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0786A -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 - Google Patents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0786A
KR20180010786A KR1020160093451A KR20160093451A KR20180010786A KR 20180010786 A KR20180010786 A KR 20180010786A KR 1020160093451 A KR1020160093451 A KR 1020160093451A KR 20160093451 A KR20160093451 A KR 20160093451A KR 20180010786 A KR20180010786 A KR 201800107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coupled
lifting
cabinet
fron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3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장옥
Original Assignee
이장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장옥 filed Critical 이장옥
Priority to KR1020160093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0786A/ko
Publication of KR20180010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07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47B67/04Chests of drawers;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47B88/53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preventing unintentional closing, e.g. anti-pinch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47B88/57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preventing complete withdrawal of the draw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02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with one sliding bar for fastening when moved in one direction and unfastening when moved in opposite direction; with two sliding bar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when fastening or unfast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9/00Arrangements of simultaneously actuated bolts or other securing devices at well-separated positions on the same wing
    • E05C9/10Actuating mechanisms for ba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5/00Fittings for furniture
    • A47B95/02Handles
    • A47B2095/024Drawer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로 조립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의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랍의 구조를 개선하여 개폐를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간활용을 그대화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의류를 보관하기 위하여, 수납부재(5)가 상하로 조립된 수납장(H)에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수납실(6)이 구비된 서랍몸체(7)의 전방부에 전면부재(8)가 결합된 공지의 서랍(4)에 있어서,
내벽(22)에 안내공(23)을 좌우에 각각 뚫어 형성된 작동공간부(21)를 상기 전면부재(8)의 중앙부에 형성하며, 끝단부에 걸림턱(26)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24)로 형성된 손잡이(D)를 작동공간부(21)에 결합하고 안내공(23)에 걸림턱(26)이 걸려 지지되도록 결합하며, 탄동스프링(28)에 의하여 탄동되는 승하강봉(29)을 상하 길이방향으로 장치하여 승하강봉(29)의 상단부가 통과공(30)에 위치되고 승하강봉(29)의 하단부가 몸체(24)에 형성된 안내홈(27)에 접촉되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a drawer of self-assembly cabinet in clothes}
본 발명은 상하로 조립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의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서랍의 구조를 개선하여 개폐를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하 적층하여 필요에 따라 갯수를 조절할 수 있는 합성수재의 수납장은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상하로 결합 분해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성이 높고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잇점으로 인하여 일반 가정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수납장은 상하로 결합된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상하로 구획된 공간부에 서랍을 결합하는 것으로서, 서랍을 전후로 밀고 당기는 방식으로 개폐하면서 서랍 내부의 수납실에 의류 등의 물품을 넣어 보관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수납장은 서랍이 불필요하게 열릴 뿐 아니라 수납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어려운 등의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제기되었다.
첫째, 상기 수납장은 별개의 잠금장치나 슬라이딩장치가 없이 공간부에 서랍을 단순히 결합하는 방식의 간단한 구조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전체적인 균형이 전방으로 기울어지면 서랍이 자중에 의하여 앞으로 쏠리면서 이동되므로 불필요하게 열리는 경우가 많았다. 특히, 운반이나 이동 중에 서랍이 열리면서 바닥에 추락되어 파손되는 일이 많이 발생되었다.
둘째, 상기 수납장은 제품의 특성상 그 높이가 비교적 낮기 때문에 어린아이들이 있는 가정 등에서 사용할 때, 어린아이들이 높이에서 서랍을 쉽게 열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어린아이들이 서랍을 열고 내용물을 어지럽히거나 심한 경우에는 서랍이 이탈되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셋째, 상기 수납장의 서랍에 별개의 잠금수단을 장치한다하여도 합성수지재로 간단한 구조로 구성된 제품의 특성상 장치할 방법이 마땅하지 않았다.
