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170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1708A
KR20210061708A KR1020190149565A KR20190149565A KR20210061708A KR 20210061708 A KR20210061708 A KR 20210061708A KR 1020190149565 A KR1020190149565 A KR 1020190149565A KR 20190149565 A KR20190149565 A KR 20190149565A KR 20210061708 A KR20210061708 A KR 202100617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igerator
lifting device
handle
hook
lower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49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1708A/ko
Priority to CN202011124238.7A priority patent/CN112824791A/zh
Priority to CN202310696861.7A priority patent/CN116518617A/zh
Priority to US17/085,705 priority patent/US11255601B2/en
Priority to EP20206199.0A priority patent/EP3825632A1/en
Priority to AU2020270472A priority patent/AU2020270472B2/en
Publication of KR20210061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708A/ko
Priority to US17/576,032 priority patent/US20220136765A1/en
Priority to AU2022279548A priority patent/AU2022279548A1/en
Priority to US18/204,804 priority patent/US2023030472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06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with platforms supported by levers for vertical movement
    • B66F7/065Scissor linkages, i.e. X-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05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using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6Safety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90Constructional details of drawers
    • A47B2088/901Drawers having a lifting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4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conveyors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가 구비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내부에는 저장실이 구비되며, 전방이 개구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는 저장실의 전방을 개폐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음식물이 수납되는 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장치의 상방 인출시 선단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승강장치가 접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풀림방지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승강장치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의 하단을 지지하는 서포트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후단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장치가 접힘상태로 외부로 인출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가 구비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에 따른 냉매의 순환을 이용하여 생성한 냉기로 다양한 식품이나 음료를 장시간 보관하도록 제공되는 가전 기기이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이나 음료와 같은 저장품의 종류에 상관없이 공용 보관이 가능한 냉장고와, 보관하고자 하는 저장품의 종류에 따라 그 크기나 기능이 서로 다른 전용 냉장고로 구분되어 제공된다.
상기 전용 냉장고에는 김치 냉장고, 와인 냉장고 등이 있다.
또한, 냉장고는 캐비넷의 내부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의 개폐 방식에 따라 회전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와 서랍식 도어를 갖는 냉장고 및 혼합 개폐식 냉장고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 개폐식 냉장고는 캐비넷의 상측에 회전식 도어가 적용됨과 더불어 하측에는 서랍식 도어가 적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서랍식 냉장고 혹은, 혼합 개폐식 냉장고에 제공되는 서랍식 도어는 사용자의 당김 조작에 의해 캐비넷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슬라이딩하면서 인출되거나, 사용자의 미는 조작에 의해 캐비넷의 내부 공간으로 수납되면서 상기 캐비넷의 개방 부위를 닫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서랍식 도어는 전면을 형성하면서 캐비넷의 내부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의 후방에 구비되면서 상기 캐비넷의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수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도어부를 당겨 수납부를 캐비넷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함으로써 해당 수납부 내에 각종 식품을 보관하거나 추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서랍식 냉장고나 혼합 개폐식 냉장고에 제공되는 서랍식 도어는 주로 캐비넷의 하부에 구비된다. 이는 서랍식 도어의 수납부에 보관하는 저장품의 무게로 인해 서랍식 도어의 인출시 캐비넷으로부터 이탈되어 전방으로 낙하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서랍식 도어가 캐비넷의 하부에 구비될 경우에는, 상기 서랍식 도어 내부에 수용된 바스켓 또는 식품을 꺼내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야 하므로, 바스켓 또는 식품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에는 바스켓 사용에 불편을 느끼거나 부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랍식 도어가 승강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가 개발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미국등록특허 US9,377,238호에는 냉장실에 구비되는 빈의 승강을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이 구비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승강을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이 빈의 외측에 배치되고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외관이 좋지 못하며, 사용자의 손가락 끼임이나 안전사고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승강을 위한 리프팅 메카니즘이 불필요한 경우에도 쉽게 분리하여 제거하기 어려우므로, 사용자의 선택이 제한적이며, 냉장고 저장실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등록특허 US9,377,238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서랍식 도어에 구비되어 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의 분리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시저스(scissors)형 링크 구조를 가지는 승강장치가 접힘 상태로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승강장치를 잡는 손잡이가 후단에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승강장치의 인출시 자동으로 풀림방지시스템이 작동하도록 하여 승강장치가 접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내부에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의 개구된 전방을 차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어 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승강장치는 접힘 상태로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는 저장실에 수용되는 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가 구비되며, 상기 승강장치는 풀림방지시스템에 의해 상방으로의 외부 인출시 접힘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서, 저장실에 수용되는 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는 외부 인출시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에 의해 자동으로 잠금장치가 체결되어 접힘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서는, 저장실에 수용되는 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의 후단부에 손잡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승강장치를 파지하여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자동으로 승강장치가 선단을 축으로 회전하여 잠금장치에 의해 접힘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서는, 저장실에 수용되는 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파지하는 손잡이는 서포트플레이트의 후단에 구비되어, 승강장치의 외부 인출시에는 승강장치가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상방으로 인출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서는, 저장실에 수용되는 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파지하는 손잡이는 승강장치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는 손가락이 들어가는 함몰된 형상을 가지거나 손가락이 관통 가능한 홀(hole)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서는, 저장실에 수용되는 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를 파지하는 손잡이는 승강장치의 후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손잡이는 승강장치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구조물로 이루어져 승강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는, 내부에는 저장실이 구비되며, 전방이 개구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는 저장실의 전방을 개폐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음식물이 수납되는 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장치의 상방 인출시 선단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승강장치가 접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풀림방지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승강장치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의 하단을 지지하는 서포트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후단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는, 테두리는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고, 테두리 내부가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하단이 안착되기 용이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테두리는, 선단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전면테두리와, 상면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테두리와, 상면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후면테두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후면테두리에 하나 이상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후면테두리의 좌우 양단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는, 상기 후면테두리의 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함몰된 홈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의 하측에는, 손잡이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손잡이홀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폐판에 의해 차폐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폐판은,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면테두리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볼트체결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볼트체결부는 상기 후면테두리에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체결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손잡이의 상하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폐판은, 상기 손잡이홀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손잡이홀의 면적보다 더 큰 크기로 이루어져, 손잡이홀의 저면에 밀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강장치는, 상측에 구비되는 어퍼프레임과, 상기 어퍼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는 로어프레임과, 상기 어퍼프레임과 로어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쌍의 시저스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로어프레임에 구비되는 로어구속수단과, 상기 어퍼프레임에 구비되는 어퍼구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구속수단은, 상기 로어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되는 구속장치케이스와, 상기 구속장치케이스의 내측에서 이동되는 로어후크와, 상기 로어후크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힘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어후크는, 상하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로어후크본체와, 상기 로어후크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로어후크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단과, 상기 로어후크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돌출된 로어후크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속장치케이스의 상면에는 전후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후크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로어후크본체는 상기 후크홀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크홀의 전후 길이는, 후크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로어후크본체의 전후 두께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로어후크본체가 상기 후크홀에 수용된 상태로 전후로 일정 구간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단은, 상기 로어후크본체의 하단으로부터 전후로 수직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속장치케이스의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하며; 상기 힘부재는, 상기 구속장치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으로 상기 로어후크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기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서는, 내부의 저장실에 용기를 상하로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승강장치는 풀림방지시스템에 의해 외부 인출시에는 접힘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장치의 외부 인출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즉, 승강장치가 펼침상태에서 외부 인출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비해 접힘 상태에서 인출되므로 인출 작업이 간단하고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승강장치의 후단부 즉, 서포트플레이트의 후면테두리에 하나 이상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승강장치를 손으로 잡고 위로 들어올리면 자동으로 잠금장치가 작동하여 승강장치가 접힘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별도의 조치 없이도 승강장치가 접힘상태로 외부로 인출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승강장치가 냉장고의 수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승강장치의 잠금상태가 해제되고 시저스측연결부는 수납부의 연결홀에 수용되어 있다가, 승강장치의 후단이 들어올려지면 자동으로 잠금장치에 의해 승강장치의 풀림이 방지되는 한편 선단부의 시저스측연결부는 자연스럽게 수납부의 연결홀에서 이탈되므로 승강장치의 분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손잡이를 승강장치의 후단에만 형성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수납부의 승강장치를 위로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후단부의 손잡이를 잡아야만 가능하다. 따라서, 승강장치의 선단부나 중앙부를 잡아 들어올리는 경우에 발생가능한 승강장치의 펼침이 미연에 방지되므로 안전사고나 사용의 편리성이 향상된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리라, 본 발명에서는 승강장치의 접힘을 유지하는 잠금장치가 수납부에 놓여진 상태에서는 수납부의 이탈돌기에 의해 자동으로 해제되어 승강장치의 승하강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다가 승강장치의 후단 손잡이를 들어올리면 승강장치가 접혀진 상태에서 잠금장치가 체결되므로 승강장치의 풀림이 방지된다. 따라서, 간이한 구조변경에 의해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에 의해 용기가 상승한 상태를 보인 냉장고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하부서랍도어가 전방으로 인출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에 의해 용기가 상승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도어의 수납부에 구비되는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의 구성을 보인 우측면도.
