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33542A -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 Google Patents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33542A
KR20120133542A KR1020110052247A KR20110052247A KR20120133542A KR 20120133542 A KR20120133542 A KR 20120133542A KR 1020110052247 A KR1020110052247 A KR 1020110052247A KR 20110052247 A KR20110052247 A KR 20110052247A KR 20120133542 A KR20120133542 A KR 201201335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rod
housing
release
spi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37097B1 (ko
Inventor
최기환
안대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1005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7097B1/ko
Publication of KR2012013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7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7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12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 E05B79/16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connecting rod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linking the rods to other lock parts, e.g. to lever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트레이 록킹해제장치는 덮개의 후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버튼 하우징과; 상기 버튼 하우징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버튼 스프링을 통해 탄성 지지되는 해제버튼과; 상기 버튼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 스피너와; 상기 버튼 하우징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버튼 스피너와 접속되는 버튼 로드와; 상기 버튼 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로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 a tray unlocking apparatus }
본 발명은 트레이의 덮개를 잠글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 록킹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해제버튼의 상하방향 작동을 통해 회전하는 버튼 스피너를 통해 버튼 로드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록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실내에 설치되어 물품을 수납하는 트레이나 글로브 박스는 물품 출입구가 마련되는 함형 본체와; 상기 함형 본체의 물품 출입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를 열림을 방지하는 록킹장치;를 구비하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상기 트레이 록킹장치는 스프링으로 탄성 지지되는 록킹 로드가 덮개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함형 본체에 상기 록킹 로드가 삽입되는 잠금구멍이 마련된 형태로 구성되어 덮개를 닫게 되면 잠금구멍에 록킹 로드가 삽입 결합됨으로써 덮개가 록킹되고, 덮개에 설치된 해제버튼을 누르면 록킹 로드가 잠금구멍에서 빠져나옴으로써 덮개의 록킹이 해제되는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한 트레이 록킹해제장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종래의 트레이 록킹해제장치의 버튼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동 종래의 트레이 록킹해제장치의 요부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 같이 종래의 트레이 록킹해제장치는 버튼 하우징(310)의 내부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제버튼(320)의 하부에 경사면(321)이 마련되고, 버튼 하우징(310)의 내부 하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 로드(350)에 그와 대응되는 경사면(351)이 마련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종래의 트레이 록킹해제장치(300)는 덮개가 록킹된 상태에서 해제버튼(320)을 누르게 되면 해제버튼(320)의 하부에 마련된 경사면(321)이 하강하면서 스프링(340)으로 탄성 지지되는 버튼 로드(350)에 마련된 경사면(351)을 눌러 버튼 로드(350)를 일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버튼 로드(350)가 록킹 로드를 당기게 되어 덮개의 록킹이 해제되는 것이지만 해제버튼(320)의 경사면(321)과 그와 대응되는 버튼 로드(350)의 경사면(351)의 각도가 크게 되면 버튼 로드(350)의 이동거리 및 록킹 로드의 이동거리가 짧게 되어 원활한 록킹 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해제버튼(320)의 경사면(321)과 그와 대응되는 버튼 로드(350)의 경사면(351)의 각도가 작게 되면 해제버튼(320)의 이동거리가 길게 될 뿐 아니라 해제버튼(320)을 누르기가 어렵게 되는 작동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고 오동작의 우려가 많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오동작의 우려없이 보다 안정적으로 덮개의 록킹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트레이 록킹해제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트레이 록킹해제장치는 덮개의 후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버튼 하우징과; 상기 버튼 하우징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버튼 스프링을 통해 탄성 지지되는 해제버튼과; 상기 버튼 하우징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 스피너와; 상기 버튼 하우징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버튼 스피너와 접속되는 버튼 로드와; 상기 버튼 로드를 탄성 지지하는 로드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트레이 록킹해제장치는 상기 버튼 하우징의 상단 둘레에 설치되어 해제버튼의 유동을 방지하는 베젤과; 상기 버튼 하우징의 상부를 밀폐하는 버튼 캡;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레이 록킹해제장치에 있어서 버튼 하우징은 상부에 해제버튼 가이드부가 마련되고, 하부에 버튼 로드 가이드부가 마련된다.
해제버튼은 접촉판의 하부에 승강막대가 마련되고, 승강막대의 일측에 누름편이 마련된다.
버튼 스피너는 상기 버튼 하우징의 버튼 로드 가이드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 일측에 버튼 로드의 캠 접속돌기에 접속되는 캠홈이 마련되고, 외주 중앙에 상기 해제버튼의 누름편과 접촉되는 눌림편이 마련된다.