넷째, 상기 서랍의 수납실은 사각통체의 내부 공간이 수납실로 단순히 구성되기 때문에 의류 등을 넣어 보관할 때 정리하기가 어려웠다. 즉 비교적 부피가 작고 수시로 인출하는 양말이나 속옷 등은 별개로 보관하는 것이 효율적이나 기존의 수납실은 이러한 공간의 구별이 없기 때문에 의류 등을 보관과 정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수납실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다섯째, 상기 서랍의 수납실에 보관되는 의류 등은 부피가 크므로 압착하면 최소화시킬 수 있으나 이러한 수단이 없기 때문에 수납실의 공간 활용을 제대로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된 것으로서, 수납장의 서랍에 개폐수단을 장치하여 서랍이 불필요하게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해결하고자하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서랍의 수납실에 별개의 수납공간으로 구획할 수 있는 수단을 부가하여서, 의류 등의 정리와 보관을 깔끔하게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의류를 보관하기 위하여, 수납부재가 상하로 조립된 수납장에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수납실이 구비된 서랍몸체의 전방부에 전면부재가 결합된 공지의 서랍에 있어서, 내벽에 안내공을 좌우에 각각 뚫어 형성된 작동공간부를 상기 전면부재의 중앙부에 형성하며, 끝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로 형성된 손잡이를 작동공간부에 결합하고 안내공에 걸림턱이 걸려 지지되도록 결합하며, 탄동스프링에 의하여 탄동되는 승하강봉을 상하 길이방향으로 장치하여 승하강봉의 상단부가 통과공에 위치되고 승하강봉의 하단부가 몸체에 형성된 안내홈에 접촉되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로 조립되는 공지의 수납장에 있어서, 서랍이 불필요하게 열리거나 서랍이 외부로 빠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손잡이를 잡고 돌린 후 당기는 간단한 동작으로 서랍을 열 수 있으므로 사용상 번거로움 없이 서랍의 개폐를 쉽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랍의 수납공간에 의류 등을 보관할 때 종류 별로 나누어 보관할 수 있는 보조 수납수단을 결합하여 깔끔하게 정리하면서 공간활용을 극대화하는 효가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예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개폐수단을 보인 일부를 절결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개폐수단을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평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보조수납함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A부를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판체(1)의 사각 모서리부에 지지프레임(2)을 각각 세워 결합하여 내측에 구비되는 서랍결합부(3)에 서랍(4)을 결합하여 구성된 수납부재(5)를 상하로 적층하여 수납장(H)을 구성한다.
상기 서랍(4)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과 상부가 개방된 사각통체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수납실(6)이 구비된 서랍몸체(7)를 구성하고 서랍몸체(7)의 전방부에 전면부재(8)를 결합하고 전면부재(8)에 개폐수단(20)을 장치한다.
그리고 서랍몸체(6)의 측면판(9) 내측 상부에 안내레일(10)을 돌출되게 형성하며,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보조수납실(11)가 구비된 보조수납함(12)의 좌우측에 슬라이딩부(13)를 각각 형성하여 안내레일(10)에 슬라이딩부(13)를 결합하면 서랍(4)의 수납실(6) 상부에 위치된 보조수납함(12)이 안내레일(10)을 따라 전후로 이동되도록 장치한다.
또한, 상하방향의 판체로 형성된 분리판(14)을 구성하여 분리판(14)의 좌우측에 슬라이딩부(15)를 형성하여서, 슬라이딩부(15)를 상기 서랍몸체(6)의 안내레일(10)에 결합하면 분리판(14)이 상기 수납실(6)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장치한다.
상기 개폐수단(20)은 도 3과 도 4와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부재(8)의 중앙부에 내측으로 굴곡된 작동공간부(21)를 형성하고 작동공간부(21)의 내벽(22)에 안내공(23)을 좌우에 각각 뚫어 형성한다. 그리고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24)의 전방에 파지부(25)가 일체로 형성된 손잡이(D)를 구성하고 몸체(24)의 끝단부에 걸림턱(26)를 좌우에 각각 형성하여서,
안내공(23)에 걸림턱(26)을 통과시키면 걸림턱(26)이 상기 내벽(22)의 후방측단부에 걸려 지지되면서 작동공간부(21) 내측에 손잡이(D)의 몸체(24)가 위치되고 파지부(25)가 전면부재(8)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결합한다.
