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4881A -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 Google Patents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4881A
KR20230074881A KR1020210160927A KR20210160927A KR20230074881A KR 20230074881 A KR20230074881 A KR 20230074881A KR 1020210160927 A KR1020210160927 A KR 1020210160927A KR 20210160927 A KR20210160927 A KR 20210160927A KR 20230074881 A KR20230074881 A KR 202300748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oking
receiving groove
container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0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램프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램프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램프쿡
Priority to KR1020210160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74881A/ko
Publication of KR20230074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48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5/00Devices for fastening or gripping kitchen utensils or crockery
    • A47J45/06Handles for hollow-ware articles
    • A47J45/061Saucepan, frying-pan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손잡이를 접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보관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손잡이가 결합된 부분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쉽게 세척 및 배수가 가능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한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용기본체의 측벽부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수용홈에 손잡이를 장착하여 손잡이를 접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보관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수용홈의 바닥면 구조적 개선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이 쉽게 배수 및 세척이 가능하도록 되어 유지관리가 편리하도록 된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Cooker with folding handle}
본 발명은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손잡이를 접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보관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손잡이가 결합된 부분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쉽게 세척 및 배수가 가능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한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리용기는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볶거나 튀기거나 굽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프라이팬이라 하고, 삶거나 국을 끓일 때 사용되는 것을 냄비라 한다. 근래에는 프라이팬과 냄비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고, 본 고안에서도 프라이팬과 냄비를 구분하는 것은 아니며, 다만 긴손잡이가 구비된 것이면 다 포함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종래, 접이식 손잡이로는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405455호(2006.01.11. 공고)가 있다. 종래에 따르면 손잡이를 2단으로 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조리용기용 접이식 손잡이를 제안하고 있다. 물론, 손잡이를 접게 되면 크기가 줄어들게 됨에 따라 보관할 때 공간 활용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손잡이를 접었을 때 접히는 부분은 용기 상측으로 돌출된 타입이라 크기는 줄어들지라도 다른 용기들과 적층은 불가능한 단점이 있어 효율적인 보관이 어려웠다.
또한, 손잡이를 접었을 때에는 걸 수 있는 수단이 없어 무조건 바닥에만 보관해야 되는 보관상 한계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손잡이를 접는 동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적 개선을 통해 효율적인 보관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손잡이가 결합된 부분의 틈새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쉽게 세척 및 배수가 가능하여 유지관리가 편리한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로 이루어져 조리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측벽부의 후측에는 후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안치판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판에는 측벽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수용홈 내에서 회전축을 매개로 장착되어 조리공간의 중심부를 향해 접어서 보관하고, 반대로 펼쳤을 때 상기 안치판에 지지되면서 용기본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안치판의 선단 부분이 라운딩 처리되어 조리과정에서 상기 수용홈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음식물이나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용홈의 바닥은 조리공간을 향해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세척할 때 물 배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는 상기 수용홈 내에서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열이나 화기에 강한 금속소재로 된 제1손잡이; 및 상기 제1손잡이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금속소재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재나 목재로 된 제2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치판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손잡이가 축 결합될 때 하면을 감싸듯이 안치하기 위한 오목한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손잡이의 선단부에는 안치홈에 안정적으로 안치되어 회전 작동되기 위해 반구형 형상의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손잡이를 축 결합하는 회전축은 환봉 형태이며, 끝단에는 텐션와셔에 의해 장착되어져 적정 텐션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손잡이를 용기본체의 중심부를 향해 접을 수 있도록 하되, 특히 용기본체의 측벽부에 수용홈을 형성하고 그 수용홈에 손잡이를 장착하여 손잡이를 접도록 하는 새로운 구조를 제안함으로써 크기를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보관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수용홈의 바닥면 구조적 개선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이물질이 쉽게 배수 및 세척이 가능하도록 되어 유지관리가 편리하도록 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를 보인 A-A선 단면도.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B-B선 단면도이며, "다"는 C-C선 단면도.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와 손잡이의 결합관계를 보인 종단면도.
