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229B1 -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 - Google Patents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229B1
KR101659229B1 KR1020150089489A KR20150089489A KR101659229B1 KR 101659229 B1 KR101659229 B1 KR 101659229B1 KR 1020150089489 A KR1020150089489 A KR 1020150089489A KR 20150089489 A KR20150089489 A KR 20150089489A KR 101659229 B1 KR101659229 B1 KR 101659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main shaft
drawers
furnitur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9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원
Original Assignee
김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수원 filed Critical 김수원
Priority to KR1020150089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E05B65/46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for two or more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1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to prevent opening by children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푸쉬 동작으로 서랍의 시건 및 해제가 가능한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에 관한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가구본체와 이 가구본체에 다단으로 삽입되며, 가구본체로부터 출입하는 복수의 서랍들과 이 서랍들의 일 측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서랍에 고정되어 서랍들과 같이 이동하는 걸림부재와 가구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 연장방향을 따라서 상하 이동하는 메인샤프트와 이 메인샤프트에 고정되어 메인샤프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걸림부재의 이동을 구속하는 차단부재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SAFETY DRAWER LOCKING DEVICE AND CHEST OF DRAWERS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서랍 안전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한 푸쉬 동작으로 서랍의 시건(施鍵)및 해제가 가능한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납을 위한 가구는 물건들을 종류별로 정리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서랍을 이용한다. 이러한 가구의 서랍들은 대부분 다단으로 이루어져 있어 공간의 활용도가 높으며, 다단의 서랍에 물건들을 종류별로 나누어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물건을 정리하여 보관하거나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서랍장의 서랍들은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며 열리는 방식으로 유아나 어린이도 쉽게 열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간혹 서랍속에 들어 있는 크기가 작거나 날카로운 물품들을 유아나 어린이가 꺼내는 경우가 발생하며, 호기심이 많은 유아나 어린이들은 소유한 물건을 무엇이든지 빨고 삼키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각종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실용신안등록공보 제20-0377011에 '서랍 안전 잠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발명은 가구본체와 서랍에 잠금판을 끼워 넣어 서랍의 개방을 구속하게 된다. 그러나 잠금판이 유아나 어린이들의 손이 쉽게 닿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며, 잠금판의 분리 시 보관장소가 따로 구비되어 있지 않아 분실위험이 존재한다.
아울러, 서랍의 열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자물쇠를 이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자물쇠는 안전하게 서랍을 잠글 수 있어 유아나 어린아이들이 서랍을 열지 못하게 예방하는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자물쇠를 이용한 방법은 서랍을 열고 닫기 위하여 매번 열쇠를 구비해야 한다는 점과, 열쇠를 분실하였을 경우에 서랍의 사용이 제한되며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도구 사용없이도 간단한 방법으로 가구본체의 서랍들을 록킹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는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유아나 어린아이들이 쉽게 사용할 수 없도록 안전하게 설치된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안전 잠금장치는,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들이 구비된 가구본체에 있어서, 서랍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부재와 가구본체에 수직으로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메인샤프트와 이 메인샤프트에 고정되어 메인샤프트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걸림부재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차단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걸림부재는 서랍의 후단부에 부착되는 'ㅗ'형상의 플레이트이며, 차단부재는 메인샤프트에 결합되는 샤프트결합부와 샤프트결합부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차단판으로 이루어진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가구본체의 내부에 고정되며, 메인샤프트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브라켓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메인샤프트의 상단부는 가구본체의 상단보다 더 돌출되며, 메인샤프트의 푸쉬를 통하여 메인샤프트의 상하 이동 및 정지를 컨트롤 하는 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며, 이 고정장치는 상기 메인샤프트의 하단부에 결합되는 누름버튼과 이 누름버튼과 상호작용하며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체와 이 회전체를 상방으로 바이어싱하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로터리형 푸쉬 버튼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랍장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가구본체와 이 가구본체에 다단으로 삽입되며, 가구본체로부터 출입하는 복수의 서랍들과 가구본체와 서랍들에 결합되어 가구본체로부터 서랍들의 출입을 구속할 수 있는 상기 서랍 안전 잠금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은, 메인샤프트의 누름 동작을 통하여 서랍을 잠그고 해제 하는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간단한 동작으로 서랍장의 서랍들을 록킹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어 서랍장의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은, 서랍 안전 잠금장치가 서랍장의 내부에 위치하며, 어린아이의 손이 잘 닿지 않는 서랍장의 상단에 작동버튼이 마련됨으로써 어린아이들의 사용을 차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장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장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 안전 잠금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장의 잠금모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따른 서랍장의 잠금모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장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서랍장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장치의 절단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 안전 잠금장치를 구비한 서랍장을 구성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 안전 잠금장치(130)를 구비한 서랍장(100)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 안전 잠금장치(130)를 구비한 서랍장(100)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가구본체(110)와, 가구본체(110)에 수용되어 출입하는 복수의 서랍(120)들과 가구본체(110)로부터 서랍(120)들의 출입을 구속하는 서랍 안전 잠금장치(130)를 포함한다.
