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63561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63561B1
KR102663561B1 KR1020180172529A KR20180172529A KR102663561B1 KR 102663561 B1 KR102663561 B1 KR 102663561B1 KR 1020180172529 A KR1020180172529 A KR 1020180172529A KR 20180172529 A KR20180172529 A KR 20180172529A KR 102663561 B1 KR102663561 B1 KR 102663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lifting plate
plate
refrigerato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2189A (ko
Inventor
김현범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7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561B1/ko
Priority to US16/678,016 priority patent/US10900708B2/en
Priority to CN201911265248.XA priority patent/CN111380298B/zh
Priority to AU2019283769A priority patent/AU2019283769B2/en
Priority to EP19217494.4A priority patent/EP3674641B1/en
Publication of KR20200082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2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3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3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45/00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characterised by features enabling enlarging in height, length, or dep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수납 박스의 내부에 놓이는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다수의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승강 모듈을 포함하는 승강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승강 모듈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 지점에 연결되는 제 1 승강 모듈과, 상기 제 1 지점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 지점에 연결되는 제 2 승강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이를 위해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 및 제품의 고급화의 추세에 따라 점차 대형화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편의 및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구조 및 편의장치를 구비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냉장고의 저장 공간은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의 배치형태와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의 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냉장고로 분류될 수 있다.
냉장고 도어는 회동에 의해 저장공간이 개폐되는 회동식 도어와, 서랍식으로 인출입 되는 서랍식 도어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식 도어는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가 많은데, 상기 서랍식 도어가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서랍식 도어 내부에 수용된 바스켓 또는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야 하며, 상기 바스켓 또는 식품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바스켓을 보다 사용에 불편을 느끼거나 부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랍식 도어가 승강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아래 선행 기술에는 냉장실에 구비되는 수납 박스의 승강을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이 구비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승강을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이 수납 박스의 외측에 배치되어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안전상의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노출되는 리프팅 메카니즘의 구조로 인해 리프팅 메카니즘의 오염이 문제가 된다.
그리고, 구동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구동부 동작시의 소음이 외부로 그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사용자의 불만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수납 박스가 안착되는 프레임이 L자 형상을 이루고 있어서, 프레임의 상단이 도어의 상단보다 더 위쪽으로 돌출되지 못한다. 그 결과, 수납 박스의 승강 높이에 제한이 있는 단점이 있다.
만일, 프레임의 수직 부분의 상단이 도어의 상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할 경우, 프레임 수직 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다. 나아가, 프레임 하강시 사용자의 옷이나 신체 일부분이 끼어서 사고를 초래할 가능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6-0006321호(2006년01월19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배면에 형성되는 수납 박스를 포함하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드로어;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에 놓이는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다수의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승강 모듈을 포함하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승강 모듈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 지점에 연결되는 제 1 승강 모듈과, 상기 제 1 지점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 지점에 연결되는 제 2 승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승강 모듈은, 제 1 구동 모터와, 상기 제 1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 구동 기어와, 소정 곡률로 만곡되어 상기 제 1 구동 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원형 또는 호형의 제 1 커브드 랙과, 상기 제 1 커브드 랙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 지점을 연결하는 제 1 승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승강 모듈은, 제 2 구동 모터와, 상기 제 2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2 구동 기어와, 소정 곡률로 만곡되어 상기 제 2 구동 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원형 또는 호형의 제 2 커브드 랙과, 상기 제 2 커브드 랙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 지점을 연결하는 제 2 승강바를 포함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제안되는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세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는, 드로어가 인출된 상태에서 드로어 내부에 제공되는 승강 플레이트가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로어 내부에 수납된 식품을 꺼내기 위하여 허리를 과도하게 숙이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무거운 식품 또는 식품이 수납된 용기 자체를 들어 올려야 하는 상황에서는, 승강 장치를 작동시켜 식품을 원하는 높이까지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하고 사용상 편의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을 위해 필요한 장치들이 드로어의 내부, 즉 도어 또는 수납 박스의 내부에 배치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장치들에 접근할 수 있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옷이나 신체 일부가 끼는 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선행 기술과 달리, 드로어를 구성하는 수납 박스 자체가 승강하는 것이 아니라, 수납 박스 내에 별도의 승강 플레이트가 제공되므로, 드로어 인출을 위한 레일 어셈블리가 수납 박스의 측면에도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에 작용하는 하중이 수납 박스로 분산되도록 설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장치가 도어 또는 수납 박스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승강 장치의 구성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구동장치가 상기 도어부에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서랍부의 저장 용량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승강바가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고, 복수 개의 승강바는, 승강 플레이트가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지점들에 배치된다. 따라서, 승강 플레이트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때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승강 장치가 구비된 드로어가 인출 후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가 구비된 드로어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승강 플레이트가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드로어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전면 사시도.
도 6은 상기 승강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7은 상기 승강 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플레이트와 승강바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플레이트와 승강 바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플레이트와 승강 바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드로어가 제거된 상태에서 승강 플레이트가 최저 높이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승강 장치의 배면도.
도 12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최저 높이에 있을 때 상기 승강 장치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드로어가 제거된 상태에서 승강 플레이트가 최고 높이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승강 장치의 배면도.
도 14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최고 높이에 있을 때 상기 승강 장치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플레이트 지지 장치가 결합된 승강 플레이트의 측면도.
도 16은 상기 플레이트 지지 장치가 결합된 승강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가 구비된 승강 플레이트의 사시도.
도 18은 도 17의 18-18을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랙이 구비된 승강 장치의 배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와 승강 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2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와 승강 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승강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승강 장치가 구비된 드로어가 인출 후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냉장고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전면을 차폐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캐비닛(10) 내부의 저장공간은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저장 공간은 멀리언(mullion)과 같은 구획 부재에 의하여 상부 저장 공간(11)과 하부 저장 공간(12)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저장 공간(11)과 하부 저장 공간(12) 중 어느 하나는 냉장실로 정의되고 다른 하나는 냉동실로 정의될 수 있다. 물론, 상부 저장 공간(11)과 하부 저장 공간(12)은 냉장실 또는 냉동실이 아닌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되는 독립된 공간으로 정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공간은 내부 온도가 다르게 유지되는 세 개 이상의 저장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음을 배제하지 않는다.
