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492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4922B1
KR102464922B1 KR1020180034718A KR20180034718A KR102464922B1 KR 102464922 B1 KR102464922 B1 KR 102464922B1 KR 1020180034718 A KR1020180034718 A KR 1020180034718A KR 20180034718 A KR20180034718 A KR 20180034718A KR 102464922 B1 KR102464922 B1 KR 102464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shutter
elevating
door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2567A (ko
Inventor
최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4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4922B1/ko
Priority to US16/230,455 priority patent/US10724788B2/en
Priority to CN201910096737.0A priority patent/CN110360800B/zh
Priority to EP19163338.7A priority patent/EP3546865B1/en
Publication of KR20190112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2567A/ko
Priority to US16/881,774 priority patent/US1104761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4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4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66F7/025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screw oper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2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51/00Cabinets with means for moving compartments up and 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상부 저장공간과 하부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부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 상기 서랍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식품이 안착되는 지지부재;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부에서 상기 서랍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 { Refrigerator }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냉장고 도어는 회동에 의해 저장공간이 개폐되는 회동식 도어와, 서랍식으로 인출입 되는 서랍 도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는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서랍 도어가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서랍 도 내부에 수용된 바스켓 또는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야 하며, 상기 바스켓 또는 식품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바스켓을 보다 사용에 불편을 느끼거나 부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랍 도어가 승강 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6-0006321호에는 인출입되는 도어의 배면에 복수의 승강 레일과 바스켓이 놓여지는 승강 프레임이 구비되고 모터와 구동암의 구동에 의해 바스켓이 승강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바스켓 전체가 승강되는 구조로 승강 동작시 안정성이 떨어지며, 좌우 균형이 맞지 않을 경우 승강 동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바스켓의 승강을 위해서는 상기 바스켓 전체가 고외측으로 인출되어야 하며, 바스켓 전체가 인출되는 구조에서는 도어와 냉장고 본체를 연결하는 레일 구조가 불안정할 수 있으며,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승강을 위해 무거운 구성들이 도어에 집중 배치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하게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바스켓의 승강을 위한 구성들이 도어의 배면과 바스켓의 하방에 모두 노출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도어의 인출입 또는 승강시 사용자의 안전에 문제가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식으로 인출되는 서랍 도어의 내부 일부가 승강되어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전기 장치가 서랍 도어의 도어부에 모두 구비되고, 도어부와 서랍부의 분리가 가능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안전성 및 서비스성이 향상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부의 내부에 승강 가능한 지지부재가 배치되고, 도어에 구동되는 승강 어셈블리가 동작되어 서랍부 내부의 지지부재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부의 전체 중 전반부 일부가 캐비닛의 외측으로 인출되고 후반부 일부는 상기 캐비닛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 내측의 지지부재가 승강될 수 있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부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승강되는 승강부재의 경로를 차폐하여 외관을 개선하고 동작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서랍 도어의 일부를 차폐시킬 수 있는 승강 어셈블리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승강 기능의 사용 여부에 따라 승강 어셈블리 중 승강부재를 용이하게 분리 장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편의성과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인출입 되는 도어의 도어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가 구비되고, 서랍부에 지지부재의 승강을 위한 승강부재가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는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도어부의 구동장치에 장착되며, 상기 서랍부를 관통하여 상기 서랍부 내측으로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랍부의 내부는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부재는 전방 공간에서 승강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전방 공간까지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는 상기 서랍부의 상기 전방 공간이 캐비닛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후방 공간의 일부는 상기 캐비닛 내측에 위치되는 상태에서 동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랍부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관통되고,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장치에는 상기 승강부재와 함께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 장치의 개구를 개폐하는 셔터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부 저장공간과 하부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부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 상기 서랍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식품이 안착되는 지지부재;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부에서 상기 서랍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랍부는 상기 서랍부가 인출되는 방향의 상기 전방 공간과, 상기 전방 공간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방 공간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전방 공간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전방공간이 상기 캐비닛의 외측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위치에서 동작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랍부에는 상기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을 구획하는 서랍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서랍 커버는 상기 후방 공간을 차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부재는 좌우 양측에 이격된 한쌍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 장치는 한쌍의 상기 승강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서랍부 전면에 구비되어, 각각의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관통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부 배면의 함몰된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서랍부의 전면에 의해 차폐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 고정 장착되며, 상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구동장치가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의 상기 이격된 공간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한쌍의 승강 샤프트; 나사산이 형성된 한쌍의 상기 승강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승강 샤프트를 따라 상하 이동되며, 상기 승강부재가 장착되는 승강 블럭;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구동장치는, 한쌍의 상기 승강 샤프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 모터와; 상기 승강 모터 및 한쌍의 상기 승강 샤프트를 연결하는 다수의 기어들로 구성되어 한쌍의 상기 승강 샤프트가 동시에 같은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 모터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는 상기 승강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승강 블럭에는 상기 승강 블럭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모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모터 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부와 접하는 상기 서랍부의 전면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통과된 상태로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개구되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서랍부 전면의 서랍 개구에 장착되며, 상기 승강부재가 관통되어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가이드 홀을 차폐하도록 상하 연속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셔터; 상기 가이드 홀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셔터가 상하 승강 되도록 형성되는 셔터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셔터 하방의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시 상기 셔터를 밀어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시 상기 셔터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셔터 가이드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셔터 양단을 수용하도록 함몰되어 상기 셔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는 전후 방향으로 상기 셔터와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셔터의 상승시 상기 셔터가 전후 방향으로 포개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가이드 홀의 상방에는 상기 다수의 셔터들이 상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포개어진 상기 다수의 셔터들을 모두 차폐하는 차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차폐부의 전방에서 상기 차폐부의 상단까지 연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셔터의 양면 상단과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에는 상기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가 삽입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부 홈과 하부 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셔터가 가장 하방에 위치될 때 상기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는 상기 상부 홈과 하부 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복수의 상기 셔터의 외측면이 모두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복수의 셔터가 모두 가장 하방에 위치되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셔터 외측면과 상기 서랍부의 내측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셔터는,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 셔터와,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 셔터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셔터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 셔터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절곡되는 셔터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서랍부의 내측면은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셔터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와 동일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 공간의 내측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과 접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는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서랍 도어 내부의 수납 공간의 일부가 승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방에 배치되는 서랍 도어 내부의 식품의 수납시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무게가 무거운 식품 또는 식품이 수납된 용기를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많은 힘을 주어 식품 또는 용기를 들어올려야 하지만, 서랍 도어 내부의 지지부재가 승강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사용이 편리한 위치까지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사용상 편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는 도어부와 서랍부의 결합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의 승강을 위한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부에 장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의 분리 결합에 의해 상기 승강 어셈블리의 용이한 서비스가 가능하며, 상기 서랍부 내부의 청소 또한 안전하고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부에서 상기 서랍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승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여 상기 지지부재가 상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의 승강을 위한 구성이 상기 서랍부에 의해 가려질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재는 지지부재에 의해 가려지게 되어 외관이 개선되고 사용 안전성이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의 내부에 식품 또는 용기가 안착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도어부에서 서랍부로 관통되는 승강부재가 상기 지지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서랍부의 내측에서 승강될 수 있으며, 승강을 위한 기구 장치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서랍부 전체가 아닌 상기 서랍부 내부의 지지부재가 승강되도록 하며, 승강시 지지부재가 유동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을 구획된 상기 서랍부의 내측에서 전방 공간과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서랍부는 전방 공간이 상기 캐비닛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후방 공간은 상기 캐비닛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후방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서랍부의 인출거리가 종래의 기술에 비해 짧아지게 되며, 보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출거리의 제한으로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도어의 인출입을 위한 구조의 추가적인 보강 구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의 내부에 식품 또는 용기가 안착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도어부에서 서랍부로 관통되는 승강부재가 상기 지지부재를 승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서랍부의 내측에서 승강될 수 있으며, 승강을 위한 기구 장치의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서랍부 전체가 아닌 상기 서랍부 내부의 지지부재가 승강되도록 하며, 승강시 지지부재가 유동되거나 분리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승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을 구획된 상기 서랍부의 내측에서 전방 공간과 대응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서랍부는 전방 공간이 상기 캐비닛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후방 공간은 상기 캐비닛 내측에 위치된 상태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후방 공간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캐비닛 내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상기 서랍부의 인출거리가 종래의 기술에 비해 짧아지게 되며, 보다 안정적인 상태에서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인출거리의 제한으로 안정성 및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도어의 인출입을 위한 구조의 추가적인 보강 구조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관통되는 공간 및 상기 승강부재가 상하 이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가이드 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 즉, 상기 지지부재의 승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 장치에는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시 상기 승강부재가 관통되는 가이드 홀을 차폐할 수 있도록 하여 승강되는 구조를 가지는 승강부재의 경로를 차폐하여 서랍부의 내부로 개구된 부분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 내부로 개구된 공간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식품이나 사용자의 신체가 끼거나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상 안전성의 향상은 물론 외관이 개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승강부재에 의해 상하 이동되는 다수의 셔터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홀이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 홀을 차폐한 상태에서는 상기 다수의 셔터는 물론 상기 서랍부 내측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하여 외관을 보다 개선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 내측면을 형성하는 이너 플레이트와 동일 소재로 형성되어 외관을 한층더 개선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다수의 상기 셔터들은 상기 승강부재의 승강시에 함께 이동되며,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시에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별도의 동력원 없이도 간단한 구조로 상기 가이드 홀을 개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와 용이하게 분리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 장치의 개구를 통해 탈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 내부의 승강 기능의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즉, 승강 기능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서랍부의 내용적을 늘리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재를 간단히 분리하고, 승강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승강부재를 장착하게 된다. 이처러 승강 어셈블리 전체의 분리 장착 없이도 상기 도어부와 서랍부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의 용이한 탈착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 도어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서랍 도어가 분해 된 모습을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서랍 도어가 분해 된 모습을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승강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상기 승강 어셈블리가 상승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상기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이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 프레임의 본 사시도이다.