버튼 로드는 상기 버튼 하우징의 버튼 로드 가이드부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버튼 스피너가 삽입 접속되는 버튼 스피너 접속부가 마련되고, 타측에 록킹 로드 접속축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트레이 록킹해제장치는 해제버튼을 눌렀을 때에 해제버튼이 버튼 스피너를 회전시키고, 버튼 스피너가 버튼 로드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덮개의 록킹이 해제되는 것으로, 보다 적은 힘으로도 안정적으로 버튼 로드 및 록킹 로드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되어 덮개의 록킹 해제를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한 트레이 록킹해제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동 종래의 트레이 록킹해제장치의 버튼 하우징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동 종래의 트레이 록킹해제장치의 요부 분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동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동 실시예의 버튼 하우징과 버튼 캡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7은 동 실시예의 장착상태의 요부 평면도
도 8은 동 실시예의 장착상태의 요부 사시도
도 9는 동 실시예의 장착상태의 사시도
이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기술 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동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동 실시예의 버튼 하우징과 버튼 캡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트레이 록킹해제장치(100)는
덮개(220)의 후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버튼 하우징(110)과;
상기 버튼 하우징(1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버튼 스프링(180)을 통해 탄성 지지되는 해제버튼(120)과;
상기 버튼 하우징(1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 스피너(130)와;
상기 버튼 하우징(110)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버튼 스피너(130)와 접속되는 버튼 로드(140)와;
상기 버튼 로드(140)를 탄성 지지하는 로드 스프링(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의 트레이 록킹해제장치(100)는 상기 버튼 하우징(110)의 상단 둘레에 설치되어 해제버튼(120)의 유동을 방지하는 베젤(160)과;
상기 버튼 하우징(110)의 상부를 밀폐하는 버튼 캡(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버튼 하우징(110)은 상부에 해제버튼 가이드부(111)가 마련되고, 하부에 버튼 로드 가이드부(112)가 마련된다.
그리고 해제버튼(120)은 접촉판(121)의 하부에 승강막대(122)가 마련되고, 승강막대(122)의 일측에 누름편(123)이 마련된다.
버튼 스피너(130)는 상기 버튼 하우징(110)의 버튼 로드 가이드부(112)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 일측에 버튼 로드(140)의 캠 접속돌기(미도시)에 접속되는 캠홈(131)이 마련되고, 외주 중앙에 상기 해제버튼(120)의 누름편(123)과 접촉되는 눌림편(132)이 마련된다.
버튼 로드(140)는 상기 버튼 하우징(110)의 버튼 로드 가이드부(112)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버튼 스피너(130)가 삽입 접속되는 버튼 스피너 접속부(141)가 마련되고, 타측에 록킹 로드 접속축(142)이 마련된다.
상기 버튼 로드(140)의 버튼 스피너 접속부(141)의 외주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돌기(143)가 형성된다.
로드 스프링(150)은 상기 버튼 로드(140)의 록킹 로드 접속축(142)에 삽입 설치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장착상태의 요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동 실시예의 장착상태의 요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동 실시예의 장착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트레이 록킹해제장치에 있어서는 해제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하강하는 해제버튼(120)의 승강막대(122)의 누름편(123)이 버튼 스피너(130)의 눌림편(132)를 누르게 되고, 그에 따라 버튼 스피너(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에서 버튼 스피너(13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버튼 스피너(130)의 캠홈(131)에 접속된 버튼 로드(140)가 우측으로 밀리게 되며, 버튼 로드(140)가 우측으로 이동되면 로터리(192)의 전방에 접속된 좌측 록킹 로드(191)를 우측으로 밀게 되고, 좌측 록킹 로드(191)가 로터리(192)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로터리(19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로터리(192)의 상부에 접속된 우측 록킹 로드(193)가 좌측으로 당겨지게 되므로 우측 록킹 로드(193)가 함형 본체(210)의 잠금구멍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되어 덮개(220)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
한편 록킹을 해제한 후에 덮개(220)를 열고 해제버튼(120)에서 손을 떼게 되면 버튼 스프링(18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해제버튼(120)은 원위치로 복귀되고, 로드 스프링(150)의 탄성력이 작용하는 버튼 로드(140)가 원위치로 복귀되며, 원위치로 복귀되는 버튼 로드(140)에 의해 버튼 스피너(130)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110 : 버튼 하우징
111 : 해제버튼 가이드부
112 : 버튼 로드 가이드부
120 : 해제버튼
121 : 접촉판
122 : 승강막대
123 : 누름편
130 : 버튼 스피너
131 : 캠홈
132 : 눌림편
140 : 버튼 로드
150 : 로드 스프링
160 : 베젤
170 : 버튼 캡
180 : 버튼 스프링
210 : 함형 본체
220 : 덮개

Claims (4)