상기 도어는, 상기 캐비닛(10)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도어(20)와, 상기 상부 저장 공간(11) 또는 하부 저장 공간(12) 내부로 슬라이딩 인입되는 드로어(30)의 서랍 도어(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어(30)는 상기 하부 저장 공간(12)에 다수 개가 수용될 수 있고, 다수의 드로어는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드로어(30)가 상기 상부 저장 공간(11)에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50)는, 상기 드로어(30) 내부에 수납된 음식물의 승강을 위하여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 장치(50)는 상기 드로어(30)의 도어(31)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 도어(20)의 전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21)는 액정 디스플레이의 구조 또는 88세그먼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 도어(20)의 전면 일측에는 상기 회전 도어(20) 및/또는 드로어(30)의 개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조작부(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디스플레이(21)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으며, 터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으로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저장 공간 내부의 온도 설정을 비롯한 상기 냉장고(1)의 운전과 관련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22)는 상기 드로어(30)의 인출입 또는 상기 승강 장치의 동작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드로어(30)에도 조작부(301)가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어(30)의 도어(31) 전면에 조작부(3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01)는 터치 또는 버튼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301)는 사용자의 근접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성되거나, 사용자의 모션 또는 음성에 의해 조작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 표시된 것과 같이 최하측의 드로어(30) 하단에 조작 장치(30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 장치(302)는,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302)와, 상기 냉장고(1)가 설치된 설치 공간의 바닥에 영상을 조사하는 영상 조사 장치(302b)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302a)에서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하면, 상기 영상 조사 장치(302b)에서 스위치 영상을 설치 바닥면으로 조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바닥에 조사된 영상 또는 이미지에 신체 일부를 접근시켜서 드로어 인출입 명령을 포함하는 특정의 명령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어(30)는, 캐비닛(10)에 구비되는 인출입 모터(미도시) 및 피니언(141)과, 상기 드로어(30)의 저면에 구비되는 인출입 랙(34) 또는 레일에 의해 전후 방향으로 수평 이동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입 모터의 동작 명령은 상기 조작부들(22,301)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통하여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어(30)는 단일의 인출 명령을 통해서 수평 방향 슬라이딩 동작과 수직 방향 승강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가 구비된 드로어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승강 플레이트가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드로어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드로어(30)는, 도어(31)와, 상기 도어(31)의 배면에 구비되는 수납 박스(32), 및 상기 수납 박스(32)의 내부에 제공되는 승강 플레이트(3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승강 장치(50)는 상기 도어(31)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와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34) 위에 음식물이 직접 놓여서 저장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수납 박스(32) 내부에 별도의 수납 케이스(33)가 제공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위에 놓이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어(31)의 배면에는 원호 형태의 가이드 슬릿(311)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슬릿(311)에는 후술하게 될 승강 바가 삽입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승강 장치(50)를 구성하는 승강 바가 상기 도어(31)의 배면을 관통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바는 상기 가이드 슬릿(31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3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슬릿(311)은, 상기 도어(31)의 배면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가이드 슬릿(311a)과, 상기 도어(31)의 배면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가이드 슬릿(3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 슬릿(311a)과 상기 제 2 가이드 슬릿(311b)은 상기 도어(31)를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으로 이등분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어(31)의 상면에도 상기 승강 장치(50)의 구동을 위한 승강 조작부(30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 조작부는, 터치 방식 또는 버튼 방식의 입력부와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 조작부(303)에 구비된 입력부를 터치 또는 누르면 전후 방향 이동과 승강이 연속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승강 동작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31)의 상면이 전단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면, 상기 드로어(30)가 닫힌 상태에서도 상기 승강 조작부(303)의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어(30)가 닫힌 상태에서 승강 조작부(303)의 입력부를 조작하여 드로어(30) 인출과 승강 플레이트(34) 상승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도어(31)의 전면에 구비된 드로어 조작부(301)를 조작하여 상기 드로어(30)가 전방으로 최대 인출되도록 한 다음, 상기 승강 조작부(303)를 조작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상승하도록 제어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승강 장치(5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승강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은 상기 승강 장치를 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50)는, 하우징(51)과, 스프링(54)과, 승강바(55)와, 커브드 랙(53)과, 구동 기어(56)와, 커버(52)와, 구동 모터(57) 및 감속 기어(5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브드 랙(53)은, 상기 구동 기어(56)와 기어 결합되는 제 1 커브드 랙(53a)과, 상기 제 1 커브드 랙(53a) 측방에 배치되는 제 2 커브드 랙(53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바(55)도, 상기 제 1 커브드 랙(53a)에 연결되는 제 1 승강바(55a)와, 상기 제 2 커브드 랙(53b)에 연결되는 제 1 승강바(55b)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도어(31)는, 상기 외부에 노출되는 전면부와, 상기 전면부의 반대 면으로 정의되는 후면부와,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연결하는 에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에지부는, 상면,하면, 좌측면,우측면을 포함한다.