도 11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종단면도이다.
도 12a는 상기 가이드 장치가 모두 차폐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b는 상기 가이드 장치가 일부 차폐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c는 상기 가이드 장치가 모두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상기 승강 어셈블리가 가장 하방에 위치되었을 때의 상기 가이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가 가장 상방에 위치되었을 때의 상기 가이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상기 서랍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상기 서랍 도어가 승강을 위해 인출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서랍 도어가 상승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9는 상기 서랍 도어가 상승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 도어가 상승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 도어가 상승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 도어가 상승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는 도어(2)에 의해 외형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10) 상부의 공간은 냉장실로, 하부의 공간은 냉동실로 구획될 수 있다. 물론, 상부의 공간과 하부의 공간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아닌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부 저장공간 및 하부 저장공간으로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2)는 회전에 의해 상부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하부 저장공간을 서랍식으로 인출입에 의해 개폐하는 서랍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공간은 다시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부 서랍 도어(30)와 하부 서랍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는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어 전면으로 노츨되는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가 함께 배치되는 냉장고를 기준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랍식으로 인출입되는 도어가 구비되는 모든 타입의 냉장고에 적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회전 도어(20)의 전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조 또는 88세그먼트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의 외관이 금속 소재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미세한 홀이 다수개 타공되어 투과되는 빛에 의해 정보를 표시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의 일측에는 상기 상부 도어(2) 또는 하부 도어(2)의 자동 회전 또는 인출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디스플레이(21)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터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냉장고(1)의 전체적인 동작을 조작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또는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지지부재(35)의 승강을 조작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에도 조작부(301)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 중 가장 하부에 위치된 서랍 도어(30)의 일측에 상기 조작부(3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01)는 터치 또는 버튼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301)는 사용자의 근접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의해 조작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하단에 조작장치(302)가 구비되어 영상을 바닥면에 조사하여 가상의 스위치를 출력하고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접근하는 방식으로 조작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는 상기 조작부(301)의 조작에 따라서 자동으로 인출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의 내부에 구비되는 식품 또는 용기가 승강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는 다수의 조작을 위한 장치들(22,301,3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의해 자동 인출입 및/또는 자동 승강이 조작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다수의 조작을 위한 장치들(22,301,302) 중 어느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며,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상기 하부 서랍 도어(30)를 서랍 도어라 부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서랍 도어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서랍 도어의 용기가 분리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31)와, 상기 도어부(31) 배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부(31)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는 상기 캐비닛(10)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 내측에 배치되어 수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결합되어 전후 방향으로 함께 인출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는 상시 도어부(31)의 배면에 위치되며, 저장을 위한 식품 또는 용기가 수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상면이 개구된 상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과 외측면은 금속소재로 된 다수의 플레이트들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플레이트들은 스테인레스와 같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외관이 깔끔하고 고급스럽게 보일 수 있으며, 주위 냉기에 의한 열전달에 의해 상기 서랍부(32) 내부 전체가 균일하게 냉각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후방에는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이 구비되는 기계실(3)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후반부는 상단이 하단보다 더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후면은 경사면(32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에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을 안내할 수 있는 인출입 레일(3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캐비닛(10)에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 가능한 레일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의 양측면 하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배치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 구비되며 언더레일이라 부를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하면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은 양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과 연계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자동 인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조작부(22,301)의 조작 입력시 상기 인출입 모터(도 17에서 14)가 구동되어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인출입 랙(34)의 이동에 따라 인출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안정적인 인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물론, 상기 서랍부(32)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도어부(31)의 일측을 잡고 밀거나 당겨서 상기 서랍 도어(30)를 직접 인출입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상기 서랍부(32)의 내부는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나뉠 수 있다. 상기 전방 공간(S1)은 상하로 승강되는 지지부재(35)와,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되어 상기 지지부재(35)와 함께 승강되는 용기(3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는 상부가 개방된 바스켓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김치통과 같은 밀폐형 상자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다수개가 적층되거나 나란히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거리의 제한으로 상기 서랍부(32)의 전체가 상기 저장공간의 밖으로 인출될 수는 없으며, 적어도 상기 전방 공간(S1)이 상기 저장 공간 밖으로 인출되고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체 또는 일부는 상기 캐비닛 내부의 저장공간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구조적인 특성상 인출 거리가 길어질수록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30)에 가해지는 모멘트가 커지게 되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게 되고 상기 인출입 레일(33) 또는 인출입 랙(34)의 변형 또는 파손을 초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승강을 위한 추가의 장치들이 상기 서랍 도어(30)에 구비되는 상태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중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에 필수적인 전방 공간만이 상기 캐비닛(10)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상기 지지부재(35)가 승강 가능한 최소 거리만큼 상기 서랍부(32)가 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방 공간(S1)의 내부에는 지지부재(35)가 수용되며, 상기 지지부재(35)는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가 함께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는 승강되는 식품 또는 용기가 실질적으로 안착되는 부분으로 안착부재라 부를 수도 있다.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서랍 도어(30)에 구비되는 승강 어셈블리(40)에 의해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을 위한 승강 어셈블리(40)는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조립된 상태에서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에 대한 보다 상세한 구조는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서랍 커버(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상기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은 구획될 수 있다. 상기 서랍 커버(37)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후방 공간(S2)의 전면과 상면은 차폐되어 사용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서랍 커버(37)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후방 공간(S2)으로 접근 가능하게 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에 식품의 수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후방 공간(S2)의 활용을 위해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별도의 포켓 또는 후방 공간의 형상과 대응하는 용기가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서랍 도어가 분해 된 모습을 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상기 서랍 도어가 분해 된 모습을 전방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 도어(30)를 구성하는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분리 결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 가능한 구조를 통해서 조립 작업성과 서비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배면과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은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 구비되는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서랍부(32)와의 결합에 의해 가려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분리 또는 결합시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상기 도어부(31)에 위치된 상태로 상기 분리 또는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를 포함한 전기 장치는 모두 도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청소 또는 승강 어셈블리(40)의 정비 등을 위해서는 상기 서랍부(32)와 도어부(31)를 분리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와 도어부(31)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보다 안전하게 서랍부(32) 내부의 청소를 할 수 있으며, 간편하게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정비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도어부(31)는 전면과 둘레면 일부를 형성하는 아웃 케이스(311)와, 배면을 형성하는 도어 라이너(318)에 의해 외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의 내부에는 단열재가 채워질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적어도 일부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아웃 케이스(311)는 판상의 금속 소재가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면의 하단에는 경사부(31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부(311a)의 일측에는 조작장치 홀(311b)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장치 홀(311b)에는 가상 스위치의 출력 및 사용자의 