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769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769B1
KR102609769B1 KR1020190004712A KR20190004712A KR102609769B1 KR 102609769 B1 KR102609769 B1 KR 102609769B1 KR 1020190004712 A KR1020190004712 A KR 1020190004712A KR 20190004712 A KR20190004712 A KR 20190004712A KR 102609769 B1 KR102609769 B1 KR 102609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rawer
unit
refrigerator
storage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8121A (ko
Inventor
유선일
이대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0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769B1/ko
Priority to EP19909998.7A priority patent/EP3911903B1/en
Priority to CN201980087828.6A priority patent/CN113272611B/zh
Priority to US17/414,247 priority patent/US11530871B2/en
Priority to AU2019423410A priority patent/AU2019423410B2/en
Priority to PCT/KR2019/017567 priority patent/WO2020149535A1/en
Publication of KR20200088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7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제 1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 1저장부와, 상기 제 1저장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 2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 2저장부와, 상기 제 2저장공간에 인출 및 인입가능하게 구비되며, 적재 영역을 형성하는 수납 드로워와, 상기 수납 드로워를 상기 제 2저장공간에서 인출 및 인입함과 동시에 상기 적재 영역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수납 드로워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영역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 작동부와, 상기 수납 드로워의 인출 및 인입 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승강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 드로워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상기 승강 작동부를 연동시키는 인출 작동부와, 상기 수납 드로워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 드로워를 상기 인출 및 인입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장고에 구비되는 수납 드로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장고에 구비된 저장실의 온도를 소정 온도로 유지하여 음식물 등을 냉동 보관 또는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의 위치에 따라 구분하기도 한다. 예들 들어,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과,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격벽에 의해 좌측과 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냉장고에 저장되는 식품에 따라 냉장실 및 냉동실의 온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있으며, 냉동실의 온도를 냉장실의 온도와 동일하게 하여 보다 넓은 공간의 냉장실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음식물은 종류, 가공 및 포장 상태에 따라 보관 위치가 달라 질수 있으며, 냉장실 및 냉동실에는 식품을 저장하기 위한 수납선반, 수납 드로워, 바스켓 등이 현태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즉, 냉장고의 냉장실 및 냉동실에 구비된 수납선반과 수납 드로워, 바스켓 등에는 냉장 또는 냉동저장을 위한 다양한 식품들이 적절하게 보관될 수 있으며, 수납 드로워와 수납선반, 바스켓 등은 냉장실 및 냉동실과 같은 저장 공간에 다양하게 배치되어 다양한 크기와 저장 조건을 가지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수납 드로워의 경우 냉장고의 저장 공간에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납 드로워는 야채 과일 등 분리 보관이 필요한 식품이 수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인출 및 인입 조작에 의해 수납 드로워의 수납공간이 개폐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 드로워의 경우 통상적으로 냉장고의 저장 공간의 하단에 구비되며, 사용자가 냉장고의 하단에 구비되는 수납 드로워의 수납공간에 식품을 수납 및 인출하기 위해서는 수납 드로워를 인출하여 쪼그려 앉거나 허리를 숙여야 한다. 또한, 수납 드로워의 인출 및 인입 조작 또한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 구조를 개선하여 수납 드로워의 인출 및 인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 구조를 개선하여 수납 드로워의 인출 및 인입시 수납공간이 자동으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제 1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 1저장부와, 상기 제 1저장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 2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제 2저장부와, 상기 제 2저장공간에 인출 및 인입가능하게 구비되며, 적재 영역을 형성하는 수납 드로워와, 상기 수납 드로워를 상기 제 2저장공간에서 인출 및 인입함과 동시에 상기 적재 영역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수납 드로워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영역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 작동부와, 상기 수납 드로워의 인출 및 인입 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승강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 드로워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상기 승강 작동부를 연동시키는 인출 작동부와, 상기 수납 드로워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 드로워를 상기 인출 및 인입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수납 드로워는 상기 제 2저장공간을 구획하는 상부 드로워 공간 및 하부 드로워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수납 드로워는 상기 제 2저장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과, 상기 제 2저장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적재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이송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드로워 몸체와, 상기 제 2저장공간에 대하여 상기 드로워 몸체를 이송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 롤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전면 패널에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조작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2저장공간은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의 후단에 구비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수납 드로워로 전달하는 선형이송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출 작동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인출 가이드와, 상기 인출 가이드에 안내되며, 상기 수납 드로워의 인출 거리보다 짧은 인출 거리를 갖으며, 상기 승강 작동부에 연결되는 인출 바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승강 작동부는 상기 수납 드로워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적재 영역이 안착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며, 서로 교차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쌍의 제 1, 2승강링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쌍의 상기 제 1, 2승강 링크 사이에는 각 링크의 단부를 연결하는 슬라이드 바가 구비되며, 상기 한쌍의 제 1, 2승강 링크의 전방하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바에 상기 인출 바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쌍의 제 1, 2승강 링크의 전방상부 및 후방상부에 구비되는 각 슬라이드 바에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2연결 바와, 상기 제 1, 2연결 바의 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링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인출 바는 상기 한쌍의 제 1, 2승강 링크의 전방하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바에 연결되는 한쌍의 제 1, 2인출 바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제 1, 2승강 링크의 후방하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2후방 링크와, 상기 제 1후방 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인출 바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회동 링크와, 상기 제 2후방 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인출 바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회동 링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따르면,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따르면,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 구조를 개선하여 수납 드로워의 인출 및 인입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에 따르면,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 구조를 개선하여 수납 드로워의 인출 및 인입시 수납공간이 자동으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아웃터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이너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 작동부를 나태난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의 초기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의 인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의 인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의 승강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의 승강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의 인출상태 및 승강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각 구성요소들의 명칭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에 정의된 각각의 명칭들은 당업계에서 다른 명칭으로 호칭 될 수 있다.