도 9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에서 서포트플레이트가 탈거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의 구성을 보인 우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의 어퍼프레임이 하강함에 따라 어퍼구속수단과 로어구속수단이 자동으로 체결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구성을 보인 후방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구동장치와 승강장치의 구성을 보인 전방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장치가 접혀진 상태의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장치가 수납부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장치가 수납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는 상태를 보인 부분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서포트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서포트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서포트플레이트의 다른 실시예에 구비되는 차폐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차폐판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하부사시도.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차폐판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하부 분해사시도.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차폐판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 승강장치의 풀림방지시스템이 구비된 냉장고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승강장치에 의해 용기가 상승한 상태를 보인 냉장고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1)는 전체적으로는 육면체와 같이 소정의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내부에는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냉장고(1)의 외관은, 내부에 저장실이 형성되는 공간이 구비되며 일면(전방)이 개구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의 개구된 일면(전방)을 차폐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20) 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냉장고(1)의 내부에는 내부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미도시) 등이 더 구비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냉장고(1)의 캐비닛(10)은 전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이러한 캐비닛(10)의 전방으로 도어(20)가 차폐한다.
상기 캐비닛(10)의 내부는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캐비닛(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저장실 공간은 하나 이상의 내부벽체(30) 등으로 구분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수평으로 이루어지는 내부벽체(30)에 의해 상하의 공간으로 나누어지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캐비닛(10)은 상기 내부벽체(30)를 기준으로 상측에는 상부공간(32)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하부공간(34)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공간(32)은 냉장실로 사용되고, 하부공간(34)은 냉동실로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상부공간(32)과 하부공간(34)의 역할이 바뀌거나, 모두 냉장실로 사용될 수도 있으며, 모두 냉동실로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처럼, 상기 상부공간(32)과 하부공간(34)은 필요에 따라 냉동실이나 냉장실로 설계되거나 사용될 수 있으며, 다른 용도의 공간으로 설계되거나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도어(20)는 회전 타입으로 구비되거나 전후로 인출입하는 서랍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공간(32)에는 회전도어(22)가 구비되고, 상기 하부공간(34)에는 서랍도어(24,26)가 구비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공간(34)에는 2개의 내부공간이 각각 상하로 분리 형성되어 2개의 서랍도어(24,26)가 상하로 각각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서랍도어(24,26)는, 상대적으로 상측의 공간을 차폐하는 상부서랍도어(24)와, 하측의 공간을 차폐하는 하부서랍도어(26)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도어(20) 구성은 상기 캐비닛(10)의 내부 공간에 따라 그 수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모두 회전도어(22)로 구성되거나 모두 서랍도어(24,26)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서랍도어(24,26)는 인출장치(100)에 의해 자동으로 전방으로 인출되거나 후방으로 인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서랍도어(24,26)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승강장치(200)가 더 설치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용기(40)를 자동으로 상측으로 승강시키거나 하측으로 하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서랍도어(24,26) 중 일부 또는 모두가 자동으로 전후로 이동하거나 상하로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상부서랍도어(24)와 하부서랍도어(26)가 모두 자동으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상부서랍도어(24)는 수동으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서랍도어(26)는 전후로 자동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서랍도어(24)는 수동으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부서랍도어(26)만 인출장치(100)에 의해 전후로 자동으로 이동하며, 아래에서 설명할 승강장치(200)에 의해서는 상하로 용기(40) 이동을 자동으로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인출장치(100)는, 랙피니언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서랍도어(24,26)를 전후(도 2에서는 좌우)로 이동하도록 강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하부서랍도어(26)의 저면에는 랙(110)이 구비되고, 상기 냉장고(1)의 바닥면 내부에는 상기 랙(110)과 기어결합으로 맞물리는 피니언(12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의 바닥면에는 모터(130)가 더 구비되어, 상기 피니언(120)에 회전 동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130)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면, 이러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피니언(120)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랙(110)이 결합된 하부서랍도어(26)가 전후(도 2에서는 좌우)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랙(110)은 이중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하부서랍도어(26)가 충분히 외부로 개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둘 이상의 랙이 구비된 이중랙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1)에는 상기 하부서랍도어(26)가 자동으로 열리거나 닫히도록 제어하기 위한 누름버튼(50)이 구비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50)는 냉장고(1)의 회전도어(22) 하단 전면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누름 동작에 의해 상기 하부서랍도어(26)를 열거나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누름버튼(50)이 상기 하부서랍도어(26)의 전면에 구비되거나, 냉장고(1)의 전면 또는 측면과 같이 다양한 부분에 설치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서랍도어(24,26)는 내부에 수용공간이나 용기(40) 등이 수용되는 수납부(27)와, 상기 수납부(27)의 전방(도 2에서는 우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부(28)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의 하단 후측에는 기계실(60)이 구비된다. 상기 기계실(60)에는 냉동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와 응축기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상기 서랍도어(24,26) 중 하부서랍도어(26)가 전방(도 3에서는 좌측)으로 완전히 개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3에는 상기 하부서랍도어(26)가 전방으로 완전히 개방되고 아직 승강장치(200)는 작동되지 않은 상태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상기 하부서랍도어(26)가 전방으로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승강장치(200)에 의해 용기(40)가 상승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버튼(50) 등을 이용한 인출 제어에 의해 상기 하부서랍도어(26)는 전방(도 3 및 도 4에서는 좌측방)으로 인출되고, 이때의 하부서랍도어(26) 인출은 상기 인출장치(100)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상기 하부서랍도어(26)는 사용자의 수동 동작에 의해 개방되거나 닫히는 구성이 아니라, 상기 누름버튼(50)을 누르는 사용자의 동작에 의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누름버튼(50)을 누르게 되면, 상기 모터(130)에서 회전력을 생성하게 되고, 이러한 회전력에 의해 상기 피니언(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와 같이 상기 피니언(12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피니언(120)에 기어결합하고 있는 랙(110)이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이러한 랙(110)이 고정된 상기 하부서랍도어(26)는 전체적으로 좌측으로 이동하여 개방된다.
