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0978B1 -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캐비닛 - Google Patents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캐비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0978B1
KR101710978B1 KR1020160125350A KR20160125350A KR101710978B1 KR 101710978 B1 KR101710978 B1 KR 101710978B1 KR 1020160125350 A KR1020160125350 A KR 1020160125350A KR 20160125350 A KR20160125350 A KR 20160125350A KR 101710978 B1 KR101710978 B1 KR 101710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awer
key bar
opening
storag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3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훈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드메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드메탈
Priority to KR1020160125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09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0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0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6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 E05B65/462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drawers for two or more drawers
    • E05B65/463Drawer interlock or anti-tilt mechanisms, i.e. when one drawer is open, at least one of the remaining drawers is lock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1/00Cabinets or racks specially adapted for other particular purposes, e.g. for storing guns or sk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랍식 수납공간의 잠금 여부가 비서랍식 수납공간에서 키바와 연동하는 개폐수단으로 인해 결정되고 나아가 개폐를 위해 승강 움직임이 허용되는 제반 요소에 대해 보다 확실하고 탄력있는 상하 이동을 구현되게 유도함으로써 안정적인 위치 제어 및 상하 유연한 승강 행위가 이루어짐에 따라 개폐 여부를 더욱 확실하게 결정할 수 있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캐비닛에 관한 것으로, 서랍식 수납공간(A)과 비서랍식 수납공간(B)을 구분하는 격벽(3)에 위치 고정되어 키바의 작동핀(2)을 이출입 허용하는 구속유닛(10); 구속유닛에 대응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차단된 내부 공간을 구축하는 커버유닛(20); 커버유닛과 구속유닛 사이 공간에 개재되어 키바의 작동핀과 결부되고 커버유닛 전면에서 위치 조작이 이루어져 상하 움직임의 가변을 결정함에 따라 키바 승강을 제어하는 조작유닛(30);을 포함하고, 위 구속유닛(10)은 조작유닛(30)의 승강 이동시 커버유닛(20) 방향으로 조작유닛을 압박하기 위한 탄지대(70)가 더 형성되어 조작유닛의 상하 위치 결정이 탄력적으로 실행되게 한다.

Description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캐비닛{CABINET LOCKING DEVICE WITH KEY-BAR AND MULTI CABINET THEREOF}
본 발명은 서랍식 수납공간과 비서랍식 수납공간이 하나의 구분된 공간에서 일체화 형성되는 멀티 캐비닛에 관하여 개시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서랍식 수납공간의 잠금 여부가 비서랍식 수납공간에서 키바와 연동하는 개폐수단으로 인해 결정되고 나아가 개폐를 위해 승강 움직임이 허용되는 제반 요소에 대해 보다 확실하고 탄력있는 상하 이동을 구현되게 유도함으로써 안정적인 위치 제어 및 상하 유연한 승강 행위가 이루어짐에 따라 개폐 여부를 더욱 확실하게 결정할 수 있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캐비닛에 관한 것이다.
캐비닛이라 함은 각종 사물이나 기타 물품을 보관하기 위하여 함체형으로 제공되는 직립식 상자를 지칭하고, 통상 철재로 제공되어 각 부품을 서로 나사로 결합시키거나 용접 등의 방식으로 체결하고 있다.