먼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아웃터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이너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10)는 전면이 개구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위치하며 제 1저장 공간(100a)이 현성되는 제 1저장부(100)와, 제 1저장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드로워 형태로 개폐되는 제 2저장 공간(200a)을 구비하는 제 2저장부(200)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저장 공간(100a) 또는 제 2저장 공간(200a)은 식품을 보관할 수 있는 저장 공간으로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제 1저장 공간(100a) 및 제 2저장 공간(200a)이 냉장실의 사용되는 것을 일예로하여 설명하지만 냉장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 1저장 공간(100a) 또는 제 2저장 공간(200a)에 보관되는 식품의 종류 또는 온도에 따라 제 1저장 공간(100a) 및 제 2저장 공간(200a)이 각각이 냉장실/냉동실 또는 냉동실/냉장실로 선택적으로 사용되거나, 제 1저장 공간(100a) 및 제 2저장 공간(200a)이 모두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사용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제 1저장 공간(100a)의 경우 냉장고(10)의 전방으로 개방되는 개구가 형성되며, 제 1저장 공간(100a)에는 제 1저장 공간(100a)에 저장되는 식품을 적재하기 위한 다수의 선반(132)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선반(132)은 제 1저장 공간(100a)에 저장되는 식품의 종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 1저장 공간(100a)의 개구의 일측에는 제 1저장 공간(100a)을 개폐함과 동시에 제 1저장 공간(100a)과 분리되는 별도로 도어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도어(140)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도어(140)는 제 1저장 공간(100a)을 개폐함과 동시에 별도의 수납 공간인 홈바 공간을 포함하는 이너 도어(160)와, 이너 도어(160)의 수납 공간을 개폐하도록 구비되는 아웃터 도어(150)를 구비할 수 있다.
아웃터 도어(150)와 이너 도어(160)의 폭과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아웃터 도어(150)의 배면(즉, 이너 도어(160)를 향하는 면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미도시)이 상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아웃터 도어(15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아웃터 도어 가스켓(151)이 둘러진다. 그리고 아웃터 도어(150)의 회전축이 형성되는 측면의 반대 쪽 측면 가장자리 배면에는 래치 유닛(153)이 형성될 수 있다. 래치 유닛(153)은 아웃터 도어 가스켓(151)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아웃터 도어(150)의 외측면에는 냉장고(10)의 제 1저장부(100) 및 제 2저장부(20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157)와, 제 1저장부(100) 및 제 2저장부(200)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59)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너 도어(160)는 중앙부에 소정 크기의 개구부(161)가 형성되고, 이너 도어(160)의 배면에는 수납 케이스(166)가 장착된다. 개구부(161)는 이너 도어(160)가 닫히고 아웃터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에서 수납 케이스(166) 내부로 사용자의 손이 접근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아웃터 도어(150)의 배면에 둘러지는 아웃터 도어 가스켓(151)은 이너 도어(160)의 전면에 밀착되며, 개구부(161)가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둘러진다. 따라서 아웃터 도어(150)가 이너 도어(16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 즉 아웃터 도어(1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이너 도어(160)와 아웃터 도어(150) 사이로 냉기가 유출되는 현상이 차단된다.
한편, 이너 도어(160)의 개구부(161)에는 다수의 도어 바스켓(162)이 장착될 수 있다. 다수의 도어 바스켓(162)은 이너 도어(160)의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너 도어(16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도어 다이크(door dike, 165)가 돌출될 수 있고, 수납 케이스(166)의 전단부는 도어 다이크(165)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다이크(165)의 외측에 해당하는 이너 도어(160)의 배면 가장자리에는 이너 도어 가스켓(163)이 둘러진다.
따라서 이너 도어(160)가 아웃터 케이스(110)의 전면에 밀착된 상태, 즉 이너 도어(160)가 닫힌 상태에서는 이너 도어 가스켓(163)이 제 1저장부(100)의 아웃터 케이스(110)의 전면에 밀착되어, 제 1저장 공간(100a)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현상이 차단된다.