상기 도어(31)의 후면부는 다시 제 1 면과 제 2 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면은 상기 승강 장치(50)의 후면이 밀착되는 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제 2 면은 상기 수납 박스(32)의 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51)의 전면은 개구되어 상기 커버(52)에 의하여 차폐되고, 후면은 상기 도어(31)의 후면부의 제 1 면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1)의 가장자리에는 사이드 월(519)이 연장되고, 상기 사이드 월(519)의 전단부에 상기 커버(52)가 결합된다. 상기 사이드 월(519)은 상기 하우징(51)에 형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커버(52)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1)의 후면에는 원호 형상의 가이드 슬릿(51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슬릿(511)은 상기 도어(31)의 후면부에 형성되는 상기 가이드 슬릿(311)과 정렬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51)에 형성되는 가이드 슬릿(511)도, 상기 도어(31)의 가이드 슬릿(311)과 마찬가지로, 제 1 가이드 슬릿(511a)과 제 2 가이드 슬릿(51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51)의 전면 모서리 지점에는 지지 보스(518)와 체결 보스가 돌출될 수 있고, 상기 지지 보스(518)와 체결 보스는 상기 하우징(51) 전면의 네 모서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51)의 전면에는 상기 커브드 랙(53)의 외주면을 감싸는 아우터 슬리브(512)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슬리브(512)는 상기 사이드 월(519)의 연장 길이(또는 폭)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슬리브(512)는, 상기 제 1 커브드 랙(53a)을 감싸는 제 1 아우터 슬리브(512a)와, 상기 제 1 아우터 슬리브(512a)로부터 상기 하우징(51)의 측방향으로 이격되는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커브드 랙(53b)을 감싸는 제 2 아우터 슬리브(512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아우터 슬리브(512)는, 상기 하우징(51)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커브드 랙(53a,53b)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두 개의 원형 슬리브가 중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슬리브(512)의 내측 공간은 제 1 커브드 랙(53a)이 수용되는 제 1 공간과, 상기 제 2 커브드 랙(53b)이 수용되는 제 2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공간과 제 2 공간은 상기 제 1 커브드 랙(53a)과 제 2 커브드 랙(53b)이 맞물리는 지점에서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 슬리브(512)가 뉘어진 8자 형상 또는 땅콩 껍질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슬리브(512)의 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하우징(51)의 전면에는 센터 마운트(513)가 돌출된다. 상기 센터 마운트(513)는, 상기 제 1 아우터 슬리브(512a)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1 센터 마운트(513a)와, 상기 제 2 아우터 슬리브(512b)의 내측에 형성되는 제 2 센터 마운트(513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센터 마운트(513a)와 제 2 센터 마운트(513b)는 상기 하우징(51)을 이등분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센터 마운트(513)의 외측 가장자리와 상기 아우터 슬리브(512) 사이의 거리는 상기 커브드 랙(53)의 반경 방향 폭에 대응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센터 마운트(513)와 상기 아우터 슬리브(512) 사이의 공간은 상기 커브드 랙(53)이 장착되는 커브드 랙 장착부(510)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슬릿(511)은 상기 커브드 랙 장착부(510)에 형성된다.
상기 커브드 랙 장착부(510) 또한 제 1 커브드 랙 장착부(510a)와 제 2 커브드 랙 장착부(510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터 마운트(513)의 가장자리에서 상기 센터 마운트(513)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깊이 절개되고, 원주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스프링 안착부(514)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안착부(514)는 소정 곡률을 가지고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 안착부(514)의 일 단부는 숄더(515)로 정의되고, 타단에서는 랙 스토퍼(517)가 상기 센터 마운트(513)의 원주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안착부(514)의 반대 쪽에 해당하는 상기 센터 마운트(513)의 가장자리에는 구동 기어 수용부(516)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 기어 수용부(516)는 상기 센터 마운트(513)의 일부분이 중심 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된다. 상기 구동 기어 수용부(516)는 상기 구동 기어(516)의 곡률과 동일한 곡률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상기 구동 기어(56)의 원주면 일부를 수용한다.
상기 스프링 안착부(514)는 제 1 스프링 안착부(514a)와 제 2 스프링 안착부(514b)를 포함한다.
상기 숄더(515)는 제 1 숄더(515a)와 제 2 숄더(515b)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기어 수용부(516)는 제 1 구동 기어 수용부(516a)와 제 2 구동 기어 수용부(516b)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안착부(514)에는 상기 스프링(54)이 수용되며, 상기 스프링(5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54)은 상기 제 1 스프링 안착부(514a)에 안착되는 제 1 스프링(54a)과, 상기 제 2 스프링 안착부(514b)에 안착되는 제 2 스프링(54a)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 기어(56)는, 상기 제 1 구동 기어 수용부(516a)에 수용되는 제 1 구동 기어(56a)와, 상기 제 2 구동 기어 수용부(516b)에 수용되는 제 2 구동 기어(56b)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 모터(57)와 감속 기어(58) 또한, 상기 제 1 구동 기어(56a)에 연결되는 제 1 구동 모터(57a) 및 제 1 감속 기어(58a)와, 상기 제 2 구동 기어(56b)에 연결되는 제 2 구동 모터(57b) 및 제 2 감속 기어(58b)를 포함한다.
상기 감속 기어(58)에는 구동축(581)이 연장되고, 상기 구동축(581)은 상기 제 1 감속 기어(58a)에서 연장되는 제 1 구동축(581a)과, 상기 제 2 감속 기어(58b)에서 연장되는 제 2 구동축(581b)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1)을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으로 이등분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상기 하우징(51)의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은 서로 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커버(52)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커브드 랙(53)은 내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원형의 고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커브드 랙(53)은, 상기 아우터 슬리브(512)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는 아우터 림(outer rim)(534)과, 상기 아우터 림(534)의 내측에 둘러지고, 상기 아우터 림(534)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인너 림(535), 및 상기 아우터 림(534)의 후단과 상기 인너 림(535)의 후단을 연결하는 연결 림(537)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림(534)과 인너 림(535) 사이에는 가이드 홈(536)이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 림(534)은 제 1 아우터 림(534a)과 제 2 아우터 림(534b)을 포함한다.
상기 인너 림(535)은 제 1 인너림(535a)과 제 2 인너림(535b)을 포함한다.