  1. 물품 출입구가 마련되는 함형 본체(210)와; 상기 함형 본체(210)의 물품 출입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220)와; 상기 덮개(220)를 열림을 방지하는 록킹장치;를 구비하는 트레이의 록킹해제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덮개(220)의 후면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버튼 하우징(110)과;
    상기 버튼 하우징(110)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버튼 스프링(180)을 통해 탄성 지지되는 해제버튼(120)과;
    상기 버튼 하우징(1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버튼 스피너(130)와;
    상기 버튼 하우징(110)의 내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버튼 스피너(130)와 접속되는 버튼 로드(140)와;
    상기 버튼 로드(140)를 탄성 지지하는 로드 스프링(15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하우징(110)의 상단 둘레에 설치되어 해제버튼(120)의 유동을 방지하는 베젤(160)과;
    상기 버튼 하우징(110)의 상부를 밀폐하는 버튼 캡(17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버튼 하우징(110)은 상부에 해제버튼 가이드부(111)가 마련되고, 하부에 버튼 로드 가이드부(112)가 마련되며;
    해제버튼(120)은 접촉판(121)의 하부에 승강막대(122)가 마련되고, 승강막대(122)의 일측에 누름편(123)이 마련되며;
    버튼 스피너(130)는 상기 버튼 하우징(110)의 버튼 로드 가이드부(112)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주 일측에 버튼 로드(140)의 캠 접속돌기에 접속되는 캠홈(131)이 마련되고, 외주 중앙에 상기 해제버튼(120)의 누름편(123)과 접촉되는 눌림편(132)이 마련되며;
    버튼 로드(140)는 상기 버튼 하우징(110)의 버튼 로드 가이드부(112)에 전후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 상기 버튼 스피너(130)가 삽입 접속되는 버튼 스피너 접속부(141)가 마련되고, 타측에 록킹 로드 접속축(142)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버튼 로드(140)의 버튼 스피너 접속부(141)의 외주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돌기(1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KR1020110052247A 2011-05-31 2011-05-31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KR101237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247A KR101237097B1 (ko) 2011-05-31 2011-05-31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2247A KR101237097B1 (ko) 2011-05-31 2011-05-31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3542A true KR20120133542A (ko) 2012-12-11
KR101237097B1 KR101237097B1 (ko) 2013-02-25

Family

ID=47516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2247A KR101237097B1 (ko) 2011-05-31 2011-05-31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70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7726A (zh) * 2017-04-28 2017-08-2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仪表板中央储物盒
CN110805366A (zh) * 2019-12-13 2020-02-18 芜湖宇创汽车科技有限公司 解锁控制器以及汽车手套箱锁机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7440B2 (ja) 2004-12-02 2010-03-24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開閉装置
KR100752227B1 (ko) * 2006-05-10 2007-08-27 덕양산업 주식회사 버튼을 이용한 글로브박스의 개폐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7726A (zh) * 2017-04-28 2017-08-29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仪表板中央储物盒
CN110805366A (zh) * 2019-12-13 2020-02-18 芜湖宇创汽车科技有限公司 解锁控制器以及汽车手套箱锁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7097B1 (ko) 2013-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218258A5 (ko)
WO2015083619A1 (ja) ロック機構及び開閉装置
EP2740830B1 (en) Detergent case apparatus for washing machine
KR20170046680A (ko) 비지퍼 개폐식 슈트케이스에 설치되는 록킹 세트 및 여행용 슈트케이스
CN104717853A (zh) 具可掀式盖体的组合件及其可移动的转轴模块
KR101237097B1 (ko)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KR101183122B1 (ko) 사물함용 손잡이
KR101237162B1 (ko)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CN106592165B (zh) 一种洗涤剂投放装置及洗衣机
KR101438066B1 (ko)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JP3178093U (ja) スーツケースの二重施錠装置
KR20120131806A (ko)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KR200468244Y1 (ko) 도난방지 기능이 강화된 창문용 잠금장치
KR20150094857A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록킹장치
EP3067458B1 (en) Detergent box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KR20110089027A (ko) 도어 안전 장치
JP5894218B2 (ja) 磁石サイドロック
KR101295340B1 (ko) 가구용 개폐 핸들
KR20130068987A (ko) 글로브 박스의 푸쉬 타입 록킹장치
KR101349045B1 (ko) 푸시 방식 글로브 박스 록킹 장치
CN215520439U (zh) 可收纳钥匙的挂锁
CN217066046U (zh) 烹饪器具
KR200451275Y1 (ko) 차량용 트레이
JP3181191U (ja)
KR101710978B1 (ko)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캐비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