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586B1 -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586B1
KR102383586B1 KR1020170120357A KR20170120357A KR102383586B1 KR 102383586 B1 KR102383586 B1 KR 102383586B1 KR 1020170120357 A KR1020170120357 A KR 1020170120357A KR 20170120357 A KR20170120357 A KR 20170120357A KR 102383586 B1 KR102383586 B1 KR 102383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re
gear
pulley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03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52516A (ko
Inventor
요시오 야사카
카츠미 다케나카
켄타로 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1494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8200160A/ja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7869927.8A priority Critical patent/EP3523585B1/en
Priority to PCT/KR2017/012613 priority patent/WO2018088802A1/en
Priority to US15/809,754 priority patent/US10234195B2/en
Publication of KR201800525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25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5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88/969Drawers having means for organising or sorting the cont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2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spended from ropes, cables, or chains or screws and movable along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2Stationary loaders or unloaders, e.g. for s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서랍의 수용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설치할 수 있는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랍과, 상기 서랍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상기 서랍에 대해 승강시키도록 마련되는 승강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지지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지지대로 전달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활차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LIFT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승강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냉장고로서, 야채실이나 냉동실로 이용되고, 비교적 대형이고 중량이 무거운 수용물이 수용되는 하단의 서랍으로부터, 사용자가 그 수용물을 들어 올릴 경우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서, 서랍에 대하여 수용물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 기구를 구비한 것이 존재한다.
상기 종래의 냉장고로서, 특허문헌 1에는, 냉장고 본체에 설치되는 서랍과, 서랍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를 구비하고, 승강 기구가, 서랍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를 승강시키는 구동 기구와, 구동 기구의 동력을 지지대에 전달하는 한 쌍의 아암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냉장고에 있어서는, 지지대의 하방에 위치되는 한 쌍의 아암에 의해 상기 지지대를 들어 올리는 구조로 되어 있어, 이로 인해, 지지대의 하방에 한 쌍의 아암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있어, 서랍의 수용량이 감소되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냉장고에 있어서는, 구동 기구에 의해, 한 쌍의 아암의 일단부 측을 회전시키고, 타단부 측에서 지지한 수용물을 승강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승강 시에 있어서의 구동 기구에의 부하가 커서, 구동 기구가 고장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미국 특허 제7533947호
따라서, 본 발명은, 승강 기구에 있어서, 서랍의 수용량을 감소시키는 일없이, 서랍에 설치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 기구에 있어서, 승강 시에 있어서의 구동 기구에의 부하를 경감시키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는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랍과, 상기 서랍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상기 서랍에 대해 승강시키도록 마련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지지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지지대로 전달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활차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구동 기구의 동력을 와이어 및 활차의 조합에 의해 지지대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구동 기구를 평면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점에서, 냉장고에 서랍을 삽입했을 경우에 형성되는 전후 좌우의 근소한 공간에 설치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서랍의 수용량을 감소시키는 일없이, 냉장고의 서랍에 대하여 승강 기구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활차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동활차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가, 상기 동활차에 걸린 상기 와이어에 의해 매달아 올려지거나 매달아 내려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구동 기구가 지지대를 들어 올릴 경우에 발생하는 부하가 동활차에 의해 경감되고, 이에 의해, 구동 기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가, 상기 와이어를 권취, 송출하는 권취 송출 기구와, 상기 권취 송출 기구를 구동시키는 상기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대가, 상기 권취 송출 기구에 의해 권취 송출되는 상기 와이어에 의해 매달아 올려지거나 매달아 내려질 수 있고, 또한, 상기 권취 송출 기구와 상기 구동 모터 사이에 개재되는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가, 상기 와이어로부터 상기 권취 송출 기구에 전달되는 부하를 상기 구동 모터로 전달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서랍에 대하여 지지대의 허용 중량 이상의 수용물이 수용된 경우 등, 와이어에 대하여 큰 부하가 작용했을 경우에, 그 부하가 권취 송출 기구를 통하여 구동 모터에 전달되지 않고, 이에 의해, 이 부하에 의한 구동 모터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를 구비하는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가, 상기 권취 송출 기구에 접속되는 출력축과, 상기 구동 모터에 접속되는 입력축과, 상기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을 수용하는 외륜 케이스와, 상기 출력축과 상기 외륜 케이스 사이에 개재되는 롤러를 구비하고, 상기 출력축이, 외주면에 상기 외륜 케이스와 대향해서 상기 롤러를 보유 지지하는 캠을 갖고, 상기 와이어에 작용하는 부하가 상기 기어 기구를 통하여 상기 출력축에 전달되었을 경우에, 상기 롤러가 상기 캠과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입력축 및 상기 출력축이 상기 외륜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입력축이, 상기 캠에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롤러를 상기 캠과 맞물리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전달 블록을 갖고,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이 상기 입력축에 전달되었을 경우에, 상기 전달 블록이 상기 캠에 접촉해서 상기 롤러가 상기 캠과 맞물리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입력축 및 상기 출력축이 상기 외륜 케이스에 대하여 회전 가능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출력축에 대하여 부하가 작용하면, 롤러가 캠과 맞물리고, 이에 의해, 외륜 케이스에 대하여 출력축이 회전 불가능하게 되고, 상기 부하가 상기 출력축으로부터 상기 입력축에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지지대의 급격한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일부에 탄성체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탄성체에도 지지대를 상승시키는 장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구동 기구에 대한 부담이 경감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성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는, 하강 동작에 있어서, 무엇인가의 원인(예를 들어, 지지대의 걸림 등)에 의해서 지지대의 하강이 정지하면, 지지대가 정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동 기구에 의한 와이어의 송출이 계속되어, 활차로부터 와이어가 벗어나거나, 와이어의 텐션이 느슨해지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강 동작에 있어서, 무엇인가의 원인에 의해서 지지대의 하강이 정지한 경우에, 구동 기구에 의한 와이어의 송출도 정지시키고, 와이어의 활차로부터의 이탈이나 텐션이 느슨해지는 것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이 과제를 다음과 같은 해결 수단에 의해 해결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관한 승강 기구는, 서랍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이며, 상기 서랍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상기 서랍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기구와, 상기 구동 기구의 동력을 상기 지지대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활차와, 상기 지지대의 하강에 따라 소정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이하는 변이 부재와, 상기 변이 부재의 변이량 또는 그 관련값을 검지하는 변이 검지 센서와, 상기 변이 검지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변이량 또는 그 관련값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기구를 정지시키는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이라면, 하강 동작에 있어서, 지지대가 정지한 것을, 변이 부재의 변이량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바로 검지하여, 구동 기구를 정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하강 동작 중에, 지지대가 무엇인가의 원인에 의해서 정지한 경우에도, 와이어가 필요 이상으로 송출되는 일이 없어, 와이어가 활차로부터 벗어나거나, 와이어가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변이량의 관련값이란, 변이량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값은 아니나, 변이량에 관련해서 변화하는 값이며, 예를 들면, 변이량을 산출하는 데 있어서 사용되는 값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변이 부재가, 상기 지지대의 하강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이동체일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이동체가, 벨트이며, 상기 변이 검지 센서가, 상기 벨트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량을 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지지대의 하강에 수반하여 이동체가 이동하므로, 지지대에 대한 부하를 증가 시키지 않고, 지지대의 정지를 검지할 수 있고, 구동 기구에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변이 부재가, 상기 지지대의 하강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체이며, 상기 변이 검지 센서가, 상기 신축체의 신축에 따라 변화하는 장력을 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예를 들어 신축체를, 지지대가 하강함에 따라서 장력이 증가하고, 반대로 지지대가 상승함에 따라서 장력이 감소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설치함으로써, 신축체는, 단순히 지지대의 정지를 검지하는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상승 동작에 있어서, 지지대의 상승을 서포트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하강 동작에 있어서, 지지대의 급강하를 억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승강 기구에 대하여 마찬가지 역할을 하는 다른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승강 기구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변이 부재가, 상기 지지대의 상승에 수반해서 소정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이하는 것이며,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변이 검지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변이량 또는 그 관련값이 소정값으로 되었을 경우에, 상기 구동 기구를 정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변이 부재 및 변이 검지 센서를, 승강 동작에 있어서의 지지대의 승강 위치를 제어하는 것에도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강 기구에 대하여 마찬가지 역할을 하는 다른 부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승강 기구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승강 기구는, 서랍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이며, 상기 서랍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상기 서랍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구동 기구와, 상기 구동 기구에 설치되는 제1회전체와, 상기 제1회전체에 의해 권취 송출되어서 상승 방향측으로 상기 지지대를 끌어당기는 제1 와이어와, 상기 구동 기구에 설치되고, 상기 제1회전체와 연동해서 역회전하는 제2 회전체와, 상기 제2 회전체에 의해 권취 송출되어서 하강 방향측으로부터 상기 지지대로 연장되는 제2 와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이라면, 하강 동작에 있어서, 지지대가 정지한 경우에, 제2 회전체에 의해 하강 방향측으로부터 지지대로 연장되는 제2 와이어를 권취할 수 없게 되어, 제2 회전체가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된다. 이에 수반해서 제2 회전체에 연동하는 제1회전체도 그 이상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제1회전체에 의한 지지대를 상승 방향측으로부터 끌어당기는 제1 와이어의 송출이 정지된다. 이에 의해, 하강 동작에 있어서, 지지대가 정지한 경우에도, 제1 와이어가 필요 이상으로 송출되는 일이 없게 되어, 제1 와이어가 활차로부터 벗어나거나, 제1 와이어의 텐션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2 와이어에 대하여 소정값 이상의 장력이 발생한 경우에, 상기 구동 기구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구동 기구가, 구동 모터에 의해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이며, 상기 구동 모터에 대한 부하를 검지하는 검지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검지 기구에 의해 검지된 부하가 소정값 이상으로 되었을 경우에, 상기 제2 와이어에 대하여 소정값 이상의 장력이 발생했다고 판단해서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하강 동작에 있어서, 지지대가 정지한 경우에, 제2 회전체에 의해 지지대로부터 하강 방향측으로 신장되는 제2 와이어가 끌어당겨지고, 제2 회전체에 의해 제2 와이어를 권취할 수 없게 되어, 제1회전체 및 제2 회전체는 그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되지만, 이 때에 발생하는 제2 와이어의 장력 증가를 검지해서 구동 기구를 정지시키므로, 구동 기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상태에 있어서 구동 기구가 양쪽 회전체를 회전시키려고 하면 큰 부하가 발생하여, 구동 기구의 고장 원인이 되므로, 이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검지 기구로서는, 구동 모터의 회전수나 회전 속도를 검지할 수 있는 인코더나, 구동 모터의 과부하 전류를 검지할 수 있는 센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를 안내하는 n개(n은, 0 이상의 정수)의 동활차와, 상기 제2 와이어를 안내하는 m개(m은, 0 이상의 정수)의 동활차를 더 구비하고, 상기 동활차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체가 일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제1회전체의 상기 제1 와이어의 권취량이 상기 제2 회전체의 상기 제2 와이어의 송출량의 X배로 되고, 상기 제1회전체가 타방향으로 회전했을 경우에 있어서의, 상기 제1회전체의 상기 제1 와이어의 송출량이 상기 제2 회전체의 상기 제2 와이어의 권취량의 X배로 되고, 상기 X가, n>m의 경우, 2(n-m)로 되고, n<m의 경우, -1/(2(n-m))로 되고, n=m의 경우, 1로 되는 수치일 수 있다. 또한, n=0은, 제1 와이어를 안내하는 동활차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m=0은, 제2 와이어를 안내하는 동활차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즉, 제1회전체의 제1 와이어의 권취량(또는 송출량)과, 제2 회전체의 제2 와이어의 송출량(또는 권취량)이,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를 안내하는 동활차의 수에 따라서 변화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제1 와이어를 안내하는 동활차가 하나 설치되고, 제2 와이어를 안내하는 동활차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회전체의 권취량(또는 송출량)이 제2 회전체의 송출량(또는 권취량)의 2배로 되고, 제1 와이어를 안내하는 동활차의 설치 개수와 제2 와이어를 안내하는 동활차의 설치 개수가 동등할 경우에는, 제1회전체의 권취량(또는 송출량)이 제2 회전체의 송출량(또는 권취량)과 동등해진다. 이러한 것이라면, 승강 동작에 있어서, 제1회전체의 제1 와이어의 권취량(또는 송출량)에 수반하는 지지대의 이동 거리와, 제2 회전체의 제2 와이어의 송출량(또는 권취량)이 동등해지므로, 제1 와이어 및 제2 와이어의 텐션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회전체의 권취량(또는 송출량)이 제2 회전체의 송출량(또는 권취량)의 X배로 된다라는 표현이나 동등해진다라는 표현은, 지지대의 승강 방향에 대하여 각 와이어가 경사져 설치되어 있었을 경우나 각 와이어의 신축 등에 의해 발생하는 오차를 제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가, 서로 연동하는 기어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하강 동작에 있어서, 제2 회전체가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된 경우에, 톱니의 맞물림에 의해 제1회전체도 확실하게 회전할 수 없는 상태로 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제1회전체에 의한 제1 와이어의 송출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체 및 제2 회전체를 기어로 함으로써, 양 기어의 기어비, 양 기어의 와이어가 감기는 축심의 직경, 각 와이어를 안내하는 동활차의 수를 고려함으로써, 제1회전체 및 제2 회전체의 권취량 송출량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제1회전체와 제2 회전체는, 서로 인접하는 형태일 수 있고, 제1회전체와 제2 회전체 사이에, 다른 기어가 개재되는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이어 또는 상기 제2 와이어의 일부에 탄성체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제1 와이어 또는 제2 와이어에 발생하는 텐션의 느슨함을 탄성체에 의해 흡수할 수 있고, 항상 어느 정도 텐션이 발생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승강 기구는, 서랍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승강시키는 승강 기구이며, 상기 서랍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를 상기 서랍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복수의 구동 기구와, 상기 복수의 구동 기구의 동력을 상기 지지대에 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활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이라면, 복수의 구동 기구에 의해 지지대를 승강시키므로, 승강 시에 있어서의 부하가 각 구동 기구로 분산되어, 하나의 구동 기구에 대한 부하가 저감된다. 