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1439A - 가방 및 그 용품 - Google Patents

가방 및 그 용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1439A
KR20130011439A KR1020110072594A KR20110072594A KR20130011439A KR 20130011439 A KR20130011439 A KR 20130011439A KR 1020110072594 A KR1020110072594 A KR 1020110072594A KR 20110072594 A KR20110072594 A KR 20110072594A KR 20130011439 A KR20130011439 A KR 20130011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torage space
rack
bag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보현
Original Assignee
황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현 filed Critical 황보현
Priority to KR1020110072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1439A/ko
Publication of KR2013001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4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2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with lazy-tongs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7/00Collapsible or extensible purses, luggage, bags or the like
    • A45C7/0018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7/0022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n integrated expansion device
    • A45C7/0031Rigid or semi-rigid luggage comprising an integrated expansion device telescopic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9/00Purses, Luggage or bags convertible into objects for other use

Landscapes

  • Bag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여행시 옷이나, 물건등을 담을 수 있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일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승하강 가능토록 이루어진 랙(rack); 상기 본체에 위치되어 상기 랙을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시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방 및 그 용품{BAG AND SUPPLIES FOR THE SAME}
본 발명은 가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여행시 옷이나, 물건등을 담을 수 있는 가방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기 특허출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031819(등록일자 2011년 4월21일)의 가방의 도 2에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가방은 하부 케이스(100)와, 하부 케이스(100)와 맞물려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상부 케이스(200), 그리고 상부 케이스(200)를 하부 케이스(100)에 대해서 수평을 유지하며 상하 승강시키는 승강부(300)를 포함함으로써, 상부 케이스(200)를 선반 대용으로 사용 가능토록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방은 상부 케이스(300)가 외부 케이스의 일부이기 때문에 선반의 기능성을 높이기 위해 용기형, 박스형 등 다양한 설계를 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방은 지퍼를 이용해 하부 케이스(100)와 상부 케이스(300)의 전 둘레를 잠글 수 없기 때문에, 여행용 트렁크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행지 등에서 보다 쉽게 수납한 물건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 가방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일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승하강 가능토록 이루어진 랙(rack); 상기 본체에 위치되어 상기 랙을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을 제시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순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다수의 파이프가 상호 슬라이딩 가능토록 끼워져 연결된 승강바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바는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 가장자리에 복수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바들의 승강방향 측 전단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승강바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1연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바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거나, 상기 본체에 탈거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에 적재, 분리 가능하며 상기 승강바의 승강방향 측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바 복수를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승강바가 직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제2연결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바는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의 개방된 일면에 대해서 수평한 상태로 적재, 분리 가능한 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랙은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일면에 대해서 수평한 상태로 승하강 가능한 패널과 망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바는 상기 수납공간을 가로지르는 가로바를 포함하며; 상기 랙은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일면에 대해서 수평한 상태로 승하강 가능한 패널과 망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와이어를 통해 일체로 결속된 복수의 수납부 및, 상기 복수의 수납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가로바에 끼워지는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다만, 반드시 아래의 효과가 모두 발휘되어야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가방을 선반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물건을 지저분하게 방안에 흩트려 놓지 않아도 되며, 손쉽게 물건을 꺼내고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승강부에 추가적으로 랙을 이루는 패널, 망 등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다단으로 물건을 정리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랙을 패널형, 망형은 물론 용기형, 박스형 등 필요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를 선택 가능하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승강부 및 랙이 가방의 본체 수납공간에 수납되기 때문에, 기존의 여행용 트렁크 등과 같이 본체와 커버를 지퍼를 이용해 잠글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랙을 승강부에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용도에 따라 랙의 종류를 바꿀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랙에 승강부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아울러 랙을 분리한 상태에서 본체의 수납공간에 물건을 용이하게 수납, 인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승강부 및 랙이 가방의 본체에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하여 기존의 가방을 비롯하여 어느 가방이든지 옵션으로 용이하게 조합될 수 있어 응용될 수 있으며, 아울러 승강부 및 랙을 분리한 상태에서 본체의 수납공간에 물건을 용이하게 수납, 인출할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또한, 승강부의 연결바, 가로바를 행거로 사용할 수 있어 활용도가 많다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가방의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가방의 닫힌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가방의 열린 상태이며 승강부의 하강 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2의 가방의 열린 상태이며 승강부의 승강 상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승강바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가방의 열린 상태이며 승강부의 승강 상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가방의 열린 상태이며 승강부의 승강 상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 예에 따른 가방의 