조작 감지를 위한 조작장치(302)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조작장치(302)는 영상의 출력이 가능한 프로젝터 라이트 그리고 근접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어 데코(313)의 내측에는 상기 조작장치(302)의 장착 및 상기 도어부(31) 내부의 전장 부품들과 연결되는 전선의 배치를 위한 조작부 브라켓(313a)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318)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어셈블리(40)가 장착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상기 도어 라이너(318)의 함몰된 공간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의 결합시 상기 서랍부(32)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승강 어셈블리(40) 중 프레임(41)을 비롯한 상기 프레임(41)에 장착되는 구성들은 모두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 함몰된 공간에 삽입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5)를 지지하기 위한 승강부재(45)만이 상기 도어부(31)에서 상기 서랍부(32)를 관통하도록 연장되어 상기 서랍부(32) 내측의 전방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45)를 제외한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되는 승강 어셈블리(40)의 나머지 구성은 모두 상기 도어부(31)의 배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거나 상기 도어부(31)의 내측에 위치되어 상기 서랍부(32)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어부(31)에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노출을 차단하는 별도의 커버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둘레에는 도어 가스켓(31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가스켓(317)은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캐비닛(10)의 전단과 접하여 상기 서랍 도어(30) 내측을 기밀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는 한쌍의 도어 프레임(316)이 좌우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기 도어부(31)와 상기 서랍부(32)를 연결하며, 상기 서랍부(32)가 상기 도어부(31)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부(31)와 서랍부(32)는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함께 인출입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이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된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를 차폐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는 상면이 개구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서랍부(32) 내측의 상기 전방 공간(S1)에 상기 용기 및 지지부재(35)가 배치되고 상기 후방 공간(S2)에는 상기 도어 커버(3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은 상기 도어부(31)의 배면 및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전면에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승강부재(45)가 관통되는 가이드 장치(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치(50)는 상기 서랍부(32)의 전면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각각 상기 승강부재(45)에 의해 관통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장치(50)는 상하 이동되는 상기 승강부재(45)의 안내를 위해 적어도 상기 승강부재(45)의 스트로크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장치(50)의 구조에 관하여서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승강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상기 승강 어셈블리가 상승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프레임(41)과, 구동장치(42), 승강 샤프트(43), 승강 블럭(44) 및 승강부재(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1)은 사각형 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에는 다수의 프레임 장착부(411)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장착부(411)에는 스크류와 같은 결합부재가 체결되어 상기 프레임(41)이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41)의 개구된 내측의 좌우 양측에는 승강 샤프트(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샤프트(43)는 상단과 하단이 상기 프레임(41)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 샤프트(43)의 외측면에는 나사산(43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샤프트(43)의 회전시 상기 승강 샤프트(43)를 따라서 상기 승강 블럭(44)이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41)의 하면에는 구동장치(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2)는 상기 승강 샤프트(43)의 회전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승강 모터(421)와, 상기 승강 모터(421)에 의해 회전되는 다수의 기어 어셈블리(423) 그리고, 상기 기어 어셈블리(423)를 수용하는 기어 케이스(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승강 모터(421)는 상기 프레임(41)의 하면의 중앙에 위치되며, 상기 프레임(41)의 개구된 내측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모터(421)의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41)의 하면을 통과하여 상기 기어 케이스(422) 상의 기어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모터(421)는 별도의 모터 케이스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케이스는 상기 기어 케이스(422)와 일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기어 케이스(422)는 상기 프레임(41)의 하면 외측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어 케이스(422)의 내측에는 상기 기어 어셈블리(423)를 구성하는 다수의 기어들이 서로 결합될 수 있으며, 중앙에 배치되는 상기 승강 모터(421)의 회전축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 케이스(422) 내부에 구비되는 상기 기어 어셈블리(423)는 상기 승강 모터의 회전을 상기 승강 샤프트(43)로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어 어셈블리(423)는 중앙에 배치되는 상기 승강 모터(421)의 회전이 상기 동일한 크기만큼 양측에 배치된 상기 승강 샤프트(43)에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승강 블럭(44)이 기울어지거나 편심되지 않고 양측이 수평한 상태로 상하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기어 어셈블리(423)의 다수의 기어들은 상기 승강 모터(421)의 회전시 동일한 크기와 방향의 회전력이 상기 승강 전달되도록 그 개수와 크기 및 기어비가 조절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승강 샤프트(43) 자체의 나사산의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경우 상기 기어 케이스(422) 내부의 기어들의 배치 또한 그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승강 블럭(44)은 상기 프레임(4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승강 샤프트(43)에 의해 관통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블럭(44)은 상기 프레임(41)의 내측에 수용 가능하면서 동시에 한쌍의 상기 승강 샤프트(43)가 관통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승강 블럭(44)의 양측에는 샤프트 홀(44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홀(441)은 상기 승강 샤프트(43)가 관통되도록 상기 승강 블럭(44)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 홀(441)의 내측면에는 상기 승강 샤프트의 나사산(431)과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샤프트(43)의 회전시 상기 승강 블럭(44)은 상기 승강 샤프트(43)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블럭(44)의 중앙에는 모터 홈(4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홈(442)은 상기 승강 모터(421)의 형상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되어 상기 승강 블럭(44)의 상하 이동시에도 상기 승가 모터(421)에 의해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모터 홈(442)에 의해 상기 승강 모터(421)는 상기 프레임(41)의 내측에 배치되면서도 상기 승강 블럭(44)의 승강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크기가 컴팩트하게 될 수 있으며, 상기 도어부(31) 내에 장착 가능한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블럭(44)의 양측에는 승강부재 장착부(44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 장착부(443)는 상기 승강부재(45)의 장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승강 블럭(44)의 상면 및 전면에 함몰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승강부재(45)는 상기 승강부재(45) 후단의 승강부재 결합부(451)와 결합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부재 장착부(443)와 승강부재 결합부(451)는 대응하는 돌기와 홈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상기 승강부재(45)의 상하방 이동으로 용이하게 탈착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승강부재(45)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승강부재(45)는 상기 승강 블럭(44)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안착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재(45)를 상방으로 들어올릴 경우 상기 승강 블럭(44)으로부터 용하게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에 승강 기능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상기 승강부재(45)를 분리하여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에 승강 기능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전체 승강 어셈블리(40)를 분리하지 않고도 상기 승강부재(45)만을 간단히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45)는 상기 승강 블럭(44)에 장착되어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45)의 폭은 상기 가이드 장치(50)의 가이드 홀(511)의 폭보다 더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45)는 상기 가이드 홀(511)을 통해 탈착되거나 상기 가이드 홀(511)을 따라서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45)는 한쌍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서랍부(32) 내측의 전방 공간(S1) 내측에 위치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5)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35)의 후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도 8은 상기 서랍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하는 서랍 본체(38)와, 상기 서랍부의 전면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 장치(50)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내 외관을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서랍 본체(38)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한다. 상기 서랍 본체(38)는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으로 내부에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후면은 경사면(3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기계실(3)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양측에는 상기 도어 프레임(316)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316)은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양측 또는 좌우 양측면 하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부(32)와 도어부(31)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인출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하면 좌우 양측에는 인출입 랙(3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랙(34)에 의해 상기 서랍부(32)는 전후 방향으로 인출입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부(32)는 상기 캐비닛(1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가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 랙(34)은 상기 저장공간의 바닥면에 구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상기 피니언 기어(141)가 회전하여 상기 인출입 랙(34)이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입 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서랍 도어(30)가 자동 인출입되지 않고, 사용자가 상기 서랍 도어(30)를 밀거나 당겨서 인출입할 수도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인출입 랙(34)이 생략되고, 상기 인출입 레일(33)에 의해서만 인출입이 안내될 수도 이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381)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381)는 상기 서랍 본체의 좌우 측면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기 서랍 본체(38)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면 하부에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인출입을 가이드하기 위한 인출입 레일(33)이 장착되는 레일 장착부(38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장착부(382)는 전단에서 후단까지 연장되며, 내부에 상기 인출입 