또한, 이너 도어(160)의 전면부, 구체적으로는 아웃터 도어(150)가 닫힌 상태에서 래치 유닛(153)에 대응하는 지점에 로킹 유닛(164)이 형성될 수 있다. 아웃터 도어(150)가 이너 도어(160)의 전면에 밀착되면 래치 유닛(153)이 로킹 유닛(164)에 걸려서, 아웃터 도어(150)가 닫힌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이너 도어(160)의 전면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도어 스위치(155)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스위치(155)는 아웃터 도어(150)의 회전축으로부터 먼 쪽에 배치될 수도 있고, 회전축에 가까운 지점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 2저장부(200)는 제 1저장부(1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냉장고(10)의 전방으로 인출되는 형태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납 드로워(30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저장부(200)는 제 1저장부(100)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냉장실 또는 냉동실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제 2저장부(200)의 경우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에 의해 식품이 저장되는 제 2저장 공간(200a)이 노출될 수 있으며, 복수의 수납 드로워(300)에 의해 제 2저장 공간(200a)이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수납 드로워(300)는 제 2저장부(200)의 상측 전면을 형성하는 상부 드로워(300a)와 제 2저장부(200)의 하측 전면을 형성하는 하부 드로워(300b)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 2저장 공간(200a)은 상부 드로워(300a) 및 하부 드로워(300b)를 공간적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상부 드로워 공간(200u) 및 하부 드로워 공간(200l)으로 구분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부 드로워 공간(200u) 및 하부 드로워 공간(200l)을 드로워 공간으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냉장고(10)의 내측, 제 1저장 공간(100a) 및 제 2저장 공간(200a)과 분리되는 별도의 공간에는 제 1저장 공간(100a) 및 제 2저장 공간(200a)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계실(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기계실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증발기로 이루어지는 냉매 사이클과 제 1저장 공간(100a)과 제 2저장 공간(200a)으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계실의 위치 및 구성은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수납 드로워(3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를 나타낸 부분단면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 작동부를 나태난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드로워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드로워(300)는 제 2저장부(20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드로워(300a)와 제 2저장부(20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드로워(300b)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2저장부(200)에 형성되는 제 2저장 공간(200a)은 이너 케이스(120)에 의해 상부 드로워 공간(200u)과 하부 드로워 공간(200l)으로 구획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드로워 공간(200u)과 하부 드로워 공간(200l)에는 각각 상부 드로워(300a)와 하부 드로워(300b)가 인입출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부 드로워(300a) 및 하부 드로워(300b)는 동일한 구조로 상부 및 하부로 구분되어 위치될 수 있다. 다르게는 상부 드로워(300a) 또는 하부 드로워(300b) 중 하나는 일반적인 수동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일반적인 구조의 드로워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부 드로워(300a) 또는 하부 드로워(300b) 중 나머지 하나만 자동 인출 및 인입이 가능한 드로워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부 드로워(300a) 및 하부 드로워(300b)를 설명함에 있어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수납 드로워(300)로 통칭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하지만, 상부 드로워(300a) 또는 하부 드로워(300b)의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수납 드로워(300)는 제 2저장부(20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310)과, 전면 패널(310)이 체결되며 식품 또는 용기가 저장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고 드로워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되는 드로워 몸체(320)와, 드로워 몸체(320)를 드로워 공간에서 인출 및 인입가능하게 지지하는 인출 레일(330) 및 드로워 몸체(320)를 드로워 공간에서 인출 및 인입함과 동시에 드로워 몸체(320)가 드로워 공간에서 인출됨에 따라 드로워 몸체(320)의 식품 또는 용기 적재 영역(323)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작동부(40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전면 패널(310)은 제 2저장부(200)의 전면을 형성함과 동시에 수납 드로워(300)의 전면을 형성한다. 또한 전면 패널(310)에는 작동부(40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조작부(311, 312)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311, 312)는 작동부(400)에 의해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 및 인입과 상승 및 하강이 한번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다르게는 조작부(311, 312)가 작동부(400)의 작동 중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 및 인입을 조작하는 인출 조작부(311)와, 적재 영역(323)의 상승 및 하강을 조작하는 승강 조작부(312)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인출 조작부(311)의 경우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 상태 및 인입 상태에서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을 조작하여야 함으로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 및 인입상태와 상관없이 제 2저장부(2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는 전면 패널(310)의 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조작부(312)는 수납 드로워(300)가 인출된 상태에서만 적재 영역(323)의 승강이 이루여야 하기 때문에 수납 드로워(300)가 인출된 상태에서 노출되는 전면 패널(3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인출 조작부(311) 및 승강 조작부(312)의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제 2저장부(200)의 외측 또는 제 1저장부(100)에 선택적으로 변경 될 수 있다. 또한, 인출 조작부(311) 및 승강 조작부(312)를 별도의 구성을 분리하여 설명하였으나,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적재 영역(323)의 상승 및 적재 영역(323)의 하강/수납 드로워(300)의 인입이 하나의 조작부에 의해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드로워 몸체(320)는 적재 영역(323)을 형성하도록 상부가 개방되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드로워 몸체(320)의 내측하면은 적재 영역(323)을 형성함과 동시에 작동부(400)에 의해 지지되는 이송 플레이트(322)가 형성된다. 여기서, 드로워 몸체(320)의 경우 이송 플레이트(322) 또는 적재 영역(323)에 적재되는 식품 또는 용기가 드로워 몸체(320)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경우 드로워 몸체(320)의 이송 플레이트(322) 또는 적재 영역(323)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생략될 수 있다.
한편, 수납 드로워(300)의 인입 공간을 형성하는 드로워 공간의 양측에는 드로워 몸체(320) 또는 이송 플레이트(322)를 이송 가능하게 지지하는 인출 레일(330)이 구비된다. 여기서 인출 레일(330)은 드로워 공간에서 수납 드로워(300)의 드로워 몸체(320)가 완전히 인출될 수 있도록 적어도 3단으로 연장될 수 있는 스코프타입의 레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인출 레일(330)의 경우 다양한 실시에가 가능함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그리고, 드로워 공간의 하부에는 베이스(340)가 구비되며, 베이스(340)의 상부에는 수납 드로워(300)를 인출 및 인입함과 동시에 적재 영역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작동부가 구비되며, 드로워 공간의 개구측 양측 하부에는 드로워 몸체(320)의 이송 플레이트(322)의 하면을 지지하는 한쌍의 이송 롤러(342)가 구비된다.