이에 따라, 각 구동 기구로서 비교적 소형의 구동 모터 등을 채용할 수 있게 되어, 승강 기구 전체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냉장고의 서랍에 채용하는 경우에는, 승강 기구 전체를 소형화함으로써, 서랍의 단열재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어, 단열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복수의 구동 기구의 동력을 와이어 및 활차의 조합에 의해 지지대에 전달할 수 있으므로, 구동 기구를 평면적으로 설치할 수 있는 점에서, 냉장고에 서랍을 삽입했을 경우에 형성되는 전후 좌우의 근소한 공간에 설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서랍의 수용량을 크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활차가, 상기 지지대에 설치된 동활차를 갖고, 상기 지지대가, 상기 동활차에 걸린 상기 와이어에 의해 매달아 올려지거나 매달아 내려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구동 기구가 지지대를 들어 올릴 경우에 발생하는 부하가 동활차에 의해 더욱 경감된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가, 상기 지지대를 승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분하는 중앙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예를 들어 서랍의 도어판의 중앙에 지지대를 설치한 경우에, 비교적 중량이 무거운 구동 기구를 서랍의 폭 방향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랍의 좌우 레일에 대한 중량 밸런스가 좋아져, 양 레일에 발생하는 경년 열화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양 레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양 레일은, 서랍의 출납에 의해 오랜 세월에 걸쳐서 수없이 슬라이드되기 때문에, 양 레일에 대한 중량 밸런스가 나쁘면, 중량이 무거운 측의 레일에 발생하는 경년 열화의 진행 스피드가 빨라져, 그 결과, 레일 파손이 조기에 발생하지만, 양 레일에 대한 중량 밸런스를 좋게 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선에 대하여 구동 기구가 선대칭으로 배치되는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활차가, 상기 중앙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상기 중앙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걸쳐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상기 중앙선에 대하여 양측의 구동 기구의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의 길이가 일치하므로, 양측의 구동 기구를 제어하기 쉬워진다. 즉, 복수의 구동 기구에 의해 지지대를 승강시킬 경우에는, 지지대를 수평 상태로 유지해서 승강시키므로, 각 구동 기구에 의한 와이어의 권취량 또는 송출량이 동등해지도록 제어할 필요가 있지만, 이때, 각 구동 기구의 동력을 전달하는 와이어의 길이가 다르면, 각 구동 기구의 동작량 뿐만 아니라, 각 와이어의 길이 비도 고려할 필요가 있어, 각 구동 기구를 제어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활차 및 와이어에 대해서도, 상기 중앙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양 레일에 대한 중량 밸런스가 좋아진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구동 기구가, 한 쌍의 구동 기구이며, 상기 한 쌍의 구동 기구의 동력이, 하나의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지지대에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구동 기구의 동력이, 각각 별도의 와이어를 통하여 상기 지지대에 전달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각 와이어가, 각각 별도의 활차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 기구의 동력을 와이어 및 활차의 조합에 의해 지지대에 전달하도록 하면, 설계 자유도가 높아져, 근소한 공간에 내장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 기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어느 하나의 구동 기구가 정지한 경우에, 상기 다른 구동 기구를 모두 정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어느 하나의 구동 기구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다른 구동 기구가 정지하므로, 다른 구동 기구가 계속해서 동작해서 2차 파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 기구의 동작량을 검지하는 제1 검지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1 검지 기구로 검지되는 상기 각 구동 기구의 동작량을 비교하고, 상기 각 구동 기구의 동작량이 대략 동등해지도록 상기 각 구동 기구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각 구동 기구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권취량 또는 송출량이 대략 동등해져, 지지대를 수평 상태로 유지하면서 승강시킬 수 있도록 각 구동 기구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대가 기울면, 수용물이 서랍의 편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되고, 이에 수반해서 양 레일에 대한 중량 밸런스가 나빠지고, 상기 이유에 의해, 레일 파손이 조기에 발생해버린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제어 장치를 구비하는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각 구동 기구의 동작량의 동작 속도를 검지하는 제2 검지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 장치가, 상기 제2 검지 기구에 의해 검지된 검지 동작 속도가 가장 늦은 구동 기구의 검지 동작 속도와, 그 구동 기구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동작 속도의 상한값을 비교하고, 상기 검지 동작 속도가,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검지 동작 속도가 가장 늦은 구동 기구 이외의 구동 기구의 동작 속도를 늦추고, 상기 상한값을 초과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상기 검지 동작 속도가 가장 늦은 구동 기구의 동작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각 구동 기구가, 그 구동 기구의 동작량의 변화율의 상한값을 초과해서 구동되는 일이 없고, 각 구동 기구에 대한 부하가 저감되어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속도는, 예를 들어 구동 기구의 동력원이 구동 모터일 경우에는 회전 속도로 된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승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다른 위치에 설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 및 적어도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가이드 롤러와 상기 제2 가이드 롤러가, 상기 승강 방향과 직교하고, 또한, 서로 교차하는 회전축을 가질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 가이드 롤러 및 상기 제2 가이드 롤러를 승강 방향으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지지대를 서로 교차하는 회전축을 갖는 2조의 가이드 롤러에 의해 위치 결정하면서 승강 방향으로 승강시에 발생하는 지지대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고, 수용물을 안정된 상태로 들어올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상기 서랍에 수용된 수용물을 지지하는 지지 아암을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 아암이,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지지대가 상승한 상태에서 정전 등에 의해 승강 기구에 대한 전력 공급이 정지한 경우에, 지지 아암과 함께 수용물을 취출하고, 서랍만을 닫을 수 있어, 수용물이 방해로 되어서 서랍을 닫을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상변측에 설치되고, 하방을 향해서 개구되는 걸림편과, 하변측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편과 대향하는 적재대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아암이, 상기 걸림편에 일단부측을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대에 적재된 상태로 상기 지지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지지 아암을 지지대에 대하여,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지지 아암은, 평행하게 배열되는 한 쌍의 봉재를 일단부측에서 연결시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지지 아암을 경량화할 수 있으므로, 구동 기구에 대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지지 아암을, 금속 등의 탄성력을 갖는 재료로 하고, 지지 아암에 있어서의 한 쌍의 봉재의 타단부측에 지지대에 걸리는 걸림편을 설치하고, 지지 아암의 걸림편을 지지대에 건 상태로부터, 지지 아암에 있어서의 한 쌍의 봉재 타단부측의 간격을, 지지 아암이 갖는 탄성력에 저항해서 확장 또는 좁힘으로써, 지지대에 대한 걸림편의 걸림을 제거하여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도,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대로부터 간단히 지지 아암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를 항상 상승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인장 기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인장 기구에 의해 지지대가 항상 상승 방향으로 끌어당겨진 상태로 되므로, 승강 동작에 있어서의 구동 기구에 대한 부하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구가,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에 접속되는 웜기어(worm gear)와, 상기 웜기어(worm gear)에 접속되고, 상기 와이어를 권취 송출하는 권취 송출 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구동 모터가 정지해도, 웜기어(worm gear)에 의해 지지대의 승강이 로크되고, 지지대가 정지 시의 높이에서 보유 지지되고, 이에 의해, 별도의 클러치 기구 등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구동 모터와 권취 송출 기구 사이에 웜기어(worm gear)가 개재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지지대에 대하여 필요 이상으로 밀어 내리는 힘이 어느 정도 작용한 경우라도, 지지대에 대한 부하가 웜기어(worm gear)에 의해 차단되어, 구동 모터에 전달되지 않게 되고, 이에 의해, 구동 모터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체 및 상기 제2 회전체 중 적어도 한쪽이, 와이어가 감기는 축체를 구비하고, 그 축체의 외측면에 나선 형상의 홈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제1회전체 또는 제2 회전체에 의해 와이어를 권취할 경우에, 와이어가 축체의 홈을 따라서 안내되면서 권취된다. 이에 따라, 와이어가 축체에 대하여 정렬된 상태로 권취되어, 권취 송출 시에 있어서의 와이어의 마찰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와이어의 수명이 연장되는 동시에, 마찰음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있는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상승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지지대를 보유 지지하는 지지대 보유 지지 기구를 더 구비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제2 회전체를 구비하지 않고 있는 승강 기구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상승한 상태에 있어서, 당해 지지대를 보유 지지하고, 또한, 당해 지지대에 대하여, 당해 지지대의 중량과 당해 지지대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최대 지지 중량의 합계 중량보다도 큰 하강 방향을 향하는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보유 지지를 해제하는 지지대 보유 지지 기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를 설치하지 않아도, 지지대가 상승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최대 지지 중량은, 그 설정값으로서, 안전을 고려하여, 지지대가 실제로 지지할 수 있는 최대 중량보다도 가벼운 중량으로 설정되지만, 그 최대 중량을 설치 값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승강 유닛은,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가, 상기 서랍의 도어판의 내측에 설치하는 설치판에 설치된 것이다.
이러한 것이라면, 서랍이나 그 서랍을 설치할 수 있는 본체(예를 들어, 냉장고)의 조립 작업과 별도로 승강 유닛의 조립 작업을 행할 수 있고, 적절한 타이밍에 서랍에 대하여 조립이 완료된 승강 유닛을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승강 기구가 고장난 경우에는, 서랍으로부터 승강 유닛을 제거해서 수리나 교환을 할 수 있으므로, 고객에 대한 서비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냉장고 또는 세탁기는, 상기 어느 하나의 승강 기구 또는 승강 유닛이 설치된 서랍이 설치된 것이다.
이렇게 구성한 본 발명에 관한 승강 기구에 의하면, 서랍의 수용량을 감소시키는 일없이, 서랍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승강 기구에 의하면, 하강 동작에 있어서, 무엇인가의 원인에 의해서 지지대의 하강이 정지한 경우에, 구동 기구에 의한 와이어의 송출도 정지되고, 와이어의 활차로부터의 이탈이나 텐션의 느슨해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승강 기구에 의하면, 승강 시에 있어서의 구동 기구에의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승강 기구를 구비한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승강 기구를 구비한 냉장고의 하단 공간으로부터 서랍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지지대를 하강시킨 상태의 도어판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지지대를 상승시킨 상태의 도어판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에 관한 지지대를 하강시킨 상태의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지지대를 상승시킨 상태의 승강 기구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1에 관한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의 동력 전달 상태, 반전 클러치 상태 및 정회전 클러치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승강 기구를 구비한 냉장고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승강 기구를 구비한 냉장고의 하단 공간으로부터 서랍을 인출한 상태를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도어판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실시 형태 2에 관한 지지대의 상승 동작에 있어서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실시 형태 2에 관한 지지대의 하강 동작에 있어서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5는 실시 형태 2의 변형예에 관한 지지대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도어판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구동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실시 형태 3에 관한 지지대의 상승 동작에 있어서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9는 실시 형태 3에 관한 지지대의 하강 동작에 있어서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0은 실시 형태 3의 변형예에 관한 지지대에 대한 지지 아암의 착탈 수순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실시 형태 3의 변형예에 관한 지지대에 대한 지지 아암의 착탈 동작을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2는 실시 형태 4에 관한 도어판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실시 형태 4에 관한 지지대의 상승 동작에 있어서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4는 실시 형태 4에 관한 지지대의 하강 동작에 있어서의 움직임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25는 실시 형태 4의 변형예에 관한 구동 기구, 활차, 와이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6은 실시 형태 4의 변형예에 관한 구동 기구, 활차, 와이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7은 기타의 실시 형태에 관한 제2 기어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기타의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대 보유 지지 기구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승강 기구를 구비한 냉장고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1>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승강 기구(200)를 구비한 냉장고(1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 설치된 중앙에서 분할되어서 좌우로 개방되는 도어(10, 10)와, 하단에 설치된 서랍(2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단에 설치된 서랍(20)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30)의 하단에 설치된 하단 공간(31)에 끼워 넣어져 있다. 하단 공간(31)은, 전방을 향하는 개구(32)를 갖고, 양쪽 내측면에 서랍(20)을 안내하는 고정 레일(33, 33)이 설치되어 있다.
서랍(20)은, 하단 공간(31)의 전방을 향하는 개구(32)를 폐쇄하는 도어판(21)과, 도어판(21)의 이면(후방면)에 설치되는 승강 기구(200)와, 도어판(21)의 이면 양측에 승강 기구(200)를 사이에 끼우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판(22, 22)(도 3 및 도 4 참조)과, 양 가이드판(22, 22)에 고정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동 레일(23, 23)과, 양쪽 가동 레일(23, 23)의 사이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박스 케이스(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서랍(20)은, 한 쌍의 가동 레일(23, 23)을 각각 하단 공간(31)에 설치된 고정 레일(33, 33)에 끼워 넣음으로써, 하단 공간(3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박스 케이스(40)는, 상방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고, 그 개구의 양쪽 측변에 가동 레일(23, 23)에 걸기 위한 플랜지(41, 4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박스 케이스(40)에는, 도어판(21)과 대향하는 전방면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삽입 구멍(42)이 형성되어 있다.