레일(33)을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레일(33)은 다단으로 연장되는 레일로, 일단이 상기 캐비닛(10) 내측의 저장공간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타단은 상기 레일 장착부(382)에 고정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에는 스테인레스와 같은 판상의 금속소재로 구성되어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외장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다수의 플레이트들(391,392,395)이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서랍 본체(38) 외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양측면의 외관을 형성하며, 특히, 상기 서랍 본체(38)의 양측에 장착되는 서랍측 샤프트(52) 및 인출입 레일(33) 등의 구성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 내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며, 내측의 좌우 양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 상단에서 절곡된 상단 절곡부(391a)의 연장된 단부는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1)의 상단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391)에 의해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양측면 내외측 및 상면이 모두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 전면과 하면 및 후면에는 이너 플레이트(3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 전면과 하면 및 후면과 대응하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는 전면부(395a), 하면부(395b), 후면부(395c)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너 플레이트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좌우 측면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의 내측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상의 스테인레스 소재가 절곡 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의 좌우 양측단은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를 구성하는 상기 전면부(395a), 하면부(395b) 및 후면부(395c)는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서로 결합되거나 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너 사이드 플레이트(392)와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에 의해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 전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은 금속 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랍부(32) 내측의 수납 공간은 전체적으로 금속 질감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전체적으로 보다 고른 영역에서 차갑게 저장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냉각 성능 및 저장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너 플레이트(395)의 전면부(395a)와 후면부(395c) 상단에는 각각 외측으로 절곡된 상단 절곡부(395d,395e)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본체(38)의 전단과 후단의 상면을 차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395c)는 상기 서랍 본체(38) 후면의 경사면(321)과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서랍 본체(38)의 경사면(321)에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면부(395c)의 하단과 인접한 상기 하면부(395b)의 후단에는 하면 개구(395f)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 개구(395f)는 상기 서랍 본체의 하면에서 돌출된 커버 지지부(388)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개구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지지부(388)는 상기 하면 개구(395f)를 통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커버(37)의 하단이 상기 커버 지지부(388)에 결합되도록 하여 상기 서랍 커버(37)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서랍 커버(37)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를 전방 공간(S1)과 후방 공간(S2)으로 구획하는 커버 전면부(371)와, 상기 커버 전면부(371)의 상단에서 절곡되며, 상기 후방 공간(S2)의 상면을 차폐하는 커버 상면부(37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커버(37)의 장착시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부재(35)가 배치되는 상기 전방 공간(S1)만이 노출될 수 있으며, 상기 후방 공간(S2)은 상기 서랍 커버(37)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전면부(371)의 하단은 상기 서랍부(32)의 바닥면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커버(37)의 좌우 양측단을 따라서 다수의 커버 구속부(37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구속부(373)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측면에 돌출된 돌기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커버(37)의 내측에는 필요에 따라 별도의 수납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커버(37)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수납부재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서랍 본체(38)의 전면은 상기 도어부(31)의 배면과 결합되며, 따라서 상기 서랍 본체(38)의 전면에는 외관을 형성하는 플레이트가 별도로 필요치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서랍 본체(38)의 전면에는 상기 가이드 장치(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서랍 개구(38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개구(383)는 상기 승강부재(45)가 통과될 수 있도록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승강부재(45)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개구(383)에 상기 가이드 장치(50)가 장착되며, 상기 승강부재(45)는 상기 가이드 장치(50)를 통과하여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45)의 상하 이동시 상기 가이드 장치(50)에 의해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개구가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본체(38)의 내부에는 지지부재(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일 구성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서랍 본체(38)의 바닥면 중 상기 전방 공간(S1)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5)는 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실질적으로 식품 또는 용기를 지지하는 승강 플레이트(351)와, 상기 승강 플레이트(351)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강도를 보강하는 사각형의 틀 형상의 승강 프레임(3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는 식품 또는 용기(36)가 실질적으로 안착되어 지지되는 부분으로 안착부재 또는 트레이라 부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351) 또는 승강 프레임(352)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351)는 사각형의 판상로 형성되며, 둘레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되는 둘레부(351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둘레부(351a)는 하면이 개구되어 내부에 상기 승강 프레임(352)을 수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가이드 장치(50)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가이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가이드 장치(50)는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앙에 가이드 홀(511)이 형성되는 가이드 프레임(41)과, 상기 가이드 홀(511)에 상하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홀(511)을 각각 차폐하는 복수의 셔터(53,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53,54)는 상기 승강부재(45)의 이동 방향을 따라서 다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셔터(53,54)가 2개 구비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41)은 상기 서랍 본체(38)의 전면에 장착되며, 상기 서랍 개구(383)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서랍 개구(383)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프레임(41)은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셔터(53,54)의 장착 및 상기 셔터(53,54)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프레임(41)의 하단에는 후방으로 절곡된 프레임 절곡부(513)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절곡부(513) 상에 스크류가 관통되는 체결홀(515)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41)이 상기 서랍 본체(38)에 고정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 절곡부(513)의 중앙에는 중앙 돌출부(51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중앙 돌출부(514)에 의해 상기 가이드 프레임(41)의 하면은 단차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게 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41)의 장착시 정확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 프레임(41)의 중앙에는 상기 승강부재(45)가 승강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 홀(5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홀(511)은 상하로 길게 형성되며, 적어도 상기 승강부재(45)의 상하 이동 길이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511)의 내측면에는 셔터 가이드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 가이드부(52)는 상기 복수의 셔터(53,54)가 순차적으로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가이드 홀(511)의 내측 좌우 양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 가이드부(52)는 가이드 돌출부(521)와 제 1 가이드(522)와 제 2 가이드(52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 가이드부(52)의 구체적인 구조와 형상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셔터(53,54)는 상기 가이드 홀(511)의 내측에 구비되며,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홀(511)을 부분적으로 차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셔터(53,54)의 가로 폭은 상기 가이드 홀(511)의 가로 폭과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셔터 가이드부(52)의 안내에 의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셔터(53,54)는 상하 길이가 같은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셔터 가이드부(52)를 따라서 상하 차례로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 홀(511)을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제 1 셔터(53)는 상기 승강부재(45)가 상승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셔터(54)의 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셔터(53)의 하단 좌우 양측에는 제 1 하부 돌기(531)가 형성되고, 제 1 셔터(53)의 상단 좌우 양측에는 제 1 상부 돌기(5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돌기(531)와 상기 제 1 상부 돌기(532)는 상기 제 1 가이드(522)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셔터(53)가 상기 가이드 홀(511)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제 1 셔터(53)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셔터(53)의 상단에는 셔터 절곡부(5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 절곡부(533)는 상기 제 1 셔터(53) 상단에서 전방으로 상기 제 2 셔터(54)의 두께만큼 절곡된 후 다시 상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셔터(54)의 하단이 상기 셔터 절곡부(533)에 안착되어 상기 제 1 셔터(53)가 제 2 셔터(54)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셔터 절곡부(533)에 의해 상기 제 1 셔터(53)의 상단과 제 2 셔터(54)의 하단 사이의 틈새를 차폐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셔터(54)는 상기 승강부재(45)가 상승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1 셔터(53)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가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홀(511)은 대부분이 차폐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재(45)가 통과되는 하단의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모두 차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셔터(54)의 하단 좌우 양측에는 제 2 하부 돌기(541)가 형성되고, 제 2 셔터(54)의 상단 좌우 양측에는 제 2 상부 돌기(54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541)와 상기 제 2 상부 돌기(542)는 상기 제 2 가이드(523)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셔터(54)가 상기 가이드 홀(511)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상기 제 2 셔터(54)가 상하 방향으로 승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셔터(54)의 상방에는 추가의 셔터가 설치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 