근래 들어 캐비닛은 다양한 소비자 요구에 따라 활용성 내지 편의성이 극대화된 구조로 제공되고 있으며, 예컨대 캐비닛의 일반적인 구조로는 전면에 도어를 체결한 후 잠금장치의 제어로 수납부에 보관된 물품을 인출하거나 보관하는 등의 방식이거나 다단으로 배열된 서랍식 캐비닛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도어가 구비되는 수납부와 서랍이 적용된 서랍식 캐비닛을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관련 기술사상이 개시되고 있는바, 이는 비교적 부피가 큰 물품을 대상으로 보관 내지 수납이 필요로 되는 비서랍식 수납공간 및 작은 크기의 물품 정리 내지 구분 수용을 위해 필요로 되는 서랍식 수납공간을 서로 일체화 제공함으로써 소비자 니즈에 부합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기능의 캐비닛은 별도의 분리된 잠금장치가 필요로 되면서 그 취급 및 사용이 다소 불편할 뿐 아니라 각각 별도의 잠금장치를 설치해야 하므로 공간의 효율적인 사용이 저하되고, 제품 단가의 상승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등록특허번호 제10-1306720호(등록일자 2013.09.04)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352554호(등록일자 2004.05.27)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067216호(등록일자 1992.09.17) 등록실용신안번호 제20-0066832호(등록일자 1992.08.31)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하나의 잠금장치만으로 비서랍식 수납공간과 서랍식 수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은 키바와 연동하여 서랍의 개폐를 결정하는 관련 행위시 승강 움직임이 더욱 탄력있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다른 해결과제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러한 개폐수단을 보다 다양한 형태로 제공하여 광범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또 다른 해결과제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캐비닛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위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100)은 서랍의 잠금 여부를 결정하는 키바(1)와 결부되어 해당 키바의 상하 움직임을 제어하되, 서랍식 수납공간(A)과 비서랍식 수납공간(B)을 구분하는 격벽(3)에 위치 고정되어 키바의 작동핀(2)을 이출입 허용하는 구속유닛(10); 구속유닛에 대응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차단된 내부 공간을 구축하는 커버유닛(20); 커버유닛과 구속유닛 사이 공간에 개재되어 키바의 작동핀과 결부되고 커버유닛 전면에서 위치 조작이 이루어져 상하 움직임의 가변을 결정함에 따라 키바 승강을 제어하는 조작유닛(30);을 포함하고, 위 구속유닛(10)은 조작유닛(30)의 승강 이동시 커버유닛(20) 방향으로 조작유닛을 압박하기 위한 탄지대(70)가 더 형성되어 조작유닛의 상하 위치 결정이 탄력적으로 실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위 조작유닛(30)은 구속유닛(10)과 커버유닛(20) 상간에 수용되는 플레이트(31); 플레이트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커버유닛의 승강홀(21)을 통해 외부 노출되는 작동간(32); 플레이트 타면에 돌출 형성되어 키바의 작동핀(2)을 끼움 개재하는 수용체(33); 플레이트 일면 하방에서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돌부(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위 구속유닛(10)은 서랍식 수납공간(A)과 비서랍식 수납공간(B)을 구분하는 격벽(3)에 위치 고정되는 바디(11); 바디 내외로 관통 형성되어 작동핀(2)의 인입을 허용하는 핀홀(12); 핀홀 상방에 이격 형성되어 플레이트(31)를 지지하는 지지편(13); 핀홀 하방에서 내외 관통 형성되는 탄지공(14); 탄지공이 허용하는 공간 내에서 조작유닛(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탄지대(70);를 포함한다.
또한, 위 커버유닛(20)은 작동간(32)의 외부 노출과 상하 움직임을 허용하는 승강홀(21); 승강홀의 하방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어 돌출돌부(34)의 선택적인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제1,2요홈(22,23);을 포함한다.
이때 위 돌출돌부(34)는 구속유닛의 탄지대(70)에 의한 가압으로 제1요홈(22) 또는 제2요홈(23)에 맞물려 수용된 상태에서 위치 보존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예컨대 위 돌출돌부(34)는 제1요홈(22)에서 제2요홈(23)으로 위치 가변됨에 따라 키바(1)의 하향을 유도하여 잠금 해지로 전환시키되, 제1요홈에서 제2요홈 또는 제2요홈에서 제1요홈으로의 위치 조작시 탄지대(70)에 의한 국부적인 압박으로 조작유닛(30)의 상하 유동 움직임이 탄력적으로 실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한편, 위 탄지대(70)는 복원력을 보유한 라운드 형상의 탄성체인 것을 포함한다.