한편, 작동부(400)는 베이스(340)와 이송 플레이트(322) 사이에 구비되며, 베이스(340)에 대하여 이송 플레이트(322)를 드로워 공간에 대하여 인출 및 인입시키는 인출 작동부(430)와, 이송 플레이트(322)에 대하여 적재 영역(323)을 승강 및 하강시키는 승강 작동부(450)와, 인출 작동부(430) 및 승강 작동부(450)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410)가 구비된다.
구동부(41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제 1, 2모터(411, 421)와, 제 1, 2모터(411, 421)의 회전력을 감속하여 전달하는 제 1, 2감속부(412, 422)와, 제 1, 2감속부(412, 422)에 의해 감소된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제 1, 2선형이송체(413, 423) 및 제 1, 2선형이송체(413, 423)에 나사결합되어 제 1, 2선형이송체(413, 423)가 회전될 때 제 1, 2선형이송체(413, 423)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성 왕복 운동하는 제 1, 2이송너트(414, 424)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모터(411, 421) 및 제 1, 2감속부(412, 422)의 경우 드로워 공간의 가장 후방에 위치하며, 제 1, 2선형이송체(413, 423)의 경우 제 1, 2감속부(412, 422)에 연결되어 드로워 공간의 베이스(340)의 중앙부에서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 및 인입 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2이송너트(414, 424)는 제 1, 2선형이송체(413, 423)를 따라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 및 인입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송 플레이트(322)의 후방 하단에는 연결바(416)가 구비되며, 연결바(416)와 제 1, 2이송너트(414, 424)는 이송 브라켓(415)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제 1, 2이송너트(414, 424)가 제 1, 2선형이송체(413, 423)를 따라 이동되면, 제 1, 2이송너트(414, 424)에 연결된 이송 플레이트도 제 1, 2이송너트(414, 424)를 따라 이동된다. 여기서, 이송 플레이트(322)의 이송방향은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 및 인입방향과 일치한다.
여기서, 구동부(410)를 구성하는 제 1, 2모터(411, 421), 제 1, 2감속부(412, 422), 제 1, 2선형이송체(413, 423), 제 1, 2이송너트(414, 424)의 경우 복수의 구성으로 구성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단일 모터, 단일 감속부, 단일 선형이송체 및 단일 이송너트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인출 작동부(430)는 구동부(410)의 작동에 따라 인출 및 인입되는 드로워 몸체(320)의 이동을 안내하고, 드로워 몸체(320)가 일정 간격 인출되었을 때 드로워 몸체(320)의 인출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인출 작동부(430)는 승강 작동부(450)에 연결되며 이동되는 수납 드로워(300)의 이송 플레이트(322)의 이동에 연동되어 이동되고, 이송 플레이트(322) 보다 짧은 이동거리를 갖는 제 1, 2인출 바(432, 442)와, 제 1, 2인출 바(432, 442)의 이동 방향 및 이동 거리를 안내하며 제 1, 2인출 바(432, 442)가 일정 거리 이동됨에 따라 제 1, 2인출 바(432, 442)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2인출 가이드(431, 44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2인출 가이드(431, 441)는 구동부(410)의 제 1, 2선형이송체(413, 423)의 양측에 대칭되는 형태로 구비되며, 각각 제 1, 2인출 바(432, 442)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가이드홈의 끝단에는 제 1, 2인출 바(432, 442)가 일정 거리 인출되었을 때 제 1, 2인출 바(432, 442)의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턱(미도시)이 더 형성된다. 한편, 걸림턱의 위치는 제 1, 2인출 바(432, 442)가 수납 드로워(300)의 이송 플레이트(322)가 이동되는 거리보다 짧은 거리만 이동될 수 있도록 이송 플레이트(322)의 이동 거리보다 짧은 간격으로 가이드 홈의 끝단에 형성된다.
한편, 제 1, 2인출 바(432, 442)는 후술할 승강 작동부(450)의 전방하부 슬라이드 바(47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승강 작동부(450)에 작동력을 전달한다. 이러한 제 1, 2인출 바(432, 442)는 승강 작동부(450)와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다수의 절곡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2인출 바(432, 442) 중 어느 하나는 승강 작동부(450)와의 연결을 위하여 별도의 연장 연결부(445)가 더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 2인출 바(442)에서 연장 연결부(445)가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승강 작동부(45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플레이트(322)에 구비되어 이송 플레이트(322)의 이동에 따라 드로워 몸체(320) 또는 적재 영역(323)을 승강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승강 작동부(450)는 이송 플레이트(322)에 고정되는 하부 프레임(453)과 하부 프레임(453)의 상측에 하부 프레임(453)과 분리되어 구비되는 상부 프레임(451)과, 하부 프레임(453)과 상부 프레임(451)을 연결하고 이송 플레이트(322)의 이송에 따라 상부 프레임(451)을 승강시키는 제 1, 2승강링크(455, 456)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2승강링크(455, 456)는 각각 상부 프레임(451)과 하부 프레임(453)의 양측에 대칭되는 한쌍으로 형성되며, 양측 각 제 1, 2승강링크(455, 456)는 중앙부에 회동축(457)을 갖는 형태로 교차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451)과 하부 프레임(453)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 1, 2승강링크(455, 456)들의 끝단에는 각각 전방상부 슬라이드 바(461), 후방상부 슬라이드 바(462), 전방하부 슬라이드 바(471), 후방하부 슬라이드 바(472)가 각 제 1, 2승강링크(455, 456)를 관통하여 구비되며, 각 슬라이드 바(461, 462, 471, 472)의 양단에는 상부 이송롤러(463) 및 하부 이송롤러(473)가 구비된다.