도 5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접힌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이고, "나"는 손잡이를 펼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6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를 보관하는 방법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 및 사시도.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일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를 보인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의 "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고, "나"는 B-B선 단면도이며, "다"는 C-C선 단면도이고, 도 4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용기본체와 손잡이의 결합관계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의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는 크게 용기본체(100) 및 손잡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용기본체(100)는 바닥부(110) 및 상기 바닥부(110)를 둘러싸는 측벽부(120)로 이루어져 조리공간(130)을 형성하되, 상기 측벽부(120)의 후측에는 후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안치판(140)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판(140)에는 측벽부(120)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용홈(14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안치판(140) 및 수용홈(142)이 형성되는 방향은 도면 및 설명에서는 전후 방향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는 기준을 잡는 위치에 따라 그 방향이 달라질 수 있음은 너무나 자명하며,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때, 도 2를 참조로 하여 상기 안치판(140)의 수용홈(142) 바닥면을 살펴보면, 상기 측벽부와 안치판이 만나는 지점 즉, 안치판의 선단부분(R)이 직각이 아닌 라운딩 처리, 다시 말하면 곡면 공법을 통해 라운딩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바닥면의 일부는 조리공간(130)을 향해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조리시 수용홈(142)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음식물이나 세척시 수용홈(142)으로 물이나 세제가 유입될 수 있는데, 경사와 라운딩 처리된 부분을 따라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42)을 형성하고 있는 외벽(144)에는 삽입공(146)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할 손잡이(200)를 장착하는 회전축(250)이 삽입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안치판(140)의 끝단에는 손잡이(200)를 접었을 때 못과 같은 걸이수단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걸이공(148)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삽입공(146)의 하측에 해당되는 수용홈(142)의 바닥면에는 오목한 안치홈(H)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손잡이(200)의 결합부분을 감싸듯이 안치하여 안정감 있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손잡이(200)는 상기 용기본체(100)의 안치판(140)에 형성된 수용홈(142) 내에서 회전축(250)을 매개로 장착되어 조리공간(130)의 중심부를 향해 접어서 보관하고, 반대로 펼쳤을 때 상기 안치판(140)에 저면이 지지되면서 용기본체(100)를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손잡이(200)에도 축공(24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상기 수용홈(142)을 형성하는 외벽(144)에 형성된 삽입공(146)과 손잡이(200)에 형성된 축공(240)의 위치를 맞춰서 환봉 형태인 회전축(250)을 끼움 장착하면 장착이 완료되는데, 상기 회전축(250)이 무단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반대편에서 텐션와셔(252)를 회전축(250)에 결합하면 된다. 물론, 상기 회전축(250)이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완전히 분리되는 타입이 될 수도 있고, 손잡이(200) 양 측에 일체로 형성되어서 삽입공(146)에 끼움되는 타입이 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손잡이(200)는 일체로 형성되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겠지만,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회전축(250)에 장착되는 제1손잡이(210) 및 상기 제1손잡이(210) 후측에 볼팅 체결되는 제2손잡이(220)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런 경우 제1손잡이(210)는 수용홈(142)에 직접 체결되는 부분으로, 열에 강한 금속소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선단부를 반구형 형상으로 형성하여 전술한 안치판(140)의 바닥에 형성된 안치홈(H)에 안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손잡이(220)는 열전도율이 낮아 화상을 입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합성수지재나 목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200)에는 펼쳤을 때 무단으로 접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안치판(140)에 체결되는 체결수단(26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손잡이(200)를 바깥쪽으로 펼쳐서 조리시 파지하고자 할 때 무단으로 접어지면 사용상 불편함이 있기 때문에 펼쳤을 때에는 용기본체(100)에서 형성된 안치판(140)에 체결되어 손잡이(200)를 고정하게 되고, 분리되면 접을 수 있도록 하는 체결수단(260)을 말하는 것으로, 아주 간단하게는 고정핀과 같은 타입으로 구성되어 손잡이(200)를 펼쳤을 때 손잡이(200)와 안치판(140)에 고정핀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한편, 상기 체결수단(260) 중 간단하면서 작동이 편리한 타입이 슬라이더방식이다. 즉,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200)의 하면 양 측에 형성된 레일홈(230)에 전후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270)를 구비하는 것이다. 이는 구성도 간단하고 작동방법도 간편하여 사용상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것이다.