2 셔터(54)의 상단에는 상기 셔터 절곡부(533)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셔터(54)의 상단은 상기 가이드 홀(511)의 상단과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상기 가이드 홀(511)이 차폐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셔터(54)의 상방에 추가의 셔터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 2 셔터(54)의 상단에 상기 셔터 절곡부(533)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 홀(511)의 상방에는 차폐부(5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폐부(512)는 상기 제 2 셔터(54)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제 2 셔터(54)가 가장 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 2 셔터(54)의 상단과 상기 차폐부(512)의 하단은 겹쳐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512)의 상하 길이는 적어도 상기 셔터(53,54) 즉,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의 상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45)가 가장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상기 차폐부(512)의 전면에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가 겹쳐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서 볼 때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는 상기 차폐부(512)에 의해 가려지게 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셔터(53,54)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셔터 가이드부(52)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상기 가이드 장치의 가이드 프레임의 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 같이, 상기 가이드 프레임(41)의 가이드 홀(511) 좌우 양측면에는 상기 셔터 가이드부(5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셔터 가이드부(52)는 상기 가이드 홀(511)을 양측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가 상기 가이드 홀(511)을 따라서 상하 이동되면서 상기 가이드 홀(511)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셔터 가이드부(52)는 가이드 돌출부(521)와 제 1 가이드(522) 및 제 2 가이드(52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521)는 상기 제 1 가이드(522)와 제 2 가이드(523)가 형성될 수 있는 면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 돌출부(521)는 적어도 상기 가이드 홀(511)의 양측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차폐부(512)의 영역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출부(521)는 상기 가이드 홀(511)을 따라서 후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셔터(53,54)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셔터(53,54)의 후면과 상기 가이드 장치(50)의 후면이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셔터(53,54)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어 셔터(53,54)에 의한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외관이 개선될 수 있으며, 단차나 틈새를 통해 식품이 끼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돌출부(521)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 홀(511)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셔터(53,54)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상기 셔터(53,54)가 상기 가이드 홀(511)의 하단과 떨어진 위치에 위치되고 상기 승강부재(45)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521) 중 상기 가이드 홀(511)의 내측을 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 1 가이드(522)와 제 2 가이드(523)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홀(511)을 향하여 마주보는 좌우 양측의 상기 가이드 돌출부(521)의 내측면 각각에는 상기 제 1 가이드(522)와 제 2 가이드(523)가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522)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521)의 하단에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521)의 상단까지 연장되며, 상기 제 1 상부 돌기(532) 및 제 2 상부 돌기(542)가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셔터(53)는 상기 제 1 가이드(522)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 돌출부(521)의 하단에서 상기 셔터 차폐부(512)까지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522)의 하단에는 후방 및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1 하부 홈(5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홈(522a)은 상기 제 1 셔터(53)가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하부 돌기(531)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부 홈(522a)에 상기 제 1 하부 돌기(531)가 삽입되면서 상기 제 1 셔터(53)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셔터(53)의 후면이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하부 홈(522a)의 상방에는 제 1 상부 홈(522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홈(522b)은 상기 제 1 하부 홈(522a)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제 1 가이드(522)의 일측에서 후방 및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상부 홈(522b)은 상기 제 1 상부 돌기(532)가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홈(522b)은 상기 제 1 하부 홈(522a)에 상기 제 1 하부 돌기(531)가 삽입될 때 상기 제 1 상부 돌기(532)가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셔터(53)는 가장 하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 상부 돌기(532)와 제 1 하부 돌기(531)가 동시에 상기 제 1 상부 홈(522b)과 제 1 하부 홈(522a)으로 삽입되면서 후방 및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522)의 후방에는 상기 제 2 셔터(54)를 안내하기 위한 제 2 가이드(5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523)는 상기 제 1 가이드(522)와 접하며 나란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523)는 상기 제 1 가이드(522)의 제 1 상부 홈(522b)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가이드(522)와 마찬가지로 상기 차폐부(512)의 상단까지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셔터(54)는 상기 제 1 셔터(53)의 상방에서부터 상기 제 2 가이드(523)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차폐부(512)에 의해 차폐될 수 있는 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523)의 하단에는 후방 빛 하방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제 2 하부 홈(52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홈(523a)에는 상기 제 2 하부 돌기(541)가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셔터(54)가 가장 하방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제 2 하부 돌기(541)가 상기 제 2 하부 홈(523a)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하부 홈(523a)의 상방에는 제 2 상부 홈(523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홈(523b)은 상기 제 2 하부 홈(523a)과 대응하는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하부 돌기(541)가 상기 제 2 하부 홈(523a)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 2 상부 돌기(542) 또한 상기 제 2 상부 홈(523b)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상부 홈(523b)은 상기 차폐부(512)의 하단보다 더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돌기(542)와 제 2 하부 돌기(541)가 상기 제 2 가이드(523)를 따라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 2 셔터(54)는 상기 제 2 가이드(523)를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상부 홈(523b) 및 제 2 하부 홈(523a)은 상기 제 2 셔터(54)가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셔터(54)의 후면이 상기 제 1 셔터(53)의 후면 및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과 동일 평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 및 상기 서랍부(32)의 이너 플레이트(395)는 모두 동일 소재로 형성되어 외관이 일체감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상기 가이드 장치(50)의 동작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상기 가이드 장치의 동작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승강 어셈블리가 가장 하방에 위치되었을 때의 상기 가이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가 가장 상방에 위치되었을 때의 상기 가이드 장치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a 및 상기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에 상기 승강부재(4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어셈블리(40)가 동작되지 않게 되면,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홀(511)의 하단 일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은 모두 차폐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부재(45)는 상기 제 1 셔터(53)의 하방에 개구된 상기 가이드 홀(511)의 하단을 통과하여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서랍부(32)의 내부에서 상기 지지부재(35)를 하방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가이드 장치(50)는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가 완전히 하방으로 이동된 상태로 상기 제 1 가이드(522)와 제 2 가이드(523)의 가장 하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에는 별도의 외력이 가해지지 않으며,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의 자중에 의해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가이드(522)의 제 1 상부 돌기(532)와 제 1 하부 돌기(531)는 각각 상기 제 1 상부 홈(522b)과 상기 제 1 하부 홈(522a)에 위치되는 상태로, 각각 상기 제 1 상부 홈(522b)과 제 1 하부 홈(522a)의 경사에 의해 상기 제 1 셔터(53)가 하방 및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또한, 제 2 가이드(523)의 제 2 상부 돌기(542)와 제 2 하부 돌기(541)는 각각 상기 제 2 상부 홈(523b)과 상기 제 2 하부 홈(523a)에 각각 위치되는 상태로, 각각 상기 제 2 상부 홈(523b)과 제 2 하부 홈(523a)의 경사에 의해 상기 제 2 셔터(54)가 하방 및 후방으로 이동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셔터(54)는 상기 제 1 셔터(53) 상단의 셔터 절곡부(533)에 안착된 상태이며,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는 동일 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셔터(54)의 상단은 상기 차폐부(512)의 하단과 접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셔터(53)의 후면과 제 2 셔터(54)의 후면 그리고 상기 서랍부(32)의 내측면은 모두 동일 평면을 이루게 되어 상기 서랍부(32) 내측을 바라볼 때 상기 가이드 장치(50)가 상기 서랍부(32)와 일체감을 가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셔터(53)의 하단은 상기 지지부재(35)의 위치보다 더 하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5)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45)는 물론 상기 승강부재(45)가 관통되는 가이드 홀(511)의 개구된 하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 어셈블리(40)가 동작하게 되어 상기 승강부재(45)가 상승하게 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45)는 상기 가이드 홀(511)을 따라서 상승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45)가 소정의 높이만큼 상승되면, 상기 승강부재(45)의 상면은 상기 제 1 셔터(53)의 하단과 접하게 되며, 상기 승강부재(45)가 더 상승하게 됨에 따라 상기 제 1 셔터(53)를 들어 올리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45)의 상승에 의해 상기 제 1 셔터(53)의 하방에서 상기 제 1 셔터(53)를 밀어올리게 되면, 상기 제 1 셔터(53)는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 13과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45)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 1 셔터(53)를 하방에서 상방으로 밀어 올리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셔터(53)의 제 1 상부 돌기(532)와 제 1 하부 돌기(531)는 각각 상기 제 1 상부 홈(522b)과 제 1 하부 홈(522a)의 경사를 따라서 전방 및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상부 홈(522b)과 제 2 상부 홈(523b)을 벗어난 상기 제 1 상부 돌기(532)와 제 1 하부 돌기(531)는 상기 제 2 가이드(523)의 전방에서 수직하게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제 1 가이드(522)를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서로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던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 