먼저,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가구본체(110)는 상판(112)과 두 측판(114), 후판(116), 밑판(118)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가구본체(110)의 전면은 개방되어 내부의 수용공간과 연통된다. 가구본체(110)의 내측 중앙에는 두 측판(114)과 평행하게 위치하는 중앙측판(115)이 마련된다. 중앙측판(115)은 후판(116)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구비된다. 가구본체(110)의 두 측판(114)과 중앙측판(115)에는 바퀴(119a)가 결합되어져 있는 가이드레일(119)이 설치되어 있다. 상판(112)에는 후기하는 메인샤프트(134)의 상단부가 출입하는 샤프트출입홈(111)이 형성되어 있다.
서랍(120)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다단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열3단의 서랍(120)들이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하나의 일 실시예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서랍(120)들은 다양한 열과 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랍(120)의 양측면에는 이동바퀴(122a)를 갖는 이동레일(122)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동레일(122)은 가구본체(110)의 가이드레일(119)에 삽입되어져 슬라이딩 이동한다. 이를 통하여 서랍(120)이 가구본체(110)의 전면으로부터 출입하게 된다. 서랍(120)의 후단부에는 걸림부재(132)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는 후술하는 서랍 안전 잠금장치(130)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서랍 안전 잠금장치(130)는 서랍(120)의 후단부와, 가구본체(110)의 중앙측판(115)과 후판(116)이 이격되어 형성되어진 공간에 구비된다. 서랍 안전 잠금장치(130)는 걸림부재(132)와 메인샤프트(134), 차단부재(136), 브라켓(138), 고정장치(139)를 포함한다.
걸림부재(132)는 서랍(120)의 후단부에서 서랍(120)의 일측면보다 더 돌출되도록 고정된다. 걸림부재(132)는 단면이 'ㅗ'자 형태로 서랍(120)의 후면에 고정되는 후면결합판(132a)과, 후면결합판(132a)으로부터 연장되어 서랍(120)의 측면보다 더 돌출되는 걸림판(132c)과, 후면결합판(132a)과 걸림판(132c)의 중간에서 수직하게 연장되어 서랍(120)의 측면에 고정되는 측면결합판(132b)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면이 'ㅗ'자 형태인 걸림부재(132)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단면이 'ㄱ'자나 'ㅡ'같은 다양한 형태로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132)는 충격에 의한 변형이나 파손이 생기지 않도록 금속 등의 단단한 재질로 제작되는것이 바람직하다.
메인샤프트(134)는 가구본체(110)의 상판(112)과 하판(118)사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가구본체(110)의 상판(112)에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출입홈(111)에 상단부가 출입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메인샤프트(134)는 길이가 긴 로드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는 하나의 일 실시예로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사각형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메인샤프트(134)의 길이방향으로는 복수개의 나사결합홈(137b)이 형성되어 있다.