상기 연결림(537)은 제 1 연결림(537a)과 제 2 연결림(537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너 림(535)의 내주면에는 기어부(531)가 형성되고, 상기 인너 림(535)의 내주면 일측에는 스프링 가압 리브(532)가 돌출된다. 상기 스프링 가압 리브(532)는 상기 인너 림(535)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고 상기 커브드 랙(53)의 중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기어부(531)는 제 1 기어부(531a)와 제 2 기어부(531b)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가압 리브(532)는, 상기 제 1 커브드 랙(53a)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 1 스프링(54)을 가압하는 제 1 스프링 가압 리브(532a)와, 상기 제 2 커브드 랙(53b)의 내주면에 돌출되어 상기 제 2 스프링(54)을 가압하는 제 2 스프링 가압 리브(532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림(534)의 외주면에도 기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구동 기어(58)가 상기 커브드 랙(53)의 외주면에 기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 림(537)의 일측에는 승강바 장착부(533)가 홀 또는 홈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승강바 장착부(533)에 상기 승강바(55)의 일단이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승강바(55)는 상기 가이드 슬릿(511, 311)을 차례로 관통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슬릿(511,311)의 폭은 상기 승강바(55)의 외경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가압 리브(532)의 일 면은 상기 스프링(54)의 일 단부를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4)이 최대로 연장될 때 상기 숄더(515)에 밀착된다. 즉, 상기 커브드 랙(53)이 회전하면, 상기 스프링 가압 리브(532)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514) 내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바 장착부(533)는, 상기 제 1 커브드 랙(53a)에 형성되는 제 1 승강바 장착부(533a)와, 상기 제 2 커브드 랙(53b)에 형성되는 제 2 승강바 장착부(533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승강바(55a)는 상기 제 1 승강바 장착부(533a)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승강바(55b)는 상기 제 2 승강바 장착부(533b)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커버(52)의 전면에는 상기 감속 기어(58)가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52)의 전면에는 상기 감속 기어(58)의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는 감속 기어 지지 리브(525)가 형성된다.
상기 감속 기어 지지 리브(525)는 제 1 감속 기어 지지 리브(525a)와 제 2 감속 기어 지지 리브(525b)를 포함한다.
상기 감속 기어 지지 리브(525)의 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커버(52)에는 구동축 홀(524)이 형성되고, 상기 감속 기어(58)에서 연장되는 구동축(581)이 상기 구동축 홀(524)을 관통하여 상기 구동 기어(56)의 중심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축 홀(524)은, 제 1 구동축 홀(524a)과 제 2 구동축 홀(524b)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52)의 후면에는 원호 형상의 랙 가이드(523)가 연장되고, 상기 랙 가이드(523)는 상기 커브드 랙(53)의 가이드 홈(536)에 끼워진다. 상기 랙 가이드(523)의 양 단부는 상기 가이드 슬릿(511)의 양 단부까지 각각 연장된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랙 가이드(523)는 원형의 슬리브 형태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상세히, 상기 랙 가이드(523)는, 상기 제 1 커브드 랙(53a)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 1 랙 가이드(523a)와, 상기 제 2 커브드 랙(53b)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제 2 랙 가이드(523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버(52)의 배면 모서리 부위에는 체결 보스(521)와 지지 보스(522)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체결 보스(521)와 지지 보스(522)는, 상기 하우징(51)의 전면에서 연장되는 체결 보스와 지지 보스(518)에 각각 결합된다. 예컨대, 상기 지지 보스(522)는 상기 하우징(51)의 지지 보스(518) 외주면에 끼워져서, 상기 커버(52)가 상기 하우징(51)에 흔들림 없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 보스(521)는 상기 하우징(51)의 전면에서 돌출되는 체결 보스와 맞닿은 상태에서, 스크류와 같은 체결 부재에 의하여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모터(57)와 감속 기어(58)는 체결 브라켓에 의하여 모듈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 플레이트와 승강바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저면에 가이드 기어(342)가 형성되고, 상기 승강 바(55)의 타단에 아이들 기어(551)가 장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승강 바(55)의 일단은 상기 커브드 랙(53)에 연결되고, 상기 아이들 기어(551)는 상기 가이드 기어(342)에 맞물리게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커브드 랙(53)이 회전하면, 상기 승강 바(55)는 수평 방향 벡터 성분과 수직 방향 벡터 성분을 가지고 상기 커브드 랙(53)의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아이들 기어(551)는 상기 가이드 기어(342)의 일 단부에서 타 단부 쪽으로 회전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34)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두 개의 승강바(55a,55b)가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좌측 저면과 우측 저면을 지지하므로,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에도 두 개의 가이드 기어(342)가 상기 두 개의 승강바(55a,55b)가 접촉하는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가이드 기어(342)의 길이는 상기 승강바(55)의 수평 방향으로의 최대 이동 거리와 동일하거나 더 길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플레이트와 승강 바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전단부 저면에 폭이 넓은 U 자 형태의 승강바 가이드(3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승강 바 가이드(341)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 내에 상기 승강 바(55)가 삽입되고, 상기 승강바(55)가 상기 승강바 가이드(341)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3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상기 승강바(55)의 외주면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저면에 접촉한 상태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바(55)의 타단에 아이들 기어가 연결되고, 상기 승강 바 가이드(341)의 내측에 해당하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저면에 가이드 기어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도 두 개의 승강바(55)가 상기 승강 플레이트(34)를 지지하므로, 상기 승강바 가이드(341)가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전단부 좌측 저면과 우측 저면에 각각 형성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플레이트와 승강 바의 연결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전면에 가이드 홈(343)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 바(55)의 타단이 상기 가이드 홈(343)에 끼워지는 형태로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와 승강 바(55)가 연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가이드 홈(343)의 좌우 방향 길이는 상기 승강 바(55)의 좌우 방향 이동 변위에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바(55)의 타단에 상기 아이들 기어(551)가 형성되고, 상기 아이들 기어(551)가 상기 가이드 홈(343)에 삽입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가이드 홈(343)의 상면에 가이드 기어(344)가 형성되어, 상기 아이들 기어(551)와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홈(343)도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전면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 1 승강바(55a)와 제 2 승강바(55b)가 각각 삽입된다.
도 11은 드로어가 제거된 상태에서 승강 플레이트가 최저 높이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승강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12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최저 높이에 있을 때 상기 승강 장치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커브드 랙 구조가 수직면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므로,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더라도 상기 제 2 커브드 랙(53b)의 구동은 상기 제 1 커브드 랙(53a)의 구동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되, 상기 수직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방향으로 구동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바(55)가 상기 하우징(51)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511)의 최하단에 걸린 상태가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최저 높이에 있는 상태이며,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상기 수납 박스(32)의 바닥에 가장 가깝게 위치한다.