상기 하부서랍도어(26)가 좌측으로 개방되는 거리는, 상기 수납부(27)에 수용된 용기(40)가 완전히 냉장고(1)의 전면으로부터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용기(40)를 꺼내거나 용기(40)속의 음식물을 인출 또는 저장 가능하도록 상기 하부서랍도어(26)가 충분히 개방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용기(40)의 하측에 있는 승강장치(200)에 의해 용기(40)가 상측으로 상승할 수 있는데, 이 때에도 상기 용기(40)가 냉장고(1)의 전면 즉, 상기 상부서랍도어(24)의 전면 하단에 부딪히지 않도록 충분히 개방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서랍도어(26)가 충분히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하기 의하여, 상기 피니언(120)과 랙(110) 구조는 2 이상이 쌍으로 이루어져 이중랙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하부서랍도어(26)가 충분히 개방되었는지의 여부는 인출입감지수단(150)에 의해 판단된다.
상기 인출입감지수단(150)은 상기 하부서랍도어(26)가 외부(도 3에서는 좌측)으로 충분히 개방된 상태를 감지하는 것으로, 영구자석(152,154)과 감지센서(156)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구자석(152,154)은 상기 하부서랍도어(26)의 저면 좌측단(선단)과 우측단(후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156)는 상기 냉장고(1)의 바닥면 선단부에 고정 설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152,154)은 상기 하부서랍도어(26)의 저면 좌측단(선단)에 형성되는 선단자석(152)과, 상기 하부서랍도어(26)의 우측단(후단)에 구비되는 후단자석(154)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선단자석(152)이 상기 감지센서(156)에 근접하면 상기 하부서랍도어(26)가 닫힌 것으로 인식되며, 상기 후단자석(154)이 상기 감지센서(156)에 근접하면 상기 하부서랍도어(26)가 열린 것으로 인식된다.
상기 감지센서(156)로는 홀센서나 리드스위치 등 다양한 센서가 사용 가능할 것이다.
상기 인출입감지수단(150)의 구성이 설치되는 위치는 서로 반대가 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영구자석(152,154)이 상기 냉장고(1)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센서(156)가 상기 하부서랍도어(26)에 설치되는 구성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수납부(27)의 내부 공간에는 상방이 개구된 사각통 형상의 용기(40)가 수용되고, 이러한 용기(40)는 승강장치(200)에 의해 상승하거나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200)는 상기 용기(4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용기(40)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수납부(27)의 내부공간 후측(도 3 및 도 4에서는 우측)은 내부커버(300)에 의해 감싸여진다.
상기 내부커버(3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형상의 단면을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납부(27)의 내부공간에 상기 용기(40)와 대응되는 크기를 제외한 나머지 후단부 공간을 차폐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내부커버(300)에 의해 상기 수납부(27)의 후단부 공간이 차폐되면, 사용자에게 깔끔한 이미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손이 들어와 끼이는 등의 안전사고도 예방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상기 하부서랍도어(26)의 인출이 완료되면, 다음으로는 상기 승강장치(200)가 작동하여 상기 용기(40)가 상승하게 된다. 즉, 상기 용기(40)의 하측에 위치된 승강장치(200)가 작동하여 상기 용기(40)가 수납부(27) 상측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도 4에는 이와 같이 상기 용기(40)가 승강장치(200)에 의해 완전히 상측으로 상승한 상태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하부서랍도어(26)의 도어부(28)에는 구동장치(400)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장치(200)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승강장치(200)는 상면과 하면의 거리가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상하의 높이가 변경됨에 의해 상측의 용기(40)를 상하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러한 승강장치(200)의 작동을 상기 구동장치(400)가 제어하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200)는, 상단과 하단이 접히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부피가 최소화되어 상기 수납부(27)에 수용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승강장치(200)는 접힘시 높이를 최소화하면서도 펼침시 높이는 최대화할 수 있는 시저스(scissors)형 링크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서랍도어(26)가 완전히 인출되고, 상기 승강장치(200)도 완전히 하강되어 접힘 상태인 것이 확인되면, 상기 구동장치(400)가 작동하여 상기 승강장치(200)가 펼쳐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부(28)나 구동장치(400) 또는 근방에는 별도의 승강감지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승강장치(200)가 접혀지거나 펼쳐진 상태를 감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용기(40)의 상승 또는 하강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승강장치(200)의 접힘이나 펼침 상태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5에는 상기 수납부(27)에 구비되는 구성들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부(27)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저장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져 외형을 형성하며, 이러한 수납부(27)의 내측에는 상기 용기(40) 또는 식품을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장치(2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부(27)에는 수납부(27)의 내부 후단부를 차폐하는 내부커버(300)가 더 구비되어, 수납부(27)의 내부 공간을 구획한다.
상기 수납부(27)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27)의 전체적인 형상을 형성한다. 상기 수납부(27)는 상면이 개구된 바스켓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식품의 수납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납부(27)의 후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냉장고(1)의 하단 후측에 구비되는 기계실(60)과의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납부(27) 외측의 좌우 양측면에는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27a)가 더 구비된다. 상기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27a)는 상기 수납부(27)의 좌우 양측면에 장착되어 양측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27a)는 상기 서랍본체(38)의 양측에 장착되는 도어 프레임(미도시) 및 상기 인출장치(100)를 구성하는 랙(110) 등의 구성부품들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수납부(27)의 내부를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으로 구획하는 내부커버(30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커버(300)는 상기 수납부(27)의 내부 공간 중 후측의 공간을 차폐하여, 전방의 내부 공간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즉, 상기 수납부(27)의 내부는 상기 승강장치(200)가 배치되는 전방 공간만이 외부로 노출되며, 후방공간은 상기 내부커버(30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내부커버(300)는 상기 아우터 사이드 플레이트(27a) 등과 같이 금속 소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사용자가 상기 하부서랍도어(26)를 인출할 때 보이는 부분이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깔끔한 금속 질감을 느끼게 하여 미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견고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수납부(27)의 전면과 측면 등도 금속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납부(27)의 각 부분이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면, 상기 수납부(27) 내측의 수납 공간은 전체적으로 금속 질감을 가질 수 있으며, 내부에 수납된 식품이 전체적으로 보다 고른 영역에서 차갑게 저장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도 우수한 미감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수납부(27)의 내부에는 승강장치(200)가 안착된다.
상기 승강장치(200)는 아래에서 설명할 구동장치(400)와 연결되어 상하 승강 가능하게 되는 구조를 가지며, 좌우 양측이 균일하게 승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장치(200)와 구동장치(400)의 결합을 위해서, 상기 수납부(27)의 전면 하부 양측단에는 연결홀(27b)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연결홀(27b)은 상기 승강장치(200)의 선단에 형성되는 시저스측연결부(250)가 삽입되어 수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연결홀(27b)은, 상기 시저스측연결부(250)의 반경 크기와 같거나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6 내지 도 10에는 상기 승강장치(200)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6에는 상기 승강장치(200)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및 도 8에는 상기 승강장치(200)의 정면도와 우측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9에는 상기 승강장치(200)의 서포트플레이트(210)가 탈거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상기 승강장치(200)의 우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1에는 상기 승강장치(200)의 어퍼프레임(220)이 하강함에 따라 어퍼구속수단(510)과 로어구속수단(520)이 자동으로 체결되는 상태를 보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200)는 시저스 타입으로 구성되어 하강된 상태에서는 접혀진 상태가 되고, 상승된 상태에서는 펼쳐지게 되어 상면에 안착되는 상기 용기(40) 또는 식품이 승강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장치(200)에는 서포트플레이트(21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200)의 상단에는 상측에 놓여지는 용기(40)의 안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서포트플레이트(21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는, 상기 승강장치(2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것으로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미감을 형성할 수 있도록 스테인리스 재질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가 함몰되어 용기(40)의 안착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장치(200)는 상기 수납부(27)의 내측면 바닥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부(27)의 내측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장치(200)는, 상측에 구비되는 어퍼프레임(220)과, 상기 어퍼프레임(220)의 하측에 구비되는 로어프레임(230) 및 상기 어퍼프레임(220)과 로어프레임(230)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쌍의 시저스어셈블리(24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어퍼프레임(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틀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어퍼프레임(220)의 상면에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가 안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어퍼프레임(220)은 상기 승강장치(200) 중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으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와 함께 실질적으로 식품 또는 용기(40)를 지지한다.