차단부재(136)는 메인샤프트트(134)의 외주에 대응되는 샤프트결합부(136a)와, 이 샤프트결합부(136a)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있는 차단판(136b)과, 샤프트결합부(136a)의 중앙에 중공으로 형성되어진 나사통과구멍(137a)으로 이루어진다. 차단부재(136)는 메인샤프트(134)의 나사결합홈(137b)과 차단부재(136)의 나사통과구멍(137b)에 삽입되는 결합나사(137)를 통하여 메인샤프트(134)에 고정된다.
덧붙여, 차단부재(136)의 개수는 가구본체(110)에 구비되는 서랍(120)들의 단수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3단의 서랍(120)들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3개의 차단부재(136)가 마련되며, 4단의 서랍(120)으로 구성되어진 경우에는 4개의 차단부재(136)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2열로 구성된 서랍(120)들이 아닌 1열이나 3열인 경우에는 차단부재(136)의 차단판(136b)이 샤프트결합부(136a)로부터 양쪽이 아닌 한쪽으로 연장되어 제작된다.
브라켓(138)은 대략 육면체의 형태이며, 브라켓(138)의 상단과 하단을 관통하여 원형의 중공으로 형성된 샤프트지지홀(138a)을 갖는다. 샤프트지지홀(138a)의 원호는 메인샤프트(134)가 통과할 수 있도록 메인샤프트(134)의 외주와 대응되도록 마련된다. 브라켓(138)은 중앙측판(115)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메인샤프트(134)가 수직으로 상하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브라켓(138)은 차단부재(136)들의 사이에 구비되는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브라켓(138)이 마련되어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고정장치(139)는 케이스(139a)와 누름버튼(139b), 회전체(139c), 코일스프링(139d)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로터리형 푸쉬 버튼(ROTARY PUSH BUTTON)방식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공지기술이며, 이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케이스(139a)의 내부에는 일정간격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개방되어져 있다. 케이스(139a)의 내부는 수용공간이 구비되며 이 수용공간에 상기한 누름버튼(139b)과, 회전체(139c), 코일스프링(139d)이 내장된다. 누름버튼(139b)의 상단에는 샤프트고정구멍(134a)이 형성되며 이 샤프트고정구멍(143)에 메인샤프트(134)의 하단부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누름버튼(139b)의 외주면에는 케이스(139a)의 가이드홈를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딩돌기를 갖으며 누름버튼(139b)의 단부는 산이 연속되는 모양의 톱니를 갖는다. 회전체(139c)의 단부에도 누름버튼(139b)의 톱니와 상호작용하도록 산이 연속되는 모양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으며, 케이스(139a)의 가이드홈를 따라 이동하는 이동돌기를 갖는다. 회전체(139c)의 내측에는 코일스프링(139d)이 삽입되어 회전체(139c)를 상방으로 바이어싱한다.
고정장치(139)는 일반적인 볼펜의 버튼과 같은 구조로써 누름버튼(139b)에 힘이 가해지면 누름버튼(139b)과 회전체(139c)가 하강함과 동시에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체(139c)가 케이스(139a)의 가이드홈에 걸려 하강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때, 다시 누름버튼(139a)에 힘이 가해지면 누름버튼(139a)과의 상호작용에 따라 다시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체(139c)와 이 회전체(139c)를 상방으로 바이어싱하는 코일스프링(139d)로 인하여 회전체(139c)와 누름버튼(139b)의 슬라이딩돌기와 이동돌기가 케이스(139a)의 가이드홈을 따라 상승한다. 이처럼 로터리형 푸쉬 버튼의 누름버튼(139a)는 한번의 힘이 가해지면 하강한 후 고정되며, 다시 한번의 힘이 가해지면 초기 위치로 상승하게 된다.