여기서 위 탄지대(70)는 탄지공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돌출 형상으로 경유하는 호 형상이되, 탄지공(14) 상단과 하단에 일체되거나 또는 탄지공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에 일체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위 탄지대(70)는 탄지공(14) 내부에 수용된 스프링(5) 신축(伸縮)에 의해 탄지공이 허용하는 공간 내에서 버튼식 돌출 여부가 결정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그리고 위 탄지대(70)와 지지편(13)은 각각 바디(11) 내면에서 서로 동일한 거리만큼 돌출 연장시켜 플레이트(31)의 직립이 유도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서랍식 수납공간의 잠금 여부가 비서랍식 수납공간에서 키바와 연동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결정되므로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것은 물론 탄지대의 부가 채택으로 인해 키바의 승강 움직임이 보다 정확하고 탄력있게 제어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탄지대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구현함으로써 상황별 또는 기타 설치 여건에 따라 광범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바, 탄지대로부터 기인하는 압박에 의해 조작유닛의 승강 움직임이 간섭 정도에 따라 더욱 확실하게 유도되므로 안정적인 위치 제어 및 상하 유연한 승강 행위에 기여하는 이점을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이 적용됨을 예시적으로 보인 사용 상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서랍식 수납공간(A)과 비서랍식 수납공간(B)이 하나의 구분된 공간에서 일체화 형성되는 멀티 캐비닛에 관하여 개시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서랍식 수납공간의 잠금 여부가 비서랍식 수납공간에서 키바와 연동하는 개폐수단으로 인해 결정되고 나아가 개폐를 위해 승강 움직임이 허용되는 제반 요소에 대해 보다 확실하고 탄력있는 상하 이동을 구현되게 유도함으로써 안정적인 위치 제어 및 상하 유연한 승강 행위가 이루어짐에 따라 개폐 여부를 더욱 확실하게 결정할 수 있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100)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캐비닛에 관련됨을 주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며,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의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이 적용됨을 예시적으로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위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100)은 서랍의 잠금 여부를 결정하는 키바(1)와 결부되어 해당 키바의 상하 움직임을 제어하되, 서랍식 수납공간(A)과 비서랍식 수납공간(B)을 구분하는 격벽(3)에 위치 고정되어 키바의 작동핀(2)을 이출입 허용하는 구속유닛(10); 구속유닛에 대응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차단된 내부 공간을 구축하는 커버유닛(20); 커버유닛과 구속유닛 사이 공간에 개재되어 키바의 작동핀과 결부되고 커버유닛 전면에서 위치 조작이 이루어져 상하 움직임의 가변을 결정함에 따라 키바 승강을 제어하는 조작유닛(30);을 포함한다.
특히 위 구속유닛(10)은 조작유닛(30)의 승강 이동시 커버유닛(20) 방향으로 조작유닛을 압박하기 위한 탄지대(70)가 더 형성되어 조작유닛의 상하 위치 결정이 탄력적으로 실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에서 특징으로 제안하는 구속유닛(10)은 조작유닛(30)의 움직임 구현시 관련 행위를 더욱 명확하고 정확하게 실시하기 위한 제반 요소로, 탄지대(70)를 기반으로 한 조작유닛의 가압으로 인해 커버유닛(20) 내면에 조작유닛이 밀착된 상태에서 정확한 위치 제어를 구현한다.
이를 위해 위 조작유닛(30)은 구속유닛(10)과 커버유닛(20) 상간에 수용되는 플레이트(31); 플레이트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커버유닛의 승강홀(21)을 통해 외부 노출되는 작동간(32); 플레이트 타면에 돌출 형성되어 키바의 작동핀(2)을 끼움 개재하는 수용체(33); 플레이트 일면 하방에서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돌부(34);로 구분 구성된다.
위 플레이트(31)는 구속유닛의 지지편(13)과 탄지대(70)를 기반으로 지지되면서 해당 일면이 커버유닛(20)의 내면과 밀착된다. 플레이트와 커버유닛의 상호 밀착은 돌출돌부(34)와 제1,2요홈(22,23)의 작용 측면에서 완벽히 설정되어야 하고, 지나친 밀착으로 인해 조작유닛의 상하 움직임이 불허되거나 또는 필요 이상의 유격으로 인해 조작유닛의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한다.
