84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로드(844)와 제 2 슬라이딩 샤프트(842) 및 제 2 회전 샤프트(847) 또한 상기 프레임부(821)에 수용 가능한 형상과 배치를 가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양측의 상기 제 2 로드(844)의 상단을 연결하는 제 2 회전 샤프트(8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847)는 상기 어퍼 프레임(82)의 시저스 고정부재(826)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저스 고정부재(826)를 관통하는 상기 제 2 회전 샤프트(847)에는 회전 부시(847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 부시(847a)는 상기 시저스 고정부재(826)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으며, 윤활성능과 내 마모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소재로 형성되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의 동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양측에 배치된 상기 제 2 로드(844)의 하단은 상기 제 2 슬라이딩 샤프트(842)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샤프트(846)는 상기 로어 프레임(83)에 구비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35)를 관통하도록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에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835)를 따라서 이동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승강장치(80)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선택적인 결합 및 동력 연결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6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와 승강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7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와 승강장치의 연결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8은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와 승강장치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장치(40) 또는 승강장치(80)의 서비스가 필요한 상황이나 상기 승강장치(80)의 사용을 원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구동장치(40) 및 상기 승강장치(80)의 간단한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도 26 및 도 27에서와 같이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가 서로 결합되고,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와 상기 승강장치(80)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레버(42) 및 상기 승강장치(80)와 연결된 상태로 특히, 상기 제 1 연결부(731)에는 상기 고정 샤프트(77)와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이 삽입된 상태이고, 상기 제 2 연결부(732)에는 상기 레버 돌기(425)와 상기 시저스 돌기(841b)가 삽입된 상태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으로 상기 레버(42)가 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 1 연결부(731)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이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시저스 어셈블리(84)의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연결부(732)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의 시저스 돌기(841b)까지 연결된 상태이므로 상기 승강장치(80)에는 보다 큰힘이 전달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2 연결부(732)는 상기 제 1 연결부(73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위치되며, 따라서 상기 제 1 연결부(731)를 축으로 회전하게 되는 경우 제 2 연결부(732)에는 지렛대와 같은 모멘트가 작용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 1 연결부(731)에서 발생되는 모멘트보다 더 큰 모멘트가 상기 제 2 연결부(732)함께 작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더 큰 힘으로 상기 승강장치(8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양측에 한쌍이 배치되어 각각 동력이 전달될 수 있으므로, 보다 적은 힘으로 상기 승강장치(80)를 효과적으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구동장치(40)에 의한 토크가 충분한 경우 상기 연결부재(73)는 상기 레버(42)와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을 연결하는 단일축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 또한 하나의 시저스 어셈블리(84)의 양측에 각각 연결부재(73)가 연결되어 승강장치(80)가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냉장고(1)의 사용중 구동장치 또는 승강장치(80)의 서비스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사용자는 도 28에서와 같이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의 푸시부재(74)를 눌러 상기 연결부재(73)를 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상기 연결부재(73)와 상기 승강장치(80) 사이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31)를 서랍부(32)와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 내부에 구비되는 구동장치(40) 전체를 상기 서랍부(32)로부터 한번의 조작에 의해 완전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부(31)를 분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40)의 정비가 가능할 수 있으며, 필요시 정상 동작되는 상기 도어부(31)를 교체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이때, 별도의 조립 분해 필요없이 상기 도어부(31)의 연결부재(73)를 상기 승강장치의 회전축(841a)과 상기 시저스 돌기(841b)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서로 동력 전달이 가능한 상태로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도어 프레임 또는 다른 구성에 의해 견고하게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 결합시 상기 도어 프레임(316)의 결합 또는 분리가 작업이 추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의 도어(30)가 인출입 및 승강되는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9는 상기 서랍 도어가 닫혀진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식품의 저장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20)와 도어(30)가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도어(30)를 인출입하여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30)는 상방과 하방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회전 도어(20) 또는 도어(30)의 전면에 구비된 조작부(301)를 터치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 하단에 구비되는 조작 장치(302)에 의한 개방 조작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와 조작 장치(302)가 각각 상기 도어(30)의 인출입 그리고 상기 승강 부재(35)의 승강을 개별적으로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상기 도어(30)의 손잡이를 잡고 개방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도어(30) 중 가장 하방의 도어(30)를 개방 및 승강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방과 하방의 도어(30)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인출입 및 승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0은 상기 서랍 도어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1은 상기 서랍 도어의 바스켓이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상기 도어(30) 인출 조작에 따라서 상기 도어(30)는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도어(30)는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연장되면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30)는 사용자가 직접 당겨서 개방하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인출입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 바닥면에 구비되는 인출입 랙(34)은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도어(30)가 인출입 된다.