지금부터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랍 안전 잠금장치를 구비한 서랍장을 작용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메인샤프트(134)의 상단부가 가구본체(110)의 상판(112)에 형성되어 있는 샤프트출입홈(111)에 돌출되어 있을때에는 서랍 안전 잠금장치(130)의 잠금이 해제되어 있는 상태로 일반적인 가구와 같이 사용이 가능하다. 이때의 서랍 안전 잠금장치(130)의 상태를 살펴보면, 차단부재(136)가 메인샤프트(134)에 고정되어 상승되어 있는 상태로 걸림부재(132)와 겹치지 않는 위치에 놓이게된다. 이를 통하여 걸림부재(132)가 결합되어 있는 서랍(120)들은 가구본체(110)의 전면 개방구로 부터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
가구본체(110)로부터 서랍(120)의 잠금이 필요할 시에는 도 4와 도 5를 살펴보면, 상판(112)의 샤프트출입홈(11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메인샤프트(134)의 상단부를 'A'방향으로 눌러준다. 메인샤프트(134)는 하단부에서 메인샤프트(134)와 연동되는 고정장치(139)로 인하여 하강한 상태로 고정된다. 이와 더불어 메인샤프트(134)에 고정된 차단부재(136)도 하강하며 걸림부재(132)와 수평의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차단부재(132)는 걸림부재(136)보다 앞쪽에 위치하여 걸림부재(136)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이로 인하여 걸림부재(136)가 고정되어 있는 서랍(120)들 또한 가구본체(110)의 전면 개방구로 출입하는 것이 제한된다.
다시, 도 6과 도 7을 살펴보면, 가구본체(110)로부터 서랍(120)들이 출입가능하도록 잠금상태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메인샤프트(134)의 상단부를 다시 한번 눌러주면 메인샤프트(134)와 고정되어 작동하는 고정장치(139)로 인하여 메인샤프트(134)가 'B'방향으로 상승하며 원위치로 복귀한다. 그리고 원위치된 상태에서는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부재(132)와 걸림부재(136)가 서로 중첩되거나 겹치지 않으므로 자유롭게 서랍(120)의 이동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메인샤프트(134)의 상단을 푸쉬하는것으로 간편하게 서랍(120)들을 가구본체(110)로부터 락킹시키거나 해제하는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하여 자물쇠 없이도 서랍(120)의 시건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잠금장치를 작동시키는 버튼인 메인샤프트(134)의 상단부는 가구본체(110)의 상판(112)에 구비되어 있으며, 일반적인 다단서랍장의 경우에는 유아나 어린이의 손이 상판(112)에 잘 닿지 않기 때문에 안전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서랍장 110 : 가구본체
120 : 서랍 130 : 서랍 안전 잠금장치
132 : 걸림부재 134 : 메인샤프트
136 : 차단부재 138 : 브라켓
139 : 고정장치

Claims (5)

  1.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서랍(120)들이 구비된 가구본체(110)에 있어서,
    상기 서랍(120)의 후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걸림부재(132)와;
    상기 가구본체(110)에 수직으로 상하 왕복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메인샤프트(134)와;
    상기 메인샤프트(134)에 고정되어 상기 메인샤프트(134)의 상하 움직임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132)의 이동을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차단부재(136)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샤프트(134)의 상단부는 상기 가구본체(110)의 상단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메인샤프트(134)의 푸쉬를 통하여 상기 메인샤프트(134)의 상하 이동 및 정지를 컨트롤 하는 고정장치(139)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장치(139)는 상기 메인샤프트(134)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누름버튼(139a)과;
    상기 누름버튼(139a)과 상호작용하며 간헐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체(139b)와;
    상기 회전체(139b)를 상방으로 바이어싱하는 코일스프링(139c)으로 구성되는 로터리형 푸쉬 버튼 방식인 서랍 안전 잠금장치(13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132)는 상기 서랍(120)의 후단부에 부착되는 'ㅗ'형상의 플레이트이며, 상기 차단부재(136)는 상기 메인샤프트(134)에 결합되는 샤프트결합부(136a)와 상기 샤프트결합부(136a)에서 양측으로 연장되는 차단판(136b)으로 이루어진 서랍 안전 잠금장치(13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구본체(110)의 내부에 고정되며, 상기 메인샤프트(134)가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브라켓(138)을 포함하는 서랍 안전 잠금장치(130).