위 돌출돌부(34)는 전술한 것처럼 제1,2요홈(22,23)에 대응 형성되는 것으로, 예컨대 제1요홈(22)에 돌출돌부가 수용된 상태라면 서랍식 수납공간(A)이 록킹된 상태이고, 반면 제2요홈(23)에 돌출돌부가 수용된 상태라면 서랍식 수납공간(A)이 록킹 해제된 상태이다.
이는 키바(1) 작동에 근거한 것인데, 통상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은 형상의 키바는 작동핀(2)이 하강하면서 잠금 해제되고 작동핀의 상승으로 록킹 상태로 전환되는바, 작동핀과 결부된 조작유닛(30)의 하강은 곧 키바의 하강을 의미하므로 제1요홈과 제2요홈에 선택적으로 수용되는 돌출돌부(34)의 위치 결정에 의하여 서랍식 수납공간(A)의 잠금 여부가 전환된다.
위 수용체(33)는 키바의 작동핀(2)과 결부되는 구성요소로, 도면과 같이 작동핀과 끼움 결합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기타 조작유닛의 승강 움직임을 작동핀에 전달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특정 형태 내지 구조에 국한하지 않는다.
위 작동간(32)은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여 상하 위치를 가변되게 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작동간은 커버유닛에 관통 형성한 승강홀(21)을 통해 비서랍식 수납공간(B)에서 돌출되는바, 사용자는 비서랍식 수납공간(B)을 별도의 잠금장치로 개방한 후 작동간을 승강시킴에 따라 서랍식 수납공간(A)의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위 구속유닛(10)은 서랍식 수납공간(A)과 비서랍식 수납공간(B)을 구분하는 격벽(3)에 위치 고정되는 바디(11); 바디 내외로 관통 형성되어 작동핀(2)의 인입을 허용하는 핀홀(12); 핀홀 상방에 이격 형성되어 플레이트(31)를 지지하는 지지편(13); 핀홀 하방에서 내외 관통 형성되는 탄지공(14); 탄지공이 허용하는 공간 내에서 조작유닛(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탄지대(70);로 구분 구성된다.
아울러 위 탄지대(70)와 지지편(13)은 각각 바디(11) 내면에서 서로 동일한 거리만큼 돌출 연장시켜 플레이트(31)의 직립이 유도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구성은 조작유닛의 보다 정확한 움직임을 도모하는 것은 물론 자칫 제1,2요홈으로 돌출돌부(34)의 정확한 진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을 불식시키기 위함이다.
위 탄지공(14)은 탄지대(70)를 수용하는 공간이자 탄지대의 탄력을 발휘하는 공간으로, 돌출돌부(34)가 제1,2요홈(22,23)에서 벗어나 승강하는 경우 탄지공이 제공하는 공간상에서 탄지대의 수축 내지 후퇴가 실시될 수 있게 한다.
위 커버유닛(20)은 전술한 것처럼 작동간(32)의 외부 노출과 상하 움직임을 허용하는 승강홀(21); 및 승강홀의 하방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어 돌출돌부(34)의 선택적인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제1,2요홈(22,23);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돌출돌부(34)는 구속유닛의 탄지대(70)에 의한 가압으로 제1요홈(22) 또는 제2요홈(23)에 맞물려 수용된 상태에서 위치 보존되고, 이때 위 돌출돌부와 탄지대의 수평선상 위치는 서로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 제1요홈(22)과 제2요홈(23)은 서로 동일한 심도로 형성되거나 또는 어느 특정한 위치에서 보다 견고한 위치 구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심도로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또한, 제1요홈과 제2요홈은 돌출돌부의 간섭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하 움직임의 원활한 실시를 유도하는바, 제1요홈과 제2요홈이 근접하는 해당 굴곡을 다른 영역에 비해 완만하게 형성하여 돌출돌부의 이동성을 극대화한다.