또한, 상부 프레임(451)과 하부 프레임(453)의 내측으로는 상부 이송롤러(463) 및 하부 이송롤러(473)가 이송가능하게 삽입되는 상부 가이드 홈(452) 및 하부 가이드 홈(454)이 각각 형성되며, 제 1, 2승강링크(455, 456)의 작동에 따라 상부 프레임(451)이 승강될 때 상부 이송롤러(463) 및 하부 이송롤러(473)가 상부 가이드 홈(452) 및 하부 가이드 홈(454)을 따라 이동되면서 상부 프레임(451)을 상승 및 하강시킨다.
한편, 승강 작동부(450)의 전방하부 슬라이드 바(471)에는 제 1, 2인출 바(432, 442)에 형성되는 제 1, 2연결부(433, 443)가 연결된다. 후방하부 슬라이드 바(472)에는 제 1, 2후방링크(474, 476)가 연결되며 제 1, 2후방링크(474, 476)에는 각각 제 1, 2인출 바(432, 442)에 교차되여 연결되는 제 1, 2회동링크(475, 477)가 연결된다. 여기서, 제 1후방링크(474)에 연결된 제 1회동링크(475)는 제 2인출 바(442)에 구비되는 연장 연결부(445)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2후방링크(476)에 연결된 제 2회동링크(477)는 제 1인출 바(432)에 연결된다.
또한, 제 1회동링크(475)와 제 2회동링크(477)의 중심은 하부 회동축(478)에 의해 교차되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제 1, 2후방링크(474, 476) 및 제 1, 2회동링크(475, 477)들은 상호간에 간섭 및 제 1, 2인출 바(432, 442)들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측 또는 하측으로 굴절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승강 작동부(450)의 전방상부 슬라이드 바(461)와 후방상부 슬라이드 바(462)에는 전방상부 슬라이드 바(461)와 후방상부 슬라이드 바(462)에 각각 슬라이드 이동되며 마주하는 후방상부 슬라이드 바(462)와 전방상부 슬라이드 바(461) 측으로 연장되는 전방상부 연결바(464)와 후방상부 연결바(465)가 구비된다.
여기서, 전방상부 연결바(464)와 후방상부 연결바(465)의 단부에는 전방상부 연결바(464)와 후방상부 연결바(465)를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상부 연결링크(467)가 구비된다. 또한, 상부 연결링크(467)는 중앙부가 상부 프레임(451)의 중앙부에 상부 회동축(468)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이하, 첨부한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납 드로워(300)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각각의 요소들은 상술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하여 이해하여야 한다.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수납 드로워(300)의 초기 위치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의 수납 드로워(300)의 초기 위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에 도실한 바와 같이 수납 드로워(300)의 초기 상태는 수납 드로워(300)가 제 2저장부(200)의 드로워 공간에 수납된 상태이다. 이때 구동부(410)의 상태는 구동부(410)의 제 1, 2이송너트(414, 424)가 제 1, 2선형이송체(413, 423)의 가장 후단에 위치하는 상태이며, 제 1, 2이송너트(414, 424)에 연결된 이송 브라켓(415) 및 연결바(416)에 의해 연동되는 드로워 몸체(320)도 드로워 공간에 완전히 인입된 상태이다.
또한, 인출 작동부(430)의 제 1, 2인출 바(432, 442)의 경우 제 1, 2인출 가이드(431, 441)의 가장 후방으로 삽입된 상태이며 제 1, 2인출 가이드(431, 441)에 연결되는 승강 작동부(450)의 경우 교차되어 구비되는 제 1, 2승강링크(455, 456)가 완전히 벌어져 제 1, 2승강링크(455, 456)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하는 상부 프레임(451)과 하부 프레임(453)의 간격이 가장 좁게 형성되어 있는 상태이다.
한편, 사용자가 전면 패널(310)에 구비되는 인출 조작부(311) 또는 승강 조작부(312)를 조작하여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인출 작동 조작을 진행되면 구동부(410)의 제 1, 2모터(411, 421)가 수납 드로워(30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작동된다.