승강 기구(200)는, 도 3 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판(21)의 이면측을 승강하는 지지대(210)와, 도어판(21)에 설치되는 구동 기구(220)와, 구동 기구(220)의 동력을 지지대(210)에 전달하는 와이어(230)와, 와이어(230)를 안내하는 세 개의 활차(240, 240, 26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 기구(220), 와이어(230) 및 세 개의 활차(240, 240, 260)는, 도어판(21)의 이면 중앙에 설치되는 편평 형상의 박스(270) 내에 수용되어 있고, 박스(270)의 중앙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27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어판(21)의 이면 양측에 고정된 양 가이드판(22, 22)은, 각각 박스(270)의 측면과 대향하도록 가이드 홈(24, 24)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대(210)는, 도어판(21)의 이면을 따라 승강하는 지지판(211)과, 지지판(211)에 고정되어서 박스 케이스(40)의 삽입 구멍(42)에 삽입되는 한 쌍의 지지 아암(212, 212)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판(211)은, 판재를 절곡해서 형성되어 있고, 도어판(21)의 이면 양측에 설치된 양 가이드판(22, 22)의 사이에 꼭 맞는 폭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211)은, 중앙 부분이 도어판(21)의 이면에 설치된 박스(270)를 따라 절곡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박스(270)의 양측면(270a)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단차면을 갖고 있다. 또한, 지지판(211)은, 양측 부분이 가이드판(22)의 가이드 홈(24)을 따라 절곡되어 있고, 가이드판(22)의 가이드 홈(24)에 대하여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측면을 갖고 있다. 그리고, 지지판(211)의 단차면과 박스(270)의 측면(270a)의 간극에는, 각각 지지판(211)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213, 213)가 개재되어 있고,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213, 213)는, 박스(270)의 측면(270a)을 가이드로 하여 지지대(210)를 안내한다. 또한, 지지판(211)의 측면과 가이드 홈(24)의 간극에는, 지지판(211)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214, 214)가 개재되어 있고,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214, 214)는, 가이드 홈(24)을 가이드로 하여 지지대(210)를 안내한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213, 213)는, 서랍(2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신장하는 회전축을 갖고,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214, 214)는, 서랍(20)의 슬라이드 방향 및 지지대(210)의 승강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회전축을 갖고 있으며, 제1 가이드 롤러(213)의 회전축과 제2 가이드 롤러(214)의 회전축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어판(21)의 이면을 따라 지지대(210)가, 덜걱거림 없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고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어판(21)의 이면에 설치한 각 부재(박스(270)나 가이드판(22))을 가이드 롤러의 가이드로 하고 있지만, 도어판(21) 자체에 설치된 단차 등을 가이드로 할 수 있다. 또한, 수용물을 지지하는 지지 아암(212, 212)은, 지지대(210)의 지지판(211)에 대하여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박스(270)에 수용된 구동 기구(220), 와이어(230), 세 개의 활차(240, 240, 260)의 관계를 도 5 및 도 6에 기초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지지대(210)를 하강시킨 상태, 도 6은, 지지대(210)를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구동 기구(220)는, 구동 모터(221)와, 구동 모터(221)의 회전축에 대하여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를 통하여 접속되는 제1 기어(222)와, 제1 기어(222)에 접속되어서 와이어를 권취 송출하는 제2 기어(223)와, 제2 기어(223)의 주위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스위치 센서(224a, 224b)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은2 박스(270) 내의 긴 구멍(271)에 대하여 일측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 기어(222), 제2 기어(223) 및 스위치 센서(224a, 224b)가 청구항에 있어서의 권취 송출 기구에 대응하고 있다.
세 개의 활차(240, 240, 26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두 개가 정활차(240, 240)이며, 하나가 동활차(260)다. 두 개의 정활차(240, 240)는, 박스(270) 내의 상측에 긴 구멍(271)을 사이에 두고 설치되어 있고, 하나의 동활차(260)는, 지지판(211)에 있어서의 긴 구멍(271)과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230)는, 일단부가 제2 기어(223)에 설치된 검지축(225)에 걸쳐 고정되고, 도중에 한쪽의 정활차(240), 동활차(260), 다른 쪽의 정활차(240)의 순서로 걸쳐져서 M자 형상으로 만곡한 후, 타단부가 스프링(231)(탄성체)을 통하여 박스(270) 내의 긴 구멍(271)에 대하여 타측 하방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210)는, 동활차(260)에 걸쳐진 와이어(230)에 의해 서랍(20)에 대하여 현수된 상태로 된다. 또한, 박스(270) 내에는, 스프링(231)의 신장을 규제하는 규제판(232)이 스프링(231)의 상방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스위치 센서(224a, 224b)는,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2 기어(223)의 와이어(230)가 걸쳐져 고정된 검지축(225)을 검지해서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1 스위치 센서(224a)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어(223)가 와이어(230)를 송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대(210)가 가장 낮은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검지축(225)을 검지하도록 제2 기어(223)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스위치 센서(224b)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기어(223)가 와이어(230)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대(210)가 가장 높은 위치로 상승했을 때에 검지축(225)을 검지하도록 제2 기어(223)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221)에 접속되는 입력축(310)과, 제1 기어(222)에 접속되는 출력축(320)과, 입력축(310) 및 출력축(320)을 수용하는 외륜 케이스(330)와, 입력축(310)과 외륜 케이스(330) 사이에 개재되는 복수의 롤러(340)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축(310)과 출력축(320)은, 모두 외륜 케이스(330)의 중심축을 따라 직렬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고, 그 중심축과 일치하는 회전축을 갖고 있다.
출력축(320)은, 일단부측이 외륜 케이스(33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타단부측이 외륜 케이스(330) 내에 위치되는 출력축체(321)와, 출력축체(321)의 타단부측 외주면에 대하여 등위상마다 배치되고, 외륜 케이스(330)의 내주면을 향해서 돌출된 복수의 캠(32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캠(322)은, 외륜 케이스(330)의 내주면과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캠면(323)을 갖고, 캠면(323)은, 원호 형상으로 오목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캠(322)의 캠면(323)과 외륜 케이스(330)의 내주면 사이에 원기둥 형상의 롤러(340)를 사이에 두고 보유 지지하는 보유 지지 공간(350)이 설치된다. 또한, 보유 지지 공간(350)의 직경 방향에 대한 간격은, 캠면(323)의 중앙에서 가장 길어지고, 캠면(323)의 양단을 향해서 서서히 짧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롤러(340)의 캠면(323)에 대한 접촉 위치가, 캠면(323)의 중앙으로 되어 있을 경우에는, 출력축(320)의 외륜 케이스(330)에 대한 회전이 각 롤러(340)에 규제되지 않고, 한편, 각 롤러(340)의 캠면(323)에 대한 접촉 위치가, 캠면(323)의 중앙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난 경우에는, 출력축(320)의 외륜 케이스(330)에 대한 회전이 각 롤러(340)에 의해 규제된다.
입력축(310)은, 외륜 케이스(330) 내에 위치되는 입력축체(311)와, 입력축체(311)의 일단부로부터 출력축체(321)의 타단부측을 둘러싸도록 신장되고, 각 캠(322)의 사이에 위치되는 복수의 전달 블록(312)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각 전달 블록(312)은, 내주면이 출력축체(321)의 외주면에 접하고 있고, 외주면이 외륜 케이스(330)의 내주면에 접하고 있고, 외주면의 폭보다도 내주면의 폭 쪽이 좁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전달 블록(312)은, 내주측이 그 전달 블록(312)을 사이에 끼우는 양쪽 캠(322, 322)의 간격보다도 폭이 좁게 되어 있고, 양쪽 캠(322, 322)과의 사이에 간극을 설치해서 이격,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전달 블록(312)은, 롤러(340)와 대향하는 외주측의 측면에 캠(322)과 대향하는 내주측의 측면보다도 둘레 방향으로 튀어나온 규제편(313)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규제편(313)은, 전달 블록(312)의 내주측의 측면을 캠(322)에 접촉시킨 상태에 있어서, 보유 지지 공간(350)에 끼워져서, 그 보유 지지 공간(350)에 대한 롤러(340)의 전동을 규제한다. 또한, 롤러(340)는, 규제편(313)에 접촉한 상태에서 캠면(323)의 중앙에서 접촉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라면, 우선, 도 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221)로부터 입력축(310)에 대하여 소정 회전 방향(도 8a 중, 우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동력)이 전달되면, 입력축(310)이 외륜 케이스(330) 내에서 소정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고, 각 전달 블록(312)의 내주측의 측면 중에서 소정 회전 방향을 향하는 측면이 캠(322)에 접촉하고, 이에 수반해서 각 전달 블록(312)의 규제편(313)이 보유 지지 공간(350)에 끼워진다. 이에 따라, 규제편(313)에 의해 보유 지지 공간(350) 내에 있어서의 롤러(340)의 소정 회전 방향과 반대의 회전 방향(이하, “반대 회전 방향”이라고도 한다. )측으로의 전동이 규제되고, 롤러(340)의 캠면(323)에 대한 접촉 위치가 중앙으로부터 반대 회전 방향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이 상태에서, 입력축(310)이 출력축(320)과 함께 외륜 케이스(330) 내에서 소정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롤러(340)가 규제편(313)에 접촉하는 동시에 캠면(323)의 중앙에 접촉한 상태로 되고, 출력축(320)에 대한 롤러(340)의 회전 규제가 작용하지 않아, 구동 모터(221)의 동력이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를 통하여 제1 기어(222)로 전달되는 동력 전달 상태로 된다. 또한,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는, 구동 모터(221)의 동력 회전 방향이 우회전 방향 및 좌회전 방향의 어느 것이라도 구동 모터(221)로부터 입력축(310)에 동력이 전달되는 상기 동력 전달 상태로 이행한다.
이어서,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상태로부터, 입력축(310)에 대하여 가해지는 소정 회전 방향(도 8b 중, 우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약해지거나, 출력축(320)에 대하여 반대 회전 방향으로의 큰 회전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출력축(320)이 입력축(310)과 함께 외륜 케이스(330) 내를 반대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보유 지지 공간(350) 내에 있어서의 롤러(340)의 소정 회전 방향측으로의 전동이 규제되어 있지 않으므로, 롤러(340)의 캠면(323)에 대한 접촉 위치가 중앙으로부터 소정 회전 방향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출력축(320)에 대한 롤러(340)의 회전 규제가 작용하고, 출력축(320)에 작용하는 반대 회전 방향으로의 부하가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에 의해 차단되어서 구동 모터(221)로 전달되지 않는 반전 로크 상태로 된다. 또한, 도 8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력 전달 상태로부터, 출력축(320)에 대하여 소정 회전 방향으로의 큰 회전력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출력축(320)이 외륜 케이스(330) 내를 소정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입력축(310)보다도 빠른 회전 속도로 외륜 케이스(330) 내를 소정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보유 지지 공간(350) 내에 있어서의 롤러(340)의 소정 회전 방향측으로의 전동이 규제되어 있지 않으므로, 롤러(340)의 캠면(323)에 대한 접촉 위치가 중앙으로부터 반대 회전 방향측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출력축(320)에 대한 롤러(340)의 회전 규제가 작용하고, 출력축(320)에 작용하는 소정 회전 방향으로의 부하가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에 의해 차단되어서 구동 모터(221)로 전달되지 않는 정회전 로크 상태로 된다. 또한, 정회전 로크 상태에 있어서는, 이 상태가 되면, 입력축(310)이 롤러(340)를 소정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보다도 출력축(320)이 롤러(340)를 소정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힘 쪽이 크기 때문에,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와 구동 모터(221)는, 입력축(310)의 입력축체에 설치된 접속 구멍에 구동 모터(221)로부터 돌출된 회전축을 삽입해서 접속되어 있고,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와 제1 기어(222)는, 출력축(320)의 외륜 케이스(330)로부터 돌출된 출력축체(321)의 일단부측을 제1 기어(222)에 설치된 접속 구멍에 삽입해서 접속되어 있고, 이에 의해, 구동 모터(221)와 제1 기어(222)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또한, 승강 기구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를 갖고 있으며, 제어부는, 냉장고의 외벽면에 설치된 상승 버튼 및 하강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 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는, CPU, 메모리, A/DD/A 컨버터, 입출력 수단 등을 구비한 소위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각종 기기가 협동함으로써 그 기능이 실현되도록 되어 있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승강 기구(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냉장고 본체(30)의 하단 공간(31)으로부터 서랍(20)을 인출하고, 입력 수단의 상승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가, 구동 모터(221)를 구동시켜서 상승 동작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221)가 구동되면, 구동 모터(221)의 일측 회전 방향(도 5 중, 좌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의 입력축(310)으로 전달되어,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가 동력 전달 상태로 되고, 구동 모터(221)의 회전력이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를 통하여 제1 기어(222) 및 제2 기어(223)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2 기어(223)가 와이어(230)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기어(223)의 와이어(230)의 권취량에 따라서 동활차(260)가 상승하고, 이에 수반해서 동활차(260)에 접속된 지지대(210)가 가이드 홈(24, 24)으로 안내되어서 와이어(230)에 매달아 올려진다. 그리고, 제2 기어(223)가 일측 정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고, 제2 스위치 센서(224b)가 검지축(225)을 검지하면, 제어부는, 제2 스위치 센서(224b)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도 6 참조). 이때, 승강 기구(200)가 지지대(210)를 서랍(20)에 대하여 가장 상승시킨 상태로 되도록, 제2 기어(223)에 의한 와이어(230)의 길이 등이 조정되어 있다. 또한, 상승 동작 중에 지지대(210)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부하가 가해지거나, 구동 모터(221)의 구동이 정지하면,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가 반전 로크 상태로 되고, 구동 모터(221)에의 부하의 전달이 차단되어, 구동 모터(221)의 파손이 방지된다.
이어서, 사용자가, 입력 수단의 하강 버튼을 누르면, 제어부가, 구동 모터(221)를 구동시켜서 하강 동작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221)가 구동되면, 구동 모터(221)의 타측 회전 방향(도 6중, 우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의 입력축(310)으로 전달되고,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가 동력 전달 상태로 되고, 구동 모터(221)의 회전력이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를 통하여 제1 기어(222) 및 제2 기어(223)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2 기어(223)가 와이어(230)를 송출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기어(223)의 와이어(230)의 송출량에 따라서 동활차(260)가 하강하고, 이에 수반해서 동활차(260)에 접속된 지지대(210)가 가이드 홈(24, 24)으로 안내되어서 와이어(230)에 의해 매달아 내려진다. 그리고, 제2 기어(223)가 타측 회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전하고, 제1 스위치 센서(224a)가 검지축(225)을 검지하면, 제어부는, 제1 스위치 센서(224a)로부터 수신한 검지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때, 승강 기구(200)가 지지대(210)를 서랍에 대하여 가장 하강시킨 상태로 되도록, 제2 기어(223)에 의한 와이어(230)의 길이 등이 조정되어 있다. 또한, 하강 동작 중에 지지대(210)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부하가 가해지면,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가 정회전 로크 상태로 되고, 구동 모터(221)의 구동이 정지하면,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가 반전 로크 상태로 되어, 어느 상태에 있어서도 구동 모터(221)에의 부하의 전달이 차단되어, 구동 모터(221)의 파손이 방지된다.