상기 어퍼프레임(220)은 금속 소재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테두리가 하방으로 부분적으로 절곡되어 상기 로어프레임(230)과 함께 상기 시저스어셈블리(240)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어프레임(230)은 상기 어퍼프레임(220)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27)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그리고, 이러한 로어프레임(230)은 상기 어퍼프레임(22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어프레임(230)도 상기 어퍼프레임(220)과 같이 금속 소재의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둘레가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어퍼프레임(220)과 함께 상기 시저스어셈블리(240)의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장치(200)는 상기 시저스어셈블리(240)에 의해 상하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200)를 접혀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잠금장치(500)가 필요하다.
상기 잠금장치(500)는 상기 로어프레임(230)과 어퍼프레임(220)이 서로 근접하도록 하여 승강장치(200)가 상하로 접혀져서 상하 길이가 최소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잠금장치(500)는, 상기 어퍼프레임(220)에 구비되는 어퍼구속수단(510)과, 상기 로어프레임(230)에 구비되는 로어구속수단(520)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로어프레임부(831)의 중앙에는 로어구속수단(520)이 구비된다. 상기 로어구속수단(520)는 상기 승강장치(200)를 분리할 때 상기 어퍼프레임(220)과 로어프레임(230)이 임의로 분리되지 않고, 서로 구속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시저스어셈블리(240)가 펼쳐지지 않고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로어구속수단(520)는, 상기 로어프레임(230)의 중앙에 고정되는 구속장치케이스(522)와, 상기 구속장치케이스(522)의 내측에서 이동되는 로어후크(530)와, 상기 로어후크(53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힘부재(524)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로어프레임(230)의 상면 중앙 부분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로어구속수단(5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속장치케이스(5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도 10에서는 좌우)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구속장치케이스(522)의 내부에는 소정 크기의 부피를 가지는 후크공간(526)이 형성된다.
상기 로어후크(530)는, 상하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로어후크본체(532)와, 상기 로어후크본체(532)의 하단에 형성되어 로어후크본체(532)를 지지하는 지지단(534)과, 상기 로어후크본체(532)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돌출된 로어후크단(53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어후크본체(532)는 상하로 소정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구속장치케이스(522)의 상면에 형성된 후크홀(532a)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구속장치케이스(522)의 상면에는 전후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후크홀(532a)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후크홀(532a)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상기 로어후크본체(532)가 설치된다.
상기 로어후크본체(532)는 내부가 중공되고, 하방이 개구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로어후크본체(532)의 내부는 중공되고 하방은 개구되어 돌기홈(532b)을 형성한다. 이러한 돌기홈(532b)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이격돌기(27a)가 수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로어후크본체(532)는 상단으로 갈수록 점차 전후의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며, 더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후면(도 10에서는 우측면)은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후측에 위치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후크홀(532a)의 전후 길이는, 후크홀(532a)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로어후크본체(532)의 전후 두께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후크본체(532)가 상기 후크홀(532a)에 수용된 상태로 전후로 일정 구간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지지단(5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어후크본체(532)의 하단으로부터 전후(도 10에서는 좌우)로 수직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속장치케이스(522)의 내부에서 전후(도 10에서는 좌우)로 이동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단(534)은, 상기 구속장치케이스(522)의 내부에서 간섭이 일어나지 않고 전후(도 10에서는 좌우)로 충분이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즉, 상기 지지단(534)의 좌우 폭은, 상기 구속장치케이스(522) 내부의 좌우 폭보다 적어도 0.5mm 이상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어후크단(536)은 상기 로어후크본체(532)의 상단으로부터 전방(도 10에서는 좌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일정 부분 돌출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어퍼구속수단(51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로어후크단(536)은 저면은 수평으로 형성되고, 전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어후크단(536)의 전면은,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힘부재(524)는 상기 구속장치케이스(52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어후크(530)를 전방(도 10에서는 좌측)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힘부재(524)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로어후크(530)를 인장 탄성으로 전방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상기 힘부재(524)는 선단은 상기 구속장치케이스(522)의 내측 전면에 연결되고, 후단은 상기 지지단(534)의 선단에 연결된다.
물론, 상기 힘부재(524)는 상기 로어후크(530)를 탄성에 의해 전방으로 밀거나 당기는 기능을 가지는 한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힘부재(524)가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단(534)의 후측에 설치되어 상기 로어후크(530)를 전방으로 탄성력으로 밀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어퍼프레임(220)의 저면 중앙부분에는 어퍼구속수단(510)이 구비된다.
상기 어퍼구속수단(5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프레임(220)의 저면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상기 로어후크(53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서로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어퍼구속수단(510)은 상기 로어후크(530)와 대칭되는 형상으로 성형되는데, 몸체가 되는 어퍼후크본체(512)와, 상기 어퍼후크본체(512)의 하단으로부터 후측(도 10에서는 우측)으로 수직 절곡된 어퍼후크단(514) 등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어퍼구속수단(510)의 어퍼후크단(514)이 상기 상기 로어후크(530)의 로어후크단(536)과 결합되면(도 10 참조), 상기 승강장치(200)가 접힘 상태가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어퍼후크단(514)은 상면은 수평으로 형성되고, 후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후크단(514)의 후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이가 높아지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로어후크단(536)의 전면과 상기 어퍼후크단(514)의 후면이 서로 평행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어후크단(536)와 어퍼후크단(514)의 저면은 수평으로 이루어지면, 상기 로어후크단(536)과 상기 어퍼후크단(514)의 체결은 쉬워지고, 체결이 풀림은 어려워진다.
즉, 도 10과 같이 상기 로어후크단(536)와 어퍼후크단(514)이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는 서로 수평면이 접하고 있으므로, 상하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로어후크단(536)와 어퍼후크단(514)의 체결이 유지된다.
반면,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200)의 어퍼프레임(220)이 하강하면, 상기 어퍼구속수단(510)과 로어구속수단(520)은 서로 자동으로 체결된다. 즉, 상기 힘부재(524)가 상기 로어후크(530)를 전방(도 11에서는 좌측)으로 스프링 탄성으로 당기고 있으므로, 상기 어퍼후크단(514)이 점차 하측으로 내려와 상기 로어후크단(536)과 접하게 되면, 상기 어퍼후크단(514)과 어퍼후크단(514)의 전면(경사면)이 서로 접하게 되므로 상기 로어후크단(536)이 후측(도 11에서는 우측)으로 밀려나면서 자동 체결되어 도 10과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힘부재(524)는 상기 구속장치케이스(522)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로어후크(530)를 전방(도 10에서는 좌측)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힘부재(524)는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상기 로어후크(530)를 인장 탄성으로 전방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승강장치(200)는 펼침과 접힘이 자유롭게 이루어져야 하는 반면, 상기 승강장치(200)가 상부로 분리되는 경우에는 접힘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즉, 상기 승강장치(200)의 상측에 용기(40)가 안착되어 용기(40)를 승하강시키는 경우에는 펼쳐져야 하지만, 상기 승강장치(200)가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외부로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접힘 상태로 상방으로 분리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200)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분리되는 경우에는, 승강장치(200)의 선단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승강장치(200)가 접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풀림방지시스템이 더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풀림방지시스템은, 상기 승강장치(200)가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500)와, 아래에서 설명할 손잡이(215)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잠금장치(500) 외에도 상기 승강장치(200)가 선단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승강장치(200)의 후단부에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215)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승강장치(200)의 후단부에 구비된 손잡이(215)를 손으로 잡고 들어올리면, 상기 승강장치(200)는 자연적으로 선단을 축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로어구속수단(520)이 아래에서 설명할 이격돌기(27a)를 벗어나 상기 잠금장치(500)에 의해 승강장치(200)가 접힘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어퍼프레임(220)과 로어프레임(230)의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 양측에는 각각 시저스어셈블리(240)가 구비된다.