상기 도어(30)의 인출입 거리는 적어도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전방 공간(S1)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는 거리까지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상기 용기 또는 식품이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도어들(20,30) 또는 상기 캐비닛(1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도어(30)의 인출입 거리는 상기 캐비닛(10) 및/또는 도어(30)에 배치되는 인출입 감지장치(15)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는 상기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되거나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자석(389)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의 바닥에 자석(389)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0)에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는 상기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 그리고 상기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에 의해 상기 도어(30)의 인출입 상태를 판단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되는 위치와 인출되는 위치에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30)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회전수를 카운팅하거나, 상기 도어부(31) 배면과 상기 캐비닛(10) 전단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에 의해 상기 도어(30)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64)가 구동되어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 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도어(30)가 충분히 인출되어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의 안전한 승강이 보장되는 상황에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30)가 인출되어 상기 전방 공간(S1)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하여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용기(36) 또는 저장된 식품이 다른 도어들(20,30) 또는 캐비닛(1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30)가 인출된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도어(30)가 승강을 위해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전방 공간(S1)이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외측으로 완전히 인출된 상태여야만 한다.
특히, 상기 전방 공간(S1)의 후단(L1)은 상기 캐비닛(10) 또는 상방의 도어(20) 전단(L2)보다 더 인출된 상태가 되어야 하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상기 캐비닛(10) 또는 상방의 도어(20) 전단(L2)보다는 더 전방에 위치될 수 있어야만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가 구동되기 위해 인출될 때 상기 서랍부(32) 전체가 완전히 인출되지 않고 도 3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간섭을 피하기 위한 위치까지만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랍부(32)의 후방 공간(S2)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내부에 위치된다. 즉, 상기 서랍부(32)의 후단(L3)은 적어도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를 포함한 상기 도어(30) 자체의 무게에 더하여 수납물의 무게까지 더하여진 상태에서도 상기 인출입 레일(33) 또는 상기 도어(30) 자체의 처짐이나 파손이 없이 안정적인 인출입과 승강 동작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도어(30)의 완전한 인출이 확인된 상태에서 상승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안전 및 저장된 식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도어(30)의 인출이 확인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도어(30)의 인출 후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도어(30)의 인출을 위해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을 위해 상기 조작부(301)를 재차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3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장치(80)가 승강되도록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도어(30)가 도 31에서와 같이 완전히 인출된 상태가 될 때 까지 상기 구동장치(40) 및 승강장치(80)는 동작되지 않게 되며, 상기 승강장치(80)는 가장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2는 상기 서랍 도어의 바스켓이 완전히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 및 승강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장치(40)가 동작되지 않고 상기 승강장치(80)가 가장 낮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 홀더(56)는 상기 스크류(52)의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 및 상기 수평 가이드(54)에 결합된 회전 기어(43) 또한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회전 기어(43)는 가장 하방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 안내부(553)의 가장 내측에 위치하게 되며, 양측의 회전 기어(43)는 서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 기어(43)는 상기 안내부재(41)의 기어부(411) 중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기어(43)에 의해 관통되는 레버(42)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상면과 수평한 상태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어퍼 프레임(82)이 가장 낮은 상태가 되며, 상기 구동장치(40)가 동작되지 않는 한 현재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이 서로 맞닿은 상태가 되며, 상기 어퍼 프레임(82)과 로어 프레임(83)의 내부에 상기 시저스 어셈블리(84)가 수용된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레버(42)는 동작되지 않는 상태이므로,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에 연결된 상기 승강장치(80)의 회전축(841a)과 시저스 돌기(841b)에는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부(821)의 단부와 상기 슬라이딩 샤프트(842)는 가장 멀리 떨어진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시저스 탄성부재(85)는 최대 인장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0)의 구동이 개시되면, 상기 구동장치(40)에 의한 동력 전달 외에도 상기 시저스 탄성부재(85)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어퍼 프레임(82)은 보다 효과적으로 상승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의 승강을 위한 신호 입력을 대기하게 되며, 상기 사용자의 승강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구동장치(40)가 동작하게 된다.
도 33은 상기 서랍 도어의 바스켓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4는 상기 서랍 도어의 바스켓이 완전히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 및 승강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1과 같이 상기 도어(30)의 인출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장치(40)가 동작되고,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에 의해 상기 도어(30)는 도 34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와 연결된 상태이며,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로 동력의 전달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구동장치(40)의 동작 개시와 함께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로 동력이 전달되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승을 시작하게 된다.