또한, 몸체(24)의 상부측에 내측으로 굴곡된 안내홈(27)을 형성하며, 탄동스프링(28)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탄동되는 승하강봉(29)을 상하 길이방향으로 장치하여서 승하강봉(29)의 상단부가 통과공(30)에 위치되고 승하강봉(29)의 하단부가 안내홈(27)에 접촉되도록 장치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납장(H)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판체(1)와 각각의 지지프레임(2)을 결합하여서된 수납부재(5)를 상하로 다수개를 조립하며, 각각의 서랍결합부(3)에 결합된 서랍(4)을 여닫으면서 수납실(6)에 의류 등을 넣어 보관하는 공지의 방법으로 사용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구성적 특징에 의한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 서랍(4)은 수납실(6)에 의류 등을 보관하거나 인출이 필요하여 열고자 할 경우에, 외부로 돌출된 파지부(25)를 손으로 잡고 일측으로 돌리면 상승되어 있던 승하강봉(29)이 탄동스프링(28)의 탄발력에 의하여 하단부가 안내홈(27)에 유입됨과 동시에 상승상태였던 승하강봉(29)의 상단부가 통과공(30)의 내측으로 하강되어 도 4와 같은 상태가 되므로 파지부(25)를 앞으로 당기면 서랍(4)이 개방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서랍(4)을 밀고 당기면서 수납실(6)에 의류 등을 보관 및 인출하는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작업이 완료되어 서랍(4)을 닫고자 할 경우에는 서랍(4)을 후퇴시켜 서랍결합부(3)에 위치시킨 후, 잡고 있던 파지부(25)를 타측으로 돌리면 안내홈(27)에 하강되어 있던 승하강봉(29)의 하단부가 안내홈(27)의 접촉면을 따라 상부로 이동되어 몸체(24)의 외주면에 위치하게 되며, 동시에 승하강봉(29)의 상단부가 통과공(30)의 상부로 돌출되어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상승된 승하강봉(29)의 상단부가 사각판체(1)의 내측에 걸려 지지되므로 서랍(4)의 개방이 방지되는 것이다. 즉 손잡이(D)를 잡고 돌리지 않으면 개폐수단(20)이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서랍(4)이 열리지 않는 것이다.
상기의 손잡이(D)를 잡고 돌리거나 밀고 당기는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서랍을 여닫는 방법과 큰 차이가 없으므로 사용상의 불편함 없이 서랍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서랍(4)의 수납실(6)에 의류 등을 넣어 보관할 때, 안내레일(10)에 슬라이딩부(13)가 결합된 보조수납함(12)이 상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비교적 부피가 작고 자주 인출하여야 되는 양말이나 속옷등을 보조수납실(11)에 깔끔하게 정리하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보조수납함(12)을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수납실(6)의 공간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좌우측의 슬라이딩부(15)가 안내레일(10)에 결합된 분리판(14)을 전후로 이동시키면서 수납실(6)의 공간을 필요에 따라 구획할 수 있으므로 의류 등을 분류별로 정돈하여 보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합성수지재 수납장이 구조상 가지고 있는 결점인 서랍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하기 편리하고 안전한 효과가 있으며, 서랍의 공간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으로서, 기존의 수납장 구조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아 쉽게 제조하여 실용화할 수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H: 수납장 1: 사각판체 2: 지지프레임
3: 서랍결합부 4: 서랍 5: 수납부재
6: 수납실 7: 서랍몸체 8: 전면부재
9: 측면판 10: 안내레일 11: 보조수납실
12: 보조수납함 13: 슬라이딩부 14: 분리판
15: 슬라이딩부 20: 개폐수단 21: 작동공간부
22: 내벽 23: 안내공 24: 몸체
25: 파지부 26: 걸림턱 27: 안내홈
28: 탄동스프링 29: 승하강봉 30: 통과공
D: 손잡이

Claims (3)

  1. 의류를 보관하기 위하여, 수납부재(5)가 상하로 조립된 수납장(H)에 여닫을 수 있도록 결합되고, 내측에 수납실(6)이 구비된 서랍몸체(7)의 전방부에 전면부재(8)가 결합된 공지의 서랍(4)에 있어서,