이러한 것이라면, 승강 기구(200)에 있어서 와이어(230)를 안내하는 활차로서 하나의 동활차(260)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와이어(230)를 끌어당겨 지지대(210)를 상승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힘이 1/2로 되어 구동 모터(221)에 발생하는 부담을 1/2로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와이어(230)의 타단부측에 스프링(231)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제2 기어(223)가 와이어(230)를 권취하면, 이에 수반해서 스프링(231)이 신장되어 장력이 증가하고, 이 장력이 와이어(230)를 통하여 지지대(210)를 상승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서랍(20)에 대하여 지지대(210)가 상승할수록 스프링(231)에 의한 서포트가 증가하여, 구동 모터(221)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스프링(231)을 사용하고 있지만, 신장될수록 장력이 증가하는 탄성체라면 되며, 예를 들어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와이어(230)의 타단부측에 탄성체를 설치하고 있지만, 도중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활차에 대한 휩쓸림의 방해가 되지 않는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서랍(20)의 도어판(21)에 설치된 한 쌍의 가동 레일(23, 23)에 걸쳐지는 박스 케이스(40)를 구비하고, 그 박스 케이스(40)의 내측을 한 쌍의 지지대(210)가 승강하는 구성으로 하고, 한 쌍의 지지대(210)에 설치한 트레이를 통하여 수용물을 승강시키고 있지만(도 2 참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박스 케이스(40) 내에 수용물을 수용하고, 그 박스 케이스(40)를 한 쌍의 지지대(210)에 의해 승강시키는 구성일 수도 있고, 박스 케이스(40)를 설치하지 않고, 수용물을 실은 트레이를 한 쌍의 지지대(210)에 의해 승강시키는 구성일 수도 있으며, 지지대(210)에 박스 케이스(40)나 트레이를 일체로 설치할 수도 있고, 기타 다른 구성일 수도 있다. 또한, 지지대(210)의 승강 기구와 접속되는 부재를 판상의 지지판으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용물의 중량에 견딜 수 있는 지지체라면 제한이 없으며, 이 지지체에 대하여 수용물을 지지하는 지지 아암이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지체에 대한 지지 아암의 설치 수단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지지체에 대하여 지지 아암을 나사나 핀에 의해 설치하고, 그 핀이나 나사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거나, 또한, 지지체 또는 지지 아암 중 어느 하나에 훅을 설치하고, 다른 쪽에 훅이 걸리는 걸림 구멍을 설치하고, 훅을 걸림 구멍에 걸어 고정할 수 있고, 기타의 설치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 아암(212)을 두 개 설치하고 있지만, 하나만 설치할 수 있고, 두 개 이상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권취 송출 기구로서 기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300)에 대하여 풀리를 직접 접속하고, 풀리에 의해 와이어(230)를 권취 송출할 수도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승강 기구(200)의 와이어(230)를 안내하는 활차의 하나로서, 지지대(210)에 설치된 하나의 동활차(260)를 사용했지만, 이 동활차를 복수로 마련할 수도 있다. 동활차의 수 n을 증가시키면, 이에 수반해서 지지대를 상승시키기 위한 부하가 (1/2)n 경감하여, 구동 모터(221)에 대한 부담을 더욱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입력 수단을 조작해서 승강 기구의 승강 동작을 행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냉장고 본체의 하단 공간으로부터 서랍이 인출된 것을 검지하는 개방도 검지 센서를 설치하고, 제어부가, 개방도 검지 센서에 의해 검지된 검지 정보를 수신하면, 승강 기구의 상승 동작을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승강 기구의 승강을 음성 입력에 의해 실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대에 대하여 두 쌍의 제1 가이드 롤러 및 두 쌍의 제2 가이드 롤러를 설치하고 있지만, 지지대에 대하여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 및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를 연결하는 선과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를 연결하는 선이, 교차하도록 배치하면, 지지대의 덜걱거림을 보다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에 대하여 양쪽 가이드 롤러를 2대 이상 설치할 수 있다.
<실시 형태2>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승강 기구(200)를 구비한 냉장고(1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단에 설치된 중앙에서 분할되어서 좌우로 개방되는 도어(10, 10)와, 하단에 설치된 서랍(20)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단에 설치된 서랍(20)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30)의 하단에 설치된 하단 공간(31)에 끼워 넣어져 있다. 하단 공간(31)은, 전방을 향하는 개구(32)를 갖고, 양쪽 내측면에 서랍(20)을 안내하는 고정 레일(33, 33)이 설치되어 있다.
서랍(20)은, 하단 공간(31)의 전방을 향하는 개구(32)를 폐쇄하는 도어판(21)과, 도어판(21)의 이면(후방면)에 설치되는 승강 유닛(LU)과, 도어판(21)의 이면의 양측에 승강 유닛(LU)을 사이에 두도록 설치되고, 후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가동 레일(23, 23)과, 양쪽 가동 레일(23, 23)의 사이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박스 케이스(4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서랍(20)은, 한 쌍의 가동 레일(23, 23)을 각각 하단 공간(31)에 설치된 고정 레일(33, 33)에 끼워 넣음으로써, 하단 공간(31)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박스 케이스(40)는, 상방을 향해서 개구되어 있고, 그 개구의 양쪽 측변에 가동 레일(23, 23)에 걸기 위한 플랜지(41, 4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박스 케이스(40) 내에는, 수용물이 수용되어 있다.
승강 유닛(LU)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판(21)의 이면측에 설치되는 설치판(205)과, 설치판(205)에 대하여 승강하는 지지대(210)와, 설치판(205)에 설치되는 구동 기구(220)와, 구동 기구(220)에 의해 권취 송출되어서 지지대(210)를 상승 방향측으로부터 끌어당기는 와이어(230)와, 와이어(230)를 안내하는 합계 네 개의 활차(240, 260)와, 지지대(210)의 이동량 및 그 이동량의 변화율을 검지하는 검지 기구(29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1은, 설치판(205)으로부터 지지대(210)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하는 설치판(205)에는, 설치판(205)에 지지대(210)를 설치한 상태를 가정하고, 와이어(230) 및 활차(240, 260)의 위치 관계를 알 수 있도록, 와이어(230) 및 활차(260)를 일부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 설치된 구동 기구(220), 와이어(230), 각 활차(240, 260) 및 검지 기구(290)는, 그 설치판(205)의 중앙을 덮도록 설치되는 보호 커버(270)(도 11 중,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내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구동 기구(220), 와이어(230), 각 활차(240, 260) 및 검지 기구(290)가 노출되지 않게 되어, 구동 기구(220)등에 의해 휩쓸리는 것 등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설치판(205)은, 판재를 절곡해서 성형한 것이며, 도어판(21)의 폭보다도 협폭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설치판(205)은, 양측 부분이 폭 방향 중앙을 향하는 가이드 홈(24)으로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는, 폭 방향 중앙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가이드판(2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는, 일측의 가이드 홈(24)과 가이드판(25) 사이에 구동 기구(220)가 설치되어 있고, 양 가이드판(25) 사이의 상방에 두 개의 정활차(240)가 설치되고, 그 두 개의 정활차(240)와 나란히 훅(2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는, 타측의 가이드 홈(24)과 가이드판(25) 사이에 검지 기구(290)가 설치되어 있다. 검지 기구(290)는, 그 양단이 지지대(210)의 승강 방향을 따라서 신장되는 대략 U자 형상의 가이드 레일(290a)과, 가이드 레일(290a)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벨트(290b)와, 벨트(290b)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한 쌍의 가이드 기어(290c, 290c)와, 한쪽의 가이드 기어(290c)의 회전수를 계측하는 인코더(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벨트(290b)는, 그 한쪽 면에 랙 형상의 톱니가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 레일(290a)의 만곡을 따라 변형되는 가요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벨트(290b)는, 가이드 레일(290a)과 각각의 가이드 기어(290c, 290c) 사이에 통과되고, 이 상태에 있어서, 각 가이드 기어(290c, 290c)의 톱니에 그 한쪽 면에 설치된 톱니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벨트(290b)가, 가이드 레일(290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각 가이드 기어(290c)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벨트(290b)는, 그 일단부측이 지지대(210)에 접속되어 있고, 그 일단부측이 지지대(210)의 승강에 따라 지지대(210)의 승강 방향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검지 기구(290)는, 인코더에 의해 계측되는 가이드 기어(290c)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지지대(210)의 이동량을 검지하고, 또한, 그 회전수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지지대(210)의 이동량 변화율을 검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벨트(290b)가, 청구항에 있어서의 변이 부재(이동체)에 해당하고, 인코더가, 청구항에 있어서의 변이 검지 센서에 해당하고, 회전수가, 청구항에 있어서의 변이량으로 된다.
지지대(210)는, 설치판(205)을 따라 승강하는 지지판(211)과, 지지판(211)에 고정되고, 박스 케이스(40)를 저면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아암(212, 212)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판(211)은, 판재를 절곡해서 성형한 것이며, 설치판(205)의 폭보다도 근소하게 협폭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판(211)은, 중앙 부분이 보호 커버(270) 내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측 부분이 지지 아암(212)을 설치할 수 있는 오목 홈(215)으로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211)의 중앙 부분에는, 설치판(205)과 대향하는 면에 지지 박스(216)가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 박스(216)의 각 측면과 간극을 두고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2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213)는, 지지 박스(216)와의 간극에 삽입되는 가이드판(25)을 가이드로 하여 지지대(210)를 안내한다. 또한, 지지판(211)의 양측 부분에는, 오목 홈(215)의 가이드 홈(24)과 대향하는 측벽에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2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214)는, 가이드 홈(24)을 가이드로 하여 지지대(210)를 안내한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213)는, 설치판(205)과 직교하도록 신장되는 회전축을 갖고,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214)는, 설치판(215)과 평행하게 신장되는 회전축을 갖고 있으며, 제1 가이드 롤러(213)와 제2 가이드 롤러(214)는, 서로 직교하는 회전축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210)가, 설치판(205)을 따라 덜걱거림없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211)의 지지 박스(216) 내에는, 한 쌍의 동활차(2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 박스(216)는, 양 가이드판(25)의 사이에 꼭 맞는 폭을 갖고 있으며, 이에 의해, 지지대(210)가, 설치판(205)을 따라 덜걱거림없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205)의 상측에 설치된 두 개의 정활차(240) 및 지지판(211)에 설치된 두 개의 동활차(260)가, 구동 기구(220)에 접속되는 와이어(230)를 안내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지지판(211)에는, 그 강도가 유지되는 범위에서 복수의 경감 구멍이 설치되어, 경량화가 도모되어 있다.
지지 아암(212)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재를 절곡해서 성형한 것이며,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L자 형상의 막대체를 선단측에서 연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 아암(212)은, 그 양단 부분을 지지판(211)의 오목 홈(215)에 끼워 넣은 상태로 하여, 그 오목 홈(215)에 나사 고정되는 고정판(217)에 의해 지지판(211)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 아암(212)은, 고정판(217)의 나사를 조이거나 헐겁게 함으로써, 지지판(211)으로부터 탈착하거나, 지지판(211)의 승강 방향에 대한 높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 기구(220)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221)와, 구동 모터(221)의 회전축과 접속되는 웜(226)과, 웜(226)에 접속되는 웜 휠(227)과, 웜 휠(227)이 접속되는 제1 기어(222)와, 제1 기어(222)에 접속되어서 와이어(230)를 권취 송출하는 제2 기어(223)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구동 기구(220)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구동 박스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판(205)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이어(230)는, 일단부가 제2 기어(223)의 축심(225)에 걸쳐 고정되고, 도중에 정활차(240), 동활차(260), 정활차(240), 동활차(260)의 순서로 걸쳐져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만곡한 후, 타단부가 훅(26)에 걸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210)는, 동활차(260)에 걸쳐진 와이어(230)에 의해 설치판(205)에 대하여 상승 방향측으로부터 끌어 당겨진 상태로 된다.
또한, 승강 기구(200)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를 갖고 있으며, 제어 장치는, 구동 모터(221)의 전류 센서나 냉장고(100)의 외벽면에 설치된 상승 버튼 및 하강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 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는, CPU, 메모리, 타이머, A/D 컨버터, 입출력 수단 등을 구비한 소위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각종 기기가 협동함으로써 그 기능이 실현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는, 승강 동작 개시 후에, 검지 기구(290)에 설치된 인코더에 의해 검지되는 가이드 기어(290c)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로 되면,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제어 장치는, 하강 동작 중에, 검지 기구(290)에 설치된 인코더에 의해 검지되는 가이드 기어(290c)의 회전수의 변화율이 0으로 되면, 바꾸어 말하면, 회전수가 변화하지 않게 되면,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발휘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승강 기구(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냉장고 본체(30)의 하단 공간(31)으로부터 서랍(20)을 인출하고, 입력 수단의 상승 버튼을 누르면, 제어 장치가, 구동 모터(221)를 구동시켜서 상승 동작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가, 구동 모터(221)를 구동시키면, 구동 모터(221)의 회전력이, 웜(226), 웜 휠(227), 제1 기어(222), 제2 기어(223)의 순서로 전달되어, 제2 기어(223)가 일방향으로 회전(도 13 중, 우회전)해서 와이어(230)를 권취한다. 이에 따라, 제2 기어(223)의 와이어(230)의 권취량에 따라서 양쪽 동활차(260)가 상승하고, 이에 수반해서 양쪽 동활차(260)가 접속된 지지대(210)가 가이드 홈(24) 및 가이드판(25)으로 안내되어서 와이어(230)에 매달아 올려진다.