상세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60)가 동작을 개시하게 되면,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로 동력이 전달되어 상기 승강 스크류(52)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승강 스크류(52)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 홀더(56)과 결합된 상기 수평 가이드(54)가 상승하게 되며, 상기 수평 가이드(54)의 상승에 따라 상기 수평 가이드(54)에 결합된 상기 회전 기어(43)도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 기어(43)는 상기 안내부재(41)의 기어부(411)와 기어 결합된 상태로 상기 수평 가이드(54)와 함께 상승하되 상기 기어부(411)를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 기어(43)는 상기 안내부재(41)의 기어부(411)와 상기 수평 가이드(54)의 렉기어(553a)를 따라 동시에 이동하게 되며, 결국 상기 레버(42)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 기어(43)는 양측에 배치된 상기 안내부재(41)의 기어부(411)를 따라서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양측의 상기 레버(42)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 안내부(553)를 따라서 양측의 회전 기어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되므로써 상기 레버(42)는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에 의해 연결된 상기 승강장치(80)의 시저스 어셈블리(84)는 상기 레버(42)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어 펼쳐지게 되며, 상기 승강장치(80) 양측은 동시에 상승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동장치(40)의 지속적인 동작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는 도 3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대 위치까지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80)는 도 33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높이로 상승되면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허리를 과도하게 숙이지 않고도 식품 또는 용기(36)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 모터(64)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장치(8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높이 감지장치(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장치(80)의 최대 높이와 대응하는 위치와 상기 승강장치(80)의 최저 높이 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자석(389)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에 구비되는 자석(389)을 감지하여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스위치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승강장치(80)가 최대 상승된 상태에서 스위치를 온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홀센서 도는 스위치와 같은 구조로 상기 레버(42) 또는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50)에 구비되어 간접적으로 상기 승강장치(80)가 최대 상승된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64)에 가해지는 부하의 변동에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최대 상승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80)가 최대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64)는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 내측에 위치하지만,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된 식품이나 용기(36)는 상기 서랍부(32)의 개구된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용이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용기(36)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위해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80)가 최대 상승된 상태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구동장치(40)의 구동에 의해 상승되며, 적어도 상기 서랍부(32)의 상단보다는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구동 장치(80)에는 상기 용기(36)가 안착된 상태로, 상기 용기(36)를 기준으로 본다면, 상기 용기(36)의 상단(H1)은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의 상단(H2)보다 더 높은 위치까지 상승될 수 있다. 이때의 높이는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아도 손을 뻗어 상기 용기(36)를 들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 사용에 가장 적합한 높이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서 승강되는 구조를 가지지만, 상기 승강장치(80)에 상기 용기(36)가 안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용기(36)가 사용자가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높이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식품 수납 작업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장치(8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은 상기 구동 모터(64)의 역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통해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80)가 하강 완료되면 도 31과 같은 상태가 되며,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완료는 상기 높이 감지장치(1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승강장치(80)가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승강장치(80)에 구비된 자석을 감지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구동장치(40)는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모터(64)의 정지 후 상기 도어(30)는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닫힐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닫힐 수도 있다. 상기 도어(3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 29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동장치의 동작에 의해 승강장치(80)가 승강되는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 중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상하 구획된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2)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회전식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30)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전후로 인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30) 내부의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용기 및 식품이 상하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부 중 전방 공간의 영역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전체 영역 중 전방 공간의 영역에서 상기 승강장치(80)에 의해 식품이 승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부(31)의 일측에는 조작부(301) 또는 조작 장치(30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는 상기 구동장치(4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 또는 조작 장치(302)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및/또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랍부(32)에는 승강장치(80)가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를 연결하는 커넥팅 어셈블리에 의해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구성 및 구동장치(40), 승강장치(8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승강장치(80)에는 복수의 용기(3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1)는 김치통과 같은 밀폐 용기일 수 있으며, 다수개가 상기 승강장치(80)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1)는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시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361)는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32)의 상방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용기(361)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회전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20)와 