열린 상태이며 승강부의 승강 상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가방의 본체와 승강부의 분리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 예에 따른 가방의 승강부의 승강 상태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방은 일면이 개방된 수납공간(12)을 형성하는 본체(10) 및 본체(10)의 수납공간(12)을 개폐하는 커버(20)를 포함하며, 아울러 수납공간(12)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승하강 가능토록 이루어진 랙(rack)(30) 및 본체(10)에 위치되어 랙(30)을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40)를 포함하는 옵션(option)용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 및 커버(20)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공간(12)을 갖는 가방의 외형을 형성하며, 지퍼 등의 별도의 잠금장치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랙(30)은 접착제 등에 의해 승강부(4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승강부(40)와 일체형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리, 스크류, 클립 등에 의해 승강부(40)에 탈부착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랙(30)은 수납 목적 등에 따라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30)은 바닥부(32a) 및 바닥부(32a)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측벽부(32b)를 포함하는 용기형(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30)은 망형(3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도 도시하지 않았지만 랙(30)은 패널형, 일면이 개방된 박스형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랙(30)은 수납공간(12)에 수납, 인출이 가능토록 수납공간(12)의 개방된 일면에 대해서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상태로 승강부(40)에 의해 승하강이 가능토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랙(30)은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컨대 직물 소재, 합성수지, 철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랙(30)은 도 4를 비롯하여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승강부(40)에 직접 결합되는 단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층형 랙(30)은 하나만 구성될 수도 있고, 승강부(40)의 승하강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수 배치되는 단층형 랙(30)은 용기형(32), 망형(34), 패널형, 박스형 등 중에서 어느 한 종류로만 구성될 수도 있고, 둘 종류 이상이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30)은 수납 등이 가능토록 이루어져 승강부(40)의 승하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와이어(36c)를 통해 일체로 결속된 복수의 수납부(36a) 및, 복수의 수납부(36a)와 일체로 연결되며 승강부(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승강부(40)에 결합되는 결합부(36b)를 포함하는 다층형(36)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층형(36) 랙(30)의 와이어(36c)는 합성수지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보다는 체인이나 실 등과 같이 변형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형(36) 랙(30)의 결합부(36b)는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며,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승강부(40)의 제1연결바(60)에 고정형 또는 탈부착형으로 걸어질 수 있는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40)는 특히 도 5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다수의 파이프(50a,50b,50c)가 화살표 A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슬라이딩 가능토록 끼워져 연결된 승강바(50)를 적어도 하나 포함할 수 있다. 즉, 승강바(50)는 여행용 트렁크 등에 많이 사용되는 길이조절용 손잡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승강바(50)는 직경이 순차적으로 작아지는 파이프(50a,50b,50c)가 서로 삽입되어, 낚시대와 같은 형상으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승강바(50)가 형성됨으로써, 길이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파이프(50a,50b,50c)에는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측의 내주면에 돌출된 내주측 걸림턱(50d)과, 내주측 걸림턱(50d)에 서로 맞닿는 하측의 외주면에 돌출된 외주측 걸림턱(50e)이 형성된다. 또한, 승강바(50)가 최대로 신장되었을때, 일정한 하중에 대해서 위치를 유지하도록 내주면에 위치고정용 돌기(50f)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승강바(50)는 수납공간(12)의 중앙에 설치될 수 있으나, 다만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공간(12) 내 수납을 방해하지 않도록 본체(10)의 수납공간(12) 가장자리에 복수 설치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예컨대, 승강바(50)는 도 4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수납공간(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사각형 배열로 4개 설치될 수 있고,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수납공간(12)의 가장자리에 수납공간(12)을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게 설치된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승강바(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수납공간(12) 외측, 즉 본체(10)의 테두리(10a)에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승강바(5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같이, 본체(10)의 테두리(10a)로부터 본체(10)의 수납공간(12)으로 돌출 형성된 본체(10)의 돌출부(10b)에 설치되거나, 본체(10)의 수납공간(12)에 삽입된 상태에서 브라켓에 의해 본체(10)의 테두리(10a) 벽면에 밀착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승강바(50)는 가방의 제조시부터 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도 있고, 가방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반복적인 탈거, 장착이 가능토록 결합될 수 있다. 승강바(50)의 탈장착은 예컨대 본체(10)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부가 돌출 형성되며, 승강바(50)에는 나사부가 삽입됨과 아울러 나사 체결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승강바(5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설치되지 않고, 단지 본체(10)의 수납공간(12)에 위치되도록 삽입만 될 수 있다.
아울러, 승강부(40)는 복수의 승강바(50) 중 적어도 일부를 일체로 연결할 수 있도록, 상호 일체로 연결되는 승강바(50)들의 승강방향 측 전단에 연결되는 제1연결바(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바(60)는 본체(10)의 수납공간(12)을 가로지르지 않는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승강바(50)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바(60)는 본체(10)의 수납공간(12)을 가로지르는 가로바로 구성되어 승강바(50)들을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바(60)는 사각형 배치의 4개의 승강바(50)를 일체로 연결토록 X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연결바(60)는 복수의 승강바(50)의 배치 형태에 따라 다양한 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승강부(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바(50)가 본체(10)에 고정되어 설치되지 않고 단지 본체(10)로부터 탈거, 장착이 가능토록 본체(10)의 수납공간(12)에 삽입되어 위치될 수만 있도록,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수납공간(12)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본체(10)의 수납공간(12)에 적재, 분리 가능하며 승강바(50)의 승강방향 측 후단에 연결되어 승강바(50) 복수를 일체로 연결하여 복수의 승강바(50)가 직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제2연결바(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연결바(70)는 승강바(50)의 개수, 복수의 승강바(50)의 배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예컨대 본체(10)의 수납공간(12)의 개방된 일면에 대해서 수평한 상태로 적재, 분리 가능한 링형으로 이루어져 복수의 승강바(50) 전체를 지지토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본체 12; 수납공간
20; 커버 30; 랙
40; 승강부 50; 승강바
60; 제1연결바 70; 제2연결바