상기 가이드 슬릿(511)의 최하단은 상기 커브드 랙(53)의 최 하단에 대응하는 바텀 센터(a2)까지 연장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슬릿(511)의 최 상단은 상기 커브드 랙(53)의 최 상단에 대응하는 탑 센터(a1)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승강바(55a)와 제 2 승강바(55b) 각각은 상기 제 1 가이드 슬릿(511a)과 제 2 가이드 슬릿(511b) 각각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34)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킨다.
한편,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최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54)은 최소 길이로 압축된 상태가 된다. 상세히,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상기 커브드 랙(53)이 회전하면, 상기 스프링 가압 리브(532)는 스프링 안착부(514) 내에서 상기 스프링(54)을 압축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스프링(54)의 복원력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급격하게 하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하강할 때 상기 스프링(54)이 압축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최저점에 위치하면 상기 스프링 가압 리브(532)는 상기 랙 스토퍼(517)에 닿아서 상기 커브드 랙(53)이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도 13은 드로어가 제거된 상태에서 승강 플레이트가 최고 높이에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승강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14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최고 높이에 있을 때 상기 승강 장치의 내부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 기어(56)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커브드 랙(53)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스프링 가압 리브(532)는 상기 스프링(54)을 원상태로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바(55)는 상기 가이드 슬릿(511)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34)를 밀어올린다.
즉, 상기 커브드 랙(53)이 회전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스프링(54)은 원 상태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신장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4)의 복원력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34)를 밀어올리는 힘으로 작용하여, 상기 구동 모터(57)의 부하를 줄여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최고점에 도달하면, 상기 스프링 가압 리브(532)는 상기 스프링 안착부(514)의 단부에 해당하는 상기 숄더(515)에 닿게 된다. 상기 스프링 가압 리브(532)가 상기 숄더(515)에 닿으면, 상기 커브드 랙(53)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34)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장치에 대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 장치(50)가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한쪽 가장자리에만 제공되는 경우,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다른 쪽 가장자리, 즉 상기 승강 장치가 연결된 가장자리의 반대쪽 가장자리가 처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면, 승강 플레이트(34)가 승강할 때 수평 상태를 유지하지 못하여, 승강 플레이트(34)의 가장자리가 수납 박스(32)의 내주면에 간섭되어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고, 구동 모터(57)의 부하가 증가하는 현상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승강 동작 중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치우침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도 15는 플레이트 지지 장치가 결합된 승강 플레이트의 측면도이고, 도 16은 상기 플레이트 지지 장치가 결합된 승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저면에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34)를 수평 상태로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 장치(60)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 장치(60)는, 로어 프레임(61)과, 어퍼 프레임(62)과, 한 쌍의 시저 링크(scissors link)(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로어 프레임(61)과 어퍼 프레임(62)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는 크기의 사각형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시저 링크(63)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좌측과 우측 가장자리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 쌍의 시저 링크(63) 각각은, X자로 교차되는 제 1 링크(631)와 제 2 링크(6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링크(631)와 제 2 링크(632)의 교차 지점에는 커넥터(68)가 삽입되고, 상기 커넥터(68)는 상기 제 1 링크(631)와 제 2 링크(632)의 회전 중심으로 기능한다.
여기서, 좌측의 시저 링크(63)는 좌측 제 1 링크와 제 2 링크로 정의하고, 우측의 시저 링크(63)는 우측 제 1 링크와 제 2 링크로 정의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두 개의 제 1 링크의 전단부와 두 개의 제 2 링크의 전단부는 고정바(64,66)에 의하여 각각 연결된다. 상세히, 좌우측 제 1 링크들의 전단부는 제 1 고정바(64)에 의하여 연결되고, 좌우측 제 2 링크들의 전단부는 제 2 고정바(66)에 의하여 연결된다.
두 개의 제 1 링크의 후단부와 두 개의 제 2 링크의 후단부는 이동바(65,67)에 의하여 각각 연결된다. 상세히, 좌우측 제 1 링크들의 후단부는 제 1 이동바바(67)에 의하여 연결되고, 좌우측 제 2 링크들의 후단부는 제 2 이동바(65)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고정바(64)는 상기 로어 프레임(61)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고정바(66)는 상기 어퍼 프레임(62)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이동바(67)는 상기 어퍼 프레임(62)의 저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이동바(65)는 상기 로어 프레임(61)의 상면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고정바(64)는 로어 홀더(611)에 의하여 상기 로어 프레임(61)에 고정되고, 상기 제 2 고정바(66)는 어퍼 홀더(621)에 의하여 상기 어퍼 프레임(62)에 고정된다. 상기 로어 홀더(611)와 어퍼 홀더(621) 각각은 상기 고정바(64,66)를 덮는 형태로 라운드지거나 절곡되고, 양 단부가 상기 로어 프레임(61)과 어퍼 프레임(62)에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 홀더(611)와 어퍼 홀더(621)의 양 단부는 체결 부재에 의하여 상기 로어 프레임(61)과 어퍼 프레임(62)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제 1 이동바(67)는 어퍼 가이드(622)에 의하여 상기 어퍼 프레임(62)의 저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2 이동바(65)는 로어 가이드(612)에 의하여 상기 로어 프레임(61)의 상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어퍼 가이드(622)와 로어 가이드(612) 각각은, n자 형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양 단부에서 외측으로 다시 절곡되어 상기 어퍼 프레임(62)과 로어 프레임(61)에 각각 밀착되는 밀착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곡부의 상면과 상기 어퍼 프레임(61)의 저면 또는 로어 프레임(61)의 상면 사이에는 어퍼 가이드 스페이스(623)와 로어 가이드 스페이스(61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스페이스(613,623) 내부에 상기 제 1 이동바(67)와 제 2 이동바(65)의 단부가 각각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승강 장치(5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상승하는 동안에는, 상기 이동바들(65,67)은 상기 고정바들(64,66)에 가까워지는 방향, 즉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최고점에 이르면 상기 이동바들(65,67)은 상기 가이드 스페이스들(613,623)의 전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승강 장치(50)의 작동에 의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하강하는 동안에는, 상기 이동바들(65,67)은 상기 고정바들(64,6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즉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34) 