상기 시저스어셈블리(240)는 상기 어퍼프레임(220) 및 로어프레임(230)에 각각 축결합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시저스어셈블리(240)의 동작에 따라서 상기 어퍼프레임(220)이 승강될 수 있다.
좌우로 구비되는 한쌍의 상기 시저스어셈블리(240)는 장착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와 형상은 완전히 동일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X'형상을 가지는 시저스어셈블리(240)가 좌우에서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 상기 어퍼프레임(220)과 로어프레임(230) 사이의 거리가 줄어들거나 늘어나게 된다.
상기 시저스어셈블리(240)는 판상의 플레이트유닛(242)과, 상기 플레이트유닛(242)과 교차되도록 축결합되는 로드유닛(24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플레이트유닛(242)은 상기 로어프레임(2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플레이트유닛(242)은 상기 로어프레임(230)의 좌우 측단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어퍼프레임(220)에는 상기 로드유닛(244)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상기 로드유닛(244)이 상기 어퍼프레임(220)의 양 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레이트유닛(242)은 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알루미늄 합금 소재로 형성되어 강도가 높고 가볍게 성형될 수 있고, 다이캐스팅 등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플레이트유닛(242)의 하단에는 시저스측연결부(250)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즉, 상기 플레이트유닛(242)의 선단에는 전방으로 더 돌출된 시저스측연결부(25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로드유닛(244)은 상기 플레이트유닛(242)을 교차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로드유닛(244)은 상기 플레이트유닛(242)은 서로 교차하여 'X'자 형상(전방에서 볼 경우)을 가지도록 펼쳐지는데, 서로 교차되는 중앙 부분에는 교차축(246)이 형성되어 로드유닛(244)은 상기 플레이트유닛(242)이 회전 가능하게 교차되도록 한다.
상기 로드유닛(244)과 상기 플레이트유닛(242)의 일단은 상기 어퍼프레임(220)과 로어프레임(230)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슬라이딩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플레이트유닛(242)의 하단(도 6에서)은 상기 로어프레임(23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단은 상기 어퍼프레임(220)의 저면에 슬라이딩 유동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프레임(220)의 저면에는 상기 플레이트유닛(242)의 상단이 접하여 슬라이딩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상측유동가이드(252)가 좌우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유닛(242)의 상단에는 상기 상측유동가이드(252)을 따라 회전 운동하는 롤러(roller)가 더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드유닛(244)의 상단(도 6에서)은 상기 어퍼프레임(220)의 양 측단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로드유닛(244)의 하단은 상기 로어프레임(230)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로어프레임(230)의 상면에는 상기 로드유닛(244)의 하단이 접하여 슬라이딩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하측유동가이드(254)가 좌우로 일정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로드유닛(244)의 하단에는 상기 하측유동가이드(254)를 따라 회전 운동하는 롤러(roller)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로어프레임(230)의 후단(도 8 및 도 10에서는 우측단)에는 후측으로 연장형성된 후크 형상이 후단걸이(260)가 더 형성되며,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의 후단에는 손끼임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편(270)이 후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후단걸이(260)는 상기 내부커버(300)의 하단에 걸어지며, 상기 차단편(270)은 상기 승강장치(200)와 상기 내부커버(30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의 좌우 양단 테두리의 후단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손잡이(215)가 각각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12에는 상기 구동장치(40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13와 도 14에는 상기 구동장치(400)와 승강장치(200)가 연결된 상태의 후방사시도 및 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장치(400)는, 상기 도어부(31)의 내측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며, 후측에 구비되는 상기 승강장치(200)에 연결되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400)의 동력은 상기 승강장치(200)에 전달된다.
상기 구동장치(400)는 상기 승강장치(200)의 좌우 양측에 동시에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승강장치(200)가 한쪽으로 기울어지거나 치우치지 않고, 좌우 양측이 수평한 상태로 승강 및 하강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장치(400)는, 모터어셈블리(410)와, 상기 모터어셈블리(410)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스크류유닛(420)과, 상기 각 스크류유닛(420)에 연결되는 한 쌍의 레버(430) 등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유닛(420)은 스크류(422)와, 상기 스크류(422)에 의해 관통되어 상기 스크류유닛(420)을 따라 승강되는 스크류홀더(424)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레버(430)의 좌우 양측 끝단에는 레버측연결부(432)가 형성되며, 상기 레버측연결부(432)는 상기 도어부(31)의 배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레버측연결부(432)는 상기 시저스측연결부(250)와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레버(430)의 내측 끝단에는 홀더체결부재(440)가 체결되는 레버홀(43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버홀(434)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홀더체결부재(440)의 이동을 안내하며, 동시에 상기 홀더체결부재(440)가 상기 스크류홀더(424)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422)의 회전시 승강되는 스크류홀더(424)에 의해 상기 레버(430)는 회전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410)는 상기 도어부(31)의 중앙부에 위치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410)의 내부에는 구동모터(412)가 구비되며, 이러한 구동모터(412)를 포함하는 모터어셈블리(410)의 구동에 의해 양측의 스크류유닛(420) 및 레버(430)의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모터어셈블리(410)는 다수의 기어 조합을 통해 감속및 전달되는 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어셈블리(410)는 상기 도어부(31)에 장착될 때 함몰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구동모터(412)와 기어들이 상하로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특히 상기 모터어셈블리(410)의 두께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좌우측방향 폭을 넓게 하고 전후 방향 두께를 최소화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모터어셈블리(410)를 구성하는 상기 구동모터(412)는 상기 수납부(27) 측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부(31)의 함몰 깊이를 최소화하여 단열 성능을 보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모터(412)는 상기 승강장치(20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정역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200)의 승강 신호가 입력되면 정역회전되어 상기 승강장치(200)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412)의 부하 또는 센서의 감지에 의한 정지신호의 입력시 정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어셈블리(410)는, 상기 구동모터(412)와, 상기 구동모터(412)가 설치되는 모터케이스(414)와, 상기 모터케이스(414)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모터(412)를 커버하는 모터커버(416) 등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모터(412)의 회전 축은 상기 모터케이스(414)에서 상기 모터커버(416)의 반대편을 향하여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어셈블리(410)는 상기 구동모터(412)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케이스(414)를 기준으로 상기 구동모터(412)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다수의 기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모터(412)의 반대편(전방)에서 장착되는 커버부재(450)에 의해 감싸여진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모터케이스(414)를 관통한 상기 구동모터(412)의 축에 연결되는 구동기어(452)와, 상기 구동기어(452)의 하측에서 상기 구동기어(452)와 맞물리는 제1전달기어(454)와, 상기 제1전달기어(454)와 맞물리는 제2전달기어(456)와, 상기 제2전달기어(456)와 맞물리는 제3전달기어(458)와, 상기 제3전달기어(458)에 맞물리는 한 쌍의 교차기어(460)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전달기어(454)와 맞물리는 제2전달기어(456) 등은 다단 기어로 이루어져 상하의 기어와 서로 맞물리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교차기어(460)는 평기어와 헬리컬기어들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즉, 평기어 형태로 이루어진 상기 교차기어(460)의 후방에는 제1헬리컬기어(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고, 이러한 제1헬리컬기어는 측방의 제2헬리컬기어부(462)와 맞물린다.