중 상기 제 2 셔터(54)는 현재의 위치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셔터(53)는 상기 제 2 셔터(54)의 전방으로 이동된 후 다시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45)의 지속적인 상방 이동에 따라서 상기 제 1 셔터(53)는 상기 제 2 셔터(54)의 후방에서 포개어진 상태로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45)의 지속적인 이동에 의해 상기 제 1 셔터(53)는 지속적으로 상방으로 이동되며,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셔터(53)의 전체가 상기 제 2 셔터(54)의 후방에 위치될 때까지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45)가 더 상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1 셔터(53)는 상기 제 2 셔터(54)와 동일한 높이까지 상승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2b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부재(45)가 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승강부재(45)의 상면은 상기 제 1 셔터(53)의 하단은 물론 상기 제 2 셔터(54)의 하단과도 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재(45)가 더 상승되면, 상기 제 1 셔터(53)는 상기 제 1 가이드(522)의 수직 영역을 따라서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셔터(54) 또한 상기 승강부재(45)에 의해 상방으로 밀려 올라가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 셔터(54)의 상기 제 2 상부 돌기(542) 및 제 2 하부 돌기(541)는 각각 경사진 상기 제 2 상부 홈(523b)과 제 2 하부 홈(523a)에 의해서 전방 빛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상부 홈(523b)과 제 2 하부 홈(523a)을 벗어난 상기 제 2 상부 돌기(542) 및 제 2 하부 돌기(541)는 상기 제 2 가이드(523)의 수직한 영역을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상기 승강부재(45)의 지속적인 상승시 상기 제 2 셔터(54)는 전방으로 이동되지만 상기 제 2 가이드(523)는 상기 제 1 가이드(522)의 후방에 위치되므로, 상기 제 2 셔터(54) 또한 상기 제 1 셔터(53)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가이드(522) 및 상기 제 2 가이드(523)는 모두 상기 차폐부(512)의 후방에서 상하로 연장되므로 상기 제 1 셔터(53) 및 제 2 셔터(54) 또한 상기 차폐부(512)의 후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45)의 지속적인 상승에 의해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가 상승되며,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홀(511)은 점점 개구된 영역이 상방향으로 커지게 된다. 하지만, 상기 승강부재(45)는 상기 지지부재(35)를 하방에서 지지하므로, 상기 승강부재(45) 하방에서 증가되는 상기 가이드 홀(511)의 개구된 영역은 자연스럽게 지지부재(35)의 하방에 위치되어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승강부재(45)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며, 상기 지지부재(35)가 최대의높이가 될 수 있는 높이까지 상승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45)가 최대 높이로 상승하게 되면, 도 12c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는 모두 최대한 상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차폐부(512)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차폐부(512)에 의해 차폐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35)가 설정된 높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승강부재(45)가 최대 높이에 위치될 때 까지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45)가 최대 높이에 도달하면, 도 14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는 전체가 상기 차폐부(512)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고 가려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5)가 가장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식품 수납이 완료되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승강 어셈블리(40)가 구동되어 상기 승강부재(45)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지지부재(35)가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45)는 도 13과 같이 초기의 위치까지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재(45)의 하방 이동시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재(45)의 이동시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는 함께 하방으로 이동되며, 이때,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에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고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가 가지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는 각각 상기 제 1 가이드(522)와 제 2 가이드(523)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되되, 먼저 제 2 셔터(54)가 초기 위치에 도달하고 다음으로 상기 제 1 셔터(53)가 초기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2 셔터(54)는 상기 제 2 가이드(523)의 상하 방향 수직한 영역을 지나 상기 제 2 상부 홈(523b)과 제 2 하부 홈(523a)까지 이동되며, 상기 제 2 상부 돌기(542)와 제 2 하부 돌기(541)가 각각 상기 제 2 상부 홈(523b)과 제 2 하부 홈(523a)에 삽입되면서 후방 및 하방으로 이동되어 하방 이동을 완료하여 상기 가이드 홀(511)의 일부 영역을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셔터(53)는 상기 제 2 셔터(54)의 하방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상기 제 1 가이드(522)의 상하 방향 수직한 영역을 따라서 지속적으로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셔터(53)가 완전히 하방으로 이동되기 직전에, 상기 제 1 상부 돌기(532)와 제 1 하부 돌기(531)는 상기 제 1 상부 홈(522b)과 제 1 하부 홈(522a)을 따라서 하방 및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셔터(53)가 완전히 하방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셔터(54)의 하단은 상기 제 1 셔터(53)의 상단의 셔터 절곡부(533)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셔터(53)는 상기 제 2 셔터(54) 하방의 상기 가이드 홀(511)의 개구된 영역 일부를 차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에 의해 상기 가이드 홀(511)은 상기 승강부재(45)의 출입이 가능한 영역 외에는 모두 차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5)가 장착된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에서 볼 때 상기 가이드 홀(511)은 모두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에 의해 차폐된 것과 같이 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의 서랍 도어(30)가 인출입 및 승강되는 상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5는 상기 서랍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냉장고(1)는 식품의 저장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20)와 서랍 도어(30)가 모두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서랍 도어(30)를 인출입하여 식품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방과 하방에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인출 개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은 상기 회전 도어(20) 또는 서랍 도어(30)의 전면에 구비된 조작부(301)를 터치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 하단에 구비되는 조작 장치(302)에 의한 개방 조작의 입력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301)와 조작 장치(302)가 각각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을 개별적으로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사용자가 상기 서랍 도어(30)의 손잡이를 잡고 개방하는 것 또한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상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서랍 도어(30) 중 가장 하방의 서랍 도어(30)를 개방 및 승강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상방과 하방의 서랍 도어(30)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인출입 및 승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6은 상기 서랍 도어가 승강을 위해 인출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서랍 도어가 인출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사용자의 상기 서랍 도어(30) 인출 조작에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는 전방으로 인출된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인출입 레일(33)이 연장되면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랍 도어(30)는 사용자가 직접 당겨서 개방하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인출입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 바닥면에 구비되는 인출입 랙(34)은 상기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시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141)와 결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따라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입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거리는 적어도 상기 서랍부(32) 내부의 전방 공간(S1)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는 거리까지 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5)가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도어들(20,30) 또는 상기 캐비닛(1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거리는 상기 캐비닛(10) 및/또는 서랍 도어(30)에 배치되는 인출입 감지장치(15)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되거나 닫힌 상태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자석(389)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들 들어,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서랍부(32)의 바닥에 자석(389)이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10)에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의 상기 자석(389)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인출입 감지장치(15)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상태를 판단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입되는 위치와 인출되는 위치에 스위치가 구비되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회전수를 카운팅하거나, 상기 도어부(31) 배면과 상기 캐비닛(10) 전단의 사이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을 감지할 수도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 모터(411)가 구동되어 상기 지지부재(35)가 상승 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충분히 인출되어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36)의 안전한 승강이 보장되는 상황에서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되어 상기 전방 공간이 외부로 완전히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5)가 상승하여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된 용기(36) 또는 저장된 식품이 다른 도어들(20,30) 또는 캐비닛(1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서랍 도어(30)의 완전한 인출이 확인된 상태에서 상승 시작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안전 및 저장된 식품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이 확인된 후 설정 시간이 경과된 후 상기 지지부재(35)가 상승을 시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후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지지부재(35)의 상승을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을 위해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을 위해 상기 조작부(301)를 재차 조작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인출입 시키고, 상기 서랍 도어(30)를 인출시킨 후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지지부재(35)가 승강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입 되는 과정에서는 동작되지 않고,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서만 승강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인출되기 전까지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상기 승강 모터(421)는 구동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45) 또한 가장 하방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상기 승강부재(45)는 상기 가이드 장치(50)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35)의 하방에 위치하며 상승을 위한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장치(50)의 셔터(53,54)는 상기 가이드 홀(511)의 대부분을 차폐하여 도 12a 및 도 1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에 의해 상기 서랍부(32)로 노출되는 상기 가이드 홀(511)이 