  4. 삭제
  5.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가구본체(110)와;
    상기 가구본체(110)에 다단으로 삽입되어 상기 가구본체(110)로부터 출입하는 복수의 서랍(120)들과;
    상기 가구본체(110)와 상기 서랍(120)들에 결합되어 상기 가구본체(110)로부터 상기 서랍(120)들의 출입을 구속할 수 있는 상기 청구항 1항 내지 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서랍 안전 잠금장치(130)를 포함하는 서랍장(100).
KR1020150089489A 2015-06-24 2015-06-24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 KR101659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489A KR101659229B1 (ko) 2015-06-24 2015-06-24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9489A KR101659229B1 (ko) 2015-06-24 2015-06-24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229B1 true KR101659229B1 (ko) 2016-09-22

Family

ID=57102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9489A KR101659229B1 (ko) 2015-06-24 2015-06-24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2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7343B1 (ko) 2020-05-27 2020-08-24 주식회사 윈텍 서랍장용 지문인식 잠금장치
KR102166294B1 (ko) * 2020-04-10 2020-10-15 민광표 안전 감금 장치가 구비된 서랍장
KR102178513B1 (ko) * 2020-09-08 2020-11-13 민광표 안전 잠금 장치가 구비된 서랍장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2309A (ko)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퍼시스 서랍 잠금장치
KR20120003390U (ko) * 2010-11-08 2012-05-16 박기준 서랍용 디지털 잠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2309A (ko) * 2009-02-12 2010-08-20 주식회사 퍼시스 서랍 잠금장치
KR20120003390U (ko) * 2010-11-08 2012-05-16 박기준 서랍용 디지털 잠금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6294B1 (ko) * 2020-04-10 2020-10-15 민광표 안전 감금 장치가 구비된 서랍장
KR102147343B1 (ko) 2020-05-27 2020-08-24 주식회사 윈텍 서랍장용 지문인식 잠금장치
KR102178513B1 (ko) * 2020-09-08 2020-11-13 민광표 안전 잠금 장치가 구비된 서랍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47546B2 (en) Cabinet of storage units
KR101659229B1 (ko) 서랍 안전 잠금장치 및 이를 구비한 서랍장
US9382730B1 (en) Locking device for two-way travel drawer
JP2015012954A (ja) 収納ケース
US6375016B1 (en) Knife holder with safety lock
KR101730417B1 (ko) 서랍의 개별 인출로 잠금 유도되는 선택형 전도방지 서랍장
KR20180015453A (ko) 다단서랍장의 록킹장치
JP2014181467A (ja) 収納キャビネットの引出しロック機構
KR101848366B1 (ko) 서랍의 인출 범위가 임의 조절되는 전도방지형 서랍장
US3796474A (en) Molded plastic drawer
KR101730427B1 (ko) 서랍의 개별 인출로 잠금 유도되는 전도방지형 서랍장
KR20180010786A (ko) 조립식 수납장의 서랍
KR102166294B1 (ko) 안전 감금 장치가 구비된 서랍장
KR102631456B1 (ko) 서랍 잠금장치
KR102032471B1 (ko) 조합형 캐비넷의 투인원 잠금장치
CN211582271U (zh) 一种储物柜
KR200474593Y1 (ko) 경량 시스템 서랍장
KR101774347B1 (ko) 잠금장치가 구비된 조립식 서랍장용 서랍
KR200395229Y1 (ko) 플라스틱 수납박스
AU2015100018A4 (en) Locking device for two-way travel drawer
JP7078279B2 (ja) ロック機構付き引き出し式収納ボックス
CN210563883U (zh) 一种用于多抽抽屉柜的联动锁机构
CN215838059U (zh) 锁合装置及防护屏障
KR101331715B1 (ko) 수납공간의 활용이 용이한 수납가구
KR20120133542A (ko)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