상기 제2헬리컬기어부(462)의 회전 중심선은 상기 교차기어(460)의 회전 중심선과 교차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헬리컬 기어부(미도시)와 제2헬리컬기어부(462)는 서로 교차 상태로 결합되며, 서로 맞물려 회전이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교차기어(460)의 회전 중심선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헬리컬기어부(462)의 회전 중심선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리고, 좌우 양측에 배치되는 상기 제2헬리컬기어부(462)의 회전 중심선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으로 갈수록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스크류유닛(420)은 상기 모터어셈블리(41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스크류유닛(420)은 상기 도어부(31) 내측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스크류유닛(420)은 그 장착 위치에만 차이가 있을 뿐 그 구조와 형상은 동일하다.
상기 스크류유닛(420)의 하측부에서 상기 구동모터(412)의 동력이 전달된다. 양측의 스크류유닛(420)는 상기 모터어셈블리(410)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양측에 위치된 상기 스크류유닛(420)들의 사이에 상기 모터어셈블리(41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양측에 배치된 상기 스크류유닛(420)은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사이의 거리가 점점 더 가까워지도록 배치된다.
상기 스크류유닛(420)은, 상기 구동모터(412)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스크류유닛(420)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스크류유닛(4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단은 외측을 향하고 하단은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상기 스크류유닛(420)는, 상기 제2헬리컬기어부(462)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유닛(420)는, 상기 제2헬리컬기어부(462)의 회전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유닛(420)은, 상기 스크류유닛(420)가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스크류홀더(424)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스크류홀더(424)는 상기 스크류유닛(420)의 회전 시 상기 스크류유닛(420)를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홀더(424)에는 상기 레버(43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스크류홀더(424)의 이동 시 상기 레버(430)는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스크류(422)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홀더(424)는 상기 스크류(422)를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류홀더(424)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석은 상기 스크류홀더(424)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스크류홀더(424)가 상기 스크류(422)의 가장 하단 또는 상단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승강감지장치(미도시)가 이를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스크류홀더(424)에 장착된 상기 자석의 감지 여부로 상기 승강 장치의 상승 완료 및 하강 완료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레버(430)는 상기 스크류홀더(424)와 상기 승강장치(200)를 연결하는 것으로, 양단은 각각 스크류홀더(424)와 상기 승강장치(200)에 결합된다.
상기 스크류유닛(420)은, 스크류유닛(420)를 수용하는 하우징(42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426)은, 상기 스크류유닛(42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스크류유닛(420) 및 스크류홀더(424)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426)은 판상의 금속소재로 절곡되어 형성되거나 플라스틱소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426)에는 상기 스크류홀더(424)의 상승을 가이드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428)가 구비된다. 상기 하나 이상의 가이드바(428)는 상기 스크류유닛(420)와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류유닛(420)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스크류홀더(424)가 상기 스크류유닛(420)를 중심으로 좌우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복수의 가이드바(428)가 상기 하우징(426)에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가이드바(428) 사이에 상기 스크류(422)가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모터케이스(414)와 한 쌍의 하우징(426)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의 커버부재(450)가 상기 모터케이스(414) 및 상기 한 쌍의 하우징(426)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부재(450)는 상기 모터케이스(414)와 체결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를 커버하고, 상기 한 쌍의 하우징(426)과 체결되어, 상기 스크류(422), 가이드바(428), 스크류홀더(424)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400)는 하나의 모듈 형태로 존재하므로, 상기 구동장치(400)가 컴팩트해져 상기 구동장치(400)를 상기 도어부(31)에 쉽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5에는 상기 승강장치(200)의 접혀진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200)의 상면 외관을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가 형성한다.
그리고, 이러한 서포트플레이트(210)는 전체적으로는 사각 형상의 평판 형상을 가지며, 테두리는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의 상면은 전체적으로는 테두리 내부가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40)의 하단이 안착되기 용이하게 된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의 테두리는 선단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전면테두리(212)와, 좌우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면테두리(214) 그리고, 후단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후면테두리(21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후면테두리(216)의 상단은 후측으로 더 연장되어 차단편(270)을 형성하며, 이러한 차단편(270)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200)와 상기 내부커버(300) 사이의 틈새를 차단하여 사용자나 아이의 손가락이 틈새로 유입되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측면테두리(214)의 후단부에는 손잡이(215)가 더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215)는 사용자가 상기 승강장치(200)를 상기 수납부(27) 내부에서 꺼낼 때 손가락으로 잡는 부분이다.
상기 손잡이(2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좌우 측면테두리(214)의 내측으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손가락을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의 상면 중앙부로부터 상기 한 쌍의 측면테두리(214) 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손잡이(215)의 함몰된 부분에 손가락을 넣은 다음 위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승강장치(200)는 선단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후단부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게 되는 것이다.
도 16에는 상기 승강장치(200)가 상기 수납부(27)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7에는 상기 수납부(27)에 장착된 상기 승강장치(200)가 들어올려지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6를 살펴보면, 이때에는 상기 승강장치(200)가 상기 수납부(27)의 내부 바닥면에 놓여져 안착되어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승강장치(200)의 시저스측연결부(250)는 상기 수납부(27)의 연결홀(27b)을 관통하여 상기 수납부(27)의 전방(도 16에서는 좌측)으로 선단이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로어후크(530)는 후측(도 16에서는 우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어퍼구속수단(510)와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프레임(220)과 로어프레임(230)이 서로 접혀진 상태로 고정되지 않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수납부(27)의 중앙부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이격돌기(27a)가 형성되고, 이러한 이격돌기(27a)에 의해 상기 로어후크(530)는 후방(도 16에서는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이격돌기(27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이 뾰족한 '△'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이격돌기(27a)의 전면(도 16에서는 좌측면)은 수직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나, 후면(도 16에서는 우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어야 한다.
이는 상기 이격돌기(27a)의 후면을 따라 상기 로어후크(524)의 돌기홈(532b) 후단부가 슬라이딩 접촉을 하기 때문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승강장치(200)는 상기 수납부(27)의 외부에서는 상기 어퍼구속수단(510)와 로어후크(524)가 서로 체결되어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접혀진 상태의 승강장치(200)를 상기 수납부(27)의 상방으로부터 바닥면에 설치하게 되면, 상기 승강장치(200)는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수납부(27)의 바닥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 이격돌기(27a)의 후면이 상기 로어후크(524)의 로어후크본체(532) 저면 후단에 접하게 되고, 점차 승강장치(200)가 하측으로 내려옴에 따라, 인장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상기 힘부재(524)의 탄성이 상기 승강장치(200)의 하방 이동 힘을 이기지 못하여, 상기 로어후크(524)의 로어후크본체(532) 저면 후단은 점점 상기 이격돌기(27a)의 후면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도 16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이격돌기(27a)는 상기 로어후크본체(532)의 내부에 형성된 돌기홈(532b)에 수용되고, 상기 로어후크(524)와 어퍼구속수단(510)는 서로 이격되어 체결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이격돌기(27a)는 상기 돌기홈(532b)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로어구속수단(520)과 어퍼구속수단(510)이 서로 분리되어 잠금장치(500)가 풀리도록 함으로써, 상기 승강장치(200)가 펼쳐질 수 있는 상태를 만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장치(200)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이격돌기(27a)가 상기 돌기홈(532b)을 벗어나야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상기 승강장치(200)가 상기 수납부(27)의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장치(200)를 상방으로 꺼내기 위해서는 상기 손잡이(215)를 양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위로 들어올린다.
이렇게 되면, 상기 승강장치(200)는 선단부를 축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후단부(도 16에서는 우측단)가 들어 올려지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200)의 후단이 위로 올라가게 되면, 상기 로어후크(524)의 로어후크본체(532) 저면 후단은 상기 이격돌기(27a)의 후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면서 점차 상승하게 된다.
상기 승강장치(200)의 후단이 상승하게 되면, 상기 승강장치(200)는 점차 기울어지게 되고, 상기 힘부재(524)는 인장스프링이므로 상기 로어후크(524)를 전방으로 계속 당기게 되어 상기 로어후크(524)는 점차 상승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어퍼구속수단(510)와 체결된다.