이하, 도 9 내지 조 10을 참조하여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 상태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의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10)의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9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2모터(411, 421)가 작동되면, 제 1, 2모터(411, 421)의 회전력은 제 1, 2감속부(412, 422)에 의해 감속되어 제 1, 2선형이송체(413, 423)를 회전시켜, 제 1, 2선형이송체(413, 423)에 구비되는 제 1, 2이송너트(414, 424)를 수납 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 1, 2이송너트(414, 424)가 이송됨에 따라 제 1, 2이송너트(414, 424)에 연결되는 이송 브라켓(415) 및 연결바(416)가 이동되며, 연결바(416)가 체결된 이송 플레이트(322)가 수납 드로워(30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한편, 이송 플레이트(322)가 수납 드로워(300)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송 플레이트(322)와 같이 이동되는 승강 작동부(450)에 연결된 제 1, 2인출 바(432, 442)가 제 1, 2인출 가이드(431, 441)를 따라 이송 플레이트(322)와 같이 이동되며, 이동되는 제 1, 2인출 바(432, 442)는 제 1, 2인출 가이드(431, 441)의 걸림턱에 거치되어 일정 거리(D1)이상의 이동이 제한되며, 승강 작동부(450)의 작동 위치까지 이동된다.
이때, 승강 작동부(450)의 상태는 수납 드로워(300)의 초기 상태와 동일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승강 작동부(450)의 제 1, 2승강링크(455, 456)는 상부 프레임(451)과 하부 프레임(453)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2승강링크(455, 456)의 전방상부 슬라이드 바(461) 및 후방상부 슬라이드 바(462)와, 전방하부 슬라이드 바(471) 및 후방하부 슬라이드 바(472)의 간격도 가장 넓은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전방상부 슬라이드 바(461) 및 후방상부 슬라이드 바(462)에 구비되는 전방상부 연결바(464)와 후방상부 연결바(465)의 상부 연결링크(467)도 일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후방하부 슬라이드 바(472)의 제 1후방링크(474)에 연결되는 제 1회동링크(475)는 타측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고, 후방하부 슬라이드 바(472)의 제 2후방링크(476)에 연결되는 제 2회동링크(477)는 일측 방향으로 회동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하,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수납 드로워(300)의 승강 상태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의 승강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의 승강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수납 드로워의 인출상태 및 승강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 작동부(450)의 작동을 위해서는 구동부(410)에 의해 이송 플레이트(322)가 소정 간격(D2)만큼 더 이동된다. 이때 승강 작동부(450)의 전방하부 슬라이드 바(471)에는 인출 작동부(430)의 제 1, 2인출 바(432, 442)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 1, 2인출 바(432, 442)는 제 1, 2인출 가이드(431, 441)에 의해 이송 플레이트(322)의 인출 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이송 플레이트(322)가 소정 간격(D2)만큼 추가 이동되어도 승강 작동부(450)의 전방하부 슬라이드 바(471)의 이동은 제한되어 있어 전방하부 슬라이드 바(471)가 구비되는 제 1, 2승강링크(455, 456)가 연동되어 제 1, 2승강링크(455, 456)의 전방하부 슬라이드 바(471)와 후방하부 슬라이드 바(472) 및 전방상부 슬라이드 바(461)와 후방상부 슬라이드 바(462)의 간격이 좁아 지면서 상부 프레임(451)이 하부 프레임(453)에 대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때 전방하부 슬라이드 바(471)와 후방하부 슬라이드 바(472)는 하부 이송롤러(473)에 의해 하부 프레임(453)에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 홈(454)을 따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근하게 되며, 전방상부 슬라이드 바(461)와 후방상부 슬라이드 바(462)는 상부 이송 롤러(342)에 의해 상부 프레임(451)에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 홈(452)을 따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접근한다.
또한, 전방하부 슬라이드 바(471)와 후방하부 슬라이드 바(472)의 간격이 좁아짐과 동시에 후방하부 슬라이드 바(472)의 제 1후방링크(474)에 연결된 제 1회동링크(475)는 하부 회동축(478)을 중심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동되며, 후방하부 슬라이드 바(472)의 제 2후방링크(476)에 연결된 제 2회동링크(477)는 하부 회동축(478)을 중심으로 타측 방향으로 회동된다.