예컨대 위 돌출돌부(34)는 제1요홈(22)에서 제2요홈(23)으로 위치 가변됨에 따라 키바(1)의 하향을 유도하여 잠금 해지로 전환시키되, 제1요홈에서 제2요홈 또는 제2요홈에서 제1요홈으로의 위치 조작시 탄지대(70)에 의한 국부적인 압박으로 조작유닛(30)의 상하 유동 움직임이 탄력적으로 실시되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이 캐비닛에 적용됨을 개략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랍식 수납공간(A)과 비서랍식 수납공간(B)으로 구획된 멀티 캐비닛에 대하여 본 발명의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을 채용하되, 서랍식 수납공간으로부터 비서랍식 수납공간으로 돌출되는 키바의 작동핀을 구속시켜 조작유닛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함으로써 해당 키바(1)의 승강으로 서랍의 잠금 여부가 결정된다.
무엇보다 조작유닛(30)의 상하 이동은 탄지대(70)에 의한 압박이 유지되면서 커버유닛(20)과 밀착된 상태로 실시되는바, 제1요홈(22)에서 제2요홈(23)으로 돌출돌부(34)가 이동함에 따라 플레이트(31)는 탄지대에 의해 더욱 가압되고 이때 탄지대는 자체 보유한 탄성에 의해 스프링과 같이 소정의 범위 내에서 신축되며, 탄지대(70)의 이러한 작용에 기인하여 조작유닛의 돌출돌부는 제1요홈에서 제2요홈 또는 제2요홈에서 제1요홈으로 이어지는 경로 상에서 서로 이격되지 않고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위 탄지대는 조작유닛의 돌출돌부가 제1요홈이나 제2요홈이 제공하는 공간상으로 더욱 정확하게 진입 유도하는 것은 물론 제1요홈이나 제2요홈으로부터 벗어날 경우에도 자체 탄성에 의해 돌출돌부의 단차만큼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조작유닛의 플레이트를 밀어 커버유닛 내면에 밀착 유지되게 한다.
도 7은 멀티 캐비닛에 본 발명의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이 적용되어 서랍식 수납공간(A)의 해당 서랍이 잠긴 상태로 유지됨을 도시한 것이고, 도 8은 멀티 캐비닛 상에서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을 제어함에 따라 서랍식 수납공간(A)의 해당 서랍이 개방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 키바(1)의 작동 내지 잠금 여부와 관련한 구조 등은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주된 요부로 제시하고 있는 위 탄지대(70)는 복원력을 보유한 라운드 형상의 탄성체인 것을 포함한다.
도 3은 이러한 탄지대의 실시예 중 어느 하나를 도시한 것으로, 위 탄지대(70)는 탄지공(14)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돌출 형상으로 경유하는 호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때 위 탄지대는 탄지공 상단과 하단에서 각각 일체화되고 양측이 탄지공으로부터 이격 형성되므로 돌출돌부(34) 움직임 시 상대적인 가압 내지 수축(후퇴)이 도모될 수 있다.
도 4는 도 3과 다른 형태의 탄지대를 도시한 것으로, 이때의 탄지공은 도 3의 형상과 동일하게 호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고 다만 탄지공(14)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에만 일체화되어 돌출돌부 움직임 시 수축(후퇴) 행위가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가령 도 4의 상세 영역과 같이 해당 탄지대가 탄지공의 상단과 일체화되고 탄지공 하단과는 단락 형성되므로 돌출돌부의 상하 움직임에 의해 탄지공 하단과 단락 상태의 탄지대 영역이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와 같은 형태의 탄지대(70)는 탄지공(14) 내부에 수용된 스프링(5) 신축(伸縮)에 의해 탄지공이 허용하는 공간 내에서 버튼식 돌출 여부가 결정되게 하는 것이다.