모두 차폐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상기 서랍부(32) 내측을 바라 볼 때 단차 또는 틈새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서랍부(32) 내측 벽면과 일체감을 가지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도 18은 상기 서랍 도어가 상승된 상태의 부분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9는 상기 서랍 도어가 상승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6 및 도 17과 같이 상기 전방 공간(S1)이 완전히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이 설정 거리 이상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승강 어셈블리(40)가 동작되어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승강 모터(411)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승강 모터(411)와 연결된 상기 기어 어셈블리(423)에 의해 상기 승강 샤프트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승강 샤프트(43)에 장착된 상기 승강 블럭(44)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 블럭(44)에 장착된 상기 승강부재(45) 또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승강부재(45)의 상방 이동으로 도 1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셔터(53,54)는 상기 승강부재(45)에 의해 상방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재(45)는 상기 지지부재(35)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상태로 상기 지지부재(35)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45)의 상승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5)는 지속적으로 상승되어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된 식품 또는 용기로의 접근이 용이하도록 충분한 높이로 상승되어 사용자가 식품 또는 용기를 쉽게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의 상승 완료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승강 모터(411)의 구동을 정지시키게 되며,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35)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높이 감지장치(1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도어부(31)에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재(35)의 최대 상승 위치와 상기 지지부재(35)의 최저 하강 위치와 대응하는 높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자석(355)을 감지하는 감지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5)에 구비되는 자석(355)을 감지하여 상기 지지부재(35)의 상승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스위치 구조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부재(35)가 최대 상승된 상태에서 스위치를 온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프레임(41) 또는 승강 블럭(44)과 같은 상기 승강 어셈블리(40) 상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35)가 최대 상승된 위치를 감지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모터(411)에 가해지는 부하의 변동에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5)의 최대 상승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5)가 최대 높이로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승강 모터(411)는 정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서랍부(32) 내측에 위치하지만,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된 식품이나 용기(36)는 상기 서랍부(32)의 개구된 상면보다 더 높은 위치에 위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용이한 접근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용기(36)를 들어올리는 작업을 위해 과도하게 허리를 숙이지 않아도 되므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5)가 최대 높이만큼 상승된 상태에서는 상기 가이드 장치(50)는 도 12c 및 도 1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부재(45)가 최대 높이로 상승되어 상기 제 1 셔터(53)와 제 2 셔터(54)는 상기 차폐부(512)의 위치까지 모두 상승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부재(45)의 상승 과정에서 상기 제 1 셔터(53) 또는 제 2 셔터(54)는 상기 승강부재(45)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승강부재(45) 상방의 상기 가이드 홀(511)의 개구된 영역을 차폐한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서랍부(32)의 내측으로 상기 승강부재(45)가 이동되는 궤적이 개구된 상태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사용자의 식품 수납 작업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지지부재(35)를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35)의 하강은 상기 승강 모터(411)의 역회전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술한 과정과 반대의 과정을 통해 서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45)의 하강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5) 또한 하강되며, 상기 승강부재(45)와 접하는 상기 제 1 셔터(53) 및 제 2 셔터(54)는 각각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승강부재(45) 상방의 상기 개구된 상기 가이드 홀(511)을 점차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35)가 하강 완료되면 도 16 또는 도 17과 같은 상태가 되며, 상기 가이드 장치는 도 12a 및 도 13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5)의 하강 완료는 상기 높이 감지장치(16)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높이 감지장치(16)는 상기 지지부재(35)가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게 될 때 상기 지지부재(35)에 구비된 자석을 감지할 수 있도록 대응하는 위치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5)의 하강 완료가 감지되면 상기 승강 모터(411)는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모터(411)의 정지 후 상기 서랍 도어(30)는 인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랍 도어(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닫힐 수도 있으며, 상기 인출입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닫힐 수도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가 완전히 닫히게 되면 도 15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 중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 도어가 상승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상하 구획된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되어 상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회전식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의 전면 하부에 구비되어 하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서랍 도어(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전술한 실시 예에서와 같이 전후로 인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지지부재(35)가 상하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도어부(31)의 일측에는 조작부(301) 또는 조작 장치(302)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01) 또는 조작 장치(302)의 조작에 의해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 및/또는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 내측 또는 상기 도어부(31) 배면에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구동을 위한 구성이 모두 상기 도어부(31)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재(45)가 상기 서랍부(32)를 관통하여 상기 서랍부(32)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재(35)를 하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5)의 동작에 의한 상기 승강부재(45)의 승강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5) 또한 상하방으로 승강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상기 서랍부(32)에 구비되는 가이드 장치(5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서랍부(32)에는 복수의 용기(361)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1)는 김치통과 같은 밀폐 용기일 수 있으며, 다수개가 상기 지지부재(35)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용기(361)는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시 함께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기(361)는 상승된 상태에서 상기 서랍부(32)의 상방으로 적어도 일부가 돌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용기(361)를 용이하게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5)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라 하더라도, 상기 회전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상기 회전 도어(20)와 간섭될 수 있으므로, 상기 회전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승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회전 도어(20)의 개폐를 감지하기 위한 도어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 도어가 상승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2)는 닫힌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의 전면 외관을 형성하며, 전후 방향으로 인출되는 서랍 도어(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연속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상기 서랍 도어(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독립적으로 인출입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지지부재(35)는 승강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부(31)와,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서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서랍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배치 및 크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 내측 또는 상기 도어부(31) 배면에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구동을 위한 구성이 모두 상기 도어부(31)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재(45)가 상기 서랍부(32)를 관통하여 상기 서랍부(32)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재(35)를 하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5)의 동작에 의한 상기 승강부재(45)의 승강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5) 또한 상하방으로 승강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상기 서랍부(32)에 구비되는 가이드 장치(5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입과 상기 지지부재(35)의 승강은 각각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출 후 상기 지지부재(35)의 상승, 상기 지지부재(35)의 하강 후 상기 서랍 도어(30)의 인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 도어(30)가 복수개로 상하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상방에 배치되는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대적으로 하방에 배치되는 상기 서랍 도어(30) 내부의 상기 지지부재(35)가 상승되지 않도록 하여 저장된 식품 및 용기가 상방에서 인출된 상기 서랍 도어(3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1에서는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기 서랍 도어(30)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35)가 상승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상방에 배치된 상기 서랍 도어(30)들도 모두 인출 후 내부에 구비된 지지부재(35)가 승강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상방에 위치된 상기 서랍 도어(30)들의 높이가 충분히 높다면, 가장 하방에 위치된 상기 서랍 도어(30) 또는 상대적으로 하방에 위치되는 복수의 서랍 도어(30)들의 지지부재(35)만 승강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의 서랍 도어가 상승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한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상하로 구획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상부와 하부의 저장공간은 다시 좌우 양측으로 구획될 수도 있다.
상기 도어(2)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구비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캐비닛(10) 하부에 구비되며 인출입 가능하게 장착되어 하부의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서립식 도어(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캐비닛(10)의 하부 공간은 좌우로 구획될 수 있으며, 상기 서랍 도어(30)는 구획된 각각의 상기 하부 공간을 개폐할 수 있도록 한쌍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좌우 양측에 나란하게 한쌍이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서랍 도어(30)는 그 구조가 서로 동일할 것이다.