또한, 전방상부 슬라이드 바(461)와 후방상부 슬라이드 바(462)의 간격이 좁아짐과 동시에 전방상부 슬라이드 바(461)와 후방상부 슬라이드 바(462)에 구비되는 전방상부 연결바(464) 및 후방상부 연결바(465)를 연결하는 상부 연결링크(467)도 상부 회동축(468)을 중심으로 타측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승강 작동부(450)의 상부 프레임(451) 및 하부 프레임(453)과, 상부 프레임(451)에 안착되어 적재 영역(323)을 형성하는 드로워 몸체(320)의 경우 이송 플레이트(322)에 대하여 수평 위치가 변하지 않는 상태에서 적재 영역(323)을 수직방향으로 승강 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납 드로워(300)의 인입의 경우 사용자의 인출 조작부(311) 및 승강 조작부(312) 조작에 의해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드로워(30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 및 인입과, 적재 영역(323)의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수납 드로워(300)가 냉장고(10)의 하부에 배치된 경우 수납 드로워(300)에 식품 또는 용기를 수납할 때 허리를 과도하게 숙이거나 신품 및 용기를 인출하기 위하여 과도한 힘을 들이지 않아도 되어 사용 편의성을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드로위(300)는 단순 조작을 통해 냉장고(10)의 외측으로 인출된 후 적재 영역(323)이 상승될 수 있으며, 단순 조작을 통해 적재 영역(323)이 하강된 후 인입될 수 있게 되어 사용 편의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납 드로워(300)는 구동부(410)의 단일 작동만으로 수납 드로워(300)의 인출 및 인입과 적재 영역(323)의 상승 및 하강을 구현할 수 있어 구조의 단순화를 이룰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10: 냉장고 100: 제 1저장부
100a: 제 1저장 공간 110: 아웃터 케이스
120: 이너 케이스 130: 고정 선반
150: 아웃터 도어 160: 이너 도어
200: 제 2저장부 200a: 제 2저장 공간
200u: 상부 드로워 공간 200l: 하부 드로워 공간
300: 수납 드로워 300a: 상부 드로워
300b: 하부 드로워 310: 전면 패널
320: 드로워 몸체 322: 이송 플레이트
323: 적재 영역 324: 베이스
400: 작동부 410: 구동부
411, 421: 제 1, 2모터 413, 423: 제 1, 2선형이송체
415: 이송브라켓 416: 연결바
4430: 인출 작동부 431, 441: 제 1, 2인출 가이드
432, 442: 제 1, 2인출 바 450: 승강 작동부
451: 상부 프레임 452: 하부 프레임
455, 456: 제 1, 2승강링크 461: 전방상부 슬라이드 바
462: 후방상부 슬라이드 바 464: 전방상부 연결바
465: 후방상부 연결바 467: 상부 연결링크
471: 전방하부 슬라이드 바 472: 후방하부 슬라이드 바
474, 476: 제 1, 2후방링크 475, 477: 제 1, 2회동링크

Claims (10)

  1. 제 1저장 공간을 형성하는 제 1저장부와,
    상기 제 1저장부의 하부에 구비되며, 제 2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2저장공간의 저면을 형성하는 베이스를 구비하는 제 2저장부와,
    상기 제 2저장공간에 인출 및 인입가능하게 구비되며, 적재 영역을 형성하는 수납 드로워와,
    상기 수납 드로워를 상기 제 2저장공간에서 인출 및 인입함과 동시에 상기 적재 영역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작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수납 드로워에 구비되어 상기 적재영역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승강 작동부와,
    상기 수납 드로워의 인출 및 인입 방향을 안내하고, 상기 승강 작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 드로워 인출 및 인입에 따라 상기 승강 작동부를 연동시키는 인출 작동부와,
    상기 수납 드로워에 연결되어 상기 수납 드로워를 상기 인출 및 인입하는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 드로워는
    상기 제 2저장부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패널과,
    상기 제 2저장공간에 삽입되며, 상기 적재영역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이송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드로워 몸체와,
    상기 제 2저장공간에 대하여 상기 드로워 몸체를 이송가능하게 지지하는 이송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 작동부는
    상기 베이스에 구비되는 인출 가이드와,
    상기 인출 가이드에 안내되며, 상기 수납 드로워의 인출 거리보다 짧은 인출 거리를 갖으며, 상기 승강 작동부에 연결되는 인출 바를 구비하고,
    상기 승강 작동부는
    상기 수납 드로워에 구비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적재 영역이 안착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며, 서로 교차되어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한쌍의 제 1, 2승강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상기 제 1, 2승강 링크 사이에는 상기 제 1, 2승강 링크의 단부를 연결하는 슬라이드 바가 더 구비되고,
    상기 한쌍의 제 1, 2승강 링크의 전방하부에 위치하는 슬라이드 바에는 상기 인출 바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드로워는 상기 제 2저장공간을 구획하는 상부 드로워 공간 및 하부 드로워 공간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패널에는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조작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의 후단에 구비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수납 드로워로 전달하는 선형이송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 1, 2승강 링크의 전방상부 및 후방상부에 구비되는 각 슬라이드 바에 각각 대향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 1, 2연결바와,
    상기 제 1, 2연결 바의 단부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 바는 상기 한쌍의 제 1, 2승강 링크의 전방하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 바에 연결되는 한쌍의 제 1, 2인출 바를 구비하며,
    상기 한쌍의 제 1, 2승강 링크의 후방하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대향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 1, 2후방 링크와,
    상기 제 1후방 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2인출 바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회동 링크와,
    상기 제 2후방 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 1인출 바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회동 링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90004712A 2019-01-14 2019-01-14 냉장고 KR102609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712A KR102609769B1 (ko) 2019-01-14 2019-01-14 냉장고
EP19909998.7A EP3911903B1 (en) 2019-01-14 2019-12-12 Refrigerator
CN201980087828.6A CN113272611B (zh) 2019-01-14 2019-12-12 冰箱
US17/414,247 US11530871B2 (en) 2019-01-14 2019-12-12 Refrigerator
AU2019423410A AU2019423410B2 (en) 2019-01-14 2019-12-12 Refrigerator
PCT/KR2019/017567 WO2020149535A1 (en) 2019-01-14 2019-12-1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712A KR102609769B1 (ko) 2019-01-14 2019-01-14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121A KR20200088121A (ko) 2020-07-22
KR102609769B1 true KR102609769B1 (ko) 2023-12-05

Family

ID=7161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712A KR102609769B1 (ko) 2019-01-14 2019-01-14 냉장고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530871B2 (ko)
EP (1) EP3911903B1 (ko)
KR (1) KR102609769B1 (ko)
CN (1) CN113272611B (ko)
AU (1) AU2019423410B2 (ko)
WO (1) WO20201495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130185A1 (de) * 2020-11-16 2022-05-19 Paul Hettich Gmbh & Co. Kg Haushaltsgerät mit einem Lagerbehälter
DE102020130186A1 (de) * 2020-11-16 2022-05-19 Paul Hettich Gmbh & Co. Kg Haushaltsgerät mit einem Lagerbehälter
CN114017972B (zh) * 2021-12-07 2023-11-03 重庆海尔制冷电器有限公司 冰箱及其控制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245B1 (ko) * 2011-10-14 2012-08-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평형 유지형 승하강 전동 침대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48182A (de) * 1972-04-19 1974-04-30 Sperry Rand Corp Vorrichtung fuer schubladenschrank, zum aus- und einfahren der schubladen.