또한, 이때, 지지대(210)의 상승에 수반하여, 벨트(290b)가, 가이드 레일(290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가이드 기어(290c)가 회전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인코더에 의해 측정되는 가이드 기어(290c)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로 되면, 지지대(210)가 최상 위치까지 도달했다고 판단하여,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입력 수단의 하강 버튼을 누르면, 제어 장치가, 구동 모터(221)를 구동시켜서 하강 동작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가, 구동 모터(221)를 구동시키면, 구동 모터(221)의 회전력이, 웜(226), 웜 휠(227), 제1 기어(222), 제2 기어(223)의 순서로 전달되어, 제2 기어(223)가 타방향으로 회전(도 14 중, 좌측 방향)해서 와이어(230)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제2 기어(223)의 와이어(230)의 송출량에 따라서 양쪽 동활차(260)가 하강하고, 이에 수반해서 양쪽 동활차(260)가 접속된 지지대(210)가 가이드 홈(24) 및 가이드판(25)으로 안내되어서 와이어(230)에 의해 매달아 내려진다. 또한, 이때, 지지대(210)의 하강에 수반하여, 벨트(290b)가, 가이드 레일(290a)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함으로써, 가이드 기어(290c)가 회전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인코더에 의해 측정되는 가이드 기어(290c)의 회전수가 소정 회전수로 되면, 지지대(210)가 최하 위치까지 도달했다고 판단하여,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또한,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강 동작 중에, 인코더에 의해 측정되는 가이드 기어(290c)의 회전수의 변화율을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하강 동작 중에, 설치판(205)에 대하여 지지대(210)가 걸려서, 지지대(210)의 하강이 정지한 경우에, 바로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하강 동작 중에, 설치판(205)에 대하여 지지대(210)가 걸려서, 지지대(210)의 하강이 정지한 경우에, 벨트(290b)가 가이드 레일(290a)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하지 않게 되고, 가이드 기어(290c)의 회전이 정지한다. 이에 따라, 인코더에 의해 측정되는 가이드 기어(290c)의 회전수가 변화하지 않게 되어, 변화율이 0으로 된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인코더에 의해 측정되는 가이드 기어(290c)의 회전수의 변화율이 0으로 된 것을 검출하면, 지지대(210)가 정지했다고 판단하여,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를 실시한다. 이 제어 장치에 의한 판단은, 지지대(210)의 하강이 정지한 후, 순간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제2 기어(223)에 의한 와이어(230)의 송출도 순시에 정지되고, 이에 의해, 와이어(230)에 이완이 발생하지 않아, 와이어(230)가 각 활차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검지 기구(290)의 벨트(290b)로서는, 무단부 벨트를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가이드 레일(290a)을 링 형상으로 마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검지 기구(290)에 있어서는, 벨트(290b)에 설치한 톱니와 가이드 기어(290c)에 설치한 톱니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벨트(290b)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서 가이드 기어(290c)를 회전시키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벨트(290b)로서 한쪽 면이 평탄하고 마찰력이 높은 것을 채용하고, 가이드 기어(290c) 대신 롤러를 채용하고, 벨트와 롤러의 마찰력에 의해, 벨트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서 롤러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검지 기구(290)에 있어서는, 가이드 기어(290c)의 회전수에 기초하여, 지지대(210)의 이동량 및 그 변화율을 검지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가이드 기어(290c)의 회전 속도 및 승강 동작 시간으로부터 지지대(210)의 이동량을 검지하고, 그 회전 속도의 변화율로부터 지지대(210)의 이동량 변화율을 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 속도가, 청구항에 있어서의 변이량의 관련값으로 된다.
본 실시 형태 2의 변형예로서는, 예를 들어 도 15와 같은 검지 기구(290)를 구비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도 15는, 지지대(210)가 상승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5에 도시하는 검지 기구(290)를, 설치판(205)의 상측(상승 방향측)에 설치되는 텐션 미터(290d)와, 텐션 미터(290d)로부터 하강 방향으로 신장되고, 일단부를 지지대(210)에 접속하는 탄성체(290e)를 구비하고 있다. 탄성체(290e)는, 지지대(210)가 설치판(205)에 대하여 최상 위치에 도달한 상태에 있어서도 어느 정도 텐션이 걸린 상태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탄성체(290e)가, 청구항에 있어서의 변이 부재(신축체)에 해당하고, 텐션 미터(290d)가, 청구항에 있어서의 변이 검지 센서에 해당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상승 동작에 있어서, 검지 기구(290)에 설치된 텐션 미터(290d)에 의해 측정되는 탄성체(290e)의 장력이 소정값 이하로 되면, 지지대(210)가 최상 위치에 도달했다고 판단하여,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제어 장치는, 하강 동작에 있어서, 검지 기구(290)에 설치된 텐션 미터(290d)에 의해 측정되는 탄성체(290e)의 장력이 소정값 이상으로 되면 지지대(210)가 최하 위치에 도달했다고 판단하여,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는, 하강 동작 중에, 검지 기구(290)에 설치된 텐션 미터(290d)에 의해 측정되는 탄성체(290e)의 장력의 변화율이 0, 바꾸어 말하면, 장력이 변화하지 않게 되면, 지지대(210)가 정지했다고 판단하여,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한다. 따라서, 장력이, 청구항에 있어서의 변이량에 해당한다.
이러한 것이라면, 탄성체(290e)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변이 부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뿐만 아니라, 지지대(210)의 매달아 올리기를 서포트하는 역할도 수행하고, 이에 의해, 구동 모터(221)에 대한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한, 무엇인가의 원인에 의해서 와이어(230)가 절단되었다고 해도, 탄성체(290e)에 의해 지지대(210)가 매달아 내려진 상태로 되어, 지지대(210)의 즉시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탄성체(290e)로서는, 가요성을 갖고, 탄성 변형하는 것이라면 되며,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하는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등의 스프링이나,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변형예에 있어서는, 지지대(210)가 상승한 경우에, 탄성체(290e)의 텐션이 감소하고, 지지대(210)가 하강했을 경우에, 탄성체(290e)의 텐션이 증가하는 형태로 되어 있지만, 반대로, 지지대(210)가 상승한 경우에, 탄성체(290e)의 텐션이 증가하고, 지지대(210)가 하강했을 경우에, 탄성체(290e)의 텐션이 감소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검지 기구(290)는, 설치판(205)의 하측(하강 방향측)에 설치되는 텐션 미터(290d)와, 텐션 미터(290d)로부터 상승 방향으로 신장되고, 일단부를 지지대(210)에 접속하는 탄성체(290e)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박스 케이스(40) 내에 수용한 수용물을 지지대(210)의 지지 아암(212)에 의해 지지하고 있지만, 수용물을 직접 지지대(210)의 지지 아암(212)에 의해 지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서랍(20)의 도어판(21)의 이면에 하나의 승강 유닛(LU)을 설치하고 있지만, 복수의 승강 유닛(LU)을 설치하고, 승강 유닛(LU)마다 별도의 수용물을 지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3>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실시 형태 2의 승강 유닛(LU)의 변형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승강 유닛(LU)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판(21)의 이면측에 설치되는 설치판(205)과, 설치판(205)에 대하여 승강하는 지지대(210)와, 설치판(205)에 설치되는 구동 기구(220)와, 구동 기구(220)에 의해 권취 송출되어서 지지대(210)를 상승 방향측으로부터 끌어당기는 제1 와이어(230a)와, 제1 와이어(230a)를 안내하는 합계 네개의 활차(240, 260)와, 구동 기구(220)에 의해 권취 송출되어서 지지대(210)를 하강 방향측으로부터 끌어당기는 제2 와이어(230b)와, 제2 와이어(230b)를 안내하는 하나의 활차(28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16은, 설치판(205)으로부터 지지대(210)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6에 나타내는 설치판(205)에는, 설치판(205)에 지지대(210)를 설치한 상태를 가정하고, 제1 와이어(230a), 제2 와이어(230b) 및 활차(240, 260, 280)의 위치 관계를 알 수 있도록, 제1 와이어(230a), 제2 와이어(230b) 및 활차(260)를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 설치된 구동 기구(220), 제1 와이어(230a), 제2 와이어(230b) 및 각 활차(240, 260, 280)는, 그 설치판(205) 중앙을 덮도록 설치되는 보호 커버(270)(도 16 중,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내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구동 기구(220), 제1 와이어(230a), 제2 와이어(230b) 및 각 활차(240, 260, 280)가 노출되지 않게 되어, 구동 기구(220)에 의한 휩쓸림 등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설치판(205)은, 판재를 절곡해서 성형한 것이며, 도어판(21)의 폭보다도 협폭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설치판(205)은, 양측 부분이 폭 방향 중앙을 향하는 가이드 홈(24)으로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는, 폭 방향 중앙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가이드판(2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는, 일측의 가이드 홈(24)과 가이드판(25) 사이에 구동 기구(220)가 설치되어 있고, 양 가이드판(25) 사이의 상방에 한 쌍의 정활차(240)가 설치되고, 하방에 정활차(280)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정활차(240)는, 설치판(205)에 대하여, 지지대(210)를 승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즉, 설치판(205)의 폭 방향)으로 양분하는 중앙선을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는, 한쪽의 정활차(240)와 나란히 훅(26)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한쪽의 가이드 홈(24)과 마주 보도록, 설치판(205)의 하단부 부근까지 하강한 지지대(210)의 위치를 검출하는 하측 위치 센서(28a)와, 설치판(205)의 상단부 부근까지 상승한 지지대(210)의 위치를 검지하는 상측 위치 센서(28b) 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의 상측에는, 상기 중앙선을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한 쌍의 지지 기구(29)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 기구(29)는, 긴 형상의 판 스프링이 신축할 수 있도록 감겨진 것으로, 양쪽 판 스프링은, 그 일단부가 지지대(210)에 고정되고, 항상 상승 방향측으로 끌어당기고 있어, 지지대(210)의 기울기의 밸런스를 취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지지대(210)는, 설치판(205)을 따라 승강하는 지지판(211)과, 지지판(211)에 고정되고, 박스 케이스(40)를 저면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아암(212, 212)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판(211)은, 판재를 절곡해서 성형한 것이며, 설치판(205)의 폭보다도 근소하게 협폭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판(211)은, 중앙 부분이 보호 커버(270)의 내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측 부분이 지지 아암(212)을 설치할 수 있는 오목 홈(215)으로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211)의 중앙 부분에는, 설치판(205)과 대향하는 면에 지지 박스(216)가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 박스(216)의 각 측면과 간극을 두고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2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213)는, 지지 박스(216)와의 간극에 삽입되는 가이드판(25)을 가이드로 하여 지지대(210)를 안내한다. 또한, 지지판(211)의 양측 부분에는, 오목 홈(215)의 가이드 홈(24)과 대향하는 측벽에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2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211)의 지지 박스(216) 내에는, 한 쌍의 동활차(260)와, 축체(21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동활차(260)는, 각각 설치판(205)에 대하여, 지지대(210)의 승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즉, 설치판의 폭 방향)으로 양분하는 중앙선을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축체(218)는, 상기 중앙선 위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 박스(216)는, 양 가이드판(25)의 사이에 꼭 맞는 폭을 갖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지지대(210)가, 설치판(205)을 따라 덜걱거림없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205)의 상측에 설치된 두 개의 정활차(240) 및 지지판(211)에 설치된 한 쌍의 동활차(260)가, 구동 기구(220)에 접속되는 제1 와이어(230a)를 안내하고, 설치판(205)의 하측에 설치된 하나의 정활차(280)가, 구동 기구(220)에 접속되는 제2 와이어(230b)를 안내한다.
구동 기구(220)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221)와, 구동 모터(221)의 회전축과 접속되는 웜(226)과, 웜(226)에 접속되는 웜 휠(227)과, 웜 휠(227)이 접속되는 제1 기어(222)와, 제1 기어(222)에 접속되어서 제1 와이어(230a)를 권취 송출하는 제2 기어(223)와, 제2 기어(223)에 접속되어서 제2 와이어(230b)를 권취 송출하는 제3 기어(22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구동 모터(221)는, 그 과부하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센서(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2 기어(223)가, 청구항에 있어서의 제1회전체에 대응하고 있고, 제3 기어(224)가, 청구항에 있어서의 제2 회전체에 대응하고 있고, 전류 센서가, 청구항에 있어서의 검지 기구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구동 기구(220)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구동 박스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판(205)에 설치되어 있다.
제2 기어(223) 및 제3 기어(224)는, 서로 역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2 기어(223)가, 제1 와이어(230a)를 송출하고 있을 경우에는, 제3 기어(224)는, 제2 와이어(230b)를 권취하도록 되어 있고, 이때, 제2 기어(223)의 송출량이 제3 기어(224)의 권취량의 4배로 된다. 또한, 반대로, 제2 기어(223)가, 제1 와이어(230a)를 권취하고 있을 경우에는, 제3 기어(224)는, 제2 와이어(230b)를 송출하도록 되어 있고, 이때, 제2 기어(223)의 권취량이 제3 기어(224)의 송출량의 4배로 된다. 또한, 양 기어(223, 224)의 송출량과 권취량이 상기 관계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양 기어(223, 224)의 기어비, 양 기어(223, 224)의 와이어를 감는 축심의 반경, 각 와이어(230a, 230b)를 안내하는 동활차의 수에 기초해서 양 기어(223, 224)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양 기어(223, 224)의 기어비가 1이며, 제1 와이어(230a)가 두 개의 동활차에 의해 안내되고, 제2 와이어(230b)가 동활차에 의해서 안내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3 기어(224)의 축심 반경은, 제2 기어(223)의 축심 반경의 1/4의 길이로 설계한다.
그리고, 도 18 및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와이어(230a)는, 일단부가 제2 기어(223)의 축심에 걸쳐 고정되고, 도중에 정활차(240), 동활차(260), 정활차(240), 동활차(260)의 순서로 걸쳐져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만곡한 후, 타단부가 훅(26)에 걸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210)는, 동활차(260)에 걸린 제1 와이어(230a)에 의해 설치판(205)에 대하여 상승 방향측으로부터 끌어 당겨진 상태로 된다. 또한, 제2 와이어(230b)는, 일단부가 제3 기어(224)의 축심에 걸쳐 고정되고, 도중에 정활차(280)에 걸쳐져 L자 형상으로 만곡한 후, 타단부가 축체(218)에 걸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210)는, 축체(218)에 걸린 제2 와이어(230b)에 의해 설치판(205)에 대하여 하강 방향측으로부터 끌어당겨진 상태로 된다.