간섭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승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전후 방향으로 인출되는 서랍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연속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서랍 도어(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독립적으로 인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에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서로 연결되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전제 저장 공간 중 전방 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과 상기 승강장치(80)의 승강은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후 상기 승강장치(80)의 상승, 상기 승강장치(80)의 하강 후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가 복수개로 상하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여 저장된 식품 및 용기가 상방에서 인출된 상기 서랍 도어(3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8에서는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상승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상방에 배치된 상기 서랍 도어(30)들도 모두 인출 후 내부에 구비된 승강장치(80)가 승강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방에 위치된 상기 서랍 도어(30)들의 높이가 충분히 높다면,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기 서랍 도어(30) 또는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되는 서랍 도어(30)만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3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부와 하부의 저장공간은 다시 좌우 양측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2)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 하부에 구비되며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서립식 도어(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 공간은 좌우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는 구획된 각각의 상기 하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좌우 양측에 나란하게 한쌍이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에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70)에 의해 상기 구동장치(40)와 승강장치(80)가 서로 연결되어 동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장치(80)는 상기 서랍부(32)의 전제 저장 공간 중 전방 공간(S1)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전술한 실시 예의 구성과 동일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80)가 승강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상기 서랍 도어(30) 내측의 식품 또는 용기에 접근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Claims (20)

  1. 상부 저장 공간과 하부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하부 저장 공간에 인출입 가능하게 배치되어, 수납물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서랍부;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는 구동장치;
    상기 서랍부에 구비되며, 상기 수납물을 하방에서 지지하며 교차되는 복수의 로드를 포함하는 시저스 구조의 승강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구동 장치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서랍부의 바닥에 대해 수직 및 수평 이동되는 회전 기어를 포함하는 스크류 어셈블리;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의 측방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 기어와 결합되는 기어부가 형성된 안내부재;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축과 상기 로드의 회전축을 연결하여, 상기 회전 기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로드의 회전축이 회전되어 상기 승강장치를 동작시키는 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는 상기 레버의 회전 반경을 따라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어와 상기 레버 및 상기 안내부재 또한 좌우 양측에 한쌍이 구비되며,
    상기 승강장치는 양측에 구비되는 레버들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상기 시저스 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회전 기어 및 레버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병렬배치된 상기 복수의 상기 시저스가 동시에 동일 방향으로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상기 로드의 회전축과 대응하는 일단에 개구되며, 상기 로드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축 결합홀;
    상기 로드의 타단에 장공 형상으로 개구되며, 상기 회전 기어의 회전축이 상기 레버를 관통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 기어는 상기 가이드 홀을 따라서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에는,
    상기 축 결합홀과 떨어진 일측에서 돌출되어 상기 로드와 결합되며,
    상기 로드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일측을 함께 회전시키는 레버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어셈블리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의해 회전되며, 상하 방향으로 배치되는 승강 스크류;
    상기 승강 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승강 스크류를 따라 승강되는 승강 블럭;
    상기 승강 블럭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 블럭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방으로 연장되는 수평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 기어는 상기 수평 가이드의 양측을 따라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에는 랙기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 기어의 수평 이동을 안내하는 수평 안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기어는,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는 기어축과;
    상기 기어축의 일단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평기어 형상의 회전 기어부와;
    상기 기어축의 타단에 구비되며, 상기 수평 안내부와 맞물려 회전되는 수평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스크류를 기준으로 상기 수평 안내부는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회전 기어, 상기 레버 및 상기 안내부재 또한, 상기 승강 스크류를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서랍부의 바닥에 고정되는 로어 프레임;
    상기 로어 프레임 상방에 구비되며, 식품 또는 용기를 지지하는 어퍼 프레임;
    상기 어퍼 프레임과 로어 프레임의 사이를 연결하는 복수의 상기 로드들로 구성되며, 상기 로드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어퍼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시저스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블럭의 승강에 따라 상기 회전 기어는 상기 수평 가이드 및 안내부를 따라서 수평 이동되면서 상기 레버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는 함몰부가 형성되며,
    상기 구동장치는 함몰부의 내측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에는 상기 구동장치를 차폐하는 도어 커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는 상기 레버의 축 결합홀과 대응하는 도어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서랍부의 전면에는 상기 로드의 회전축과 대응하는 서랍 개구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 개구와 서랍 개구는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로드의 회전축이 상기 축 결합홀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의 사이에는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의 결합시 상기 구동장치와 승강장치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커넥팅 어셈블리를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어셈블리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레버 및 상기 로드의 회전축들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장치의 동력을 전달하는 연결부재;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상기 연결부재를 지지하는 탄성부재;