즉,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270)를 손잡이(200) 후측으로 이동시키면 안치판(140)과 분리됨에 따라 자유롭게 접거나 펼 수 있고, 슬라이더(270)를 전측으로 이동시켜 안치판(140)에 결합되도록 하면 손잡이(200)는 구속되어서 무단으로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 이때 슬라이더(270)에 탄성돌기(272)를 형성하여서 안치판(140)의 저면에 닿도록 하면 탄성력에 의해 잠금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200)를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전술한 종래기술에서도 이미 언급하고 있는데, 본원에서는 단순히 손잡이(200)를 접는 것이 아니라 수용홈(142)을 형성하고 그 내에 손잡이(200)를 장착하되 수용홈의 바닥면에 대한 구조적 개선을 통해 사용의 편의성 및 유지관리에서 크게 기여할 수 있는데 큰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가 접힌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를 보관하는 방법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 및 사시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로 하면, 손잡이(200)를 용기본체(100) 중심을 향해 접게 되면 조리용기의 크기도 줄어들어 보관이 용이하게 되는데, 단순히 접히는 것만 아니라 손잡이를 결합하는 안치판의 바닥면 형상(선단부의 라운딩 형상, 경사면 형상)을 통해 유지관리가 편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 6의 "가"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손잡이를 접은 상태에서 크기가 다른 조리용기를 적층해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200)를 접어서 크기를 줄였을 경우, 적층만 되는 것이 아니라 도 6의 "나"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치판(140)에 형성된 걸이공(148)을 통해 못과 같은 고정수단(300)에 걸어서 보관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성되면, 조리를 하고자 할 때에는 손잡이(200)를 펼친 뒤 체결수단(260)을 통해 손잡이(200)를 고정하고, 용기본체(100)의 조리공간(130)에 음식물을 넣고 바닥면 가열을 통해 조리를 하게 되는 것은 너무나 당연하며, 조리가 끝난 뒤 보관하고자 할 때 손잡이(200)를 접어서 도 6의 "가"와 같이 다른 용기들과 적층해서 보관하거나 "나"와 같이 손잡이(200)를 접은 상태에서도 걸어서 보관할 수 있는 큰 장점이 있다.
도 7의 "가" 및 "나"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을 보인 개략적 종단면도이다.