또한, 승강 기구(200)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를 갖고 있으며, 제어 장치는, 구동 모터(221)의 전류 센서나 냉장고(100)의 외벽면에 설치된 상승 버튼 및 하강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 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는, CPU, 메모리, A/DD/A 컨버터, 입출력 수단 등을 구비한 소위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각종 기기가 협동함으로써 그 기능이 실현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는, 구동 기구(220)의 구동 모터(221)에 설치된 전류 센서에 소정값 이상의 과전류가 검지되면,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승강 기구(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냉장고 본체(30)의 하단 공간(31)으로부터 서랍(20)을 인출하고, 입력 수단의 상승 버튼을 누르면, 제어 장치가, 양쪽 구동 모터(221)를 구동시켜서 상승 동작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가, 구동 모터(221)를 구동시키면, 구동 모터(221)의 회전력이, 웜(226), 웜 휠(227), 제1 기어(222), 제2 기어(223), 제3 기어(224)의 순서로 전달되어, 제2 기어(223)가 일방향으로 회전(도 18 중, 우회전)해서 제1 와이어(230a)를 권취하는 동시에, 제3 기어(224)가 타방향으로 회전(도 18 중, 좌측 방향) 해서 제2 와이어(230b)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제2 기어(223)의 제1 와이어(230a)의 권취량에 따라서 양쪽 동활차(260)가 상승하고, 이에 수반해서 양쪽 동활차(260)가 접속된 지지대(210)가 가이드 홈(24) 및 가이드판(25)으로 안내되어서 제1 와이어(230a)에 매달아 올려진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설치판(205)에 설치된 상측 위치 센서(28b)로부터 지지대(210)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양쪽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사용자가, 입력 수단의 하강 버튼을 누르면, 제어 장치가, 양쪽 구동 모터(221)를 구동시켜서 하강 동작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가, 구동 모터(221)를 구동시키면, 구동 모터(221)의 회전력이, 웜(226), 웜 휠(227), 제1 기어(222), 제2 기어(223), 제3 기어(224)의 순서로 전달되어, 제2 기어(223)가 타방향으로 회전(도 19중, 좌측 방향) 해서 제1 와이어(230a)를 송출한다 동시에, 제3 기어(224)가 일방향으로 회전(도 19중, 우회전)해서 제2 와이어(230b)를 권취한다. 이에 따라, 제2 기어(223)의 제1 와이어(230a)의 송출량에 따라서 양쪽 동활차(260)가 하강하고, 이에 수반해서 양쪽 동활차(260)가 접속된 지지대(210)가 가이드 홈(24) 및 가이드판(25)으로 안내되어서 와이어(230)에 의해 매달아 내려진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설치판(205)에 설치된 하측 위치 센서(28a)로부터 지지대(210)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양쪽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는, 적어도 하강 동작 중에는, 항상 구동 모터(221)의 과부하 전류를 감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하강 동작에 있어서, 설치판(205)에 대하여 지지대(210)가 걸려서, 지지대(210)의 하강이 정지한 경우에, 바로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하강 동작에 있어서, 설치판(205)에 대하여 지지대(210)가 걸려서, 지지대(210)의 하강이 정지한 경우에, 그 직후에는 구동 모터(221)가 구동하고 있으므로, 제2 기어(223)에 의해 제1 와이어(230a)가 송출되고, 제3 기어(224)에 의해 제2 와이어(230b)가 권취되는 상태가 계속된다. 이에 따라, 지지대(210)의 하강이 정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2 와이어(230b)가 제3 기어(224)에 의해 권취되고, 제2 와이어(230b)에 대하여 과도한 텐션이 발생한다. 그리고, 구동 모터(221)가, 이 제2 와이어(230b)를 권취하고자, 제3 기어(224)을 회전시키므로, 구동 모터(221)에 대하여 과부하 전류가 발생하고, 이것이 전류 센서에 의해서 검지된다. 제어 장치는, 전류 센서에 의해서 과부하 전류가 검지되면, 지지대(210)의 하강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단하여,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이 제어 장치에 의한 판단은, 지지대(210)의 하강이 정지한 후, 순간적으로 행해지기 때문에, 제2 기어(223)에 의한 제1 와이어(230a)의 송출도 순시에 정지되고, 이에 의해, 제1 와이어(230a)에 이완이 발생하지 않아, 제1 와이어(230a)의 각 활차로부터의 이탈이 방지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지 아암(212)의 변형예를 도 20에 예시한다. 또한, 도 20a에 나타내는 지지 아암(212)은, 금속제의 봉재를,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L자 형상의 막대체(212a)를 일단부에서 연결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 아암(212) 전체가 탄성을 갖고 있다. 또한, 지지 아암(212)에는, 한 쌍의 막대체(212a)의 타단부에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신장하는 걸림편(212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아암(212)은, 오목 홈(215)과 고정판(217)에 의해 형성되는 한 쌍의 긴 구멍(217a)에 대하여, 한 쌍의 막대체(212a)를 타단부측으로부터 삽입하고, 한 쌍의 막대체(212a)의 내측을 향하는 탄성을 이용하여, 고정판(217)의 상단부에 걸림편(212b)를 걸어 고정하고 있다. 따라서, 지지 아암(212)을 지지대(210)로부터 제거할 경우에는, 도 2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아암(212)에 있어서의 한 쌍의 막대체(212a)를 탄성에 저항해서 외측으로 확장하고, 이에 의해, 고정판(217)의 상단부로부터 걸림편(212b)를 제거하여 한 쌍의 긴 구멍(217b)으로부터 뽑아낸다. 이와 같은 구성의 지지 아암(212)이라면, 지지대(210)에 대하여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지지 아암(212)에 있어서의 한 쌍의 막대체(212a)의 내측을 향하는 탄성을 이용하고 있지만, 외측을 향하는 탄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지지 아암(212)에는, 한 쌍의 막대체(212a)의 타단부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신장하는 걸림편(212b)을 설치하면 되며, 또한, 지지대(210)의 오목 홈(215)의 측벽에 걸림편(212b)이 걸리는 걸림 구멍 등을 설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지지 아암(212)의 착탈 구조의 변형예를 도 21에 예시한다. 본 실시 형태는, 본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지지 아암(212)을 본 실시 형태와 다른 구조의 지지대(210)에 대하여 탈착하는 것이며, 상기 다른 구조를 명시하기 위해서, 도 21에, 지지대(210)의 단면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지지대(210)에는, 그 상변을 절곡해서 하강 방향으로 개구되는 홈 형상의 걸림편(215a)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하변을 절곡해서 걸림편(215a)과 대향하는 적재대(215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대(210)에 지지 아암(212)을 설치할 경우에는, 지지 아암(212)의 상단부측을 걸림편(215a)의 홈에 삽입하고, 지지 아암(212)을 적재대(215b) 위에 적재한다. 이에 따라, 지지 아암(212)이 적재대(215b)위에 적재된 상태에서, 그 상단부측이 걸림편(215a)에 걸린 상태로 되어, 지지대(210)에 고정된다. 또한, 지지대(210)로부터 지지 아암(212)을 제거할 경우에는, 지지 아암(212)의 선단측을 전방측(도 21 중, 우측)으로 끌어올림으로써, 상단부측을 걸림편(215b)으로부터 빼내는 것에 의해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라면, 고정판(217)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지지대(210)로부터 지지 아암(212)을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지지 아암(212)에 있어서의 한 쌍의 막대체(212a)의 외측을 향하는 탄성을 이용하여, 그 한 쌍의 막대체(212a)로 오목 홈(215)의 측벽을 가압하도록 하면, 지지대(210)에 대하여 지지 아암(212)을 보다 안정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제1 와이어(230a) 또는 제2 와이어(230b)의 일부에 스프링 등의 탄성체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하면, 제1 와이어(230a) 또는 제2 와이어(230b)에 발생하는 이완을 탄성체가 흡수하여, 제1 와이어(230a) 또는 제2 와이어(230b)에 이완이 발생하기 어려워진다. 이로 인해, 승강 기구(200)에 대하여 제1 와이어(230a) 또는 제2 와이어(230b)를 설치한 상태에서, 탄성체에 어느 정도 텐션이 발생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설치판(205)에 대하여 상기 중앙선의 편측에 구동 기구 등을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지만, 상기 중앙선의 양측에 그 중앙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구동 기구 등을 설치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양쪽 구동 기구(220)에 대하여 제3 기어(224)를 설치하는 동시에, 그 제3 기어(224)에 접속되는 제2 와이어(230b)를 지지대(210)에 걸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양쪽 구동 기구(220)에 대하여 하강 동작의 이상 시에 구동 기구(220)를 긴급 정지시키는 기구를 내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와이어(230a)를 안내하는 활차로서 두 개의 정활차(240)와 두 개의 동활차(260)를 채용하고 있지만, 정활차(240)나 동활차(260)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설치판(205)에 대하여 지지대(210)를 승강할 수 있도록 제1 와이어(230a)를 걸칠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정활차(240)를 설치하지 않고, 지지대(210)에 설치한 하나의 동활차(260)만으로 제1 와이어(230a)를 안내할 수도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제2 와이어(230b)를 안내하는 활차의 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2 와이어(230b)를 안내하는 활차로서 하나의 정활차(280)를 사용하고 있지만, 동활차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정활차 및 동활차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동활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1 와이어(230a)를 안내하는 동활차와 마찬가지로 지지대(210)에 설치한다. 또한, 제2 와이어(230b)를 안내하는 활차로서 동활차가 필요한 경우로서는, 제1 와이어(230a)의 절단 등에 의해 지지대(210)가 급강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댐퍼를 설치한 경우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대(210)에 대하여 하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저항이 발생하는 로터리 댐퍼를 설치하고, 설치판(205)에 대하여 그 로터리 댐퍼와 맞물리는 랙 기어를 설치한다. 이렇게 구성하면, 로터리 댐퍼의 효과에 의해 지지대(210)의 강하 속도가 제한되어, 지지대(21)의 급강하를 방지할 수 있지만, 제3 기어(224)에 대하여 로터리 댐퍼에 저항하는 힘을 가할 필요가 있고, 이 힘을 저감하기 위해서, 제2 와이어(230b)를 안내하는 동활차를 지지대(210)에 설치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지지대(210)가 걸려 있지 않은 경우에도, 제2 와이어(230b)에 의해 지지대(210)를 끌어당기는 구성을 채용하고, 지지대(210)를 상승 방향 및 하강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부터도 끌어당겨, 설치판(205)에 대한 지지대(210)의 덜걱거림을 억제하고 있다. 그러나, 지지대(210)가 걸려 있지 않은 경우에, 반드시 제2 와이어(230b)에 의해 지지대(210)를 끌어당기는 구성으로 할 필요는 없고, 지지대(210)가 하강 동작 시에 걸렸을 경우에만 제2 와이어(230b)에 의해 지지대(210)가 끌어당겨지도록 구성하면 된다. 단, 제2 와이어(230b)가 이완된 상태로 되면 활차로부터 벗어날 가능성이 있으므로, 제2 와이어(230b)가 팽팽한 상태로 되도록, 제2 와이어(230b)에 의해 지지대(210)를 끌어당기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검지 기구로서, 구동 모터의 과부하 전류를 검지하는 전류 센서를 사용하여, 하강 동작에 있어서의 지지대(210)의 하강 이상을 검지하고 있지만, 구동 모터(221)에 그 회전수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인코더를 접속하고, 이 인코더를 검출 기구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실시 형태4>
본 실시 형태는, 상기 실시 형태 2의 승강 유닛(LU)의 변형예이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승강 유닛(LU)은,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판(21)의 이면측에 설치되는 설치판(205)과, 설치판(205)에 대하여 승강하는 지지대(210)와, 설치판(205)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 기구(220)와, 각 구동 기구(220)의 동력을 지지대(210)로 전달하는 와이어(230)와, 각 와이어(230)를 안내하는 두 개의 활차(240, 260)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2는, 설치판(205)으로부터 지지대(210)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22에 나타내는 설치판(205)에는, 설치판(205)에 지지대(210)를 설치한 상태를 가정하고, 각 와이어(230) 및 활차(240, 260)의 위치 관계를 알 수 있도록, 각 와이어(230) 및 활차(260)를 점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또한, 각 구동 기구(220)는, 상기 실시 형태 2에 관한 구동 기구(220)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 설치된 각 구동 기구(220), 각 와이어(230) 및 각 활차(240, 260)는, 그 설치판(205) 중앙을 덮도록 설치되는 보호 커버(270)(도 22 중, 이점 쇄선으로 나타낸다) 내에 수용된다. 이에 따라, 각 구동 기구(220), 각 와이어(230) 및 각 활차(240, 260)가 노출되지 않게 되어, 각 구동 기구(220)에 의한 휩쓸림 등이 방지되어, 안전성이 향상된다.
설치판(205)은, 판재를 절곡해서 성형한 것이며, 도어판(21)의 폭보다도 협폭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설치판(205)은, 양측 부분이 폭 방향 중앙을 향하는 가이드 홈(24)으로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는, 폭 방향 중앙을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가이드판(2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는, 가이드 홈(24)과 가이드판(25) 사이에 구동 기구(220)가 설치되어 있고, 양 가이드판(25)의 상방에 정활차(24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구동 기구(220) 및 한 쌍의 정활차(240)는, 각각 설치판(205)에 대하여, 지지대(210)를 승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즉, 설치판(205)의 폭 방향)으로 양분하는 중앙선(도 22 중, 일점 쇄선으로 나타낸다)을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는, 양쪽 정활차(240) 사이에 한 쌍의 훅(26)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한쪽의 가이드 홈(24)과 마주 보도록, 설치판(205)의 하단부 부근까지 하강한 지지대(210)의 위치를 검출하는 하측 위치 센서(28a)와, 설치판(205)의 상단부 부근까지 상승한 지지대(210)의 위치를 검지하는 상측 위치 센서(28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 대하여, 가이드 홈(24), 가이드판(25), 훅(26)도, 각각 상기 중앙선을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지지대(210)는, 설치판(205)을 따라 승강하는 지지판(211)과, 지지판(211)에 고정되고, 박스 케이스(40)를 저면측에서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 아암(212, 212)을 구비하고 있다.