최저점에 이르면, 상기 이동바들(65,67)은 상기 가이드 스페이스들(613,623)의 후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좌측 가장자리와 우측 가장자리 각각에 상기 시저 링크(63)가 연결됨으로써, 단일의 승강 장치(50)가 승강 플레이트(34)에 연결되더라도,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항상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지지 장치(60)는 상기 수납 박스(32)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플레이트 지지 장치(6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물질이 상기 플레이트 지지 장치(60) 내부로 유입되는 가능성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자의 옷이나 신체 일부가 시저 링크(63)에 끼어서 상해를 입는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 장치(60)는,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후단에 배치되고, 상기 시저 링크(63)의 일단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도록 설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승강할 때, 상기 시저 링크(63)의 중심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후단부 중앙에서 수직 이동만 하고, 상기 시저 링크(63)의 양 단부가 좌우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장치가 구비된 승강 플레이트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18-18을 따라 절개되는 횡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시저 링크(63)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지지 장치(60) 외에,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좌우 측면을 지지하는 레일 형태의 플레이트 지지 장치(70)도 제안 가능하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 지지 장치(70)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좌측면 전단부와 후단부, 그리고 우측면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플레이트 지지 장치(70)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좌측면 중앙 및 우측면 중앙에 각각 장착되는 구조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플레이트 지지 장치(70)는, 상기 수납 박스(32) 측벽의 안쪽 면에 고정되는 고정 레일(71)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측면에 고정되는 레일 베이스(72) 및 상기 레일 베이스(72)에 고정되는 이동 레일(7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일 베이스(72)가 별도로 제공되지 않고, 상기 이동 레일(73)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측면에 직접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동 레일(73)은 상기 고정 레일(72)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레일(7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레일 형태의 플레이트 지지 장치(70)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34)를 좌측 부분과 우측 부분으로 이등분하는 수직면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제공됨으로써,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위에서 제시하는 플레이트 지지 장치(70) 외에도,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직 이동하도록 하는 지지 기능을 가진 다양한 형태의 지지 장치가 제안 가능하며, 이러한 지지 기능을 가진 장치들은 모두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랙이 구비된 승강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랙(530A)은 호 형태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커브드 랙(530a,530b)이 기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커브드 랙(530a,530b) 각각의 길이는, 원형의 커브드 랙(53)의 원주의 절반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다시 말하면, 상기 호형 커브드 랙(530a,530b)의 일 단부와 중심을 연결하는 제 1 직선과, 상기 호형 커브드 랙(530a,530b)의 타 단부와 중심을 연결하는 제 2 직선이 이루는 각은 90도 보다 작은 예각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를 후방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50a)는, 상기 드로어(30)를 구성하는 도어(31) 배면에 승강바(55)가 관통하는 가이드 슬릿(311)을 통하여 이물질이 승강 장치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가 드로어(30)를 열었을 때, 도어(31) 배면에 형성된 가이드 슬릿(311)이 보이면, 미관상 좋지 않은 단점도 있을 뿐 아니라, 음식물을 포함한 이물질이 상기 가이드 슬릿(311)에 끼어서 승강 바(55)의 작동을 방해하는 현상이 발생할 수도 있다.
상기 승강 플레이트(34) 위에 별도의 수납 케이스(33)가 제공되는 경우는 위에서 언급한 단점들이 해소될 수 있으나, 별도의 수납 케이스(33)가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도 위에서 언급한 단점들이 해소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50a)가 제안된다.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50a)는, 이전 실시예의 승강 장치(50) 구조에 한 쌍의 회전판(59)과, 한 쌍의 회전판 홀더(60)가 더 추가되고, 상기 도어(31)의 배면에 한 쌍의 회전판 장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커브드 랙(53a,53b)에 대응하는 한 쌍의 회전판(59)이 상기 하우징(51)의 후면에 장착되고, 상기 한 쌍의 회전판(59)은 상기 도어(31)의 배면에 형성된 한 쌍의 회전판 장착홀을 차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면, 상기 도어(31)의 배면에 호 형태의 슬릿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상기 한 쌍의 회전판(59)은, 제 1 회전판(59a)과 제 2 회전판(59b)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한 쌍의 회전판 홀더도 제 1 회전판 홀더(60a)와 제 2 회전판 홀더(60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구동 모터(57), 감속 기어(58), 커버(52), 구동 기어(56), 커브드 랙(53), 스프링(54), 및 승강 바(55)의 구성은 이전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더욱 상세히, 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50a)를 구성하는 하우징(51)은, 이전 실시예의 하우징(51)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
첫째, 상기 하우징(51)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판(59)이 안착되기 위한 회전판 안착부(513)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판 안착부(513)의 단차 깊이 또는 함몰 깊이는 상기 회전판(59)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판(59) 두께의 일부분은 상기 회전판 안착부(513)에 의하여 수용되고, 나머지 일 부분은 상기 도어(31)의 배면에 의하여 수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 안착부(513)도 제 1 회전판 안착부(513a)와 제 2 회전판 안착부(513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가이드 슬릿(511a)과 상기 제 2 가이드 슬릿(511b)은 상기 제 1 회전판 안착부(513a)와 제 2 회전판 안착부(513b)의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둘째, 상기 하우징(51)의 배면 중앙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판 홀더(60a,60b)가 끼워지는 홀더 삽입홀(515)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 삽입홀도 제 1 홀더 삽입홀(515a)와 제 2 홀더 삽입홀(515b)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회전판 홀더(60a,60b) 각각은, 상기 홀더 삽입홀(51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홀더 바디(61a,61b)와, 상기 홀더 바디(61a,61b)의 후면에서 연장되는 돌기부(62a,62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부(62a,62b)는 상기 홀더 삽입홀(515)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판 홀더(60a,60b)가 상기 홀더 삽입홀(515)에 삽입되면, 상기 돌기부(62a,62b)만 상기 홀더 삽입홀(515)을 관통하고, 상기 홀더 바디(61a,61b)는 상기 하우징(51)의 배면에 밀착된다. 상기 돌기부(62a,62b)는 상기 하우징(51)의 배면 두께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판(59)은 원판부와 상기 원판부의 전면 중앙에서 연장되는 홀더 슬리브(59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판부의 가장자리에는 승강바 삽입홀(591)이 형성된다.