    내벽(22)에 안내공(23)을 좌우에 각각 뚫어 형성된 작동공간부(21)를 상기 전면부재(8)의 중앙부에 형성하며, 끝단부에 걸림턱(26)이 형성된 원통형의 몸체(24)로 형성된 손잡이(D)를 작동공간부(21)에 결합하고 안내공(23)에 걸림턱(26)이 걸려 지지되도록 결합하며, 탄동스프링(28)에 의하여 탄동되는 승하강봉(29)을 상하 길이방향으로 장치하여 승하강봉(29)의 상단부가 통과공(30)에 위치되고 승하강봉(29)의 하단부가 몸체(24)에 형성된 안내홈(27)에 접촉되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4)은 내측 상부에 안내레일(10)을 형성하여 보조수납함(12)의 좌우측에 형성된 슬라이딩부(13)를 안내레일(10)에 결합하여 상기 수납실(6)의 상부에 위치된 보조수납함(12)이 전후로 이동되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랍(4)은 상하방향의 판체로 형성된 분리판(14)이 상기 수납실(6) 내부에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장치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
KR1020160093451A 2016-07-21 2016-07-21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 KR201800107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51A KR20180010786A (ko) 2016-07-21 2016-07-21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3451A KR20180010786A (ko) 2016-07-21 2016-07-21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0786A true KR20180010786A (ko) 2018-01-31

Family

ID=61083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3451A KR20180010786A (ko) 2016-07-21 2016-07-21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078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588B1 (ko) * 2020-07-17 2021-08-24 신호철 의류 세로 수납 장치
KR20230021942A (ko) * 2021-08-06 2023-02-14 신호철 의류 세로 수납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588B1 (ko) * 2020-07-17 2021-08-24 신호철 의류 세로 수납 장치
KR20230021942A (ko) * 2021-08-06 2023-02-14 신호철 의류 세로 수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28582B2 (en) Storage system
CN105121763A (zh) 储存单元储柜
AU2014202834B1 (en) Toolbox
KR20060011222A (ko)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WO2015031101A1 (en) Container having door assembly and multiple layers of tracks
JP2009189658A (ja) 棚構造
KR20200058046A (ko) 전도방지 기능을 갖는 서랍장
KR20180010786A (ko)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
KR20170118118A (ko) 적층가능한 컨테이너 시스템
KR200492419Y1 (ko) 수납장치
KR101659229B1 (ko)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
KR101713904B1 (ko) 서랍 동시인출이 방지된 수납가구
KR102421453B1 (ko) 냉장고
JP2016158688A (ja) 昇降棚
JP5354464B2 (ja) 内引き出し付きキャビネット
KR20160003847U (ko) 이동식 선반형 서랍
KR101663496B1 (ko) 다용도 랙어셈블리
CN209807653U (zh) 登高抽屉柜
CN113951646A (zh) 一种可对外扩展的翻转式橱柜
KR101860272B1 (ko) 침대바디가 광폭서랍으로 채워진 기능성 침대
KR20210000489U (ko) 승강식 수납장치
KR20120040027A (ko) 서랍장착구조
KR20100081708A (ko) 4방향 개폐 서랍장
KR20130011439A (ko) 가방 및 그 용품
KR20170049152A (ko) 수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