지지판(211)은, 판재를 절곡해서 성형한 것이며, 설치판(205)의 폭보다도 근소하게 협폭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지지판(211)은, 중앙 부분이 보호 커버(270) 내면을 따르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양측 부분이 지지 아암(212)을 설치할 수 있는 오목 홈(215)으로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판(211)의 중앙 부분에는, 설치판(205)과 대향하는 면에 지지 박스(216)가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 박스(216)의 각 측면과 간극을 두고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21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가이드 롤러(213)는, 지지 박스(216)와의 간극에 삽입되는 가이드판(25)을 가이드로 하여 지지대(210)를 안내한다. 또한, 지지판(211)의 양측 부분에는, 오목 홈(215)의 가이드 홈(24)과 대향하는 측벽에 한 쌍의 제2 가이드 롤러(2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판(211)의 지지 박스(216) 내에는, 한 쌍의 동활차(2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동활차(260)는, 각각 설치판(205)에 대하여, 지지대(210)의 승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즉, 설치판의 폭 방향)으로 양분하는 중앙선을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도 23 및 도 24 참조). 또한, 지지 박스(216)는, 양 가이드판(25)의 사이에 꼭 맞는 폭을 갖고 있으며, 이것에 의해, 지지대(210)가, 설치판(205)을 따라 덜걱거림없이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치판(205)에 설치된 한 쌍의 정활차(240)와, 지지판(211)에 설치된 한 쌍의 동활차(260)는, 모두 지지대(210)의 승강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분하는 중앙선을 사이에 두고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중앙선에 대하여, 일측에 위치하는 정활차(240) 및 동활차(260)가, 마찬가지로 일측에 위치하는 구동 기구(220)에 접속되는 와이어(230)를 안내하고, 타측에 위치하는 정활차(240) 및 동활차(260)가, 마찬가지로 타측에 위치하는 구동 기구(220)에 접속되는 와이어(230)를 안내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으나, 지지판(211)에는, 그 강도가 유지되는 범위에서 복수의 경감 구멍이 설치되어, 경량화가 도모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도, 그 강도가 유지되는 범위에서 복수의 경감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구동 기구(220)는, 상기 실시 형태 2에 관한 구동 기구(220)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고,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모터(221)와, 구동 모터(221)의 회전축과 접속되는 웜(226)과, 웜(226)에 접속되는 웜 휠(227)과, 웜 휠(227)의 회전축에 대하여 인코더(228)를 통하여 접속되는 제1 기어(222)와, 제1 기어(222)에 접속되어서 와이어(230)를 권취 송출하는 제2 기어(223)를 구비하고 있다. 인코더(228)는, 구동 모터(221)의 회전수 및 회전 속도 등을 측정하는 것이다. 또한, 제2 기어(223)가, 청구항에 있어서의 권취 송출 기구에 대응하고 있고, 인코더(228)가, 청구항에 있어서의 제1 검지 기구 및 제2 검지 기구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구동 기구(220)를 구성하는 각 부재는, 구동 박스에 수용된 상태로 설치판(205)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와이어(230)는, 각각 일단부가 제2 기어(223)에 설치된 걸림축(225)에 걸쳐 고정되고, 도중에 정활차(240), 동활차(260)의 순서로 걸쳐져서 N자 형상으로 만곡한 후, 타단부가 훅(26)에 걸쳐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210)는, 동활차(260)에 걸쳐진 와이어(230)에 의해 설치판(205)에 대하여 현수된 상태로 된다.
또한, 승강 기구(200)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 장치를 갖고 있으며, 제어 장치는, 양쪽 구동 기구(220)의 인코더(228)나 냉장고(100)의 외벽면에 설치된 상승 버튼 및 하강 버튼을 구비하는 입력 수단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제어 장치는, CPU, 메모리, A/DD/A 컨버터, 입출력 수단 등을 구비한 소위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각종 기기가 협동함으로써 그 기능이 실현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 장치는, 각 구동 기구(220)에 설치된 인코더(228)로부터 그 인코더(228)에 접속된 구동 모터(221)의 회전수 및 회전 속도를 취득하고, 양쪽 구동 모터(221)의 회전수로부터 각 구동 모터(221)에 의한 와이어(230)의 권취량 또는 송출량을 산출한다. 계속해서, 양쪽 구동 모터(221)의 와이어(220)의 권취량 또는 송출량을 비교하고, 와이어(230)의 권취량 또는 송출량이 적은 한쪽의 구동 모터(221)의 회전 속도와, 미리 메모리에 기억된 그 한쪽의 구동 모터(221)의 회전 속도 상한값을 비교한다. 그리고, 한쪽의 구동 모터(221)의 회전 속도가, 상한값을 초과하고 있을 경우에는, 다른 쪽의 구동 모터(221)의 회전 속도가 느려지도록 제어하고, 상한값을 초과하지 않고 있을 경우에는, 한쪽의 구동 모터(221)의 회전 속도가 빨라지게 제어한다. 이에 따라, 양쪽 구동 모터(221)에 의한 와이어(230)의 권취량 또는 송출량이 대략 동등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권취량”이나 “송출량”이 청구항에 있어서의 “동작량”에 대응하고,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가 “동작 속도”에 대응한다.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승강 기구(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냉장고 본체(30)의 하단 공간(31)으로부터 서랍(20)을 인출하고, 입력 수단의 상승 버튼을 누르면, 제어 장치가, 양쪽 구동 모터(221)를 구동시켜서 상승 동작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가, 양쪽 구동 모터(221)를 구동시키면, 양쪽 구동 모터(221)는, 서로 역회전한다. 이에 따라, 각 구동 모터(221)의 회전력이, 웜(226), 웜 휠(227), 제1 기어(222), 제2 기어(223)의 순서로 전달되어, 일측의 제2 기어(223)(도 23 중, 좌측)가 일측 회전 방향(도 23 중, 우회전)으로 회전해서 와이어(230)를 권취하는 동시에, 타측의 제2 기어(223)(도 23 중, 우측)가 타측 회전 방향(도 23 중, 좌회전)으로 회전해서 와이어(230)를 권취한다. 이에 따라, 양 제2 기어(223)의 와이어(230)의 권취량에 따라서 양쪽 동활차(260)가 상승하고, 이에 수반해서 양쪽 동활차(260)가 접속된 지지대(210)가 가이드 홈(24) 및 가이드판(25)으로 안내되어서 와이어(230)에 매달아 올려진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설치판(205)에 설치된 상측 위치 센서(28b)로부터 지지대(210)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양쪽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어서, 사용자가, 입력 수단의 하강 버튼을 누르면, 제어 장치가, 양쪽 구동 모터(221)를 구동시켜서 하강 동작을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장치가, 양쪽 구동 모터(221)를 구동시키면, 양쪽 구동 모터(221)는, 서로 역회전한다. 이에 따라, 각 구동 모터(221)의 회전력이, 웜(226), 웜 휠(227), 제1 기어(222), 제2 기어(223)의 순서로 전달되어, 일측의 제2 기어(223)(도 24중, 좌측)가 타측 회전 방향(도 24 중, 좌회전)으로 회전해서 와이어(230)를 송출한다 동시에, 일측의 제2 기어(223)(도 24 중, 우측)가 일측 회전 방향(도 24 중, 우회전)으로 회전해서 와이어(230)를 송출한다. 이에 따라, 양 제2 기어(223)의 와이어(230)의 송출량에 따라서 양쪽 동활차(260)가 하강하고, 이에 수반해서 양쪽 동활차(260)가 접속된 지지대(210)가 가이드 홈(24) 및 가이드판(25)으로 안내되어서 와이어(230)에 의해 매달아 내려진다. 그리고, 제어 장치는, 설치판(205)에 설치된 하측 위치 센서(28a)로부터 지지대(210)의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양쪽 구동 모터(221)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제어 장치는, 상승 동작 중 및 하강 동작 중, 항상 각 구동 모터(221)의 회전수 및 회전 속도를 인코더(228)로부터 취득하고, 그 회전수로부터 각 구동 모터(221)에 의한 와이어(230)의 권취량 또는 송출량을 산출하고 있고, 양쪽 구동 모터(221)의 권취량 또는 송출량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양쪽 구동 모터(221)에 의한 와이어(230)의 권취량 또는 송출량이 대략 일치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지지대(210)가 기우는 것이 방지되어, 설치판(205)에 대하여 지지대(210)가 원활하게 승강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구동 기구(220)에 대한 와이어(230) 및 활차(240, 260)의 수나 위치 등을 변경한 변형예를 도 25 및 도 26에 예시한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 있어서, 구동 기구(220)에 관해서는, 제2 기어(223)의 와이어(230)가 감기는 축심만을 도시하고 있고, 활차(240, 260)에 관해서도, 와이어(230)가 감기는 축심만을 도시하고, 정활차(240)를 평행 사선으로 나타내고, 동활차(260)를 격자 선으로 나타낸다. 또한, 도 25 및 도 26에 있어서, 상기 중앙선을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우선, 도 25a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설치판(205)에 설치되는 정활차(240)가, 세 개의 정활차(240)로 이루어져 있어, 하나의 정활차(240)가 중앙선을 걸치도록 배치되고, 다른 두 개의 정활차(240)가 중앙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210)에 설치되는 동활차(260)는, 상기 실시 형태 1에 관한 승강 기구(200)와 마찬가지로 두 개이다. 그리고, 와이어(230)가, 양쪽 구동 기구(220)에 걸쳐지는 하나의 와이어(230)로 이루어져 있어, 와이어(230)는, 그 일단부가 일측의 구동 기구(220)에 접속되고, 정활차(240)와 동활차(260)에 교대로 걸쳐져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만곡한 후, 타단부가 타측의 구동 기구(220)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형예라도, 한 쌍의 구동 기구(220)와 두 개의 동활차(260)를 구비하므로, 상기 실시 형태 1에 관한 승강 기구와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단, 하나의 와이어(230)로 지지대(210)를 현수하고 있으므로, 그 와이어(230)가 무엇인가의 원인에 의해 절단되면, 지지대(210)를 현수하는 것이 없어져, 바로 지지대(210)가 낙하해버린다.
이어서, 도 25b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지지대(210)에 설치되는 동활차(260)가, 하나의 동활차(260)로 이루어져 있고, 그 동활차(260)가 중앙선을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 설치되는 정활차(240)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승강 기구와 마찬가지로 두 개이다. 그리고, 와이어(230)가, 양쪽 구동 기구(220)에 걸쳐지는 하나의 와이어(230)로 이루어져 있고, 와이어(230)는, 그 일단부가 일측의 구동 기구(220)에 접속되고, 정활차(240)와 동활차(260)에 교대로 걸쳐져서 M자 형상으로 만곡한 후, 타단부가 타측의 구동 기구(220)에 접속되어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 형태 1에 관한 승강 기구와 비교해서 동활차(260)의 수가 감소되어 있으므로, 지지대(210)를 승강시킬 경우에 발생하는 각 구동 기구(220)에 대한 부하가 증가하지만, 승강 기구(200) 전체를 콤팩트하게 통합할 수 있어, 서랍(20)의 설계 자유도가 증가한다.
이어서, 도 26a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지지대(210)에 설치되는 동활차(260)가, 하나의 동활차(260)로 이루어져 있고, 그 동활차(260)가 중앙선을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설치판(205)에 설치되는 정활차(240)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승강 기구(200)와 마찬가지로 두 개이다. 그리고, 와이어(230)도, 상기 실시 형태 1에 관한 승강 기구(200)와 마찬가지로 두 개이다. 또한, 한쪽의 와이어(230)는, 그 일단부가 일측의 구동 기구(220)에 접속되고, 정활차(240), 동활차(260)의 순서로 걸쳐져서 N자 형상으로 만곡한 후, 타단부가 설치판(205)의 훅(26)에 걸쳐 고정되어 있다. 다른 쪽의 와이어(230)는, 그 일단부가 타측의 구동 기구(220)에 접속되고, 정활차(240), 동활차(260)의 순서로 걸쳐져서 N자 형상으로 만곡한 후, 타단부가 설치판(205)의 훅(26)에 걸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양쪽 와이어(230)는, 하나의 동활차(260)를 공유해서 걸쳐져 있다. 본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 형태 1에 관한 승강 기구와 비교해서 동활차(260)의 수가 감소되어 있으므로, 지지대(210)를 승강시킬 경우에 발생하는 각 구동 기구(220)에 대한 부하가 증가하지만, 승강 기구(200) 전체를 콤팩트하게 통합할 수 있어, 서랍(20)의 설계 자유도가 증가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1에 관한 승강 기구와 마찬가지로 두 개의 와이어(230)로 지지대(210)를 현수하고 있으므로, 한쪽의 와이어(230)가, 무엇인가의 원인에 의해서 절단되었다고 해도, 다른 쪽의 와이어(230)에 의해 지지대(210)가 현수된 상태로 유지되어, 바로 지지대(210)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26b에 나타내는 변형예는, 정활차(240), 동활차(260) 및 와이어(230)의 수는, 상기 실시 형태 1에 관한 승강 기구와 마찬가지이지만, 구동 기구(220)가, 중앙선측에 배치되고, 정활차(240), 동활차(260) 및 와이어(230)가, 중앙선에 대하여 구동 기구(220)보다도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것이라면, 두 개의 동활차(260)가, 지지판(210)의 중앙에 고정되지 않고, 양측에 배치되기 때문에, 지지대(210)의 기울기가 억제되어, 보다 안정된다.