JPH05296647A (ja) * 1992-04-14 1993-11-09 Toshiba Corp 冷蔵庫
JP2002264943A (ja) 2001-03-12 2002-09-18 Matsushita Refrig Co Ltd 容量可変容器および容量可変容器を備えた冷蔵庫
KR20050097188A (ko) * 2004-03-31 2005-10-07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장치를 갖춘 저장고
AU2004242445B2 (en) * 2004-07-16 2006-02-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KR100590332B1 (ko) * 2004-07-22 2006-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 냉장고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100619732B1 (ko) * 2004-07-29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90647B1 (ko) 2004-07-2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52583B1 (ko) * 2004-07-29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60025806A (ko) * 2004-09-17 200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700777B1 (ko) * 2005-03-02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바스켓 구동장치
US7628461B2 (en) * 2006-07-20 2009-12-08 Maytag Corporation Bottom mount refrigerator having an elevating freezer basket
KR20080101334A (ko) * 2007-05-17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8827390B2 (en) * 2012-07-19 2014-09-0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with features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container
CN203016177U (zh) * 2012-12-27 2013-06-26 廊坊博瑞德家具有限公司 多功能升降折叠桌
US9107494B2 (en) * 2013-03-14 2015-08-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lift mechanism including at least one pivot arm
US9377238B2 (en) * 2013-03-14 2016-06-2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scissor-type lift mechanism
CN203302643U (zh) * 2013-03-14 2013-11-27 青岛大学 一种新型的衣柜
CN204198342U (zh) * 2014-10-20 2015-03-11 宁波艾谱实业有限公司 一种保险柜电动升降台及其保险柜
DE102015211495B4 (de) * 2015-06-22 2017-12-14 BSH Hausgeräte GmbH Hebevorrichtung und Geschirrspülmaschine
KR20160099523A (ko) 2016-08-10 2016-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자동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2309149B1 (ko) 2017-06-20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309146B1 (ko) * 2017-06-20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309154B1 (ko) * 2017-06-20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403815B1 (ko) * 2017-06-20 2022-05-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90109069A (ko) * 2018-03-16 2019-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64922B1 (ko) * 2018-03-26 202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4912B1 (ko) * 2018-06-11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208897109U (zh) * 2018-08-14 2019-05-24 连云港赣榆腾飞机械铸造有限公司 一种起重机配件搬运装置
KR102595327B1 (ko) * 2018-08-30 2023-10-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42610B1 (ko) * 2018-08-31 2023-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50745B1 (ko) * 2018-08-31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96480B1 (ko) * 2018-10-19 202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8A (ko)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1245B1 (ko) * 2011-10-14 2012-08-06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평형 유지형 승하강 전동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30871B2 (en) 2022-12-20
EP3911903A1 (en) 2021-11-24
CN113272611B (zh) 2023-07-21
KR20200088121A (ko) 2020-07-22
EP3911903A4 (en) 2022-09-28
WO2020149535A1 (en) 2020-07-23
EP3911903B1 (en) 2024-02-21
AU2019423410A1 (en) 2021-09-09
CN113272611A (zh) 2021-08-17
US20220026142A1 (en) 2022-01-27
AU2019423410B2 (en)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09769B1 (ko) 냉장고
EP2438373B1 (en) Refrigerator
KR102043198B1 (ko) 냉장고
KR102040607B1 (ko) 냉장고
EP2728284B1 (en) Refrigerator
EP2775238B1 (en) Refrigerator
CN102042740B (zh) 带有分体式搁架的冰箱
US20070199334A1 (en) Apparatus for elevating the interior contents of a refrigeration unit
EP2725314B1 (en) Refrigerator
KR20080067409A (ko) 냉장고
KR102583505B1 (ko) 냉장고
EP2594878A2 (en) Refrigerator
KR101717517B1 (ko) 냉장고
KR102043201B1 (ko) 냉장고
KR20100070512A (ko) 냉장고 및 냉장고 선반 높이 조절장치
CN101430158B (zh) 储藏箱
KR101035169B1 (ko) 냉장고의 이중서랍
CN113310278A (zh) 冰箱
KR100540076B1 (ko) 서랍형 냉장고의 수납물품 인출저장장치
KR100782183B1 (ko) 냉장고 이중서랍
KR102465631B1 (ko) 냉장고용 높이조절 선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LU502562B1 (en) Vehicle-mounted multi-temperature automatic co-distribution refrigerator
KR0123450B1 (ko) 냉장고도아 개폐장치
KR20210123948A (ko) 냉장고
KR101096820B1 (ko) 냉장고의 이중서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