    상기 도어부의 배면을 통해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푸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어 푸시부재의 조작시 상기 연결부재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레버 및 로드의 회전축들과 선택적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는 중공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을 통해 상기 로드의 회전축이 삽입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가압에 의해 상기 중공은 상기 로드의 회전축과 결합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된 상기 레버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레버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의 회전축으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레버 돌기와 대응하는 상기 로드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부재와 결합되는 로드 돌기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의 곡률 중심과, 상기 축 결합홀 및 상기 로드의 회전축은 동일 직선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80066985A 2018-06-11 2018-06-11 냉장고 KR102474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985A KR102474912B1 (ko) 2018-06-11 2018-06-11 냉장고
US16/230,730 US10465970B1 (en) 2018-06-11 2018-12-21 Refrigerator
EP18215227.2A EP3581865B1 (en) 2018-06-11 2018-12-2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6985A KR102474912B1 (ko) 2018-06-11 2018-06-11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322A KR20190140322A (ko) 2019-12-19
KR102474912B1 true KR102474912B1 (ko) 2022-12-06

Family

ID=64755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6985A KR102474912B1 (ko) 2018-06-11 2018-06-11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465970B1 (ko)
EP (1) EP3581865B1 (ko)
KR (1) KR1024749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856B1 (ko) * 2018-03-26 2023-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92728B1 (ko) 2018-05-08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4913B1 (ko) 2018-06-22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승강장치
KR102550745B1 (ko) * 2018-08-31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17684B1 (ko) * 2018-10-19 2023-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96480B1 (ko) * 2018-10-19 202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83877B1 (ko) * 2018-12-28 2023-10-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00082189A (ko) * 2018-12-28 2020-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79883B1 (ko) * 2018-12-28 2023-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09769B1 (ko) * 2019-01-14 202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7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38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2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7646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1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식 도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20210007639A (ko)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4A (ko)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8709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08707A (ko) 2019-07-15 2021-0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20210061708A (ko) * 2019-11-20 2021-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1186502A (zh) * 2019-12-27 2020-05-22 烟台清科嘉机器人联合研究院有限公司 可适应不平整地面环境的搬运装置
CN113531980B (zh) * 2020-01-09 2023-05-16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家用电器
CN111776997A (zh) * 2020-06-24 2020-10-16 夏安祥 一种电力维修用吊篮
US11585595B2 (en) * 2020-07-14 2023-02-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CN114132874B (zh) * 2021-12-03 2022-10-04 江苏天能海洋重工有限公司 一种海上可升降风力发电塔筒支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693B1 (ko) 2006-12-01 2008-03-18 주식회사 대창 냉장고용 선반 높이 조절 장치
KR101362377B1 (ko) 2007-02-26 2014-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식 선반조립체 및 이를 갖춘 냉장고
US20140265797A1 (en)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lift mechanism including at least one pivot arm
US20140265806A1 (en)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scissor-type lift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96479A (en) * 1987-06-30 1989-01-10 Wisecarver Martin L Clutch mechanism
KR0117198Y1 (ko) * 1995-05-30 1998-06-15 김광호 냉장고의 선반 상하이송장치
KR100471050B1 (ko) * 2002-04-30 2005-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50082330A (ko) * 2004-02-18 2005-08-23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KR100652583B1 (ko) * 2004-07-29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19732B1 (ko) * 2004-07-29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90647B1 (ko) 2004-07-2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US20060037518A1 (en) * 2004-08-17 2006-02-23 Adelardo Lopez Alba Power-operated scissor lift table
US7587907B2 (en) * 2004-11-12 2009-09-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device
KR101291208B1 (ko) * 2008-06-12 201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618128B1 (ko) * 2014-04-16 2016-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015802B1 (en) * 2014-08-12 2018-03-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8088802A1 (en) * 2016-11-10 2018-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ft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4693B1 (ko) 2006-12-01 2008-03-18 주식회사 대창 냉장고용 선반 높이 조절 장치
KR101362377B1 (ko) 2007-02-26 2014-02-1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식 선반조립체 및 이를 갖춘 냉장고
US20140265797A1 (en)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lift mechanism including at least one pivot arm
US20140265806A1 (en)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scissor-type lift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322A (ko) 2019-12-19
US10465970B1 (en) 2019-11-05
EP3581865A1 (en) 2019-12-18
EP3581865B1 (en) 2021-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4912B1 (ko) 냉장고
KR102510856B1 (ko) 냉장고
KR10247491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승강장치
KR102612600B1 (ko) 냉장고
KR102542609B1 (ko) 냉장고
KR102492728B1 (ko) 냉장고
KR20230044374A (ko) 냉장고
KR102115614B1 (ko) 냉장고
KR102640808B1 (ko) 냉장고
CN110360800B (zh) 冰箱
KR102550745B1 (ko) 냉장고
KR20230175144A (ko) 냉장고
KR102542610B1 (ko) 냉장고
KR102596480B1 (ko) 냉장고
KR102586889B1 (ko) 냉장고
KR102550220B1 (ko) 냉장고
KR102617684B1 (ko) 냉장고
KR102658254B1 (ko) 냉장고
KR102464474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