이때의 탄지대는 탄지공(14) 내부에서 균일한 압박 내지 접촉이 유지될 수 있게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스프링(5) 및 스프링에 의해 플레이트와 접촉하면서 신축 작용이 발휘되는 커버(식별번호 없음)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서랍식 수납공간의 잠금 여부가 비서랍식 수납공간에서 키바와 연동하는 개폐수단에 의해 결정되므로 편의성이 극대화되는 것은 물론 탄지대의 부가 채택으로 인해 키바의 승강 움직임이 보다 정확하고 탄력있게 제어될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탄지대의 구성을 선택적으로 다양하게 구현함으로써 상황별 또는 기타 설치 여건에 따라 광범위한 사용을 가능하게 하는바, 탄지대로부터 기인하는 압박에 의해 조작유닛의 승강 움직임이 간섭 정도에 따라 더욱 확실하게 유도되므로 안정적인 위치 제어 및 상하 유연한 승강 행위에 기여하는 이점을 발휘한다.
1. 키바
2. 작동핀
3. 격벽
5. 스프링
10. 구속유닛
20. 커버유닛
30. 조작유닛
70. 탄지대
100.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Claims (11)

  1. 서랍의 잠금 여부를 결정하는 키바(1)와 결부되어 해당 키바의 상하 움직임을 제어하는 개폐수단에 있어서,
    서랍식 수납공간(A)과 비서랍식 수납공간(B)을 구분하는 격벽(3)에 위치 고정되어 키바의 작동핀(2)이 이출입되는 구속유닛(10);
    구속유닛에 대응 형성되어 외부로부터 차단된 내부 공간을 구축하는 커버유닛(20);
    커버유닛과 구속유닛 사이 공간에 개재되어 키바의 작동핀과 결부되고 커버유닛 전면에서 위치 조작이 이루어져 상하 움직임의 가변을 결정함에 따라 키바 승강을 제어하는 조작유닛(30);
    을 포함하고,
    위 구속유닛(10)은 조작유닛(30)의 승강 이동시 커버유닛(20) 방향으로 조작유닛을 압박하기 위한 탄지대(70)가 더 형성되어 조작유닛의 상하 위치 결정이 탄력적으로 실행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2. 제1항에 있어서,
    위 조작유닛(30)은
    구속유닛(10)과 커버유닛(20) 상간에 수용되는 플레이트(31);
    플레이트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커버유닛의 승강홀(21)을 통해 외부 노출되는 작동간(32);
    플레이트 타면에 돌출 형성되어 키바의 작동핀(2)을 끼움 개재하는 수용체(33);
    플레이트 일면 하방에서 라운드 형상으로 돌출되는 돌출돌부(34);
    를 포함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3. 제2항에 있어서,
    위 구속유닛(10)은
    서랍식 수납공간(A)과 비서랍식 수납공간(B)을 구분하는 격벽(3)에 위치 고정되는 바디(11);
    바디 내외로 관통 형성되어 작동핀(2)의 인입을 허용하는 핀홀(12);
    핀홀 상방에 이격 형성되어 플레이트(31)를 지지하는 지지편(13);
    핀홀 하방에서 내외 관통 형성되는 탄지공(14);
    탄지공이 허용하는 공간 내에서 조작유닛(3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탄지대(70);
    를 포함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4. 제2항에 있어서,
    위 커버유닛(20)은
    작동간(32)의 외부 노출과 상하 움직임을 허용하는 승강홀(21);
    승강홀의 하방에서 서로 이격 배치되어 돌출돌부(34)의 선택적인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제1,2요홈(22,23);
    을 포함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5. 제4항에 있어서,
    위 돌출돌부(34)는 구속유닛의 탄지대(70)에 의한 가압으로 제1요홈(22) 또는 제2요홈(23)에 맞물려 수용된 상태에서 위치 보존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6. 제4항에 있어서,
    위 돌출돌부(34)는 제1요홈(22)에서 제2요홈(23)으로 위치 가변됨에 따라 키바(1)의 하향을 유도하여 잠금 해지로 전환시키되, 제1요홈에서 제2요홈 또는 제2요홈에서 제1요홈으로의 위치 조작시 탄지대(70)에 의한 국부적인 압박으로 조작유닛(30)의 상하 유동 움직임이 탄력적으로 실시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7. 제1항에 있어서,
    위 탄지대(70)는 복원력을 보유한 라운드 형상의 탄성체인 것을 포함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8. 제7항에 있어서,
    위 탄지대(70)는 탄지공 상단에서 하단에 이르기까지 돌출 형상으로 경유하는 호 형상이되, 탄지공(14) 상단과 하단에 일체되거나 또는 탄지공 상단과 하단 중 어느 하나에 일체되는 것을 포함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9. 제1항에 있어서,
    위 탄지대(70)는 탄지공(14) 내부에 수용된 스프링(5) 신축(伸縮)에 의해 탄지공이 허용하는 공간 내에서 버튼식 돌출 여부가 결정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10. 제3항에 있어서,
    위 탄지대(70)와 지지편(13)은 각각 바디(11) 내면에서 서로 동일한 거리만큼 돌출 연장시켜 플레이트(31)의 직립이 유도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의해 구성되는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을 이용한 멀티 캐비닛.