상기 각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활차(240, 260) 및 와이어(230)가 중앙선에 대하여 선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는, 활차(240, 260) 및 와이어(230)가 중앙선을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는 상태도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구동 모터의 회전수나 회전 속도를 검출하는 검출 기구로서, 인코더를 사용했지만, 구동 모터의 코일에의 유기 전압을 검지하는 센서를 검지 기구로서 사용할 수 도 있다.
<기타 실시 형태>
기타의 실시 형태로서는, 도 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기구(220)의 권취 송출 기구에 있어서, 제2 기어(223)에 대하여, 제2 기어(223)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230)가 감기는 축체(223a)를 설치하고, 그 축체(223a)의 외측면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나선 형상으로 신장되는 홈(g)을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와이어(230)가 축체(223a)에 감길 때에, 와이어(230)가 홈(g)으로 안내되면서 원활하게 감긴다. 이에 따라, 와이어(230)의 권취 송출을 실시할 경우에, 마찰이 억제되고, 와이어(230)의 수명이 연장되는 동시에, 마찰음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조는, 제3 기어(224)에 대하여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승강 기구(200)에 대하여,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장 높은 위치까지 상승한 지지대(210)를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하는 지지대 보유 지지 기구(400)를 설치할 수 있다. 지지대 보유 지지 기구(400)는, 설치판(205)의 상측에 설치되는 보유 지지 유닛(410)과, 지지대(210)에 설치되는 보유 지지체(42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보유 지지 유닛(410)은, 한 쌍의 아암(411, 411)과, 한 쌍의 아암(411, 411)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끌어당기는 탄성체(41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아암(411, 411)의 선단측(하단부측)에는, 자유롭게 회전하는 롤러(4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아암(411, 411)은, 도 28a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체(412)의 장력에 저항하는 외력이 가해짐으로써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유 지지체(420)는, 한 쌍의 아암(411, 411)의 사이에 삽입되는 선단측(상단부측)이 화살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2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210)가 가장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면, 보유 지지체(420)에 있어서의 화살표 형상의 선단측이, 한 쌍의 아암(411, 411)의 사이에 삽입되고, 한 쌍의 아암(411, 411)의 사이에 걸린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지지대(210)가, 지지대 보유 지지 기구(400)에 의해 일시적으로 보유 지지된다. 또한, 탄성체(412)의 장력은, 지지대(210)에 대하여, 지지대(210)의 중량과 당해 지지대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최대 지지 중량의 합계 중량보다도 큰 하강 방향을 향하는 외력이 가해지면 신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지지대(210)에 대하여 하방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하면, 보유 지지체(420)가 한 쌍의 아암(411, 411)의 사이로부터 빠져 나와, 지지대(210)의 하강이 개시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지지대 보유 지지 기구(400)는, 상기 실시 형태 3에 관한 승강 기구(200)와 같이, 지지대(210)를 하방으로 끌어당기는 기구를 구비한 것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한 쌍의 아암(411, 411)을 강제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기구나, 지지대(210)를 한번 상승시킴으로써 보유 지지가 해제되는 래치 기구를 부가하면, 상기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의 대체 기구로서 상기 어느 실시 형태에 관한 승강 기구(200)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관한 승강 기구를 구비한 냉장고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에 관한 승강 기구는, 냉장고의 서랍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세탁기, 가구, 키친 등의 수용 부재의 서랍에 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세탁기로서는, 상하 2단으로 세탁조를 갖고, 하단측의 세탁조가 서랍에 수용된 형태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단의 서랍에 본 발명에 관한 승강 기구 또는 승강 유닛을 설치하고, 그 서랍에 수용된 세탁조 자체 또는 세탁조 내의 세탁물을 승강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기타,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100 : 냉장고
LU : 승강 유닛
200 : 승강 기구
210 : 지지대
212 : 지지 아암
220 : 구동 기구
221 : 구동 모터
223 : 제2 기어
224 : 제3 기어
230 : 와이어
230a : 제1 와이어
230b : 제2 와이어
240 : 정활차
260 : 동활차
290 : 검지 기구
290b : 벨트
290c : 회전체
290d : 텐션 미터
290e : 탄성체
300 :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
400 : 지지대 보유 지지 기구

Claims (20)

  1.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랍;
    상기 서랍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상기 서랍에 대해 승강시키도록 마련되는 승강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상기 지지대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지지대로 전달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활차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송출하는 권취 송출 기구와, 상기 권취 송출 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정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연동해서 역회전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기어에 의해 권취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승하도록 상기 지지대를 끌어당기는 제1와이어와, 상기 제2기어에 의해 권취되어 상기 지지대가 하강하도록 상기 지지대를 끌어당기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권취 송출 기구에 의해 권취되는 상기 와이어에 지지되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차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동활차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동활차에 권취된 상기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냉장고.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권취 송출 기구와 상기 구동 모터 사이에 마련되는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는, 상기 와이어로부터 상기 권취 송출 기구로 전달되는 부하가 상기 구동 모터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냉장고.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하강에 따라 소정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이하는 변이 부재와,
    상기 변이 부재의 변이량 또는 그 관련값을 검지하는 변이 검지 센서와,
    상기 변이 검지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변이량 또는 그 관련값의 변화율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부를 정지시키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하강에 수반하여 이동하는 벨트이고,
    상기 변이 검지 센서는 상기 벨트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량을 검지하는 냉장고.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하강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체이고,
    상기 변이 검지 센서는 상기 신축체의 신축에 따라 변화하는 장력을 검지하는 냉장고.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이 부재는 상기 지지대의 상승에 수반해서 소정 상태로부터 다른 상태로 변이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변이 검지 센서에 의해 검지되는 변이량 또는 그 관련값이 소정값으로 되었을 때, 상기 구동부를 정지하는 냉장고.
  10. 저장실을 갖는 본체;
    상기 저장실에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마련되는 서랍;
    상기 서랍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를 상기 서랍에 대해 승강시키도록 마련되는 승강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 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정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에 의해 권취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승하도록 상기 지지대를 끌어당기는 제1와이어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 받고, 상기 제1기어와 연동해서 역회전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의해 권취되어 상기 지지대가 하강하도록 상기 지지대를 끌어당기는 제2와이어 및
    상기 제1와이어 또는 상기 제2와이어를 가이드하는 적어도 하나의 활차를 포함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에 대하여 소정값 이상의 장력이 발생하면,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모터에 대한 부하를 검지하는 검지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검지 기구에 의해 검지된 부하가 소정값 이상이면, 상기 제2와이어에 소정값 이상의 장력이 발생했다고 판단해서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냉장고.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와이어를 안내하는 n개(n은, 0 이상의 정수)의 동활차와,
    상기 제2와이어를 안내하는 m개(m은, 0 이상의 정수)의 동활차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활차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고,
    상기 제1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기어의 상기 제1 와이어의 권취량이 상기 제2기어의 상기 제2와이어의 송출량의 X배로 되고,
    상기 제1기어가 타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기어의 상기 제1 와이어의 송출량이 상기 제2기어의 상기 제2와이어의 권취량의 X배로 되고,
    상기 X가, n>m의 경우, 2(n-m)로 되고, n<m의 경우, -1/(2(n-m))로 되고, n=m의 경우, 1로 되는 냉장고.
  14. 서랍에 수용되는 수용물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서랍에 대해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상기 서랍에 대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지지대로 전달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활차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와이어를 권취하거나 송출하는 권취 송출 기구와, 상기 권취 송출 기구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 받아 정회전하는 제1기어와, 상기 제1기어와 연동해서 역회전하는 제2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제1기어에 의해 권취되어 상기 지지대가 상승하도록 상기 지지대를 끌어당기는 제1와이어와, 상기 제2기어에 의해 권취되어 상기 지지대가 하강하도록 상기 지지대를 끌어당기는 제2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권취 송출 기구에 의해 권취되는 상기 와이어에 지지되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승강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활차는 상기 지지대에 설치되는 동활차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동활차에 연결된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승강 장치.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권취 송출 기구와 상기 구동 모터 사이에 마련되는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 방향 보유 지지 기구는, 상기 와이어로부터 상기 권취 송출 기구로 전달되는 부하가 상기 구동 모터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승강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구동부 중 어느 하나가 정지하면, 상기 구동부의 나머지를 모두 정지시키는 승강 장치.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연결되는 웜기어(worm gear)와,
    상기 웜기어(worm gear)에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를 권취 송출하는 권취 송출 기구를 포함하는 승강 장치.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가 상승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지지대를 보유 지지하고,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상기 지지대의 중량과 상기 지지대에 관해서 미리 설정된 최대 지지 중량의 합계 중량보다도 큰 하강 방향을 향하는 외력이 가해지면, 보유 지지를 해제하는 지지대 보유 지지 기구를 더 포함하는 승강 장치.
KR1020170120357A 2016-11-10 2017-09-19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38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869927.8A EP3523585B1 (en) 2016-11-10 2017-11-08 Refrigerator including a lifting device
PCT/KR2017/012613 WO2018088802A1 (en) 2016-11-10 2017-11-08 Lift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US15/809,754 US10234195B2 (en) 2016-11-10 2017-11-10 Lift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0071 2016-11-10
JP2016220071 2016-11-10
JP2017097286 2017-05-16
JPJP-P-2017-097286 2017-05-16
JP2017110371 2017-06-02
JPJP-P-2017-110371 2017-06-02
JP2017114705 2017-06-09
JPJP-P-2017-114705 2017-06-09
JP2017149492A JP2018200160A (ja) 2016-11-10 2017-08-01 昇降機構、昇降ユニットを備える冷蔵庫及び洗濯機
JPJP-P-2017-149492 2017-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516A KR20180052516A (ko) 2018-05-18
KR102383586B1 true KR102383586B1 (ko) 2022-04-06

Family

ID=6245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0357A KR102383586B1 (ko) 2016-11-10 2017-09-19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3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4922B1 (ko) * 2018-03-26 202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15614B1 (ko) 2018-08-30 2020-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42610B1 (ko) * 2018-08-31 2023-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79883B1 (ko) * 2018-12-28 2023-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63561B1 (ko) * 2018-12-28 2024-05-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61708A (ko) * 2019-11-20 2021-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2806752A (zh) * 2021-03-16 2021-05-18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升降装置及储物柜
CN115057396B (zh) * 2022-07-14 2023-12-15 山东电工时代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储能集装箱吊装的缆绳降落装置
CN115096057A (zh) * 2022-07-14 2022-09-23 王梦坤 一种消防水带晾晒设备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5122A (ja) 2002-08-28 2004-03-18 Toshiba Corp 棚装置、およびその棚装置を備えた冷蔵庫
US20060022564A1 (en) 2004-07-29 2006-02-02 Lg Electronics Inc. Bottom drawer type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device
US20090167131A1 (en) 2004-10-26 2009-07-02 Seung Hwan Oh Refrigerator
JP2011058572A (ja) 2009-09-10 2011-03-24 Oriental Motor Co Ltd ギヤードモータ用トルクリミッタおよび、トルクリミッタを備えたギヤードモータ
JP2014059102A (ja) 2012-09-18 2014-04-03 Samsung R&D Institute Japan Co Ltd 冷蔵庫
WO2014150454A1 (en) 2013-03-14 2014-09-2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drive rack & pinion lift mechanism for refrigerated storage bi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03266B1 (en) * 1997-10-27 2001-03-20 Ricon Corporation Power safety barrier for wheelchair lift
US6510858B1 (en) * 2000-08-09 2003-01-28 Steris Inc. Load lifting/lowering mechanism for a washer
KR20050081340A (ko)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냉장고
KR20050081350A (ko) * 2004-02-13 2005-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김치 냉장고
KR20040052668A (ko) * 2004-04-26 2004-06-23 (주)우리기술 주방용기기의 승·하강장치
KR100662406B1 (ko) 2005-04-19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5122A (ja) 2002-08-28 2004-03-18 Toshiba Corp 棚装置、およびその棚装置を備えた冷蔵庫
US20060022564A1 (en) 2004-07-29 2006-02-02 Lg Electronics Inc. Bottom drawer type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device
US20090167131A1 (en) 2004-10-26 2009-07-02 Seung Hwan Oh Refrigerator
JP2011058572A (ja) 2009-09-10 2011-03-24 Oriental Motor Co Ltd ギヤードモータ用トルクリミッタおよび、トルクリミッタを備えたギヤードモータ
JP2014059102A (ja) 2012-09-18 2014-04-03 Samsung R&D Institute Japan Co Ltd 冷蔵庫
WO2014150454A1 (en) 2013-03-14 2014-09-25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drive rack & pinion lift mechanism for refrigerated storage b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2516A (ko) 2018-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3586B1 (ko)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0234195B2 (en) Lift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JP2018200160A (ja) 昇降機構、昇降ユニットを備える冷蔵庫及び洗濯機
KR102154248B1 (ko) 착용 로봇의 라쳇형 와이어 길이 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착용 로봇
JP5937296B2 (ja) 横型ブラインド
JP2009001378A (ja) 噛合チェーン式昇降装置
GB2610951A (en) Lifting device and plastering apparatus
JP2009132510A (ja) 荷台昇降式移載装置
EP1947048A1 (en) Drive means for elevator
JP6670540B2 (ja) 横型ブラインド
JP6045274B2 (ja) 横型ブラインドのスラット駆動装置
EP1612179B1 (en) Drive for elevators and goods hoists
JP2007222392A (ja) 物品落下防止装置
JP5894408B2 (ja) 昇降機の停止調整装置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
CN212081772U (zh) 升降搁架和家用设备
KR20130138069A (ko) 승강형 수납장
CN211120242U (zh) 一种具有升降层架的冰箱
WO2014013534A1 (ja) 電気ホイスト
CN208776246U (zh) 一种基站设备吊装辅助装置
CN109674228A (zh) 吊顶置物架
CN113511607B (zh) 升降机构、升降装置和家用电器
JP2007054094A (ja) 棚昇降式食器保管庫
JP2003013661A (ja) 昇降扉ユニット
JP2009062778A (ja) ブラインド用安全装置及びブラインド
JP2008267115A (ja) ブライン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