즉,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어후크(524)의 하단이 상기 이격돌기(27a)의 상단을 벗어나기 전에 상기 로어후크(524)와 어퍼구속수단(510)는 서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승강장치(200)가 상기 수납부(27)의 바닥면에 대해 약 3˚의 경사가 되었을 때 상기 로어후크(524)와 어퍼구속수단(510)는 서로 체결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승강장치(200)의 후단부가 위로 들어올려지면, 상기 로어구속수단(520)의 로어후크(524)와 어퍼구속수단(510)는 서로 결합되어 상기 승강장치(200)는 접혀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시저스측연결부(250)는 상기 수납부(27)의 연결홀(27b)로부터 이탈하게 되므로, 상기 승강장치(200)는 상기 수납부(27) 상측으로 완전히 분리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손잡이(215)가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의 측면테두리(214)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러한 손잡이(215)는 상기 승강장치(200)는 선단을 축으로 회전하면서 후단부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의 후면테두리(216)에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도 18 내지 도 23에는 상기 손잡이(215)가 상기 후면테두리(216)에 형성되는 서포트플레이트(210)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8 및 도 19에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0에는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의 다른 실시예에 구비되는 차폐판(280)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1과 도 22에는 상기 차폐판(280)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의 다른 실시예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부분 하부사시도 및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23에는 차폐판(280)의 장착 상태를 보인 부분 절개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이하에서는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것은 동일 부호를 사용하며, 동일 기능을 가지는 것은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사각 형상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승강장치(200)의 상면 외관을 형성하며, 상면 내부가 함몰되어 용기(40)의 안착 및 고정이 용이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는 부식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는 냉장고의 메인바디와 동일한 표면부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부식처리를 통하여 서포트플레이트(210)의 표면 품질이 개선된다.
그리고, 이러한 서포트플레이트(210)의 후단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215)가 형성된다. 즉,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는, 테두리가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고, 테두리 내부가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40)의 하단이 안착되기 용이하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테두리의 후단에 손잡이(215)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의 테두리는, 상기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선단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전면테두리(212)와, 상면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테두리(214)와, 상면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후면테두리(216)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215)는, 상기 후면테두리(216)에 하나 이상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손잡이(215)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손가락을 집어넣어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손잡이(215)는, 상기 후면테두리(216)의 좌우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즉, 상기 손잡이(215)는 상기 후면테두리(216)의 좌우 양단에 쌍으로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손잡이(215)는, 상기 후면테두리(216)의 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함몰된 홈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215)의 전방으로부터 손가락을 집어넣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의 후단을 위로 들어올릴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215)의 하측에는, 손잡이홀(218)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홀(218)은 상하 금형빼기 구조 등에 의해 제조함으로써 성형되는 것이며,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상기 손잡이홀(218)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폐판(280)에 의해 차폐된다.
상기 차폐판(280)은, 체결볼트(282)에 의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차폐판(280)이 볼트 외에 다양한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후면테두리(216)에는, 상기 체결볼트(282)가 나사 결합되는 볼트체결부(284)가 더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테두리(216)에 형성되는 손잡이(215)의 후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된 볼트체결부(284)가 형성되며, 이러한 볼트체결부(284)의 하단에는 탭(tap)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볼트(282)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볼트체결부(284)는 상기 후면테두리(216)에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체결부(284)의 상하 길이는 상기 손잡이(215)의 상하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손잡이(215)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후면테두리(216)에 후측으로 함몰되어 전방이 개구된 사각박스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볼트체결부(284)는 상기 손잡이(215)의 후면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부분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볼트체결부(284)의 상하 길이는 상기 손잡이(215)의 상하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포트플레이트(210)의 테두리는 하측으로도 더 연장되어, 하부테두리(286)를 형성하기도 하며, 이러한 하부테두리(286)의 후면에는 상기 체결볼트(282)가 볼트체결부(284)에 체결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가이드홈(286')이 후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차폐판(280)은, 상기 손잡이홀(218)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몸체부(280')와, 상기 몸체부(280')의 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28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부(28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몸체부(280')의 외면 하단에 테두리부(280")가 외측으로 소정 크기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테두리부(280")는, 상기 손잡이홀(218)의 면적보다 더 큰 크기로 이루어져, 손잡이홀(218)의 저면에 밀착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몸체부(280')의 외면 크기는 상기 손잡이홀(218)의 내면 크기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280')가 상기 손잡이홀(218)에 수용되어 손잡이홀(218)을 차폐한다.
상기 손잡이홀(218)의 외면에는 사각형상의 홀벽(218')이 형성되고, 이러한 홀벽(218')의 하단에 상기 테두리부(280")가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차폐판(280)에는 상기 체결볼트(282)과 관통하는 볼트홀(280a)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폐판(280)의 중앙부 후단에는 상기 체결볼트(282)과 관통하는 소정 크기의 볼트홀(280a)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다.
따라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볼트(282)가 상기 차폐판(280)의 볼트홀(280a)을 하측으로부터 상측으로 관통하도록 한 다음, 상기 체결볼트(282)를 상기 후면테두리(216)의 볼트체결부(284)에 체결하면, 도 21 및 도 23과 같이 상기 차폐판(280)이 상기 후면테두리(216)에 결합되어 상기 손잡이홀(218)을 차폐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10. 캐비닛 20. 도어
26. 하부서랍도어 27. 수납부
28. 도어부 30. 내부벽체
40. 용기 50., 누름버튼
100. 인출장치 110. 랙
120. 피니언 130. 모터
150. 인출입감지수단 200. 승강장치
210. 서포트플레이트 212. 전면테두리
214. 측면테두리 215. 손잡이
216. 후면테두리 218. 손잡이홀
218'. 홀벽 220. 어퍼프레임
230. 로어프레임 240. 시저스어셈블리
250. 시저스측연결부 260. 후단걸이
270. 차단편 280. 차폐판
282. 체결볼트 300. 내부커버
400. 구동장치 410. 모터어셈블리
420. 스크류유닛 430. 레버
500. 잠금장치 510. 어퍼구속수단
520. 로어구속수단 522. 구속장치케이스
524. 힘부재 530. 로어후크
532. 로어후크본체 534. 지지단
536. 로어후크단

Claims (20)

  1. 내부에는 저장실이 구비되며, 전방이 개구되는 캐비닛과;
    상기 캐비닛에 형성되는 저장실의 전방을 개폐하는 하나 이상의 도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와;
    상기 저장실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하로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구성되어 음식물이 수납되는 용기를 승하강시키는 승강장치와;
    상기 승강장치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승강장치의 상방 인출시 선단을 축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승강장치가 접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풀림방지시스템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승강장치의 상단에는, 상기 용기의 하단을 지지하는 서포트플레이트가 구비되고;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후단에는 사용자가 파지 가능한 손잡이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는,
    테두리는 상방으로 일정 높이를 가지도록 돌출되고, 테두리 내부가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되어 상기 용기의 하단이 안착되기 용이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의 테두리는,
    선단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전면테두리와, 상면의 좌우 양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테두리와, 상면 후단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후면테두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후면테두리에 하나 이상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후면테두리의 좌우 양단에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후면테두리의 전면으로부터 후측으로 함몰된 홈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의 하측에는,
    손잡이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홀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차폐판에 의해 차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체결볼트에 의해 상기 서포트플레이트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테두리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나사 결합되는 볼트체결부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체결부는 상기 후면테두리에 상하로 형성되며,
    상기 볼트체결부의 상하 길이는 상기 손잡이의 상하 길이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은,
    상기 손잡이홀의 면적과 대응되는 면적을 가지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저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테두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손잡이홀의 면적보다 더 큰 크기로 이루어져, 손잡이홀의 저면에 밀착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는,