도 7의 "가"를 참조로 하면,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체결수단(260A)은 제1손잡이(210)의 후측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측에 기어(282a)가 형성되고, 상측에는 회전 작동시키기 위한 누름부(284)가 형성되며 하측에는 안치판(140)에 체결되기 위한 걸림부(286a)가 형성된 제1회전체(280a)와, 상기 제1회전체(280a) 일측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일측에는 상기 제1회전체(280a)의 기어(282a)에 맞물리는 기어(282b)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안치판(140)에 체결되기 위한 걸림부(286b)가 형성된 제2회전체(280b) 및 상기 제1회전체(280a)와 제2회전체(280b) 사이에서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2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되면 제1회전체(280a)의 누름부(284)를 누르게 되면 하측에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안치판(140)에서 분리되고, 이와 동시에 기어(282a,282b)를 통해 맞물려 있는 제2회전체(280b)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안치판(140)에서 분리될 것이며, 이는 곧 손잡이(200)의 체결이 해제됨에 따라 접을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긴 형태의 손잡이(200)를 도시하고 있는데, 손잡이(200)는 짧아도 되고, 한쪽에만 있는 편수 형태뿐만 아니라 양쪽에 양수 형태로도 제공될 수 있음을 인지해야 된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
100 : 용기본체 110 : 바닥부
120 : 측벽부 130 : 조리공간
140 : 안치판 142 : 수용홈
144 : 외벽 146 : 삽입공
148 : 걸이공 200 : 손잡이
210 : 제1손잡이 220 : 제2손잡이
230 : 레일홈 240 : 축공
250 : 회전축 260,260A : 체결수단
270 : 슬라이더 280a : 제1회전체
280b : 제2회전체 282a,282b : 기어
284 : 누름부 286a,286b : 걸림부
290 : 스프링 300 : 고정수단

Claims (5)

  1.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를 둘러싸는 측벽부로 이루어져 조리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측벽부의 후측에는 후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안치판이 형성되고, 상기 안치판에는 측벽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는 수용홈이 형성된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수용홈 내에서 회전축을 매개로 장착되어 조리공간의 중심부를 향해 접어서 보관하고, 반대로 펼쳤을 때 상기 안치판에 지지되면서 용기본체를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를 포함하되,
    상기 안치판의 선단 부분이 라운딩 처리되어 조리과정에서 상기 수용홈으로 유입될 수 있는 음식물이나 물의 배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의 바닥은 조리공간을 향해 점차 낮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형성되어 세척할 때 물 배수가 잘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는
    상기 수용홈 내에서 회전축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열이나 화기에 강한 금속소재로 된 제1손잡이; 및
    상기 제1손잡이의 후단부에 결합되며 금속소재보다 열전도율이 낮은 합성수지재나 목재로 된 제2손잡이;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안치판의 바닥면에는 상기 제1손잡이가 축 결합될 때 하면을 감싸듯이 안치하기 위한 오목한 안치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손잡이의 선단부에는 안치홈에 안정적으로 안치되어 회전 작동되기 위해 반구형 형상의 결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를 축 결합하는 회전축은 환봉 형태이며, 끝단에는 텐션와셔에 의해 장착되어져 적정 텐션력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1020210160927A 2021-11-22 2021-11-22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202300748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927A KR20230074881A (ko) 2021-11-22 2021-11-22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0927A KR20230074881A (ko) 2021-11-22 2021-11-22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4881A true KR20230074881A (ko) 2023-05-31

Family

ID=86542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0927A KR20230074881A (ko) 2021-11-22 2021-11-22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748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764979U (zh) 多用途锅
CN207253280U (zh) 手把装置及烹调器具
KR101322408B1 (ko) 기름유출방지 양면 프라이팬
KR20230074881A (ko)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200442783Y1 (ko) 휴대용 숯불구이기
KR101379754B1 (ko) 조리용기 뚜껑의 탈부착 손잡이
KR102393089B1 (ko)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200472362Y1 (ko) 다용도 조리기
KR101257822B1 (ko) 조리용기용 손잡이
KR200468194Y1 (ko) 손잡이에 뒤집개 안치대가 형성된 프라이팬
CN205458538U (zh) 用于洗碗机的刀叉托盘组件
KR20230093661A (ko) 접이식 손잡이를 구비한 조리용기
KR200197494Y1 (ko) 절첩가능한 프라이팬용 손잡이
KR200441078Y1 (ko) 조리용기용 뚜껑
CN211722863U (zh) 煎烤机
CN211722864U (zh) 煎烤机
CN208709348U (zh) 多功能组合锅
KR20230168724A (ko) 교반기능을 구비한 조리기구
KR200404674Y1 (ko) 취사량 가변이 가능한 취사용기
CN217488378U (zh) 一种多用锅套装
CN213155388U (zh) 养生壶
CN215016226U (zh) 锅具
CN210611778U (zh) 便于放置的防滴流勺子
CN204764962U (zh) 一种多用炒锅
TWM473183U (zh) 可伸縮的拖把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