Claims (9)

  1. 일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승하강 가능토록 이루어진 랙(rack);
    상기 본체에 위치되어 상기 랙을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순차적으로 직경이 작아지는 다수의 파이프가 상호 슬라이딩 가능토록 끼워져 연결된 승강바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바는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 가장자리에 복수 설치되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바들의 승강방향 측 전단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승강바들 중 적어도 일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제1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강바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거나, 상기 본체에 탈거 가능토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에 적재, 분리 가능하며 상기 승강바의 승강방향 측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바 복수를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복수의 승강바가 직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제2연결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바는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의 개방된 일면에 대해서 수평한 상태로 적재, 분리 가능한 링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7. 청구항 1,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일면에 대해서 수평한 상태로 승하강 가능한 패널형, 용기형, 박스형, 망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랙은 상기 수납공간의 개방된 일면에 대해서 수평한 상태로 승하강 가능토록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 방향을 따라 복수 배치되어 와이어를 통해 일체로 결속된 복수의 수납부 및, 상기 복수의 수납부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바에 걸어질 수 있는 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
  9. 일면이 개방된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을 개폐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가방용 옵션용품으로,
    상기 본체의 수납공간의 개방된 일면을 통해 승하강 가능토록 이루어진 랙(rack) 및,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토록 설치되어 상기 랙을 승하강 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방용 옵션용품.




KR1020110072594A 2011-07-21 2011-07-21 가방 및 그 용품 KR20130011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594A KR20130011439A (ko) 2011-07-21 2011-07-21 가방 및 그 용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594A KR20130011439A (ko) 2011-07-21 2011-07-21 가방 및 그 용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39A true KR20130011439A (ko) 2013-01-30

Family

ID=47840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594A KR20130011439A (ko) 2011-07-21 2011-07-21 가방 및 그 용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1143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596B1 (ko) * 2017-08-29 2019-01-1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여행용 가방
US11571051B2 (en) 2018-03-11 2023-02-07 Trung Tieu Expandable luggage assembli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596B1 (ko) * 2017-08-29 2019-01-16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여행용 가방
US11571051B2 (en) 2018-03-11 2023-02-07 Trung Tieu Expandable luggage assembli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10655B2 (en) Hanging organizer
US9101187B2 (en) Portable organizer for use with luggage
US20100066045A1 (en) Cart
US20100276241A1 (en) Hanging shelf system and travel organizer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 suitcase
US20070262683A1 (en) Jewelry storage cabinet
JP6094001B2 (ja) 衣料品の格納及び取出用携帯装置
US20100243829A1 (en) Hair accessory holder and organizer
KR20130011439A (ko) 가방 및 그 용품
USD759463S1 (en) Mount for storage box
KR101031819B1 (ko) 가방
US8118168B2 (en) Portable cabinet and storage caddy for holiday, hobbies and crafts
KR101227412B1 (ko) 낚시용 가방
KR20100008444U (ko) 슬라이드 출몰식 바지걸이
KR101938596B1 (ko) 여행용 가방
JP5691876B2 (ja) 横架型トレイ
US20080308511A1 (en) Bra organizer and protector
SK7781Y1 (sk) Regálový zásobník
KR200426281Y1 (ko) 카트형 화구용 박스
KR200471886Y1 (ko) 하중 분산형 배낭
US20110247948A1 (en) Hanging, telescoping garment organizer
CN108887911A (zh) 一种感应式防鼠的衣物存储柜
JP2019162365A (ja) 宅配ボックス
JP3212556U (ja) 吊下げ式収納ラック
KR20170085243A (ko) 코디용 보조걸이대를 구비한 옷장
KR200466239Y1 (ko) 각종 등산장비를 휴대하기 용이한 등산배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