상기 홀더 슬리브(592a,592b)의 내경은 상기 돌기부(62a,62b)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더 작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62a,62b)가 상기 홀더 슬리브(592a,592b)에 압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돌기부(62a,62b)의 일측 가장자리가 디컷(D-cut) 가공되어, 단면이 비원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홀더 슬리브(592a,592b)의 내부도 상기 돌기부(62a,62b)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 장치(50a)가 상기 도어(31)의 배면에 장착되면, 상기 원판부가 상기 회전판 장착홀에 끼워져서, 상기 원판부의 가장자리와 상기 회전판 장착홀의 가장자리가 밀착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34)가 수직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원판부와 상기 회전판 장착홀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음식물 기타 이물질이 상기 도어(31) 내부로 유입되는 현상이 방지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끼이는 안전 사고의 위험성도 제거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원판부의 배면과 상기 도어(51)의 배면이 매끈한 단일 면을 형성하므로, 승강 플레이트(34)가 승강할 때 상기 원판부에 걸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판부의 가장자리 부위에 먼지가 쌓이는 현상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커브드 랙과, 구동 기어와, 구동 모터, 및 감속 기어로 이루어지는 결합체를 승강 모듈 또는 승강 조립체로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50)는, 단일의 하우징과 커버에 의하여 정의되는 공간 내에 복수의 승강 모듈, 구체적으로 한 쌍의 승강 모듈이 수용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각각의 승강 모듈은 각각의 하우징과 커버에 수용되는 것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커브드 랙이 승강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연결되되, 서로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편에 배치되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상세히, 상기 한 쌍의 커브드 랙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일측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경우 발생하는 승강 플레이트의 기울어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커브드 랙이 서로 반대 편에 배치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는, 독립된 하우징에 수용되는 복수의 승강 모듈들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결합되어야 할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와 승강 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커브드 랙(53a)과 제 2 커브드 랙(53b)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커브드 랙(53a)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전면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커브드 랙(53b)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후면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커브드 랙(53a)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전면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커브드 랙(53b)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후면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제 1 커브드 랙(53a)에 연결된 제 1 승강바(55a)를 지나는 선과 상기 제 2 커브드 랙(53b)에 연결된 제 2 승강바(55b)를 지나는 선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중심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네 모서리 중 상기 커브드 랙(53a,53b)이 장착되지 않은 모서리 부위에 상술한 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별도의 지지 구조가 제공되도록 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비틀림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승강 장치와 승강 플레이트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커브드 랙(53a,53b)이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양 측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대각선 방향으로 마주보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히, 상기 제 1 커브드 랙(53a)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좌측 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커브드 랙(53b)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우측 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커브드 랙(53a)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좌측 후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커브드 랙(53b)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우측 전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도 2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커브드 랙(53)이 설치되지 않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34)의 모서리 부위에는 별도의 지지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시키는 승강 장치의 구성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승강 플레이트를 승강시키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동력을 발생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서 회전하는 복수의 커브드 랙과, 상기 커브드 랙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승강바라고 할 수 있다.
그 외 감속 기어 및 구동 기어, 및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부속 장치는 승강 플레이트의 수직 이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추가적인 구성들이라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커브드 랙의 개수와 장착 위치 또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수직 이동이 더욱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위에서 설명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승강 장치 두 개가 승강 플레이트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되도록 하여, 별도의 플레이트 지지 장치가 필요없는 구조도 가능할 것이다. 또는 네 개의 승강 장치가 승강 플레이트의 네 가장자리에 각각 배치되는 구조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Claims (20)

  1. 내부에 저장 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
    상기 저장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도어와, 상기 도어의 배면에 형성되는 수납 박스를 포함하고,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드로어;
    상기 수납 박스의 내부에 놓이는 승강 플레이트; 및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다수의 지점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복수의 승강 모듈을 포함하는 승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승강 모듈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 지점에 연결되는 제 1 승강 모듈과,
    상기 제 1 지점으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 지점에 연결되는 제 2 승강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승강 모듈은,
    제 1 구동 모터와,
    상기 제 1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1 구동 기어와,
    소정 곡률로 만곡되어 상기 제 1 구동 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원형 또는 호형의 제 1 커브드 랙과,
    상기 제 1 커브드 랙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1 지점을 연결하는 제 1 승강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승강 모듈은,
    제 2 구동 모터와,
    상기 제 2 구동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 2 구동 기어와,
    소정 곡률로 만곡되어 상기 제 2 구동 기어와 기어 결합되는 원형 또는 호형의 제 2 커브드 랙과,
    상기 제 2 커브드 랙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제 2 지점을 연결하는 제 2 승강바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기어는 상기 제 1 커브드 랙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과 기어 결합되고,
    상기 제 2 구동 기어는 상기 제 2 커브드 랙의 외주면 또는 내주면과 기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 1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 1 감속 기어와,
    상기 제 2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 2 구동 모터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제 2 감속 기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구동 기어는 상기 제 1 감속 기어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상기 제 2 구동 기어는 상기 제 2 감속 기어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승강 모듈은 상기 도어 내부에서 상기 도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제 1 지점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전단부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에 정의되고,
    상기 제 2 지점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전단부 좌측과 우측 중 다른 일측에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바와 제 2 승강바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전단부 좌측 저면과 우측 저면에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수직 이동하고,