KR1020160125350A 2016-09-29 2016-09-29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캐비닛 KR101710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350A KR101710978B1 (ko) 2016-09-29 2016-09-29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캐비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350A KR101710978B1 (ko) 2016-09-29 2016-09-29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캐비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0978B1 true KR101710978B1 (ko) 2017-02-28

Family

ID=58543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350A KR101710978B1 (ko) 2016-09-29 2016-09-29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캐비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097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554Y1 (ko) 2004-03-23 2004-06-05 동건공업주식회사 조립식 캐비넷의 코너 연결구조
KR200436493Y1 (ko) * 2006-12-08 2007-08-30 주식회사 퍼시스 복합 캐비넷
KR101087747B1 (ko) * 2010-01-15 2011-11-30 주식회사 퍼시스 복합 캐비닛의 서랍 로킹장치
KR101306720B1 (ko) 2011-10-18 2013-09-11 주식회사 두맥스 조립식 캐비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2554Y1 (ko) 2004-03-23 2004-06-05 동건공업주식회사 조립식 캐비넷의 코너 연결구조
KR200436493Y1 (ko) * 2006-12-08 2007-08-30 주식회사 퍼시스 복합 캐비넷
KR101087747B1 (ko) * 2010-01-15 2011-11-30 주식회사 퍼시스 복합 캐비닛의 서랍 로킹장치
KR101306720B1 (ko) 2011-10-18 2013-09-11 주식회사 두맥스 조립식 캐비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8127B1 (ko) 자동 개방 장치
KR20160055251A (ko) 로크 기구 및 개폐 장치
KR101463514B1 (ko) 푸시 앤 푸시 도어락 장치
KR20140140895A (ko) 포장 상자
KR100451478B1 (ko) 핸들장치
KR101710978B1 (ko) 키바 연동형 개폐수단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캐비닛
KR101823370B1 (ko) 동시 열림방지구조를 갖는 서랍장
KR200397191Y1 (ko) 잠금장치의 걸림쇠 수용장치
KR101881031B1 (ko) 원터치 방식에 의해 잠금 및 잠금해제가 가능한 도어 잠금장치
KR101438066B1 (ko) 세탁기 도어 안전장치
JP4160953B2 (ja) 左右両引きキャビネット
JP5999656B2 (ja) フランス落し
CN109114874B (zh) 储藏单元及冰箱
KR20120133542A (ko)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KR20110083807A (ko) 복합 캐비닛의 서랍 로킹장치
KR101986281B1 (ko) 원터치 화장품 케이스
KR100924422B1 (ko) 다이얼 잠금장치
JP7220481B2 (ja) 開閉部材のロック機構および該ロック機構を備える網付きサッシ
KR20120131807A (ko) 트레이 록킹해제장치
KR100631100B1 (ko) 슬라이딩유닛을 갖는 도어록장치
JPH09317294A (ja) 多段引出し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施解錠装置
RU175725U1 (ru) Держатель для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JP3790848B2 (ja) 家具の引戸ラッチ装置
JP2003148026A (ja) 収納体の開閉装置
JP6643844B2 (ja) 収納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