상기 서랍 도어(30)는 상기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부(31)와,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서 상방으로 개구된 수납 공간을 형성하는 서랍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랍부(32)의 전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배치 및 크기에만 차이가 있을 뿐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부(31) 내측 또는 상기 도어부(31) 배면에는 상기 승강 어셈블리(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40)는 구동을 위한 구성이 모두 상기 도어부(31)에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재(45)가 상기 서랍부(32)를 관통하여 상기 서랍부(32) 내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재(35)를 하방에서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35)의 동작에 의한 상기 승강부재(45)의 승강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35) 또한 상하방으로 승강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승강 어셈블리(40)의 구체적인 구성 및 상기 서랍부(32)에 구비되는 가이드 장치(50)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Claims (20)

  1. 상부 저장공간과 하부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하부 저장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와 연결되며, 상기 도어부와 함께 인출입되는 서랍부;
    상기 서랍부의 내부에 구비되며, 식품이 안착되는 지지부재;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부에서 상기 서랍부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상기 지지부재를 하방에서 지지하는 승강부재와,
    상기 도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장치와,
    상기 승강부재와 대응하는 상기 서랍부의 전면에 구비되어 상기 승강부재가 관통하는 가이드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장치는,
    상기 승강부재가 관통되어 상하 이동되는 가이드 홀이 형성되는 프레임;
    상기 가이드 홀을 차폐하도록 상하 연속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셔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는 상기 서랍부가 인출되는 방향의 전방 공간과, 상기 전방 공간의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 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전방 공간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전방 공간의 내측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전방공간이 상기 캐비닛의 외측으로 완전히 노출되는 위치에서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에는 상기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을 구획하는 서랍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서랍 커버는 상기 후방 공간을 차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재는 좌우 양측에 이격된 한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부 배면의 함몰된 공간에 장착되며,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서랍부의 전면에 의해 차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어셈블리는,
    상기 도어부의 배면에 고정 장착되며, 상하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구동장치가 장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측의 상기 이격된 공간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한쌍의 승강 샤프트;
    나사산이 형성된 한쌍의 상기 승강 샤프트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승강 샤프트를 따라 상하 이동되며, 상기 승강부재가 장착되는 승강 블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는,
    한쌍의 상기 승강 샤프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승강 모터와;
    상기 승강 모터 및 한쌍의 상기 승강 샤프트를 연결하는 다수의 기어들로 구성되어 한쌍의 상기 승강 샤프트가 동시에 같은 회전수로 회전되도록 하는 기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모터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 하면에 구비되며,
    상기 기어 어셈블리는 상기 프레임의 외측 하면에 구비되어, 상기 프레임을 관통하는 상기 승강 모터의 회전축과 연결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블럭에는 상기 승강 블럭이 하강된 상태에서 승강 모터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함몰된 모터 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와 접하는 상기 서랍부의 전면에는 상기 승강부재가 통과된 상태로 상기 승강부재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개구되는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장치는,
    상기 가이드 홀의 좌우 양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셔터가 상하 승강 되도록 형성되는 셔터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셔터 하방의 상기 가이드 홀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승강부재의 상승시 상기 셔터를 밀어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승강부재의 하강시 상기 셔터는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가이드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셔터 양단을 수용하도록 함몰되어 상기 셔터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가이드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는 전후 방향으로 상기 셔터와 대응하는 개수로 형성되어 상기 셔터의 상승시 상기 셔터가 전후 방향으로 포개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홀의 상방에는 상기 다수의 셔터들이 상방으로 이동되었을 때 포개어진 상기 다수의 셔터들을 모두 차폐하는 차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는 상기 차폐부의 전방에서 상기 차폐부의 상단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의 양면 상단과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에는 상기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가 삽입되도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상부 홈과 하부 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셔터가 가장 하방에 위치될 때 상기 상부 돌기와 하부 돌기는 상기 상부 홈과 하부 홈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복수의 상기 셔터의 외측면이 모두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셔터가 모두 가장 하방에 위치되어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복수의 셔터 외측면과 상기 서랍부의 내측면은 동일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는,
    하방에 배치되는 하부 셔터와,
    상방에 배치되는 상부 셔터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 셔터의 상단에는 상기 상부 셔터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절곡되는 셔터 절곡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부의 내측면은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셔터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와 동일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전방 공간의 내측과 대응하는 크기를 가지며,
    상기 승강부재는 상기 지지부재의 하면과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80034718A 2018-03-26 2018-03-26 냉장고 KR102464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718A KR102464922B1 (ko) 2018-03-26 2018-03-26 냉장고
US16/230,455 US10724788B2 (en) 2018-03-26 2018-12-21 Refrigerator
CN201910096737.0A CN110360800B (zh) 2018-03-26 2019-01-31 冰箱
EP19163338.7A EP3546865B1 (en) 2018-03-26 2019-03-18 Refrigerator
US16/881,774 US11047618B2 (en) 2018-03-26 2020-05-2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4718A KR102464922B1 (ko) 2018-03-26 2018-03-26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2567A KR20190112567A (ko) 2019-10-07
KR102464922B1 true KR102464922B1 (ko) 2022-11-08

Family

ID=65818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4718A KR102464922B1 (ko) 2018-03-26 2018-03-26 냉장고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724788B2 (ko)
EP (1) EP3546865B1 (ko)
KR (1) KR102464922B1 (ko)
CN (1) CN11036080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922B1 (ko) * 2018-03-26 202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92728B1 (ko) 2018-05-08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96480B1 (ko) * 2018-10-19 202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09769B1 (ko) * 2019-01-14 2023-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1125491B2 (en) * 2019-09-23 2021-09-21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Adjustable shelf assembly for an appliance
KR20210061708A (ko) * 2019-11-20 2021-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583B1 (ko) 2004-07-29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90645B1 (ko) 2004-07-15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US20140265798A1 (en)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drive rack & pinion lift mechanism for refrigerated storage bin
US20150059399A1 (en) 2013-09-03 2015-03-0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5627682A (zh) 2015-12-29 2016-06-0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密闭盒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1843A (en) * 1907-08-30 1909-02-09 Aaron C Sample Refrigerator.
JPH05296647A (ja) * 1992-04-14 1993-11-09 Toshiba Corp 冷蔵庫
DE29716164U1 (de) * 1997-09-09 1997-11-20 Benikowski Rolf Verkaufsregal zur Aufnahme handelsüblicher Paletten
US6733094B1 (en) * 2002-11-13 2004-05-11 Chun-Chung Chang Lifting device for LCD
KR100619732B1 (ko) * 2004-07-29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EP2320180A4 (en) * 2008-08-19 2014-05-14 Panasonic Corp FRIDGE
US8827390B2 (en) * 2012-07-19 2014-09-0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with features for facilitating access to a container
EP2752632A3 (en) * 2012-12-20 2018-06-27 Whirlpool EMEA S.p.A Refrigerator device with separator
US9107494B2 (en) * 2013-03-14 2015-08-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lift mechanism including at least one pivot arm
WO2018088802A1 (en) * 2016-11-10 2018-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ft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383586B1 (ko) * 2016-11-10 2022-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289689B1 (ko) * 2017-03-10 2021-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2464922B1 (ko) * 2018-03-26 202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645B1 (ko) 2004-07-15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52583B1 (ko) 2004-07-29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US20140265798A1 (en)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drive rack & pinion lift mechanism for refrigerated storage bin
US20150059399A1 (en) 2013-09-03 2015-03-0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CN105627682A (zh) 2015-12-29 2016-06-01 青岛海尔股份有限公司 密闭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84502A1 (en) 2020-09-10
CN110360800A (zh) 2019-10-22
KR20190112567A (ko) 2019-10-07
US20190293340A1 (en) 2019-09-26
US11047618B2 (en) 2021-06-29
US10724788B2 (en) 2020-07-28
CN110360800B (zh) 2021-09-28
EP3546865B1 (en) 2021-12-15
EP3546865A1 (en)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4922B1 (ko) 냉장고
KR102613619B1 (ko) 냉장고
KR102658254B1 (ko) 냉장고
KR102633810B1 (ko) 냉장고
KR102622809B1 (ko) 냉장고
KR102640307B1 (ko) 냉장고
CN109990557B (zh) 冰箱
KR10247491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용 승강장치
KR102580774B1 (ko) 냉장고
KR102115614B1 (ko) 냉장고
KR20190140322A (ko) 냉장고
KR102640808B1 (ko) 냉장고
KR102550745B1 (ko) 냉장고
KR20200066875A (ko) 냉장고
KR102596480B1 (ko) 냉장고
KR102542610B1 (ko) 냉장고
KR102586889B1 (ko) 냉장고
KR102617684B1 (ko) 냉장고
KR20210008709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550220B1 (ko) 냉장고
KR102464474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