    상측에 구비되는 어퍼프레임과, 상기 어퍼프레임의 하측에 구비되는 로어프레임과, 상기 어퍼프레임과 로어프레임의 사이에 배치되는 한쌍의 시저스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로어프레임에 구비되는 로어구속수단과, 상기 어퍼프레임에 구비되는 어퍼구속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구속수단은,
    상기 로어프레임의 중앙에 고정되는 구속장치케이스와, 상기 구속장치케이스의 내측에서 이동되는 로어후크와, 상기 로어후크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힘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로어후크는,
    상하로 일정 높이를 가지는 로어후크본체와, 상기 로어후크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로어후크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단과, 상기 로어후크본체의 상단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돌출된 로어후크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장치케이스의 상면에는 전후로 일정 길이를 가지는 후크홀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며, 상기 로어후크본체는 상기 후크홀을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홀의 전후 길이는,
    후크홀을 관통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로어후크본체의 전후 두께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로어후크본체가 상기 후크홀에 수용된 상태로 전후로 일정 구간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은,
    상기 로어후크본체의 하단으로부터 전후로 수직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구속장치케이스의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하며;
    상기 힘부재는,
    상기 구속장치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탄성력으로 상기 로어후크를 일측으로 밀거나 당기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90149565A 2019-11-20 2019-11-20 냉장고 KR20210061708A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565A KR20210061708A (ko) 2019-11-20 2019-11-20 냉장고
CN202011124238.7A CN112824791A (zh) 2019-11-20 2020-10-20 冰箱
CN202310696861.7A CN116518617A (zh) 2019-11-20 2020-10-20 冰箱
US17/085,705 US11255601B2 (en) 2019-11-20 2020-10-30 Refrigerator
EP20206199.0A EP3825632A1 (en) 2019-11-20 2020-11-06 Refrigerator
AU2020270472A AU2020270472B2 (en) 2019-11-20 2020-11-17 Refrigerator
US17/576,032 US20220136765A1 (en) 2019-11-20 2022-01-14 Refrigerator
AU2022279548A AU2022279548A1 (en) 2019-11-20 2022-12-02 Refrigerator
US18/204,804 US20230304729A1 (en) 2019-11-20 2023-06-01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565A KR20210061708A (ko) 2019-11-20 2019-11-20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708A true KR20210061708A (ko) 2021-05-28

Family

ID=73172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565A KR20210061708A (ko) 2019-11-20 2019-11-20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255601B2 (ko)
EP (1) EP3825632A1 (ko)
KR (1) KR20210061708A (ko)
CN (2) CN112824791A (ko)
AU (2) AU2020270472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6480B1 (ko) * 2018-10-19 202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61708A (ko) * 2019-11-20 2021-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7238B2 (en) 2013-03-14 2016-06-2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scissor-type lift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25855B1 (en) * 2000-10-13 2004-04-27 Daniel A. Brennan Portable tailgating apparatus
KR100827777B1 (ko) * 2002-04-24 2008-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야채실 개폐구조
KR100690645B1 (ko) * 2004-07-15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AU2004242445B2 (en) * 2004-07-16 2006-02-02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apparatus
KR100690647B1 (ko) * 2004-07-2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19732B1 (ko) * 2004-07-29 2006-09-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US20060037518A1 (en) * 2004-08-17 2006-02-23 Adelardo Lopez Alba Power-operated scissor lift table
KR100690649B1 (ko) * 2004-08-26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08689B1 (ko) * 2004-08-26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20060031113A (ko) * 2004-10-07 2006-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US7587907B2 (en) * 2004-11-12 2009-09-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having basket lift device
KR100700777B1 (ko) * 2005-03-02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바스켓 구동장치
US20070034125A1 (en) * 2005-08-09 2007-02-15 Wen-Ping Lo Hidden electric power elevating stand structure
US7849789B1 (en) * 2005-11-23 2010-12-14 Michael Whelan Adjustable portable cutting board and method of use thereof
US7628461B2 (en) * 2006-07-20 2009-12-08 Maytag Corporation Bottom mount refrigerator having an elevating freezer basket
US8282177B1 (en) * 2009-09-16 2012-10-09 Whirlpool Corporation Independent self-close mechanism for pullout drawer
US8544391B2 (en) * 2011-12-12 2013-10-01 Ancra International Llc Variable height support
US9644378B2 (en) * 2011-12-12 2017-05-09 Ancra International Llc Variable height support
CN103375962B (zh) * 2012-04-11 2015-12-1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冰箱搁架组件及冰箱
US9510679B2 (en) * 2012-11-09 2016-12-06 Ravi Nikhil Bhatt Drawer mechanism
US9107494B2 (en) * 2013-03-14 2015-08-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lift mechanism including at least one pivot arm
US20140265798A1 (en) * 2013-03-14 2014-09-1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rect drive rack & pinion lift mechanism for refrigerated storage bin
US10244861B1 (en) * 2015-01-24 2019-04-02 Nathan Mark Poniatowski Desktop workspace that adjusts vertically
CN206043873U (zh) * 2015-08-18 2017-03-29 金承浩 电脑用升降台
CN106016943B (zh) * 2016-05-25 2018-06-22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搁架的升降装置、搁架组件及冰箱
KR102383586B1 (ko) * 2016-11-10 2022-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WO2018088802A1 (en) * 2016-11-10 2018-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fting device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KR102289689B1 (ko) * 2017-03-10 2021-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승강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EP3922935B1 (en) * 2017-12-29 2024-03-1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20190109069A (ko) * 2018-03-16 2019-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64922B1 (ko) * 2018-03-26 2022-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10856B1 (ko) * 2018-03-26 2023-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40307B1 (ko) * 2018-03-26 2024-02-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3546862B1 (en) * 2018-03-26 2021-02-03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492728B1 (ko) * 2018-05-08 2023-01-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4912B1 (ko) * 2018-06-11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74913B1 (ko) * 2018-06-22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용 승강장치
KR102580774B1 (ko) * 2018-08-30 2023-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42609B1 (ko) 2018-08-30 2023-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80773B1 (ko) * 2018-08-30 2023-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50745B1 (ko) * 2018-08-31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17684B1 (ko) * 2018-10-19 2023-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9506414B (zh) * 2018-12-19 2020-10-13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可升降抽屉及冰箱
KR20210007638A (ko)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3A (ko)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8A (ko)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45A (ko) *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210007639A (ko) 2019-07-12 2021-0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932568B2 (en) * 2019-07-26 2021-03-02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otorized basket lifting mechanism
CN110419860A (zh) * 2019-09-11 2019-11-08 惠州市长河家居用品有限公司 升降桌
KR20210061708A (ko) * 2019-11-20 2021-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77238B2 (en) 2013-03-14 2016-06-2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Refrigerator with a scissor-type lift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0270472A1 (en) 2021-06-03
US20220136765A1 (en) 2022-05-05
CN116518617A (zh) 2023-08-01
US20210148629A1 (en) 2021-05-20
US11255601B2 (en) 2022-02-22
EP3825632A1 (en) 2021-05-26
AU2022279548A1 (en) 2023-02-02
US20230304729A1 (en) 2023-09-28
CN112824791A (zh) 2021-05-21
AU2020270472B2 (en)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10007643A (ko) 냉장고
KR102625266B1 (ko) 냉장고
EP3764044B1 (en) Refrigerator
KR102309146B1 (ko) 서랍장치 및 서랍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KR102550745B1 (ko) 냉장고
US20230304729A1 (en) Refrigerator
KR20230133823A (ko) 냉장고
KR102596480B1 (ko) 냉장고
KR102542610B1 (ko) 냉장고
KR102586889B1 (ko) 냉장고
KR102617684B1 (ko) 냉장고
EP3767207B1 (en) Refrigerator comprising a drawable do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20200134787A (ko) 냉장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