    서로 멀어지는 방향 또는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바 및 제 2 승강바의 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한 쌍의 아이들 기어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저면에 한 쌍의 기어부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아이들 기어는 상기 한 쌍의 기어부에 각각 맞물려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전면에 상기 한 쌍의 아이들 기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의 상면에는 상기 아이들 기어와 맞물리는 기어부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 모듈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전단부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승강 모듈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후단부 좌측과 우측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승강 바와 상기 제 2 승강바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좌우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승강 모듈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승강 모듈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 중 다른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제 1 승강바와 상기 제 2 승강바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전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가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수직 이동하도록,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플레이트 지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 장치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수납 박스의 바닥을 연결하는 시저 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시저 링크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좌우측 가장자리 또는 후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지지 장치는,
    상기 승강 플레이트와 상기 수납 박스를 연결하는 레일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수납 박스에 결합되는 고정 레일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에 결합되고, 상기 고정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수납 박스의 좌측면과 우측면 각각에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어셈블리는, 상기 수납 박스의 후면에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배면에는 상기 제 1 승강바 및 제 2 승강바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원호 형상의 제 1 가이드 슬릿 및 제 2 가이드 슬릿이 서로 마주보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 1 승강바가 삽입되는 승강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 1 회전판과,
    일측 가장자리에 상기 제 2 승강바가 삽입되는 승강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 2 회전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배면에는 상기 제 1 회전판 및 제 2 회전판이 끼워지는 한 쌍의 회전판 장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승강 모듈은, 단일 하우징에 수용되거나 복수의 하우징에 독립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80172529A 2018-12-28 2018-12-28 냉장고 KR1026635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29A KR102663561B1 (ko) 2018-12-28 2018-12-28 냉장고
US16/678,016 US10900708B2 (en) 2018-12-28 2019-11-08 Refrigerator
CN201911265248.XA CN111380298B (zh) 2018-12-28 2019-12-11 冰箱
AU2019283769A AU2019283769B2 (en) 2018-12-28 2019-12-16 Refrigerator
EP19217494.4A EP3674641B1 (en) 2018-12-28 2019-12-18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529A KR102663561B1 (ko) 2018-12-28 2018-12-28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2189A KR20200082189A (ko) 2020-07-08
KR102663561B1 true KR102663561B1 (ko) 2024-05-08

Family

ID=68944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2529A KR102663561B1 (ko) 2018-12-28 2018-12-28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00708B2 (ko)
EP (1) EP3674641B1 (ko)
KR (1) KR102663561B1 (ko)
CN (1) CN111380298B (ko)
AU (1) AU2019283769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50768B2 (en) 2008-10-28 2015-10-06 Honeywell International Inc. Azeotrope-like compositions comprising 1-chloro-3,3,3-trifluoropropene
KR102596480B1 (ko) * 2018-10-19 202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1076489B (zh) * 2019-03-08 2020-10-30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冰箱的抽屉的前面板组件、抽屉及冰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81393A (zh) 2008-04-02 2011-02-23 Bsh博世和西门子家用器具有限公司 具有可移除的模块的制冷装置
WO2013098257A1 (en) 2011-12-30 2013-07-04 Arc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height adjustable shelf
CN107388718A (zh) 2017-08-25 2017-11-2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抽屉组件及冰箱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4514B3 (fr) 1987-04-29 1989-06-09 Moulinex Sa Support mobile destine a etre monte dans un meuble de cuisine pour permettre le rangement et/ou l'utilisation d'un appareil electromenager
US5115822A (en) * 1991-03-20 1992-05-26 Nichols Will E Dishwasher basket assembly including lift mechanism
JPH05296647A (ja) 1992-04-14 1993-11-09 Toshiba Corp 冷蔵庫
KR100663410B1 (ko) * 2001-08-31 2007-01-02 김회수 김치냉장고의 저장물 승강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550701Y (zh) * 2002-05-30 2003-05-14 广东科龙电器股份有限公司 冰箱搁架升降装置
KR100690645B1 (ko) 2004-07-15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19732B1 (ko) * 2004-07-29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90647B1 (ko) * 2004-07-2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564412B1 (ko) 2004-11-19 2006-03-28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냉장고의 서랍 승강장치
KR101265333B1 (ko) * 2006-07-26 2013-05-2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080101334A (ko) * 2007-05-17 2008-11-2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8220887B2 (en) 2009-02-27 2012-07-17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electable presentation of dual-bin system
US9377238B2 (en) * 2013-03-14 2016-06-2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scissor-type lift mechanism
KR101720490B1 (ko) * 2014-12-31 201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7578099B (zh) * 2016-01-20 2021-06-11 中科寒武纪科技股份有限公司 计算装置和方法
WO2018088802A1 (en) 2016-11-10 2018-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ft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383586B1 (ko) * 2016-11-10 2022-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JP2018200160A (ja) 2016-11-10 2018-12-20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昇降機構、昇降ユニットを備える冷蔵庫及び洗濯機
DE102017207220A1 (de) 2017-04-28 2018-10-31 BSH Hausgeräte GmbH Darstellung von Information an einem Kühlgerät
CN107062761B (zh) 2017-06-15 2019-08-27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风道出风控制结构及风冷冰箱
CN108759281B (zh) 2018-04-10 2021-04-23 海尔智家股份有限公司 升降支撑装置及具有其的冰箱
KR102474912B1 (ko) * 2018-06-11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981393A (zh) 2008-04-02 2011-02-23 Bsh博世和西门子家用器具有限公司 具有可移除的模块的制冷装置
WO2013098257A1 (en) 2011-12-30 2013-07-04 Arcelik Anonim Sirketi A cooling device comprising a height adjustable shelf
CN107388718A (zh) 2017-08-25 2017-11-24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抽屉组件及冰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9283769A1 (en) 2020-07-16
EP3674641B1 (en) 2022-06-15
AU2019283769B2 (en) 2021-10-28
EP3674641A1 (en) 2020-07-01
KR20200082189A (ko) 2020-07-08
US10900708B2 (en) 2021-01-26
US20200208907A1 (en) 2020-07-02
CN111380298A (zh) 2020-07-07
CN111380298B (zh) 2021-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9883B1 (ko) 냉장고
US11105552B2 (en) Refrigerator
KR102663561B1 (ko) 냉장고
US11002478B2 (en) Refrigerator
US10465970B1 (en) Refrigerator
KR102519038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승강 서랍
KR102583877B1 (ko) 냉장고
US20210010744A1 (en) Refrigerator
US11435134B2 (en) Refrigerator
KR20190128421A (ko) 냉장고
KR102617684B1 (ko) 냉장고
KR102440981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 도어
KR20210027913A (ko) 냉장고
KR20200052556A (ko) 냉장고 힌지
KR20190112586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